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114B1 - 상 형성기 - Google Patents

상 형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114B1
KR900009114B1 KR1019870005258A KR870005258A KR900009114B1 KR 900009114 B1 KR900009114 B1 KR 900009114B1 KR 1019870005258 A KR1019870005258 A KR 1019870005258A KR 870005258 A KR870005258 A KR 870005258A KR 900009114 B1 KR900009114 B1 KR 90000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process unit
rotating drum
imag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512A (ko
Inventor
쥰이찌 다까마쯔
가즈노리 아끼야마
Original Assignee
미따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따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607954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35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42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966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81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36068A/ja
Application filed by 미따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따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미따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1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2Removing a copy sheet form a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09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protective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a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0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03G2221/161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being a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 형성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상 형성기의 한 예로써 정전 복사기의 제1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전 복사기의 부분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정전 복사기에 관련된 커버부재와 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정전 복사기의 개구위치에 있을 때 상부 지지 프레임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상태의 부분 측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정전 복사기의 개선된 부분에 기인하는 변형 실시예의 확대부분으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의 또다른 변형부분에 기인하는 다른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상 형성기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상 형성기의 변형예의 한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상 형성기의 한 예로써 정전 복사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정전 복사기에 제공된 프로세스 유니트에서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과 상 지지부재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제12a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정전 복사기에서 위치 감지수단과 그의 부근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12b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13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상 지지부재용 구동시스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하부 지지 프레임 6 : 상부 지지 프레임
14 : 프로세스 유니트 20 : 유니트 프레임
26 : 회전드럼 30 : 전하 코로나 방전장치
32 : 현상장치 34 : 소제장치
46 : 광학 시스템 52 : 전자영역
54 :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 56 : 전하 제거 수단
144 : 피일링 영역 210 : 프로세스 유니트
216 : 유니트 프레임 222 : 무한벨트
224 : 상형성 영역 226 : 비상형성 영역
230 : 전하 코로나 방전장치 232 : 현상장치
234 : 소제장치 248 : 광학 시스템
276 :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 278 : 전사영역
304 : 발광소자 306 : 수광소자
314 : 전자 솔레노이드
본 발명은 정전 복사기 같은 상 형성기에 관한 것이다.
정전 사진재료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적용되고 그 다음에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는 형태의 정전 복사기 또는 정전 인쇄기 같은 상 형성기가 광범위하게 상업적으로 수용되다는 것은 이 분야에서 숙력된 사람들에게는 공지되어 있다.
그런 상 형성기의 한 예로써 한 형태의 정전 복사기는 하부 지지 프레임,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봇 중심축 둘레에 개구위치와 폐쇄위치사이에서 피봇 이동 자유로운 하부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상부 지지 프레임 및 표면에 정전 사진재료를 가지며 상부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회전드럼같은 상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이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상부 지지 프레임이 개구위치에 있으면 상 지지부재의 하부는 개구위치에서는 하부 지지 프레임과 상부 지지 프레임 사이에서 외부에 노출된다. 조작자의 손이나 다른 부위가 상 지지부재의 표면에서 사진재료에 접촉하여 조작자가 끼인 종이를 제거하는 동안 사진재료를 손상시키기 쉽다. 이 불합리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커버부재는 상 지지부재를 부분을 덮는 커버링 위치와 상술한 상 지지부재 부분이 보이도록 열린 개구위치사이에서 이동 자유로운 커버부재를 또 포함하는 정전 복사기가 제안되었다. 상부지지 프레임이 본 개선된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개구위치에서 지지되면 커버부재는 커버링 위치에서 지지되어 사진재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개선된 정전 복사기는 커버부재가 상 지지부재의 이동방향과 거의 동일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커버링 위치에서 개구위치까지 이르게 되는 구조이므로 상 지지부재 표면에 대해 감긴 복사지 시이트를 제거하는 것이 비교적 어렵다.
다른 형태의 정전 복사기는 복사기의 본체와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프로세스 유니트를 포함하여 여기서 프로세스 유니트는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과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에 설치된 상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그런 형태의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본체로부터 프로세스 유니트를 분리함으로써 프로세스 유니트의 수리와 검사, 정전 사진재료를 가지는 상 지지부재의 대치 및 단색 복사의 경우에 있어서 색 절환은 쉽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전사개구가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에 존재하므로 조작자의 손이나 다른 부위는 전사개구를 통해 사진재료에 접촉하여서 프로세스 유니트를 설치 및 분리할 때 사진재료에 손장을 입히기 쉽다.
또다른 형태의 정전 복사기는 표면에 정전 사진재료를 가지며 35mm정도의 작은 직경 또는 상 지지부재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회전드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 제84-1267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 형태의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회전드럼은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전사후에 회전드럼으로부터 시이트 재료의 분리는 시이트 재료 그 자체의 강성과 무게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형의 값싼 전하 제거장치는 회전드럼으로부터 시이트 재료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피일링 코로나 방전장치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이트 재료가 낮은 강성을 가지거나 그의 정단부를 상향으로 향하여 말리는 경향이 있으면 시이트 재료는 회전드럼으로부터 하향으로 분리하지 않고 회전드럼의 원주표면에 정전기적으로 달라 붙으면서 진행하기 쉽다. 따라서 시이트 재료는 회전드럼 둘레에 감겨지기 쉽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 지지부재 부분을 덮기 위해 커버부재가 제공되며 시이트 재료가 상 지지부재를 둘레에 감겨지는 경우에 시이트 재료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우수한 상 형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 지지부재의 표면에서 상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비상형성영역)을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상 지지부재의 표면에 배치된 사진재료의 손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물에 의해 정확하게 방지될 수 있는 우수한 상 형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낮은 강성이나 그의 정단부를 상향으로 향하여 말리는 경향을 가지는 시이트 재료는 그 둘레에 감기지 않고 상 지지부재로써 제공된 회전드럼으로부터 정확하게 분리될 수 있는 우수한 상형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과 또다른 목적은 다음의 설명을 읽어보면 명백해질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이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다음의 설명은 상 형성기 한 예로써 정전 복사기에 관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전 인쇄기같은 다른 상 형성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1도 내지 제5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 형성기의 한 예로써 정전 복사기의 제1실시예가 기술된다.
제1도와 관련하여 도시된 정전 복사기는 거의 평행 육면체 하우징(2)을 가진다. 하우징(2)은 하부 지지프레임(4)과 상부 지지 프레임(6)을 가진다. 상부 지지 프레임(6)은 전후방향(제1도에 있어서 시이트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봇 중심축을 구성하는) 축(8)을 거쳐서 그의 오른쪽 단부 하부에서 하부 지지 프레임(4)에 피봇 연결된다. 상부 지지 프레임(6)은 제1도와 제2도에서 도시된 폐쇄위치와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개구위치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서류 재치수단(10)은 하우징(10)의 상부 표면 특히 좌우로 왕복하도록 상부 지지 프레임(6)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서류 재치수단(10)은 복사될 서류를 배치하기 위한 투명판(12)과 그 위에 있는 서류를 덮기 위한 개폐 가능한 서류 커버(도시않음)를 포함한다.
