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829Y1 -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829Y1
KR200363829Y1 KR20-2004-0018713U KR20040018713U KR200363829Y1 KR 200363829 Y1 KR200363829 Y1 KR 200363829Y1 KR 20040018713 U KR20040018713 U KR 20040018713U KR 200363829 Y1 KR200363829 Y1 KR 200363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unit
boiler
cold water
fa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기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에이.씨
장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에이.씨, 장용기 filed Critical (주) 에스.에이.씨
Priority to KR20-2004-0018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연료를 사용한 흡수식 냉수유니트가 내장되어 냉수를 발생시켜주는 실외기의 하우징에 가스보일러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를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하는 전자제어시스템이 내장된 전자컨트롤박스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여서 된 가스를 이용하는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가 내장된 실외기에 가스보일러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여 심플한 일체형 구조하고,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에서 공급되는 냉/온수를 각 실내에 설치되는 팬코일유니트 또는 바닥난방코일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선택적이고 효율적으로 냉/난방을 실시하며, 전자컨트롤박스에 설치된 전자제어시스템에 의해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와 가스보일러를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할 뿐만 아니라 각 팬코일유니트와 바닥난방코일에는 밸브와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모든 팬코일유니트와 바닥난방코일의 냉/난방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여 냉/온수의 낭비를 줄여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 가스흡수식 냉온수유니트의 단점인 난방능력 부족문제를 해결하면서 급탕 공급도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A Fan Coil Unit Connection One Body Boiler Gas Cooling And Heating system}
본 고안은 가스를 이용하여 가동되는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를 일체형으로 결합된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가 내장되어 냉수를 발생시켜 주는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의 하우징에 가스를 이용하여 가동되는 가스보일러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공급되는 가스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를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전자제어시스템이 내장된 전자컨트롤박스를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의 하우징의 내부에 가스보일러와 나란하게 설치하며,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에서 공급되는 냉/온수 또는 온수를 각 실내에 설치되는 팬코일유니트 또는 바닥난방코일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계절의 변환에 따라 보일러 또는 냉방기를 선택적으로 가동시켜 냉/난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과 같이 냉/난방장치를 동시에 구비하여 냉/난방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장치로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4-10610호 "룸 에어콘 및 보일러를 이용한 복합 냉난방장치"와,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제 1997-10504호 "독립난방시스템과 조합된 난방유닛"과, 국내 실용신안등록제 297124호 "온열배관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4-10610호 "룸 에어콘 및 보일러를 이용한 복합 냉난방장치"는, 실내열교환기(에어컨)에 난방용열교환기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실내열교환기에는 냉방용 실외기와 연결시키고, 난방용열교환기에는 난방배관과 연결하여 펌프에 의해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키되 체크밸브와 절환변에 의해 난방용열교환기 또는 난방배관에 선택적으로 공급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보일러는 실내조절스위치에 의해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실내열교환기 및 냉방용 실외기로 구성되는 통상의 냉방장치와 난방용열교환기 · 난방배관 · 보일러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의 난방장치를 설치하되, 다만 냉방장치의 실내열교환기와 난방장치의 난방용열교환기를 나란하게 설치한 것에 불과하고, 냉방장치의 실내열교환기와 난방장치의 난방용열교환기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냉방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물질(연료)과 난방장치의 보일러를 가동시키는 연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지 못하고 각기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1997-10504호 "독립난방시스템과 조합된 난방유닛"은, 공통으로 사용되는 축열기에 통상의 냉방기 측의 열교환기(증발기)와 연결되는 팬코일(또는 방열기)에 보일러의 열교환기를 연결하여 냉방장치와 난방장치에서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동절기에는 순환펌프의 작동에 의해 보일러의 열교환기에서 축열기에 공급되어지는 온수를 팬코일(또는 방열기)에 공급하여 난방을 실시하고, 하절기에는 다른 순환펌프의 작동에 의해 냉방기측 열교환기에서 축열기로 공급되는 냉수를 팬코일(또는 방열기)에 공급하여 냉방을 실시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팬코일(또는 방열기)를 이용하여 냉방과 난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별도의 축열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설비가 용이치 못하고 설비비용도 줄일 수 없으며, 보일러가 냉방장치의 실외기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냉방장치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물질(연료)과 난방장치의 보일러를 가동시키는 연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지 못하고 각기 별도로 설치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제 297124호 "온열배관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은, 각 방(실내)에 설치되는 온열배관에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연결하여 