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463Y1 -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 Google Patents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463Y1
KR910008463Y1 KR2019880011190U KR880011190U KR910008463Y1 KR 910008463 Y1 KR910008463 Y1 KR 910008463Y1 KR 2019880011190 U KR2019880011190 U KR 2019880011190U KR 880011190 U KR880011190 U KR 880011190U KR 910008463 Y1 KR910008463 Y1 KR 910008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lass plate
hole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078U (ko
Inventor
박희홍
Original Assignee
박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홍 filed Critical 박희홍
Priority to KR2019880011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463Y1/ko
Publication of KR9000030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0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06B3/482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5Sectional doors
    • E06B3/486Sectional doors with hinges being at least partially integral part of the section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식작용 조립식 개폐문
제1도는 장식장에 본 고안을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장식장에 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일부절개시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측부 개폐문을 형성한 일부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구성부품인 연결부재의 일측을 저면상에서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부구성부품인 연결부재의 타측을 평면상에서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일부구성부품인 쇄정구의 사시도.
제7도는 상호 결합된 구성부재의 절곡상태를 배면에서 나타낸 일부 절취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레일 4, 4' : 개폐문
5, 6 : 연결돌기 8 : 지지판
9 : 유리판삽착구 10 : 연결부재
12 : 구성부재 13 : 돌출단
14, 14-1 : 연결핀 16 : 손잡이
17' : 쇄정편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상기나 오디오세트 등의 전자제품을 재치 또는 내설하여 사용되는 장식장의 개폐문을 조립식 미닫이로 형성하여서 되는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가정이나 기타 유흥업소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잇는 장식장의 개폐문은 통상 좌우로 각각 분리형성하여, 각 개폐문 일측단을 장식장 본체에 힌지 또는 경첩등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유착시켜 장식장 본체 외향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개폐문은 이를 열게되면 힌지 또는 경첩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어 각 개폐문의 회전반경보다 최소한 넓은 공간부가 필히 요구되었고, 특히 개폐문을 연 상태에서의 하중을 힌지 또는 경첩이 모두 전달받게되어 개폐문의 개폐가 반복되면 그 힌지나 경첩 또는 개폐문의 유착부가 마모되어 개폐문의 개폐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수 없게 되어 힌지나 경첩에서 개폐문이 이탈되는 사례가 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일부 사용자들은 아예 장식장에서 개폐문을 떼어내고 사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이와같은 폐단을 시정하고자 미닫이식 개폐문을 형성한 것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좌, 우측으로 각각 분리형성된 개폐문 넓이만큼의 개폐문 삽입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장식장의 외형이 불필요하게 커짐으로서 고가의 자재를 소모하게 됨은 물론 미관상에도 좋지 않았으며, 그 장식장 자체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의 확보에도 어려움이 있었던 등의 폐단이 발생하여 그 실용성이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식장 전면의 개폐문 설치부와 양측면상에 상하 공히 레일을 설치하되, 양측면에서 전면부로 이어지는 레일의 굴절부위는 만곡지게 형성하고 그 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개폐하도록 된 개폐문은 일정길이의 연결구가 상하로 일치되면서 삽착된 유리판을 상호 연결하여서 형성하되, 각 연결구는 연결핀에 의해 상호 연결조립되도록 하고, 상기 각 연결구는 연결핀을 중심으로하여 일측방향으로 일정각도 만큼 절곡이 자유롭도록 하고, 연결핀의 외부돌출부는 레일홈에 삽입되어 레일상에 안내되면서 개폐문이 개폐되도록 구성하며 개폐문을 개폐하게 되면 장식장의 전면 중앙부와 측면후단에 걸쳐 상하로 대향되도록 고착된 레일을 따라 개폐문이 개폐되는데 이때 측면과 전면상의 레일만곡부를 개폐문이 통과할때는 연결핀을 중심으로 상호 일정각도만큼 절곡되도록 된 연결구가 적절히 절곡되면서 장식장의 개폐문이 자연스럽게 개폐되도록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장식작용 조립식 개폐문은 대별하여 개폐문(4), (4')과 이를 체결 및 해지하기 위한 쇄정구(17)로 이루어지고, 다시 상기 개폐문(4), (4')은 함체형의 통상의 장식장을 이루는 기대(1)와 상판(2)에 상호 대향되도록 양측면부에서 전면부로 연장되는 부위를 만곡지게 형성하여 만곡부(3)를 이룬 레일(3) 사이에 설치되어진다.