하우징(2)의 거의 중앙에 위치된 프로세스 유니트(14)는 상부 지지 프레임(6)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시이트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하는 한쌍의 지지레일(16, 18)은 상부 지지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다. 프로세스 유니트(14)는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을 가지며 시이트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22, 24)는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의 좌우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프로세스 유니트(14)는 지지레일(16, 18)에서 유니트 프레임(20)의 지지부(22, 24)를 위치시키고 시이트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유니트 프레임(20)을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상부 지지 프레임(6)에 설치되며 그로부터 분리된다. 상 지지부재로써 회전드럼(26)은 유니트 프레임(20)에서 거의 중심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적당한 정전 사진재료는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에 배치된다.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에는 또 전하 코로나 방전장치(30), 현상장치(32), 소제장치(34) 및 전하 제거 램프(35)가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서 보아 화살표(28)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드럼(26)둘레에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현상장치(32)는 유니트 프레임(20)의 한쪽 측부(오른쪽부)에 설치되며 소제장치(34) 및 전하 제거 램프(35)는 유니트 프레임(20)의 다른쪽 측부(외쪽부)에 설치된다. 현상장치(32)는 현상액을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에 적용하기 위한 자기 브러시 기구(36)를 가진다. 소제장치(34)는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에 작용하는 탄성날개와 토너 회수실(40)을 가진다. 프로세서 유니트(14)는 이후에서 더 기술한다.
상부 지지 부재(6)에는 또 조명 램프(42), 반사판(44)과 프로세스 유니트(14)위에 위치된 광학 시스템(46)이 설치되어 있다. 광학 시스템(46)은 다수의 수직 연장하는 길다란 광학 소자(예를 들어 나쁜 시이트 그래스 캄파니 리미티드 회사의 "SELFOC MICROLENS"로 판매되는 로드형 렌즈)로 제조된다. 열 흡수 필터같은 필터부재(48)는 반사판(44)에 형성된 개구에서 제공된다. 따라서 조명 램프로부터 나오는 빛은 투명판(12)을 통해 그 위에 얹혀진 서류에 투사된다. 서류로부터 반사된 빛은 광학 시스템(46)과 유니트 프레임(20)의 상부벽에 형성된 노출 개구를 통해 노출 영역(50)에서 회전드럼의 원주표면에 투사된다. 회전드럼(26)을 정밀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그 위에 투명유리같은 보호유리를 제공하여서 노출개구를 덮는 것이 적합하다.
대략 하부 지지 프레임(4)의 중앙에는 전사영역(52)에서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과 마주대하는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54)와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54)에 인접하고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54)의 아래에 위치된 피일링 전하 제거수단(56)이 제공되어 있다.
복사지 공급수단(62)은 하부 지지 프레임(4)의 오른쪽 단부에 설치되며 복사지 수납판(64)은 하부 지지 프레임(4)의 왼쪽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복사지 공급수단(62)과 복사지 수납판(64)사이에는 전사영역(52)을 통해 시이트 재료같은 복사지를 운반하기 위한 복사지 운반 시스템(66)이 설치되어 있다. 복사지 공급수단(62)은 카세트 수납부(68)와 카세트 수납부(68)에 분리가능하게 장전되는 복사지 카세트(70)를 가지며 전달 롤러(72)는 카세트 수납부(68)위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전달 롤러(72)가 화살표(74)방향으로 회전되면 카세트(70)의 복사지층(76)에 있는 맨위의 종이가 전달 롤러(72)의 작용에 의해 전달되며 한쌍의 안내판(78)사이를 진행한 후 복사지 운반 시스템(66)으로 공급된다. 복사지 운반 시스템(66)은 한쌍의 운반 롤러(80), 하부 안내판(82), 전달 벨트 기구(84), 가열 고정 롤러짝(88), 하부 안내판(90)과 한쌍의 배출 롤러(92)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복사지 공급수단(62)으로부터 복사지 수납판(64)까지 이송되는 복사지를 안내하기 위한 복사지 전달통로(94)를 형성한다. 적당한 가열수단(98)은 가열 고정 롤러짝(88)의 상부 가열 안내하기 위한 복사지 전달통로(94)를 형성한다. 적당한 가열수단(98)은 가열 고정 롤러짝(88)의 상부 가열롤러(96)내에 설치되어 있다. 복사지가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피일링 부재(100)는 상부 가열 롤러(96)에 첨부된다.
상술한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전하 코로나 방전장치(30)는 회전드럼(26)이 화살표(28)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회전드럼(26)에 있는 사진재료를 특정 극성으로 거의 균일하게 충전한다. 그러면 투명판(12)위의 서류상은 노출영역(50)에서 사진재료위의 서류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사진재료속으로 투사된다.
서류를 주사하고 노출하는 때에 서류 재치 수단(10)은 제1도에 있어서 왼쪽에서 오른쪽까지 이동된다. 그때 사진재료위의 정전 잠상은 현상장치(32)에 의해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복사지 공급수단(62)으로부터 이송되고 복사지 운반 시스템(66)에 의해 전달되는 복사지 시이트는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과 완만하게 접촉하며,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54)의 작용에 의해 사진재료위의 토너상은 복사지에 전사된다. 그 이후 복사지는 전하 제거수단(56)의 작용에 의해 회전드럼(26)으로부터 벗겨진다. 그 다음에 복사지는 가열 고정 롤러짝(88)을 통해 전달되며 이 시간동안 복사지의 토너상은 가열에 의해 고착된다. 한편 회전드럼(26)은 회전을 계속하며 전사후 사진재료에 남아 있는 토너는 소제장치(34)의 탄성날개(38)의 작용에 의해 제거된다. 게다가 전사후에 사진재료에 남아 있는 전하는 전하 제거 램프(35)의 작용에 의해 지워진다. 제거된 토너는 토너 회수실(44)에 수집된다.
이제 주로 제2도와 제3도를 참고로 하여 제1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 유니트(14)와 이것에 관련된 요소에 대해 상세히 기술된다.
