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348A -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348A
KR20140088348A KR1020130000146A KR20130000146A KR20140088348A KR 20140088348 A KR20140088348 A KR 20140088348A KR 1020130000146 A KR1020130000146 A KR 1020130000146A KR 20130000146 A KR20130000146 A KR 20130000146A KR 20140088348 A KR20140088348 A KR 2014008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heating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김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태 filed Critical 김용태
Priority to KR102013000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348A/ko
Publication of KR2014008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8Storage tanks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로 겨울철에 사용하는 복사난방 시설을 여름철에는 복사냉방 시설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여름철 냉방 가동시에는 상수도를 통해서 공급되는 수돗물을 냉열원(冷熱源)으로 사용하여 분배기에서 환수되는 냉방수를 냉각함으로써, 냉난방 시설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냉방수를 냉각하기 위하여 따로 냉동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주택의 복사 냉난방 시스템은, 실내 바닥, 벽체 또는 천정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 냉난방용 파이프(P)로 난방수 또는 냉방수를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난방수를 가열하는 난방용 보일러와; 상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냉열원으로 하여 상기 냉방수를 냉각하는 냉방수 탱크와; 상기 분배기로 냉방수 또는 난방수를 공급하는 냉난방수 공급라인과; 상기 분배기로부터 냉방수 또는 난방수를 환수하는 냉난방수 환수라인과; 상기 냉방수 탱크를 통과한 수돗물을 생활용수로 공급하는 수돗물 배수라인과; 실내 온도에 따라 상기 분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Radiant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individual house}
본 발명은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로 겨울철에 사용하는 복사난방 시설을 여름철에는 복사냉방 시설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여름철 냉방 가동시에는 상수도를 통해서 공급되는 수돗물을 냉열원(冷熱源)으로 사용하여 분배기에서 환수되는 냉방수를 냉각함으로써, 냉난방 시설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냉방수를 냉각하기 위하여 따로 냉동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냉난방 방식은 실내 바닥이나 천장을 냉각 또는 가열하여 그 방열면(放熱面)에서 방사되는 복사 전열을 이용하는 복사(radiation) 냉난방과, 찬 공기는 밑으로 내려오고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공기 순환작용을 이용하는 대류(convection) 냉난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는 추운 겨울철에 대비하여 전통적으로 온돌(溫突)을 이용한 난방 문화가 발달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보일러 등을 이용한 바닥난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닥 난방은 전형적인 복사난방(radiant heating)의 일종으로서 낮은 실온에서도 난방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두한족열(頭寒足熱)의 쾌적한 주거환경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십수년 전까지만 해도 여름철의 경우에는 특별한 주택 냉방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으나, 최근 가전산업이 발달하고 국민소득이 증대함에 따라 각 가정마다 패키지 에어컨을 설치, 사용하는 세대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가정용 에어컨은 대류냉방(convection cooling)의 일종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냉방 효과가 신속한 장점이 있는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첫째, 대류냉방은 갑작스러운 공기의 흡입이나 토출로 인해 실내 기류의 변화가 심하고, 냉방 지역과 사각 지역 사이의 온도 차이가 높아 각종 호흡기 질환이나 냉방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둘째, 각 세대별로 실외기와 실내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거주 환경이 복잡하고 건물 미관을 해칠 수 있으며, 나아가 각종 기계장치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
셋째, 여름철 혹서기에 일시적으로 냉방 수요가 급증하여 국가적인 차원에서 전력 수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막대한 사회적 손실이 발생한다.
