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607Y1 - 실내의 냉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의 냉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607Y1
KR900007607Y1 KR2019860008661U KR860008661U KR900007607Y1 KR 900007607 Y1 KR900007607 Y1 KR 900007607Y1 KR 2019860008661 U KR2019860008661 U KR 2019860008661U KR 860008661 U KR860008661 U KR 860008661U KR 900007607 Y1 KR900007607 Y1 KR 900007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edium
medium passage
passage
heat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002U (ko
Inventor
아키오 이케무라
미노루 카지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1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0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5Convecting elements concealed in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내의 냉난방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냉난방 장치의 전체 도식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제1도의 Ⅱ-Ⅱ, Ⅲ-Ⅲ 및 Ⅳ-Ⅳ 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바닥의 부분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냉 난방 장치의 전체 도식도.
제7도,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제6도의 Ⅶ-Ⅶ, Ⅷ-Ⅷ 및 Ⅸ-Ⅸ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내의 냉난방 장치의 전체 도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벽 B : 바닥
1 : 창문 2 : 제1열매체통로
4 : 창틀 16 : 제2열매체통로
17 : 도입측 열매체 통로 18 : 배출측 열매체 통로
19 : 제1열매체 공급관 20 : 제2열매체 공급관
21 : 열매체 방출관 22 : 제3열매체 공급관
23 : 절환 밸브 30, 31 : 단열 부재
32, 34 : 상부 레일 33, 35 : 하부 레일
36, 38, 41 : 부착구 43, 44 : 중공부
45 : 장식 패널 46 : 패킹 부재
60 : 공기 조화 환기팬 61 : 단열판
64 : 도입 덕트 65 : 배출 덕트
68 : 분출장치 70 : 여과기
69 : 실내 공기 도입구
본 고안은 실내의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수 혹은 온수와 같은 열매체를 건물벽에 설치된 창틀내에서 순환시켜, 창틀의 표면으로부터 복사열로서 방열시키는 것으로 창틀 주변부분을 냉난방 하도록 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창틀 표면으로부터의 복사열로 냉난방을 행하면, 실외로부터의 열에 의한 영향이 방지될 수 있으나, 방이 넓은 경우에는 창틀의 표면으로 부터의 복사열의 방열만으로는 충분한 냉난방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떤 다른 냉난방 장치로 실내를 부가적으로 직접 냉난방 하는 것이 요구될수 있으나, 이것은 설치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데, 이는 창틀내에서 순환될 열매체의 공급원외에 추가의 냉난방 장치와 그의 동력원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상당한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하여, 운전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은 효율로 실내를 냉난방 할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실내의 냉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실내의 바닥에 제공되는 제1열매체 통로와, 벽에 설치된 대략 정방형 창문의 창틀에 제공되는 제2열매체 통로를 포함하고, 제2열매체 통로는 정방형 창틀의 4개 측면을 따라 연장하고, 열매체가 바닥과 창틀의 제1 및 제2열매체 통로를 통해 순환되도록 제1 및 제2열매체 통로가 공통의 열매체 공급원에 연결되는 실내의 냉난방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창문 주위가 창틀의 표면으로부터 복사되는 복사열에 의해 냉난방되는 한편, 전체 바닥이 바닥으로부터 복사되는 복사열에 의해서 냉난방된다.
따라서,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지고 만족한 냉난방 효과가 높은 효율로 달성된다.
또한 열매체가 바닥과 창틀내의 열매체 통로들을 통과하여 순환되기 때문에, 오직 하나의 열매체 공급원만이 필요하고, 별도의 냉난방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설비 비용은 감소하고 또한 전력 소비도 감소되어, 운전 비용이 절감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창문(1)이 견문의 벽(A)에 설치되고, 제1열매체 통로(2)가 바닥(B)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창문(1)은 벽(A) 의 구멍(3)에 설치된 창틀(4)과, 그 창틀(4)에 설치된 실내외측 장지문들(5), (6)로 구성되는 미닫이창의 형태이다. 창틀(4)은 상틀부재(10), 하틀부재(11) 및 정방향으로 조립되는 한쌍의 좌우 수직틀 부재들(12)로 구성된다. 허리 높이의 중간틀 부재(13)가 좌우 수직틀 부재들(12) 사이에서 연장하여, 장지문은 장착시키는 상골조(5), (6)은 상골조(15)를 형성한다.
