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675A -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675A
KR20150087675A KR1020140007891A KR20140007891A KR20150087675A KR 20150087675 A KR20150087675 A KR 20150087675A KR 1020140007891 A KR1020140007891 A KR 1020140007891A KR 20140007891 A KR20140007891 A KR 20140007891A KR 20150087675 A KR20150087675 A KR 20150087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dium
cooling
head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창
Original Assignee
민병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창 filed Critical 민병창
Priority to KR102014000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7675A/ko
Publication of KR20150087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14Inlet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92Fluid distribu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방용, 냉방용, 냉난방 겸용이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고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배공급부엔 난방매체용 공급헤더와 냉방매체용 공급헤더를 대향시켜 그 중 난방매체용 공급헤더와 냉방매체용 공급헤더는 난방매체공급부와 냉방매체공급부를 연결 설치하고, 난방매체용 공급헤더와 냉방매체용 공급헤더 사이엔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 및 개별공용공급배관라인이 함께 연결 설치되고, 분배회수부엔 난방매체용 회수헤더와 냉방매체용 회수헤더를 대향시켜 그 중 난방매체용 회수헤더와 냉방매체용 회수헤더는 난방매체공급부와 냉방매체공급부와 연결 설치하고, 난방매체용 회수헤더와 냉방매체용 회수헤더 사이엔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 및 개별공용회수배관라인을 함께 연결 설치한 냉난방용 분배기와, 난방매체공급부는 난방매체저장탱크와 난방매체가열기구가 결합되고, 냉방매체공급부는 냉방매체저장탱크와 냉방매체냉각기구가 결합되며, 개별공용공급배관라인과 개별공용회수배관라인 사이엔 냉난방용 바닥전열라인 또는 벽면전열라인과 서로 연결 설치된 냉난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Distributer for both heating and cooling and the heating and cooling system by the above distributer}
본 발명은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방용, 냉방용, 냉난방 겸용이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고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난방방식은 아파트, 주택 등에 있어서 고온수 공급에 의한 바닥난방 방식으로 난방이 이루어지고 여기에 사용되는 분배기는 주로 난방용으로만 개발되어 난방용 고온수를 분배기로 공급하여 이 분배기를 거치면서 난방을 요하는 개별적인 공간별로 나누어 분배하는데 주안점을 가지고 개발, 활용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선행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4-0015397호의 "난방 및 급, 온수 용수의 종합분배시스템",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0131345호의 "헤더 및 밸브 일체형 난방용 온수분배기",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09-0127473호의 "냉,온수 및 난방용 분배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29804호의 "난방용수 분배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08451호의 "난방 시스템의 유량분배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난방용 또는 급탕용 고온수를 사용하는 공간 또는 요소에 이르기까지 분배하여 공급하거나 공급량을 조절하여 난방온도를 조절하기도 하고 급탕용으로 분배, 공급하는 정도가 기술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관계로, 개별적으로 냉방 또는 계절에 관계없이 쾌적한 실내의 온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는 활용할 수 없는 문제와 함께, 난방 이외의 냉방이나 기타 특수한 목적에는 활용할 수 없으므로 적용범위에 제한성이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종래의 난방방식과 냉방방식은 각각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난방은 주로 바닥난방에 의한 실내난방이 이루어지고, 냉방방식은 위 난방방식과는 별개로 독립적인 냉방방식인 에어컨디셔너에 의한 개별적인 실내 공기냉각에 의한 냉방 방식을 주로 택하고 있는 관계로 난방과 냉방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난방은 난방대로 냉방은 냉방대로 독립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동 상의 어려움과 함께 계절이나 환경변화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을 얻는 것이 어렵고, 특히 난방과 냉방은 별개의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비용도 상승하게 되고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1.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4-0015397 2.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0131345 3.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09-0127473 4.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29804 5.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0845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은 물론 냉방에 이르기까지 난방용, 냉방용, 또는 냉난방 겸용의 선택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실내의 바닥이나 벽면 등을 이용하여 냉난방이 이루어져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여 냉난방과 관련하여 시공비를 절감하면서 각각 독립된 공간마다 해당하는 실내 환경에 알맞게 독립적인 냉방 또는 난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배공급부와 분배회수부를 각각 구분하여 갖추고, 상기 분배공급부엔 난방매체용 공급헤더와 냉방매체용 공급헤더를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켜 그 중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의 일측은 난방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난방매체공급부와, 그리고 냉방매체용 공급헤더의 일측은 냉방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매체공급부와 서로 각각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와 상기 냉방매체용 공급헤더 사이엔 다수의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과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이 중간의 개별 공용공급배관라인과 함께 각각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배회수부엔 난방매체용 회수헤더와 냉방매체용 회수헤더를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켜 그 중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의 일측은 난방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난방매체회수라인을 거쳐 난방매체공급부와 서로 연결 설치하고 냉방매체용 회수헤더의 일측은 냉방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냉방매체회수라인을 거쳐 냉방매체공급부와 서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와 상기 냉방매체용 회수헤더 사이엔 다수의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과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이 중간의 개별 공용회수배관라인과 함께 각각 서로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냉난방용 분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 상기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 상기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 및 상기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에 각각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 개별 공용공급배관라인을 통한 난방 또는 냉방매체의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개별 공용회수배관라인을 통한 난방 또는 냉방매체의 회수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냉난방용 