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771A - 상투모자 - Google Patents

상투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771A
KR20030042771A KR1020010073527A KR20010073527A KR20030042771A KR 20030042771 A KR20030042771 A KR 20030042771A KR 1020010073527 A KR1020010073527 A KR 1020010073527A KR 20010073527 A KR20010073527 A KR 20010073527A KR 20030042771 A KR20030042771 A KR 20030042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cap
type
stra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6364B1 (ko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01-007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3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자기형, 머리띠(밴드)형, 뿔테형 상투 모자로 상투부 적용 한계를 구체적 사례로 제시하고,
전면(前面) 이합부와 내측 덮개 변형의 다양성을 수용하여 유형별로 분류체계화 하고
프리사이즈 (Free Size) 고정끈을 장착하는 등 상투모자 입지(立地)를 다지고 활용도를 극대화하며 이용의 폭을 최대한 넓이고자 발명되었다.

Description

상투모자 {TOP KNOT HAT}
본 발명은 선특허출원 (No. 10-2000-15633) 「상투모자」내용중 본체(Crown)의 적용법위, 전면(前面)이합부와 내측덮개의 변형, 상투부 결속 방법 등 중요한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유형별로 정리 체계화하고 확충 보완하여 상투모자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이용의 폭을 확대함에 목적이 있다.
Ⅰ. 선출원에서는 상투부(20)를 모자 안팎으로 펼칠 때 얼굴과 챙에 지장없이 펼치기 쉽도록 이합부(60)를 마련했다. 펼치면 안면 주변에서 분리 되고 상투식으로 모으면 합쳐지는 전면(前面) 이합부(離合部)는 모자와 상투부 용도에 따라 모양이 다양한게 바람직하다.
선 출원은 이점을 감안 ∧형외에 "전면은 낮게 후면은 높게"나 "겨울 털모자에 얼굴구멍 설치" 등 개괄적인 언급을 하였으나 상세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선 출원의 ∧형 이합부에 변화 요인을 반영,,형등 4가지를 기본형으로 하고 제5도의 보자기형 이합부를 추가해 확충, 통일적으로 파악하였다.
Ⅱ. 상투모자에서 상투부는 상투묶을시(30) 상부 덮개가 되어 그 내측 공간을 비우거나(空) 망(網41)으로 처리 내외 겸용과 환기 목적에 전용(轉用)할 수 있다. 이 점은 선 출원 핵심 사항중 하나였다.
그러나 선 출원 내측 덮개 구성은 세부적으로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 모자 본체를 내측 덮개(40)로 하는 단순한 형식에서 망(41)과 구멍을 부분적으로 배합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10가지 구성 방법으로 정리했다. 본 발명의 이같은 내측덮개 다양성은 이합부 형식과 다양한 조합이 가능 상투모자 효용성을 높이게 된다.
Ⅲ. 스카프나 보자기는 머리나 모자위에 씌어지는 가장 흔한 두건 형식이다. 그러나 모자와 별도로 씌어지는바 본 발명에서는 보자기를 재단하지 않고 자제 원형을 유지한채 최소한의 가공으로 상투부(20)에 연결, 상투 모자로 탈바꿈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 씨스템이 모든 두건 형태와 쉽게 연결될 수 있는 두건 친화적이고 폭넓은 기술임을 입증하는 의미가 있다.
Ⅳ. 상투모자의 상투부(20)는 본체(10)에 연결되는바, 본체를 머리에 쓰는 것들의 총화(Headgear)과 정의할 때 머리띠나 뿔테링에도 가능하다.
이런 입장에서 선 출원은 썬캡(VISOR) 밴드에도 적용됨을 기술하였고 본 발명은 뿔테링과 머리띠 밴드에 상투부를 부착하여 상투부가 머리에 쓰는 것 일반에 적용 가능함을 밝혔다.
