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932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932B1
KR900008932B1 KR1019860010770A KR860010770A KR900008932B1 KR 900008932 B1 KR900008932 B1 KR 900008932B1 KR 1019860010770 A KR1019860010770 A KR 1019860010770A KR 860010770 A KR860010770 A KR 860010770A KR 900008932 B1 KR900008932 B1 KR 90000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rying
value
detection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277A (ko
Inventor
쓰네히로 무라마쓰
가쓰하루 마쓰오
도미오 홋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2385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15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3857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9239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6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6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6Target humidity for the drying process, e.g. very-dry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조기
제1, 2, 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며, 제1도는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표시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건조기 전체의 횡 단면도.
제4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제4도는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5도는 전체의 회로도.
제6도는 건조운전 전체를 나타낸 플로우 차아트.
제7도는 예측시간결정 루우틴(routine)을 나타낸 플로우 차아트.
제8도는 저항 값 검출 신호의 파형도.
제9도는 포량(布量)과 접촉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10도는 의류의 건조율과 저항값과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11도는 접촉율 및 건조율과 건조운전의 소요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12도는 제6도에 나타낸 건조율 검지부루우틴을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 차아트.
제13, 14도는 각각 검출전압의 데시벨(decibel)시간 값으로의 변환비를 나타낸 도면.
제15, 16도는 제12도에 나타낸 플로우 차아트의 경우에 있어서의 검출 전압의 출력상태를 의류량이 다른 경우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제16도에 나타낸 건조율 검지부루우틴을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 차아트.
제18, 19도는 각각 제17도에 나타낸 플로우 차아트의 경우에 있어서의 검출전압의 출력상태를 의류량이 다른 경우에 관해서 나타낸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1, 22도는 제20도의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 검출 전압의 출력 상태를 의류량이 다른 경우에 관한 도면.
제23도는 제20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회로에 의해서 실행되는 제어용 프로그램의 전체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아트.
제24도는 제23도에 나타낸 건조운전시간 예측 부루우틴의 상세한 플로우 차아트.
제25도는 제23도에 나타낸 건조율 검지부루우틴의 상세한 플로우 차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21 : 검출전극 11 : 포량검출회로
12 : 운전시간표시회로 13 : 표시장치
15 : 건조율검출회로 18 : 감산표시회로
19 : 운전제어회로 22 : 저항값 검출회로
23 : 피이크홀드(peak hold)회로 25 : 마이크로컴퓨터
26 : 시간표시부 32 : 직류전원회로
35 : 분압비변환회로 40 : 연산증폭기
185 : 순시값검출장치 187 : 전압변환회로
189 : 버퍼앰프 197 : 접촉검지회로
199 : 기준전압발생회로 201 : 비교기
203 : 안정화전환회로
본 발명은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건조기는 사용자가 타이머 장치를 셋트해서 건조운전시간을 설정하고 그 건조운전시간을 설정하고 그 건조운전시간의 경과후에 건조운전을 끝내고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최근 건조실내의 의류 등이 소정된 건조율로 되었다는 것을 검출해서 건조운전을 자동적으로 끝내는 건조기가 제공되어있다.
그러나, 이 건조기에 있어서도 사용자는 건조운전이 언제쯤 끝나는지 모르므로 건조운전이 끝났는지도 모르고 여열(余熱)이 남아있는 건조실내에 의류등을 장시간 방치해서 구김살을 만들고 마는 일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일본국 특공소 60-48198호의 「건조기」(발명자 : 미쓰와(三輪), 출원일 : 1979. 4. 28)에 기재되어있다.
전술한 문헌에는 배기 온도의 상승된 정도를 검지하도록 설치되어 그 검지결과 및 미리 기억된 예측되는 나머지 시간 데이터에 따라서 전술한 건조운전의 나머지 소요시간을 예측하는 나머지 시간 예측장치와, 건조물의 건조율을 검지해서 나머지 소요시간을 결정하는 나머지 시간 결정장치와 각각의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설치하고 각각의 표시 상호간에 시간표시 정지기간을 설치한 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실개소 55-153097호의 건조기(발명자 : 야마우찌(山內), 출원일 : 1979. 4. 23일)는 건조기로부터 배기 온도의 상승 정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장치와, 건조운전 개시 당초에 있어서의 전술한 배기온도의 상승정도에 따라서 건조운전의 나머지 소요시간을 예측하는 나머지 시간 예측장치와 이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설치한 건조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실개소 60-27896호의 「건조기용포량 검출장치」(발명자 : 홋다 출원일 : 1983. 6. 29)는 회전 실내에서 확산되는 피 건조포가 접촉되는 전극을 막 갖추고, 그 접촉에 의해서 펄스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회로와, 이 펄스 발생회로의 펄스 발생 빈도를 판정하는 판정장치로된 건조기용포량 검출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즉, 건조실로부터의 배기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설치해서 건조운전의 개시 당초인 건조실내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온도를 검출하여 그 상승정도를 측정한다.
이 상승 정도에 따라 건조운전의 소유시간이 예측되며 예측시간이 표시장치에 표시된다.
건조운전의 개시 당초에 있어서의 배기온도의 상승 속도가 늦을 경우에는 건조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경험측에 따라서 소요시간이 예측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표시장치를 보므로서 운전 당초에는 건조운전의 대강의 소요시간을 알 수 있으므로 다른 장소에서 다른 작업을 하면서 건조운전이 끝날 무렵에 맞추어서 되돌아오면 건조된 의류등을 바로 건조실내에서 꺼낼수가 있어서 실용적으로 편리하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도 또한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우선, 젖은 의류의 열 용량은 상당히 크므로, 배기 온도가 상승할 때까지 긴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실용적으로 견딜 수 있는 예측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10 내지 20분 정도를 필요로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건조운전이 시작되어서부터 10 내지 20분까지는 예측 시간을 알 수가 없어서 표시가 나타날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따라서, 모처럼의 예측기능을 충분히 살릴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더운물을 사용해서 세탁을 하는 등에 의해서 건조기에 투입된 의류가 당초로부터 따뜻할 경우에는 배기온도가 조기(早期)에 급상승하게 되므로 소요시간의 예측값이 실제로 필요하게 되는 운전 소요시간과 매우 달라지게 되고 만다.
이와 같은 예측방식으로는 외기온도, 습도 또는 전원 전압등에 의해서 예측값이 영향을 받아 예측제도를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을 극력 정확하고 또한 신속하게 예측해서 표시 또는 방치시킬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조기는 건조실을 구성하는 드럼내에 면해서 드럼내의 의류등이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검출 전극과, 전술한 드럼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전술한 의류등의 전술한 검출 전극으로의 접촉 정도에 따라서 전술한 의류등의 양을 검출하는 포량 검출 장치와, 전술한 포량 검출장치에 의해서 검출된 포량에 따라 예측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장치와, 그리고 전술한 예측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예측 소요시간 표시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운전시 실행에 따르는 온도변화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며, 검출 전극으로의 의류등의 접촉에 따라 예측하는 것이므로 신속성이 우수하며 또한 주위조건의 변동등에 의한 오차의 발생이 적다.
아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하여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로 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저건조기를 외부상자(1) 및 건조실을 구성하는 드럼(2)을 갖추고 있다. 드럼(2)의 전후 양단면에는 지름이 큰 트여진 부분(2a), (2b)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쪽의 트여진 부분(2a)은 외부상자(1)의 전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고리모양 지지판(3)의 외주부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후면쪽의 트여진 부분(2b)은 외부상자(1)의 후면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편평한 케이싱(casing)(4)의 외주부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결과 드럼(2)은 외부상자(1)내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편평한 케이싱(4)은 뒷면이 배방형이며, 내부에 두 날개 모양의 팬(5)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2) 및 팬(5)은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팬(5)이 회전하게 되면 린트필터(lint filter)(6)를 통해서 드럼(2)내의 공기가 케이싱(4)의 전체면의 중앙에 형성된 홉기구(4a)로부터 케이싱(4)내로 흡인되고, 히터(7)에 의해서 가열되어서 재차 드럼(2) 내로 되돌려진다.
이와 동시에 외부상자(1)외의 공기가 외부상자(1)의 뒷면부에 형성한 외기 흡입구(1a)로부터 케이싱(4)내로 흡입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해서 팬(5)의 앞면쪽을 흐르는 드럼(2)내의 공기와 열 교환한 다음에 외부상자(1)의 뒷면에 형성한 외기 배출구(1b)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지지체(8)가 고리모양의 지지판(3)의 하부에 고정 되어있고, 한쌍의 검출전극(9)이 지지체(8)에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체(8)에는 한쌍의 검출전극(9)이 고정되어있다.
검출전극(9)은 드럼(2)내에 면해 있어서 드럼(2)내로 투입된 의류가 접촉할 수 있는 배치이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출전극(9)의 한편은 직류의 정 전압이 인가된 직류 전원라인(1+)에 접속되며, 다른 편은 저항(10)을 거쳐서 접지선(GND)에 접속되어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포량 검출회로(11)는 드럼(2)의 회전시에 있어서의 검출전극(9)으로 의류의 접촉도등에 따라 포량을 검출할때에 출력되는 펄스 신호를 카운트해서 포량을 검출하는 구성이다.
운전시간 표시회로(12)는 포량검출회로(11)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그 포량의 의류를 건조시키는데 필요한 표준적인 시간 즉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을 미리 기억시킨 데이터에 따라 산출하고, 이것을 예측시간으로서 표시 장치(13)에 표시시킨다.
표시장치(13)는 외부상자(1)의 앞면 하부에 설치된 조작 패널(14)에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8개의 발광 다이오드(13a-13h)를 가로로 일렬로 배치구성시키고, 조작패널(14)중 각 발광 다이오드(13a-13h)의 윗쪽 부위에는 왼쪽것부터 차례로「3H」,「2H」,「1H」,「30분」,「20분」,「10분」,「5분」,「완료」의 각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운전 소요시간이 예를 들면 3시간일 경우에는 3H라고 표시된 발광다이오드(13a)만이 점등되며, 예를 들면 2시간 15분일 경우에는 2H,「10분」및「5분」이라고 각각 표시된 발광다이오드(13b)(13f)(13g)가 동시에 점등된다.
