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365Y1 - 상투 구비 모자 - Google Patents

상투 구비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365Y1
KR200194365Y1 KR2020000008969U KR20000008969U KR200194365Y1 KR 200194365 Y1 KR200194365 Y1 KR 200194365Y1 KR 2020000008969 U KR2020000008969 U KR 2020000008969U KR 20000008969 U KR20000008969 U KR 20000008969U KR 200194365 Y1 KR200194365 Y1 KR 200194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cover
neck
hea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563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54651B1/ko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2020000008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3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3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으로는 모자 착용시 머리의 상하이동과 통풍확보, 밖으로는 귀(耳)의 기능증대, 목보호, 모자단열 등 모자내외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할 것을 목적으로 함. 그 대책으로 그늘안경의 전면다중 절첩식(全面多重切疊式) 원통형 씨스템을 적용 모자 본체(30) 중간부(70)에 상투부(60)을 건립 해결하였다.
상투부(60) 내용인즉 꼭지부(33)를 제거하고 원통형 상투부(60)에 상투 개폐부(50)을 장치, 결속 시는 덮개와 상투가 되고 해제 시는 통풍구, 반전하강(反轉下降)시는 귀(耳)목 덮개부가 되는 기능이다. 즉 위로 올려 묶거나 풀면 덮개와 상투 및 통풍, 상하이동이 되고 뒤집어 내리면 귀와 목덮개, 모자덮개가 되는 다중기능 겸임 압축 기술인 점이 본 고안의 핵심역량이다. 내측 덮개(나)도 내측 상투부(64)가 가능한 내외양측 이중상투모 인점도 특기할 점이다.

Description

상투 구비 모자{THE HAT EQUIPPED WITH THE SANG TOO}
본 고안은 안으로는 모자착용시 머리의 상하이동과 통풍확보, 밖으로는 귀(耳)의 기능 증대 및 목보호, 모자단열 등 모자 내외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할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종래의 모자가 덮어쓰는 평면적 구조였다면 본 고안이 추구하는 신패턴 모자상은 입는 모자 즉 목에서 머리끝까지 머리전체를 활용하는 입체적 모자다. 본 고안은 기존 모자 패턴과 비행사 헬멧의 중간 성격과 기능을 내포한 햇매트(HATMAT)적 신패턴 모자를 구현하려 한다. 종래 모자가 머리(THE HEAD)가 대상이었다면 본 고안이 전체적으로 추구하는 그늘안경 씨스템은 두뇌(THE BRAIN)가 주요 관심사항이다. 머리에 쓰는 모자에서 머리를 잘쓰게 하는 모자로의 패러다임 전환이다. 형식은 전면다중 절첩식(全面多重切疊式) 그늘안경을 모자전체에 네트워크(網)화 하는 것이고 내용은 두뇌감각기관인 눈, 귀, 코, 입, 얼굴, 목, 피부기관의 활성화를 담고 있다.
[1] 본 고안이 중요대상으로 하는 기술분야는 개별적으로는 모자 내에서 머리 상하(上下) 이동이 가능토록 본체(30) 천장에 여유를 주는 문제, 통풍환기 조절 장치, 모자외적으로는 귀(耳)의 기능증대를 위한 귀싸개와 목덜미보호를 위한 목가리개 부착방식 문제이다. 종합적으로는 이러한 제 문제를 통합 일원화하는 기술과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 문제들은 그간 모자업계에서 외면, 관심 밖의 사항들이었다.
[2] 모자 본체(30)내에서 머리의 상하이동은 그 자체로도 개선할 사안이나 그늘안경 씨스템으로서는 용도와 영역 확장상 고려해야 할 비중 높은 문제다. 그간 같은 크기 모자와 서로 다른 머리크기를 맞춤 외에 조화시키려는 배려에서 뒷고리(37)장치를 통해 후리싸이즈(Free-size)가 되도록 했다. 머리 크기에 따라 높낮이는 둘레에 비례한다는 가정에서 둘레를 조정하면 높낮이도 조절된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모자 제조상 높낮이는 평균적으로 정해놓고 둘레만 조정하게 되므로 실제 착용상 높낮이 문제가 예상외로 두드러진다. 머리긴 사람은 물론 표준형도 착용시 귀에 붙을 정도로 내려쓴 사람부터 반뼘정도 올려 쓴 사람 등 그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미관상은 물론 바람에 날리기 쉬운 폐단이 있다. 해결책은 모자테두리가 뒷고리(37)를 갖춘 것처럼 모자 깊이도 조절 가능한 장치를 갖게 하는 것이다. 그늘안경 씨스템과 관련 이 문제가 부각되는 이유는 그늘안경 직경을 크게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입밑까지 그늘안경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상하 챙(10, 20)목을 늘리거나 키워야 하는데 여기에는 미관상 등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해 하부챙(20) 만 늘리는 방법들이 선 출원되었으나 모자 전체를 귀까지 내려 쓸수 있는 방법은 그늘안경(10, 20) 사용반경을 얼굴아래로 확장한 효과가 있으므로 좋은 방안이 된다. 이를 위해 머리 이동 공간확보상 본체(30) 상부 덮개가 신축적일 필요가 있다. 종래 모든 모자는 공통적으로 본체(CROWN) 상부를 폐쇄해 왔으나 그 곳을 개방해야 할 기술적 이유중의 하나가 이 문제와 관련돼있다.
[3] 종래엔 통풍, 환기 문제를 과소 평가해 왔다. 제 3도 환기구(36)처럼 작은 구멍 몇 개로 상황에 따라서는 절대량이 부족하다. 원인은 모자가 신발보다 벗기 쉽다는 고정관념에서 일 것이다. 그러나 탈모가 신발 벗기보다 어려운 게 현실이요 실정이다. 웬만한 더위엔 모자 안 벗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너무 가벼워 무거운 것이다. 너무 쉬운 게 어려운 것이다. 본 고안은 쉬워서 어려워진 문제를 풀고자 한다. 머리는 차고 발은 따뜻해야 한다는 수승화강(水昇火降)의 건강 수칙이 자주 무시되는 현장이 모자 속이다.
이제 일단 쓰면 잘 벗게 되지 않는다는 착용관행과 건강수칙을 고려하여 모자에 숨구멍을 터 살리는 자연 친화적 접근책으로 열과 땀의 통로요 배출구인 환기구멍(36)을 일대 확장할 필요가 있다. 그럴 때 본 고안의 본체(30) 상부, 상투부(60)로의 개방은 적절한 대안일 수 있다.
[4] 종래의 귀(耳)기능 활용기술은 라디오 모자 외에는 방한용 귀가리개 모자정도다. 귀는 두뇌 정보 수신기관으로 눈과 대등한 존재다. 귀는 잘 들을 수 있어야 하고 때로는 안 들릴 수도 있어야 한다. 유익한 소리는 잘 듣도록 돕고, 소음은 차단하는 기능이 귀가리개에 포함되어야 한다.