V. 상투부(20)가 길어지면 말총머리식이 되고 유지 고정하는 끈(32)이 본체(10) 뒤에 필요하다.
그러나 본체가 거의 없거나 있어도 후리싸이즈 조절끈만 있는 경우 모자에 두발을 고정할 필요성등 후리싸이즈 조절끈에도 고정끈 장착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 점에 대처하였다.
제 1도는 본발명의 상투모자 이합부 유형 비교 사시도
제 2도는 제1도의 사용전후 상태도
제 3도는 제2도의 사용후 사시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상투모자 내측덮개 유형별 구성도
제 5도는 본 발명 보자기(the Scarf)형 상투모자의 연결전 상태도
제 6도는 제 5도의 실시 상태도
제 7도는 제6도 꼭지부의 부분 구성도
께 8도는 본 발명의 머리띠형 상투모자 평면도
제 9도는 본 발명의 뿔테형 상투모자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조절끈 부착 고정끈 장치
제11도는 본 발명의 일체형 A 이합부 상투모자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일체형 C 이합부 상투모자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 착용시의 일체형 상투모자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 사용할 때의 일체형 상투모자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꼭지구멍 12: 본체연결부
20: 상투부 21: 보자기형 상투부 22: 이합부 끈 23: 목덮개 끈
24: 마감테프 25: 머리띠(밴드) 26: 뿔테 링 27: 끈 구멍
30: 결속부 31: 상투끈 32: 고정끈 33: 후리싸이즈 조절끈
34: 이동고리 35: 후리싸이즈 고정끈
40: 내측덮개 41: 망 42: 개구부
50: 챙 60: 이합부 60A: ∧형 이합부 60B:형 이합부
60C:형 이합부 60D:형 이합부 61: 마스크부 62 : 개폐부
70: 연결부 71: 보자기형 이합부 72: 보자기형 연결부
73: 꼭지용 구멍 74: 보자기 연결끈 75: 꼭지 76: 꼭지보조판
77: 나사형 받침 78: 링 케이스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1도는 상투부(20)를 펼쳤을 때 챙(50) 및 안면부를 확보하기 위해 벌어진 이합부(60)들의 겹친 형태를 도시하였다.
상투모자에서 상투부(20)는 모자 본체(10)의 안과 밖, 중간 어디에도 연결 가능하다.
선 출원에서는 환기, 목덮개, 내외 겸용 등의 목적을 압축하는 기술개발 관계상 상투부(20) 기능을 극대화 하기 위해 본체(10) 상부 연결부위를 재단 그 부위에서 상투부와 내측덮개(40)를 본체와 함께 연결하는 중간형 위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제 1도는 이합부(60) 설명상 모자 본체 외측에 연결한 상투부 도면이다.
연결부(70) 전면 중앙에서 만난 두 개의 이합부(60)가 갈라지는 ∧형(60A)에서 이합부 라인이 처음부터 벌어진채 연결(70)된형(60B)과 60A에서 이마 부위를 채워 가운데가 낮아진형(60C)과 60C에 마스크부분(61)을 막아 안면 노출을 최소화한 복면형(60D) 4가지가 도시되었다. 60A와 60B는 좌우로 상투부 연결 간격에 차이가 있고 60C와 60D는 안면 부위를 상하에서 좁히는 차이가 있다.
각각의 이합부(60)는 각기 차이나는 부분만큼 가감이 가능하며 착탈식으로 상호 전환이 가능하다.
상투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60B는 제 3도에서 보듯 상부 덮개 기능이 약화돼 내측 덮개(40) 구성에서 선택의 폭이 좁다.
그러나 기존 모자에 목덮개 용도로 부착한다면 상투모의 패션적 장점은 구비한채 생산공정 단순화로 저렴한 가격에 보급될 수 있다. 60C와 60D는 챙없는 모자나 털모자처럼 본체(10)와 상투부(20)가 하나로 연결된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 제 2도는 제1도 상투부 각각의 사용 전후 상태도이다. A는 ∧자형 이합부를, B는형, C는형, D는형 복면식 상투모자이다.