다음에 "15"는 건조율 검출회로로서, 이것은 검출 전극(9)사이에 접촉되는 의류의 건조율에 의해서 그 저항값이 다른것을 이용하여 그 저항값에 따라 의류의 건조율을 검출해서 소정된 건조율 예를 들면 95%로 되었을때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더구나, 의류의 건조율이 약 95%로 되면 검출전극 (9)사이에 접촉되는 의류의 저항값은 급격하게 크게 된다. "16"은 건조 정도의 설정장치로서, 이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최종적인 건조율 즉 목표로 하는 건조정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조작패널(14)에 설치한 예를 들면 3개의 조작버튼(16a)(제3도중에 1개만 표시)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누르면 미리 정해진 여러개의 목표로 하는 건조 정도중의 어느 것인가가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여기에서 미리 정하여진 목표로 하는 건조의 정도로서는 표준적인 건조율로 되는「표준」건조의 정도 외에 그것에 비해서 두꺼운 것의 건조에 가장 적합한 정성들인 건조의 정도와, 반대로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운동 종료후에 예를 들면 다리미질을 하는데 적합한「다리미」건조의 정도가 있다.
"17"은 나머지 시간 결정 회로로서, 이것은 건조율 검출회로(15)로부터 검출신호를 받게되면 그것에 의해서 검출된 건조율과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목표로 하는 건조의 정도에 따라서 그 다음에 필요로 하는 건조운전시간 즉 나머지 운전시각을 결정한다.
나머지 운전시간은 본 실시예에서는「정성들인」건조의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30분으로 결정되며「표준」건조의 정도로 결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20분으로 결정되고, 또한「다리미」건조의 정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5분으로 결정된다.
(18)은 감산 표시회로로서 이것은 시간을 계산하는 기능이 있으며 전술한 나머지 시간 결정회로(17)에 의해서 결정된 시간을 시간의 경과와 동시에 점차 감산하고, 이것은 당초에 표시된 예측시간 대신에 표시장치(13)에 표시된다.
(19)는 운전제어 회로로서 이것은 모우터 및 히터(7)를 통단전 제어하는 것으로써 전술한 나머지 운전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감산표시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정지신호를 받게 되면 히터(7)를 단전해서 냉풍운전을 한 다음 모우터를 정지시켜서 건조운전을 끝내는 구성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드럼(2)내에 의류를 투입하고 조작버튼(16a)을 눌러서 원하는 건조정도, 예를 들면「다리미」건조 정도를 설정하였다고 한다.
이어서 도시하지 않은 스타트 스위치를 (ON)으로 조작하게 되면 건조운전이 시작되어 드럼(2)의 회전에 따라 내부의 의류가 전동되어 검출전극(9), 사이에 접촉되므로 그 접촉의 정도에 따라 포량검출회로(11)에 의해서 포량이 판정되며 이것에 따라 운전시간 표시회로(12)에 의해서 예측시간이 산출되며 이것이 표시장치(13)에 표시된다.
이것으로서 사용자는 건조운전이 언제쯤 끝나는 가의 짐작을 하고 다른 작업에 옮겨갈 수가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이 경우, 배기온도의 변화에 따라 예측시간을 산출하는 종래의 방식에서는 그 시간이 표시될때까지 어느정도 기다리게 된다는 불편이 있었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운전의 개시직후에 그것이 표시되므로 더 한층 편리하다.
그 다음에 의류의 건조가 진행되어 그 건조율이 약 95%가 되면 건조율 검출회로(15)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므로 나머지 시간 결정회로(17)에 의해서 나머지 운전이 5분으로 결정되어 이것에 따라 감산표시회로(18)에 의해서 표시장치(13)의 발광 다이오드(13g)가 점등되어 나머지 5분으로 건조운전이 종료되는 것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하여 표시된 나머지 운전시간 5분은 의류의 건조율이 소정된 값으로 도달된 것에 따라 설정되어 있으므로 정확하고 사용자는 나머지 5분으로 건조운전이 종료되는 것을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5분 경과하게 되면 다림질에 적합한 건조율로 건조운전이 종료되므로, 사용자는 드럼(2) 내로부터 의류를 꺼내어 다림질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운전이 시작되게 되면 즉시 예측시간이 표시되므로 건조운전이 언제쯤 끝나는 가의 짐작을 빨리 할 수가 있어서 실용상 매우 편리하다.
더구나 드럼내의 의류를 투입하여 원하는 건조 정도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포량 설정은 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건조 운동을 끝낼 수 있는 동시에 목표로 하는 건조정도의 설정에 의해서 원하는 건조정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건조후에 다림질을 할 경우나, 의류의 종류에 따르는 건조를 하려고 할 경우등에 매우 이용가치가 높고 전술한 사정과 곁들여서 실용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나머지 시간설정회로(17)에 의해서 나머지 운전시간을 결정함에 있어서 건조의 정도 설정 장치(16)에 의해서 설정된 목표로 하는 건조운전도에 따라서만 결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된 건조율에 도달되어서도 계속 시켜야 할 적절한 운전시간은 포량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는 것을 고려해서 포량검출회로(11)에 의해 검출된 포량을 이용하여 그 포량 및 목표로 하는 건조 정도의 양쪽에 따라서 나머지 운전시간을 결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밖에 예를 들면 표시장치는 7세그멘트형의 숫자 표시기를 사용하는 등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실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제4도 내지 제11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건조기의 구조에 관해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전기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더구나 제1의 실시예에서는 포량검출회로는 검출 전극의 의류로의 접촉횟수에 따라 포량을 검출하는 구성을 채택하였으나 제2의 실시예에서는 검출 전극의 포량으로의 접촉시간에 따라 포량을 검출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검출된 건조율과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목표로 하는 건조 정도에 따라 나머지 운전시간이 선정되었으나 제2의 실시예에서는 검출전극으로의 의류의 접촉율 및 저항값의 쌍방에 따라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이 결정된다.
우선 전체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4도에 있어서, (21)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해서 드럼내로 면하도록 설치한 한쌍의 검출전극, (22)는 검출전극(21)들 사이의 저항값을 검출하여 그것에 따르는 전압의 저항값 검출신호(Vp)를 출력하는 저항값 검출회로, (23)은 소정된 시간내에 있어서의 저항값 검출신호(Vp)의 최대값(Vpm)을 기억하는 피크 호울드 회로, (24)는 접촉검출회로로서 이 접촉 검출회로 (24)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저항값 검출신호(Vp)가 소정된 전압 레벨(Vs)을 초과할때에 높은 레벨의 접촉검출신호(Vt)를 출력한다.
(25)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이것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을 산출해서 이것을 예측시간으로서 시간 표시부(26)에 표시하는 동시에 구동 제어회로(27)를 거쳐서 히이터(28), (29) 및 전동기(30) 등을 제어하여 소정된 건조운전을 실행시키는 것이다.
더구나 (31)은 운전코스 설정 스위치 및 스타트 스위치등으로된 스위치군이다. 그리고 제5도에는 본 실시예의 전기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 도면에 나타난(32)는 정류회로로서 이것의 라인(L+) 및 라인(L-)에는 접지선(GND)의 사이에 +, -의 직류 정전압(예를 들면 +15V, -5V)이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저항값 검출 회로(22)는 한편의 검출 전극(21)을 라인(L+)에 접속하는 동시에 다른편의 검출전극(21)을 저항(33)을 거쳐서 접지선(GND)으로 접속하고 그 저항(33)과 검출 전극(21)의 공통 접속점을 볼테이지 팔로우어(voltage follower) 형으로 구성된 연산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3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검출전극(21) 사이에 젖은 의류가 접속하게 되면 그 등가저항과 저항(33)에 의해서 라인(L+)의 전압이 분압되어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되며 따라서 연산증폭기(34)의 출력단자로부터는 검출전극(21)에 접속된 의류의 저항값에 따른 전압값의 저항값 검출신호(Vp)가 출력된다.
(35)는 분압비변환 회로로서 이것은 저항(33)과 병렬로 저항(36) 및 FET(37)의 직렬회로를 접속하는 동시에 이 FET(37)의 게이트 전이를 트랜지스터(38)에 의해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FET(37)를 OFF시켰을때에는 저항(36)이 무효화로 되는 이유로 연산증폭기(34)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접지선(GND)과의 사이의 저항값(이하 이것을 검출 저항이라 함)은 저항(33)의 저항값에 동일하게 되며 반대로 FET(37)를 ON으로 하여서 저항(36)을 유효화하게 되면 전술한 검출저항은 저항(33)과 저항(36)의 병렬합성 저항값에 대략 동일하게 된다. 더구나 저항(33)의 저항값은 건조율이 90-95% 정도의 의류의 등가저항과 같은 정도의 수 MΩ 으로 설정된다.
저항(36)의 저항값은 저항(33)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었을때의 합성 저항 값이 건조율 55-75%에 상당하는 의류저항에 의해서 작은값 즉 20KΩ 정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39)는 의류로부터의 정전기등으로 기인하는 외부로부터 발생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콘덴서이다. 다음에 피이크 호울드 회로(23)는 역시 볼테이지 팔로우어형으로 구성하여 저항값 검출신호(Vp)를 받는 연산증폭기(40)의 출력단자에 다이오드(41)를 거쳐서 콘덴서(42)를 접속하고 동시에 이 콘덴서(42)와 병렬로 저항(43) 및 트랜지스터(44)를 직렬로 연결한 방전회로를 접속해서 구성되고, 이 콘덴서(42)의 단자 전압은 역시 볼테이지 팔로우어형으로 구성한 연산 증폭기(45)를 거쳐서 마이크로컴퓨터(25)의 A/D 변환단자 A/D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44)는 예를 들어 매 10초마다 ON으로 되어서 콘덴서(42)를 방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25)의 단자 A/D에 저항값 검출신호(Vp)의 매 10초마다의 최대값(Vpm)이 입력되도록 된다.
한편, 전술한 접촉 검지회로(24)는 연산증폭기(46)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저항값 검출회로(22)의 연산증폭기(34)의 출력단자를 접속하는 동시에 반전입력단자(-)에 라인(L+)과 접지선(GND)의 사이에 직렬접속한 저항(47)(48)의 공통접속점을 접속해서 콤퍼레이터 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저항값 검출회로(22)로부터의 저항값 검출신호(Vp)가 저항(47)(48)의 분압비에 의해서 정해지는 기준전압(Vs)을 초과할 때에 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력단자(It)에 높은 레벨의 접촉 검출신호(Vt)를 출력하게 된다.