종래의 모자들은 귀를 돕는 보청기나 귀마개를 귀밖에 설치하는 발상에 대해 인식도 대책도 강구하지 않았다. 본 고안은 목덮개부(80)를 귀 보조장치로 적극 활성화한다.
[5] 목 덮개(80)는 하절기 목 피부보호, 동절기 방한용으로 부착되어왔다. 그러나 목덮개모자 쓴 사람은 많아도 목덮개 내려쓴 이는 보기 힘든 것처럼 유명 무실해진 게 사실이다.
종래의 목덮개는 모두 한 면이 도면 제 2도 기저부(40)에 봉합돼 사용 시는 내리고 사용 후는 올려 모자 외측주변에 둘러 보관한다. 일부 모자는 사용 후 안쪽으로 접게 돼 안테 기능을 하기도 한다. 어느 경우든 모든 귀가리개, 목덮개는 본체(30) 기저부(40)와 결합 목덮개 한가지 용도로 별도로 부착되었다. 그 용도 외에는 쓸모가 없도록 만들어 졌고 사용 시 미적 감소요인 등 실용성을 상실하여왔다.
그러나 본 고안은 목덮개(80) 축을 중간부(70)로 바꾸는 구조조정과 압축겸임 기술개발, 인간공학적 디자인으로 목덮개(80)에 활로를 열고 부가가치를 최대한 높였다. 종래의 고유 기능 외에 귀(耳)의 기능증대를 위한 보조장치, 좋은 소리는 귀바퀴 대용으로 집음, 소음은 차단, 전면(前面) 사물 직시 기능의 그늘안경, 주의 집중 극대화를 보조하는 역할 등으로 적극 활용된다. 기저부(40) 부착식 종래 목덮개로도 길이를 연장, 본 발명 상투(60)식과 꽁지머리식으로 위로 모아 올려 뒤로 묶어 내려트림도 가능하다. 그 경우 많은 원단소요와 미관상의 단점이 있다.
[6] 이상 주제들과 관련있는 선 출원에 대해 약술한다
본 출원은 모자 전면(前面) 챙에 원천기술인 그늘안경(특허 174366호외 7건, 의장 17건, 국내외 총 26건 등록) 씨스템을 이중챙(10, 20)으로 구현, 눈, 코, 입이 분포된 얼굴 전반을 망라하였다. 눈에 그늘효과, 코에 향기요법, 입에 마이크 장치 음성칩, 자석, 안면부 보호 등 안비설신의(眼鼻舌身意)를 대상으로 다각적 기능활용방안을 강구하여왔다. 모자 뒷면(背面), 후미(後尾)에는 마스크 형식(20-1999-0000024 제4도∼9도)으로 적용되었다. 본 고안은 그간 머리기관에서 누락됐던 귀, 목, 모발과 모자에서 결여 됐던 본체(30) 부분을 상투부(60)로 융합(fusion) 씨스템 통합작업을 완결짓고자 한다.
그늘안경은 상하 전후 절첩 기술을 근간으로 좌우 절첩기술이 추가되었다. 선 출원(20-1999-0000024 제 11도)에서 하부챙(20)에 좌우 절첩기능이 적용되었고 금번 고안(제 3도)에서는 상부챙(10)에 동 기능을 적용하였다. 이로써 본 고안 상투부(60)에 필요한 기본기술인 상하 전후 좌우 전면다중 절첩식(全面多重切疊式) 그늘안경 씨스템이 전모를 갖추었다.
[7] 공(空)과 구멍(穴) : 모든 생명이 이 문으로 나오고 사라지는 문.
모든 생명을 이루는 요소들과 이루고 남은 요소들이 출입하는 공문(空門)의 예술. 창조와 파괴를 일삼고 주재하는 알 수 없는 장인(匠人)이 숨어사는 저 무한 허공계. 이 땅 음계(陰界).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과 태극사상(太極思想)의 요체인 공과 구멍. 그 소산인 그늘안경 체제가 일목요연(一目瞭然)의 안전(眼前)을 공전(空前)과 전무 후무(前無後無)의 공간(空間) 체계로 지키다 천 개 연꽃이 개화한다는 사하스라라차크라가 있는 머리정상으로 공과 구멍을 옮겨왔다. 숨골에서 숨구멍을 굽어보며 음문(陰門)은 위로 태허(太虛)에 열려있다. 문(門)이 문인줄 모르면서…. 사람의 한 생각을 빌려서…. 한 조각 천으로 된 구멍을 걸치고….
[1] 본 고안이 의도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늘안경 전면다중 절첩식(全面多重切疊式) 경통형(鏡筒型) 기술을 모자 본체(30, crown)에 적용하는 시도를 서론으로 모자내외의 이질적 주요과제들을 융합, 압축 겸임하는 기술개발내용을 본론으로 모발관리 디자인으로 마무리 귀결짓는 것을 결론으로 하는 전과정을 상투부(60)로 일원화하는 통합기술에 있다.
[2] 제 1도, 2도 중심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은 머리 상하 이동과 통풍문제 해결책으로 본체(30) 꼭지부(33-ab)를 제거하고 공기유통 창구인 개폐장치(50-op, o'p')로 대체하였다. 개폐부(50)는 개폐시 크기와 범위로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머리 상하 이동 공간을 터주며 닫으면 주름(65)지며 접혀져 상부 덮개 되는 겸용기능이 있다.
그렇다면 개폐부(50) 있는 상투부(60)를 본체(30-crown) 어디에 접합시킬 것인가. 만약 모자 기저부(40-c0d0)에 세우면 본체(30) 기능까지 도맡아 두건모(k4c4d3L3)와 다를 바 없으며 목덮개(80)을 포섭할 토대가 없어지며 특히 모자의 개성과 특성을 파괴하게 된다. 이 경우 모든 형태에 적용 가능한 보편적 기술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고안 상투부(60)는 기축 하단부(31) 위에 설정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원칙에 따른 하단부(31)와 접합부위를 중간부(70)라 할 때 꼭지부(33)도 기저부(40)도 아닌 중간부(70)가 본 고안 상투부의 기반이다. 종래 꼭지부처럼 폐쇄된 구조가 아님은 물론 기저부에 의존하는 두건모(k4'c4d3L3')도 아니라는 의미다. 이 점이 본 고안 상투부(60)의 기본 특징이다.