온수 또는 냉수를 선택적으로 공급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되, 난방시스템은 순환펌프의 작동에 의해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순환관에 설치된 분배기를 통하여 각 방의 온열배관에 공급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냉방시스템은 냉수공급관과 냉수환수관이 난방시스템의 순환관(온수공급관과 온수환수관)에 연결되는 물탱크의 내부에 냉방장치부의 냉매관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 역시 방(실내)에 설치된 온열배관을 난방과 냉방을 실시할 때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에 따른 구조와 설비를 다소 간단히할 수 있으나, 난방시스템의 보일러와 냉방시스템의 냉방장치부(실외기)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고 특히 냉방시스템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물질(연료)과 난방장치의 난방시스템의 보일러를 가동시키는데 사용되어지는 연료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지 못하고 각기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작 및 설비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장치들은 각 방(실내)에 설치되는 각 난방배관(온열배관 및 팬코일)에 공급되는 온수 또는 냉수를 컨트롤할 수 있는 밸브가 각각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각 난방배관(온열배관 및 팬코일)의 작동을 개별적으로 단속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가스연료를 사용한 흡수식 냉수유니트가 내장되어 냉부를 발생시켜주는 실외기의 하우징에 가스를 이용하여 가동되는 가스보일러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공급되는 가스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를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전자제어시스템이 내장된 전자컨트롤박스를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의 하우징의 내부에 가스보일러와 나란하게 설치하며,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에서 공급되는 냉/온수 또는 온수를 각 실내에 설치되는 팬코일유니트 또는 바닥난방코일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냉/난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급되는 가스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가 내장되어 냉수를 발생시켜주는 실외기의 하우징에 가스보일러를 설치하여 일체형 구조로 되고, 보다 용이하게 배관 공사를 할수 있도록 된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에서 공급되는 냉/온수 또는 온수를 각 실내에 설치되는 팬코일유니트 또는 바닥난방코일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계절의 변환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냉/난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된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제어시스템이 내장된 전자컨트롤박스를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의 하우징의 내부에 가스보일러와 나란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서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를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각 팬코일유니트와 바닥난방코일에는 밸브와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모든 팬코일유니트와 바닥난방코일의 냉/난방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며, 온수와 냉수의 낭비를 줄여 운용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냉방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 또는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펌프(P1)에 의해 팬코일유니트(30-1 ~ 30-N)에 선택적으로 공급 순환시키거나, 분리된 팬코일유니트(30-1 ~ 30-N) 또는 바닥난방코일(31-1 ~ 31-N)에 공급 순환시켜 주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냉방기 및 보일러는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 및 가스보일러(3)인 것과,
가스공급관(21) 및 급수관(22)을 설치하여 가스 및 냉수를 동시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과,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내부 일 측에는 가스보일러(14)와 상기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 및 가스보일러(14)를 전자적으로 컨트롤하는 전자컨트롤박스(17)를 설치한 것과,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에 연결되는 냉각수공급관(23)과 냉각수배출관(24) 및 가스보일러(3)에 연결되는 온수유입관(25)과 온수배출관(26)에는 통상의 펌프(P1)(P2)가 구비된 순환관을 연결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팬코일유니트(30-1 ~ 30-N) 또는 바닥난방코일(31-1 ~ 31-N)에 공급하도록 된 배관시스템(20)(20-1)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유니트(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을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스흡수식 냉온수유니트
2: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 또는 냉온수유니트
3: 가스보일러 10: 하우징 11: 열교환코일
12: 송풍팬 14: 가스보일러 17: 전자컨트롤박스
20. 20-1: 배관시스템 21: 가스공급관 22: 급수관
23: 냉각수공급관 24: 냉각수배출관 25: 온수유입관
26: 온수배출관 27: 순환공급관 28: 순환배출관
30-1. 30-2. 30-N: 팬코일유니트 31-1. 31-2. 31-N: 바닥난방코일
V1 ~ V4: 밸브 P1. P2: 펌프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스식 냉온수유니트(1)의 구체적인 시현 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식 냉온수유니트(1)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와 가스보일러(14)와 전자컨트롤박스(17) 및 배관시스템(20)(20-1)으로 구성하였다.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는 직육면체로 구성되는 하우징(10)의 내부 일 측에 열교환코일(11)을 설치하였고 그 내측에 통상의 송풍팬(12)을 설치하였으며, 열교환코일(11)측에 위치하는 하우징(11)은 상면과 전면과 배면 및 측면을 개방시켜 상면에는 거름망(13)을 설치하여 열기를 외부로 송풍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전면과 배면 및 측면에도 망(보호망)을 설치하여 외부물질이 유입되거나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구조와 특징은 기히 공지된 기술 사상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하우징(10)의 내부 일 측에는 가스보일러(14)와 전자컨트롤박스(17)를 설치하였는데, 하우징(10)의 내부에 분할벽(10-1)을 설치하여 열교환코일(11)과 분리시켰다.
