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364B1 - 상투 모자 - Google Patents

상투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364B1
KR100486364B1 KR10-2001-0073527A KR20010073527A KR100486364B1 KR 100486364 B1 KR100486364 B1 KR 100486364B1 KR 20010073527 A KR20010073527 A KR 20010073527A KR 100486364 B1 KR100486364 B1 KR 100486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at
delete delete
main body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771A (ko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01-007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3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모자 캡의 상부 둘레에 연결한 상투부의 전면부에 갈라지는 기존의 이합부를 대체하는 안면 개방부를 갖도록 하여 외관상 미려하면서도 상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상투형 모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투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내측으로 마스크부를 형성하여 안면을 커버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한 상투형 모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모자의 본체(10)에 상투부(30)를 연결부(11)에 연결하여 오므려 모아지는 꼭지부분에 상투끈(40)을 묶어 내리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 상투 모자에 있어서,
상기 상투부(30)가 펼친 상태에서 목 부분의 양측 및 후방을 가릴 수 있는 정도의 하방으로 내려오면서 전면부에 본체(10) 하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재단된 상태로 하여 안면 개방부(3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투 모자{Top knot hat}
본 발명은 상투형 모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모자 본체에 오므려 모아 결속부재로 묶을 수 있도록 하는 상투부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여 모자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이용의 폭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한 상투형 모자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모자는 용도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고 대부분 머리부가 씌워지는 본체와 전방에 햇빛등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양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일부 모자에는 겨울용도로 귀를 보호할 수 있도록 귀싸개가 부가된 사냥모자 등이 있으나 통상적인 단순기능으로 사용되고 있다.이러한 단순한 종래의 모자기능에서 모자에 상투수단을 구비하여 상투부를 꽁지머리 형태로 묶어 보관하다가 상투끈을 풀어 펼치면 얼굴, 귀, 목, 모자덮개 및 환기까지 되어 인체를 보호하면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게 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한 상투모자를 본 발명인이 특허출원 제2000-15633호로 제안한 바 있다.그러나 선출원에는 용도의 활용성 및 효울성에 대하여 여러가지로 설명하였으나 모자와 상투부 용도에 따라 모양이 다양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또한, 선출원의 상투 모자는 상투부를 펼칠때 용이하도록 전면부에 갈라지는 이합부가 형성되어 있어 갈라지는 부분이 전면상으로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면서 직선형으로 구성되어 안면부위의 다양한 노출형식의 필요성에 상응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또한, 선출원의 상투모자는 주로 상투부를 펼쳐내려 목 후방부분을 가려주어 야외에서 활동할 때 보호할 수 있는 등의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으나 겨울과 같이 안면을 커버하지 못하여 겨울 용도로는 사용의 한계성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출원의 상투모자는 상투부를 결속하는 고정끈의 위치를 본체 후방에 포괄하고 있으나 실용적으로 사용되는 구체성이 결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모자 본체의 상부 둘레에 연결한 상투부의 전면부에 갈라지는 이합부를 변형하여 대체한 안면 개방부를 갖도록 하여 외관상 미려하면서도 상투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상투형 모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투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내측으로 마스크부를 형성하여 안면을 복면형으로 커버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한 상투형 모자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상투부를 올린 상태도이고, 도 3은 상투부를 묶어 내린 상태를 보인 것으로,
모자 본체(10)의 상부 둘레에 연결부(11)로 연결하여 구비한 상투부(30)가 본체(10)에 씌워지면서 목 부분의 양측 및 후방을 가릴 수 있는 정도의 하방으로 내려오도록 하고, 상투부(30)의 전면부에 사각형상으로 재단하여 안면 개방부(31)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부(11)를 도면에서는 봉제처리로 연결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크단추, 지퍼등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상투부(30)의 전면부의 내면에는 상투부(30)를 올려 묶어줄 수 있도록 상투끈(40)을 구비하고 후면에는 상투부(30)를 고정하는 고정끈(50)을 구비한다.
상기 상투부(30)에 형성된 안면 개방부(31)의 하단 양측으로 필요에 따라 묶어 줄 수 있도록 끈 구멍(33)을 형성한다.