더구나 49는 마이크로컴퓨터(25)로의 공급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정전압 IC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것으로 인해서 마이크로컴퓨터(25)의 기능적 구성이 보다 명확화 될 것이다.
더구나 전술한 마이크로컴퓨터로서는 예를 들면 도시바 제4비트 마이크로컴퓨터 TMP-47C 441AN을 적용할 수 있다.
스위치군(31)중의 스타트 스위치가 온으로 조작되게되면, 건조운전이 제6도의 플로우 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행된다.
운전 시작에 앞서 코스 실정 스위치에 의해서「타이커 코오스」가 설정되어 있으며 스텝(51)에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6도의 판단스텝(61)에 있어서「YES」로 되므로 히이터(28), (29) 및 모우터(30)에 통전되어서 드럼내에 온풍을 공급하면서 드럼을 회전시키는「타이머 건조 운전」이 타이머에 설정된 설정시간으로부터 냉풍운전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킨 시간만큼 실행되고(스텝 53), 그 다음에 냉풍운전(스텝 67) 및 소프트 키이프(soft keep)운전 (스텝 69)으로 차례로 이행된다.
여기에서 냉풍 운전이라 함은 히이터(28), (29)를 단정한 상태에서 모우터(30)에 통전되어 드럼내에 냉풍을 보내면서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건조후의 의류를 서서히 냉각하는 동작을 말하며, 소프트 키이프 운전이라 함은 건조후의 의류가 소정된 시간을 경과하여도 드럼내로부터 끄집어 낼 수 없을 경우에 드럼을 소정된 매 시간마다 회전시켜서 의류에 구김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작을 말한다.
더구나 냉풍 운전이 끝난 다음에 즉시 의류가 드럼내로부터 끄집어내어졌을 경우에는 소프트 키이프 운전을 실행되지 않는다.
한편, 타이머 코오스 이외의 예를 들면 표준 코오스 다리미 코오스 등의 자동운전형의 코오스가 설정되었다고 하면, 제6도의 스텝 51에 있어서 「NO」가 디므로 자동운전 개시 스텝으로 이행되어서 히이터(28), (29) 및 모우터(30)에 통전되어서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내부에 온풍이 공급된다.
그리고 즉시 스텝 55의 예측시간 결정 루우틴으로 이행되어서 다음에 설정하는 바와 같이하여 건조 운전의 소요시간이 결정되며 이것이 예측시간으로서 시간표시부(26)에 표시된다.
이 예측시간 결정 루우틴에서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접촉률 측정기간에 있어서 검출전극(21)으로의 의류의 접촉률을 측정해서 이 기간이 경과후, 저항치 측정기간에 있어서 의류의 저항치를 측정하고 이어서 이 접촉률 및 저항값에 따라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예측시간)이 결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을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접촉율의 측정
예측시간결정 루우틴으로 이행하게 되면, 제7도의 스텝 71에 있어서 접촉률 측정기간(예를 들면 2분)이 경과 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면 당초에 「NO」로 되어서 스텝 73에 있어서 저항값 검출회로(22)에 있어서의 분압비 변환회로 (35)의 FET(37)가 오프된다.
이것으로 인해서 저항(36)이 무효화 디어서 검출 저항이 건조운전 개시 당초의 의류의 등가저항(150KΩ 정도) 보다도 충분히 큰 수 MΩ으로 된다.
이 결과, 검출전극(21) 사이에 의류가 접촉할때마다 의류의 등가저항과 저항(33)에 의해서 분할된 라인(L+)의 전압이 검출전극(21)으로부터의 출력신호로서 연산증폭기(34)의 비반전입력단자(+)로 입력되며 이것으로 연산증폭기(34)의 출력단자로부터 의류의 접촉상황에 따라서 저항값 검출신호(Vp)로서 예를 들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파형이 출력된다.
그렇게되면 이 저항값 검출신호(Vp)는 접촉 검출회로(24)의 연산증폭기(46)의 비반전 입력 단자(+)로 부여되므로 그 저항값 검출 신호(Vp)가 연산증폭기(46)의 반전입력단자(-)로 부여되어 있는 기준전압(Vs)보다 더 높을 때에만 출력단자로부터 높은 레벨로 되는 접촉검출신호(Vt)가 출력된다.
여기에서 기준전압(Vs)은 건조초기에 있어서의 저항값 검출신호(Vp)의 피이크 값보다도 훨씬 낮은 예를 들면 0.1 내지 1볼트 정도로 설정되어 있으며(제8도 참조), 따라서 접촉검출신호(Vt)가 출력되는 기간은 의류가 검출전극(21)에 접촉되어 있는 기간에 대략적으로 비례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단시간내에 의류가 검출전극(21)에 접촉되는 시간의 비율(본 명세서에서는 이것을「접촉률」이라 칭한다)은 당시간내에 접촉검출신호(Vt)가 출력되는 비율로 비례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스텝 75에 있어서 예를 들면 8m sec의 시간만 대기시키고 그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다음의 스텝 77로 이행해서 접촉검출신호(Vt)가 높은 레벨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높은 레벨일때에만 마이크로컴퓨터(25)의 RMA내에 구성한 카운터를 가산한다.
그 다음에 제6도의 스텝 57에 있어서「NO」로 되므로 재차 예측시간 결정 루우틴의 당초로 되돌아가서 접촉률 측정기간(2분)이 경과할때까지 이상의 스텝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접촉검출회로(24)로부터 접촉검출신호(Vt)가 출력될 경우에는 매 8m sec마다 마이크로컴퓨터(25)내의 카운터가 가산되기 되므로 결국 접촉률 측정기간(2분) 경과후의 카운터의 카운터의 곱셈값은 그 기간내에 접촉검출신호(Vt)가 출력되고 있는 시간의 비율 나아가서는 의류의 검출 전극(21)로의 접촉율을 나타내게 된다.
접촉율 측정기간이 경과되어서 접촉율의 측정이 끝나게 되며, 「예측시간결정」루우틴에 있어서의 스텝(71)이「YES」로 되어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하여 의류의 저항값이 측정된다.
(2) 저항값의 측정
여기에서는 우선 스텝 81에 있어서 저항값 검출회로(22)에 있어서의 분압비 변환비로(35)의 FET(37)가 온으로 되어서 저항(36)이 유효화된다. 이 결과 검출저항은 약 20KΩ 이라는 낮은 값으로 된다.
이어서 제7도에 있어서 스텝 83에 있어서의 저항값 샘플링 시간(예를 들어 10초)이 경과되고 이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경과되지 않았을 때에는 다음의 스텝(89)로 이행해서 저항치 측정시간이 경과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저항값 측정 개시의 당초는 저항값 측정시간이 아직 경과되고 있지 않으므로 스텝(89)에 있어서「NO」로 되고 제6도의 판단스텝(57)로 이행되어서 재차 예측시간결정 루우틴의 당초로 되돌아간다.
또한 판단스텝 83에 있어서 샘플링 시간(10초)이 경과되고 있으며 스텝(85)에 있어서 피이크 호울드 회로(23)로부터의 최대값(Vpm)을 단자(A/D)로부터 판독하여 스텝(87)에 있어서 이것을 A/D 변환하여서 곱셈하여 재차 스텝(89)를 거쳐서 스텝(89)의「YES」로 될 때까지 최대값(Vpm)의 곱셈을 반복한다.
여기에서 마이크 호울드 회로(23)로부터 매 10초마다 판독되는 최대값(Vpm)은 그 사이에 검출전극(21)사이에 접촉된 의류의 저항값에 반비례 되어 있다.
따라서 저항값 측정기간내에 있어서의 최대 값(Vpm)의 곱셈값은 그 기간에 있어서의 의류의 저항값에 반비례하므로 그 적산값에 따라 의류의 저항값을 추측할 수 있게 된다.
저항값 측정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7도에 있어서의 스텝(89)이「YES」로 되므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하여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예측시간)이 결정된다.
(3) 건조운전의 소요시간결정
우선 제7도 스텝(91)에 나타낸 바와 같이 Vpm의 곱셈값이 판정된다. 이것은 의류의 저항값 즉, 건조율의 판정의 의미가 있다.
의류의 건조율(W)과 검출전극(21) 사이의 저항값과의 관계는 본 발명자등에 의해서 실험적으로 명백해져 있으며 이것을 제10도에 나타내었다.
동일한 도면에 있어서 건조율(W)「%」는 건조되지 않은 천의 중량의(W) 완전 건조된 천의 중량을(Wo)로 하였을때에 W=(Wo/W)×100으로 되도록 정의되어 있으며 건조율(W)이 크게 되는데 따라서 저항값이 급속히 크게 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어서 제7도 스텝(9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 곱셈값 즉, 접촉율이 판정된다. 이것은 포량판정의 의미가 있다. 포량(건조시의 의류중량)과 접촉율과의 관계는 역시 실험적으로 명백하게 되어 있으며 건조율(W)이 50%, 75% 및 85%의 각 경우에 대해서 제9도에 도시되어있다.
여기에서는 건조율이 50% 내지 75%의 범위내에 있을때에는 접촉율은 건조율에 과히 영향을 받지 않으며 포량에만 의존된다는 것이 명백하게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탈수기에 의해서 탈수된 의류는 건조율이 55% 내지 65%의 범위에 있으므로 접촉율에 의해서 포량을 상당한 정확도까지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일 마지막에 전술한 바와같이 판정한 의류의 접촉율과 저항값에 따라서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이 결정된다.
이들의 관계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는 것이 실험적으로 명백하게 되어 있으며 이 관계가 마이크로컴퓨터(25)의 ROM내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제7도의 스텝(95)에 있어서 이미 판정된 접촉율과 건조율(w)에 따라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이 판독되며 이것이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으로서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서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이 결정되게 되면 제6도의 판단스텝(57)에 있어서「YES」로 되므로 이어서 이것이 예측시간으로서 시간표시부(26)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예측건조 운전시간」은 건조운전의 진행에 따라 감산표시된다.
