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525B1 -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525B1
KR102301525B1 KR1020190177524A KR20190177524A KR102301525B1 KR 102301525 B1 KR102301525 B1 KR 102301525B1 KR 1020190177524 A KR1020190177524 A KR 1020190177524A KR 20190177524 A KR20190177524 A KR 20190177524A KR 102301525 B1 KR102301525 B1 KR 102301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panel body
chilled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966A (ko
Inventor
김충회
Original Assignee
신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주 filed Critical 신형주
Priority to KR102019017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5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 F24F5/0092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ceilings, e.g. cool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24F2221/183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combined with a hot-water boi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사패널의 냉,온기를 열복사와 대류작용 및, 외기의 급기에 의한 강제순환기류를 통해 공조영역에 효과적으로 순환시켜 공조영역의 냉,난방성능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조영역에 설치되어, 공조영역을 냉,난방하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조영역의 천정을 따라 설치되는 패널몸체와; 패널몸체를 따라 배관되며, 냉,온수공급기로부터 공급된 냉수 또는 온수를 도입하여 패널몸체를 따라 순환시키는 수배관과; 외기공급기로부터 송풍된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패널몸체의 일부분으로 이송하는 외기도입덕트와; 상기 외기도입덕트로부터 이송된 외기를 상기 패널몸체의 상면과 하면측을 향해 토출하여, 상기 패널몸체의 상,하면을 따라 일정한 압력의 기류가 형성되면서 상기 패널몸체의 수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상,하면측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공조영역측으로 순환시키는 급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CHILLED SAILS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INTEGRATED WITH AIR SUPPLY FUNCTION}
본 발명은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사패널의 냉,온기를 열복사와 대류작용 및, 외기의 급기에 의한강제순환기류를 통해 공조영역에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조영역의 냉,난방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의 건축물에는 실내의 급기와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적은 설치공간을 차지하면서도 실내를 쾌적하게 냉,난방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특히, 적은 에너지를 소비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적은 설치공간을 차지함으로써 실내 공간확보에 유리하도록 하면서, 실내를 쾌적하게 냉,난방할 수 있는 저에너지, 공간절약형 공조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저에너지, 공간절약형 공조장치의 일례로서, 수배관 복사패널방식 공조장치가 있다.
상기 수배관 복사패널방식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관(1)을 갖춘 복사패널(3)을 실내의 천정(A)에 설치한 다음, 상기 복사패널(3)의 수배관(1)에 냉수 또는 온수를 순환시키는 구조이다.
즉 수배관(1)을 따라 순환하는 냉,온수를 통해 복사패널(3)에서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복사패널(3)의 냉,온기를 열복사와 대류작용을 통해 실내의 하측으로 순환시키면서 상기 실내를 냉,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복사패널방식 공조장치는, 일반적인 공조방식과 달리 냉,온수와 열복사 및 대류작용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므로, 에너지 절감과 공간확보 및 소음발생의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특히, 냉,온수와 열복사 및 대류작용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므로, 에너지 소모와 소음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덕트 등과 같은 대형 송풍설비 없이도 실내를 냉,난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치면적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복사패널방식 공조장치는, 복사패널(3)에서 발생된 냉,온기를 열복사와 대류작용에만 의존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냉,난방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실내의 냉,난방 성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온이 매우 높거나 낮은 한여름이나 한겨울의 경우, 열복사와 대류작용 등과 같은 열전달 방식으로는 복사패널(3)의 냉,온기를 차실내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저온과 고온의 실내를 효과적으로 냉,난방할 수 없고, 그 결과, 실내의 쾌적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 개선을 통해, 수배관 복사패널의 냉,온기를 실내에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배관 복사패널의 냉,온기를 실내에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의 냉,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온이 높거나 낮은 한여름이나 한겨울에도 실내의 쾌적성을 개선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는, 공조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영역을 냉,난방하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영역의 천정을 따라 설치되는 패널몸체와; 상기 패널몸체를 따라 배관되며, 냉,온수공급기로부터 공급된 냉수 또는 온수를 도입하여 상기 패널몸체를 따라 순환시키는 수배관과; 외기공급기로부터 송풍된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패널몸체의 일부분으로 이송하는 외기도입덕트와; 상기 외기도입덕트로부터 이송된 외기를 상기 패널몸체의 상면과 하면측을 향해 토출하여, 상기 패널몸체의 상,하면을 따라 일정한 압력의 기류가 형성되면서 상기 패널몸체의 수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상,하면측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공조영역측으로 