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360Y1 - 남비 뚜껑 - Google Patents

남비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360Y1
KR900008360Y1 KR2019860016507U KR860016507U KR900008360Y1 KR 900008360 Y1 KR900008360 Y1 KR 900008360Y1 KR 2019860016507 U KR2019860016507 U KR 2019860016507U KR 860016507 U KR860016507 U KR 860016507U KR 900008360 Y1 KR900008360 Y1 KR 900008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groove
locking
po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520U (ko
Inventor
김명석
Original Assignee
김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석 filed Critical 김명석
Priority to KR2019860016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360Y1/ko
Publication of KR8800075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5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남비 뚜껑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남비뚜껑 2 : 오목홈
3 : 결합보울트 4 : 제 1 관통구멍
5 : 걸림홈 5' : 위치표시홈
6, 6' : 패킹결합홈 7, 7' : 고무패킹
8 : 제 2 관통구멍 9 : 소리부재
10 : 이동손잡이 10', 16 : 걸림돌기
11 : 작동간 12 : 지지판
13 : 커버 14 : 제 3 관통구멍
15 : 작동구멍 15' : 위치표시부
17 : 뚜껑손잡이
본 고안은 국이나 찌개 같은 것을 조리할 때 쓰이는 남비에 있어서 조리물이 끓어 넘치지 않도록 된 남비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남비뚜껑에 따라 압력조절장치를 설치해 놓음으로서 남비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남비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비는 음식물을 끊이고, 삶고, 튀기고 볶는등의 조리를 할 때 사용되는 다목적 조리기구인 것인바, 그중 찌개나 국과 같은 것을 조리할 때 음식물이 끓게되며 수증기와 내부공기의 열팽창으로 말미암아 내부압력이 커져 뚜껑이 들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뚜껑과 남비 본체 사이로 음식물이 끓어 넘쳐 가스레인지나 석유 곤로등의 불이 꺼지게 될 뿐만 아니라 가열기구등을 못쓰게 만들며, 심지어는 넘쳐나가는 현상으로 음식물의 영양분이 대부분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그에 대하여 종래에는 내부음식물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된 압력솥등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압력솥은 밥을 짓거나 기타 음식물을 익힐 경우에는 적합하나 국이나 찌개등을 끓이는 데는 적합하지 못하고, 특히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작비가 많이 들게됨은 물론 취급 또한 까다롭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또한 조리시 음식물의 외부로 끓어넘치지 않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일본실용신안공개소 48-57361호가 있으나, 이는 뚜껑에 증기배출용 소공을 형성하고 그 상면중앙부에 상기 증기배출용 소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자를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것이나 이는 조리시 단순히 증기배출용 소공을 통한 증기배출의 개폐목적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증기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이 없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 이외에도 일본실용시안공개소 60-18728호 및 61-45035로가 있는데 이들 양자 공히 뚜껑에 증기배출공이 설치되어 조리시 내부음식물이 외부로 끓어넘치지 않도록 하고 경보용 소리울림 부재를 설치하여 조리시 증기배출량에 따라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어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증기배출의 개폐는 명확하게 조절될지라도 별도의 표시부가 없는 관계로 증기배출량의 조절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증기배출공이 분리형성되어 일측엔 증기 배출의 전용으로 이용되고 다른 일측은 소리울림 목적으로 이용되는 관계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상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왔으며 회전판과 개폐부재의 사이 간극엔 별도의 기밀유지용 구성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조리시에 내부증기가 상기 간극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있는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보용의 소리발생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일본실용신안공개소 52-91868호가 있으나 이는 조리시 내부증기압력에 따라 일정압력이상이 되면 소리발생용 기공을 통하여 증기가 배출되면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것인바, 증기배출량 조절에 있어서는 작용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남비뚜껑의 중앙에 원통의 오목홈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작동간과 지지판을 뚜껑손잡이로 고정설치시켜 주되 이 오목홈에는 제 1 관통구멍을 형성시키고 작동간에는 제 2 관통구멍과 소리부재 및 이동손잡이를 형성시킴과 아울러 지지판에는 제 3 관통구멍과 작동구멍을 형성시킨 남비뚜껑에 있어서, 오목홈에는 걸림홈과 다수의 위치표시홈을 형성하여 강기 걸림홈엔 지지판의 걸림돌기가 서로 결합될 수 있게하고 위치표시홈엔 작동간의 저면 이동손잡이의 직하부에 위치한 걸림돌기가 상기 이동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서로 결합될수 있게하여 제 1 관통구멍의 외주연에는 패킹결합홈을 형성시켜 작동간의 상, 하부에 고무패킹을 끼워 결합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조리시엔 사용목적에 따라 스팀의 배출, 경보음의 발생 또는 스팀의 배출중지기능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남비내에 있는 음식물이 끓어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패킹에 의하여 제 1 관통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는 기밀유지가 가능한 동시에 지지판의 걸림돌기는 뚜껑의 걸림홈에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조립후 상호구성부재가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남비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남비뚜껑(1)의 중앙엔 원형의 오목형(2)을 형성시키고 결합보울트(3)를 부착결합시키며 상기 오목홈(2)에는 제 1 관통구멍(4)을 형성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홈(2)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동간(11)은 제 2 관통구멍(8), 소리부재(9) 및 이동손잡이(1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작동간(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12)은 상부에 커버(13), 제 3 관통구멍(14) 및 작동구멍(15)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결합보울트(3)에는 작동간(11)과 지지판(12)이 끼워진 상태에서 뚜껑손잡이(17)를 나사결합시켜 이루어지는 남비뚜껑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2)에는 걸림홈(5)과 서로 일정간격이 띄워진 다수의 위치표시홈(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2)엔 걸림돌기(16)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작동간(11)엔 위치표시부(15')와 이동손잡이(10) 직하부엔 걸림돌기(10')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5) 및 위치표시홈(5')엔 상기 걸림돌기(16) 및 (10')가 각각 끼워 고정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위치표시부(15')엔 위치표시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관통구멍(4)의 외주연과 상기 제 3 관통구멍(14)의 하단부엔 패킬결합홈(6)(6')을 각각 형성하여 고무패킹(7)(7')을 끼워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있다.