분할벽(10-1)에서 열교환코일(11)의 반대 면에는 에어흡입구(15) 및 가스배출구(16)가 구비된 통상의 가스보일러(3)를 설치하였고, 상기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및 가스보일러(3)를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컨트롤박스(17)를 설치하였다.
상기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 및 가스보일러(3)에는 가스공급관(21)과 급수관(22)을 각각 연결하여 가스 및 냉수를 각각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에는 냉각수공급관(23)과 냉각수배출관(24)을 구비하고 가스보일러(3)에는 온수유입관(25)과 온수배출관(26)을 구비하여 배관시스템(20)(20-1)을 설치하였다.
상기 배관시스템(20)은 도 3a에 예시된바와 같이,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각수공급관(23)과 냉각수배출관(24) 및 가스보일러(3)의 온수유입관(25)과 온수배출관(26)에는 통상의 온오프밸브(V1 ~ V4)를 각각 설치하였고,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각수공급관(23)과 가스보일러(3)의 온수유입관(25)은 공급순혼관(27)에 연결시키고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각수배출관(24)과 가스보일러(3)의 온수배출관(26)은 펌프(P1)가 구비된 배출순환관(28)에 연결시켰으며, 공급순혼관(27)과 배출순환관(28)에는 각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유입측과 배출측을 각각 연결시키되 각 팬코일유니트(30-1 ~ 30-N)의 배출관에는 온오프밸브(30-V1)(30-V2)(30-VN)를 각각 설치하였으며, 각 팬코일유니트(30-1 ~ 30-N)에는 온도를 측정하여 그 정보를 전자컨트롤박스(17)의 전자시스템에 제공하는 온도센서(30-S1)(30-S2)(30-SN)를 각각 설치하였다
또 다른 배관시스템(20-1)은 도 3b에 예시된바와 같이 설치하였다.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각수공급관(23)과 냉각수배출관(24)에 공급순환관(27-1)과 배출순환관(28-1)을 연통되게 설치하되 배출순환관(28-1)에는 통상의 펌프(P1)를 설치하였고, 이 공급순환관(27-1)과 배출순환관(28-1)에는 각 바닥난방코일(31-1)(31-2)(31-N)의 공급측과 배출측을 각각 연결시켰으며, 각 바닥난방코일(31-1)(31-2)(31-N)에는 온도를 측정하여 그 정보를 전자컨트롤박스(17)의 전자시스템에 제공하는 온도센서(31-S1)(31-S2)(31-SN)를 각각 설치하고 배출측에는 통상의 온오프밸브(31-V1)(31-V2)(31-VN)를 각각 설치하였다.
또 가스보일러(3)의 온수유입관(25)과 온수배출관(26)에는 공급순환관(27)과 배출순환관(28)을 연통되게 설치하되 배출순환관(28)에는 통상의 펌프(P2)를 설치하였고, 이 공급순환관(27)과 배출순환관(28)에는 각 각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유입측과 배출측을 각각 연결시켰으며, 각 팬코일유니트(30-1 ~ 30-N)에는 온도를 측정하여 그 정보를 전자컨트롤박스(17)의 전자시스템에 제공하는 온도센서(30-S1)(30-S2)(30-SN)를 각각 설치하고 배출측에는 온오프밸브(30-V1)(30-V2)(30-VN)를 각각 설치하였다.