분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와 상기 냉방매체용 공급헤더의 각 유입부 또는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와 상기 냉방매체용 회수헤더의 배출부에 각각 펌프를 설치하여 냉난방매체의 강제공급 또는 강제회수에 의한 강제순환이 가능하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냉난방용 분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분배기의 난방매체공급부는 난방매체저장탱크와 난방매체가열기구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분배기의 냉방매체공급부는 냉방매체저장탱크와 냉방매체냉각기구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개별 공용공급배관라인과 상기 개별 공용회수배관라인 사이엔 실내에 설치되는 냉난방용 바닥전열라인 또는 벽면전열라인과 서로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냉난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벽면전열라인의 전방 위치엔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벽면전열라인의 후부 위치엔 통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간을 이용하여 별도로 설치된 송풍팬에 의한 공기의 강제순환방식으로 실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냉난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분배공급부와 분배회수부를 각각 구분하여 갖춘 독특한 형태의 분배기를 채택하고, 이러한 분배기를 갖춘 냉난방 시스템에 의하여 난방은 물론 냉방에 이르기까지 난방용, 냉방용, 또는 냉난방 겸용의 선택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실내의 바닥이나 벽면 등을 이용하여 냉난방이 이루어져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냉난방용 분배기나 이러한 분배기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의 경우에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비를 절감하면서 각각 독립된 공간마다 해당하는 실내 환경에 알맞게 독립적인 냉방 또는 난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를 포함하여 냉난방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계통도,
도 2는 도 1의 변형례를 나타낸 계통도,
도 3은 도 1에 예시한 분배기를 장치의 형태로 구성한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 생략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중간부분 절단 저면도,
도 5는 실내 바닥난방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단면 예시도,
도 7은 실내 벽면 냉난방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에서 전면 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7의 일부 생략 확대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이고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분배공급부(2)와 분배회수부(3)를 각각 구분하여 갖추고, 상기 분배공급부(2)엔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와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를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켜 그 중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의 일측은 난방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난방매체공급부(4)와, 그리고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의 일측은 냉방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매체공급부(5)와 서로 각각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와 상기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 사이엔 다수의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22)과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23)이 중간의 개별 공용공급배관라인(24)과 함께 각각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배회수부(3)엔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와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를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켜 그 중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의 일측은 난방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난방매체회수라인(40)을 거쳐 난방매체공급부(4)와 서로 연결 설치하고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의 일측은 냉방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냉방매체회수라인(50)을 거쳐 냉방매체공급부(5)와 서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와 상기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 사이엔 다수의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32)과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33)이 중간의 개별 공용회수배관라인(34)과 함께 각각 서로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22), 상기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23), 상기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32) 및 상기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33)에 각각 유량조절밸브(25)(26)(35)(36)를 설치하여 개별 공용공급배관라인(24)을 통한 난방 또는 냉방매체의 공급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개별 공용회수배관라인(34)을 통한 난방 또는 냉방매체의 회수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와 상기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의 각 유입부 또는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와 상기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의 배출부에 각각 펌프(27)(28)(37)(38)를 설치하여 냉난방매체의 강제공급 또는 강제회수에 의한 강제순환이 가능하게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전술한 펌프(27)(28)(37)(38)의 경우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와 상기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의 각 유입부에만 펌프(27)(28)를 설치하고,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와 상기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의 배출부엔 펌프(37)(38)를 설치하지 않아도 펌프(27)(28)의 용량이 충분한 경우엔 작동이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설치하는 구조는 예를 들면, 분배공급부(2)와 분배회수부(3)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프레임(6)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6)의 내부에 분배공급부(2)와 분배회수부(3)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되, 하부 위치엔 분배공급부(2)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 위치엔 분배회수부(3)가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시 프레임(6)의 상부엔 난방매체공급부(4)와 냉방매체공급부(5)를 설치하되, 서로 이격되게 설치하여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난방매체공급부(4)와 냉방매체공급부(5)의 외부는 단열재로 감싸서 외기와 서로 열수수(熱授受) 가 이루어지지 않아 외부로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냉난방 시스템에 의하면, 분배기(1)의 난방매체공급부(4)는 난방매체저장탱크(42)와 난방매체가열기구(44)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분배기(1)의 냉방매체공급부(5)는 냉방매체저장탱크(52)와 냉방매체냉각기구(54)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개별 공용공급배관라인(24)과 상기 개별 공용회수배관라인(34) 사이엔 실내에 설치되는 냉난방용 바닥전열라인(7) 또는 벽면전열라인(8)과 서로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난방매체가열기구(44)는 전기히터 등을 활용할 수 있고, 난방매체저장탱크(42)에 직접 난방매체가열기구(44)를 설치하지 않고 별도의 외부가열원을 포함한 난방매체공급수단, 예를 들면 보일러에 의하여 생산된 난방가열매체를 난방매체저장탱크(42)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관계없다.