제 1도에서 중간부(70E-F, E,F)에서 개폐부(o'p', op)까지를 하부 상투부(67)라 한다. 상부 상투부(66)는 개폐부(63)에서 상투최상변(69)까지다. 상부 상투부(66) 범위가 목 덮개부(80) 여부에 따라 달라지듯 하부 상투부(67) 범위는 중간부(70)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썬캡 머리테와 접할 때는 최대한 커지고 제 4도처럼 정상 가까이 중간부(70)가 있을 시는 최소한 작아진다. 중간부(70)는 횡(橫)으로 절단되는 횡단 중간부(E-F)와 하단쪽선 EC, Fd의 EF점에서 병식 쪽선 EOK, FPL로 흡수되는 병식 중간부(E, F)가 있다. 종단 중간부(E, F)는 주로 곡선(EOK, FPL)로 변형 사용되며 본체(가, 나) 위에 세로로 걸쳐 확장된다. 본체가 세로쪽으로 이어져 형성됐을 때 가로로 절단않고 쪽선(38-Ca, db)를 따라 꼭지부(33-ab)로 진행하다가 환기구를 확보하며 차츰 넓어져 개폐부(50-OP)를 이루고 반전(反轉) 병(甁) 입구나 꽃잎 개구부(61-KOPL)을 이루는 바 병(甁)목형 상투부 (다-K, O, E, ab, F, P, L)이다.
병식 상투부(다)는 개구부(61-KOPL)와 개폐부(50-OP)가 크지 않아 상투주름(65)이 적고 횡단 이음선(E-F)이 없고 쪽선(38)이 곡선을 채택 원형미를 살려 미려하다. 쪽선(38-EOK, FPL)을 직선으로 하면 일반 상투부와 같다. 일반형도 제 8, 9도처럼 개구부(KO'P'L)를 작게 할 수 있다. 중간부(70)는 기저부(40)와 평행되거나 전고후저처럼 전후가 다른 경우가 있다. 중간부 접합정도는 봉침고정되거나 여러 수단(71-78)으로 착탈된다.
개폐부(50)와 중간부(70) 크기는 병(甁)목형(다)처럼 개폐부(50)가 중간부(70)보다 작은 경우, 제 4도처럼 비슷한 경우, 제 14도 목덮개부로 사용 시 개폐부가 중간부 보다 클 경우가 있다. 후자의 경우 개폐부(O'P')와 상투 최상변(L6K, LK2)이 기저부(40-Cd)보다 커야 뒤집기 용이하다.
이상으로 상투부(60)가 개페부(50)와 중간부(70)로 구성되고 개폐부는 환기와 덮개, 머리상하이동기능을 겸임하고 중간부(70)는 상투부(60)를 세우기 위해 기축 하단부(31)와 상투부(60)를 연결하는 접합부임을 설명했다.
중간부(70)는 본체(30)에 상투부(60)를 이식하는 수단으로 뿐만아니라 상투부 전체의 기능에 영향을 주며 두건모와 구별되는 결정적 특징임을 밝혔다. 병목형의 경우 기존 모자 본체(30)를 업고 그 위에 중간부(E, F), 개폐부(50)와 개구부(61)를 구축한 점도 본 고안의 특기할 점이다.
[3] 이제 본 고안에서 상부 상투부의 기술적 가치를 검증할 단계이다. 상부 상투부(66)는 개폐시 결속위치가 꼭지부(33)에 집결되도록 정해졌을 경우 개폐부(50)를 넘어선 부분들을 총칭한다.
상부 상투부는 병입구나 화관모처럼 적은 개구부(61-KOPL)에서 목덮개(L6K, O', P', LK2)나 꽁지머리식으로 큰 경우가 있다. 병(甁)식(다)은 결속시 병 입구(KOPL)만 개구부에 해당, 면적은 작다. 그러나 쪽선(38)을 따라 조금 더 키우면 꽃잎(花冠)이 되고 더 크게 확장해 나가면 모자 전체를 덮고 목덜미에 이른다. 이런 구조는 개폐부(50) 중심으로 이중 본체(30)를 형성 즉 덧씌운 것과 같다.
본 고안은 병(甁)목형(다)에서 개폐부(50-O,P)를 반환점으로 반전하강(反轉下降)하는 상부 상투부 확장법을 일반 상투부에도 기술로 채택 목덮개 문제를 해결하였다.
일반 상투부의 경우는 반전(反轉)의 전환선이 결속위치에 따라 개폐부(50-O'P')에서 중간부(±E±F)까지 폭넓은 장점이 있다.
최대한 개방상태로 뒤집는 경우는 중간부에서 목덮개부(80,L6K,O'P'LK2)가 되기 위해서는 중간부 위치가 어디든 개폐부(50-O'P')와 상투 최상변(69-L6K, LK2) 크기가 본체(30) 기저부(40-Cd)와 같거나 커야 한다. 상투부 길이(L6K, ±E와 LK2±F)는 제한이 없으나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개폐부(50-O'P')를 결속한 상태에서 반전(反轉) 하강(下降)하여 어깨나 목까지를 최대치로 하고 중간부(70-±E, ±F)에서 반전할 경우를 최소치로 한 길이가 된다. 이상과 관련 목덮개(80) 상투부는 뒤집기 용이한 주름(제13, 17도, 65)이 필수적이다. 제 4도처럼 중간부(70)가 위로 걸쳐 좁아질수록 상투부(60)엔 주름이 증가한다.
주름(65)의 위치와 크기, 범위는 상투부 일부나 전부에 가로나 세로로 다양하다. 주름(65)은 상투부(60) 전체와 일부에 열(熱)처리로 원단에 항구적 주름을 가공하는 방법과 원단과 소재에 따라 자유롭게 두는 경우 있다. 가공주름은 상투부 폭을 미리 절첩해 놓은 효과가 있으며 넓은 원단의 부피 감소화나 접는데 용이하며 뒤집기에 필요한 기술적 요소이다. 이는 전면다중절첩식이 상투부에서 개폐부(50) 외에 필요한 또 하나의 이유가 된다. 중간부(70)는 목덮개(80)와 관련, 꼭지부(33)와 기저부(4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적극적 의미가 있다. 이는 양쪽 다 가깝다는 의미이니 하부 상투부(67)를 늘리고 뒤집는 방법으로 꼭지부와 기저부 양끝을 지나 상부 상투부와 목덮개부가 된다. 그러나 상부 상투부(66) 뒤집기에는 챙(10)과 얼굴이 문제가 된다. 육각모에선 챙(10)이 장애가 되고 사파리 모자에선 얼굴을 가리는 폐단이 있다. 상투부(66)를 뒤집을때 전면을 챙(10)에 걸친 채 내려뜨릴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상투부 전면 중앙부(L6K, F6E)를 분리(分離) 이합부(離合部, 63)를 두어 해결하였다. 상투 최상변(69)을 하나 이상 종으로 분리(63) 재단시는 뒤집기 용이하며 기저부(40) 폭을 의식한 상투부 폭(69)에 여유를 주고 상투 주름(65)을 감소시킨다.
상부 상투부(66)에서 목덮개부(80)만 가로로 분리 재단 착탈되게 할 수 있고 목덮개부(80)만 종(從)으로 발처럼 세분(細分)할 수 있다. 상투부(60) 소재는 얇고 가벼우며(輕薄) 잘 접히면서도 구김자국이 안나는 합성소재가 바람직하나 크고 작은 주름(65)을 미리 잡을 경우는 주름 잘 잡히는 천연 소재도 선택된다. 신축성과 탄력성이 높은 소재일 경우 주름은 생략될 수 있다. 상투부(60)에서 주름(65)과 분리(63)는 뒤집기(反轉下降)와 길이를 늘리는 방법과 함께 4대 기술적 요소이다.