실내외측 장지문들(5), (6) 은 상골조(14)에 설치된다.
제2열매체 통로(16)는 상하틀 부재들(10), (11) 및 좌우 수직틀 부재들(12) 각각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제2열매체 통로들이 정방형 둘레에 따라 연속하여 연결되어 단일의 연속 통로를 형성한다. 한편, 허리 높이의 중간틀 부재(13)의 내부에는, 좌우 수직틀 부재들(12)중 하나의 형성된 제2열매체 통로(16)로 개방되어 있고 그 열매체 통로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된 도입측 열매체 통로(17)와, 다른 수직틀 부재(12)에 형성된 제2열매체 통로(16)로 개방되어 있고 그 열매체 통로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 배출측 열매체 통로(18) 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측 열매체 통로(17)는 제1 및 제2열매체 공급관들(19), (20)에 연결되고, 배출측 열매체 통로(18)는 열매체 방출관(21)에 연결된다.
제1열매체 공급관(19)과 열매체 방출관(21)은 온수 보일러 혹은 냉각기 (도시안됨) 와 같은 열매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한편, 제2열매체 공급관(20)은 바닥(B)에 형성된 제1열매체 통로(2)와 출구와 통한다. 제3열매체 공급관(22)이 제1열매체 통로(2)의 입구와 통한다.
제3열매체 공급관(22)은 제1열매체 공급관(19)의 중간에 설치된 전환 밸브(23)에 연결된다.
전환 밸브(23)는 열매체가 제3열매체 공급관(22)과 통하게 되는 제1전환 위치와, 열매체가 제1열매체 공급관(19)에 통하게 되는 제2전환 위치를 포함하는 통상의 3방향 전환 밸브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전환 밸브(23)가 제1전환 위치에 있을 때, 열매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와 같은 열매체는 전환 밸브(23)를 통해 제3열매체 공급관(22)에 공급되어 바닥(B)의 제1열매체 통로(2)를 통과하고 제2열매체 공급관(20)을 통해 도입측 열매체 통로(17) 로 유입된 후, 창틀(4)의 4개의 연속적인 제2열매체 통로들(16)을 따라 순환되고 배출측 열매체 통로(18)와 열매체 방출관(21)을 통과하여 열매체 공급원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열매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온수는 바닥과 창문 주위를 가열하는데 사용 될수 있다.
바닥과 창문주위의 냉각도 열매체로서 냉수를 사용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때에, 바닥의 냉각은 때때로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줄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전환 밸브(23)은 제 2전환 위치로 전환되어, 냉수가 바닥(B)의 제1열매체 통로(2)로 유입되지 않고 제1열매체 공급관(19)으로부터 도입측 열매체 통로(17)로 직접 공급되도록 한다.
다음, 각 구성요소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상틀 부재(10), 하틀 부재(11), 및 허리 높이의 중간틀 부재(13)은 단열재로 형성되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부재(101), (111), (131), 실외측 부재(102), (112), (132), 및 그 실내측 부재(101), (111), (131)와 실외측 부재(102), (112), (132)를 각각 상호 연결시키는 단열 부재(30)를 포함한다.
한편, 좌우 수직틀 부재들(12) 각각은 단열재로 형성되며,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측 부재(121), 실외측 부재(122), 및 그 실내측 부재(121)와 실외측부재(122)를 상호 연결하는 단열부재(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창틀(4)은 전체적으로 단열 창틀로 형성된다.
상하부 레일들(32), (33)이 상틀 부재(10) 및 중간틀 부재(13)의 실내측 부재(101) 및 (131) 각각에 형성되며, 실내측 장지문(5)이 상하부 레일들(32, 33)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또다른 상하부 레일들(34), (35)이 실외측 부재(102) 및 (132) 각각에 형성되어, 실외측 장지문(6)이 상하부 레일들(34), (35)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실내외측 장지문들(5), (6)의 상단부들은, 상틀 부재(10)의 실내측 부재(101)에 고정된 부착구(36)와 실외측 부재(102) 사이에 장착된 상부 AT 부재(37)와 접촉되는 한편, 그 장지문들의 하단부들은, 허리 높이의 중간틀 부재(13)의 실내측 부재(131)에 고정된 다른 부착구(38)와 실외측 부재(132) 사이에 장착된 하부 AT부재(39)와 접촉된다. 또한, 실내측 장지문(5)의 한 단부는 수직틀 부재들(12)중 하나의 실외측 부재(122)에 장착된 수직 AT 부재(40)와 접촉되며, 실외측 장지문(6)의 반대쪽 단부는, 다른 실내측 부재(121)에 고정된 다른 부착구(41)와 다른 실외측 부재(122) 사이에 장착된 또 다른 수직 AT 부재(42)와 접촉된다.