넷째, 겨울철에 복사난방을 하는 주택의 경우, 난방시설과 냉방시설이 이원화 되어 있고, 냉난방 시설에 대한 중복투자로 인해 가계 부담이 늘어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로 겨울철에 사용하는 복사난방 시설을 그대로 이용하여 여름철에는 복사냉방을 실시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특허 제10-1048857호(등록일자 2011년 07월 06일)에는 공급수의 온도에 따른 복사 냉난방 에너지를 이용하여 여름철 냉방과 겨울철 난방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복사 냉난방 시스템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소개된 복사 냉난방 시스템은, 일정한 온도의 냉난방용 물을 공급 및 환수하는 공급원과; 방의 천장, 바닥, 벽체 중 하나 이상의 곳에 연결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냉난방용 물이 흐를 수 있도록 순환 파이프 라인이 설치된 다수개의 복사패널과; 상기 공급원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개의 복사패널로 물이 분배될 수 있도록 해주는 메인 분배기와; 사용자가 실내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실내온도 조절기와; 상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공급수온 센서, 실내의 온도/습도를 측정하는 실내 온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실내온도 조절기로부터 입력된 설정 실내온도와 상기 실내 온습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현재 실내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공급수온 센서로부터 입력된 현재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복사패널을 통해 순환하는 물의 복사 냉난방 에너지의 양을 제어하여 냉난방이 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국내 특허 제10-1078605호(등록일자 2011년 10월 26일)에는 복사 패널을 통해 냉난방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복사 냉난방 시스템이 소개되어 있다. 이 특허에 소개된 복사 냉난방 시스템은, 연속적인 행렬을 이루도록 벽체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열매체 호스가 구비된 복수의 벽체 복사패널과; 연속적인 행렬을 이루도록 천장에 수평되게 설치되고 내부에 열매체 호스가 마련된 복수의 천장 복사패널과; 상기 열매체 호스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와; 상기 열매체 호스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동기와; 상기 열매체 호스에 냉수 또는 온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보일러 및 냉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사 냉난방 시스템에서는 냉방용 냉수를 공급하기 위해 모두 냉동기(refrigerating machine)를 따로 설치해야 하고, 이 냉동기를 가동하기 위하여 냉매와 전기를 소모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 제10-1048857호(등록일자 2011년 07월 06일) 특허 제10-1078605호(등록일자 2011년 10월 26일)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주로 겨울철에 사용하는 복사난방 시설을 여름철에는 복사냉방 시설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여름철 냉방 가동시에는 상수도를 통해서 공급되는 수돗물을 냉열원(冷熱源)으로 사용하여 냉방수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방수를 냉각함으로써 따로 냉동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복사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별주택이라 함은 독립적인 건물을 갖는 단독주택은 물론, 공동주택 중에서 개별냉난방을 실시하고 있는 주택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주택의 복사 냉난방 시스템은, 실내 바닥, 벽체 또는 천정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 냉난방용 파이프(P)로 난방수 또는 냉방수를 분배하는 분배기와; 상기 난방수를 가열하는 난방용 보일러와; 상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냉열원으로 하여 상기 냉방수를 냉각하는 냉방수 탱크와; 상기 분배기로 냉방수 또는 난방수를 공급하는 냉난방수 공급라인과; 상기 분배기로부터 냉방수 또는 난방수를 환수하는 냉난방수 환수라인과; 상기 냉방수 탱크를 통과한 수돗물을 생활용수로 공급하는 수돗물 배수라인과; 실내 온도에 따라 상기 분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방수 탱크는, 상기 분배기에서 환수되는 냉방수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을 선회(旋回)하면서 관통하는 열교환용 수도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난방수 공급라인은, 상기 분배기로 냉방수 또는 난방수를 공급하는 냉난방수 공급관과, 상기 보일러로부터 상기 냉난방수 공급관으로 난방수를 공급하는 난방수 공급관과, 상기 냉방수 탱크로부터 상기 냉난방수 공급관으로 냉방수를 공급하는 냉방수 공급관과, 상기 난방수 공급관 또는 냉방수 공급관을 상기 냉난방수 공급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냉난방 전환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난방수 환수라인은, 상기 분배기로부터 냉방수 또는 난방수를 환수하는 냉난방수 환수관과,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으로부터 상기 보일러로 난방수를 환수하는 난방수 환수관과,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으로부터 상기 냉방수 탱크로 냉방수를 환수하는 냉방수 환수관과, 상기 냉방수 환수관에 설치된 냉방펌프와, 상기 난방수 환수관 또는 냉방수 환수관을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냉난방 전환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돗물 배수라인은, 상기 냉방수 탱크의 수도관 입구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 입수관과, 상기 수도관 출구로부터 수돗물을 배출하는 수돗물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겨울철에 사용하는 복사난방 시설을 여름철에는 그대로 복사냉방 시설로 사용함으로써, 냉난방 시설에 대한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가동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대류냉방에 비해 훨씬 쾌적하고 냉방 사각지역이 발생하지 않으며, 거의 일정한 냉방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인체에 적합한 냉방 환경을 제공한다.
