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661B1 - 세대별 냉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대별 냉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661B1
KR101694661B1 KR1020160124216A KR20160124216A KR101694661B1 KR 101694661 B1 KR101694661 B1 KR 101694661B1 KR 1020160124216 A KR1020160124216 A KR 1020160124216A KR 20160124216 A KR20160124216 A KR 20160124216A KR 101694661 B1 KR101694661 B1 KR 10169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line
absorption liquid
refrigerant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식
이정렬
오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도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도건설
Priority to KR1020160124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08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 multi-stage operation
    • F24F11/008
    • F24F11/001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4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absorption or desorption
    • F24F2011/00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0HVAC with raised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별 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액체 상태의 냉매와 냉각시 발생하는 냉매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수액이 저장되며, 공급처의 바닥면에 시공된 냉방라인과 연결되어 증발기의 내부에서 냉매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공급처를 냉방하는 제1냉각라인이 구성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일면에 구성되어 냉매 수증기를 흡수한 상태의 흡수액만을 흡수하고, 냉매 수증기를 흡수할 때 발생하는 흡수열을 제거하는 흡수액 열교환기가 구성된 흡수기; 상기 흡수기과 연결되어 상기 흡수액을 회수하는 흡수액 회수라인과, 상기 흡수액 회수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흡수액을 열 생산시설의 여열을 이용해 가열하여 흡수액과 냉각 수증기를 분리하고, 상기 냉각 수증기와 분리된 흡수액을 상기 증발기측으로 토출시키는 흡수액 토출라인이 구성되고, 상기 냉각 수증기를 응축기측으로 유출시키는 냉매 유출라인이 구성된 재생기; 상기 냉매 유출라인에 의해 상기 재생기와 연결되며, 흡수액으로부터 분리된 냉매 수증기를 공급받아 이 냉매 수증기가 냉각되면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측으로 공급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대별 냉방 시스템{Each household cooling system}
본 발명은 세대별 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서 기존 난방 설비배관을 이용하며, 중온수로 냉동기 및 냉각탑을 가동하여 각 세대별로 일정 온도의 냉수를 순환시켜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하절기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냉방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세대별 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에서 사용되는 냉방시스템은 에어컨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공간에 토출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컨은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실내를 밀폐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신선한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여 실내공기가 쉽게 오염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실내공기가 에어컨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 등에 서식하는 세균 및 오염물질에 의하여 오염될 우려도 있다.
또한, 에어컨의 사용을 위해서는 실내장치 뿐 아니라 실외에도 별도의 실외기를 설치해야하므로 번거롭고, 에어컨 장치가 일반적으로 고가일 뿐 아니라 이를 유지하기 위한 전기세로 인한 유지비 역시 높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컨은 그 설치공간만 차갑게 할 뿐, 에어컨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실내공간에는 그 냉방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에어컨은 공기만 차갑게 할 뿐이고 실내바닥은 냉방하지 못하므로, 실내에서 신발을 탈의하고 생활하는 한국의 생활문화에 보다 적합한 냉방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5-0003764호에는, 기존에 설치된 난방용 배관을 이용하여 실내 바닥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방식의 냉방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은 단순히 실내 바닥만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것만 이루어짐에 따라 아열대현상이 발생하는 하절기에는 그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단순히 바닥 냉방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온의 외기가 침투하는 경우, 이 외기의 냉각 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결국 에어컨과 같은 설비를 구동할 수밖에 없어 막대한 전력의 소비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5-0003764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공동주택에서 기존 난방 설비배관을 이용하며, 중온수로 냉동기 및 냉각탑을 가동하여 각 세대별로 일정 온도의 냉수를 순환시켜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하절기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냉방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세대별 냉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대별 바닥 냉방 뿐만 아니라, 별도의 냉방벽 및 외기 냉방 시스템을 구축하여 하절기의 아열대현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냉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창문 주변을 