원형 단면을 가지며 제2열매체 통로(16)로 작용되는 중공부(43)가 상하틀 및 수직틀 부재들(10), (11), (12)의 실내측 부재(101), (111), (121) 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원형 단면을 가지며 도입측 및 배출측 열매체 통로들(17), (18), 로 작용하는 중공부(44)가 중간틀 부재(13)의 실내측 부재(131)에 형성되어 있다. 중공부(44)는 그의 중간 부분에서 분할되어 도입측 및 배출측 열매체 통로들(17), (18)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열매체 공급관들(19), (20)과 열매체 방출관(21)이 중간틀 부재(13)의 실내측 부재(131)에 형성된 중공부(44)에 연결된다.
단열재로 만들어진 장식 패널(45)이 중간틀 부재(13)의 실내외측 부재들(131), (132) 사이, 하틀 부재(11)의 실내외측 부재들(111), (112)사이 및 좌우 수직틀 부재들(12)의 실내외측 부재들(121), (122) 사이에 설치되고, 그 장식 패널과 실내외측 부재들 사이에 패킹 부재(46)가 배치된다.
그 장식 패널(45)은 창틀(4)의 전체 하골조(15)에 걸쳐 연장한다.
바닥(B)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판(47), 단열 및 축열판(48), 방열판(49), 및 표면마무리판(50)으로 구성된 4층 구조를 가진다. 제1열매체통로(2)로 작용하는 관(52)은 축열재(53)가 관(52) 주위의 공간에 채워진 채 단열 및 축열판(48)의 홈(51)에 설치된다.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개조한 것으로서, 현열과 잠열을 동시에 교환시키는 공기 조화 환기팬(fan), (60)이 추가로 설치되어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실외 공기가 중간틀 부재(13)로 부터 실내로 송풍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공기 조화 환기팬(60)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틀 부재(13)의 실내측 부재(131)와 하틀부재(11)의 실내측 부재(111) 사이에 단열판(61)을 통하여 설치된다. 공기 조화 환기팬(60)은 실외공기 입구(60a), 실외공기출구(60b), 실내 공기 입구(60c), 및 실내공기 출구(60d)를 가지며, 또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시키는 열교환기(60e)와 송풍기(도시안됨)를 포함한다. 공기 조화 환기팬(60)은 공지의 것이기 때문에 그의 상세한 구조는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중간틀 부재(13)의 실외측 및 실내측 부재들(132), (131)은 속이 비어 있으며, 실외측 부재(131)의 중공부는, 하부벽(13a)에 형성된 한쌍의 구멍(62)에 의해서 외부와 통하는 2개의 좌우 부분들로 간막이벽에 의해 분할된다.
핀(fin)들(63)이 구멍(62)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도입 덕트(64)와 배출 덕트(65)가 실외측 부재(132)의 중공 부분들 속으로 연장하고, 실내측 부재(131)의 중공부를 통해 실외 공기 입구(60a)와 실내공기 출구(60d)에 각각 연결된다.
중간틀 부재(13)의 실내측 부재(131)의 하부벽(13b)에는, 실외 공기 출구(60b)와 통하는 입구(66)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실내측 부재(131)의 상부벽(13c)에는, 다수의 분출구(67)를 가진 분출 장치(68)가 설치되어 있다.
하틀 부재(11)의 실내측 부재(111)는 속이 비어 있으며, 실내측 부재(111)에 있는 실내측 벽(11a)의 두께는 증가되어 중공부(43)가 거기에 형성된다.
