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340B1 - 메타규산나트륨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식기 세척에 유용한 그의 세제조성물 - Google Patents

메타규산나트륨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식기 세척에 유용한 그의 세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340B1
KR900008340B1 KR1019830003139A KR830003139A KR900008340B1 KR 900008340 B1 KR900008340 B1 KR 900008340B1 KR 1019830003139 A KR1019830003139 A KR 1019830003139A KR 830003139 A KR830003139 A KR 830003139A KR 900008340 B1 KR900008340 B1 KR 900008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metasilicate
composition
weight
granules
gran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480A (ko
Inventor
고다르 제라르
쥬베르 다니엘
갸네르 필립
Original Assignee
롱-뿔랑 쉬미드 바즈
마갈리 르 페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2758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834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롱-뿔랑 쉬미드 바즈, 마갈리 르 페넥 filed Critical 롱-뿔랑 쉬미드 바즈
Publication of KR84000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11D7/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7/10Salts
    • C11D7/14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20Silicates
    • C01B33/32Alkali metal silicates
    • C01B33/325After-treatment, e.g. purification or stabilisation of solutions, granulation; Dissolution; Obtaining solid silicate, e.g. from a solution by spray-drying, flashing off water or adding a coagulan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8Silic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타규산나트륨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식기 세척에 유용한 그의 세제조성물
제 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메타규산나트륨의 신규한 과립, 그 제조방법 및 세제, 특히 식기의 정화용의 세제 조성물에대한 사용을 목적으로 한다.
메타규산나트륨은 널리 유통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특히, 다른 알칼리염보다도 적은 자극성을 나타내면서 필요한 알칼리도가 부여된 식기 세적용 세제 조성물에 큰 용도가 있다. 특히, 그 알칼리도에 관계없이, 그것은 유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에 대해서 그렇게 침식적이 아니다.
또한, 메타규산나트륨은, 유화력 및 재부착 방지력과 같은 유어한 세제 특성을 그 자체가 가지고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 그것은, 식기의 정화용 세제 조성물에 자주 사용된다. 그런데, 현재에는, 자동기계에 의한 식기 세적용의 세제 조성물은, 건식 혼합이라고 불리우는 기술에 의해서 제조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이를 조성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은 실질상 기초 재료의 특성에 대응하고 혼합 방법은 그것을 전혀 또는 극히 약간 밖에는 변화시키지 않는다.
대단히 중요한 원료, 특히 메타규산나트륨은, 따라서, 때로는 모순하는 그러한 일련의 필수조건을 모두 만족시키지 않으면 않된다. 고려할 수 있는 문제점은 하기의 요건을 충촉시키지 않으면 않되는 그러한 형태의 메타규산나트륨을 제공하는 것이다.
a) 식기 세적용 세제 조성물은 대중에 널리 유포되어 있으므로, 훌륭한 시각적 외관이 요구된다. 이 외관은, 양호한 백색의 정도, 보다 둥근 입자, 적당한 평균 직경, 그리고 이질적인 인상을 갖게하는 것 보다는 미세한 입자 및 보다 큰 입자를 배제하는 입도분포를 의미한다.
b) 이들 외관 특성 외에, 식기 세적용 세제 조성물은 이용자에게 잘 받아드려지기 위해서는, 농후하고 또한 밀도가 높은 제품에 상당하는 것이 아니면 않된다. 따라서, 원료는,1보다도 큰 높은 비중 및 조성물의 너무 과다한 희석을 야기하지 않는 최적 수분량을 나타내어야만 한다. 또한, 높아진 외관상 밀도도, 식기 세적기에 합체된 분배기의 비교적 작게된 치수 때문에 필요하게 된다.
c) 사용되는 원료는, 이용자에 대해서 무해한 것이어야 한다. 그런데, 메타규산나트륨은 비교적 자극적인 물질로 간주할 수가 있다. 이것의 잘알려진 문제점의 하나는 그것이 코를 자극하는 느낌 그리고 재채기로서 나타나는 이용자의 점막의 일시적 자극을 일으키게 한다는 사실이다. 이 호흡곤란은, 제조가 받게되는 각종기계적 조작시에 큰입자의 소모 또는 파괴(마손)로 부터 생기는 메타규산나트륨의 때우 작은 입자의 출현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이 현상을 규정하기 위하여 「가루경향」라는 용어가 사용되는데, 이 가루경향을 인식하므로서 식기 세적용 처방물의 자극성 내지는 침식성을 정량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타규산나트륨이 비교적 자극적인 물질이라는 이유의 하나는 그 알칼리도에 유래한다. 그런데, 이 알칼리도는 반응이 모순되고 있는 이2종류의 요건을 고려하면서 해결할 문제점인 것이어서, 희생시킬 수 없는 필수적인 「효능」을 위하여 절대로필요하게 된다.
d) 원료는 저장 안정성이며 또한 양호한 내괴상화성을 가지지 않으면 않된다. 또, 이들은 식기 세칙용세제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어야만 한다. 그래서, 이들은 향료, 유리성 염소 함유물질(디클로르이소시아누르산나트륨)의 분해도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분해도 야기시켜서는 않된다. 관용되고 있는 표면활성제로서는, 에틸렌옥시드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에 또한 에틸렌옥시드를 알킬메놀에 축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물질을 들 수가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과 무수메타규산나트륨과의 혼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조성물은 안정되지 못하다. 특히, 소정의 저장시간이 지나면 착색의 출현 및 특히 알데히드를 기제로한 향료의 냄새발생이 인지된다.
e) 마지막으로, 원료는 식기 세적기에서 양호한 이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않된다. 이점은 대단히 중요한 사실의 하나인 동시에, 생성물이 자동분배기로부터 배출되고, 이어서 식기 세적기의 사이클의「세적」 단계 기간중에 가능한 한 빨리 그리고 가능한 한 완전히 용해되는 능력을 회복한다.
이리하여, 상기의 사실에서, 때로 모순되는 그러한 전기 필수조건의 전부를 만족시키는 메타규산나트륨을 가져오는 원료를 발견하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는 결과가 된다.
현재까지, 신뢰할 수 있고 또한 무수메타규산나트륨, 낮은 수분의 메타규산나트륨 흑은 구형체 또는 과립의 형태의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인 원료는 완전한 만족을 구지 못했다.
식기 세적용 세제 조성물에는 탄산나트륨과 규사와의 용융, 냉각, 분쇄 및 체질선별(예를 들면,0.4∼1.4mm)로 얻어지는 0.2% 이상의 물을 함유하지 않는 실질상 무수의 메타규산나트륨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물질의 이점은 그 작은 기공율에 의한 대단히 높은 외관상 밀도 및 대단히 적은 수분에 따르는 큰 농도 및 온도 상승에 의한 괴상화의 염려가 없다는 것 그리고 유리성 염소함유 물질과의 양호한 적합성이다.
그러나, 문제점도 때우 많다. 예를 들면, 외관이 분쇄, 생성물의 외관, 즉 예각이 있는 입자이며, 흰 정도가 그렇게 크지 않고, 원료에 크게 좌우된다. 그 제조방법이 정제의 가능성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가루 경향도 크고,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의 상용성도 나쁘다. 또, 이것은 그 무수성 때문에 화학적으로 충분히 침식성의 물질이어서, 습도가 상승한 경우에 괴상화하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식기 세적의 경우의 용해량이 작다.