프로세스 유니트(14)는 상부 지지 프레임(6)이 개구위치와 폐쇄위치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고 관련하여 커버부재(102)를 포함한다. 커버부재(102)를 포함한다. 커버부재(102)는 거의 궁형 수지 부표면을 가지는 판형부재로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주로 제3도와 관련하여 상부 지지 프레임(6)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정면벽(104, 제2도 및 제3도)과 후면벽(106, 제1도)을 가지며, 회전드럼(26)의 축부(108, 110)는 정면벽(104)과 후면벽(10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축부(108)는 정면벽(104)을 통해(제3도에 있어서 왼쪽 바닥에) 앞쪽으로 돌출하며, 진동 아암(112)은 축부(108)의 앞쪽으로 돌출하는 단부에 피봇 설치된다. 다른쪽 축부(110)는 후면벽(106)을 통해(제3도 있어서 오른쪽 상부에) 뒤쪽으로 돌출하며, 진동 아암(114)은 이 후향으로 연장하는 단부에 피봇 설치된다. 커버부재(102)의 세로방향의 한쪽 단부에서 궁형 방향과 한쪽 단부(제3도에 있어서 커버부재(102)의 왼쪽 바닥 코너부)는 핀부재(116)를 통해 진동 아암(112)의 정단부에 피봇연결되며, 세로방향의 다른쪽 단부에서 커버부재(102)의 궁형 방향의 다른쪽 단부(제3도에 있어서 커버부재(102)의 왼쪽 상부 코너부)는 핀부재(도시않음)를 거쳐서 진동 아암(114)의 정단부에 피봇 연결된다. 회전드럼(26)의 축에 거의 평행으로 연장하는 축부재(118)는 유니트 프레임(20)의 오른쪽부에 설치되어 있다. 축부재(118)는 정면벽(104)과 후면벽(10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축부재(118)의 한단부(정단부)는 정면벽(104)을 통해 앞쪽으로 돌출하여 회전아암(120)은 볼트등에 의해 본 앞쪽으로 돌출하는 단부에 고정된다. 작동 레버(112)는 볼트등에 의해 회전아암(120)의 설치 위치 더 앞쪽 위치에서 축부재(118)의 앞쪽 돌출 단부에 고정된다(제2도 참조). 축부재(118)의 다른쪽 단부(후단부)는 후면벽(106)을 통해 뒤쪽으로 돌출하여 회전아암(124)은 볼트등에 의해 축부재(118)의 뒷쪽 돌출 단부에 고정된다. 세로방향의 한 단부(제3도에 있어서 커버부재(102)의 오른쪽 바닥 코너부)에서 커버부재(102)의 궁형 방향의 다른쪽 단부는 핀부재(126)를 거쳐서 회전아암(120)의 선단부에 피봇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세로방향의 다른쪽 단부(제3도에 있어서 커버부재(102)의 오른쪽 상부 코너부)에서 커버부재(102)의 궁형 방향 다른쪽 단부는 핀부재(도시않음)를 거쳐서 회전아암(124)의 정단부에 피봇 연결된다. 따라서 커버부재(102)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개구위치와 제4도 및 제5도의 커버링 위치사이에서 자유 이동을 위해 유니트 프레임(20)에 설치된다. 커버부재(102)에 관련하여 편위수단과 정지편(128)에 제공된다(제2도). 도시된 편위수단은 진동아암(112)에 제공된 보스부(112a)에 결합된 비틀림 코일스프링(130)으로 이루어진다. 비틀림 코일스프링(130)의 한쪽 단부는 유니트 프레임(120)의 정면벽(104)의 외부 표면(정면)에 제공된 결합부와 결합되며, 그의 다른쪽 단부는 진동아암(112)과 결합한다. 비틀림 코일스프링(130)은 제2도와 제3도에 시계방향으로 진동아암(112)을 편위시키며 그러므로 커버부재(102)를 커버링 위치쪽으로 편위시킨다. 정지편(128)은 유니트 프레임(20)에 있는 정면벽(104)의 외부 표면의 예정된 자리에 제공된다. 그것은 제2도 및 3도의 진동아암(112)의 시계방향의 피봇, 즉 커버링 위치를 넘어서 커버부재(102)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동아암(112)에 작용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편위수단과 정지편(128)은 진동아암(112)에 상응하여 제공된다. 바람직하다면 그들은 다른 진동아암(114)에 또는 양 진동아암(112, 114)에 상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스 유니트(14)에는 작동레버(122)에 작용할 수 있는 작동 돌기(134)가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 돌기(134)는 하부 지지 프레임(4)의 바닥벽의 정단부 상부 표면에 제공되며 긴 웨지형으로 상향으로 돌출한다. 작동레버(122)는 요구된 바와 같이 축부재(18)의 뒷쪽 돌출단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부에서 작동 돌기(134)는 하부 지지 프레임(4)에 있어서 바닥벽의 후부의 상부표면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상부 지지 프레임(6)이 개구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향하여 화살표(136, 제4도 및 5도)방향으로 피봇되면 작동 돌기(134)의 자유단부의 작동레버(122)와 접촉하여 화살표(138)방향으로 작동레버를 회전시킨다(제5도 : 제5도에 있어서는 반시계반향). 그 결과로서 회전아암(120, 124)은 축부재(118)와 한 유니트로써 화살표(138)방향으로 회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세로로 이격된 안내리브(140, 주로 제1도와 제3도)는 커버부재(102)의 한 측부의 외부표면(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과 맞대는 표면에 반대인 표면)에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안내리브(140)는 커버부재(102)와 한 유니트로써 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상부 지지 프레임(6)이 개구위치로 피봇되면 제4도와 5도에 도시된 개구상태가 만들어진다. 특히 상부 지지 프레임(6)이 개구위치에서 지지되면 작동레버(122)는 하부 지지 프레임(4)의 작동 돌기(134)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그 결과 작동아암(112)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130)의 작용에 의해 제5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편위되며, 그것과 함께 회전아암(120, 124)은 커버부재(102)를 거쳐서 제5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커버부재(102)는 제4도 및 5도에서 도시된 커버링 위치에서 유지된다. 커버부재(102)가 커버링 위치에서 유지되면 진동아암(112)은 유니트 프레임(20)은 정면벽(104)에 제공된 정지편(128)과 접촉하며 그 때문에 커버링 위치를 넘어서 커버부재의 이동은 정확하게 방지될 수 있다 커버부재(102)가 커버링 위치에서 유지되면 커버부재(102)는 유니트 프레임(20)에 형성된 전사개구(142)를 덮도록 회전드럼(26)아래에 설치되며 그러므로 전사개구(142)를 통해서(그리고 상부 지지 프레임(6)의 하부표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서) 노출된 회전드럼(26)의 하부는 거의 커버부재(102)로 덮혀진다. 게다가 상술한 개구상태에 있어서, 복사지 운반통로(94)의 더큰 부분은 보이도록 열리며 끼워진 종이는 그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회전드럼(26)의 하부가 커버부재(102)로 덮히므로 조작자의 손이나 다른 부위가 끼인 종이를 제거하는 동안 회전드럼(26)에서 사진재료의 표면에 접촉하는 것을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6)이 화살표(136)방향으로 피봇되고(제4도 및 5도) 폐쇄상태에서 유지되면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도시된 개구상태가 만들어진다. 상부 지지 프레임(6)이 폐쇄위치로 향하여 피봇되면 작동레버(122)는 작동 돌기(134)의 정단부와 접촉하며, 상술한 상부 지지 프레임(6)의 피봇과 함께 작동레버(122)는 작동돌기(134)의 작용에 의해 제2도와 3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그결과, 회전아암(120, 124)은 축부재(118)와 한 유니트로써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커버부재(102)는 화살표(28)에 의해 도시된(제1도)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 거의 반대방향으로 비틀림 코일 스프링(130)의 편위작용에 대항하여 뒤쪽으로 또는 바꿔말하면 현상장치(32)로 향하여 이동된다. 상부 지지 프레임(6)이 폐쇄위치까지 들어오면(해제가능한 잠금수단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유지되면) 커버부재(102)는 작동돌기(134)의 작용에 의해 개구위치에서 유지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02)는 거의 중앙부로부터 프로세스 유니트(14)의 오른쪽부까지, 특히 회전드럼(26)아래로부터 현상장치(32)의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그결과 유니트 프레임(20)에 형성된 전사 개구(142)는 보이도록 열리며 회전드럼(26)의 하부는 전사개구(142)를 통하여 노출된다. 복사지 운반통로(94)를 통해 운반된 복사지는 전사영역(52)에서 회전드럼(26)위에 사진재료의 표면과 완만하게 접촉한다. 커버부재(102)가 개구위치에 있으면 그의 한쪽 측부는 안내판(82)위에 위치되며 커버부재(102)에 제공된 안내리브(140)는 제1도에서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안내리브(140)의 하부표면은 복사지 운반통로(94)의 상부 측부를 형성하며, 한쌍의 전달롤러(80)에 의해 운반되는 종이는 안내판(82)과 안내리브(140)사이에서 공간을 거쳐서 전사영역(52)에 안내된다.
