KR200143706Y1 -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706Y1
KR200143706Y1 KR2019970001302U KR19970001302U KR200143706Y1 KR 200143706 Y1 KR200143706 Y1 KR 200143706Y1 KR 2019970001302 U KR2019970001302 U KR 2019970001302U KR 19970001302 U KR19970001302 U KR 19970001302U KR 200143706 Y1 KR200143706 Y1 KR 200143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door
hinge
side plate
door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155U (ko
Inventor
표철수
Original Assignee
표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철수 filed Critical 표철수
Priority to KR2019970001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70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05D5/046Fla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7/12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2015/26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the wings being successively fold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좌측판(12) 좌측단과 우측판(12A) 우측단의 상하부에 도웰(17)에 체결되도록 상기 비스(14)가 삽입되는 장공(13)이 천공된 보강부(11)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판(12)에 제 1단턱(16)이 형성된 좌측단과 상기 우측판(12A)에 제 2단턱(16A)이 형성된 좌측단이 핀(15)에 의해 180°이내로 회동되게 힌지 결합되어, 홀딩도어에 도웰 삽이홈을 정확한 위치에 뚫지 못한 경우에도, 경첩을 정위치에 올려놓고 비스를 체결 가능하므로, 상기 도웰이 부정확하게 홀딩도어와 타측 홀딩도어의 상하가 일치되지 않게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홀딩도더의 개페시 상기 홀딩도어의 측면이 심하게 접촉되지 않아, 강한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소음이 발생이 거의 없고 상기 홀딩도어가 뒤틀리는 등 훼손이 적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본 고안은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에 사용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양단에 장공이 형성되고 좌측판과 우측판이 힌지 결합되어 홀딩도어에 경첩을 용이하게 부착하여 홀딩도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부착 후에는 홀딩도어의 개폐시 홀딩도어의 측면에 충격력이 가해져 소음이 발생하고 홀딩도어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단의 상하에 비스 삽입공(130)이 대향되게 천공되고 지지돌기(170)가 대향되게 형성된 좌측판(120)의 우측단과, 우측단의 상하에 비스 삽입공(130A)이 대향되게 천공되고 지지돌기(170A)가 대향되게 형성된 우측판(120A)의 좌측단이 핀(150)에 의해 힌지 결합된 구성이었다.
상기 경첩(100)을 홀딩도어(120)에 조립하는 순서는 홀딩도어(120)에 미리 지지돌기 삽입홈(200,200A)을 뚫고, 상기 지지돌기 삽입홈(200,200A)에 경첩(100)의 배면에 형성된 지지돌기(170,170A)를 삽입시킨다. 그리고, 비스(140)를 경첩(100)에 형성된 비스 삽입공(130,130A)에 끼운 후에 홀딩도어(120)에 삽입하여, 상기 경첩(100)을 상기 홀딩도어(120)에 부착 시키므로서 상기 홀딩도어(120)와 타측 홀딩도어(120)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홀딩도어의 상단과 하단내지는 상단과 하단 및 중간에 지지돌기 삽입홈을 일정한 간격에 맞게 정확한 위치에 뚫어야 하는데, 일정 거리에 있는 지지돌기 삽입홈을 정확한 위치에 뚫기가 용이하지 않아 부정확하게 뚫리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 삽입홈이 정확한 위치에 뚫리지 않은 경우, 홀딩도어에 경첩을 부착시에 상기 홀딩도어와 타측 홀딩도어의 상하단이 일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경첩의 좌측판과 우측판이 180°이상으로 회동되어 홀딩도어를 개폐시 홀딩도어의 측면과 측면이 접촉하게 되므로 충격력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였고 상기 홀딩도어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홀딩도어에 도웰 삽입홈이 정위치에 뚫리지 않았더라도 경첩을 용이하게 체결하여 홀딩도어와 타측 홀딩도어의 상하단이 일치되게 하고, 홀딩도어 개폐시 소음이 발생과 훼손이 빨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좌측판 좌측단과 우측판 우측단의 상하부에 도웰에 체결되도록 상기 비스가 삽입되는 장공이 천공된 보강부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판에 제 1단턱이 형성된 좌측단과 상기 우측판에 제 2단턱이 형성된 좌측단이 핀에 의해 180°이내로 회동되게 힌지 결합되어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 홀딩도어용 경첩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종래 홀딩도어용 경첩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 붙박이장용 경첩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 경첩을 붙박이장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붙박이장 2 : 홀딩도어
10 : 경첩 11 : 보강부
12 : 좌측판 12A : 우측판
13 : 장공 14 : 비스
15 : 핀 16 : 제 1단턱
16A : 제 2단턱 17 : 도웰
20 : 도웰 삽입홈
이하 본 고안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경첩은 좌측판(12)과 우측판(12A)이 힌지결합된 구성이다.
상기 좌측판(12) 좌측단과 상기 우측판(12A) 우측단의 상하부에 대향되게 보강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11)에는 홀딩도어(2)의 도웰 삽입홈(20)에 끼워지는 도웰(17)에 일치되어 비스(14)가 삽입되는 장공(13)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측판(12)에 우측단에 제 1단턱(16)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판(12A)의 좌측단에 제 2단턱(16A)이 형성되어, 상기 좌측판(12)과 우측판(12A)이 핀(15)에 의해 180°이내로 회동되게 힌지 결합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경첩(10)을 홀딩도어(2)에 조립하려면, 붙박이장(1)에 홀딩도어(2)를 설치하기 위해 홀딩도어(2)의 상단과 하단에 힌지세트를 부착하고, 홀딩도어(2)와 홀딩도어(2)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되는 한쌍의 홀딩도어(2)의 일측단의 상하부의 2곳 또는 붙박이장(1)의 큰경우에는 상하부 및 중간의 3곳에 경첩(10)을 부착한다.