그리하여, 무수메타규산나트률의 어떤 종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것을 과립화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1에 동둥한 SiO2/Na2O 몰비를 가지는 메타규산나트륨의 수용액으로부터 출발하여, 이것을 과립화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저 수분의 과립을 제조할 수가 있다. 프랑스 특허 제2,403,974호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무수규산나트륨과 메타규산나트륨액을 입자의 층의 형성을 시키는 긁어올림 블레이드를 갖춘 드럼의 회전에 의해 운동상대로 유지된 무수메타규산나트륨 입자에 전기한 액을 분무함으로써 접촉시키고, 상기 입자에 200∼500℃의 온도의 더운가스의 열 작용을 시켜, 이어서 얻어진 과립을 42∼65℃의 평균온도의 교반된 하우징 내에서 냉각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방법에 의해 2∼6%의 수분을 갖는 과립이 제조된다.
전기한 제조방법은, 개선된 물질의 취득을 가능하게 한다. 즉, 외관 및 휜 정도는 좋아지나 농도는 약간낮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의 접합성은 크다. 또, 가루경향 및 용해속도도 상당히 개선된다. 그러나, 외관상 밀도는 대단히 낮고, 임자의 일체성 내지 경도는 낮다.
마찬가지로, 구형체 또는 과립상의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의 형태의 메타규산나트륨의 사용을 선택할 수가있다. 일반적으로는 그것은 1과 동등한 SiO2/Na2O 몰비의 메타규산나트륨의 용액으로부터 출발하고, 이것을 화학양본적인 점까지 농축하여, 냉각용 벨트상에서 행하는 냉각에 의해서 결정화시키고, 이어서 유동상 또는 회전 드럼으로 과렵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이 물질은 용액의 결정화로 얻어지는데, 이 단계에서 예를 들면 여과에 의한 정제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순수하게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종류의 물질의 이점의 하나이다.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은, 양호한 용해거동을 갖는다. 그것은 메타규산염의 회석된 그리고 「안정화된」 형태를 표시하며, 이 때문에 그 단계는 무수물질 보다도 적은 자극성을 나타낸다.
이것은 물을 그렇게 요구하지 않으므로 습도상승에 의한 괴상화에 대한 저항성은 양호하다. 또, 그것은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의 양호한 적합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은 그래도 많은 문제점을 나타낸다. 즉,베타규산나트륨 5수염의 색은 때우 액색인 과립형의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의 색과, 같은 값이 되지는 않는다.그 결과, 세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외관을 해치는 그러한 색의 불균일을 나타낸다. 외관상의 일도는, 동등한 입자의 기공을 및 평균직경을 갖는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의 것보다도 대단히 작다. 또,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 중에 존재하는 물의 양은 많으므로(42.5%), 그 사용에 의해서 식기세적 처방물의 큰 희석 및 이에 대응하는 효력의 저하가 발생한다. 또. 온도가 상승한 경우에는, 부분적인 융해에 의한 괴상화의 염려도 크다. 마지막으로,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과 활성 염소함유 물질과의 적합성은 불량하다.
이상의 사실에서, 메타규산나트륨을 초래하는 원료의 단계에서 극복해야 할 곤란점, 즉, 한편에서는 농후하고 유효한 물질을 요구하는 경제적인 필수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다른 한편으로 이용자에 대한 무해성과 비자극성 요건에 따르지 않으면 안된다는 곤란점이 있다는 것이 명백하게 된다.
여기에, 본 발명의 목적이 되는 것으로서,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의 중심부를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의 주위층으로 피복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에 함유되는 물의 양이 최종 생성물의 10중량% 이상 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메타규산나트륨과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으로 구성되는 신규한 메타규산나트륨 과립이 발전되었다.
그러나,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 중에 함유되는 물의 양이 최종 생성물의 10∼25중량%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과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립은 하기 조성을 갖는다.
메타규산나트륨 Na2S1O373 ∼88%
물 10∼25%
불순물 <2%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과립의 수분은 12∼22%이다.
불순물의 존재는 원료 물질로 부터 오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탄산나트륨 및 산화철로 구성된다. 이들 과립의 물리적 특성은 하기와 같다.
부피 밀도 g/cm30.95∼1.20
평균 직경 mm 0.55∼0.60
lmm 보다 큰 과립% 최고 15%
0 25mm 보다 작은 과립% 최고 1%
이들 특성의 정의 및 결정방법은 실시예에서 상술한다.
이들 특성 때문에 메타규산나트륨 과립은 하기의 성질을 가진다.
높은 외관상 밀도
더운 분위기 및 습한 본위기에서의 뛰어난 거동
대단히 양호한 마쇄 저항
그리고, 세제에 대한 사용에 있어서는, 그것은 유리성 염소 함유 물질, 비이온성 계면 활성체, 향료 등의존재하에서 애우 양호한 가동한다는 잇점을 부여한다.
식기세적용 세제 조성물에 대한 사용에 있어서는 이들은 때우 빨리 용해하며, 세적 사이클의 종말에 카서미용해있던 물질의 비율은 비교적 낮다.
이들 과립의 독창적인 구조는 완전히 적합한 제조방법에 의해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메타규산나트륨 과립은, 과립화라고 칭하는 제1지역에 무수메타규산나트륨 및 메타규산나트륨액을 도입하고, 고체상을 구성하는 입자의 표면에 액상을 분무하므로서 고상과 액상을 접촉시키고, 숙성이라 청하는 제2지역에서 과립중에 적어도 10중량%의 물을 유지시키고 또한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의 주위층의 현성을 야기시키도록 그 과립을 가스의 흐름 또는 가스의 향류 흐름에 의한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과립은, 무수메타규산나트륨으로부터 제조된다.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이란 최대 5%의 물을 함유하는 식 Na2SiO3,의 메타규산염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시장에서 발견되는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무수탄산나트륨과 정제한 규사를 함유하는 필요한 원료를 높은 온도(1,200∼1,300℃)에서 일체로 하여 용융시켜, 얻어진 생성물을 냉각하여, 이것을 괴상으로 결정화시키고, 이어서 본쇄하고, 분말화하여, 소망하는 입도로 체질선별하는 방법으로 얻어지는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을 사용할 수가 있다. 반응체 중에 존제하는 불순물이 결정화시킬 괴상물 중에서 다시 발견되는 사실을 생각하면, 가장 높은 순도, 즉 0.4% 미만의 금속산화물, 실질적으로는 천 및 알루미늄의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0.1% 미만의 당해 산화물을 나타내는 규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의 입도에 관해서는, 그것이 하등 임계성을 나타내지 않고, 최종 생성물에 요망되는입도 특성에 따라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은 0.05 내지 0.80mm의 치수를 갖는 입자를 나타낸다.
제1지역의 입구에 있어서의 액상은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예를들면,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을 용해합으로써, 또는 수산화나트륨에 의하여 더욱 높은 SiO2/Na2O 몰비의 규산염 용액을 1의 비로 다시 복원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메타규산나트륨 액으로 이루어진다.
또, 규사를 수산화나트륨으로 직접처리함으로써 생기는 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메타규산나트륨액은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을 물에 섞으면서 70 내지 90℃ 사이,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에서 용해함으로써 제조된다.
메타규산나트륨액은 30 내지 58%,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사이의 건조 추출물을 나타내도록 제조된다.
메타규산나트륨액의 건조 추출물과 전과립의 중량비는 0.042 내지 0.28,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6이라도 좋다.