상기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커버부재(102)는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 거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개구위치에서 유지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는다. 종래기술로써 커버부재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되고 개구위치에서 유지되면 회전드럼의 하부는 회전방향의 상향측으로부터 시작하면서 노출된다.
그러므로 종이가 회전드럼에 대하여 감기는 경우에는 감긴 종이를 제거하는 것이 비교적 어렵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커버부재(102)는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전드럼(26)의 하부는 화살표(28)로 도시된 회전방향의 하향측으로부터 시작하면서 노출된다. 이 구조는 감긴 종이를 회전드럼(26)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커버부재(102)가 커버링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커버부재(102)는 회전드럼(26)과 그것에 대하여 감기는 종이 상이 공간속으로 들어가는 방법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또한 감긴 종이를 제거하기 쉽게 한다. 더구나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부재(102)의 하부표면에 제공된 안내리브(140)도 회전드럼(26)과 그것에 대하여 감기는 종이사이 공간속으로 들어가는 방법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또 감기는 종이를 제거하기 쉽게한다.
상술한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커버부재(102)는 작동레버(122)가 작동돌기(134)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면 커버링 위치에서 유도된다. 따라서 프로세서 유니트(14)가 상부 지지 프레임(6)으로부터 분리되면 커버부재(102)는 커버링 위치에서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회전드럼(26)의 하부는 프로세스 유니트(14)를 보관하는 동안에도 커버부재(101)로 덮여지며 결코 노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약 30mm의 직경을 가지는 소직경 회전드럼 제1도는 내지 제5도에 도시된 정전 복사기의 제1실시예의 상 지지부재로써 사용되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영역과 피일링 영역을 배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6도 내지 제9도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한 부재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도면번호가 지명된다.
개선된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회전드럼과 그의 부근을 도시하는 제6도와 종래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회전드럼과 그의 부근을 도시하는 제8도를 비교하면 제6도에 도시된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우선,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54)가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회전드럼(26)이 원주표면에 반대인 전사영역(52)은 종래의 복사기의 경우와 비교하여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변위된다. 전사영역(52)은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서 볼 때 회전드럼(26)의 최하위 위치(26a)로부터-90°내지 0°의 각도내의 영역(제6도에서 부호(α1)로 도시된 영역), 적합하게는 -45°내지 0°내의 영역(제6도에서 부호(α2)로 도시된 영역)내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로, 전사영역(52)의 상술한 변위에 더하여 전하 제거수단(56)이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는 피일링 영역(144)은 또한 종래의 정전 복사기의 경우와 비교하여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변위된다. 피일링 영역(144)은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서 볼때 회전드럼의 최하위 위치(26a)로부터 -45°내지 10°각도내의 영역(제6도에서 부호(β1)로 도시된 영역), 적합하게는 -20°내지 0°각도내의 영역(제6도에서 부호(β2)로 도시된 영역)내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하 제거수단(56)은 그의 상단부에서 다수의 바늘형 요소를 가지는 바늘형 같은 적다한 전기도체재료 또는 직접적으로 또는 적당한 바이어스 전원장치(도시 않음)를 거쳐서 접지된 톱니형 상단부를 가지는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각도범위(α1, α2, β1, β2)에 관하여 다음의 기하학적 해석을 주목해야 한다.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에서 볼 때 회전드럼(26)의 최하위 위칭(26a)로부터 -90°내지 0°각도범위내에서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은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이 원형이기 때문에 회전드럼이 회전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내려간다. 회전방향에서 회전드럼에 관하여 하향각은 회전드럼이 회전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그러므로 각도가 0에 달하므로서) 감소한다. 반면에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서 볼 때 회전드럼(26)의 최하위 위치(26a)로부터 0°내지 90°각도 범위내에서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은 회전드럼(26)이 회전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올라간다. 회전방향에서 회전드럼의 진행에 관하여 상승각은 회전드럼이 회전드럼이 회전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그러므로 각도가 상승함으로써)증가한다.
따라서 전사영역(52)과 피일링 영역(144)이 상기 언급한 영역내에서 배치되면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과 피일링 영역(144)에 있어서 전하 제거수단(56)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l1)는 전사영역(52)의 원주 중심거리에서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전진하는 복사지(P)용 운반통로(94)의 하향경사가 종래 복사기에 있어서와 거의 동일경사에 설치되는 때 조차도 종래 복사기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사지 원반통로(94)를 상향으로 돌출하고 운반통로(94)를 닫도록 전사영역(52)으로부터 하향으로 진행하는 복사지(P)용 운반통로(94)아래에 전하 제거수단(56)을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로서 운반통로(94)를 변화할 필요없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상기 거리(l1)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l1)는 보통 7mm보다 크지 않으며 특히 5mm보다 크지 않다.
적합하게는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54)와 전하 제거수단(56)은 전하 제거수단(56)이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54)에 관하여 요구되는 대로 위치되고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54)는 회전드럼(26)에 관하여 요구되는 대로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6도에 도시된 개선된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전사영역(52)에서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과 원만하게 접촉하는 복사지는 그것이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가지며 복사지가 하향으로 진행하면서 복사지의 강성과 무게에 의해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떨어진다. 부가로 복사지에 있는 전하는 전하 제거수단(56)의 작용에 의해 완전히 제거된다. 그러므로 복사지(P)는 회전드럼(26)으로부터 확실하게 분리되어 복사지 운반통로(94)를 통하여 운반된다. 복사지(P)가 낮은 강성 또는 그의 정단부를 향하여 상햐으로 말리는 경향을 가지면 복사지는 제6도에서 2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일링 영역(144)에서조차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에 정전기적으로 달라 붙으면서 진행하기 쉽다. 그러나 전하 제거수단(56)의 상단부는 피일링 영역(144)에서 복사지(P)의 후면에 가까이에 위치되므로 복사지(P)에 있는 전하는 전하 제거수단(56)의 작용에 의해 완전히 정확하게 제거된다. 그 결과로서 복사지(P)는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확실하게 분리되어 운반통로(94)를 통하여 운반된다.
제8도는 도시된 종래의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회전드럼(26)으로부터 분리된 복사지(P)는 회전드럼(26)의 최하위 위치(26a)와 거의 동일한 수준에서 또는 최하위 위치(26a) 아래(제8도에 있어서는 이것은 하향으로 경사하여 왼쪽으로 연장하며 그 다음에 거의 수평으로 왼쪽으로 연장한다)로 연장하는 운반통로(94)를 통해 운반되도록 적용한다.