냉기가 순환함으로써, 외기의 침투시 이 외기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는 세대별 냉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상태의 냉매와 냉각시 발생하는 냉매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수액이 저장되며, 공급처의 바닥면에 시공된 냉방라인과 연결되어 증발기의 내부에서 냉매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공급처를 냉방하는 제1냉각라인이 구성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일면에 구성되어 냉매 수증기를 흡수한 상태의 흡수액만을 흡수하고, 냉매 수증기를 흡수할 때 발생하는 흡수열을 제거하는 흡수액 열교환기가 구성된 흡수기; 상기 흡수기과 연결되어 상기 흡수액을 회수하는 흡수액 회수라인과, 상기 흡수액 회수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흡수액을 열 생산시설의 여열을 이용해 가열하여 흡수액과 냉각 수증기를 분리하고, 상기 냉각 수증기와 분리된 흡수액을 상기 증발기측으로 토출시키는 흡수액 토출라인이 구성되고, 상기 냉각 수증기를 응축기측으로 유출시키는 냉매 유출라인이 구성된 재생기; 상기 냉매 유출라인에 의해 상기 재생기와 연결되며, 흡수액으로부터 분리된 냉매 수증기를 공급받아 이 냉매 수증기가 냉각되면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측으로 공급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처 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제1냉각라인과 연결되는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제1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2냉각라인과, 상기 제2냉각라인을 순환한 냉각수를 상기 증발기의 내부에 구성된 제1냉각라인측으로 회수하는 제1냉각수 회수라인과, 공급처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연결라인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방벽; 및 상기 공급처에 구성된 창문 프레임의 내부에서 창문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냉각수를 순환시켜 외기를 냉각시키는 제3냉각라인과, 상기 제3냉각라인측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입 및 순환을 제어하는 외기 제어부와, 상기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를 상기 외기 제어부측으로 회수하는 제2냉각수 회수라인과, 상기 연결라인 및 외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 유입라인이 구성된 외기 냉각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공급처의 실내 온도가 30℃를 초과하고, 상기 공급처에 구성된 창문이 개방되었을 때에만 상기 냉각수 유입라인을 개방하여 냉각수를 상기 제3냉각라인측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수기에는 상기 제1냉각라인과 상기 흡수액 열교환기를 연결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라인과, 상기 흡수액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를 상기 제1냉각라인측으로 회수시키는 냉매 회수라인과, 상기 흡수액의 농도에 따라 상기 냉매 순환라인 및 냉매 회수라인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흡수액 콘트롤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주택에서 기존 난방 설비배관을 이용하며, 중온수로 냉동기 및 냉각탑을 가동하여 각 세대별로 일정 온도의 냉수를 순환시켜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절기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냉방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대별 바닥 냉방 뿐만 아니라, 별도의 냉방벽 및 외기 냉방 시스템을 구축하여 하절기의 아열대현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냉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 주변을 냉기가 순환함으로써, 외기의 침투시 순환하는 냉기에 의해 외기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킴에 따라 별도의 에어컨과 같은 설비가 없어도 저렴한 비용으로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주거환경의 개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별 냉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별 냉방 시스템의 냉방벽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별 냉방 시스템의 외기 냉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별 냉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별 냉방 시스템의 냉방벽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별 냉방 시스템의 외기 냉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대별 냉방 시스템(100)은 액체 상태의 냉매가 저장되는 증발기(110)와, 증발기(110)와 세대별 공급처(20)를 연결하여 상기 냉매에 의해 냉각된 냉수를 순환시켜 공급처(20)를 냉방시키는 제1냉각라인(112)이 구성되고, 증발기(110)의 내부에 구성되어 제1냉각라인(112)의 냉각시 발생하는 냉각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수기(120)와, 흡수기(120)로부터 흡수된 흡수액을 열 생산시설(10)의 여열을 이용해 가열하여 흡수액과 냉각 수증기를 분리하는 재생기(130) 및 재생기(13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수증기를 응축하여 증발기(110)측으로 공급하는 응축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증발기(110)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저장되는 수조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증발기(110)는 공급처(20)와 연결되고, 냉방을 위한 냉각수가 순환하는 제1냉각라인(112)이 구성되며, 액체 상태의 냉매가 진공상태에서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증발열에 의해 제1냉각라인(112)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증발기(110)에는 제1냉각라인(112)의 냉각시 발생하는 냉매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수액이 증발기(110)의 하부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며, 냉매 수증기를 흡수한 상태의 흡수액을 흡수하는 흡수기(120)가 제1냉각라인(112)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흡수기(120)는 증발기(110)에 저장된 흡수액 중에서 냉매 수증기를 흡수한 상태의 흡수액만을 흡수하여 재생기(130)측으로 유입시키는 것으로, 재생기(130)의 흡수액 회수라인(132)과 일측이 연결 구성된다.