본 방법의 제1의 공정은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을 과립화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 때문에 메타규산나트륨액이 섞으면서 전동층의 형태로 유지된 무수메타규산나트륨 입자의에 수직으로 분무된다
입자의 전동층의 형성은 회전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확실히 행해진다.드럼의 회전의 선속도는,0,08m/s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m/s이마 이 드럼의 치수에 적합한 공급유량은 각각 무수메타규산나트륨에 대해서 2,000 내지 3,000k8/hr 및 메타규산나트륨액에 대해서 1,000 내지 1,500kg/hr이다.
과립화 지역에 있어서의 입자의 체류시간은,5 내지 30분간, 바람직하게는 15분간이다.
과립화 지역에 있어서의 온도는, 몇개의 열속사이의 평균온도이다. 메타규산나트륨의 수화 및 결정파 반응은 발열적이고, 그리고 메타규산나트륨액은 열간에서 제조되는 온도가 얻어지는 과립의 온도보다도 낮은가스의 흐름에 의하여 과립화 지역을 소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기는, 고체와 병류 또는 향류 방향의 가스의 흐름, 예를들면 주위온도(5 내지 30℃)의 공기 또는 질소의 흐름에 의하여 행할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의 비산을 괴하도록 향류방향에서 보내진다.
과립화 지역의 출구에서의 과립의 온도는,50℃의 온도보다도 낮아야 하지만, 불편하지 않으면 주위 온도에서 50℃의 사이가 좋다. 과립화 지역을 나갈때는,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은 이미 결정화 되어 있지만, 숙성 공정에 의하여 그 결정화를 완료시킴이 바람직하다. 이 공정은 얻어진 생성물을 냉각함으로써 결정화를 완결시키고 또한 얻어진 과립의 안정성을 보장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냉각은 바랍직하게는 냉각시켜야 할 물체의 향류방향으로 흐르는 가스, 예를들면 공기 또는 질소의 흐름에 의하여 실시된다.
숙성지역의 출구에서 얻어지는 과립의 온도는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35℃ 이하이어야 한다.
과립은 양호한 열교환이 실시되도록 교반한다.교반은 전동층의 형태 또는 유동층의 형태에 유지된 과립물 이동시킴으로서 확보된다.
드럼의 회전의 선속도는 0.08m/s 내지 0.5m/익 바람직하게는 0.2m/s 내지 0 .4m/s이다.숙성지역에 있어서의 과립의 체류시간은 사용하는 장치에 의하여 30 내지 60분간이다.
과립은 이어서 배출되는 소망하는 입도(이것은 대체 0.4 내지 1.25mm로 선택됨)로 사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사별에 의하여 분리된 미소입자 및 가스흐름의 여과에 의하여 회수된 입말이 조립지역의 입구에 재순환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순환율은 최종 생성물의 20 내지 40중량%이다.
이 재순환의 가장 중요한 효과의 하나는 프로세스의 안정한 진행도 가능게 하는 것이다. 미소입자를 재순환시킴으로써,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의 입도의 편차를 일부 보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충분히 규격적인 입도로 입수하기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그 자체 알려진 장치로 실시할 수가 있다.
제1단계에 대해서는 입자의 전동층의 형성을 확보시키는 수단을 취할 수 있다. 가장 적당한 장치는, 생성물의 층의 높이보다도 낮은 높이의 평활판 또는 날개를 구비한 회전 드럼이다.
숙성공정에 관해서는 냉각해야 할 공형물체와 냉각을 시키는 가스의 흐름과의 사이의 양호한 접촉을 확보하는 상류에서 하류로 운동하는 분상물체를 부여하는 모든 수단을 쓸 수가 있다. 실제로는 긁어올리는 블레이드를 구비한 회전 드럼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블레이드의 작용은 드럼이 회전하고 있을 때에 그 드럼내에 휴지하고 있는 과럼물체의 층의 일부분을 들어올리기, 그리고 드럼의 용적의 주요부를 차지하고, 드럼을 횡단하여 수직 및 긴쪽방향으로 넓어지고 또한 드럼을 횡단하여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이동하는 커튼을 형성하여 비모양으로 과립을 낙하시키는 것이다. 또 많은 경우에 공기의 유동층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유동층으로 이루어진 동등한 장치를 사용할수가 있다.
또한, 단일의 드럼내에서 조립과 숙성의 두개의 조작을 실시하는 것을 예측할 수 있지만, 그러나 가스흐름의 순환의 문제때문에 두개의 드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사실, 제1지역에서는,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의 비산을 회피하기 위하여 가스흐름을 물질의 흐름과 병류로 내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 숙성지역에서는 보다 양호한 그리고 신속한 냉각을 확보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스의 향류흐름을 확보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의 하나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예시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적합한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사용하는 장치는 두개의 긴 형상의 공동드럼 및 2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드렁은 회전되고, 그리고 그 축이 수평으로부터 근소하게, 예를들면 5e 경사되도록 장비되고, 또 드럼을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 수단은 주지인 것이어서, 도시하지 않는다.
각 드럼은 입구와 출구에 도입되는 생성물을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 고리의 형상을 갖는 다이어그램(diaphragm)(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제1도를 참조하건데, 드럼(1)은 다이어프램(3)에 의하여 두개의 격실, 즉 과립화 지역에 해당하는 제1의 것과 제1숙성 지역에 해당하는 제2의 것과로 나누어진다 다이어프랭(3)의 높이가 생성물의 층의 높이를 결정한다.
기부에 향해서 경사하는 도관(4)은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을 드럼(1)의 단부의 아래쪽부로 내보내도록 작동한다.
드럼(1)은 그 최초의 부분으로 평활판을 갖는다. 드럼의 회전에 의하여 생성물의 전동층이 형성되고, 입자가 응집된다.
메타규산나트륨액은 가열장치를 갖고 또한 전형적인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교반기를 갖춘 탱크에서 미리 제조된다. 이것은, 펌프 또는 압죽공기에 의한 이동과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하여 생기는 압력하에 송출되고, 그 유량은 자동밸보에 의하여 제어된다.
액은 도관(6)에 의하여 운반되고, 운동하는 무수메타규산나트륨 위에 분무관(7)에 설치한 분무 노즐(8)에의하여 분무된다. 또, 액은 보조적유체(공기)에 의하여 또는 절충방식으로 분무할 수가 있다.
드럼은 조금 경사되어 있기 때문에 메타규산나트륨은 몇개의 긁어올리는 블레이드가 있는 드럼(1)의 제2부분으로 이송된다.
가스흐름(9)의 유임은 드럼(1)의 입구에 위치된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제한되는 오리피스에 의하여 행해진다.
드럼의 출구단부에는 드럼(1)에서 나오는 재가열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갖는 수집기(10)가 있다.가스의 순환은 수집기(l0)의 출구에 놓인 흡인 환기 수단에 의하여 흡인 함으로서 확보된다.
그 전에 배치된 필터에 의하여 가스 흐름속에 함유된 분말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과립은 도관(11)에 의한 비증만으로 또는 생성물에 적합한 콘베이어에 의하여 제1드럼에서 제2드럼으로 이송한다.
과립은, 제2수집기(12)를 횡단하고, 제2드럼의 하부로 낙하한다. 수집기(12)는 드럼(2)의 가스를 배출시키도록 작동한다. 수집기(12)의 출구에는 필터, 이어서 흉인환기수단이 존재한다.