따라서 복사지(P)가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가지면 복사지는 복사지가 제8도에 도시된 실선과 같이 하향으로 진행하면서 강성과 자중에 의해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분리된다. 분가로 복사지에 있는 전하는 전하 제거수단(56)의 작용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며 복사지(P)는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확실히 분리되어 적절하게 운반된다. 그러나 복사지(P)가 낮은 강성이나 그의 정단부를 향하여 상향을 말리는 경향을 가지면 복사지는 제8도에서 2점 쇄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으로부터 하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에 정전기적으로 달라 붙으면서 진행하기 쉽다.
이때 복사지(P)의 뒷면과 전하 제거수단(56)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단한 거리가 있으므로, 복사지(P)에 있는 전하는 전하 제거수단(56)의 작용에 의해 완전히 제거될 수 없다. 이것은 복사지(P)가 회전드럼의 원주표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회전드럼(26)에 대하여 감기는 상황까지 이르게 된다.
이 문제는 전하 제거수단(56)을 상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으며 그의 상단부를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에 접근하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하 제거수단(56)의 상단부는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에 달라 붙으면서 진행하는 복사지(P)의 뒷표면에 접근하며 복사지(P)에 있는 전하는 전하 제거수단(56)의 작용에 의해 완저히 제거된다. 그 결과로서 복사지(P)는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전하 제거장치(56)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이동되면 이것은 복사지(P)용 운반통로(94)를 막으면서 상향으로 연장한다.
그러므로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가져서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분리되며 제9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통로(94)를 통해 진행하는 복사지(P)는 전하 제거수단(56)과 충돌하여 더이상 진행하지 못한다.
대조적으로 상술한 개선된 정전 복사기에 있어서, 전하 제거수단(56)의 상단부는, 전사영역(52)은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서 볼 때 회전드럼(26)의 최하위 위치(26a)로부터 -90°내지 0°각도(α)내의 영역에 배치되고 피일링 영역(144)은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서 볼 때 회전드럼(26)의 최하위 위칭(26a)로부터 -45°내지 10°각도(β)내의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피일링 영역(144)에서 복사지(P) 뒤표면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복사지가 낮은 강성 또는 상향으로 말리는 경향이 있을지라도 복사지(P)는 전하 제거수단(56)의 작용에 의해 전사영역(52)에서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복사지(P)용 운반통로의 변화같은 불편한 점을 수반하지 않고 적절히 운반될 수 있다.
바람직하다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54)와 전하 제거수단(56)사이에 적당한 형태의 절연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직접적으로 그것을 접지하는 대신에 적당한 바이어스 전원장치(148)를 거쳐서 전하 제거수단(56)을 접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복사지 운반방향으로 경사연장하는 알려진 안내라인(도시 않음)은 복사지(P)가 시일드 케이스속으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의 진행이 결과적으로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54)용 시일드 케이스의 개구에 설치될 수 있다.
이제 제10도 내지 제13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 형성기의 한 예로써 정전 복사기의 제2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한다.
제10도와 관련하여 도시된 정전 복사기는 거의 평행 육면체 하우징(202)을 이루는 복사기의 본체(204)를 포함한다. 본체(204)는 하우징(202)의 바닥표면을 형성하는 바닥벽(206)과 전후방향(제10도에 있어서 시이트 표면에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바닥벽(206)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는 수직 정면 베이스 플레이트(도시 않음)와 수직 후면 베이스 플레이트(208, 제13도)를 가진다. (이후에는 기술될) 여러가지 구성요소는 수직 정면에 베이스 플레이트와 수직 후면 베이스 플레이트(208)사이에서 적소에 설치된다. 프로세스 유니트(210)는 본체(204)에서 거의 중앙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시이트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지지레일(212, 214)이 본체(204)에 고정된다. 프로세스 유니트(204)에 고정된다. 프로세스 유니트(210)는 상자형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16)을 가지며, 시이트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218, 220)는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16)의 좌우측벽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 유니트(210)도 지지레일(210)도 지지레일(212, 214)위에 유니트 프레임(216)의 지지부(218, 220)를 위치시키고 시이트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유니트 프레임(216)을 미끄러지게 하여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 지지부재로써 작용하는 무한벨트(222)는 유니트 프레임(216)위에 설치된다. 상을 형성하기 위한 상형성 영역(224)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벨트(222) 표면의 더 큰 부분으로 형성되며 거의 상이 없는 비상형성 영역(226)은 벨트(222) 표면의 나머지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사진 재료는 상형성영역(224)에 배치되며, 상은 사진 재료에 형성된다. 반면에 거의 비사진재료는 비상형성 영역(226)에 존재하며, 상은 비상형성 영역(226)에 형성되지 않는다. 무한벨트(222)의 전원주표면에 무한사진재료를 배치하는 것도 또 가능하며, 상형성 영역(224)으로써 사진재료의 더 큰 부분을 그리고 비상형성 영역(226)으로써 나머지를 점유하는 특정 영역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무한벨트(222)는 화살표(228)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화살표(228) 이동방향에 있어서 무한벨트(222)위의 상형성 영역(224)의 길이는 서류의 최대 복수길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다. 유니트 프레임(216)에는 또 전하 코로나 방전장치(230), 현상장치(232), 소제 장치(234)가 이동방향에서 볼 때 정해진 순서로 화살표(228)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무한벨트(222)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현상장치(232)는 무한벨트(222)위의 상형성 영역(224)에 토너를 적용하기 위한 자기 브러시 기구(236)와 토너를 담는 토너상자(238) 및 토너상자(238)로부터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이송롤러(240)를 가진다. 소제장치(234)는 무한벨트(222)의 표면에 작용하도록 적용되는 탄성날개(242)를 가진다. 프로세스 유니트(210)는 이후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복사기의 본체(204) 상부에는 또 조명램프(246) 및 광학 시스템(248)이 설치된다. 왕복할 수 있는 투명판(250)에 제공된 서류 재치수단(252)은 하우징(202)의 상부표면에 설치된다.