또한, 상기 냉방매체공급부(5)의 냉방매체저장탱크(52)엔 저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수도물이나 지하수를 활용하여 냉방매체로 보관하였다가 사용하게 되는데, 그 온도가 상승하여 냉각이 필요한 경우엔 냉방매체냉각기구(54)로서 예를 들면, 별도의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작동되는 냉각코일을 냉방매체저장탱크(52)의 내부 냉방매체에 침적된 상태로 설치하였다가 이를 가동시켜 냉방매체의 온도를 냉각시켜 소정의 냉각매체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닥전열라인(7)은 실내 바닥에 매립한 형태로 구성하되,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부(70)와 배출부(72) 사이에 다수의 전열파이프(74)를 내장 연결 설치한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전열파이프(74)는 조립식 패널(76)을 활용하여 서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여, 분배공급부(2)의 개별공용공급배관라인(24)과 상기 유입부(70)가 서로 연결되고 분배회수부(3)의 개별공용회수배관라인(34)과 상기 배출부(72)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면전열라인(8)은 도 7 내지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방 위치엔 다수의 통기공(80)을 형성하고 상기 벽면전열라인(8)의 후부 위치엔 통기공간(82)을 형성하며, 상기 통기공(80)과 상기 통기공간(82) 사이에 전열파이프(84)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전열파이프(84)는 조립식 패널(86)을 활용하여 서로 조립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여, 상기 조립식 패널(86)의 전면에 형성한 통기공(80)과 조립식 패널(86)의 후부에 위치하게 되는 통기공간(82)을 이용하여 별도로 설치된 송풍팬에 의한 공기의 강제순환방식으로 실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전열라인(7) 및 벽면전열라인(8)은 도 1 및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직렬형으로 배치한 형태를 채택하거나 아니면 도 2, 도 5 및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병렬형으로 배치한 형태를 채택할 수 있으며, 필요한 상황에 따라 직렬형이나 병렬형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난방매체공급부(4)에 있어서 난방매체저장탱크(42)의 내부엔 난방매체로서 물을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내장시킨 상태로 보관하되, 난방이 요하는 경우엔 난방매체 가열기구(44)를 작동시켜 난방매체인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난방매체로서 공급에 알맞은 온도를 유지시키면서 필요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준비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냉방매체공급부(5)에 있어서 냉방매체저장탱크(52)의 내부엔 냉방매체로서 저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수도물이나 지하수를 활용하여 보관하였다가 사용하게 되는데, 그 온도가 상승하여 냉각이 필요한 경우엔 냉방매체냉각기구(54)를 가동시켜 냉방매체의 온도를 냉각시켜 소정의 냉각매체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준비상태를 유지한다.