드럼(2)은 그 출구단부에 가스흐름(13)의 유입을 가능케 하는 다이어프램에 의하여 제한되는 오리피스를 갖는다. 이 가스의 흐름은 수집기(12)의 하부에 위치한 환기수단에 의해 흉인되기 때문에 물질에 대해서 향류방향으로 순환한다. 또, 그곳에는 과립의 배출장치(14)가 구비되어 있다.
제2드럼에서 나온 과립은 분쇄에 의하여 소망하는 입도로 만들수가 있는 큰 입자를 제기시키고, 또 도관(5)을 사이에 두고 드럼(1)의 입구에 재순환할 수 있는 미소입자를 분리시키는 모종의 체(진동,회전 또는다른 형의 체)로 사별된다.
또, 같은 장소에는 수집기(10 및 12)의 출구에 배치된 여러가지의 필터에 의하여 보존된 분말이 재순환된다.
이것에 의해 이하에서 상술하는 바와같은 개선된 특성을 갖는 과립이 얻어진다.본 발명의 메타규산나트륨 과립은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에 유리하게 사용된다.이 세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과립의 중량비율은 20 내지 70%이다.
이와같은 조성물은,20 내지 70중량%의 본 발명의 메타규산나트륨과립,10 내지 70중량%의 알칼리금속의 인산염 또는 폴리인산염,1 내지 30중량%의 1종 이상의 가용성 무기염,0.2 내지 3중량%의 비이온성계면 활성제,0.2 내지 5중량%의 유리성 염소함유 화합물,0.2 내지 5중량%의 부식방지제, 소포제, 괴상화방지제, 향료, 착색제와 같은 첨가제, 그리고 임의 성분으로서 0 내지 50중량%의 천연 또는 합성 알루미노 규산염을 함유할 수가 있다.
알칼리 금속의 인산염 또는 폴리인산염으로서는, 오르소 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또는 칼륨, 트리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자가 사용된다.
가용성 무기염의 예로서는 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붕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중탄산나트륨 또는 칼륨을 들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양호한 습윤력을 가져야 하지만, 비발포성이여야 한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기의 것이다.
o 폴리옥시 에틸렌화 알킬페놀, 예를들면 알킬페놀(알킬기는 선상 또는 분지상이고,6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1몰에 대해서 1 내지 6몰의 비을의 알킬옥시드 축합생성물 특히,2몰의 에틸렌옥시드를 축합시킨 노널페닐,2 내지 6몰의 에틸렌 옥시드를 축합시킨 도데실페눌을 들수 있다.
○ 폴리옥시에틸렌화 지방족 알콜 8 내지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선상 또는 분지상 지방족 암클과2 내지 6몰 에달렌 옥시드와의 축합 생성물, 예를들면 약 2 내지 4몰의 에틸렌옥시드와 1몰의 C18암콜과의 축합생성물.
○ 폴리옥시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화 알콜 특히, 상품명 「PLURAFAC]로서 시간되고 있는 제품
(이것은 폴리옥시에틸렌-폴러옥시프로필렌화 알클이다)을 들수 있다.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화 유도체. 이 종류의 계면 활성제의 예는 상품명 「PLURONICS」로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다. 이것은 저분자량의 활성수소 화합물, 예를들면 프로필렌 글리콜에 프로필렌옥시드에 이어서 에틸렌옥시드를 축차 부가시킴으로써 얻어진다. 175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옥시프로필랜의중량에 대하여 10%의 폴리옥시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계면 활성제를 들 수가 있다.
유리성 염소함유 화합물은 무수 또는 수화된 디 클로로 이소시아누르산나트륨 또는 칼륨, 디클로로 디메틸히만트인,2염화 글리콜루릴, 클로라민 T 등에서 선택된다.
또, 세제 조성물에는 세척욕 중에 존재하는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에 의하여 나트륨 이온을 교환할 수 있는 불용성의 결정질 알루미노 규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천연 알루미노 규산염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합성의것, 특히 4A형 제올라이트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은 세제 조성물의 제조중에서 어느 시점에서도 불편없이 도입할 수 있지만, 성분의 바람직한 도입순서가 있다.
그 조작은 일반으로 혼합기(연속 또는 단속회전형)로 행하여진다. 우선, 알칼리금속의 인산염 또는 폴리인산염이 창입되고 이어서 이것에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분무되고, 이어서 본말상의 다른 성분, 그 다음에 본 발명의 베타규산나트륨 과립이 가하여지고, 최후에 유리성 염소합유화합물이 첨가된다.
본 발명의 과립은 식품세척용 세제 조성물에의 사용에 특히 적합한 것이라고 상술했다. 그러나, 그들의 사용은 이용도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메타규산나트륨의 다른 모든 사용분야에 즉 내복 세척용 가정세제, 집단용세제, 공업용, 특히 식품공업(병의 세정), 야금공업(철금속 및 알루미늄의 탈지), 섬유공업(특히 과산화수소 표백욕)용의 세제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과립의 제조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예시한다.
이들의 과립을 식기 세척용 조성물에 도입한 때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세정효능을 입증시키는 하기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들의 예에서 나타낸 백분률(%)은 중량에 의한다.
실시예I
1. 본 발명의 과립의 제조
상품명 「Simet AP」라고 하여 시판되고 있고, 특성이 하기와 같은 무수메타규산나트륨에서 출발하여 본발명의 과립의 제조를 실시한다.
물리적 특성 : 분말의 외관, 부피밀도 1.2
화학적 특성 : SiO2(건조물기준) 46.6%, Na2O(건조물기준) 50.9%, CO2(건조물기준) 2.0%, H2O0.2%, Fe2O3최고 0.05%, 불용분 최고 0.1%
입도특성 : 평균 직경 0.16mm,0.63mm의 체의 불통과분 7%
상기의 특성의 무수메타규산나트륨으로부터의 본 발명의 과립의 제조는, 하기의 특징을 갖는 두개의 회전드럼(1 및 2)를 포함하는 제1도에 기재된 바와같은 장치로 실시한다.
Figure kpo00002
드럼(1)은 다이어프램(3)에 의하여 두개의 격실, 즉 제1은 과립화지역에 해당하는 5.3m의 것, 제2는제1숙성 지역에 해당하는 2.7m의 것으로 나누어진다. 드럼(1)은 그 제1부분에 평활판을 갖고, 그리고 그 제2부분으로 긁어올리는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을 도관(4)에 의하여 드럼(1)로 도입한다. 여기에는 미소물의 재순환을 가능케하는 도관(5)이 접속될 수 있다.
다음에, 도관(6)에 하여 도입된 메타규산나트륨액이 분무관(7)에 구비된 분무노즐(8)에 의하여 분무된다.
공기(9)가 드럼(1)내의 물질에 대해서 병류방향으로 도입되고, 수집기(10)에 의하여 배출되고, 그 출구에서 그것은 필터를 통한 후에 인출 송풍기에 의하여 흡인된다.
드럼(1)에서 나온 생성물은 중력만으로 도관(11)에 의하여, 수집 블레이드를 구비한 드럼(2)에 도입된다.생성물은 13에서 도입되는 주위온도의 공기에 의한 향류방향에서 처리되고, 수집기(2)에 의하여 배출되고, 그 출구에서 필터를 통과한 후에 인출송풍기에 의하여 흡인된다.
최종 생성물의 과립은 14에서 배출되고, 이어서 사별된다.
처리 조건을 표1에 요약한다.
[표 1]
Figure kpo00003
0.4mm 내지 1.25mm 사이로 사분된 생성과립의 특성을 표2에 요약한다.