순환시키는 급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기부는, 상기 패널몸체에 설치되는 급기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급기하우징은, 상기 외기도입덕트로부터 이송된 외기를 도입하는 급기챔버와; 상기 급기챔버로부터 상기 패널몸체의 상면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급기챔버의 외기를 상기 패널몸체의 상면을 향해 토출하는 다수의 상측 급기홀들과; 상기 급기챔버로부터 상기 패널몸체의 하면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급기챔버의 외기를 상기 패널몸체의 하면을 향해 토출하는 다수의 하측 급기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기부는, 상기 패널몸체의 편측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급기부의 상측 급기홀들과 하측 급기홀들은, 상기 패널몸체의 편측부분으로부터 타측부분을 향해 외기를 토출하여, 상기 패널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편측부분에서 타측부분으로의 편방향 기류가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급기부는, 상기 급기챔버로부터 상기 하측 급기홀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외기를, 상기 패널몸체의 하면으로 가이드 하는 에어 가이더(Air Guid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에 의하면, 외기공급기와 외기도입덕트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고, 도입된 외기를 급기부를 통해 패널몸체의 상,하면으로 배출하여 상,하면 측면기류를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패널몸체의 수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의 측방향으로 효율좋게 순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면 측면기류를 형성하여, 패널몸체의 수배관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의 측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수배관의 냉,온기가, 열복사와 대류작용 뿐만 아니라 강제기류를 통해 실내에 효율좋게 순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배관의 냉,온기가, 열복사와 대류작용 뿐만 아니라 강제기류를 통해 실내에 효율좋게 순환될 수 있으므로, 열복사와 대류작용만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의 냉,온기 순환방식과 달리, 실내에 대한 수배관의 냉,온기 순환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에 대한 수배관의 냉,온기 순환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의 냉,난방효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배관 복사패널방식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가 실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를 냉,난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가 실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를 냉,난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몸체(10)와, 상기 패널몸체(10)에 설치되는 수배관(12)과, 외기도입덕트(20) 및, 급기부(30)를 구비한다.
상기 패널몸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영역, 특히 실내의 천정(A)을 따라 수평하게 노출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수배관(12)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몸체(10)를 따라 지그재그(Zigzag)형태로 배관되며, 이렇게 배관된 수배관(12)에는 냉,온수공급기(40)로부터 이송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즉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는 수배관(12)에 냉수가 공급되어 실내의 냉방을 가능하게 하고,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온수가 공급되어 실내의 난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외기도입덕트(20)는, 패널몸체(10)의 상면을 따라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외기도입덕트(20)는, 외기공급기(50)로부터 송풍된 실외의 공기(이하, "외기"라 칭함)를 도입하고, 도입된 외기를 급기부(30)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기부(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몸체(10)의 편측부분에 설치되는 급기하우징(32)을 구비하며, 상기 급기하우징(32)은, 내부의 급기챔버(34)와, 상기 급기챔버(34)로부터 패널몸체(10)의 상면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상측 급기홀(35)들과, 패널몸체(10)의 하면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하측 급기홀(36)을 구비한다.
상기 급기챔버(34)는, 도입구(34a)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도입구(34a)는 외기도입덕트(20)와 연결된다.
이러한 급기챔버(34)는, 외기도입덕트(20)로부터 외기를 도입하여 일정한 압력을 갖게 한다.
상측 급기홀(35)은, 도입구(34a) 상측의 급기하우징(32)부분에 다수개 형성된다. 특히, 패널몸체(10)의 상면을 향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상측 급기홀(35)은, 급기챔버(34)에 도입된 외기를 패널몸체(10)의 상면을 향해 토출한다.
따라서, 패널몸체(10)의 상면을 따라 일정한 압력의 기류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측 급기홀(35)로부터 토출된 외기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따라 일측의 급기하우징(32)으로부터 패널몸체(10)에 설치된 수배관(12)의 상면을 따라 편방향 기류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관(12)의 상면을 따라 흐르는 편방향 기류가, 상기 수배관(12)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의 측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수배관(12)의 냉,온기를 실내에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열복사와 대류작용 등과 같은 단순 열전달 방식으로 수배관(12)의 냉,온기를 순환시키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실내에 대한 수배관(12)의 냉,온기 순환효율을 현저하게 개선켜 실내의 냉,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하측 급기홀(3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하우징(32)의 밑면부분에 다수개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하측 급기홀(36)은, 급기챔버(34)에 도입된 외기를 패널몸체(10)의 하면을 향해 토출한다.