미설명부호로서 18은 통공, 19은 공명부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남비뚜껑(1)의 중앙부에 원형의 오목홈(2)이 형성되어 작동간(11)과 지지판(12)이 고정설치되게 되는데, 이 오목홈(2)에는 제 1 관통구멍(4)이 형성되어 남비내의 수증기가 상기 제 1 관통구멍(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또 이 오목홈(2)의 외주연부에는 걸림홈(5)이 형성되어 여기에 지지판(12)의 외주연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6)가 걸려지게 됨으로서 작동간(11)이 지지판(12)의 하부에서 회동될 때 지지판(12)의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되며, 여기서 고정턱은 뚜껑손잡이(17)가 남비뚜껑(1)의 중앙부에 부착된 결합보울트(3)에 나사결합되는 정도에 비례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구멍(4)의 외주연과 제 3 관통구멍(14)의 하단부에는 패킹결합홈(6)(6')이 형성되어 여기에 고무패킹(7)(7')이 끼워 결합됨으로서 제 1 관통구멍(4)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가 외부로 새지 않고 제 2 관통구멍(8)이나 소리부재(9)의 통공(18)을 지나 제 3 관통구멍(14)으로만 배출하게 된다.
한편 작동간(11)에는 제 2 관통구멍(8) 뿐만아니라 통공(18)을 갖춘 소리부재(9) 및 이동손잡이(10)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중 소리부재(9)는 제 2 관통구멍(8)옆에 설치되면서 공명부(19)를 갖추고 있어 남비내에 있는 수증기가 제 1 관통구멍(4)을 거쳐 소리부재(9)의 통공(8)을 통과할 때 수증기가 일정한 배출속도로 배출되게 되면 소리가 발생하게 되고, 또 작동간(11)의 평면과 수직으로 형성된 이동손잡이(10)는 지지판(12)의 작동구멍(15)에 설치되어 작동간(11)이 지지판(12) 하부에서 회동되도록 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작동간(11)은 작동간(11)에 형성된 제 2 관통구멍(8) 또는 소리부재(9)가 남비뚜껑(1)의 제 1 관통구멍(4) 및 지지판(12)의 제 3 관통구멍(14)과 일치시켜 주거나 제 1 관통구멍(4)과 제 3 관통구멍(14)을 차단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된다.
그리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로서, 즉 작동간(11)의 소리부재(9)가 제 1 관통구멍(4) 및 제 3 관통구멍(14)과 일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여기서는 지지판(12)의 걸림돌기(16)가 남비뚜껑(1)에 형성된 걸림홈(5)에 걸려지고, 작동간(11)의 이동손잡이(10)가 작동구멍(15)에 설치되며, 위치표시홈(5')엔 걸림돌기(10')가 걸린상태로 끼워지는 동시에 뚜껑손잡이(17)가 결합보울트(3)와 결합되어 있고, 특히 상기 작동간(11)은 지지판(13)하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제 1 관통구멍(4)과 제 3 관통구멍(14) 사이에는 소리부재(9)의 통공(18)이 위치하고 있어서 수증기가 일정한 배출속도로 배출되게 되면 소리부재(9)의 공명부(19)로부터 소리가 나도록 되어있는바, 이렇게 제 1 관통구멍(4)과 중공부(18) 및 제 3 관통구멍(14)을 통과한 수증기는 제 3 관통구멍(14) 상부에 형성된 커버(13)에 의해 배출방향이 바뀌어져 뚜껑손잡이(17)를 잡게될 때 뜨거운 수증기에 의한 화상을 입지 않도록 되어있다.