그 다음 의류가 소정된 건조율(예를 들면 90% 내지 95%)에 도달될때까지「건조율 검지」루우틴이 실행된다.
이 「검조율검지」 루우틴에서는 검출 전극(21)사이에 접촉되는 의류의 저항값에 따라 건조율이 측정된다.
이하 건조율 검지 루우틴에 대하여 제12도 내지 제19도를 참조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우선 건조율 검지 루우틴으로 이행되었을때에는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터값(tn)을 초기 시간(Tz)에 대응한 값으로 설정한 다음에 소정시간 M식의 대기루우프를 형성하는 판단스텝(97), 예측시간용 내부 타이머의 설정 시간을 감산하는 타이머 감산 스텝(99), 전술한 감산용 카운터의 카운터값(tn)을 1스텝분만 감소하는 카운터 감소스텝(101)을 차례로 실행한다.
이 다음의 판단스텝(103)에서는 카운터 값(tn)이 0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NO」의 경우에는 판단스텝(97)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카운터 값(tn)이 0으로 될 때까지의 동안 각스텝(97), (99), (101), (103)을 실행하는 루우프가 형성된다. 그리고 판든스텝(103)에서 「YES」로 판된되었을 때에는 다음의 판단 스텝(105)에서 검출전압(Vd)의 피이크전압(Vdp)과 비교용 기준전압(Vr)(이 경우 다림질용 기준전압 Vr2가 설성되어있다)이 비교되며 Vdp>Vr1일 때에 디지틀 시간값 연산루우틴(107)으로 이행된다.
이 디지틀 시간값 연산루우틴(107)에서는 입력된 피이크전압(Vdp)를 그 레벨에 비례된 길이의 디지틀 시간값(Tn)으로 변환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내는 관계에 따라서 의류량이 적을 경우일수록 디지틀 시간값(Tn)으로의 변환비를 크게 하도록 되어있다.
이것에 계속되는 카운터값 변경스텝(109)에서는 전술한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터 값(Tn)을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된 디지틀 시간값(Tn)으로 변환되고 그 다음에는 트랜지스터(44)로 ON지령 신호(Son)을 부여해서 이것을 ON으로 되게하는 피이크 호울드 해제 스텝(111)을 거쳐서 판단스텝(97)으로 되돌아간다.
그래서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44)가 ON되었을 경우 콘덴스(42)의 충전 전하가 급속하게 발전되어서 피이크 전압(Vdp)의 지지가 해제되는 것이다.
요컨데 전술한 바와 같은 각 스텝 및 루우틴(97-111)이 반복되어 시행되므로서 우선 초기시간(T2)가 경과할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피이크전압(Vdp)이 연산증폭기(40)에 지지되고 이 상태에서 전술한 피이크전압(Vdp)이 디지틀 시간값(Tn)으로 변환되어서 이것이 감산용 내부 카운터에 카운트값(Tn)으로서 갱신 기억된 다음에 피이크 호울드회로(23)에 의한 피이크 전압(Vdp)의 지지가 해제된다.
또한 그 다음에는 소정된 조건이 성립되었을때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갱신기억된 카운트값(tn)에 상당하는 시간이 경과되었을때에 그 기간에 있어서의 피이크 전압(Vdp)을 새로 변환해서 얻어지는 디지틀 시간값(Tn)이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tn)으로서 갱신 기억되며 또한 피이크 호울드 회로(23)에 의한 피이크 전압(Vdp)의 지지가 해체되는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다.
더구나 제15도 및 제16도에는 검출전압(Vd)이동 도면중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변화되었을때에 있어서의 갱신 카운트 값(tn)에 대응한 시간값의 한 예(의류량이 비교적 많을 경우와 적을 경우의 각 예)를 각각 ta1, ta2… 및 t'a1, t'a2…로 나타내었다.
그렇게 해서 열풍건조 운전의 진행에 따라서 의류의 건조율이 다람질에 적합한 값으로 되면 검출전압(Vdp) 및 다람질용 기준전압(Vr1)이 (Vdp
Figure kpo00001
Vr1)의 관계로 되어서 판단스텝(105)에서 NO로 판단되므로서 다람질 플래그 즉, 다람질하기에 적당한 다람질 코스 선택용 스위치가 눌리면 「1」로 셋팅되는 플래그 AF가 「1」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스텝(113)으로 이행된다.
이 판단스텝(113)에서 NO로 판단되었을때에는 판단스텝(115)에서 「다람질코오스」가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이루어지며 또 「YES」의 경우에는 건조 완료(소정된 건조율 검지) 신호(Sx)를 출력하는 종료검지스텝(127)을 실행하여 건조상태 접지 검지 루우틴이 종료된다.
또한 판단스텝(115)에서 NO로 판단되었을 경우 스텝(123)에 있어서 다람질 플래그를 1에 셋트하고 스텝(125)에 있어서 기준전압을(Vr2)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각 스텝(123, 125)이 실행된 후에는 피이크 전압(Vdp) 및 통상 건조용 기준전압(Vr2)이 Vdp
Figure kpo00002
Vr2의 관계로 되어 판단스텝(105)에서 NO로 판단될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전술한 스텝 및 루우틴(97 내지 111)이 반복 실행된 다음에 전술한 판단 스텝(113)으로 이행되어서 여기에서 「YES」로 판단된 것이며 이 경우에는 마무리 건조 운전시간 설정 루우틴으로 이행된다.
이 루우틴에서는 건조 운전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의류량(W)에 따른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표시기(26)의 표시내용을 전술한 설정값에 따라 시간으로 되도록 전환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다람질 플래그 AF를 "0"으로 되돌리는 플래그 초기화 스텝(119) 및 기준전압 초기화 스텝(121)을 실행한 다음에 전술한 건조종료 신호(Sx)를 출력하는 종료검지스텝(127)을 실행해서 건조율 검지 루우틴을 종료하게 된다.
제17도 내지 제19도에는 제12도 내지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건조율 검출 루우틴의 다른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하 이에 대하여 제12도 내지 제16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 실시예의 하드웨어 구성은 전술한 제5도와 동일한 것으로서 마이크로컴퓨터(25)에는 제12도 내지 제16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건조율 검출 루우틴 대신에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건조율 검지 루우틴이 기억되어 있다.
제17도에 있어서 우선 건조율 검지 루우틴으로 이행되었을 때에는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tn)을 「2」이상의 적당한 값으로 설정한 다음에 소정된 시간 M씩의 대기 루우프를 형성하는 판단스텝(129), 예측시간용 내부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감산하는 타이머 감산 스텝(131)을 차례로 실행한 후에 판단스텝(133)으로 이행한다.
이 판단 스텝(133)에서는 감산용 내부 카운터에 설정된 카운터 값(tn)이 전술한 각 실시예와 같은 디지틀 시간값(Tn)이던가 다음에 설명하는 루우틴(147)에서 설정되는 보조디지틀 시간값(Ta)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며, 이 시점에서는 YES로 판단되어서 전술한 감산용 카운터의 카운트값(tn)을 1스텝 분만 감소되는 카운터 감산 스텝(135)를 실행한다.
그 다음의 판단스텝(137)에서는 카운트 값(tn)이 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NO의 경우에는 다음의 판단스텝(139)으로 이행한다.
이 판단스텝(139)에서는 새로 입력된 피이크 전압(Vip)이 전회(前回)에 입력된 피이크전압(V'dp)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며, NO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판단스텝(129)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전술한 판단스텝(139)에서 YES로 판되었을 경우, 환언하면 전회보다 큰 피이크 전압(Vdp)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입력된 피이크전압(Vdp)를 전술한 제12도 내지 제16도의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디지틀 시간 값(Tn)으로 변환하는 디지틀 시간값 연산루우틴(141), 전술한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값(tn)을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된 디지틀 시간값(Tn)으로 갱신 기억하는 카운트값 변경 스텝(143)을 실행한 다음에 판단스텝(129)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그 다음에는 감산용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tn)이 0으로 될 때까지의 동안(판단스텝(137)에서 YES로 판단될때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전술한 각 스텝 및 루우틴(129-143)이 반복 실행되는 것이며, 그 동안에 전회보다 큰 피이크 전압(Vdp)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그 피이크 전압(Vdp)이 디지틀 시간 값(VTn)으로 변환되는 동시에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tn)이 전술한 디지틀 시간값(Tn)으로 갱신되는 것이다.
그후에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tn)이 0까지 감산 되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새로운 디지틀 시간값(Tn)의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판단스텝(137)에서 YES로 판단되어서, 트랜지스터(44)로 ON 지령신호(Son)을 부여해서 피이크 호울드 회로(23)로 인한 피이크 전압(Vdp)의 유지를 해제시키는 피이크 호울드 해제 스텝(145)을 실행한 다음에 보조 디지틀 시간값 설정 루우틴(147)으로 이행한다.
이 스텝(147)에서는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tn)으로서 일정값의 보조 디지틀 시간값(Ta)을 기억 설정하는 것이나 이 보조디지틀 시간값(Ta)은 판정된 의류량(W)이 적을 때 일수록 길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와 같은 보조 디지틀 시간값 설정 루우틴(147)의 실행후에는 판단 스텝(129)으로 되돌아가는 것이며, 따라서 이 경우에는 판단스텝(133)에서 NO로 판단되어서,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tn)(보조 디지틀 시간값(Ta)에 따르는 값)을 1스텝분 만큼 감소하는 카운트 감소스텝(149)을 실행한 다음에 판단 스텝(151)으로 이행된다.
이 판단 스텝(151)에서는, 카운트 값(tn)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며, NO의 경우에는 전술한 판단스텝(139)으로 이행된다.
따라서, 전술한 보조 디지틀 시간값(Ta)에 대응한 시간이 경과하기전에 전회보다 큰 피이크 전압(Vdp)이 입력되었을때에는 그 피이크 전압(Vdp)에 상당한 디지틀 시간값(Tn)이 감산용 내부 카운터 값(tn)으로서 갱신 기억을 하게 되어 각 스텝 및 루우틴(129-143)을 실행하는 루우프가 재형성된다.