상기 상투부(30)의 외측 단부 둘레에는 매끄럽게 마감되도록 마감테프(32) 처리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투부(30)를 펼칠 때 상투부(30)의 전면부에 이합부를 변형하여 대체한 안면 개방부(31)의 형성으로 이마부위 부분을 덮어지도록 마감처리되어 있어 외관상 미려하고 선출원과 같이 상투부(30)를 묶어 내리거나 펼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 상투부(30)가 연결된 내측으로는 기존의 본체(10)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선출원 보다 다양한 별도의 내측덮개를 설치할 수 도 있다.
상기의 상투부는 기존에 차양이 있는 모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여러모자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20은 차양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모자의 본체(10)에 씌워 내린 상투부(30)를 들어 올린 후 오므려 모아지는 꼭지부분 및 하단부분에 상투끈(40)으로 묶고 모자 본체(10) 후방부분에 부착된 고정끈(50)으로 묶어주면 상투부(30)는 아래로 길게 내려지므로 꽁지머리 형태로 표출되도록 한 것이다.
삭제
도 4는 모자 본체의 후면부에 고정끈을 설치한 상태도로,
모자의 본체(1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된 프리싸이즈(Free Size)의 조절끈(12)에 고정끈(50)을 부착한 것이다. 이는 모자 본체(10)가 사람에 따라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머리에 쓰면서 묶어 내린 상투부(30)를 조절끈(12)에 부착된 고정끈(50)으로 묶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모자 본체의 후면부에 고정끈을 설치한 다른 상태도로,
모자의 본체(1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된 프리싸이즈(Free Size)의 조절끈(12)에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13)를 구비하고 이 고리(13)에 고정끈(50)을 부착한 것이다. 이는 고리(13)가 조절끈(12)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어 고리(13)에 부착된 고정끈(50)이 위치가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에서 편리하게 묶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고리(13)는 천이나 가죽 등이 소재로 쓰이고 리봉식이나 합단추있는 고리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상투부(30)의 전면부에 형성된 안면 개방부(31)의 하부 양측에 적정폭을 내측으로 연장하여 마스크부(34)를 형성하고, 이 마스크부(34)는 사용하기 쉽도록 내측단부가 서로 겹쳐져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부(35)를 형성한 것이나 이 개폐부(35)는 생략될 수 있다.
이렇게 마스크부(34)를 형성함에 따라 안면 노출을 최소화한 복면형으로 겨울철이나 먼지가 많은 장소에서 사용할 때 마스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 상투부를 올린 상태도이고, 도 8은 상투 형태로 묶어 내린 상태도로,
모자의 본체(10)을 씌워 내린 상투부(30)를 둘어 올린 후 오므려 모아지는 꼭지부분 및 하단부분에 상투끈(40)과 고정끈(50)으로 묶으면 상투부(30)는 아래로 길게 내려지므로 꽁지머리 형태로 표출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선행의 상투형 모자에서 상투부에 안면 개방부를 갖게하여 상투부를 펼칠때 마다 갈라지게하는 기존의 이합부를 대체한 상투형태로 묶어 내리거나 펼쳐질 수 있고 외관상으로 매끄러운 디자인 형상을 연출할 수 있고, 마스크기능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등의 상투 모자의 입지를 다지고, 나아가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이용의 폭을 최대한 넓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상투부를 올린 상태 도면
도 3은 상투부를 묶어 내린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모자 본체의 후면부에 고정끈을 설치한 상태도
도 5는 모자 본체의 후면부에 고정끈을 설치한 다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면
도 7은 도 4에서 상투부를 올린 상태 도면
도 8은 상투 형태로 묶어 내린 상태 도면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연결부
12: 조절끈 13: 고리
20: 차양 30: 상투부 31: 안면 개방부 32: 마감테프 33: 구멍 40: 상투끈 50: 고정끈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10)

  1. 모자의 본체(10)에 상투부(30)를 연결부(11) 연결하여 오므려 모아지는 부분을 묶어 내리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 상투 모자에 있어서,
    상기 상투부(30)가 펼친 상태에서 목 부분의 양측 및 후방을 가릴 수 있는 정도의 하방으로 내려오면서 전면부에 사각형상으로 재단된 상태로 하여 안면부위가 노출되도록 안면 개방부(31)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투형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 개방부(31)의 하부 양측에 적정폭을 내측으로 연장하여 마스크부(3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투 모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34)에 개폐부(35)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투 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의 본체(1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된 조절끈(12)에 