여기서, 흡수액은 리듐브로마이드(lithium bromide) 용액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흡수기(120)는 흡수액 회수라인(132)과 연결되며, 냉매 수증기를 흡수할 때 발생하는 흡수열을 제거하는 흡수액 열교환기(122)가 구성된다.
흡수액 열교환기(122)는 제1냉각라인(112)의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흡수열을 제거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제1냉각라인(112)과 흡수액 열교환기(122)를 연결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라인(124)과, 흡수액 열교환기(122)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를 제1냉각라인(112)측으로 회수시키는 냉매 회수라인(126)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냉매 순환라인(124)은 증발기(110)를 통해 냉각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제1냉각라인(112)의 하부에 분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냉매 회수라인(126)은 냉각이 이루어져야 할 냉각수측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제1냉각라인(112)의 상부측과 분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냉매 순환라인 및 냉매 회수라인(124, 126)은 별도의 흡수액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해 흡수액의 농도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이때 전자식 개폐밸브가 더 구성됨은 물론이다.
재생기(130)는 흡수기(120)와 연결되어 냉매 수증기를 흡수한 흡수액이 유입되며, 유입된 흡수액을 가열하여 농축시킨 후, 농축된 흡수액을 증발기(110)측으로 재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재생기(130)는 흡수기(120)와 연결되어 흡수액을 회수하는 흡수액 회수라인(132)이 구성되고, 회수된 흡수액을 가열 및 농축시키는 재생과정이 완료된 상태의 흡수액을 증발기(110)측으로 토출시키는 흡수액 토출라인(134)이 구성된다.
즉, 흡수액 회수라인(132)은 재생기(130)와 흡수기(120)를 연결하고, 흡수액 토출라인(134)은 재생기(130)와 증발기(110)를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흡수액 회수라인(132) 및 흡수액 토출라인(134)에는 각각 흡수액의 회수 및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수펌프(152) 및 토출펌프(154)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수펌프(152) 및 토출펌프(154)는 별도의 재생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본 발명의 재생기(130)는 열병합 발전소와 같은 열 생산시설(10)에서 생산된 여열을 순환시키는 여열 순환라인(12)과 연결되어 회수된 흡수액을 여열에 의해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재생기(130)는 흡수액 토출라인(134)의 단부측에 흡수액 공급부(136)를 장착하여 증발기(110)의 내부로 토출되는 고농도의 흡수액이 증발기(110)의 내부 전체면에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흡수액 공급부(136)는 통상의 분사노즐의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생기(130)에는 흡수액을 가열하면서 발생하는 냉매 수증기를 응축기(140)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유출시키는 냉매 유출라인(138)이 구성된다.
응축기(140)는 냉매 유출라인(138)에 의해 재생기(130)와 연결되며, 흡수액으로부터 분리된 냉매 수증기를 공급받아 이 냉매 수증기가 냉각되면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110)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응축기(140)는 냉매 수증기를 냉각하는 냉매 열교환기(142)가 구성되고, 냉매 열교환기(142)에 의해 냉각된 냉매를 증발기(110)측으로 공급하는 냉매 공급라인(144)이 구성된다.
이때, 냉매 공급라인(144)에는 단부측에 냉매 공급부(146)를 장착하여 증발기(110)의 내부로 토출되는 냉매가 증발기(110)의 내부에 구성된 제1냉각라인(112)의 전체면에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냉매 공급부(146)는 통상의 분사노즐의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냉매 열교환기(142)는 냉각탑(160)과 연결되어 냉각탑(160)으로부터 냉매 수증기를 냉각하기 위핸 냉매를 제공받아 냉매 수증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대별 냉방 시스템(100)은 공급처(20)의 바닥면에 구성된 냉방라인(22)과 제1냉각라인(112)을 연결하여 응축기(140)로부터 분사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를 순환시켜 공급처(20)의 바닥면을 냉방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공급처(20) 상에 제2냉각라인(212)이 구성된 별도의 냉방벽(200)을 구성하고, 제1냉각라인(112)과 제2냉각라인(212)을 연결함으로써, 제1제1냉각라인(112)을 통해 순환하는 냉각수가 제2냉각라인(212)까지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절기시 공급처(20)의 냉방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냉방벽(200)에는 제2냉각라인(212)과 제1냉각라인(112)을 연결하는 연결라인(21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냉각라인(212)을 순환한 냉각수가 세대별 냉방 시스템(100)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증발기(110)의 내부에 구성된 제1냉각라인(112)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제1냉각수 회수라인(214)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결라인(210)에는 냉방벽(200)에는 공급처(20)의 실내 온도에 따라 제1냉각라인(112)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선택적으로 제2냉각라인(212)측으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개폐밸브가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급처(20)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40) 및 온도센서(240)로부터 온도신호를 전송받아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230)를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급처(20)의 실외에서 아열대현상으로 인한 고온의 외기가 침투하여 냉방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문 프레임(30) 상에 내장되며, 창문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창문의 개방시 진입하는 고온의 외기를 냉각하는 외기 냉각 시스템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외기 냉각 시스템은 창문 프레임(30)의 내부에서 창문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냉각수를 순환시켜 외기를 냉각시키는 제3냉각라인(310)이 구성된다.