요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각 스텝 및 루우틴(129-151)이 반복 실행되므로서, 소정의 조건이 성립될때마다 이 경우 전회보다 큰 피이크 전압(Vdp)이 입력될때마다 그 피이크 전압(Vdp) 그 피이크 전압(Vdp)에 따른 디지틀 시간 값(Tn)이 연산되어서 감산용 내부 카운터에 카운트 값(tn)으로서 갱신기억되며, 그 다음에 새로운 디지틀 시간값(Tn)의 변환이 이루어지지 않고 카운터 값(tn)이 0까지 감산되었을 때에는 피이크 호울드 회로(23)로 인한 피이크 전압(Vdp)의 지지가 해제되는 동시에 전술한 카운트 값(tn)으로서 일정값의 보조 디지틀 시간값(Ta)이 갱신기억된다.
또한, 그 다음에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되었을 때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갱신기억된 일정한값의 카운트 값(tn)에 상당한 시간이 경과될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전회보다 큰 피이크 전압(Vdp)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그 피이크 전압(Vdp)을 새로히 변경해서 얻어지는 디지틀 시간값이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값(tn)으로서 갱신기억된다는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다.
더구나, 제18도 및 제19도에는 검출전압(Vd)이 동 도면중에 나타낸 바와같이 변화되었을때에 있어서와 같이 갱신 카운트값(tn)에 대응한 시간값의 한예(의류량이 비교적 많을 경우와 적을 경우의 각예)를 각각 tb1, tb2… 및 t'b1, t'b2…로 나타내는 동시에, 보조 디지틀 시간값(Ta)에 대응한 시간값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나타내었다.
그렇게 해서,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값(tn)(보조 디지틀 시간값 Ta에 따른 값)이 0까지 감산될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새로운 디지틀 시간값(Tn)의 변환이 행하여지지 않았을 때에는 판단 스텝(151)에서 YES로 판단되어서, 판단스텝(153)으로 이행된다.
이 판단 스텝(153)에서는 피이크 전압(Vdp)와 비교용 기준전압(Vr)중 다림질용 기준전압(Vr1)이 비교되어 Vdp>Vr1일때에는 전술한 디지틀 시간값 연산 루우틴(141)으로 이행되어서 전술한 바와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건조 운전의 진행에 따라서 피이크 전압(Vdp) 및 다림질용 기준전압 Vr1이 Vdp
Figure kpo00003
Vr1의 관계로 되어서, 판단 스텝(153)에서 NO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다림질 플래그 AF가 1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스텝(155)으로 이행된다.
이 판단스텝(155)이 수행된 후에 전술한 제12도의 건조상태 검지 루우틴내의 각 스텝 및 루우틴(115), (123), (125), (117), (119), (121), (127)과 각각 동일한 판단스텝(163), 플래그 변경스텝(165), 비교용 기준 전압변경 스텝(167), 마무리 건조운전 시간 설정 루우틴(157), 플래그 초기화 스텝(159), 비교용 기준전압 초기화 스텝(161) 및 종료검지스텝(169)이 실행되어서, 특히 종료검지스텝(169)에서 종료검지신호(Sx)가 출력되어서 건조율 검지 루우틴이 종료된다.
더구나, 건조 운전의 종료기에는 저항값 검출회로(22)에 있어서의 분압비 변환회로(35)의 FET(37)가 OFF로 되어서 저항(36)이 무효화된다.
이것은 건조종료기에서는 의류의 등가 저항이 크게(MΩ 정도)되므로, 건조율 검출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지 저항의 값을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건조율 검지 루우틴에서 의류가 소정의 건조율에 도달한 것이 검출되면 「마무리 건조 운전」, 「냉풍 운전」 및 「소프트 키이프 운전」으로 차례로 이행해도 종료된다.
더구나, 「마무리 건조 운전」은 시간의 제어로서 히터(28), (29) 및 모우터(30)에 통전하여 행하여지며, 그 시간은 검출전극(21)으로의 의류의 접촉율 즉 포량에 따라서 이것들이 많을수록 많아지도록 설정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0도에 있어서 32는 +쪽 및 -쪽의 각 출력라인(L+), (L-)가 있었던 직류전원회로(정류회로)로서 이 직류전원 회로(32)는 전원 프러그(171)을 통해서 부여된 교류전원 출력을 강압(降壓)하는 변압기(173), 이 변압기(173)의 2차쪽 출력을 정류·평활하게 하는 정류기(175) 및 평활용 콘덴서(177), (179) 및 정 전압 다이오드(181), (18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185는 순시값 검출장치로서, 이것은 한쌍의 전극(21), 전압변환회로(187) 및 버퍼앰프(18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전극(21)은 회전드럼(도시하지 않음)내의 적절한 정지부위에 그 회전드럼내에서 교반되는 의류가 간헐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한편의 전극(21)은 전술한 출력라인(L+)에 접속되고 다른편의 전극(21)은 전압변환회로(187)내의 저항(191) 및 콘덴서(193)의 병렬 회로를 거쳐서 접지선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21) 및 저항(191)의 공통접속점 a에는 전극(21) 사이에 접촉되는 의류의 순시값 저항에 반비례된 제14도 및 제21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검출전압(Vd)이 간헐적으로 나타나며 이 검출전압(Vd)이 전압변환회로(187)내의 버퍼앰프(195) 및 전술한 버퍼앰프(189)를 거쳐서 출력된다.
더구나, 제21도는 회전드럼내의 의류량이 비교적 많을 경우에 있어서의 검출전압(Vd)의 출력상태를 나타내며, 또한 제22도는 회전드럼내의 의류량이 비교적 적을 경우에 검출전압(Vd)의 출력상태를 나타낸다.
(197)은 전극(21)에 대해서 의류가 접촉된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접촉검지 회로로서 이 접촉검지회로(197)는 출력라인(L+)과 접지선과의 사이에 저항(199a), (199b)을 접속하므로서 구성된 기준 전압발생회로(199)와, 이 기준전압 발생회로(199)로 부터의 기준전압(Vs) 및 전술한 전압변환회로(187)로 부터의 검출 전압(Vd)를 비교하는 비교기(201)를 포함하여서 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비교기(201)로 부터는 전극(21)에 대해서 의류가 접촉된 상태에서 일어서는 검지펄스(Pa)가 출력된다.
(25)는 제4도의 실시예와 같으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연산기억 장치 및 건조상태 판정 장치의 쌍방의 기능을 겸해서 가진 제어회로로써, 이것은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직류전원회로(32)로부터 안정화 전환회로(203)을 거쳐서 급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어회로(25)에는 전술한 순서값 검출장치(185)로 부터의 검출전압(Vd) 및 전술한 접촉 검지회로(197)로 부터의 검지펄스(Pa)가 입력되는 동시에 외부 조작용의 키스위치 군(31)로 부터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회로(25)는 전술한 각 입력신호 및 미리 기억한 제어용 프로그램에 따라서 건조운전의 나머지 시간 표시용으로 설치된 디지틀 형의 표시기(26)의 제어를 하는 동시에, 회전드럼 및 송풍팬 구동용의 모우터(30) 및 건조 운전용 히이터(28), (29)의 제어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구나 (27)은 전술한 모우터(30) 및 히이터(28), (29)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회로(25)에 의해서 실행되는 건조운전의 종류로서 예를들면 열풍건조 운전의 계속 시간을 그 제어회로(25)에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서 제어하는 「타이머 운전 코오스」와, 동 계속시간을 의류건조율의 검지에 따라서 제어하는 「자동운전 코오스」와의 두가지 종류가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이 「자동운전 코오스」는 또 다시 「다림질 코오스」, 「통산건조 코오스」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들 각 코오스의 선택 및 타이머 운전 코오스를 선택하였을 경우의 운전시간의 설정을 전술한 키 스위치군(31)에 의해서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 이하에 있어서는 제어회로(25)에 기억된 제어용 프로그램중 본 발명의 요지에 관계된 부분의 내용에 대하여 제13도 및 제14도, 제21도 내지 제25도를 참조로 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3도에는 제어용 프로그램 전체의 개요가 표시되어 있다.
이 제23도에 있어서 판단스텝(203)에서는 「타이머 운전 코오스」가 선택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YES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타이머 운전실행 루우틴(221)을 실행한다.
이 루우틴(221)에서는 키 스위치군(31)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시간으로부터 아래에 설명하는 냉풍 운전의 소요시간을 빼어낸 시간을 도시하지 않은 RAM내에 구성된 건조 운전용 내부 타이머에 설정하고 그 시간이 경과할때까지의 동안에 모우터(30) 및 히이터(28), (29)를 구동하여 그렇게 하므로서, 그 기간중 열풍건조 운전을 실행한 다음에, 냉풍 운전 실행 루우틴(217)로 이행한다.
이 루우틴(217)에서는 미리 정하여진 냉풍 운전시간이 경과할때까지의 동안에 모우터(30)만을 구동하므로써 그 기간중 냉풍 운전을 실행한 다음에 소프트키이프 우넌실행루우틴(219)로 이행한다.
이 소프트 키이프 운전실행루우틴(219)에서는 모우터(30)을 비교적 긴 주기로 간헐적으로 구동하므로써 건조 완료된 의류가 항상 부드럽게 풀려진 상태로 되도록 유지한다.
더구나 이 소프트 키이프 운전은 예를들면 키 스위치군(31)로 부터의 종료명령 신호의 입력 또는 의류를 꺼내고 넣는 용의 도어의 개방에 따라서 정지된다.
또한, 전술한 타이머 운전 실행 루우틴(221) 및 냉풍 운전 실행루우틴(217)에서는 전술한 바와같이 키 스위치군(31)에 의해서 설정된 운전시간을 표시기(26)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그 표시 내용을 운전의 진행에 따라서 시시 각각으로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판단스텝(203)에서 NO로 판단되었을 경우, 환언하면 「자동운전 코오스」가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자동운전개시 스텝(205)에서 모우터(30) 및 히이터(28)(29)를 구동해서 열풍건조운전을 개시 시킨다음에 건조운전시간 예측루우틴(207) 및 판단스텝(209)를 차례 차례로 실행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건조운전시간 예측 루우틴(207)의 내용은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있다.
즉, 우선 판단스텝(223)에 있어서 예를 들면 8m sec씩의 대기 루우프를 형성한 다음에 판단스텝(225)에서 접촉검지회로(197)로 부터의 검지 펄스(Pa)가 입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검지펄스(Pa)가 입력되어 있을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RAM내에 구성된 예측용 내부 카운터를 1스텝분만 증가하는 카운터 증가스텝(227)을 실행한 다음에 판단스텝(229)으로 이행한다. 또한 검지펄스(Pa)가 입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전술한 카운터 증가 스텝(227)을 점프해서 판단스텝(229)으로 이행한다.