본 발명의 복면형(60D) 마스크부(61)는 중간에 개폐부(62)로 열고 닫게 돼 있어 펼치고 젖힐 때 편리하다. 개폐부(62)는 생략될 수 있다.
상투부(20) 패턴이 연결부에서 일어선 형태를 취한 것은 이합부(60)를 활용 상투부 면적을 목덮개에 필요한 최소한 크기로 재단했기 때문이며 연결의 위치,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패턴을 띨 수 있다. 제 5도 보자기형 상투부(21)는 상투부(26)중 가장 넓은 패턴이다.
⊙ 제 3도는 제 1도와 제 2도의 상투모자를 상투식과 말총머리식으로 묶어(30. 31. 32) 모자에 착용한 도면이다.
각각의 형식은 제 2도에 대응하며 이합부 차이에도 불구하고 접힌 상태에서는 외관상 큰 차이없이 상투모자의 큰 형식에 수렴되어 있다.
⊙ 제 4도는 내측 덮개(40)의 유형별 구성도이다.
상투부(20)를 기존 모자 본체(10)에 연결한 A형은 본체 상부가 바로 내측덮개(40)에 해당한다. 이 경우 상투부는 목덮개 기능에 국한된다. B형은 상투부를 연결할 때 내부를 전부 재단해 빈공간으로 남기고 연결부위를 마감테프(24)로 처리한 경우다.
이경우는 환기량이 최대한 확보되고 상투부를 안으로 넣어 펼칠 수 있는 내외겸용이 가능하며 목덮개 기능과 더불어 상투부 효용이 최대치가 되는 장점이 있어 선 출원은 (특허출원 No. 10-2000-15633) 망(44)과 이것을 중심으로 발명을 설명하였다. H는 전부 망(41)인 경우고, C, F, I 는 일부가 빈공간인 경우로 환기와 내외 겸용이 가능하고 D. E 는 개구부(42)로 벌려서 환기와 내외 겸용이 가능하다. 그밖에 많은 형식이 가능하다.
⊙ 제 5도는 본 발명의 보자기형 연결부(72)와 모자 본체(10) 연결부(12)의 연결과정 도면이고, 제 6도는 실시도, 제 7도는 꼭지연결장치(75. 76. 77) 구성도이다.
도면에서는 본체에 연결부(12)로 구멍이 설치되고 보자기(21)에 난 연결(72)구멍과 연결끈(74)으로 꿰어 연결하는 것과 꼭지구멍(11)과 꼭지용 구멍(73)을 맞춰 나사형 받침(77)을 밑에 대고 꼭지 보조판(76)을 얹혀 꼭지(75)에 연결하는 두가지가 있다. 두 방법은 선택적이어서 어느 한가지만으로도 되며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합부용 연결끈(22)과 목덮개용 연결끈(23)을 당겨 보자기형 이합부(71)를 형성하는 신축성에 특징이 있고 이합부 끈(22)도 목덮개 끈(23)처럼 구멍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체 연결부(12)는 기존의 환기공을 활용하고 환기공이 없으면 위치와 간격을 표준화하여 구멍이나 합단추를 달아 모든 상투부가 교체 가능한 연결 발판을 마련 공유한다.
⊙ 제 8도는 본 발명 머리띠(밴드)(25)에 상투부(20)를 결합한 머리띠형 상투모자 평면도이다.
머리띠(25)를 묶고 상투끈(31)을 맨 다음 뒤로 흘러내린 부분을 머리띠(25) 묶고 남은 여분의 끈으로 재차 고정한다. 펼치는 방법은 상투끈(31)을 묶은 상태에서 펼치거나 푼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 제 9도는 본 발명의 뿔테링(26) 상투모자 사시도이다.
상투부(20) 하단을 접어서 된 링 케이스(78)에 뿔테링(26)을 삽입 머리에 착용하고 사용방법은 제 8도에 준한다. 고정끈(32)은 상투끈(31)과 별도로 추가해 부착한다.