복사지 운반수단(254)은 복사기의 본체(204) 하부에 설치된다. 복사지 공급수단(256)은 복사지 운반수단(254)의 상단부에 제공되며 복사지 수납판(도시 않음)은 그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복사지 공급수단(256)은 하우징(202)내부로부터 오른쪽까지 연장하는 안내 테이블(258)과 안내 테이블(258)위에 설치된 공급롤러(260)를 가진다. 복사지(P)는 화살표(262) 방향으로 공급롤러(260)를 회전시킴으로써 안내 테이블(258)을 따라 하향으로 이송된다. 복사지 운반수단(254)은 한쌍의 전달롤러(264), 안내판(266), 안내판(268), 전달벨트기구(270), 안내판(272) 및 고정롤러짝(274)을 가진다. 복사지 운반수단(254)은 복사지 공급수단(256)의 작용에 의해 공급된 복사지(P)를 전사 코로나 방전장치(276)와 무한벨트(222) 사이에 존재하는 전사영역(278)을 통하여 복사지 수납판(도시 않음)까지 운반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 복사기의 상세한 작동 설명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제 프로세스 유니트(210)가 제10도와 제11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한다. 프로세스 유니트(210)의 유니트 프레임(216)은 전후방향으로 이격관계로 배치된 정면벽(280, 제11도)과 후면벽(282, 제12도와 제13도)을 가진다. 정면벽(280)과 후면벽(282) 사이에는 3개의 롤러(284, 286, 288, 롤러(284, 286)는 비교적 큰 직경, 롤러(288)는 비교적 작은 직경을 가진다)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284)는 유니트 프레임(216)의 오른쪽 단부에 제공된다. 롤러(286)는 유니트 프레임(216)의 왼쪽 단부에 제공된다. 롤러(288)는 유니트 프레임(216)의 바닥벽(290)에 형성된 전사영역(292)에 상응하여 설치된다. 무한벨트(222)는 이들 롤러(284, 286, 288)둘레에 감겨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284)는 이후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정전 복사기용 구동원(294, 제10도)에 구동연결된다. 그러므로 구동원(294)이 여기되고 롤러(284)가 화살표(296) 방향으로 회전되며 무한벨트(222)는 화살표(228) 방향으로 이동된다. 적합하게는 유니트 프레임(216)에 형성된 전사영역(292)과 관련하여 화살표(228) 이동방향으로 무한벨트(222)에 제공된 비상형성 영역(226)의 길이는 전사영역(292)의 폭(W, 제11도)보다 약간 더 크도록 세트된다. 이것는 전사영역을 통해서 사진재료가 손상되는 것을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제2실시예는 상형성용 복사단계가 끝나면 무한벨트(222)의 비상형성 영역은 유니트 프레임(216)에 형성된 전자영역(292)(특히 전사영역(292)을 통해 노출되는 그 자리)에서 위치되도록 제작된다. 제12a도 및 제12b도를 참고로 하여 프로세스 유니트(210)에는 그 안에 무한벨트(22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298)이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감지수단(298)은 무한벨트(222)의 주어진 자리에 제공된 감지구멍(300, 제12b도 참조)과 프로세스 유니트(216)의 후면벽(282)에 설치된 광학 감지수단(302)을 조합하여 제작된다. 광학 감지수단(302)은 무한벨트(222)(위의)의 한쪽측에 배치된 발광소자(304)와 무한벨트(222)(아래의)의 다른쪽 측에 배치된 수광소자(306)를 가진다. 무한벨트(222)가 특정위치(벨트(222)는 제11도에 도시된 상태에 있고 그의 비상형성 영역(226)은 유니트 프레임(216)의 전사영역(292)에 위치된다)에 있으면 무한벨트(222)에 형성된 감지구멍(300)은 제1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304)와 수광소자(306)사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발광소자(304)로부터 나오는 빛은 수광소자(306)에 의해 수광된다.
광학 감지수단(302)의 감지신호는 제어수단(308)에 보내진다. 주전원 스위치(310)는 복사기의 본체(204)내에 제공되며 복사 스위치(321)는 그의 작동판넬(도시 않음)에 제공된다. 주전원 스위치(310)와 복사 스위치(312)로부터 나오는 신호도 제어수단(308)에 보내진다. 제어수단(308)은 광학 감지수단(302), 주전원 스위치(310) 및 복사 스위치(312)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동원(294)과 전자 솔레이노이드(314)를 작동, 제어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284)는 제13도에 도시된 구동 시스템을 거쳐서 구동원(294)에 구동연결된다. 특히 축부재(316, 하나만 도시)는 롤러(284)의 양쪽 단부에서 제공되며 베어링 부재를 거쳐서 유니트 프레임(216)의 정면벽(280)과 후면벽(28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보조판(318)는 수직 후면 베이스 플레이트(208)에 부착되며, 축부재(320)는 수직 후면 베이스 플레이트(280)와 보조판(318) 사이에서 베어링 부재를 거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축부재(320)는 해제가능한 연결수단(322)을 거쳐서 롤러(284)의 후단부에서 축부재(316)에 구동연결된다. 연결수단(322)은 축부재(320)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오목 커플링(324)과 롤러(284)의 축부재에 설치된 볼록 커플링(326)을 가진다. 오목 커플링(324)에는 볼록 커플링(326)을 향하여 오목 커플링(324)을 편위시키기 위한 편위 스프링(328)이 부가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유니트(210)가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복사기의 본체(204)에 설치되면 볼록 커플링(326)과 오목 커플링(3240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한다. 그 결과로서 롤러(284)는 연결수단(322)을 거쳐서 축부재에 연결된다. 반면에 프로세스 유니트(210)가 제10도에 있어서 시이트 표면으로부터 인출되면 커플링(326, 324)은 서로로부터 분리되며 롤러(284)는 축부재(320)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축부재(320)는 그위에 구동원(294)으로부터 나오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 수단은 본래 공지된 스프링 클러치 수단으로 제작된다. 스프링 클러치 수단(330)은 기어(322)로 한 유니트로 제공된 제1보스(334), 나사(336)로 축부재(320)에 고정된 제2보스(338), 제1보스(334)와 제2보스(338)에 걸쳐 제공된 코일스프링(340) 및 코일스프링(340)위에 맞춰진 슬리이브 부재(342)를 가진다.
그 안에는 슬리이브 부재(342)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한 전자 솔레노이드(314)가 제공된다. 기어(332)는 축부재(3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원(294, 제10도)에 구동결합된 기어(344)와 맞물린다. 상기 구조 때문에 전자 솔레노이드(314)가 비여기상태에 있으면 슬리이브 부재(342)의 회전은 그의 출력부 작용에 의해 방해된다. 그 결과로서 코일스프링(340)은 제1 및 제2보스(334, 338)를 수축하지 않아서 코일스프링(340)은 코일스피링(338)을 거쳐서 구동결합된다. 그러므로 축부재(320)가 기어(332)회전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반면에 전자 솔레노이드(314)가 여기되면 그의 출력부는 슬리이브 부재(34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슬리이브 부재(342)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그 결과로서 기어(332)의 회전은 코일스프링(340)을 거쳐서 제1 및 제2보스9334, 338)을 구동 결합하도록 코일스프링(340)을 수축하게 한다. 그러므로 기어(332)의 회전과 함께 축부재(320)와 롤러(284)는 화살표(296)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정전 복사기의 제어가 제10도, 제12a도 및 제13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한다.
주전원 스위치(310)가 복사기를 가동하기 위하여 온으로 되면 제어수단(308)은 주구동원(294)을 여기한다. 주구동원의 작용은 기어(344, 332)뿐만 아니라 복사지 운반 시스템(254)에 있어서 전달롤러(264), 전달벨트기구(270)등을 회전하게 한다. 이때 전자 솔레노이드(314)는 비여기되며 기어(332)의 구동력은 축부재(320)와 롤러(294)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무한벨트(222)는 정지해 있다.