우선, 난방매체를 냉난방용 바닥전열라인(7)이나 벽면전열라인(8)에 공급하여 난방을 하고자 하는 경우 펌프(27)를 작동시키고 유량조절밸브(25)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게 되면 난방매체는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22), 유량조절밸브(25) 및 개별공용공급배관라인(24)을 거쳐 이들 바닥전열라인(7)이나 벽면전열라인(8)에 공급되고, 이들 바닥전열라인(7)이나 벽면전열라인(8)을 경유하면서 난방작동을 수행한 다음에, 다시 개별공용회수배관라인(34), 유량조절밸브(35),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32),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 및 난방매체회수라인(40)을 경유하여 분배공급부(2)로 회수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난방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냉방매체를 난방매체를 냉난방용 바닥전열라인(7)이나 벽면전열라인(8)에 공급하여 냉방을 하고자 하는 경우엔 개방 상태에 있던 유량조절밸브(25)(35)를 닫고 펌프(27)(37)의 작동을 정지시켜 난방작동을 중단시키고 나서, 유량조절밸브(26)(36)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고 펌프(28)(38)를 작동시키게 되면 냉방매체는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23), 유량조절밸브(26) 및 개별공용공급배관라인(24)을 거쳐 이들 바닥전열라인(7)이나 벽면전열라인(8)에 공급되고, 이들 바닥전열라인(7)이나 벽면전열라인(8)을 경유하면서 냉방작동을 수행한 다음에, 다시 개별공용회수배관라인(34), 유량조절밸브(36),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33),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 및 냉방매체회수라인(50)을 경유하여 분배회수부(3)로 회수 복귀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냉방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전술한 난방작동이나 냉방작동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 독립된 실내공간에 설치된 바닥전열라인(7) 또는 벽면전열라인(8)의 경우 여러 개의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22),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23),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32) 및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33)이 한 세트로 이루어진 여러 배관 중 해당되는 배관만을 가동시키고 나머지는 가동시키지 않게 되면 원하는 실내의 바닥전열라인(7) 또는 벽면전열라인(8)을 작동시켜 난방 또는 냉방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의 원하는 온도조건을 신속하게 도달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일정한 패턴으로 온도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등 수요자가 원하는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난방작동과 냉방작동을 교대로 수행하거나 아니면 동시에 수행하거나 아니면 원하는 다양한 패턴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겠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배공급부(2)와 분배회수부(3)를 각각 구분하여 갖춘 독특한 형태의 분배기(1)를 채택하고, 이러한 분배기(1)를 갖춘 냉난방 시스템에 의하여 난방은 물론 냉방에 이르기까지 난방용, 냉방용, 또는 냉난방 겸용의 선택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실내의 바닥이나 벽면 등을 이용하여 냉난방이 이루어져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냉난방용 분배기(1)나 이러한 분배기(1)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의 경우에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비를 절감하면서 각각 독립된 공간마다 해당하는 실내 환경에 알맞게 독립적인 냉방 또는 난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 분배기, 2: 분배공급부,
3: 분배회수부, 4: 난방매체공급부,
5: 냉방매체공급부, 6: 프레임,
7: 바닥전열라인, 8: 벽면전열라인,
20: 난방매체용 공급헤더, 21: 냉방매체용 공급헤더,
22: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 23: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
24: 개별공용공급배관라인, 25,26,35,36: 유량조절밸브,
27,28,37,38: 펌프, 30: 난방매체용 회수헤더,
31: 냉방매체용 회수헤더, 32: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
33: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 34: 개별공용회수배관라인,
40: 난방매체회수라인, 42: 난방매체저장탱크,
44: 난방매체가열기구, 50: 냉방매체회수라인,
52: 냉방매체저장탱크, 54: 냉방매체냉각기구,
70: 유입부, 72: 배출부,
74,84: 전열파이프, 80: 통기공,
82: 통기공간

Claims (8)

  1. 분배공급부(2)와 분배회수부(3)를 각각 구분하여 갖추고,
    상기 분배공급부(2)엔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와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를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켜 그 중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의 일측은 난방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난방매체공급부(4)와, 그리고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의 일측은 냉방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매체공급부(5)와 서로 각각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와 상기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 사이엔 다수의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22)과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23)이 중간의 개별 공용공급배관라인(24)과 함께 각각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배회수부(3)엔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와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를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켜 그 중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의 일측은 난방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난방매체회수라인(40)을 거쳐 난방매체공급부(4)와 서로 연결 설치하고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의 일측은 냉방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냉방매체회수라인(50)을 거쳐 냉방매체공급부(5)와 서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와 상기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 사이엔 다수의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32)과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33)이 중간의 개별 공용회수배관라인(34)과 함께 각각 서로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22), 상기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23), 상기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32) 및 상기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33)에 각각 유량조절밸브(25)(26)(35)(36)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와 상기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의 각 유입부 또는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와 상기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의 배출부에 각각 펌프(27)(28)(37)(38)를 설치하여 냉난방매체의 강제공급 또는 강제회수에 의한 강제순환이 가능하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분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공급부(2)와 상기 분배회수부(3)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프레임(6)을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6)의 내부에 분배공급부(2)와 분배회수부(3)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되,
    하부 위치엔 분배공급부(2)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 위치엔 분배회수부(3)가 위치하도록 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분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의 상부엔 난방매체공급부(4)와 냉방매체공급부(5)를 설치하되, 서로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기 난방매체공급부(4)와 냉방매체공급부(5)의 외부는 단열재로 감싸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용 분배기.