⊙ 제10도는 본 발명의 프리싸이즈 (Free Size) 조절끈(33)에 부착한 프리싸이즈 고정끈(35) 장치다.
본 발명의 고정끈(35)은 조절끈(33)에 직접 봉침 부착되거나 이동고리(34)에 간접 부착 착탈식이 된다. 고정식은 조절끈(33) 작용을 방해할 가능성과 중간을 유지하기 어려우나 이동식은 이점 편리하다.
고정끈(35)은 두발이나 상투부를 좌우에서 묶기 좋도록 배치되었다. 이동고리(34)는 천이나 가죽 등이 소재로 쓰이고 끈(45)도 리봉식이나 합단추있는 고리식으로 제작된다. 기존의 조절끈(33)을 두겹으로 해 가운데를 벌려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본 발명은 본체(10)에 상투고정끈(32)을 부착하기 어려운 경우는 물론 기존의 프리싸이즈 모자에서 두발을 모자에 고정 모자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막는 기능과 패선적 기능이 있고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등 실용성이 많다.
⊙ 제 11도는 본 발명 일체형 상투모자의 A이합부, 도 12는 C형이합부, 도 13은 상투부(31)과 말총머리식(32)으로 묶어 착용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펼처 목덮개로 사용할 때의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투끈(31)으로 모자 꼭지부위를 묶으면 하단부는 모자 본체(10)가 되고 돌출된 상단부는 상투부(20)가 되는 모자 본체(10)와 상투부(20)가 하나로 연결 구성된 상투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0)와 상투부(20)가 하나로 연결 구성된 형식에 특징이 있고 챙(50)의 유무는 문제되지 않는다. 상투부(20) 길이의 길고 짧음도 선출원과 본 발명 모두 상대적이다.
즉, 상투부는 하나라는 의미이며 긴상투와 작은상투 둘이 있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도 선출원 처럼 그러하다. 왜냐하면 작은 상투없는 긴상투는 아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이합부(60)도 제11도, 12도 외에 복면형등 여러 형태가 가능하며 겨울 털모자 등 신축적인 원단에 많이 쓰여진다. 그 밖의 사용례는 상투모자 일반에 준한다.
본 발명은 보자기형, 머리띠형, 뿔테형 상투부를 통해 상투부 적용 한계를 구체적 사례로 제시하고 전면(前面) 이합부와 내측 덮개 변형의 다양성을 수용하여 유형별로 분류 체계화하고 프리사이즈 고정끈을 장착하는 등 상투모자 입지(立地)를 다지고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이용의 폭을 최대한 넓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모자 본체(10)에 연결(70)하여 상투식과 말총머리식으로 착용하다가 펼칠 때 환기용과 얼굴, 목덮개용 기능있는 상투모자에 있어서, 안면 부위가 노출되도록 다양하게 형성한 이합부(60)를 상투부(20)에 구비한 상투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투부(20)내측에 환기, 내외겸용, 기존모자 활용 등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구성한 내측덮개(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상투모자
  3. 제 1항과 2항에 있어서,
    복면형(60D) 상투모자 마스크(61)에 개폐부(62)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상투모자
  4. 모자 본체910)에 보자기 (the Scarf)형 상투부(21)를 착탈 수단으로 연결(74)하여 상투식과 말총머리식으로 착용하다가 끈(22. 23)을 당겨 모으면 얼굴, 목가리개가 되는 상투모자
  5. 제 4항에 있어서,
    본체와 보자기형 상투부(21)를 연결함에 볼트형 꼭지부(75,76,77)를 착탈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상투모자
  6. 머리띠(25)에 상투부(20)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상투모자
  7. 뿔테링(26)에 상투부(20)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 상투모자
  8. 모자 본체 뒤 후리사이즈(Free Size) 조절 끈(33)에 부착한 고정끈(35)과 이동고리 장치(35)
  9. 상투끈(31)으로 꼭지부위를 묶으면 하단부는 모자 본체(10) 되고 돌출된 상단부는 상투부(20)가 되는 모자 본체(10)와 상투부(20)가 하나로 연결된 상투모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투부를 펼쳤을 때 안면을 가리지 않도록 상투부(20)에 다양한 이합부(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상투모자