셋째, 상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냉열원(冷熱源)으로 사용하여 상기 분배기에서 환수되는 냉방수를 냉각하기 때문에 냉방 비용으로 인한 가계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나아가 국가적으로는 혹서기의 냉방 수요가 급증으로 인한 일시적인 전력 수급의 차질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수돗물의 온도가 약간 상승함으로 인해 온수로 사용하는 급탕(給湯)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사 냉난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통상적인 기술에 속하거나, 종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 냉난방 시스템은 개별 냉난방을 실시하고 있는 각 개별주택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배기(10)와 난방용 보일러(20), 냉방수 탱크(30), 냉난방수 공급라인(40), 냉난방수 환수라인(50), 수돗물 배수라인(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분배기(10)는 개별주택의 실내 바닥, 벽체 또는 천정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 냉난방용 파이프(P)로 난방수 또는 냉방수를 분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냉난방용 분배기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파이프(P)는 도시하지 않은 냉난방용 패널(panel) 속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방바닥이나 벽체 내부에 매설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난방용 보일러(20)는 상기 난방수를 가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난방용 보일러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냉방수 탱크(30)는 상수도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을 냉열원으로 하여 상기 냉방수를 냉각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분배기(10)에서 환수되는 냉방수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공간(31)과, 상기 저장공간(31)을 선회(旋回)하면서 관통하는 열교환용 코일형 수도관(32)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저장공간(31)에 냉방수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도관(32) 속으로는 차가운 수돗물이 통과하면서 상호 열교환을 통해 상기 냉방수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도관(32)은 냉방수와 수돗물 사이의 열 접촉 면적이 최대한 확대되도록 도 1과 같이 예컨대 코일이나 스프링처럼 커다란 원을 그리면서 선회하도록 설치하고, 그 재질은 부식에 강하고 열 전달율이 우수하며 수돗물이 오염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냉난방수 공급라인(40)은 상기 분배기(10)로 냉방수 또는 난방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분배기(10)에 연결된 냉난방수 공급관(41)과, 상기 보일러(20)에 의해 가열된 난방수를 냉난방수 공급관(41)으로 공급하는 난방수 공급관(42)과, 상기 냉방수 탱크(30)에서 냉각된 냉방수를 냉난방수 공급관(41)으로 공급하는 냉방수 공급관(43)이 서로 T 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난방수 공급관(41)과 난방수 공급관(42) 및 냉방수 공급관(43) 사이에는 상기 냉난방수 공급관(41)을 상기 난방수 공급관(42) 또는 냉방수 공급관(43)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냉난방 전환밸브(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난방시에는 상기 제1 냉난방 전환밸브(44)가 상기 난방수 공급관(42)을 냉난방수 공급관(41)으로 연결하고, 냉방시에는 상기 냉방수 공급관(43)을 냉난방수 공급관(41)으로 연결한다.
상기 냉난방수 환수라인(50)은 상기 분배기(10)로부터 냉방수 또는 난방수를 환수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분배기(10)에 연결된 냉난방수 환수관(51)과,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으로부터 보일러(20)로 난방수를 환수하는 난방수 환수관(52)과,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으로부터 냉방수 탱크(30)로 냉방수를 환수하는 냉방수 환수관(53)이 서로 T 자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방수 환수관(53)에는 냉방수를 강제순환 시켜주는 냉방펌프(53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과 난방수 환수관(52) 및 냉방수 환수관(53) 사이에는 상기 난방수 환수관(52) 또는 냉방수 환수관(53)을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냉난방 전환밸브(5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냉난방 전환밸브(54)는 난방시에는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을 난방수 환수관(52)으로 연결하고, 냉방시에는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을 냉방수 환수관(53)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난방 가동시,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과 난방수 환수관(52)을 통해 환수된 난방수는 보일러(20)에 의해서 가열된 다음, 다시 난방수 공급관(42)과 냉난방수 공급관(41)을 통해 분배기(41)로 공급된다. 그리고, 냉방 가동시에는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과 냉방수 환수관(53)을 통해 환수된 냉방수가 냉방수 탱크(30)에서 상기 수도관(32)을 통과하는 수돗물에 의해서 냉각된 다음, 다시 냉방수 공급관(43)과 냉난방수 공급관(41)을 통해 분배기(41)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방수 공급관(43)은 상기 냉방수 탱크(3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냉방수 환수관(53)은 상기 냉방수 탱크(30)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체의 대류작용에 의해서 뜨거운 온수는 위로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냉수는 밑으로 내려오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수돗물 배수라인(60)은 상기 냉방수 탱크(30)의 수도관(32) 입구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 입수관(61)과, 상기 수도관(32) 출구로부터 수돗물을 배출하는 수돗물 배출관(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도관(32) 입구와 수돗물 입수관(61)은 상기 냉방수 탱크(3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수도관(32) 출구와 수돗물 배출관(62)은 상기 냉방수 탱크(30)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돗물 배출관(62)은 상기 보일러(20)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보일러 급수관(63)과, 상기 수돗물 배출관(62)을 통해 배출되는 수돗물을 바로 생활용수로 공급하는 생활용수 공급관(64)으로 분기(分岐)된다. 