다음에 복사 스위치(312)가 온으로 되면 제어수단(308)은 스프링 클러치 수단(330)으로 슬리이브 부재(34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전자 솔레노이드(314)를 여기한다. 그러므로 코일스프링(340)은 스프링 클러치수단(330)을 거쳐서 기어(332)와 축부재(320)를 구동 결합하도록 수축한다. 구동원(294)으로부터 나오는 구동력은 기어(332), 스프링 클러치 수단(330), 축부재(320) 및 연결수단(322)를 거쳐서 롤러(284)에 전달된다. 그 결과로서 롤러(284)는 화살표(296) 방향으로 회전되며, 무한벨트(222)는 화살표(288) 방향으로 이동된다. 무한벨트(222)의 이 동안 서류에 상응하는 토너상은 무한벨트(222)의 상형상 영역(224)에 형성되며 전사영역(278)에 복사지(P)에 전사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무한벨트(222)가 이동시작으로부터 3회전 동안 회전하면(상형성 영역(224)이 제10도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완전히 소제되며) 전자 솔레노이드(314)는 비여기된다. 일단 무한벨트(222)가 회전할 때마다 무한벨트(222)에 제공된 감지구멍(300)은 광학 감지수단(302)의 발광소자(304)와 수광소자(306) 사이를 통한다. 이 통행동안 발광소자(304)로부터 나온 빛은 감지구멍(300)을 통해 수광소자(306)에 의해 수광되며 광학 감지수단(302)은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광학 감지수단(302)이 3회 감지구멍(300)을 감지하면 제어수단(308)은 감지수단(302)은 감지수단(302)으로부터 나오는 제3펄스의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자 솔레노이드(314)를 비여기한다. 그 결과로서 전자 솔레노이드(314)의 출력부는 그의 회전을 방해하도록 스프링 클러치 수단(330)의 슬리이브 부재(342)의 슬리이브 부재(342)에 적용한다. 그러므로 기어(332)와 축부재(320) 사이의 구동연결은 스프링 클러치 수단(300)을 거쳐서 해제되며, 화살표(228) 방향으로 벨트(222)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 이후 주전원 스위치(310)가 오프로 되면 주구동원(294)은 기어(332)와 복사지 운반수단(254)에서 전달 롤러(264)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비여기된다.
본 정전 복사기는 다음과 같은 현저한 특성을 가진다. 무한벨트(222)가 제11도에 도시된 특정 위치에서 유지되며 전자 솔레노이드(314)는 화살표(228) 방향으로 무한벨트(222)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비여기된다. 그러므로 무한벨트(222)의 이동이 정지되고 상형성용 복사 싸이클이 끝난후 무한벨트(222)는 상술한 특정위치에서 유지되며 무한벨트(222)에 형성된 비상형성 영역(226)은 전사영역(292)에서 유지되는 것을 쉽게 알 것이다. 그러므로 조작자의 손이 부주의로 전사영역(292)을 통해 무한벨트(222)의 표면을 접촉해야 하는 경우에는 무한벨트(222)의 비상형성 영역(226)과 접촉하며 사진재료가 존재하는 상형성 영역(224)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진재료의 손상을 피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클러치 수단(330)은 주구동원(294)으로부터 나오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축부재(320)에 전달하도록 사용된다. 또 스프링 클러치 수단(330) 대신에 보통의 정전 클러치 수단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합하게는 유니트 프레임(216)에 제공된 노출개구(348)와 전하 제거 개구(350)는 무한벨트(222)의 상형성 영역(224)에 있어서 사진재료의 손상을 좀더 정확하게 방지히기 위하여 그들 위에 투명 유리같은 보호유리를 제공함으로써 덮여진다.

Claims (15)

  1. 하부 지지 프레임(4)과,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봇 중심축 둘레의 개방 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피봇 이동 자유롭게 하부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상부 지지 프레임(6)과, 그 위에 사진재료를 가지며 상부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적용되는 회전드럼(26)과, 커버부재가 회전드럼을 덮는 커버링 위치와 상 지지 프레임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 커버부재가 상기 회전드럼을 개방한 후 상태로 유지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는 커버부재(102)를 구비하는 상형성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02)는 회전드럼의 이동방향과 거의 동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적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이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들어오면 커버링 위치로 돌아오며, 개방위치에 있을 때 커버부재의 부분이 시이트 재료 운반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이 상부 지지 프레임(6)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드럼(26)은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에 설치되며, 커버부재(102)는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3. 제2항에 있어서, 시이트 재료를 회전드럼(26)상의 사진재료와 완만한 접촉속으로 가져오게 하기 위한 전사개구가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에 형성되며, 커버부재(102)는 이것이 커버링 위치에 있으면 전사개구를 덮고 개방 상태에 있으면 전사개구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4. 제3항에 있어서, 현상장치(32)와 소제장치(34)가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에 설치되며, 현상장치(32)는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의 한쪽 측부에 있으며, 소제장치(34)는 상기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0)의 다른쪽 측부에 있고, 상부 지지 프레임(6)이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들어오면 커버부재(102)는 전사개구(102)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현상장치(32)를 향하여 떨어져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5. 제1항에 있어서, 이격관계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안내리브(140)가 커버부재(102)의 외부표면에 제공되고, 커버부재가 개방위치에 있으면 시이트 재료 운반통로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6. 제1항에 있어서, 커버부재와 관련하여 커버링 위치로 향하여 커버부재를 편위시키기 위한 편위수단과, 커버링 위치를 넘어서 커버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정지편(1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7. 상형성기의 본체(204)와 본체(204)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프로세스 유니트(201)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유니트(210)는 본체에 설치된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16)과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16)에 설치되고 예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적용되는 상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상형성기에 있어서, 상을 형성하기 위한 상형성 영역(224)이 상기 지지부재의 표면보다 더 큰 부분으로 존재하며 상기 거의 형성되지 않는 비상형성 영역(226)이 상기 표면의 나머지에 존재하며, 시이트 재료를 상 지지부재의 상형성 영역(224)과 완만한 접촉속으로 이르게 하기 위한 전사개구(292)가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16)에 형성되며, 상기 상형성기는 상형단계가 끝났을 때 상 지지부재의 비상형성 영역(226)이 프로세스 유니트(210)의 전사개구에 위치되도록 구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8. 제7항에 있어서, 사진재료는 상 지지부재의 상형성 영역(224)에 배치되며, 비사진재료는 비상형성 영역(22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형성기는 상 지지부재에 구동력을 해제가능하게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330)과, 클러치 수단을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308)과, 상 지지부재의 특정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수단(298)을 포함하며, 제어수단은 위치 감지수단으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기초해서 클러치 수단에 비여기하며 그 때문에 상 지지부재의 비상형성 영역(226)이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16)의 전사개구(292)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수단이 상 지지부재의 특정 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지지부재의 비상형성 영역(226)은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16)의 전사개구(292)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11. 제9항에 있어서, 위치 감지수단은 상 지지부재에 제공된 감지구멍(300)과 프로세스 유니트 프레임(216)에 설치되고 발광소자(304)와 수광소자(306)를 가지는 광학 감지수단(302)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 지지부재는 무한벨트(222)로 구성되며, 상형성 영역(224)은 무한벨트의 표면보다 더 큰 부분으로 존재하며, 그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상형성 영역의 길이는 상이 형성될 서류의 최대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13. 원주표면에 형성된 사진재료를 가지는 회전드림(26)과, 사진재료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정전 잠상 형성 영역과,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영역과, 시이트 재료에 토너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영역(52)과, 사진재료로부터 시이트 재료에 떼어내기 위한 피일링 영역(144)과, 회전드림의 원주표면에 대향으로 위치되도록 피일링 영역(144)에 설치된 전하 제거장치(56)을 포함하며, 상기 영역들은 회전드림(26)의 회전방향에 볼 때 이런 순서로 회전드림(26)의 원주표면을 따라서 배열되며, 피일링 영역(144)에서 회전드럼(26)의 원주표면으로부터 떼어진 시이트 재료(P)는 회전드럼(26)의 최하위 위치와 거의 동일수준에서 또는 상기 최하위 위치 아래로 연장하는 운반통로(94)를 통해 운반되는 상형성기에 있어서, 상기 전사영역(52)은 회전드럼(26)의 회전방향에서 보아 회전드럼(26)의 최하위 위치로부터 -90°내지 0°각도(α)내의 영역에 배치되며, 피일링 영역(144)은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에서 보아 회전드럼(26)의 최하위 위치로부터 -45°내지 0°의 각도(β)내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14. 제13항에 있어서, 각도(α)는 -45°내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15. 제13항에 있어서, 각도(β)는 -20°내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형성기.