[4] 상투부(60) 구조는 병(甁), 화관(花冠)식 개구부(61)의 작은 상부 상투부(66)에서 귀, 목, 어깨밑 까지 미치는 큰 상부 상투부(66) 까지 크고 작은 돌출 상투부를 표출하므로 평상시 유지 보관하는 기술은 내용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본 고안은 이 문제를 개폐부(50) 결속시 '상투같다'는 의미에서 해답의 실마리를 찾았다. 모자 상투부(60)를 모발 관리식에 준해 처리하는 것이다. 긴 머리카락을 모아 묶어 머리 위에 얹는 장발처리기술을 원용(援用)해 쓰는 것이다. 모으는 방법은 또아리를 틀어서, 말아서, 갈라 나누어서, 꼬아서, 상투처럼 감아 올려서, 댕기처럼 땋아 내려서, 꽁지머리 식으로 뒤로 묶어 내려서 등 다양하다. 본 고안 상투모의 상투는 본 고안 핵심역량과 이 모든 헤어스타일을 총칭하는 대표 명이다. 상투부(60)가 몇 조각 절개에서 소재가 실, 끈처럼 무수하게 세분될수록 더 많은 모발관리방안이 가능하다. 또 그 것을 고정하는 고정부도 상투부나 본체에 부착된다. 모자 착용자는 복장과 기호에 따라 상투부를 수시로 변형시켜 다양한 모자 패션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부분 : 전체 개괄도
도 2는 본 고안의 비교 투시도
도 3은 좌우 주름 절첨식 그늘안경과 본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중간부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사용시의 링구조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꽁지머리식 상투모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병식(甁式) 상투모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반식 상투모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반식 사파리모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병식(甁式) 사파리모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꽁지머리식 상투모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 사용시의 그늘안경 상투모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 목덮개부 사용시의 상투모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 상투부의 착탈, 이합 구조 및 즉석 그늘안경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 사용 후 상투모 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 사용 후 내외 이중 상투부 사시도
도 17은 본 고안 목 덮개부 사용시의 사파리 상투모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 사용 후의 사파리 상투모 사시도
도 19는 본 고안 꽁지머리식 사파리모 사시도
도 20은 본 고안 꽁지머리식 사파리모 정면도
도 21은 본 고안 꽁지머리식 사파리모 배면도
도 22는 본 고안 꽁지머리식 사파리모 측면도
도면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1도는 모자 구성 요소를 쪽으로 나눈 부분과 전체를 비교설명하기 위한 개괄도이다. 모자 본체(30)는 두건식(K4', C4, d3, L3') 외에는 여러쪽으로 구성된다. 각쪽들은 제 1도, 제 2도 '가''나'부분 aCdB처럼 세로(從)로 연결 조합되는 것과 제 13, 14도처럼 가로(橫) 층(層)별 조합, 두 방식의 혼합 세 종류로 분류된다. 본 고안 상투모는 세종류 공통으로 적용 가능하다. 기축 하단부(가0)가 있는 모자라면 예컨대 썬캡에도 이 기술이 적용된다.
종래의 쪽(가+나)이 여섯으로 구성된 6쪽(六角) 모에서 ab는 본체(30) 꼭지부로 쌍침으로 연결되면 하나의 정점이 되고 Cd는 저변 aC, Bd는 높이이다. 상투부(나, 다, 라, 마)는 ab처럼 꼭지부를 폐쇄하지 않고 개폐부(OP, O'P') 구경만큼 개방 결속수단으로 묶고 풀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 상투부(60-나, 다, 라, 마)는 개폐부(50-OP, O'P')를 경계로 O', E, F, P'는 하부 상투부(67), L6K,O', P', LK2는 상부 상투부(66)다. 하부 상투부(67)는 환기, 덮개, 상하이동기능을 상부 상투부(66)는 귀, 목가리개, 모자 덮개와 패션적 기능을 담당한다. 상부상투부 중 KO'P'L과 KOPL은 상투 개구부(61)인 바 작은 상투부로 제 4도, 7∼10도에 해당한다. 병식과 화관모 등으로 사용된다. 목덮개부(80-마)가 포함되면 큰 상투부로 제5, 6, 11∼22도에 해당한다.
상투부(60)는 중간부가 횡이냐 종이냐에 따라 일반 상투부(나, 다, 라)와 병식 상투부(다)가 있다. 일반 상투부는 하변 중간부(-E, -F)에서 기축 하단부(가)의 상변 중간부(+E∼+F)와 제4도 단면처럼 겹쳐서 봉침 결합된다. 병식 상투부(다)는 일반 상투부에 비해 세로 쪽선(38)상에 있는 종단 중간부(EOK, FPL)라는 점 개폐부(OP)가 작다는 차이점과 측면'라'가 없는 게 특징이다. 그러나 최상변(69)의 폭과 길이는 크게 할 수 있다. 상투부(60)라 할 때는 상하, 일반 +병식과 큰 상투부를 총칭한다.
쪽 '나, 다, 라, 마' 6개 이은 것이 'K4E4F3L3'의 직사각형 재단된 원단이요 양측 단면 'K4E4'와 'L3F3'가 원통형으로 만난 곳이 제 2도 'L6K, F6E' 상투부 전면(前面) 중앙 이합부(63)가 된다. 상투부(60)에서 이합부(63-L6K, F6E)는 분리와 결합 가능함이 원칙이나 제 5도나 제 7∼10도처럼 분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투부(60) 분리는 전부, 또는 일부에 가로나 세로로, 하나이상 다수로 가능하다. 두건모 'K4', C4, d3, L3''는 상부 상투부(다, 라, 마)나 중간부(E, F), 이합부(63)가 없다. 병식은 세로쪽으로 연결된 모자에만 적용가능한 방식이고 일반식은 모든 형태의 모자에 횡단 중간부(70, E-F) 형식으로 상투부(60) 설정이 가능하다.
◎ 제 2도는 종래의 모자(六角모)와 본 고안 병(甁)목식 및 일반 상투모를 투시도상에서 비교한 도면이다.
두건모는 두건을 펼쳤을 때 직사각형 K4'C4d3L3'이며 천 양단면 K4'C4와 L3'd3를 결합한 두건 저변 C4d3에 챙(10)을 결합한 형식이다. 도면에서 망으로 표시한 '나'부분은 종래 육각모의 본체 상부 외측 덮개에 해당하나 일반 상투부 '나, 다, 라'와 병(甁)목 상투부에서 도시하였듯 내측 덮개(32)를 상투부(64)(66)로 외측 덮개는 하부 상투부(67)로 비중이 내측 상투부(64)에 있는 이중 상투부로 제작할 수 있다.