이 판단스텝(229)에서는 소정의 판정용 시간인 예를들면 2분이 경과되었을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며 NO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의류량 판정스텝(231) 및 예측운전시간 설정스텝(233)을 점프해서 제23도에 나타낸 판단스텝(209)으로 이행한다.
이 판단 스텝(209)에서는 예측 운전 시간 설정스텝(233)에서 예측운전시간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나, 이 경우에는 전술한 스텝(233)을 점프하고 있으므로 NO로 판단되어서 건조운전 시간예측 루우틴의 선두어드레스로 되돌아 간다.
그리고, 건조운전 시간예측 루우틴이 개시된 다음에 2분이 경과되었을 때에는 판단스텝(229)에서 YES로 판단되어서 의류량 판정스텝(231)으로 이행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같이 각스텝(223), (225), (227), (229)을 실행하는 루우프가 2분간만 형성되는 결과 전술한 예측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값은 2분간에 있어서의 검지펄스(Pa)의 펄스폭의 곱셈값 나아가서는 전극(21)에 대한 의류의 단위시간당의 접촉률에 대응한 것으로 된다.
이와같이 해서 얻어진 접촉률은 회전드럼내의 의류량과 일정한 대응관계에 있으며, 따라서 예측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에 따라서 의류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판정할 수가 있다.
그래서, 전술한 의류량 판정스텝(231)에서는 전술한 바와같은 예측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미리 기억한 다단계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서 회전드럼내의 의류량(W)을 판정한다.
또한, 그 다음의 예측운전 시간설정 스텝(233)에서는 전술한 판정의류량(W)에 따라서 건조 운전의 나머지 시간을 산출해서 그 산출 결과를 도시하지 않은 RAM내에 구성된 예측 시간용 내부 타이머에 설정하는 동시에 그 설정내용을 표시기(26)에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예측운전 시간설정 스텝(233)이 실행된 다음에는 판단스텝(209)에서 YES로 판단되어서 다음의 판단스텝(211)으로 이행한다.
이 판단 스텝(211)에서는 건조 종료신호(Sx)가 출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나, 이 시점에서는 전술한 건조 종료신호(Sx)가 출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25도의 건조 상태 검지루우틴이 실행된다.
제25도에는 전술한 건조상태 검지루우틴의 구체적 내용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하 이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이 루우틴으로 이행되었을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RAM내에 구성된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tn)을 「2」이상의 적당한 값으로 프리셋트한 다음에 판단스텝(233)을 실행한다.
이 판단스텝(233)에서는 소정시간 M씩의 대기 루우프를 형성한 다음에 다음의 타이머 감산 스텝(235)에서 전술한 예측 시간용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감산한다.
따라서, 그와같은 타이머 감산 스텝(235)이 반복되어 실행됨에 따라서 표시기(26)의 표시내용이 시시각각 감소되도록 되어 있다.
그 다음에는 카운터 감소스텝(237)에 있어서 전술한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터값(tn)을 1스텝분 만큼 감소한 다음에 판단스텝(239)으로 이행한다.
이 판단 스텝(239)에서는 카운트 값(tn)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나 이 시점에서는 tn>0이므로 NO로 판단되어서 판단스텝(241)으로 이행된다.
이 판단스텝(241)에서는 순시값 검출장치(185)로부터 부여되는 검출전압(Vd)으로 미리 설정된 비교용 기준전압(Vr)(이 경우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로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다림질용 기준전압 Vr1이 설정되어 있다)를 비교하며 Vd>Vr(=Vr1)일때에 디지틀 시간값 연산 루우틴(243)으로 이행한다.
전술한 디지틀 시간값 연산루우틴(243)에서는 입력된 검출전압(Vd)을 그 레벨에 비례된 길이의 디지틀 시간 값(Tn)으로 변환하는 것이나 이때의 변환비는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술한 건조 운전시간 예측 루우틴 내의 의류량 판정스텝(231)에서의 판정 의류량(W)의 대소에 따라서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3도 및 제14도로 명백한 바와 같이 판정 의류량(W)이 적을 경우 일수록 디지틀 시간값(Tn)으로의 변환비가 크게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와같이 해서 디지틀 시간값(Tn)을 얻은 다음에는 판단스텝(245)에서 디지틀 시간값(Tn)과 전술한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tn)을 비교하며 Tn>tn의 관계일 때에는 그 감산용 내부카운터의 카운트값(tn)을 전술한 바와같이 변환한 디지틀 시간값(Tn)으로 변경하는 카운트값 변경스텝(247)을 실행한 다음에 판단스텝(23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전술한 판단스텝(245)에서 Tn
Figure kpo00004
tn으로 판단되었을때에는 카운트값 변경스텝(247)을 점프해서 판단스텝(233)으로 되돌아간다.
그 다음에는 감산용 내부카운터의 카운트값(tn)이 0으로 될 때까지의 동안(판단스텝(239)에 YES 판단될 때 까지의 동안)각 스텝 및 루우틴(233) 내지 (247)이 반복되어 실행되므로써 검출전압(Vd)을 변환해서 얻어지는 디지틀 시간값(Tn) 나아가서는 카운트값(tn)을 시시각각 감산하는 동시에 그 다음에 소정의 조건이 성립될때마다 이 경우 전술한 감산된 카운트값(tn)에 의해서 표시되는 시간값 보다 큰 값의 디지틀 시간값(Tn)이 변환될때마다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값(tn)을 전술한 디지틀 시간값(Tn)으로 갱신기억한다는 동작이 반복되는 것이다.
더구나, 제21도 및 제22도에는 검출전압(Vd)이 동도면중에 나타낸 바와같이 변화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갱신 카운트값(tn)에 대응한 시간값의 한예(의류량(W)이 비교적 많을 경우와 적을 경우의 각예)를 각각 t1, t2… 및 t'1, t'2…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열풍 건조 운전의 진행에 따라서 의류의 건조율이 상승되는 것이나 그 건조율이 다림질에 적합한 값으로 될때까지의 동안은 검출전압(Vd) 및 다림질용 기준전압(Vr1)이 Vd>Vr1의 관계에 있으므로 카운트 값 변경스텝(247)에 있어서의 새로운 디지틀 시간값(Tn)의 갱신기억이 반복되어지게 되고 따라서, 그동안은 판단스텝(241)에서 NO로 판단된 대로의 상태로 된다.
그 다음에 열풍건조 운전이 더욱 진행되어서 의류의 건조율이 다림질에 적합한 값으로 되었을 때 환언하면, Vd
Figure kpo00005
Vr1의 관계로 되었을때에는 카운트값 변경스텝(247)에서 새로운 디지틀 시간값(Tn)의 갱신 기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최후에 갱신기억된 디지틀 시간값(Tn)에 대응한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에 카운트(tn)이 0으로 된다.
이 결과 판단스텝(239)에서 YES로 판단되어서, 판단스텝(239)로 이행된다. 이 판단스텝(249)에서는 다림질 플래그 AF가 「1」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로서 이해할 수 있도록 AF=0이므로 NO로 판단되어서, 판단스텝(251)으로 이행한다.
이 판단스텝(251)에서는 키 스위치군(31)에 의해서 「다림질코오스」가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YES의 경우에는 건조 종료신호(Sx)를 출력하는 종료검지스텝(267)을 싱핼하므로써 건조상태 검지루우틴을 종료하여 제23도의 판단스텝(211)로 이행한다.
또한, 판단스테(251)에서 NO로 판단되었을 경우 환언하게 되면 「통상건조코오스」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전술한 디지틀 시간값 연산 루우틴(243)과 동일한 디지틀 시간값 연산 루우틴(253)에서 새로운 디지틀 시간값 Tn을 얻는 동시에 다음에 카운트값 변경스텝(255)에서 감산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 값(tn)은 전술한 디지틀 시간값(Tn)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전술한 다림질플래그 AF를 「1」로 변경하는 플래그 변경스텝(257) 및 기준 전압변경스텝(259)를 경유해서 전술한 판단스텝(233)으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기준전압 변경스텝(259)에서는 전술한 판단스텝(241)에서의 비교용 기준전압(Vr)을 다림질용 기준전압(Vr1)으로부터 통상건조용 기준전압(Vr2), (Vr<Vr1)으로 변경되도록 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각 루우틴 및 스텝(253)-(259)가 행하여지는 결과 판단스텝(239)에서 NO로 판단되어서 판단스텝(241)이 재차 행하여지게 되어 이때에는 검출전압(Vd)가 통상건조용 기준전압(Vr2)의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의류의 통상건조 코오스의 운전종료 값으로 도달될때까지의 동안은 카운트 값 변경스텝(247)에 있어서의 새로운 디지틀 시간값(Tn)의 갱신기억이 반복되도록 되어 그 다음에는 열풍건조운전이 재차진행되어서 의류의 건조율이 전술한 운전종료 값으로 되었을 때 환언하면, Vd
Figure kpo00006
Vr2의 관계로 되었을때에는 카운트 값 변경스텝(247)에서 새로운 디지틀 시간값(Tn)의 갱신기억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최후에 갱신기억된 디지틀 시간값(Tn)에 대응한 시간이 경과되었을때에 카운트값(Tn)이 0으로 되어서 판단스텝(239)로부터 판단스텝(249)으로 이행된다.
이때에는 다림질플래그 AF가 「1」이므로 YES으로 판단되어서 마무리건조운전 시간설정 루우틴(261)로 이행한다.
이 루우틴(261)에서는 건조운전용 내부 카운터의 카운트값을 의류량(W)에 따른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는 동시에 표시기(26)의 표시 내용을 전술한 설정 값에 따른 시간이 되도록 전환한다.
그리고, 그 다음에는 다림질 플래그 AF를 「0」으로 되돌리는 플래그 초기화스텝(263) 및 비교용 기준전압(Vr)을 다림질용 기준전압(Vr1)으로 되돌아가게하는 기준 전압 초기화 스텝(265), 및 전술한 종료검지스텝을 종료하고 제23도에 나타낸 마무리 건조운전실험 루우틴(215)으로 이행한다.