KR1019870005258A 1986-05-28 1987-05-27 상 형성기 KR900009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79541[U] 1986-05-28
JP79541 1986-05-28
JP1986079541U JPH066354Y2 (ja) 1986-05-28 1986-05-28 画像生成機
JP61-242597 1986-10-13
JP61242597A JPS6396671A (ja) 1986-10-13 1986-10-13 画像形成装置
JP61-281698 1986-11-28
JP281698 1986-11-28
JP61281698A JPS63136068A (ja) 1986-11-28 1986-11-28 トナ−像転写式画像生成機
JP242597 1989-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512A KR870011512A (ko) 1987-12-23
KR900009114B1 true KR900009114B1 (ko) 1990-12-22

Family

ID=2730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258A KR900009114B1 (ko) 1986-05-28 1987-05-27 상 형성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4829334A (ko)
EP (1) EP0247602B1 (ko)
KR (1) KR900009114B1 (ko)
DE (3) DE376703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245B2 (ja) * 1987-12-22 1994-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4908674A (en) * 1989-02-22 1990-03-13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5130752A (en) * 1989-05-24 1992-07-14 Mita Industrial Co., Ltd. Transfer device with a ribbed guiding member
US5119134A (en) * 1989-09-26 1992-06-02 Konica Corporation Photosensitive member protection shutter for use in 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DE69021326T2 (de) * 1989-11-07 1996-01-11 Konishiroku Photo Ind Bilderzeugungseinheit mit einem Band.
JPH07117793B2 (ja) * 1989-11-10 1995-12-1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の転写装置
US5258816A (en) * 1990-01-26 1993-11-02 Konica Corporation Cleaning device for 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US5132654A (en) * 1990-06-01 1992-07-21 Eastman Kodak Company Device for facilitating receiver member separation
US5309202A (en) * 1990-07-26 1994-05-03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DE69115586T2 (de) * 1990-07-26 1996-06-13 Konishiroku Photo Ind Bilderzeugungsgerät
US5339144A (en) * 1990-08-31 1994-08-16 Sharp Kabushiki Kaisha Recording paper separating device with constant current control
JP3131991B2 (ja) * 1990-09-27 2001-0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ユニット及び画像記録装置
KR950001428Y1 (ko) * 1990-09-29 1995-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사진장치의 감광드럼 보호커버 개폐장치
US5250989A (en) * 1990-11-10 1993-10-05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tachable process cartridge with protective transfer zone cover
JPH04323664A (ja) * 1991-04-23 1992-11-12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そのプロセスユニットを使用する画像記録装置
JPH05224476A (ja) * 1991-12-20 1993-09-0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675439A (ja) *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10264A (ja) * 1992-09-28 1994-04-22 Fujitsu Ltd 画像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992788B2 (ja) * 1992-10-22 1999-12-20 三田工業株式会社 トナー像転写手段を備えた画像生成機
JP2961472B2 (ja) * 1992-10-22 1999-10-12 三田工業株式会社 トナー像転写手段を備えた画像生成機
US5353098A (en) * 1992-11-24 1994-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inting apparatus having a rotatable protective cover for a developer carrier roller therein
JP2910580B2 (ja) * 1993-10-19 1999-06-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400121A (en) * 1993-12-07 1995-03-21 Hewlett-Packard Company Belt-type photoconductor replacement apparatus
GB2297721B (en) * 1994-09-30 1996-12-04 Ricoh Kk A single process unit for use in an image forming process
JPH10222043A (ja) * 1997-02-03 1998-08-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231758A (ja) * 1997-11-17 1999-08-27 Canon Inc シャッター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GB2337483B (en) * 1998-05-22 2001-08-15 Green Cartridge Company Ltd Retractable shield for a photosensitive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8461A (en) * 1980-11-22 1982-06-02 Canon Inc Picture formation device
DE3220538A1 (de) * 1981-06-02 1982-12-23 Canon K.K., Tokyo Bilderzeugungsgeraet
US4462677A (en) * 1981-06-2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using a process unit with a protective cover
US4591258A (en) * 1981-12-22 1986-05-27 Canon Kabushiki Kaisha Safety means for process kit
US4575221A (en) * 1982-05-20 1986-03-1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k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4588280A (en) * 1982-08-17 1986-05-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detachably mountable thereto
JPS5960456A (ja) * 1982-09-30 1984-04-06 Fujitsu Ltd 印刷装置
US4579441A (en) * 1982-12-03 1986-04-01 Xerox Corporation Detacking apparatus
US4583844A (en) * 1983-09-19 1986-04-22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Image recording apparatus with separable upper and lower sections and displaceable paper feed unit
JPS6151168A (ja) * 1984-08-20 1986-03-13 Sanyo Electric Co Ltd 静電記録装置
US4563078A (en) * 1984-08-31 1986-01-07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ographic apparatus frame with plural alternative mounting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512A (ko) 1987-12-23
EP0247602A1 (en) 1987-12-02
DE3787289T2 (de) 1994-11-03
DE3787290T2 (de) 1994-02-03
EP0247602B1 (en) 1990-12-27
US4908668A (en) 1990-03-13
DE3787290D1 (de) 1993-10-07
DE3787289D1 (de) 1993-10-07
US4829334A (en) 1989-05-09
DE3767033D1 (de) 1991-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9114B1 (ko) 상 형성기
EP0249928B1 (en) Image forming machine
EP0110398B1 (e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KR930006449B1 (ko) 화상형성장치
US4478506A (e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opy sheet transfer arrangement
US4965639A (en) Toner supply cartridge for reproduction and printing machines
US4875077A (en) Image-forming machine
US4386845A (e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JPS62278575A (ja) 画像生成機
JP3664771B2 (ja) 画像形成装置
JP3341107B2 (ja) 画像形成機
JPS6242267B2 (ko)
JP3291646B2 (ja) 画像形成機
EP0351894B1 (en) Image-forming machine
JP3528483B2 (ja) 把手構造
JPH0119141Y2 (ko)
JPH0532850Y2 (ko)
EP0351893B1 (en) Image-forming machine
JPS63161462A (ja) 画像生成機
JP3269328B2 (ja) 現像フレーム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複写装置
JPH0355964Y2 (ko)
JP2507262B2 (ja) 静電複写装置
JP2632481B2 (ja) 画像生成機
JPH0353228Y2 (ko)
JPH0614233Y2 (ja) 画像生成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