한편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로서, 작동간(11)의 이동손잡이(10)를 닫힘위치에 놓게되면 제 1 관통구멍(4)과 제 3 관통구멍(14)이 작동간(11)에 의해 중간차단되어 남비내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되고, 이동손잡이(10)를 작동구멍(15)의 중간위치인 울림위치에다 놓게되면 제 2 도와 같은 상태가 즉, 제 1 관통구멍(4)과 소리부재(9)의 중공부(18) 및 제 3 관통구멍(14)이 서로 일치하게 됨으로서 남비내의 음식물의 끓어 일정압력 및 일정속도의 수증기를 배출하게 되는 경우 소리부재(9)에 의해 속도가 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남비에서 음식물이 끓고 있는 것을 알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손잡이(10)를 스팀위치에다 놓게되면 제 1 관통구멍(4)과 제 2 관통구멍(8) 및 제 3 관통구멍(14)이 일치하게 되므로서 남비내에 수증기가 상기 관통구멍들을 통고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남비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같이 닫힘위치, 울림위치 및 스팀위치에 따라 이동손잡이(10)의 직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0')가 상기 제위치에 따라 형성된 위치표시홈(5')과 결함되므로 감각적으로 확실한 위치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남비뚜껑(1)에다 작동간(11)과 지지판(12)으로 구성된 압력조절장치를 설치해 놓음으로서, 남비내의 음식물이 끓어 넘지않게 되고, 그 때문에 영양가의 손실없이 음식물을 맛있게 조리할 수 있으며, 남비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음식물이 끓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어 음식물을 태우지 않고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목적에 따라 닫힘, 울림 및 스팀의 기능을 사용자가 손쉽고 정확하게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패킹(7)(7')에 의한 기밀유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남비뚜껑(1)의 중앙엔 원형의 오목홈(2)을 형성시키고 결합보울트(3)를 부착결합시키며 상기 오목홈(2)에는 제 1 관통구멍(4)을 형성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오목홈(2)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동간(11)은 제 2 관통구멍(8), 소리부재(9) 및 이동손잡이(1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작동간(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12)은 상부에 커버(13), 제 3 관통구멍(14) 및 작동구멍(15)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결합보울트(3)에는 작동간(11)과 지지판(12)이 끼워진 상태에서 뚜껑손잡이(17)를 나사결합시켜 이루어지는 남비뚜껑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2)에는 걸림홈(5)과 다수의 위치표시홈(5')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2)엔 걸림돌기(16)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작동간(11)엔 위치표시부(15')와 이동손잡이(10) 직하부엔 걸림돌기(10')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5) 및 위치표시홈(5')엔 상기 걸림돌기(16)(10')가 각각 끼워 고정될 수 있게 이루어지고, 상기 위치표시부(15')엔 위치표시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관통구멍 (4)의 외주연과 상기 제 3 관통구멍(14)의 하단부엔 패킹결합홈(6)(6')을 각각 형성하여 고무패킹(7)(7')을 끼워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비뚜껑.
KR2019860016507U 1986-10-28 1986-10-28 남비 뚜껑 KR900008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507U KR900008360Y1 (ko) 1986-10-28 1986-10-28 남비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507U KR900008360Y1 (ko) 1986-10-28 1986-10-28 남비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520U KR880007520U (ko) 1988-06-27
KR900008360Y1 true KR900008360Y1 (ko) 1990-09-15

Family

ID=1925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507U KR900008360Y1 (ko) 1986-10-28 1986-10-28 남비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3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520U (ko) 198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34548U (zh) 在液体中烹调食物的厨房用具
AU769309B2 (en) Cooking sink
EP1240860B1 (en) Cooking vessel
KR101922455B1 (ko)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CN201814427U (zh) 用于在液体中烹饪食品的厨房用具
KR900008360Y1 (ko) 남비 뚜껑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JP4727481B2 (ja) 調理器具
KR200368218Y1 (ko) 조리용기용 뚜껑
US3736917A (en) Venting means for cooking utensil
US2659362A (en) Food warming means
JP3498699B2 (ja) 炊飯器
KR200368219Y1 (ko) 조리용기용 뚜껑
JPH11273848A (ja) 調理器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0305101Y1 (ko) 양면 요리판
JPS623048Y2 (ko)
KR101544367B1 (ko)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KR200378460Y1 (ko) 조리용 팬 뚜껑
KR200159166Y1 (ko) 불판 겸용 냄비
CN217488377U (zh) 一种煎炒蒸多用途平底锅
JP3171151B2 (ja) 電気加熱調理器
KR840002763Y1 (ko) 냄비뚜껑
KR100763338B1 (ko) 스팀배출 조절가능 조리용기
JP3119361U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保温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