KR10-2001-0073527A 2001-11-23 2001-11-23 상투 모자 KR100486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27A KR100486364B1 (ko) 2001-11-23 2001-11-23 상투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27A KR100486364B1 (ko) 2001-11-23 2001-11-23 상투 모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568A Division KR100455447B1 (ko) 2004-04-06 2004-04-06 상투 모자
KR10-2004-0023569A Division KR100455446B1 (ko) 2004-04-06 2004-04-06 보자기를 이용한 상투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771A true KR20030042771A (ko) 2003-06-02
KR100486364B1 KR100486364B1 (ko) 2005-05-03

Family

ID=2957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527A KR100486364B1 (ko) 2001-11-23 2001-11-23 상투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3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0058A1 (en) * 2003-06-30 2005-01-06 Keon Seok Oh Hat using as a mask
KR100756548B1 (ko) * 2006-06-08 2007-09-10 이도훈 모자용 햇빛가리개
KR101455257B1 (ko) * 2014-03-27 2014-11-04 이진국 모자 결합형 수건
CN111802716A (zh) * 2020-06-23 2020-10-23 戚睿妍 一种功能雨衣、雨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63Y1 (ko) * 2008-02-18 2010-08-17 임창선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1U (ja) * 1982-06-24 1984-01-05 中央帽子株式会社 野外用帽子
KR910008463Y1 (ko) * 1988-07-09 1991-10-18 박희홍 장식장용 조립식 개폐문
US5109548A (en) * 1991-01-25 1992-05-05 Ski Tote U.S.A. Weather-adaptable ski hat
KR960004675Y1 (ko) * 1994-03-14 1996-06-04 이경석 차양달린 머리덮개용 스카프
JPH11302914A (ja) * 1998-04-21 1999-11-02 Kazuko Ochiai 帽 子
KR200194365Y1 (ko) * 2000-03-27 2000-09-01 김동수 상투 구비 모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0058A1 (en) * 2003-06-30 2005-01-06 Keon Seok Oh Hat using as a mask
KR100756548B1 (ko) * 2006-06-08 2007-09-10 이도훈 모자용 햇빛가리개
KR101455257B1 (ko) * 2014-03-27 2014-11-04 이진국 모자 결합형 수건
CN111802716A (zh) * 2020-06-23 2020-10-23 戚睿妍 一种功能雨衣、雨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6364B1 (ko) 200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323B1 (en) Convertible-hat with brim stowable within cap
US6802083B2 (en) Cap with improved sunshade
US5875493A (en) Modular head covering system
JPH0232663Y2 (ko)
US5862520A (en) Hat brim
US6094749A (en) Removable sizing band for head wear
US20060191057A1 (en) Hat/beret with opening for wearer's hair or synthetic hair
US20070250987A1 (en) Ponytail creating head garment
US11166508B2 (en) Protective fastenable headwrap
KR100354651B1 (ko) 상투모자
US20220330643A1 (en) Topless Bucket Hat
US5664259A (en) Shirt with attached head garment
US20210386150A1 (en) Hair and edge maintenance cap
US6662806B2 (en) Hairpiece
KR20030042771A (ko) 상투모자
KR200437319Y1 (ko) 입과 코가 노출되는 햇볕가리개
US6357049B1 (en) Decorative costume and related method
US20190380414A1 (en) Head Covering With Removable Liner
KR101975148B1 (ko) 벙거지 모자
KR20170014436A (ko) 마스크가 수납된 방한용 모자
KR100680756B1 (ko) 차양모
KR200418518Y1 (ko) 차양모
KR200201501Y1 (ko) 장식구가 구비되는 모자
KR200235983Y1 (ko) 방제복
JP3075774U (ja) 作業用頭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