  6. 분배기(1)는 분배공급부(2)와 분배회수부(3)를 각각 구분하여 갖추고,
    상기 분배공급부(2)엔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와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를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켜 그 중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의 일측은 난방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난방매체공급부(4)와, 그리고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의 일측은 냉방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매체공급부(5)와 서로 각각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난방매체용 공급헤더(20)와 상기 냉방매체용 공급헤더(21) 사이엔 다수의 난방매체공급배관라인(22)과 냉방매체공급배관라인(23)이 중간의 개별 공용공급배관라인(24)과 함께 각각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배회수부(3)엔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와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를 서로 대향되게 위치시켜 그 중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의 일측은 난방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난방매체회수라인(40)을 거쳐 난방매체공급부(4)와 서로 연결 설치하고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의 일측은 냉방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냉방매체회수라인(50)을 거쳐 냉방매체공급부(5)와 서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난방매체용 회수헤더(30)와 상기 냉방매체용 회수헤더(31) 사이엔 다수의 난방매체회수배관라인(32)과 냉방매체회수배관라인(33)이 중간의 개별 공용회수배관라인(34)과 함께 각각 서로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며,
    상기 분배기(1)의 난방매체공급부(4)는 난방매체저장탱크(42)와 난방매체가열기구(44)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분배기(1)의 냉방매체공급부(5)는 냉방매체저장탱크(52)와 냉방매체냉각기구(54)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분배기(1)의 개별 공용공급배관라인(24)과 개별 공용회수배관라인(34) 사이엔 실내에 설치되는 냉난방용 바닥전열라인(7) 또는 벽면전열라인(8)과 서로 연결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전열라인(7)은 실내 바닥에 매립한 형태로 구성하고, 유입부(70)와 배출부(72) 사이에 다수의 전열파이프(74)를 내장 연결 설치한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전열파이프(74)는 조립식 패널(76)을 활용하여 서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분배공급부(2)의 개별공용공급배관라인(24)과 상기 유입부(70)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회수부(3)의 개별공용회수배관라인(34)과 상기 배출부(72)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전열라인(8)은 전방 위치엔 다수의 통기공(80)을 형성하고 상기 벽면전열라인(8)의 후부 위치엔 통기공간(82)을 형성하며, 상기 통기공(80)과 상기 통기공간(82) 사이에 전열파이프(84)가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전열파이프(84)는 조립식 패널(86)을 활용하여 서로 조립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조립식 패널(86)의 전면에 형성한 통기공(80)과 조립식 패널(86)의 후부에 위치하게 되는 통기공간(82)을 이용하여 송풍팬에 의한 공기의 강제순환방식으로 실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시스템.
KR1020140007891A 2014-01-22 2014-01-22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KR20150087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891A KR20150087675A (ko) 2014-01-22 2014-01-22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891A KR20150087675A (ko) 2014-01-22 2014-01-22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675A true KR20150087675A (ko) 2015-07-30

Family

ID=5387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891A KR20150087675A (ko) 2014-01-22 2014-01-22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76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661B1 (ko) * 2016-09-27 2017-01-09 주식회사 반도건설 세대별 냉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661B1 (ko) * 2016-09-27 2017-01-09 주식회사 반도건설 세대별 냉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4318B2 (en) Water tower applied to the water source heat pump central air conditioner
CN104165414B (zh) 一种温度调节装置
US20070235179A1 (en) Building source heat pump
US20130052936A1 (en) Heating and cooling ventilation system
KR101713546B1 (ko) 일체형 환기 및 냉난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냉난방방법
US5361981A (en) Air conditioning unit
KR20140088348A (ko)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US3833170A (en) Single unit air-water heating appliance
KR20150087675A (ko) 냉난방용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KR100782999B1 (ko) 농축산용 냉난방기
KR101582203B1 (ko) 통합배관 시스템을 위한 유량제어시스템
JP4675634B2 (ja) 空調システムとその運転方法
KR100753596B1 (ko) 난방 제어시스템 및 난방 제어방법
KR20150081418A (ko)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KR100701756B1 (ko) 난방온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온수 분배 방법
KR20180107494A (ko) 통합 세대 환기장치
KR20140067412A (ko)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CN104344550A (zh) 热泵热水器组
KR101464690B1 (ko) 소형 인버터 전기보일러
KR20100034112A (ko) 온실용 냉난방기
KR200363829Y1 (ko)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KR101762889B1 (ko) 냉난방 시스템
WO2013173863A1 (en) A water heating system
KR100924639B1 (ko) 냉난방시스템
KR20180104276A (ko) 팬코일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