실내 공기 도입구(69)가 실내측 벽(11a)의 하부에 형성되며, 여과기(70)가 장착 부착구(71)를 통해 실내측벽(11a)의 외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실내공기는 여과기(70)를 통과하여 실내 공기 도입구(69)로부터 중공부로 유입되고, 상부벽(11b)에 형성된 출구(72)를 통해 실내공기 입구(60c)로 흘러 들어간다.
그후, 실내 공기는 열교환기(60e)내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실내 공기 출구(60d), 배출 덕트(65), 및 구멍(62)을 통해 실외로 방출된다.
따라서, 실외 공기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분출구(67)로부터 상틀 부재(10)쪽으로 분출되어, 창문(1) 주위의 냉난방이 창틀(4)의 표면으로부터 방열되는 복사열과 함께 창틀(4)내의 열매체 통로를 통해 순환하는 열매체의 열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수행 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열매체가 먼저 바닥(B)의 제1열매체 통로(2)를 통해 순환 된 다음, 창틀(4)내의 열매체 통로를 통해 순환되지만, 열매체가 역으로 먼저 창틀(4)내의 열매체 통로를 통해 순환되고, 그후에 바닥(B)의 제1열매체 통로(2)를 통해 순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열매체의 열 손실은 창틀(4)내의 열매체 통로를 통해 순환할 때 보다는 바닥(B)의 제1열매체 통로(2)를 통해 순환할 때 더욱 커지기 때문에, 열매체가 먼저 바닥(B)의 제1열매체 통로(2)를 통해 순환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
한편, 실내외측 장지문들(5), (6)에 다층 유리판을 설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그 유리판들이 실내 및 실외 사이의 단열 효과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열매체의 유입량을 변화 시켜 온도를 제어하도록 각 공급관에 방출량 조절 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제10도는 분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열매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열매체는 창틀(4)내의 제2열매체 통로(16)와 바닥(B)의 제1열매체통로(2)를 통해 동시에 순환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온수는 분기된 공급관들(19'), (22')로 갈라지고, 공급관(28')을 지나 바닥(B)을 통과한 온수가 직접 방출관으로 되돌아 가는 한편, 공급관(19')을 지나 창틀(4)을 통과한 온수는 도입측 열매체 통로(17)를 지나 4개의 연속적인 제2열매체통로(16)를 통과하며 제1 및 제2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배출측 열매체 통로(18)로 되돌아가 그 배출측 열매체 통로로부터 방출된다.
열매체는 창틀(4)과 바닥(B)을 각각 별도로 그리고 평행하게 흐르기 때문에, 열매체의 온도 상승 혹은 강하가 적으며, 따라서 냉난방을 더욱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Claims (7)

  1. 방의 바닥(B)에 제공된 제1열매체 통로(2)와, 방이 벽(A)에 설칭된 대략 정방형의 창문(1)의 창틀(4)에 제공되고 그 창틀(4)의 4개 측면을 연장하는 제2열매체 통로(1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열매체 통로들(2, 16)은 열매체가 상기 바닥 (B)내의 제1열매체 통로 (2)와 상기 창틀(4)내의 제2열매체 통로(16)를 통과하여 순환되도록 공통의 열매체 공급원에 연결되는 실내의 냉난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B)내의 제1열매체 통로(20와 상기 창틀(4)내의 제2열매체 통로(16)는 열매체가 먼저 상기 제1열매체 통로(2)를 통과한 후 상기 제2열매체 통로(16)를 통과하거나 그 반대로 순환될 수 있도록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통하는 실내의 냉난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B)내의 제1열매체 통로(2)와 상기 창틀(4) 내의 제2열매체 통로(16)는 열매체가 상기 제1열매체 통로(2)와 상기 제2열매체 통로(16)를 통해 별도로 순환 될수 있도록 병렬로 연결되는 실내의 냉난방 방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열매체 통로들(2, 16)사이의 분기점에, 열매체가 상기 바닥(B)의 상기 제1열매체 통로(2)로 흐를수 있는 제1위치와 열매체가 상기 제1열매체 통로(2)로 흐르지 못하게 막는 제2위치를 갖는 전환 밸브(23)가 설치되는 실내의 냉난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매체 통로(16)가, 상기 창틀(4)의 상하 및 수직틀 부재들(10, 11, 12)에 형성되고 그 상하 및 수직틀 부재들을 따라 연장하는 중공부들(43, 44)을 포함하는 실내의 냉난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들(43, 44)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실내의 냉난방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4)의 한쌍의 수직틀 부재들(12, 12)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간틀 부재(13)내에는, 하나의 수직틀 부재(12)내의 제2열매체 통로(16)로 개방된 도입측 열매체 통로(17)와, 다른 수직틀 부재(12)내의 제2열매체 통로(16)로 개방된 배출측 열매체 통로(18)가 서로를 향해 각각 형성된 실내의 냉난방 장치.