[표 2]
Figure kpo00004
수분은 550℃에 소성한 후의 생성물을 평량함으로써 결정된다.
부피 밀도는 눈금있는 시험관내의 소정 중량의 생성물의 용적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입도는 AFNOR 표준체에 통과시킴으로써 결정된다. 평균직경은 입자의 50중량%가 평균 직경보다 크거나 적은 직경이라고 정의된다.
II. 본 발명의 과립의 물리적 화학적성질
일련의 측정 및 시험에 의하여 본 발명의 과립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그들을 식기세적용 세제 조성물에 이용될 수 있는 능력을 이하에 명백히 한다.
예 1 내지 3에 기재의 과립을 보다 정확히 연구하겠다. 비교로서 시판제품에 의한 시험을 실시하지만 이시판 제품은 다음과 같다.
·무수메타규산나트륨(시험 A 롱쁠랑사에서 상품명 「Slmet AS」로서 시판되어 있다) 이것은 규사와 탄산나트륨과의 혼합물을 약 1200 ℃에서 용융함으로써 얻어진 괴체는 냉가후에 분쇄되고 미분쇄되어, 이어서 사별된다. 그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비율(%)은 중량으로 나타낸다.
Figure kpo00005
·저수분량의 과립상 메타규산나트륜(시험 B). 이것은 상품명「Slmet AG」로서 시판되어 있고, 프랑스국 특허 제2,403,974호에 기재된 과립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고, 하기의 화학적 특성을 갖는다.
Figure kpo00006
·과립상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시험 C) 이것은 상품 「Slmet 5GS」로서 시판되고, 그리고 메타규산나트륨용액의 과립화 이어서 냉각으로 제조되고, 그 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7
다음에, 본 발명의 과립의 화학적 특성을 이하에 나타낸다.
·16.6%의 수분을 갖는 과립상 메타규산나트륨(예 1)
Figure kpo00008
·10.0%의 수분을 갖는 과립상 메탄규산나트륨(예 2)
Figure kpo00009
· 20.0%의 수분을 갖는 과립상 메탄규산나트륨(예 3)
Figure kpo00010
·25.0%의 수분을 갖는 과립상 메타규산나트륨(예 4)
Figure kpo00011
상가의 메타규산나트륨에 관하여의 연구 파라미터는 설명의 최초에 나타내는 5점에 관련시킬 수가 있다.
외관
색깔
입자의 형상
입도
마쇄저항, 입자의 일체성(Solldlty)
·농도
부피밀도
수분
비자극성 (non-aggressivity)
수분
가루경향
마쇄저항, 입자의 일체성
입자의 피북
·안정성 및 상용성
괴상화저항
비이온 계면활성제와의 상용성
유리성염소 항유 물질과의 상용성
·식기세적에의 이용 가능성
용해속도
용해율
각종의 피검물질에서 얻어진 결과를 상술하기 전에 상기의 각종의 파러미터의 결정에 쓰이는 방법을 명확히한다.
A외관
1)색
피검물질의 색은 3색좌표를 사용하는 GardnerXL 805 반사게에 의하여 규정된다.
이 방법의 원리는 3개의 단색이 해당하는 3개의 파장하에서 물질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의 양을 측정할 수가있다.
측청은 휘도, 색상, 괴검물필의 분포 및 입드 특성을 고려에 넣는다.
결과는 좌표 L,a 및 b로 나타내진다.
L은 물질의 휘도이고, 색상의 문제를 배제한다. 휘도의 척도는 다음과 같다.
0 완전 흑
100 순백
a 및 b는 다음의 색을 나타낸다.
양의 a는 적색에 해당한다
음의 a는 녹색에 해당한다.
양의 b는 황색에 해당한다.
음의 b는 청색에 해당한다.
O에 가까운 a 및 b는 착색되어 있지 않는 생성물에 해당한다.
2) 입자의 형상
이것은 100배의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검사항으로써 특징지을 수 있다.
3) 입도 .
이것은 1조의 AFNOR 표준체에 통과하고, 이어서 각각의 입도분휙을 평량함으로써 결정된다.
이것은 입자의 50중량%가 평균직경 보다도 크고 또는 작은 직경을 갖는 직경이라고 정의되는 평균 직경으로 나타내진다.
4) 마쇄저항-입자의 일체성
피검물질에 소정의 기계적 처리를 하고, 이어서 과립의 파괴를 평가시키는 입도분석을 실시한다.
기계적 조작은,200g의 피검물질을 2/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넣고, 이것을 PROLABO식 들라스크 회진교반기 위에서 1시간에 걸쳐 40rpm의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파괴시힘후에, 그믈코의 열링이 0.5mm 및 0.25mm의 두개의 AFROR 표준체에 통과시킴으로써 미세물의 배분률을 측정하고, 얻이진 결과를 시험진의 측정치와 비교한다.
물질마다 2회의 시험을 실시한다.
B농도
1) 부피밀도
이것은 세제분말의 부피밀도를 결정시키는 NF 규격 T 73-405에 따사서 유사한 태양으르 결정된다.눈금있는 시험관내의 일정량의 피검물질의 용적을 그 자유강하후에 또 물질을 자연스럽게 측정한다.
물질마다 2회 결정한다.
2) 수분
550 ℃로 가소한 물질을 평량함으로서 수분을 결정한다.
C 비자극성
1) 수분
상기의 B의 2) 참조
2) 가루경향
어떤 물질의 가루경향의 평가는, 이 가루경향에 응답하는 가장 미세한 입자의 본휙으로 향하여지는 입도측정에 귀착한다. 가루경향을 정량을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세적에 의한 입도선택 방법이 사용된다. 물질 그대로를 NF규격 P15-445에 기재의 유동장치애 도입한다. 이 장치에서는 건조질소의 흐름(0.6bar)이 가루경향에 해당하는 매우 미세한 입자를 선택적으로 연행한다.
이것을 출구에서 물을 넣은 플라스크내에서 포촉하고, 물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전형적인 알칼리 적정법에 의하여 정량한다.
사용된 장치는 다음 요소, 즉 기필적으로 접속된 분리관과 같은 내경을 갖는 피검물질을 받기위한 원통,원추형의 용기이고, 연속 내벽을 형성시킨 것 수직진동식의 활발한 수직 분리판, 용기 보다 위에서 굽어쳐있고 또 그 내측부분에 출구관에 의하여 끝나 있는 소관으로 이루어진 필소배출관, 유연한 조인트에 의하여 관의 상부에 결합된 본말 수집기를 포함한다.
실시방법은 다음과 같다.
59의 피검물질을 원통-원추형 용기의 저부에 넣는다. 200cc의 증류수를 넣은 수집기를 유연한 조인트에 의하여 수직분리관에 접속한다. 바이블레이터를 작동시키면서 600mmHg의 압력하에 질소를 송출하고 이 조작을 15본간 계속한다.
본말에 의하여 생긴 알칼리도를 페놀프탈레인의 존재하에 N/50 황산에 의하여 적정한다. 얻어진 유출량을 C1이라 한다. 명행하여,l9의 물필을 200cC의 물에 정확히 용해 함으로써 얻어진 염기 물질의 알칼리도를 체놀드탈레인의 존재하얘 1N 황산에 의하여 정량한다. 얻어진 유출량을 C2로 한다 ppm수로 나타낸 가루경향의 다음식과 같이 비로 나타내진다.
Figure kpo00012
각각의 평가는 3회의 시험으로 실시하고, 이것으로부터 평균을 구한다.