따라서, 패널몸체(10)의 하면을 따라 일정한 압력의 기류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특히, 하측 급기홀(36)로부터 토출된 외기는, 코안다 효과에 따라 일측의 급기하우징(32)으로부터 패널몸체(10)에 설치된 수배관(12)의 하면을 따라 편방향 기류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관(12)의 하면을 따라 흐르는 편방향 기류가, 상기 수배관(12)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의 측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수배관(12)의 냉,온기를 실내에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급기하우징(32)의 급기챔버(34)에는, 하측 급기홀(36)을 통해 배출되는 외기를 가이드 하기 위한 에어 가이더(Air Guider)(38)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 가이더(38)는, 일종의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로서, 급기챔버(34)의 외기가 하측 급기홀(36)을 통해 배출될 시에, 패널몸체(10)에 설치된 수배관(12)의 하면을 향해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외기공급기(50)와 외기도입덕트(20)를 통해 외기를 도입하고, 도입된 외기를 급기부(30)를 통해 패널몸체(10)의 상,하면으로 배출하여 상,하면 측면기류를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패널몸체(10)의 수배관(12)으로부터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의 측방향으로 효율좋게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배관(12)의 냉,온기가, 열복사와 대류작용 뿐만이 아니라 강제급기를 통해 실내에 효율좋게 순환된다. 이로써, 열복사와 대류작용만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의 냉,온기 순환방식과 달리, 실내에 대한 수배관(12)의 냉,온기 순환효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에 대한 수배관(12)의 냉,온기 순환효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의 냉,난방효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한 구조이며, 다만, 급기부(30)가 패널몸체(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패널몸체(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급기부(30)는, 패널몸체(10)의 중앙으로부터 패널몸체(10)의 말단부분, 특히, 양쪽 상,하면을 향해 외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패널몸체(10)의 중앙으로부터 패널몸체(10)의 양쪽 상,하면을 향해, 일정한 압력의 방사형 기류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패널몸체(10)의 중앙에서 양쪽 상,하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류가 패널몸체(10)의 수배관(12)측 냉,온기를 실내의 양쪽 측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급기부(30)의 급기하우징(32)은, 패널몸체(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며, 양쪽의 패널몸체(10) 상면을 향해 형성되는 양쪽의 상측 급기홀(35a, 35b)들과, 양쪽의 패널몸체(10) 하면을 향해 형성되어 있는 양쪽의 하측 급기홀(36a, 36b)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급기하우징(32)은, 급기챔버(34)에 도입된 외기를 양쪽의 하측 급기홀(36)측으로 각각 가이드 하는 양방향 에어 가이더(39)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 가이더(39)는, 급기챔버(34)의 바닥면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급기챔버(34)의 하측 급기홀(36)들 중, 한쪽 방향의 하측 급기홀(36a)들에 대응되는 제 1에어 가이드면(39a)과, 다른쪽 방향의 하측 급기홀(36b)들에 대응되는 제 2에어 가이드면(39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에어 가이드면(39a, 39b)은, 급기챔버(34)의 외기를 한쪽 방향의 하측 급기홀(36a)들과, 다른쪽 방향의 하측 급기홀(36b)들에 각각 가이드 한다.
따라서, 급기챔버(34)의 외기가, 한쪽 방향의 하측 급기홀(36a)들과, 다른쪽 방향의 하측 급기홀(36b)들을 통해, 패널몸체(10)의 중앙으로부터 패널몸체(10)의 양쪽 하면을 향해 방사형으로 토출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몸체(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급기부(30)를 통해, 패널몸체(10)의 중앙으로부터 양쪽 상,하면을 따라 방사형 기류를 형성하는 구조이므로, 패널몸체(10)의 수배관(12)측 냉,온기를 실내의 양쪽 측방향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수배관(12)측 냉,온기를 실내의 양쪽 측방향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에 대한 수배관(12)의 냉,온기 순환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내의 냉,난방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패널몸체 12: 수배관
20: 외기도입덕트(Duct) 30: 급기부
32: 급기하우징(Housing) 34: 급기챔버(Chamber)
35: 상측 급기홀(Hole) 36: 하측 급기홀
38, 39: 에어 가이더(Air Guider) 39a: 제 1에어 가이드면
39b: 제 2에어 가이드면 40: 냉,온수공급기
50: 외기공급기 A: 천정

Claims (7)

  1. 삭제
  2. 공조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영역을 냉,난방하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영역의 천정(A)을 따라 설치되는 패널몸체(10)와;
    상기 패널몸체(10)를 따라 배관되며, 냉,온수공급기(40)로부터 공급된 냉수 또는 온수를 도입하여 상기 패널몸체(10)를 따라 순환시키는 수배관(12)과;
    외기공급기(50)로부터 송풍된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패널몸체(10)의 일부분으로 이송하는 외기도입덕트(20)와;
    상기 외기도입덕트(20)로부터 이송된 외기를 상기 패널몸체(10)의 상면과 하면측을 향해 토출하여, 상기 패널몸체(10)의 상,하면을 따라 일정한 압력의 기류가 형성되면서 상기 패널몸체(10)의 수배관(12)으로부터 발생되는 상,하면측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공조영역측으로 순환시키는 급기부(30)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부(30)는, 상기 패널몸체(10)에 설치되는 급기하우징(32)을 포함하며,