도면에서 종래 꼭지부는 폐쇄되었으나 병식과 일반식 상투부는 개폐부 폭(OP, O'P')만큼 결속끈(51, 52)을 당겨 묶으면 중앙 꼭지부로 모이면서 덮개가 되고 개구부(61) 포함 상부 상투부(66)만큼 돌출하게 된다. 그 중 작은 상투부인 상투 개구부(61) 결속상태가 제 7도∼10도 이다. 목덮개(80-마)부 있는 큰 상투부 결속상태는 제 6, 11, 15, 16, 18, 19도 이다.
도면에서 일반 상투부(K0E0F0L0)가 중간부(E0F0) 중심으로 뒤로 젖혀지기 위해선 상투 최상변 폭(69-K0L0)이 기저부 폭(40-C0D0)와 같거나 더 넓어야 한다. 일반 상투부에서 상투 최상변(69)은 중간부(E0F0)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고 중간부 위치는 기축 하단부 높이 E0C0, F0D0의 변화에 종속된다.
종래의 두건모와 본 상투모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두건모는 그 기저부(C4d3)가 모자 본체(30) 기저부(C0D0)와 일치되고 최상변(K4'L3') 결속시 꼭지부(ab)를 넘지 않는다. 상투모는 그 최저부(-E0-F0)가 기축하단부(32-가0) 위 중간부(+E0+F0)에 기반을 두어 결합하고 상투최상변(K0L0)이 꼭지부(ab)를 상부 상투부(K0L0P0L0)만큼 넘는다. 상부 상투부(K0O0P0L0)는 하부 상투부(O0-E0-F0P0)와 함께 목덮개(80)기능까지 하나 두건모는 중간부(E0F0)나 뒤집을 수 있는 상부상투부가 없어 목덮개부(80)가 될 수 없다. 상부상투부와 하부상투부는 공(共)히 개폐부(OP, O'P') 중간부(E0F0) 외부결속구(53)를 반환점으로 뒤로 젖혀 접혀지며(反轉切疊) 목덮개가 된다.
두건모는 하나의 두건으로 머리에 감았을 때만 모자 헝태를 대충 갖추나 본 상투모는 비 착용 시에도 어떤 모자건 외형을 손상 않는다. 즉 두건모는 자체 형태 외는 다른 모자가 될 수 없으나 본 상투부(K0-E0-F0L0)는 어떤 모자와도 조합이 가능하다. 본 고안 병(甁)식 모는 쪽선(38)을 따라 곡면을 형성하며 상투부를 형성하나 두건모는 이같은 기능이 불가능하다. 하나이상 다수로 세분(63-L6K,F6E) 할 수도 있다.
◎ 제 3도는 선 발명 그늘안경(174366)의 전후(前後) 주름식과 상하절첩식(上下切疊式)에 선출원(20-1999-0000024, 제 11도)의 하부챙 주름에 이은 본 고안의 상부 챙주름(11)과 본체(30) 전면(前面) 주름(39)으로 부채처럼 접을 수 있게 한 도면이다.
본 도면은 상부챙(10)을 좌우주름식(11)으로 하여 그늘안경 전면절첩식(全面切疊式)에 부족했던 구성요소를 보완한 것이다. 제 3도의 상부챙(10) 주름식(11)이 있으므로서 그늘안경의 전후상하 좌우의 전면다중 절첩식(全面多重切疊式) 씨스템이 성립되며 본 고안 상투부에 이 방식을 적용할 근거로 삼았다.
도면에서 챙(10, 20) 결속끈(12)을 당기면 주름(11, 39)을 따라 챙과 본체(30)가 조여져 묶어(13) 휴대 용이하며 주름(11)으로 크기조절이 되므로 큰 원통형 그늘안경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 방식은 그늘안경 개구부 확장과 축소에 유리한 기술이다.
챙심은 부직포 등 주름이 용이한 부자재가 좋으나 연질 PVC도 부채처럼 주름을 성형해 사용된다.
◎ 제 4도는 일반식 횡단중간부에 병식 상투부(66)를 결합한 부위를 확대도시하였다. 꼭지부 쪽으로 상향이동 축소시킨 중간부에 병(甁)식 복주머니를 일체화 안으로 접어 기축 하단 중간부에 연결 결합한 단면을 확대한 것이다.
본 도면에서는 일체인 복주머니를 안으로 넣어 반접, 접힌 부분으로 하부 중간부(-E0-F0)를 만들고 기축하단 중간부(+E0+F0)와 결합하였으나 보통은 접은 쪽은 절단되고 안감덮개(32)가 별도로 상하중간부와 함께 물려 봉침하게 된다.
이 때 복주머니 하반부는 망사로 해 밖으로 나오게 먼저 봉침한 후 기축 하단 중간부(+E0+F0)와 재봉침한다. 이같은 방식은 내측 덮개(32)가 작아 봉침에 애로가 있을시 작은 부위끼리 먼저 박고 본체 중간부(+E0+F0)를 나중에 박는게 편리하며 내측덮개(32)를 상부 상투부(66)와 복주머니 형태로 만들어 인체에 좋은 약제 등을 비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에서 병목형 상부상투부(66) 개폐는 결속끈(52)으로 조절된다. 이런 구조로도 병식 개구부를 확장하면 목덮개(80)나 꽁지머리(제 6도) 상투모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그 경우 많은 주름이 필요하다. 크고 작던 상부 상투부(66)만 착탈(71-78)되게 할 수 있다. 종래 환기구(36)는 이마 주위로 낮췄다.
◎ 제 5도는 환기용으로 사용중인 상투모와 링(90)과 결합된 내측 덮개(32)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풍용으로 개방하며 남은 상투부(60)를 말아 한쪽이 모자 내측 중간부에 물린 테이프 끈(76)으로 본체 외부 합단추(77)에 고정 보관한 상태도이다.
상투부 착탈 겸용인 본 고안 링(90)은 중간부 내측에 천공(92)으로 끈(91)을 넣어 묶고 풀 수 있고, 개폐부(60) 결속시 본체 하단부(31)가 힘을 받도록 지지대와 내측 상부 덮개(93, 97) 역할을 한다. 아래링(90)은 링만으로 된 것, 가운데는 망사(93) 씌워 링끈(94)에 묶은 것이며 위의 링은 중앙에 지퍼(95)를 댄 천(97)을 클립(96)으로 부착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내측 덮개(32)는 생략되거나 링 없이 망사나 천을 직접 중간부와 봉합하는 경우와 제 5도처럼 링(90)과 함께 착탈 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여름엔 망 댄 링을 겨울엔 천(97) 댄 링으로 교환할 수 있다. 천(97) 댄 링은 지퍼(95)로 공기소통의 여지를 두었다. 링 대용으로 하나의 pvc 원판에 망이나 개폐가능한 통풍구를 일체가 되게 성형하고 둘레에는 본체 중간부와 연결될 수 있는 구멍을 갖추게 한다. 그러면 끈이나 클립으로 고정하는 수고와 불편을 덜고 생산성도 높일 수 있다.