3) 마쇄저항-입자의 일체성
상기의 A의 4)에 기재
4) 입자의 피북
전자현미경의 검사에 의하여 최종 생성물 과립중의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의 배분을 알 수가 있다.
D 입자의 안정성 및 세제조성물의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1) 괴상화저항
뜨거운 분위기 또는 습기있는 분위기에서의 저장시험을 실시한다. 뜨거운 분위기에서의 괴상화저항 물질을 40℃의 하우징내의 닫힌 플라스크 중에서 2시간 유지한다.
습기찬 분위기에서의 괴상화저항, 물질을 주위온도(18∼251℃)의 열린 결정첩시내에서 90% 상대온도의 분위기하에 2시간 유지한다.
두개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평가한다.양호 육안으로 알수 있는 괴상화가 없는 물질불량 부분적인 괴상화 또는 전체로서 응결
2)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의 상용성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와의 상용성을 혼합물의 발색의 측정에 의존함으로써 평가한다.
98중량%의 피검물질과 2중량%의 비 이온성 계면 활성제(이것은 9몰의 에틸렌옥시드를 축합시킨 노닐페눌이다. 상품명「Cemulsol N.P.9」)와의 혼합물을 제조한다. 양호한 균질성이 얻어지기까지 손으로 섞는다.혼합물의 초기의 색을 상술한 바와 같은 Gardner 반사계에 의하여 측정한다.
55℃의 오븐에 넣은 마개를 한 플라스크에 24시간 저장함으로써 혼합물의 노화를 촉진한다.
노화후의 혼합물의 색을 측정한다. 장치의 계산기는, 소기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노화후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리고 그 두개의 일군의 데이터의 사이에 존재하는 착색의 변화(E)를 계산할 수가 있다.
피검물질과 비이온 계면활성제와의 상용성의 레벨을 착색의 변화치에 의하여 나타내지고, 그러고 하기의평가적도를 부여할 수가 있다
Figure kpo00013
3) 유리성 염소 함유물질과의 상용성
촉진 저장시험 후의 잔류염소를 정량한다.
98중량%의 피검물질과 2중량%의 유리성 염소 함유물질(디콜로로이소시아누르산나트륨)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제조한다.
피검물질을 40℃의 하우징에 있어서 마개를 막은 플라스크속에서 10일간 유치한다.저장후에, 산성매질에서의 요오드 적정에 의하여 잔류 염소를 정량한다.
E. 식기 세척기에의 이용 가능성
이 시험은 총괄적이고, 컵에서의 배출능력, 식기 세척기의 기하학적 특성, 물질자신의 용해 능력의 영향을 집약하는 것이다.
이것은 입구를 닫은채로 컵의 열린곳으로 부터 30초마다 세척욕에서 시료를 신속히 채취할 수 있도록 장비된 가정용 기구 MIELE G500에서 실시한다.
채취마다의 농도를 전도계 TACUSSEL에 의하여 전도물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한다.시간에 대한 농도(전도율)의 곡선을 묘사하고, 결과를 다음의 두개의 파러미터, 즉용해속도 : 도입한 양의 65%를 용해시키는데에 필요한 시간
용해율 : 식기 세척기의 사이클의 세척 단계의 종료시에 용해하지 않은 물질의 백분률로 나타내진다.
시험한 각종의 메타규산나트륨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를 표3에 기재한다.
[표 3]
Figure kpo00014
얻어진 결과를 검사하는데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과립의 사용에 관한 이점은 다음과 같다
A) 무수메타규산나트륨에 관해서,
전자현미경 검사는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으로 이루는 핵과 다른 표면층의 존재를 나타낸다. 메타규산나트륨 5수영은 시사열 분석에 의하여 확인된다 (72℃에서 흡열 피크)
세제조성물의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습기찬 분위기에서의 괴상화저항, 양호한 용해속도라고하는 양호한 결과가 기인될 수 있는 것은 상기의 표면층에 대해서이다. 이들점의 어느것이나 무수물질때문에 개선된다.또, 말할수 있는 사실은, 본 발명의 과립이 주위환경에 대해서 보다 적은 자극 내지 침식성밖에 부여하지 않는것 그리고 그 용해속도 및 용해율이 분명히 개선되는 것이다.
B)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에 관하여
본 발명의 과립은 부분적으로 수화되어 있는 것이지만, 그래도 메타규산나트륨 5수영 보다도 농축되어 있고, 이 생각을 세제것보다 양호한 효능에 명백히 연결할 수가 있다. 치밀성에 관하여 말하자면, 고유의 태양에서 메타규산나트륨 5수영이 0.90보다드 큰 부피 밀도에서 얻어지지 않을때에, 본 발명의 과립에 의하면 높은 부괴밀도가 얻어질 수 있음을 들수 있다.
또 뜨거운 분위기에서의 괴상화 저항은 본 발명의 과립에 관해서는 한층 양호하다.
유리성염소 함유 물질과의 상용성은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의 중정도의 거동에 대한것 보다도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의 양호한 거동과 비슷하다.
또한,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 보다도 조금 적은 용해속도를 갖는데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과립아 작은 미용해율을 나타내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다.
다른 성질(색, 과립, 입자의 형상, 입자의 일체성)에 관해서는 이것은 관용제품의 것과 본질적으로 상이하지 않고, 그리고 제품의 조성보다도 원료의 양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영향받는다.
다음에, 식기 세척용 세제조성물예의 본 발명의 과립의 사용을 예시하는 실시예를 기재한다.
II 식기세척용 세제조성물예의 본 발명의 과립의 사용
예 1에 기재왼 본 발명의 과립을 도입하고, 그리고 하기의 처방을 갖는 세게조성물의 제조를 실시한다.
과립상의 16.6%의 수분을 함유하는 메타규산나트륨 … ··‥··……60%
6%의 수분을 항유하는 트리인산나트륨 · · … ·· ‥‥ '· ……·30%
비이옴성 계면 활성제 PLURAFACAR43(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알쿨)·… ·· … 2%
유리 염 소함유물질 CDB CLEARON(무수디 콜로로이소시 아누르산나트륨) …· ·…… ‥ 3%
무수탄산나트륨 … ‥… ·……· ··· …‥ ·5%
평행하여, 무수메타규산나트륨 및 수분이 본 발명의 과립에 의하여 초래되는 수본과 동등한 양의 메타규산나트륨 5수엄을 사용한 참조예로서의 전형적인 세제를 제조한다.
분쇄 된 무수메타규산나트륨(SIMETAS) … … ‥ ··… 37.4%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SIMET 5SC) … ‥ · · … ·· ·…22.6%
6%의 수분을 합유하는 과럼상트리인산나트륨· ·· … · ……· ‥ 30 %
비이온성계면활성제 PLURAFAC RA 43· … … ··… ……· 2 %
유리염소함유물질 CDB CLEARON· ' · ‥ ···‥ ··· 3 %
무수탄산나트륨 · · ·……‥ ··· …… ··… …··· 5 %
두개의 세제조성물은 51의 유효용량을 갖는 혼합기 LODIGE M5G르 제조한다. 성분의 도입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트리인산나트륨을 장입하고, 이어서 트리인산나트륨에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분무하고, 이어서 다른 성분중의 메타규산나트륨, 그리고 최후에 유리성 염소함유 물질을 도입한다.
얻어진 두개의 세제조성물은 대략 동등한 입도 갖는다.이들을 전형적인 시판의 포장 상자내에서 조건화하고, 구위온도 빛 주위 공기의 가변성 온도에서 2개월 저장한다.