KR2019860008661U 1985-06-21 1986-06-20 실내의 냉난방 장치 KR9000076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094156U JPH0141066Y2 (ko) 1985-06-21 1985-06-21
JP94156 1986-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002U KR870001002U (ko) 1987-02-20
KR900007607Y1 true KR900007607Y1 (ko) 1990-08-23

Family

ID=1410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661U KR900007607Y1 (ko) 1985-06-21 1986-06-20 실내의 냉난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141066Y2 (ko)
KR (1) KR900007607Y1 (ko)
GB (1) GB2178521A (ko)
MY (1) MY1029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000591L (sv) * 1990-02-19 1991-08-20 Berggren & Eriksson Ingenjoere Vaerme och ventilationsanlaeggning
DE10216632A1 (de) * 2002-04-15 2003-10-30 Harry Gmuer Heiz- und Kühlsystem für Gebäude
JP2007333253A (ja) * 2006-06-13 2007-12-27 Sharp Corp 暖房装置
JP5232400B2 (ja) * 2007-03-30 2013-07-10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床暖房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ITBZ20120015A1 (it) * 2012-04-26 2013-10-27 Joerg Lingg Elemento perfezionato per pavimenti per l'assorbimento e il rilascio di calore.
CN103422802A (zh) * 2013-07-31 2013-12-04 南昌大学 自动调节室内光线和温度的智能百叶窗
KR101694661B1 (ko) * 2016-09-27 2017-01-09 주식회사 반도건설 세대별 냉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34332A (en) * 1934-06-30 1935-08-29 Jan Jacobus De Ridder Improvements in the heating or cooling of buildings by the circulation of air
FI54197C (fi) * 1967-10-20 1978-10-10 Svenska Flaektfabriken Ab Radiator som aer anordnad i direkt anslutning till ett foenster en doerr eller liknande
GB1566312A (en) * 1976-10-05 1980-04-30 Elias J Heating insta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002U (ko) 1987-02-20
MY102947A (en) 1993-03-31
JPS622925U (ko) 1987-01-09
GB2178521A (en) 1987-02-11
GB8615294D0 (en) 1986-07-30
JPH0141066Y2 (ko) 198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3487A (en) Climatizing apparatus
US3366164A (en) Multi-room air conditioning system
US3424233A (en) Comfort conditioning system
US5000253A (en) Ventilating heat recovery system
KR900007607Y1 (ko) 실내의 냉난방 장치
US20010018963A1 (en) Modular climate control unit
KR890000941B1 (ko) 건물의 환기 시스템
US4157112A (en) Air conditioning method
KR900003868Y1 (ko) 건물용 공기 조화기 장치
KR20130059550A (ko) 리버스 리턴형 환기장치
JPH0141065Y2 (ko)
JPH01184348A (ja) 建物の空調装置とその天井構造
EP0103610B1 (en) An arrangement in internal panels for eliminating cold radiating surfaces on walls, ceilings and floors
CA1052571A (en) Climatizing apparatus
JPH06347058A (ja) 空調用床置形換気ユニット
JPS63176555A (ja) 幅射式冷暖房間仕切り板
KR102301525B1 (ko)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JP2616308B2 (ja) 空気調和ユニット
JP2530731Y2 (ja) 空気調和装置
JP2000213777A (ja) 躯体蓄熱式空調システム
FI83133B (fi) Ventilationsfoerfarande och ventilationsanordning.
JPH01137139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CA1188069A (en) Arrangement in internal panels for eliminating cold radiating surfaces on walls, ceilings and floors
JPH049530A (ja) 天井取付型冷房装置
JPH07104002B2 (ja) 空調用床置形換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