본 도면 링(90)으로 부족하면 모자 안테에 끼워지는 링을 신설, 두 링을 이어주는 여러 기둥을 일괄 성형한 구조물을 모자 내에 장착, 본체(30) 골조 역할을 하게 한다. 상투부 착탈 링(90)은 내측덮개(32)와 관련 중간부 안쪽에 위치하나 바깥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 때 클립(96)은 링(90) 내외에서 상투부와 물린다. 스카프나 수건 등도 착탈용 상투부로 대체 활용된다.
◎ 제 6도는 본 고안 상투모 사용후의 꽁지머리식 도면이다. 본 고안 목덮개(80)용 상투부 폭과 길이가 커지는 경우 결속(52) 후 남은 여분을 꽁지머리식으로 뒤로 내릴 때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본체(30) 뒷면 부착 상투고정부(34) 끈으로 고정단추(35)에 보관한다.
본 도면의 상부 상투부(66) 결속방법은 제 15도, 제18도의 접어 묶는 상투식과 함께 전형적인 두 가지 장발 묶음형식이나 상투부 구성, 소재, 분리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변화가 가능하다. 또 각각의 패턴에 장식과 덧씌우기로 완구나 캐릭터 상품으로 변모 고부가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예컨대 꽁지머리를 용 몸체로, 전면 그늘안경을 용 입과 머리로 탈바꿈, 이와 연계한 상품구성이 한 예다.
결속끈(51, 52, 53)은 제 6도처럼 테이프 끈으로 둘러 감는것, 제 7도∼10도처럼 내장하는 것, 별도의 외부 링이나 제15도처럼 외부 결속끈이나 외부링 등 다양하다. 특히 여성들이 머리 묶을 때 쓰는 도구, 고무줄 끈이나 클립등이 이 용도에 적격이다. 제 5도에 없는 지퍼(62)는 제 11도이하에서 설명할 목덮개(80) 사용 시 필수적인 상투부 분리장치다. 링 고리(91)와 천공(92)이 링(90)의 위치와 작용을 설명한다.
◎ 제 7도는 본 고안의 병(甁)식 상투모 사용후의 결속 상태도 이다. 제 1, 2도에서 설명 한 바대로 개구부(61)가 작고 곡선미와 주름이 적어 미려한게 특징이며 외형은 꼭지부만 차이 있을 뿐 기존 모자와 흡사하다. 이 방식에서 작은 개구부를 연장하면 꽁지머리식이 되며 확장하면 목덮개가 된다.
◎ 제 8도는 일반 상투식 상투모 사용후의 결속 상태도 이다. 상투부(60)를 중간부(70)에서 지퍼(71)로 착탈되게 하였다. 지퍼외에 단추(제 14도, 72) 끈묶음(제 15도, 78) 합단추(제 18도, 73) 링, 등 착탈수단이 다양하나 제 4도처럼 봉침 하는게 일반적이다. 제 1, 2도에서 설명한 바대로 본 일반 상투부(60)는 병(甁)식보다 주름이 많으나 모든 모자에 횡단 중간부(70)로 적용할 수 있고 목덮개(80) 용도에 폭 넓은 이점이 있다. 본 도면과 제 9도에서는 상부 상투부(66)를 짧게 하였다.
◎ 제 9도는 일반식 사파리 상투모 사시도이다. 본 도면은 육쪽모의 경우이나 그렇지 않은 구조에도 적용되며 모든 모자형식에 가능함을 보이고자 예시하였다.
◎ 제 10도는 병(甁)식 사파리 상투모 사시도이다. 세로로 쪽이 나있는 경우엔 어느 종류 모자건 병식 상투부가 가능함을 보이고자 예시하였다.
◎ 제 11도는 꽁지머리식 상투모 결속상태 사시도이다. 뒷면 고정부(34, 35)와 개폐부(50) 끈(52)을 풀고 이합부(63) 지퍼(62)를 내려 상투부(60)를 펼쳐 뒤집어 내려 목덮개로 사용한다. 개폐부(50) 끈(52)과 지퍼(62)는 풀고 뒷고정부(34, 35)는 고정한 체 상투부(60)를 벌려 부분 환기용으로 쓰거나 제 12도처럼 전부 개방한다. 물론 15도나 18도처럼 상투식이나 다른 형태로의 전환도 가능하다.
◎ 제 12도는 그늘안경 이중챙(10, 20)과 사용중인 상투부(60)와의 대칭적 배치와 씨스템 상의 완성도를 도시하였다. 전면은 상하 두챙(10, 20)이 구멍(17)과 고리(21)로 연결 그늘안경을 이루고 뒷면은 통풍용으로 개방하고 남은 상투부(60)를 감아 테이프 끈(76)으로 합단추(77)에 고정한 상태도 이다. 그늘안경과 상투부(60)는 앞에서는 상하가 옆에서는 전후가 대칭되어 무게 균형에서 오는 안정성과 시각적 조화에서 형식미를 보인다. 내용상은 앞의 그늘안경이 얼굴전면(前面)을 뒤 상투부(60)가 머리 위, 아래, 측면, 배면, 안팎을 입체적으로 총괄 망(網)작업의 완성도를 입증한다. 본체(30)는 중간부 내측에는 링(90)을 상하천공(92)된 고리(91)로 교체 가능토록 묶어 일시 고정하였다. 본 도면의 링(90)처럼 내부 덮개(32) 생략시 머리의 상하이동에 효과적이다. 그늘안경 씨스템에서 두 기능은 유기적인 관계에 있다. 그늘안경 개구부와 얼굴 위치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지퍼(62)는 상투부가 감기 좋고 뒤로 접기 용이하며 챙과 얼굴장애를 피할 수 있게 한다.
◎ 제 13도는 본 고안 목덮개(80) 사용시의 상투모 사시도 이다. 지퍼(62)로 이합부(63)를 분리한 후 상투부(60)를 뒤집어(反轉) 목까지 내린 상태를 도시하였다. 일반적인 목덮개 기능외에 귀(耳)에 접하는 해당위치엔 레시바 이어폰(81) 등 수신장치를 내장하거나 귀바퀴 보조용 소리 반사판이나 소음 차단 방음장치를 부착할 수 있다. 태양전지(SOLLAR CELL) 집광판 등 정보도구를 보조하는 장치도 부설된다. 목덮개부(80)는 전면으로의 주의집중을 간접적으로 돕는 작용도 한다. 내측덮개(32)는 망사를 대었고 상투부(67) 저변에 작은 주름(65)으로 뒤집기 용이하다. 상투부(60) 전부 또는 일부에 가로나 세로로 크고 작은 주름이 제작시 조성되거나 사용시 형성된 주름(65)은 상투부(60) 절첩(切疊) 기능에 불가결한 기술적 구성 요소이다.