    상기 급기하우징(32)은,
    상기 외기도입덕트(20)로부터 이송된 외기를 도입하는 급기챔버(34)와;
    상기 급기챔버(34)로부터 상기 패널몸체(10)의 상면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급기챔버(34)의 외기를 상기 패널몸체(10)의 상면을 향해 토출하는 다수의 상측 급기홀(35)들과;
    상기 급기챔버(34)로부터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면을 향해 형성되며, 상기 급기챔버(34)의 외기를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면을 향해 토출하는 다수의 하측 급기홀(36)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30)는,
    상기 패널몸체(10)의 편측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급기부(30)의 상측 급기홀(35)들과 하측 급기홀(36)들은, 상기 패널몸체(10)의 편측부분으로부터 타측부분을 향해 외기를 토출하여, 상기 패널몸체(10)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편측부분에서 타측부분으로의 편방향 기류가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30)는,
    상기 급기챔버(34)로부터 상기 하측 급기홀(36)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외기를, 상기 패널몸체(10)의 하면으로 가이드 하는 에어 가이더(Air Guider)(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30)는,
    상기 패널몸체(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급기부(30)의 상측 급기홀(35)들과 하측 급기홀(36)들은, 상기 패널몸체(10)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말단부분을 향해 외기를 토출하여, 상기 패널몸체(10)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중앙부분에서 각 말단부분으로의 방사형 기류가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부(30)는,
    상기 급기챔버(34)로부터 상기 하측 급기홀(36)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외기를, 상기 패널몸체(10)의 각 말단부분 하면을 향해 가이드 하는 에어 가이더(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더(39)는,
    상기 급기챔버(34)의 바닥면 중앙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패널몸체(10)의 각 말단부분측 하측 급기홀(36a, 36b)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에어 가이드면(39a, 39b)들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KR1020190177524A 2019-12-30 2019-12-30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KR102301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24A KR102301525B1 (ko) 2019-12-30 2019-12-30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24A KR102301525B1 (ko) 2019-12-30 2019-12-30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966A KR20210084966A (ko) 2021-07-08
KR102301525B1 true KR102301525B1 (ko) 2021-09-10

Family

ID=7689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524A KR102301525B1 (ko) 2019-12-30 2019-12-30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5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0756A (ja) 2003-02-20 2005-02-03 Daikin Ind Ltd 輻射パネル構造体および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517B2 (ja) * 1995-12-22 2000-07-24 有限会社白坂設備工業 換気システムの加温ユニット
KR101597753B1 (ko) * 2014-07-23 2016-02-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칠드빔 공조설비와 소화설비의 통합 시스템
KR20170090105A (ko) * 2016-01-28 2017-08-07 정광호 복사 냉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0756A (ja) 2003-02-20 2005-02-03 Daikin Ind Ltd 輻射パネル構造体および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966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9088C (zh) 一种机房空调机组
EP2679922B1 (en) Heat pump system and air-conditioner
CN107027274A (zh) 一种机柜半导体冷却装置
CN207751074U (zh) 环窗框式室内空调机
KR100901441B1 (ko) 냉난방 환기 복합 시스템
JP2012007766A (ja) 空気熱源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CN206977887U (zh) 一种机柜半导体冷却装置
JP2016217630A (ja) 放射空調システム
JP5818620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301525B1 (ko) 칠드세일방식과 급기기능이 융합된 공조장치
JP2001090991A (ja) 領域冷暖房躯体蓄熱システム
JP4605759B2 (ja) 建物の室内空調システム
CN201110608Y (zh) 一种机房空调机组
JP5565655B2 (ja) 天井輻射式空調システム
KR20200103497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CN202164764U (zh) 控温装饰板及流水恒温系统
CN205481548U (zh) 给热交换器双温进风的新风系统
JP2004197988A (ja) 冷暖房装置
WO1994014011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ir-conditioning and heating room space
JP2970272B2 (ja) 空調システム
JP4698204B2 (ja) 建物の室内空調システム
CN104703445A (zh) 一种数据中心
JPH0875191A (ja) 空調方法
CN211400152U (zh) 节能型机房恒温恒湿冷却循环系统
JP2000213777A (ja) 躯体蓄熱式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