일반적으로 목재나 콘크리트에 비스(14)를 삽입시, 상기 비스(14)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웰(17)을 먼저 삽입하고 비스(14)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홀딩도어(2)에 경첩(10)을 부착하는 경우, 우선 홀딩도어(2)에 일정한 간격으로 경첩(10)이 부착되는 위치에 도웰 삽입홈(20)을 뚫고, 상기 도웰 삽입홈(20)에 도웰(17)을 끼운다. 그리고, 상기 도웰(17)이 체결된 도웰 삽입홈(20)에 경첩(10)을 정위치에 올려놓고 비스(14)를 장홈(13)을 통해 삽입한다.
상기에서, 홀딩도어(2)에 도웰 삽입홈(20)을 정확한 위치에 뚫지 못한 경우에도 좌측판(12)과 우측판(12A)의 상하에 대향되게 장공(13)이 천공되어 있어, 경첩(10)을 정위치에 올려놓고 비스(14)를 체결 가능하므로 상기 경첩(10)이 부정확하게 조립되어 홀딩도어(2)와 타측 홀딩도어(2)의 상하단이 일치되지 않게 조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홀딩도어(2)에 부착된 경첩(10)은, 상기 홀딩도어(2)의 손잡이를 잡고 홀딩도어(2)를 개폐시 일단의 홀딩도어(2)부착된 좌측판(12)과 타측 홀딩도어(2)의 부착된 우측판(12A)이 힌지결합돼 회동되면서 홀딩도어(2)의 개폐를 용이하게 해준다.
좌측판(12)의 우측단에 제 1단턱(16)이 형성되고 우측판(12A)의 좌측단에 제 2단턱(16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홀딩도어(2)를 개폐시에 홀딩도어(2)에 부착된 좌측판(12)과 타측 홀딩도어에 부착된 우측판(12A) 회동하다가 상기 제 1단턱(16)과 제 2단턱(16A)이 접촉하게 되어 결합각이 180°를 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홀딩도어(2)의 개폐시, 상기 홀딩도어(2)의 측면이 심하게 접촉되지 않아 강한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소음의 발생이 거의 없고 상기 홀딩도어(2)가 뒤틀리는 등 훼손되지 않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첩의 양단에 장공이 대향되게 천공된 좌측판과 우측판이 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홀딩도어에 도웰 삽입홈을 정확한 위치에 뚫지 못한 경우에도, 경첩을 정위치에 올려놓고 비스를 체결 가능하므로, 상기 도웰이 부정확하게 홀딩도어와 타측 홀딩도어의 상하가 일치되지 않게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고, 좌측판과 우측판에 제 1단턱과 제 2단턱이 형성되어 결합시 결합각이 180°를 넘지 않게 회동되어, 홀딩도어의 개폐시 상기 홀딩도어의 측면이 심하게 접촉되지 않아, 강한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소음의 발생이 거의 없고 상기 홀딩도어가 뒤틀리는 등 훼손이 적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좌측판(12)과 우측판(12A)이 핀(15)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홀딩도어(2)의 도웰 삽입홈(20)에 삽입되는 도웰(17)에 상기 좌측판(12)과 우측판(12A)이 비스(14)에 의해 부착되는 홀딩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12) 좌측단과 상기 우측판(12A)의 우측단의 상하부에 상기 비스(14)가 삽입되는 장공(13)이 천공된 보강부(11)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판(12)에 제 1단턱(16)이 형성된 좌측단과 상기 우측판(12A)에 제 2단턱(16A)이 형성된 좌측단이 180°이내로 회동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KR2019970001302U 1997-01-30 1997-01-30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KR200143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302U KR200143706Y1 (ko) 1997-01-30 1997-01-30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302U KR200143706Y1 (ko) 1997-01-30 1997-01-30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155U KR19980057155U (ko) 1998-10-15
KR200143706Y1 true KR200143706Y1 (ko) 1999-06-15

Family

ID=1949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302U KR200143706Y1 (ko) 1997-01-30 1997-01-30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7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155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K1065830A1 (en) A device for locking the closure door of a washingmachine
KR200143706Y1 (ko) 붙박이장의 홀딩도어용 경첩
KR200427866Y1 (ko) 사물함의 도어 고정장치
KR200194367Y1 (ko) 목재사물함의 경첩 설치구조
KR200383005Y1 (ko) 서랍의 전면패널과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0175791Y1 (ko) 목재 도어의 보강구조
KR100788276B1 (ko) 경첩
KR200144745Y1 (ko) 샷터 플레이트용 연결부재
KR0136596Y1 (ko) 냉장고의 도어체결장치
KR910008463Y1 (ko)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KR0124300Y1 (ko) 기기의 스크류커버 체결장치
KR100553441B1 (ko) 사물보관함용 경첩
KR200150051Y1 (ko) 자동개폐를 할수있는 현관문과 그 문틀의 골조
KR860000933Y1 (ko) 턴테이블용 경첩
KR200170547Y1 (ko) 사물함의 시건장치
RU228509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етли
KR200243717Y1 (ko) 문손잡이용 렛치볼트 고정구
KR200165340Y1 (ko) 홀딩도어 고정장치
KR200200382Y1 (ko) 도어 스톱퍼
JP3863609B2 (ja) 扉などの連結構造
KR200357370Y1 (ko) 목재 사물함용 경첩 설치구조
JP3429419B2 (ja) 扉などの連結機構
KR200236267Y1 (ko) 유리문짝 설치용 유리고정브라켓트
KR200217149Y1 (ko) 컴퓨터 케이스
KR200173022Y1 (ko) 건물용 문손잡이의 작동레버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