고정끈(50)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투 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의 본체(1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된 조절끈(12)에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리(13)를 구비하고, 이 고리(13)에 고정끈(50)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투 모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1-0073527A 2001-11-23 2001-11-23 상투 모자 KR100486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27A KR100486364B1 (ko) 2001-11-23 2001-11-23 상투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27A KR100486364B1 (ko) 2001-11-23 2001-11-23 상투 모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568A Division KR100455447B1 (ko) 2004-04-06 2004-04-06 상투 모자
KR10-2004-0023569A Division KR100455446B1 (ko) 2004-04-06 2004-04-06 보자기를 이용한 상투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771A KR20030042771A (ko) 2003-06-02
KR100486364B1 true KR100486364B1 (ko) 2005-05-03

Family

ID=2957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527A KR100486364B1 (ko) 2001-11-23 2001-11-23 상투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63Y1 (ko) * 2008-02-18 2010-08-17 임창선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0058A1 (en) * 2003-06-30 2005-01-06 Keon Seok Oh Hat using as a mask
KR100756548B1 (ko) * 2006-06-08 2007-09-10 이도훈 모자용 햇빛가리개
KR101455257B1 (ko) * 2014-03-27 2014-11-04 이진국 모자 결합형 수건
CN111802716A (zh) * 2020-06-23 2020-10-23 戚睿妍 一种功能雨衣、雨披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1U (ja) * 1982-06-24 1984-01-05 中央帽子株式会社 野外用帽子
KR910008463Y1 (ko) * 1988-07-09 1991-10-18 박희홍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JPH05125607A (ja) * 1991-01-25 1993-05-21 Ski Tote Usa 天候適応型スキー帽
KR950026340U (ko) * 1994-03-14 1995-10-16 이경석 차양달린 머리덮개용 스카프
JPH11302914A (ja) * 1998-04-21 1999-11-02 Kazuko Ochiai 帽 子
KR200194365Y1 (ko) * 2000-03-27 2000-09-01 김동수 상투 구비 모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1U (ja) * 1982-06-24 1984-01-05 中央帽子株式会社 野外用帽子
KR910008463Y1 (ko) * 1988-07-09 1991-10-18 박희홍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JPH05125607A (ja) * 1991-01-25 1993-05-21 Ski Tote Usa 天候適応型スキー帽
KR950026340U (ko) * 1994-03-14 1995-10-16 이경석 차양달린 머리덮개용 스카프
JPH11302914A (ja) * 1998-04-21 1999-11-02 Kazuko Ochiai 帽 子
KR200194365Y1 (ko) * 2000-03-27 2000-09-01 김동수 상투 구비 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63Y1 (ko) * 2008-02-18 2010-08-17 임창선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771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7510A (en) Sports cap or hat accessory
US5875493A (en) Modular head covering system
US6990692B1 (en) Cap with curved visor
US9826791B2 (en) Head garment
US4468818A (en) Head scarf
JPH0232663Y2 (ko)
US8032950B2 (en) Locks down
KR100354651B1 (ko) 상투모자
US20090089916A1 (en) Locks down
US20240090608A1 (en) Hair and edge maintenance cap
US3557806A (en) Ornamental hair covering and headdress
KR100486364B1 (ko) 상투 모자
US5493732A (en) Foldable, billed kerchief
CN205006007U (zh) 可折叠的帽体装置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US5581814A (en) Fur hat
KR20120117142A (ko) 차양으로 된 모자
KR200449863Y1 (ko)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KR100799081B1 (ko) 머리덮개 수용부를 가진 차양모자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20120000506U (ko)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CN214016214U (zh) 一种户外多用帽
KR100455447B1 (ko) 상투 모자
KR200180731Y1 (ko) 스카프가 착탈되는 차양모자
KR200183584Y1 (ko) 작업용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