전술한 마무리 건조운전 루우틴(215)에서는 전술한 건조운전용 내부카운터에 대해서 마무리 건조운전 시간설정 루우틴(261)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열풍 건조 운전을 수행하는 것이며, 그 다음에 전술한 냉풍 운전실행 루우틴(217), 소프트 키이프 운전실행 루우틴(219)를 차례차례로 실행하도록 된다.
제어회로(25)는 이상과 같이 해서 「타이머운전코오스」, 「자동운전코오스」를 실행제어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전술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드럼내의 의류의 건조율을 나타낸 데이터로서 얻은 검출전압(Vd)은 디지틀 시간값(Tn)으로 변환해서 그 디지틀 시간값(Tn)을 카운트 값(tn)으로서 기억하는 동시에 그 카운트 값(tn)을 열풍 건조 운전의 진행에 따라서 시시각각 감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열풍건조 운전의 진행에 따라서 건조율이 높아지는데 수반하여 카운트값(tn)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카운트값(tn)을 의류의 건조율을 정확하게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은 카운트 값(tn)은 이것이 감산되어서 0으로 될 때까지의 동안에 기억된 상태로 저는 동시에 전술한 카운트 값(tn)보다 큰 값의 디지틀 시간값(Tn)이 부여될 때 마다 그 디지틀 시간값(Tn)을 새로운 카운트 값(tn)으로서 기억을 바꾸는 구성, 환언하게 되면 의류의 젖은 부분이 전극(21) 사이에 접촉되어 높은 레벨의 검출전압(Vd)가 부여될때마다 그 검출전압(Vd)에 대응한 디지틀 시간값(Tn)을 카운트 값(tn)으로서 갱신기억하는 구성이므로 의류가 항상 전극(21)에 접촉되지 않고, 검출전압(Vd)가 간헐적으로 출력된다는 조건하에 있으면서 의류의 젖은 부분의 건조율 검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어서 건조종류 신호(Sx)의 출력타이밍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등 건조율의 검출정밀도가 향상하도록 된다.
더구나, 검출전압(Vd)를 디지틀 시간값(Tn)으로 변환해서 신호처리하는 구성이므로 검출전압(Vd)을 예를 들면 콘덴서에 충전하여 기억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해가 경과됨에 따라 변화되는 것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져서 검출정밀도를 장시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접촉검지회로(197)로 부터의 검지펄스(Pa)에 따라서 회전드럼내의 의류의 양을 판정하고 그 판정의류량이 적을때일수록 전술한 디지틀 시간값(Tn)이 자동적으로 길어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회전드럼내의 의류의량이 적은 상태에서 건조운전이 이루어져서 검출전압(Vd)의 출력간격이 길어졌을 경우라도 그 출력 정지 기간중에 전술한 카운트 값(tn)이 0까지 감산되지 않도록 유지되며 그렇게 하므로써 의류량이 적을 경우라도 건조율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 사이에서 얻어지는 의류의 순시값 저항은 그 건조율에 따라서 변화하도록 되며 따라서 기억장치에 기억되는 디지틀 시간값은 의류의 건조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이때, 의류의 건조율은 건조운전의 진행에 따라 서서히 높아지는 것이나 연간기억장치는 전술한 디지틀 시간값을 시시각각으로 감산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그 감산 디지틀 시간값은 전술한 건조율의 변화에 잘 수반된 것으로 된다.
이 결과 전술한 디지털 시간값에 따른 건조종료 신호의 출력타이밍의 정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연산기억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감산 디지틀 시간값을 그 감산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기억해 두게되며 더구나 감산 디지틀 시간보다 큰 값의 디지틀 시간값을 얻을 때마다 그 디지틀 시간값을 갱신기억하는 구성이므로 전극과 의류와의 사이의 접촉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면서 건조율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검출한 상태와 등가의 상태가 얻어지게 되므로서 건조율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 운전의 소요시간(「예측건조운전시간」)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의류의 검출전극(21)로의 접촉율 및 그 접촉 할 때에 측정되는 의류의 저항값에 따르는 것이므로 건조운전을 상당한 시간 행한 다음의 배기온도의 상승 정도에 따르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서 매우 신속한 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예측건조운전시간」을 조기에 알려 줄수가 있어서, 실용적으로 매우 편리하다.
더구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출전극(21)으로의 의류의 접촉율 및 저항값의 쌍방에 따라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을 결정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이 한정되지 않고 탈수기에 의해서 탈수된 의류의 건조율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에 비추어 의류의 접촉율에만 따라서 예측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건조운전의 초기일수록 접촉율에 의한 포량 판정의 정밀도가 좋은 것에 비추어 건조 초기에는 접촉율에만 따라 예측하고, 건조 중기에는 접촉율과 저항값의 쌍방에 따라 재차 예측하여 표시를 보정하고 또한 건조 종료기에 저항값에 따라 예측하여 표시를 재차 보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접촉율에 따라 예측을 하는데 그치지 않고 예를 들면 저항값 검출신호(Vp)를 10-20m sec 정도의 짧은 시간에 샘플링하여 A/D 변환하여 기억하고 이것을 소정시간 나누게 되면 그 나눈 값은 의류의 저항값과 포량에 비례하므로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한 높은 정밀도로 건조운전의 소요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매우 정확한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항값 검출회로(22)의 검출 저항은 건조초기의 의류의 등가저항에 가까운 적은 값이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측시간을 감산표시하는데 있어서 그 감산단위는 당초 10분으로 하고 시간제어로 되는 「마무리 건조운전」으로 이행해서 부터는 예를 들면 1분으로 하여도 좋다.
그밖에 본 발명은 전술하고 또한 도면에 나타낸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예측시간을 시각적으로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합성음성으로 알리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검출전압(Vd) 또는 그 피이크 전압(Vdp)을 디지틀 시간값(Tn)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회로(25)의 내부회로로서 구성하였으나 아나로그-디짙ㄹ 변환기등을 외부 회로로서 설치하고 그 아나로그-디지틀 변환기에 의해서 디지틀 시간값(Tn)을 얻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회로(25) 내에는 그 RAM을 이용한 건조 운전용 내부 타이머 감산용 내부 카운터등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들 타이머 또는 카운터도 제어회로(25)의 외부 회로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5)

  1. 건조실을 구성하는 드럼내에 접해서 드럼내의 의류등이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검출전극, 및 건조운전에 관련된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갖는 건조기에 있어서, 드럼의 회전시에 검출전극과 의류와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펄스신호의 수를 계산하는 펄스계수장치, 소정시간내에서 검출전극과 의류가 접촉하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는 접촉검출 신호를 미리 정한 시간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이 샘플링 결과를 계수하는 샘플링 계수장치, 상기 펄스 계수장치와 샘플링 계수장치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 의류등의 양을 검출하는 포량 검출장치, 및 포량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포량에 따라 미리 기억된 데이터로부터 산출되는 즉 의류등을 건조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예측 소요시간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예측 소요시간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드럼의 회전시에 의류등이 검출전극에 접촉하는 정도에 따라 의류등의 저항값을 검출하는 저항값 검출장치를 포함하며, 예측 소요시간을 산출하는 장치는 저항값 검축장치에 의해 검출된 의류의 저항값 및 포랑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포량에 따라 예측소요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드럼의 회전시에 의류등이 검출전극에 접촉하는 정도에 따라 의류 등의 저항값을 검출하는 저항값 검출장치, 여러개의 목표 건조정도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건조정도 설정장치, 저항값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된 의류등의 저항값에 따라 그 건조율을 검출하는 건조율 검출장치, 건조율 검출장치에서의 건조율과 건조정도 설정장치에서의 목표 건조 정도로부터 잔여 운전 시간을 결정하는 잔여 운전시간 결정장치, 및 잔여운전시간 결정 장치에 의해 결정된 잔여 운전시간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잔여 운전시간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잔여운전시간 표시장치는 잔여운전시간 결정장치에 의해 결정된 잔여운전 시간을 순차적으로 감산하는 감산장치가 있으며, 이 감산장치의 감산결과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3항에 있어서, 건조율 검출장치는 검출전극간의 순간 저항값을 검출하는 순간값 검출장치, 및 순간값 검출장치로부터 부여되는 검찰순간값을 그 순간값에 대응하는 길이의 디지틀 시간값으로 변환해서 기억하고, 이 기억된 디지틀 시간값을 즉각적으로 감산하며, 그런다음 소정의 조건이 성립될 때 마다 상기 디지틀 시간값을 갱신 기억하고, 기억된 디지틀 시간값에 따라 건조종료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19860010770A 1985-12-16 1986-12-16 건조기 KR900008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336485 1985-12-16
JP193364? 1985-12-16
JP60-193364 1985-12-16
JP61238572A JPH0671520B2 (ja) 1985-12-16 1986-10-07 乾燥機
JP61-238573 1986-10-07
JP238572? 1986-10-07
JP238573? 1986-10-07
JP61-238572 1986-10-07
JP61238573A JPS6392397A (ja) 1986-10-07 1986-10-07 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277A KR870006277A (ko) 1987-07-10
KR900008932B1 true KR900008932B1 (ko) 1990-12-13

Family

ID=2732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770A KR900008932B1 (ko) 1985-12-16 1986-12-16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38034A (ko)
EP (1) EP0226209B1 (ko)
KR (1) KR900008932B1 (ko)
DE (1) DE3675746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643B1 (ko) * 2015-01-16 201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감지 회로 및 건조도 감지 방법
KR101636642B1 (ko) * 2015-01-16 201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감지 회로 및 건조도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0684A (en) * 1988-04-18 1993-04-06 Whirlpool Corporation Electrical motor monitoring system for a domestic appliance
US5075613A (en) * 1988-04-18 1991-12-24 Whirlpool Corporation Electrical motor monitoring system for a domestic appliance
IT218178Z2 (it) * 1988-07-22 1992-04-08 Zanussi A Spa Industrie Macchina asciugabiancheria.
FR2635539B1 (fr) * 1988-08-19 1994-08-26 Ciapem Machine a laver et/ou secher le linge
IT1242802B (it) * 1990-10-09 1994-05-18 Zanussi Elettrodomestici Dispositivo di controllo per macchina lavatrice e/o asciugatrice di biancheria
IT1246211B (it) * 1990-10-18 1994-11-16 Eurodomestici Ind Riunite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controllare la fase di asciugatura in una macchina asciugabiancheria, lavabiancheria o similare.