상부 챙(10)에 구멍(17) 끈(15) 장치는 손수건이나 스카프 등 휴대용천을 꿰어 얼굴을 감싸도록 턱에 묶는 즉석 그늘안경 조달장치다. 전면(前面) 중앙 상투 이합부(63)는 지퍼(62)로 작동 목덮개(80) 사용시의 작용기전을 설명하는 바 챙(10) 좌우로 벌려지며 얼굴 앞쪽에 장애주지 않는 원리다.
종래 목덮개는 기저부(40)에 연원한 구조상 목에 밀착, 착용감이 좋지 않았으나 본 고안 목덮개(80)는 중간부에 발원하므로 피부와 간격이 있어 거추장스럽지 않고 자연스럽게 기능한다. 같은 이유로 모자 덮개 기능 있음도 알 수 있다.
◎ 제 14도는 단추(68) 댄 이합부(63)와 착탈수단(72)을 가진 상투부(60) 사용중의 상투모 사시도이다. 상투부(60)는 기축하단부(31)와 단추(72)로 착탈되게 하였다. 상투부 전면 이합부(63)도 제 13도의 지퍼(62)대신 단추(51)로 변경, 이합수단이 다양함을 보인다. 제 13도와 14도는 육각모처럼 세로가 아닌 가로로 층이 된 모자에 적용예로 도시한 점에 특징이 있다.
◎ 제 15도는 상부 상투부(66)를 접어 끈(53)으로 결속한 상투모 사시도 이다. 제 18도와 함께 전형적인 상투 묶음 형식으로 긴 상부 상투부(66)를 통째로 접어 두 뭉치를 하나되게 묶는데 특징이 있다. 제 6, 16도 꽁지머리식이 여성용이라면 본 상투식은 남성용이라 할 수 있으나 구분은 착용자의 임의에 따른다. 중간부(70)를 중심으로 상하로 천공, 중간끈(78)으로 엮어 묶는 상투부 착탈수단이다. 외부결속끈(53)은 다른 내(51) 외(52)장 끈처럼 상투부(60)나 기축 하단부(31)에 장착된 게 아니고 별개이므로 개폐부(50) 개방 범위만큼 좌우상하로 이동 결속이 가능하다. 또한 제 18도 테이프 끈 형태로 합단추(55)나 버클식 고정부로 단계별 조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무줄끈(53)은 일정 부분 개방 유지가 어려우므로 결속위주로 사용된다.
◎ 제 16도는 본 고안의 내측 덮개(32)를 내측상투부(64)로, 외측 일반 상투부(60)를 외측 덮개 겸 하부 상투부(67)로 바꾼 이중 상투 모사시도 이다. 외측 상투부는 환기, 덮개 및 내측상투부(64) 결속(51) 기능에 국한되고 내측 상투부(64)는 목덮개(80) 기능용이다.
사용시엔 지퍼(62)를 내리고 모자내측으로 밀어넣어 상투부(64)를 내려 보낸후 벌려서 모자 안테 겸 목덮개용으로 쓴다. 보관시엔 다시 위로 뽑아 지퍼(62)를 닫고 개폐부(50) 끈(51)으로 결속한다. 이때 결속끈(52)을 상부 상투부(66) 자체나 모자 본체에 구비 한번 더 고정한다. 외측으로 펼쳐 사용해도 된다. 물론 제 15도처럼 접어 상투로 묶을 수도 있다. 내외 상부 개방식이므로 머리의 상하이동에 지장 없는 구조다.
◎ 제 17도는 일반상투부(60)를 목덮개(80)용으로 사용중인 사파리 상투모 사시도이다. 본 고안 상투부(60)가 모든 모자 양식에 적용된다는 예증으로 도시하였다.
본 고안은 모자(CR0WN) 덮개 기능까지 하며 라운드 챙(BRIM)을 지나 목덜미에 도달한다. 모자 덮개는 이중의 보온, 방열, 방한, 단열기능으로 모자가 쉽게 달아오르거나 차지는 것을 막는다. 종래의 목덮개는 기저부(40)에 발판을 두어 목과 공간이 협소목에 밀착 공기소통이 여의치 않고 착용감이 좋지 않았다. 그러나 본 고안 목가리개(80)는 중간부에 적을 두고 흘러내리므로 자연스럽고 여유가 있다. 혹자는 라운드 챙(BRIM)은 목가리개가 필요없지 않나 하겠으나 밀짚모자처럼 큰 챙이 아닌 사파리의 경우 해가 정오에만 머물러 있지 않은 관계상 그 기능은 취약, 목덮개가 필요하다. 등산시 목에 수건을 두르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제 16도처럼 사파리와 여타의 모자(CROWN)에도 이중 상투부가 가능하다. 목덮개 구멍(82)은 끈이 꿰어저 바람이 불 때 턱밑에서 묶는 용도다.
◎ 제 18도는 제 17도 목덮개(80) 사용후 테이프 끈(52)으로 묶어 보관한 사파리 상투모를 도시하였다. 제 15도에 비해 높게 상투부를 접어 묶어 두 개의 테이프 끈(52)이 소요되었다. 물론 꽁지머리식(제 6, 16도)이나 다른 형태 묶음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따라서 제6도 본체 부착 테이프 끈(34, 35)도 부착된다.
본 고안은 종래 환기구(36)가 윗쪽에 있던 것을 모발과 모자가 밀착 땀과 열이 많이 발생하는 안테 주변 테두리로 낮춰 조정하였다. 특히 이마 접촉부위는 상투부 없이 종래의 환기구만 의존할 경우 환기구(36) 재배치 일순위다.
상투부를 합단추(73)로 착탈되게 한 점, 지퍼(62)로 이합 가능토록 한점, 내측덮개(32)로 안감을 망처리 한점도 앞서 설명한 바에 따른다.
◎ 제 19도는 일반 상투부(60)로 된 꽁지머리식 사파리 모자 상투모다. 사용후 보관형태로 15도나 18도 상투식과 기타 형태로 변환이 가능하다. 설명은 11도에 준한다. 병식 사파리모에도 본 도면과 같이 쪽선(38)을 따라 이합부(63)와 지퍼(62) 등 이합장치 부착이 가능하다.
◎ 제 20도는 19도의 정면도이며
◎ 제 21도는 그 배면도이며
◎ 제 22도는 그 측면도이다. 이상 앞서 설명에 준한다.
[1] 본 고안 상투모는 모자 내적인 환기, 머리의 상하이동, 덮개기능과 모자외적인 귀가리개, 목덮개, 모자 가리개 기능을 겸임 일원화하는 기술로 개발되었다.