상기 보일러 급수관(63)을 통해 보일러(20)로 공급된 수돗물은 상기 보일러(20)에서 가열된 다음, 급탕 공급관(65)을 통해 급탕용수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생활용수 공급관(64)으로 배출된 수돗물은 싱크대, 세탁기, 세면대, 욕조, 변기 등에 사용되는 생활용수로 공급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70)는 미리 설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분배기(10)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냉난방용 파이프(P)가 설치된 실내에는 각각 실내온도 조절기(71)가 설치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습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70)의 구조와 기능은 통상적인 냉난방용 제어기와 동일하며, 필요에 따라 냉난방 전환밸브(44,54)와 냉방펌프(53a)를 제어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 냉난방 시스템은 신축 개별주택은 물론, 기축 개별주택에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신축 주택의 경우, 주택 설계시 임의의 장소에 냉방수 탱크(30)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각 가정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 인입관에다 상기 수돗물 입수관(61)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축 세대의 경우에는 냉방수 탱크(3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제한적이다. 각 주택의 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이미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나 세탁기 근처 공간에다 상기 냉방수 탱크(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보일러와 세탁기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기존 수도관을 상기 수돗물 입수관(61)을 연결하며 생활용수 공급관(64)은 세탁기 급수관에 연결한다.
한편, 여름철에는 세대 내에서 급탕의 사용이 줄게 되므로 실내온도 조절기(71)에서 급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세면대, 샤워기, 싱크대, 세탁기 등의 온수를 사용하여도 냉방수 탱크(30)의 수도관(32)를 통과하면서 가온된 수돗물이 보일러 급수관(63)과 급탕 공급관(65)을 통과하여 미지근한 온수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따라서 급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돗물 입수관(61)으로 공급되는 수돗물로는 상수도 대신에 각 지역 또는 각 세대에서 개발한 지하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10; 분배기 20; 보일러
30; 냉방수 탱크 31; 냉방수 저장공간
32; 수도관 40; 냉난방수 공급라인
41; 냉난방수 공급관 42; 난방수 공급관
43; 냉방수 공급관 44,54; 냉난방 전환밸브
50; 냉난방수 환수라인 51; 냉난방수 환수관
52; 난방수 환수관 53; 냉방수 환수관
53a; 냉방펌프 60; 수돗물 배수라인
61; 수돗물 입수관 62; 수돗물 배출관
63; 보일러 급수관 64; 생활용수 공급관
65; 급탕 공급관 70; 제어부
71; 실내온도 조절기

Claims (4)

  1. 개별주택의 실내 바닥, 벽체 또는 천정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 냉난방용 파이프(P)로 난방수 또는 냉방수를 분배하는 분배기(10);
    상기 난방수를 가열하는 난방용 보일러(20);
    상기 분배기(10)에서 환수되는 냉방수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공간(31)과, 상기 저장공간(31)을 선회(旋回)하면서 관통하는 열교환용 수도관(32)이 구비되어 있는 냉방수 탱크(30);
    상기 분배기(10)로 냉방수 또는 난방수를 공급하는 냉난방수 공급관(41)과, 상기 보일러(20)로부터 상기 냉난방수 공급관(41)으로 난방수를 공급하는 난방수 공급관(42)과, 상기 냉방수 탱크(30)로부터 상기 냉난방수 공급관(41)으로 냉방수를 공급하는 냉방수 공급관(43)과, 상기 난방수 공급관(42) 또는 냉방수 공급관(43)을 상기 냉난방수 공급관(41)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냉난방 전환밸브(44)로 이루어지는 냉난방수 공급라인(40);
    상기 분배기(10)로부터 냉방수 또는 난방수를 환수하는 냉난방수 환수관(51)과,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으로부터 상기 보일러(20)로 난방수를 환수하는 난방수 환수관(52)과,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으로부터 상기 냉방수 탱크(30)로 냉방수를 환수하는 냉방수 환수관(53)과, 상기 냉방수 환수관(53)에 설치된 냉방펌프(53a)와, 상기 난방수 환수관(52) 또는 냉방수 환수관(53)을 상기 냉난방수 환수관(51)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냉난방 전환밸브(54)로 이루어지는 냉난방수 환수라인(50);
    상기 냉방수 탱크(30)의 수도관(32) 입구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 입수관(61)과, 상기 수도관(32) 출구로부터 수돗물을 배출하는 수돗물 배출관(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돗물 배수라인(60);
    실내 온도에 따라 상기 분배기(1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주택의 복사 냉난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수 공급관(43)과 상기 수돗물 입수관(61)은 상기 냉방수 탱크(3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냉방수 환수관(53)과 상기 수돗물 배출관(62)은 상기 냉방수 탱크(30)의 상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주택의 복사 냉난방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돗물 배출관(62)은 상기 보일러(20)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보일러 급수관(63)과,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생활용수 공급관(64)으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주택의 복사 냉난방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냉난방 전환밸브(44,54)와 냉방펌프(53a)는 각각 제어부(70)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주택의 복사 냉난방 시스템.