KR940006249B1 (ko) * 1991-11-18 1994-07-13 주식회사 금성사 의류건조기의 건조시간 설정방법
KR940006250B1 (ko) * 1991-12-23 1994-07-13 주식회사 금성사 복합 센서 방식 의류 건조기의 제어방법 및 그 회로
US5451932A (en) * 1993-02-25 1995-09-19 Maytag Corporation Method and means for indicating an appliance condition
US5555645A (en) * 1993-03-31 1996-09-17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Reversing clothes dryer and method therefor
DE4403625C2 (de) * 1994-02-05 2003-08-07 Miele & Cie Wäschetrockner mit einer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s Füllgrades in der Trommel
JP3159599B2 (ja) * 1994-04-26 2001-04-23 株式会社東芝 乾燥機
DE4447270A1 (de) * 1994-12-30 1996-07-04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m Steuern von Trockenvorgängen in Haushalt-Wäschetrocknern
WO1997032071A1 (en) * 1996-02-29 1997-09-04 Southcorp Whitegoods Pty. Ltd. A drying apparatus
US5649372A (en) * 1996-03-14 1997-07-22 American Dryer Corporation Drying cycle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ying as a function of humidity and temperature
US5737852A (en) * 1996-08-05 1998-04-14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ryness control for clothes dryer
US5960561A (en) * 1997-05-05 1999-10-05 Peter J. Listro Associat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in small quantities
DE19736419A1 (de) * 1997-08-21 1999-02-25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Beladungsmenge eines Wäschetrockners
DE19736422A1 (de) * 1997-08-21 1999-02-25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Beladungsmenge eines Wäschetrockners
US6047486A (en) * 1998-09-03 2000-04-11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 dryer
US6020698A (en) * 1998-10-09 2000-02-01 Whirlpool Corporation Timer for use with an electronic control in controlling an appliance
US6845290B1 (en) 2000-05-02 2005-01-18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ryer appliance
EP1236826A3 (en) * 2001-03-02 2003-10-01 Whirlpool Corporation A method for changing the program cycle of a household dryer
US6519871B2 (en) 2001-05-25 2003-02-18 Maytag Corporation Self programming clothes dryer system
US6493963B1 (en) 2001-05-25 2002-12-17 Mayta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ness detection in a clothes dryer
US6568249B2 (en) * 2001-08-07 2003-05-27 Gilson Company, Inc. Test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surface saturated dry condition of aggregates
US6637127B2 (en) * 2001-10-02 2003-10-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ryer airflow sensor
KR100487345B1 (ko) * 2002-11-26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의 쿨링 시간제어 방법
DE10260149A1 (de) * 2002-12-20 2004-07-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Leitwertes von Wäsche,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von Schichtbildung auf Elektroden
KR100494575B1 (ko) * 2003-03-10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습도센서를 이용한 건조 장치 및 방법
KR100480930B1 (ko) * 2003-08-12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건조 잔류시간 검출방법
DE10360867A1 (de) * 2003-12-23 2005-07-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Wäsche
KR20050095434A (ko) * 2004-03-26 2005-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050119268A (ko) * 2004-06-16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건조시간 표시방법
CN1715533B (zh) * 2004-06-28 2010-05-0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烘干机以及其工作时间显示方法
EP1778909B1 (en) * 2004-08-18 2010-04-14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methof for automatically drying
KR100748963B1 (ko) * 2004-11-12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건조기/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KR100599039B1 (ko) * 2004-12-20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ES2279674B1 (es) * 2005-03-23 2008-08-01 Ibai, S. Coop. Armario de desarrugado y secado de ropa.
US7475495B2 (en) * 2005-04-18 2009-01-13 Maytag Corporation Dryness sensor for clothes dryer
CA2505565C (en) * 2005-04-28 2008-09-16 Cam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dryer
US8015726B2 (en) * 2005-06-23 2011-09-13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clothes dryer
KR100651902B1 (ko) * 2005-12-06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건조 장치의 제어 방법
US20090025432A1 (en) * 2006-01-13 2009-01-29 Seong Kyu Kim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US7594343B2 (en) * 2006-02-14 2009-09-29 Whirlpool Corporation Drying mode for automatic clothes dryer
KR101253143B1 (ko) * 2006-03-09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방법
KR101253624B1 (ko) * 2006-03-14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건조시간 제어방법
EP2013403B2 (en) * 2006-04-14 2016-12-07 LG Electronics Inc.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747589B1 (ko) * 2006-04-14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회로 및 그 행정 제어방법
EP2305879A1 (en) * 2006-05-02 2011-04-0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ryer with modified drying program
CA2599353C (en) * 2006-09-06 2011-05-24 Lg Electronics Inc.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CA2599375C (en) * 2006-09-06 2011-06-21 Lg Electronics Inc.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DE602007011731D1 (de) 2007-04-30 2011-02-17 Electrolux Home Prod Corp Verfahren zum Steuern eines Trommelwäschetrockners
KR101435808B1 (ko) * 2007-11-16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537611B1 (ko) * 2009-02-24 2015-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11270B1 (ko) * 2009-03-19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게감지장치를 갖는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제어방법
PL2267214T3 (pl) * 2009-06-22 2016-10-31 Sposób oszacowywania wsadu prania w suszarce dla gospodarstwa domowego oraz suszarka wykorzystująca taki sposób
EP2449162A4 (en) * 2009-07-03 2017-10-04 LG Electronics Inc. Laundering machine and method
KR101611276B1 (ko) * 2009-08-05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게감지장치를 갖는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 제어방법
US8245415B2 (en) * 2009-12-18 2012-08-21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load size in a clothes dryer using an infrared sensor
CN101787639A (zh) * 2010-03-19 2010-07-28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干衣机的干衣控制方法及干衣装置
EP2426250A1 (en) * 2010-09-07 2012-03-07 Panasonic Corporation Clothes dryer
US9027258B2 (en) 2010-10-21 2015-05-12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controlled cycle time
EP2458077B1 (en) * 2010-11-29 2015-05-2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method of controlling a rotatable-drum laundry drier and a rotatable-drum laundry drier implementing the method
US20130032298A1 (en) * 2011-08-01 2013-02-07 Putt Michael D Automated method for waste dehydration rate assessment through condensate monitoring
CN106149331B (zh) * 2015-04-17 2019-08-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干衣机烘干时间的判断方法
CN106637872B (zh) * 2015-10-28 2021-06-11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干衣机
CN106337271B (zh) 2016-09-30 2018-05-01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干衣机、干衣机中衣物的湿度值计算方法及其装置
KR20190096353A (ko) * 2016-12-28 2019-08-19 일렉트로룩스 어플라이언스 아크티에볼레그 건조 사이클의 신뢰성있는 정보를 이용하는 기기
CN111801457B (zh) * 2018-03-07 2023-02-28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具有电容式湿度传感器的器具
CN113529349B (zh) * 2021-07-30 2022-09-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洗衣机的控制方法、控制装置与洗衣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0591A (en) * 1959-09-08 1962-10-30 Ranco Inc Dryer control apparatus
DE2530580A1 (de) * 1975-07-09 1977-01-20 Miele & Cie Automatischer waeschetrockner
JPS6321279Y2 (ko) * 1979-04-23 1988-06-13
JPS55153097A (en) * 1979-05-17 1980-11-28 Tokyo Shibaura Electric Co Contactless detector
GB2068099B (en) * 1980-01-28 1983-07-06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Control device for laundry drier
US4412384A (en) * 1981-06-15 1983-11-01 William Viets Height measuring device having level instrument and platform
ATE14902T1 (de) * 1981-06-19 1985-08-15 Verzinkerei Zug Ag Verfahren zum trocknen von waesche und maschine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JPS6027896A (ja) * 1983-07-25 1985-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ヨウ素除去方法
JPS6027896U (ja) * 1983-07-29 1985-02-25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乾燥機
JPS6048198A (ja) * 1983-08-25 1985-03-15 Hitachi Kiden Kogyo Ltd 有機性廃棄物の発酵方法
DE3417482A1 (de) * 1984-05-11 1985-11-14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Verfahren zur restfeuchtsteuerung eines waeschetrockners
JPS6048198B2 (ja) * 1984-07-16 1985-10-25 株式会社東芝 乾燥機における乾燥運転の残り所要時間表示方法
JPS61222484A (ja) * 1985-03-29 1986-10-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衣類乾燥機の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643B1 (ko) * 2015-01-16 201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감지 회로 및 건조도 감지 방법
KR101636642B1 (ko) * 2015-01-16 201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감지 회로 및 건조도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26209A3 (en) 1988-05-25
US4738034A (en) 1988-04-19
EP0226209B1 (en) 1990-11-22
DE3675746D1 (de) 1991-01-03
KR870006277A (ko) 1987-07-10
EP0226209A2 (en) 198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932B1 (ko) 건조기
CA250556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dryer
KR100550545B1 (ko) 세탁기의 포량 감지 방법
KR100651902B1 (ko) 자동 건조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50018035A (ko) 의류건조기의 건조 잔류시간 검출방법
EP2013405B1 (en)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US20040143992A1 (en) Laundry drier control method
US6983552B2 (en) Laundry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11276B1 (ko) 무게감지장치를 갖는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기 제어방법
JPS638800B2 (ko)
WO2007105913A2 (en) A dryer and control method of drying time for the same
JPH0671520B2 (ja) 乾燥機
GB2090435A (en) Control system for clothes drier
WO2007105908A2 (en)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20349114A1 (en) Laundry dry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0129218B1 (ko) 세탁기와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제어장치 및 방법
CN108396530B (zh) 一种干衣机烘干判断方法及干衣机
KR0149033B1 (ko) 의류건조기의 제어장치
JP2019188251A (ja) 洗濯機
JPH0235598B2 (ko)
JPH0673597B2 (ja) 衣類乾燥機の乾燥終了予想時間の表示方法
JPS583720B2 (ja) 乾燥制御装置
JPS6392398A (ja) 乾燥機
JP3227848B2 (ja) アイロン
JPS6392397A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3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