제3냉각라인(310)은 일단이 외기 냉각 시스템을 제어하는 외기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냉각수의 유입 및 순환 여부를 제어받으며, 타단에는 제3냉각라인(310)을 통해 순환하면서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를 외기 제어부(300)측으로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냉각수 회수라인(320)이 형성된다.
또한, 외기 냉각 시스템은 냉박병(200)에 구성된 연결라인(210)으로부터 분기되어 제1냉각라인(112)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공급받은 냉각수 유입라인(220)이 구성되고, 이 냉각수 유입라인(220)은 외기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냉각수의 공급량을 제어받을 수 있다.
외기 제어부(300)는 냉각수 유입라인(220)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제3냉각라인(310)측으로 공급하여 외기의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2냉각수 회수라인(320)을 통해 회수되는 냉각수를 제1냉각라인(112)측으로 공급하여 증발기(110)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3냉각수 회수라인(33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기 제어부(300)는 하절기시 창문이 개방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냉각수 유입라인(220)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외기 제어부(300)는 냉방벽(200)에 구성된 개폐 제어부(230)와 연동하여 공급처(20)의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외기 제어부(300)는 개폐 제어부(230)로부터 전송되는 공급처(20)의 실내 온도가 30℃를 초과하고, 이때 창문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여 창문이 개방되었을 때에만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외기 제어부(300)는 냉각수 유입라인(220)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20℃ 이상인 경우에는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 열교환기가 별도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대별 냉방 시스템(100)은 공동주택에서 기존 난방 설비배관을 이용하며, 중온수로 냉동기 및 냉각탑을 가동하여 각 세대별로 일정 온도의 냉수를 순환시켜 실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최소한의 전력으로도 세대별 바닥 냉방 뿐만 아니라, 별도의 냉방벽 및 외기 냉방 시스템을 구축하여 하절기의 아열대현상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냉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열 생산시설 20: 공급처
110: 증발기 112: 제1냉각라인
120: 흡수기 122: 흡수액 열교환기
124: 냉매 순환라인 126: 냉매 회수라인
130: 재생기 132: 흡수액 회수라인
134: 흡수액 토출라인 136: 흡수액 공급부
138: 냉매 유출라인 140: 응축기
142: 냉매 열교환기 144: 냉매 공급라인

Claims (2)

  1. 액체 상태의 냉매와 냉각시 발생하는 냉매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수액이 저장되며, 공급처의 바닥면에 시공된 냉방라인과 연결되어 증발기의 내부에서 냉매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공급처를 냉방하는 제1냉각라인이 구성된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일면에 구성되어 냉매 수증기를 흡수한 상태의 흡수액만을 흡수하고, 냉매 수증기를 흡수할 때 발생하는 흡수열을 제거하는 흡수액 열교환기가 구성된 흡수기;
    상기 흡수기과 연결되어 상기 흡수액을 회수하는 흡수액 회수라인과, 상기 흡수액 회수라인을 통해 공급받은 흡수액을 열 생산시설의 여열을 이용해 가열하여 흡수액과 냉각 수증기를 분리하고, 상기 냉각 수증기와 분리된 흡수액을 상기 증발기측으로 토출시키는 흡수액 토출라인이 구성되고, 상기 냉각 수증기를 응축기측으로 유출시키는 냉매 유출라인이 구성된 재생기;
    상기 냉매 유출라인에 의해 상기 재생기와 연결되며, 흡수액으로부터 분리된 냉매 수증기를 공급받아 이 냉매 수증기가 냉각되면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측으로 공급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처 상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제1냉각라인과 연결되는 연결라인과, 상기 연결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제1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제2냉각라인과, 상기 제2냉각라인을 순환한 냉각수를 상기 증발기의 내부에 구성된 제1냉각라인측으로 회수하는 제1냉각수 회수라인과, 공급처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연결라인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방벽; 및
    상기 공급처에 구성된 창문 프레임의 내부에서 창문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냉각수를 순환시켜 외기를 냉각시키는 제3냉각라인과, 상기 제3냉각라인측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입 및 순환을 제어하는 외기 제어부와, 상기 외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를 상기 외기 제어부측으로 회수하는 제2냉각수 회수라인과, 상기 연결라인 및 외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냉각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 유입라인이 구성된 외기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외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공급처의 실내 온도가 30℃를 초과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급처에 구성된 창문이 개방되었을 때에만 상기 냉각수 유입라인을 개방하여 냉각수를 상기 제3냉각라인측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별 냉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에는
    상기 제1냉각라인과 상기 흡수액 열교환기를 연결하여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라인과,
    상기 흡수액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를 상기 제1냉각라인측으로 회수시키는 냉매 회수라인과,
    상기 흡수액의 농도에 따라 상기 냉매 순환라인 및 냉매 회수라인의 개폐 여부를 제어하는 흡수액 콘트롤러
    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별 냉방 시스템.