한편 상기 개폐문(4), (4')은 각각 연결부재(10)와, 이 연결부재(10) 사이에 유리판(11)착설하여 구성부재(12)를 형성함으로서 이루어지는 다수의 구성부재(12)를 서로 조립 구성하여 이루어지는바, 상기 연결부재(10)는 일측끝단면 중앙에 연결공(7)이 형성된 다수의 연결돌기(5)와, 타측끝단면에는 중앙에 연결공(7)이 형성된 복수의 연결돌기(6)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도록하고,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8)에 의해 구획되는 유리판삽착구(9)가 형성된 ""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부재(12)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유리판 삽착구(9)에 적정크기로 재단한 유리판(11)의 상, 하측단을 상호 대향되도록 삽착하여 이룬다.
이와같은 수단에 의하여 다수의 구성부재(12)를 구비한후 이를 서로 조립하여 상기한 개폐문(4), (4')를 조립하게 되는바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각각의 구성부재(12)를 이루는 연결부재(10)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연결돌기(5), (6)에 있어서, 그 일측 양단에 복수개로 돌출형성된 연결돌기(6)의 사이에 다른 구성부재(12)를 이루는 연결부재(10)의 일측면중앙에 단수로 돌출형성된 연결돌기(5)를 삽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한 각각의 구성부재(1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연결돌기(5), (6)에 형성된 연결공(7)에 연결핀(14)을 이루는 삽입부(14')를 삽입시켜 축설케하고, 다시 상기 일측끝단에 위치하는 구성부재(12)의 측면에는 유리판 삽착홈(15)과 쇄정편삽입홈(15')이 형성된 손잡이(16)을 고착하여 상기 구성부재(12)를 이루는 연결부재(10)의 연결돌기(5)에 상기 연결핀(14)의 삽입부(14')가 연결공(7)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짧게 구성한 별도의 연결핀(14-1)의 삽입부(14')를 삽입하여 완성된 개폐문(4), (4')를 각각 이룬다.
이와같이 조립완성된 개폐문(4), (4')은 각각 레일(3)상에 장착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핀(14), (14-1)을 이루는 삽착부(14")가 레일(3)홈 상에 끼워 삽착시켜 장착시켜 이룬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0)의 연결돌기(5), (6) 사이에는 적정간극이 유지되도록 돌출단(13)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핀(14)을 중심으로 구성부재(12)가 각각 일정각도 만큼 절곡이 자유롭도록하여 개폐문(4), (4')의 개폐시 레일(3)상의 만곡부(3')를 통과할때 각각의 구성부재(10)가 레일(3)의 만곡각도에 따라 절곡되면서 부드럽게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잇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상기 개폐문(4), (4')에 있어서, 이를 이루는 손잡이(16)가 상호 당접되는 부위에는 쇄정편(17')이 ""형으로 돌출형성된 쇄정구(17)를 착설하여 이를 열쇠(18)로서 작동시키면 쇄정편(17')이 상, 하향 유동하면서 손잡이(16)에 내설된 쇄정편삽입홈(15')으로 삽입 또는 해지되어 좌우측의 각 개폐문(4, 4')이 장식장의 중앙부위에서 고정 또는 해지되도록 하고, 이와 수직 대응되는 상판(2)상에는 ""형의 스톱파(18)를 하향 결착하여 장식장(20)의 레일(3)상에 유착된 각 개폐문(4), (4')이 장식장의 중앙부에서 상호 당접되도록 이루어져서 본 고안의 장식작용 조립식 개폐문을 이룬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장식작용 조립식 개폐문은 그 사용에 있어, 손잡이(16)을 잡고 밀거나 당기게 되면 레일(3)홈에 삽입된 연결핀(14)의 삽착부(14")가 레일(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각각의 연결부재(10)는 레일(3)의 만곡부(3')를 통과하면서 연결핀(14)의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절곡이 되는데 이는 상기한 연결부재(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연결돌기(5), (6)사이에 돌출단(13)이 적정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핀(14)을 중심(정축)으로하여 각각의 구성부재(12)가 서로 일정한 각도만큼 절곡되면서 레일(3)의 만곡부(3')를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하여 상기한 개폐문(4), (4')를 열거나 닫게 되는데 특히 이를 닫아 체결(잠금)하고자 할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문(4, 4')의 양측 손잡이(16)를 파지하고 당겨 이를 닫게되면, 장식장의 상판 중앙부위에 하향으로 결착된 스톱파(18)에 의해 양측 개폐문(4, 4')이 상호 당접하면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쇄정구(17)를 작동시는 열쇄(18)를 회동시키면 ""형의 쇄정편917')이 일정거리만큼 상하유동하면서 손잡이(16)에 내설된 쇄정편 삽입홈(15')에 삽입되어 양측개폐문(4, 4')을 동시에 체결 즉 쇄정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장식장의 개폐문이 여닫이로 형성함으로 해서 개폐할때 필수적으로 요구되던 공간확보가 필요없고 힌지 또는 경첩을 중으로하여 외향으로 열리는 개폐문의 하중에 의해 힌지 또는 경첩이나 개폐문 자체의 유착부가 마모됨으로서 개폐문의 고장을 유발하여 개폐문의 기능을 상실하던 폐단을 완전히 해소하고, 미닫이식 개폐문이 설치된 종래의 장식장은 그 외형이 개폐문이 삽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이외로 크게 형성할 수 밖에 없어 고가의 자재를 필요 이외로 소모하는 등의 폐단 역시 완전히 해소하여 비교적 좁은 공간에도 장식장을 설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개폐문의 고장이 거의 발생되지 않게 되었고, 전면부에서 