2개월의 저장 종로시에, 하기의 점에서의 세제조성물을 검사한다.
괴상화저항
잔류염소함유량(초기항유량에 대해서 나타낸 백분률)
식기 세적에서의 세척효능
이하에, 식기세척용 세제조성물의 효능의 평가방법만을 설명하지만, 다른 것은 이미 서술했다.
선택적인 시험을 달성할 목적에서, 시험식기의 대표로서 선택한 것은 세척하기 어려운 기질이다. 그것은 완전히 평평한 듀랄루민의 판이다. 그 표면은,11의 염산(d=1 15)의 산성욕 및 전량 10l의 수성욕에 10분간씨 교대로 침지하고, 수세하고, 이어서 1Og/1의 순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알킬러욕에 10분간 침지하고, 수세하고, 그리고 상기 산성욕에 2분간 침지하고, 이어서 최종 수세함으로써 표준적이고 재생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진다.
이어서, 분말밀크, 동물성 유지 및 물로 이루는 때를 엷게 그리고 일정한 두꼐의 층을 얻을 수가 있는 어플리케이터(예을 들면 크로마토그래피용의 플레이트의 제조에 공여되는 어플리켸이터)에 의하여 유동 페이스트의 현으로 적용된다. 다음에 120℃의 환기 오본내에서 1시간 구움으로써 고착시킨다.
다수의 비교적 높은 관상물(30때)을 체계적으로 제조한다 때가 고작된 후, 얻어진 30매의 판상을의 로트를 임의로 10때식의 3그룹으로 나누어, 때의 고착강도의 불균헝이 그룹내부에 근사하다고 하는 가설을 세운다.
제1그룹은 건조없는 만기 므로그랭식 식기세적기 MIELEG 500에 있어서 순수(물 11에 대해서 330mg의CaCo3어1 해당하는 경도 33TH)로 수세한다.
제2그를은, 본 발명의 세제조성물의 존재하에 상기와 동일조건으로 정확히 수세한다제3그룹은, 상기의 전형적인 세제조성물의 존재하에 수세한다.
각각의 그룹의 각각의 판상물에 관해서 때의 제거율을 계산한다.
Figure kpo00015
얻어진 결과를 큰 순서로 본류한 후, 본 발명의 세제조성물 또는 전힝적인 세제조성물에 의하여 제거결과를 물에 의한 제거결과에 직선적인 회귀선에 의하여 수정한다. Y(세제조성물의 세적효능)를 X(물에 의한제거)에 연결하는 방정식을 얻는다. 단일의 수적 효능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X=50%의 물에 의한 제거값에 대해서 Y의 값을 계산한다. 표 4중의 세제조성물의 효능을 특징지을 수 있는 것이 이 수치이다.
두개의 세제조성을의 연구에 의하여 다음의 결과가 얻어진다.
[표 4]
Figure kpo00016
따라서, 본 발명의 메타규산나트륨 과립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의 우수성이 인정된다.

Claims (24)

  1. 무수메타규산나트뮴 중심으로 주위에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이 둘러쌓여 있고,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은 완성된 생성물의 무개비로 적어도 10%의 물올 항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수메타규산나트륨 및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으로 구성된 메타규산나트륨 과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메타규산나트륨 과립조성물이 10∼25%의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메타규산나트륨(Na2S1O3)이 무게비로 73∼83%, 물이 무게비로 10∼25%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무게비로 12∼22%의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부피 밀도가 0.95∼1 20g/cm3 임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 조성물.
  6. 무수메타규산나트륨 및 메타규산나트륨 용액을 과립화되는 제1지역에 도임하고, 고체상을 구성하는 임자의 표면에 액상을 분무시켜 고체상 및 액체상을 접촉시키고, 숙성되는 제2지역에서 과립 조성물중에10%이상의 물을 함유시키고, 또한 메타규산나트륨 5수염으로 주위층을 형성하기 위해 기체의 흐름 또는 향류흐름에 의해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1항에 따른 메타규산나트륨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메타규산나트륨 용액이 30∼58%의 건조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메타규산나트륨 용액이 40∼50%의 건조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전체 과립 조성물에 대한 메타규산나트륨 용액의 추출물의 중량비가 0.042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메타규산나트륨의 용액의 추출물과 전체 과립 조성물의 중량비가 0.042∼0.34임을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메타규산나트륨의 용액의 추출물과 전체 과립 조성물의 중량비가 0.08∼0.22임을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과립화 지역에서 무수메타규산나트륨의 입자가 진동층상 형대가 되도록 교반을 유지하면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13. 제12항에 있어서, 과립화 지역에서 입자의 체류시간이 5∼20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과립화 지역에서 입자의 체류시간이 15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과립화 지역의 출구에서의 과립온도가 주위온도 내지 50℃의 범위내임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온도가 주위온도로 도입된 공기의 병류로서 과립화 지역을 소기함으로서 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제6항에 있어서, 숙성지역에서 과립 조성물이 낙하층의 형태로 교반이 유지되면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숙성지역에서 과립 조성물이 체류시간이 30∼60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숙성지역의 출구에서 과립도성분의 온도가 35℃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온도가 숙성지역을 주위 온도로 도입시킨 공기의 향류-흐름으로 소기시킴으로서얻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1. 제6항에 있어서, 최종 생성물의 과립 조성물을 체로치고, 또 미소립자 및 배출공기의 흐름을 여과함으로서 회수된 분말이 과립화 지역의 입구로 재순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2. 제1항에 따른 메타규산나트륨 과립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기류-세적용 세제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의 세제조성물 중의 메타규산나트륨 과립 조성물의 무게비가 20∼70%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조성물.
  24. 제22항에 있어서,과립 조성물이 식기류-세척용 세제조성물에,
    -베타규산나트륨의 과럼의 무게가 20∼70%
    -알칼리 금속의 인산염 또는 폴리인산염의 무게가 l0∼70%
    -1종이상의 가용성 무기엄의 무게가 1∼3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무게가 0.2∼3%
    -유리성 염소항유 화합물의 무게가 0.2∼5%
    -부식방지제, 소포제, 괴상화방지제, 향료, 착색제 등의 기타 첨가제의 무게가 0.2∼5중량%
    -경우에 따라 천연 또는 합성 알루미노 규산염의 무게가 0∼50%가 되도록 도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조성물.