KR1020160124216A 2016-09-27 2016-09-27 세대별 냉방 시스템 KR10169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216A KR101694661B1 (ko) 2016-09-27 2016-09-27 세대별 냉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216A KR101694661B1 (ko) 2016-09-27 2016-09-27 세대별 냉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661B1 true KR101694661B1 (ko) 2017-01-09

Family

ID=5781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216A KR101694661B1 (ko) 2016-09-27 2016-09-27 세대별 냉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6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25U (ko) * 1985-06-21 1987-01-09
JP2008025915A (ja) * 2006-07-21 2008-02-07 Osaka Gas Co Ltd 吸収冷凍機システム
JP2014231922A (ja) * 2013-05-28 2014-12-11 東京瓦斯株式会社 床パネル除熱システム
KR20150087675A (ko) * 2014-01-22 2015-07-30 민병창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KR20150003764U (ko) 2015-09-01 2015-10-14 정원식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25U (ko) * 1985-06-21 1987-01-09
JP2008025915A (ja) * 2006-07-21 2008-02-07 Osaka Gas Co Ltd 吸収冷凍機システム
JP2014231922A (ja) * 2013-05-28 2014-12-11 東京瓦斯株式会社 床パネル除熱システム
KR20150087675A (ko) * 2014-01-22 2015-07-30 민병창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KR20150003764U (ko) 2015-09-01 2015-10-14 정원식 난방배관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0485B (zh) 用于餐馆的空调系统
CN103983042B (zh) 一种太阳能室内冷热一体化系统
CN103512275A (zh) 一种蓄热型太阳能地源热泵
KR100984704B1 (ko) 우수를 이용한 지열히트펌프시스템
CN101236024A (zh) 一簇改进的蒸汽压缩式制冷系统及其用途
CN106440314A (zh) 一种中央空调冷凝水回收系统及方法
CN105650790B (zh) 一种家用空调系统
CN103292393A (zh) 太阳能光伏光热复合式空调器
CN107388627B (zh) 一种新型能源塔热泵系统
KR20140002140A (ko) 고효율 하이브리드 흡수식 냉난방 및 급탕 시스템
CN205678799U (zh) 冷却水热回收的水源热泵加热装置
CN103994601A (zh) 带热回收功能的温湿度独立控制空调系统
CN202885144U (zh) 一种太阳能与水冷风冷空调机组复合的冷暖生活热水一体机组
KR20130036816A (ko) 대온도차 지역난방 공급시스템
CN106196634B (zh) 一种多功能太阳能室外活动房系统及控制方法
CN105423590B (zh) 吸收式冷冻系统
CN103912942B (zh) 一种室内自动换气装置耦合相变制冷器的空调系统
CN104566708A (zh) 热泵型户式空调方法、装置及其室外模块
KR101201211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냉방장치
KR101694661B1 (ko) 세대별 냉방 시스템
CN204830560U (zh) 一种防结晶溴化锂机组
CN103851723A (zh) 用于餐馆的空调系统
CN103629769B (zh) 太阳能中央空调系统集成装置及换热方法
KR101363492B1 (ko) 고효율 하이브리드 흡수식 냉온수기
CN202675734U (zh) 适用于室内泳池的地源热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