양측면부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간편히 개폐되도록하여 그 개폐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쇄정구에 의해 양측 개폐문이 동시에 채결(쇄정)되도록 하고, 장식장 자체의 미감을 살린 실용적이고도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적정간극이 독출단(13)이 형성된 일측끝단측면 중앙상에 연결공(7)이 형성된 단수의 연결돌기(5)와, 타측끝단면에는 중앙에 연결공(7)이 형성된 복수의 연결돌기(6)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도록 하고,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8)에 의해 구획되는 유리판 삽착구(9)가 형성되어 ""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0)의 상기 유리판 삽착구(9)에 적정크기로 재단한 유리판(11)의 상, 하측단을 상호 대향되도록 각각 삽착하여 다수의 구성부재(12)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구성부재(12)를 이루는 연결부재(10)의 일측양단에 복수개로 돌출형성된 연결돌기(6)의 사이에 다른 구성부재(12)를 이루는 연결부재(10)의 일측면 중앙에 단수로 돌출형성된 연결돌기(5)를 삽입하여 구성부재(12)를 상호 연결해서 상기 연결돌기(5), (6)에 형성된 연결공(7)에 연결핀(14)을 이루는 삽입부(14')를 삽입시켜 축설하고, 상기 일측끝단에 위치하는 구성부재(12)의 측면에는 유리판 삽착홈(15)과 쇄정편삽입홈(15')이 형성된 손잡이(16)를 고착하여 상기 구성부재(12)를 이루는 연결부재(10)의 연결돌기(5)에 상기 연결핀(14)의 삽입부(14')가 연결공(7)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짧게 구성한 별도의 연결핀(14-1)에 형성된 삽입부(14')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개폐문(4), (4')을 각각 형성해서 통상의 장식장에 형성된 기대(1)와 상판(2)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 레일(32)의 홈에 상기 연결핀(14), (14-1)의 삽착부(14")가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작용 개폐문.
KR2019880011190U 1988-07-09 1988-07-09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KR910008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190U KR910008463Y1 (ko) 1988-07-09 1988-07-09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190U KR910008463Y1 (ko) 1988-07-09 1988-07-09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078U KR900003078U (ko) 1990-02-07
KR910008463Y1 true KR910008463Y1 (ko) 1991-10-18

Family

ID=1927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190U KR910008463Y1 (ko) 1988-07-09 1988-07-09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46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152B1 (ko) * 1998-04-29 2001-02-01 차연대 차양모와수건으로구성된햇빛가리개
KR100382099B1 (ko) * 2000-08-12 2003-05-01 태윤성 차양모자
KR100486364B1 (ko) * 2001-11-23 2005-05-03 김동수 상투 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152B1 (ko) * 1998-04-29 2001-02-01 차연대 차양모와수건으로구성된햇빛가리개
KR100382099B1 (ko) * 2000-08-12 2003-05-01 태윤성 차양모자
KR100486364B1 (ko) * 2001-11-23 2005-05-03 김동수 상투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078U (ko) 199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0571C (en) Slam latch
US5471709A (en) Built-in electrical appliances, refrigerators in particular
US5193308A (en) Snap-in hinge for doors with hollow metal frames
US4987640A (en) Super-thin hinge with resiliently biased catch
HU208447B (en) Hinge box
US4015868A (en) Door lock employing interlocking hinge plates
JPH01154986A (ja) 家具ヒンジ用取付け板
KR910008463Y1 (ko)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US3436860A (en) Door hinge and latch mechanism
EP1105606A1 (en) Draw latch
US4771508A (en) Arrangement and support of pivots in a four-joint cabinet hinge
US5412841A (en) Furniture hinge
US2585836A (en) Hinge
JPH09135954A (ja) パチンコ機
US4884316A (en) Hinge
EP0649955A1 (en) A reversible mount lock of unitary construction
KR200185716Y1 (ko) 냉장고의 상,하부 힌지구조 및 도어의 결합구조
JP3504987B2 (ja) 開閉体取付装置
JPH1046919A (ja) ド ア
JPS5836774Y2 (ja) ヒンジ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200190929Y1 (ko) 가구용 도어힌지
JPS5836763Y2 (ja) 埋め込み式用心鎖
KR20240016029A (ko) 축회전방식 여닫이도어의 도어모서리 간섭방지를 겸한 문틀 커버장치
SU1497371A1 (ru) Пет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