KR1019830003139A 1982-07-09 1983-07-09 메타규산나트륨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식기 세척에 유용한 그의 세제조성물 KR900008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212068A FR2529876A1 (fr) 1982-07-09 1982-07-09 Nouveaux granules de metasilicate de sodium, leur procede d'obtention et leur utilisation dans les compositions detergentes pour lave-vaisselle
FR82-012068 1982-07-09
FR8212068 1982-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480A KR840005480A (ko) 1984-11-14
KR900008340B1 true KR900008340B1 (ko) 1990-11-15

Family

ID=927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139A KR900008340B1 (ko) 1982-07-09 1983-07-09 메타규산나트륨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식기 세척에 유용한 그의 세제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518516A (ko)
EP (1) EP0100700B2 (ko)
JP (1) JPS5964523A (ko)
KR (1) KR900008340B1 (ko)
AT (1) ATE15357T1 (ko)
AU (1) AU554327B2 (ko)
BR (1) BR8303665A (ko)
CA (1) CA1197749A (ko)
DE (1) DE3360722D1 (ko)
DK (1) DK315983A (ko)
ES (1) ES523966A0 (ko)
FR (1) FR2529876A1 (ko)
IE (1) IE55314B1 (ko)
YU (1) YU431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41146A1 (de) * 1985-11-21 1987-05-27 Henkel Kgaa Mehrschichtige reinigungsmitteltabletten fuer das maschinelle geschirrspuelen
DE3541145A1 (de) * 1985-11-21 1987-05-27 Henkel Kgaa Einheitlich zusammengesetzte reinigungsmitteltabletten fuer das maschinelle geschirrspuelen
DE3541153A1 (de) * 1985-11-21 1987-05-27 Henkel Kgaa Mehrschichtige reinigungsmittel in schmelzblockform
FR2599354B1 (fr) * 1986-05-27 1988-08-26 Rhone Poulenc Spec Chim Cogranules silicate, silice, procede d'obtention et utilisation dans les compositions detergentes
DE3620010A1 (de) * 1986-06-13 1987-12-17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triummetasilikat-agglomeraten
FR2658497B1 (fr) * 1990-02-16 1992-05-15 Rhone Poulenc Chimie Granules de silicates hydrates de metaux alcalin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dans les compositions detergentes.
KR0170424B1 (ko) * 1990-07-05 1999-01-15 호르스트 헤를레,요한 글라슬 세제 및 청정제용 표면 활성제 과립의 제조방법
FR2715164B1 (fr) * 1994-01-14 1996-02-16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 détergente comprenant du silicate vitreux anhydre.
US5663132A (en) * 1995-03-01 1997-09-02 Charvid Limited Liability Company Non-caustic composition comprising peroxygen compound and metasilicate and cleaning methods for using same
US6034048A (en) * 1995-03-01 2000-03-07 Charvid Limited Liability Co. Non-caustic cleaning composition using an alkali salt
US5898024A (en) * 1995-03-01 1999-04-27 Charvid Limited Liability Non-caustic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peroxygen compound and specific silic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in free-flowing, particulate form
US6194367B1 (en) 1995-03-01 2001-02-27 Charvid Limited Liability Co. Non-caustic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peroxygen compound and specific silic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in free-flowing, particulate form
US6013617A (en) * 1996-01-19 2000-01-11 Rhone-Poulenc Chimie Q2 /Q3 alkali metal silicate/inorganic compound detergent builders
US5906215A (en) * 1997-11-20 1999-05-25 Reel Clean Corporation Fishing reel cleaning solution
US6057280A (en) * 1998-11-19 2000-05-02 Huish Detergent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α-sulfofatty acid este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FR2821344B1 (fr) 2001-02-26 2003-04-25 Solvay Granule de substance minerale agglomeree, resistant a l'abrasion, poudre comprenant de tels granules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JP4947266B2 (ja) * 2006-02-17 2012-06-06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食品製造ライン用洗浄剤組成物
JP4947264B2 (ja) * 2006-02-17 2012-06-06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循環式浴槽、風呂釜及び冷却水系設備用洗浄剤組成物
JP4947262B2 (ja) * 2006-02-17 2012-06-06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自動食器洗い機用洗浄剤組成物
JP4947263B2 (ja) * 2006-02-17 2012-06-06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洗濯機槽用洗浄剤組成物
JP4947265B2 (ja) * 2006-02-17 2012-06-06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環境衛生用洗浄剤組成物
WO2010025452A1 (en) * 2008-08-29 2010-03-04 Micro Pure Solutions, Llc Method for treating hydrogen sulfide-containing fluids
JPWO2010140561A1 (ja) * 2009-06-01 2012-11-22 ユケン工業株式会社 脱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512388B2 (en) * 2015-02-18 2016-12-06 Henkel Ag & Co. Kgaa Solid state detergent in a transparent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0033A (en) * 1955-01-28 1958-11-11 Pennsalt Chemicals Corp Method of making granular sodium metasilicate
GB1149859A (en) * 1965-10-08 1969-04-23 Unilever Ltd Alkali metal silicates
US3687640A (en) * 1971-01-18 1972-08-29 Philadelphia Quartz Co Agglomerating alkali metal silicate by tumbling and rolling while heating and cooling
US3748103A (en) * 1971-06-25 1973-07-24 Allied Chem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us granular sodium silicate
FR2380986A1 (fr) * 1977-02-16 1978-09-15 Rhone Poulenc Ind Nouveau procede de stabilisation du metasilicate de sodium anhydre et produit ainsi obtenu
FR2403974A1 (fr) * 1977-09-27 1979-04-20 Rhone Poulenc Ind Procede de granulation de metasilicate de sodium et produits obten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15983D0 (da) 1983-07-08
DE3360722D1 (en) 1985-10-10
CA1197749A (fr) 1985-12-10
YU43188B (en) 1989-04-30
ATE15357T1 (de) 1985-09-15
JPS5964523A (ja) 1984-04-12
AU554327B2 (en) 1986-08-14
BR8303665A (pt) 1984-02-14
EP0100700B1 (fr) 1985-09-04
IE55314B1 (en) 1990-08-01
US4518516A (en) 1985-05-21
ES8501347A1 (es) 1984-11-16
EP0100700B2 (fr) 1996-08-07
JPH0159211B2 (ko) 1989-12-15
KR840005480A (ko) 1984-11-14
ES523966A0 (es) 1984-11-16
AU1668283A (en) 1984-01-12
IE831600L (en) 1984-01-09
DK315983A (da) 1984-01-10
FR2529876A1 (fr) 1984-01-13
FR2529876B1 (ko) 1984-12-28
YU147883A (en) 1986-10-31
EP0100700A1 (fr) 198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340B1 (ko) 메타규산나트륨 과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식기 세척에 유용한 그의 세제조성물
JP2594893B2 (ja) 洗剤組成物用のアルカリ金属シリケートのコグラニュール形態のビルダー剤
CA1204039A (en) Process for prepar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hydrated inorganic salts
US3933670A (en) Process for making agglomerated detergents
US3609088A (en) Method of preparing agglomerated detergent composition
CA2006687C (en) Hydrated alkali metal phosphate and silicated salt composition
CZ284628B6 (cs) Prací prostředky
JP2007527464A (ja) 個別の微粒子界面活性剤粒子を含んでなる粒子
US5340559A (en) Granular alkali metal silicate production
US3166512A (en) Stable, solid chlorinated caustic product containing available chlorine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EP0637628A2 (en) Mix process for formulating detergents
US3839226A (en) Highly absorbent, low bulk density alkali metal sodium silicates
JPS60262897A (ja) ビルダー入り粒状非イオン性洗剤組成物
JP4056557B2 (ja) 高密度粒状洗剤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組成物
JPS60262896A (ja) ビルダー入り粒状非イオン性洗剤組成物
US4182683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dishwashing detergent
US5861531A (en) Process for producing granular alkali metal nitrilotriacetate
EP0259291B1 (en) Moisturized compositions of hydrateforming phosphate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JP3720632B2 (ja) ベース顆粒群
US5998663A (en) Granular alkali metal nitrilotriacetate
EP0049920A1 (en) Phosphate/silicate cogranulates
EP0059280A1 (en) Preparation of granular sodium tripolyphosphate products
CA1128829A (en) Phosphate-free high bulk density particulate heavy duty laundry detergent
JP2004300392A (ja) 界面活性剤担持用顆粒群
PL147540B1 (en) Detergent based washing powder and method of obtain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