KR1020130000146A 2013-01-02 2013-01-02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KR20140088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146A KR20140088348A (ko) 2013-01-02 2013-01-02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146A KR20140088348A (ko) 2013-01-02 2013-01-02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348A true KR20140088348A (ko) 2014-07-10

Family

ID=5173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146A KR20140088348A (ko) 2013-01-02 2013-01-02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34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77B1 (ko) * 2014-11-12 2015-01-16 윤인거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CN110513753A (zh) * 2019-09-18 2019-11-29 西华大学 一种暖通专用集成管路系统
CN111457467A (zh) * 2020-04-20 2020-07-2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空调地暖两联供系统及其控制方法和装置
KR102158442B1 (ko) 2020-02-11 2020-09-22 대성히트에너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복사냉각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393637B1 (ko) * 2021-09-16 2022-05-03 왜트에너지테크 주식회사 물을 열매체로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냉난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77B1 (ko) * 2014-11-12 2015-01-16 윤인거 급수나 급탕을 이용한 천정냉난방장치
CN110513753A (zh) * 2019-09-18 2019-11-29 西华大学 一种暖通专用集成管路系统
CN110513753B (zh) * 2019-09-18 2021-09-17 西华大学 一种暖通专用集成管路系统
KR102158442B1 (ko) 2020-02-11 2020-09-22 대성히트에너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복사냉각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CN111457467A (zh) * 2020-04-20 2020-07-28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空调地暖两联供系统及其控制方法和装置
KR102393637B1 (ko) * 2021-09-16 2022-05-03 왜트에너지테크 주식회사 물을 열매체로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냉난방기
WO2023043087A1 (ko) * 2021-09-16 2023-03-23 왜트에너지테크 주식회사 물을 열매체로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냉난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2944B2 (en) Combined potable water-surface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8116913B2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using compressed fluid
US9964318B2 (en) Water tower applied to the water source heat pump central air conditioner
KR101425870B1 (ko) 세대용 급탕 열교환 설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난방 급탕 통합 시스템
US11454407B1 (en) HVAC apparatus, method, and system
WO2005106346A1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US8327655B2 (en) Heating and air-conditioning installation with a heat pump, the installation including at least one heat transfer fluid distributor unit with coupling to a plurality of heat collection and delivery circuits
KR20140088348A (ko)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CN107228436B (zh) 一种基于太阳能和地冷的空调系统
JP2010243129A (ja) 放射冷暖房システム
KR20140067412A (ko)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US1061279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peripheral air-conditioning unit thereof and water pipeline upgrading method for heating purposes
KR101582203B1 (ko) 통합배관 시스템을 위한 유량제어시스템
US20220146147A1 (en) Air heating and potable water system having a water heater and a hydronic air handler
KR100701756B1 (ko) 난방온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온수 분배 방법
US3381108A (en) Apartment or house with centralized heating system and sauna room
KR20120103069A (ko) 실별 바닥복사 및 공조 통합 제어 시스템
CN111964131A (zh) 一种新型地暖和顶部热辐射智能控制方法
JP2547827B2 (ja) 給湯システム
JP2014059145A (ja) 放射冷暖房システム
CN212538005U (zh) 一种毛细地暖双系统结构
KR20130098544A (ko) 공기 가열식 난방장치
CN101176696B (zh) 健康节能桑拿系统
KR100924639B1 (ko) 냉난방시스템
KR102222331B1 (ko) 하이브리드 보일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