상투부(60)는 꼭지부를 개방 통기(通氣)와 머리 상하이동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 개폐부(50)로 그 양과 정도를 조절 사용 후 묶어 올리면 덮개가 되어 상투로 우뚝 서고 뒤집어 내리면 귀(耳)가리개, 목, 모자덮개까지 되는 다기능 다중겸용 기술이다. 따라서 착용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필요한 기능을 선택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독창성 효과
본 고안은 수건건(巾)과 무릅쓸모(冒)의 합인 모자(帽子) 모(帽)의 어의처럼 그늘안경 씨스템을 모자에 네트워크화 해온 독창적, 모험인 망(網) 작업의 과업완료를 의미한다. 이는 평면적 쓰는 모자 아닌 입체적 입는 모자, 머리(THE HEAD) 모자 아닌 두뇌(THE BRAIN) 모자, 운동용 모자 아닌 전천후 생활모자, 스타위주 아닌 대중모자, 구시대 모자 아닌 정보시대모자, 모발상충모자 아닌 모발상생모자 등 복합적 의미를 담고 있다. 종래 구태의연하고 정체된 모자 패턴을 보편적 독창성의 신패턴 모자로 혁신하였다.
[3] 보편성 효과
본 고안 상투모는 선발명 그늘안경과 더불어 모든 모자에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독창적 보편성을 갖고 있다. 챙의 유무에 상관없고 썬캡처럼 기축 하단부만 있는 경우는 어느 모자나 가능하다. 고인돌처럼 버텨온 꼭지단추를 제거 공(空)의 문을 열어 머리와 모발이 숨쉴 숨통을 터주고 모든 모자에 접목, 보급 확산시킬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이며 글로벌 스탠다드적 기술확보 효과가 있다.
[4] 건강효과
자외선 등 공해로부터 생명을 보호하고 가깝고도 먼 사이였던 모자와 모발사이를 조화시키고 '머리는 차게'의 건강수칙에 맞는 쾌적한 모자 환경 조성으로 건강 유지 효과가 있다.
[5] 문화 상품 효과
본 고안 상투모는 우리네 효문화(孝文化)의 좋은 전통이자 상징이였던 그러나 잃어버렸던 상투를 모자에 재현한 효과가 있다. 목덮개와 화관(花冠)모와 병(甁)식은 그 자체 보살상 화관(花冠)이나 도기(陶器)문화의 조형미를 부분적이나마 모자에 살린 예술성이 있다. 또 그늘안경을 용머리로 하고 꽁지머리식 상투모에 용의 몸통형상을 덧씌우거나 안감에 거북 문양을 넣어 뒤집으면 거북몸체가 되게 응용하는 등, 캐릭터나 완구적 가공으로 문화상품 진작 효과가 있다.
[6] 모자 덮개 효과
본 고안은 전면(前面) 그늘안경이 이중챙(TWO VISORS)구조로 되었듯 이중 본체(TW0 CROWNS)의 의미가 있다. 겹챙 구조처럼 본체가 겹치는 바 모자 덮개 효과가 있다. 모자가 직사광에 직접 노출 쉽게 달아오르거나 식는 원인을 불식하는 단열효과와 중동의 차도르식 패션효과가 있다.
[7] 그늘안경과 공생(共生) 효과
본 고안 상투모는 전면(前面) 겹챙구조의 그늘안경 기능에 머리의 상하이동으로 보조하는 기능측면과 전면에서 볼 때 상하로, 측면에서 볼 때 전후로 대칭, 균형감을 주는 대칭효과와 무게중심축의 고른 배분으로 안정성효과가 있다. 이는 그늘안경과 상투모가 동일 씨스템의 소산으로 상호 필수불가결의 유기적 공생공존 관계로서 내용과 형식에서 완성됐음을 시사한다.

Claims (2)

  1. 공지의 모자 본체(30)에 있어서,
    본체(30-가, 나) 중간부(70-E, F) 위에 병식(甁式) 상투부(다)와 목덮개부(80-마)를, 링(90)으로 지지된 기축 하단(31-가) 중간부(E-F) 위에 일반 상투부(나, 다, 라)와 목덮개부(80-마)를 구비한 내, 외측 상투부(64, 60)에 있어서;
    개폐부(50) 결속시 덮개와 상투가 되고 해제시 통풍구, 상하이동, 반면(反面) 종, 횡단(從橫斷) 중간부(70)와 개폐부(50) 중심으로 반전하강(反轉下降)하면 모자덮개와 귀, 목, 덮개부(80)가 되는, 주름(65)과 이합부((63) 구비 상하 겸용 상투부(60)를 특징으로 한 내외측 상투 구비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중간부(70) 중심으로 상투부(60)와 기축하단부(31)에 상투부 착탈수단(71-78, 90-92, 96)과 일시 고정수단(34, 35, 76, 77) 및 상투부(60)와 내측덮개(32) 교체용 링(90), 원판, 그 부착수단(91, 92, 94, 9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내외측 상투 구비 모자.
KR2020000008969U 2000-03-27 2000-03-29 상투 구비 모자 KR200194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969U KR200194365Y1 (ko) 2000-03-27 2000-03-29 상투 구비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633A KR100354651B1 (ko) 2000-03-27 2000-03-27 상투모자
KR2020000008969U KR200194365Y1 (ko) 2000-03-27 2000-03-29 상투 구비 모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633A Division KR100354651B1 (ko) 2000-03-27 2000-03-27 상투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365Y1 true KR200194365Y1 (ko) 2000-09-01

Family

ID=2663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969U KR200194365Y1 (ko) 2000-03-27 2000-03-29 상투 구비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3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364B1 (ko) * 2001-11-23 2005-05-03 김동수 상투 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364B1 (ko) * 2001-11-23 2005-05-03 김동수 상투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2936A (ko) 상투모자
CN205912932U (zh) 紧贴调节式多功能头饰
KR100327479B1 (ko)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KR200427052Y1 (ko) 머플러겸용 마스크
US20070074326A1 (en) Headgear With Cooling Device
US20110247126A1 (en) novel and convenient headwear - nudu
US20060168708A1 (en) Shade cap
US4641380A (en) Article of headwear convertible between hat and neckwarmer and method
US11857016B2 (en) Hair and edge maintenance cap
US3636962A (en) Woman{3 s hat with depending hair tresses
JP3110940U (ja) 帽子
KR200194365Y1 (ko) 상투 구비 모자
US8555417B2 (en) Sleeping cap
KR200490048Y1 (ko)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US20080295222A1 (en) Sun Hat with rigid bill, continuous stitching pattern, tri-sectioned fit feature, and semi-rigid, continuous side protection
US5493732A (en) Foldable, billed kerchief
US2880424A (en) Turban
JP2005068628A (ja) 頭部生え際形成体及び頭部生え際形成体製造方法
KR200449863Y1 (ko)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KR102315084B1 (ko) 모자 전면부에 밴드를 걸쳐 고정하여 얼굴과 목귀를 동시에 보호하는 자외선 차단 마스크
KR101489207B1 (ko) 두상의 골격형태를 바꾸도록 기능하는 가발 어셈블리 및 그 이용방법
KR200418518Y1 (ko) 차양모
KR100680756B1 (ko) 차양모
JP3135311U (ja) 頭部生え際形成体
JP3152364U (ja) 身だしなみ帽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