이하 작용을 첨부도면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스식 냉온수유니트(1)에서 각 가스흡수식 냉수 유니트(2)와 가스보일러(14)는 가스공급관(21)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와 급수관(22)을 통해서 공급되는 정수를 이용하여 작동하게 되며, 상기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와 가스보일러(14)의 작동방법 및 원리는 익히 공지된 통상의 방법과 원리에 의해 작동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에 예시된바와 같이 배관시스템(20)이 설비된 가스식 냉온수유니트(1)는 다음과 같이 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냉방운전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서, 설정온도가 온도센서(30-S1)(30-S2)(30-SN)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온오프밸브(30-V1)(30-V2)(30-VN)를 온(ON)시킨 상태에서 가스흡수식냉수유니트(2)를 작동시켜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송풍팬(12)만을 작동시켜 준다.
냉방운전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서, 온도센서(30-S1)(30-S2)(30-SN)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가 보다 높은 경우에는, 냉각수공급관(23)과 냉각수배출관(24)의 온오프배브(V1)(V3)를 온(ON)시키고 각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온오프밸브(30-V1)(30-V2)(30-VN)를 온(ON)시킨 상태에서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를 작동시켜 냉기를 각 팬코일유니트(30-1)(30-2)(30-N)에 공급하여 순환시켜 준다.
반면에 난방 운전하고자 하는 경우에서, 온도센서(30-S1)(30-S2)(30-SN)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온수유입관(25)과 온수배출관(26)의 온오프밸브(V4)(V2)와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온오프밸브(30-V1)(30-V2)(30-VN)를 온(ON)시킨 상태에서 가스보일러(14)를 가동시키고, 가스보일러(14)의 가동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펌프(P1)를 가동시켜 각 각 팬코일유니트(30-1)(30-2)(30-N)에 공급하여 순환시켜 준다.
온도센서(30-S1)(30-S2)(30-SN)에 의해 감지되는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아질 때까지 가스보일러(14)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단순히 송풍운전만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온오프밸브(30-V1)(30-V2)(30-VN)를 온(ON)시킨 상태에서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송풍팬(12)만을 작동시켜 주면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운전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 온도센서(30-S1)(30-S2)(30-SN)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온오프밸브(30-V1)(30-V2)(30-VN)와 냉각수공급관(23)과 냉각수배출관(24)의 온오프배브(V1)(V3)를 온(ON)시킨 상태에서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와 함께 송풍팬(12)을 작동시켜 냉방운전을 실시하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온오프밸브(30-V1)(30-V2)(30-VN)와 온수유입관(25) 및 온수배출관(26)의 온오프밸브(V4)(V2)를 온(ON)시킨 상태에서 가스보일러(14)를 작동시켜 팬코일유니트(30-1)(30-2)(30-N)에 온수를 공급 순환시켜 난방운전을 실시하며, 실내온도와 설정온도가 같은 경우에는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송풍팬(12)만을 가동시켜 준다.
한편 도 3b에 예시된바와 같이 배관시스템(20-1)된 가스식 냉온수유니트(1)는 다음과 같이 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온도센서(30-S1)(30-S2)(30-SN)에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아 냉방운전을 실시하여야 할 경우에는 팬코일유니트(30-1)(30-2)(30-N)의 온오프밸브(30-V1)(30-V2)(30-VN)를 온(ON)시킨 상태에서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와 송풍팬(12) 및 펌프(P2)를 가동시켜 냉각된 냉수를 공급 순환시켜 줌으로서 냉방을 실시할 수 있고, 반면에 바닥난방코일(31-1)(31-2)(31-N)의 온도센서(31-S1)(31-S2)(31-SN)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아 난방운전을 실시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바닥난방코일(31-1)(31-2)(31-N)의 온오프밸브(31-V1)(31-V2)(31-VN)를 온(ON)시킨 상태에서 가스보일러(3)와 펌프(P1)를 가동(작동)시켜 가스보일러(3)에 의해 가온된 온수를 바닥난방코일(31-1)(31-2)(31-N)에 공급 순환시켜 줌으로서 난방을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냉/난방을 실시할 때에 실내온도와 설정온도가 같은 경우에는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 또는 가스보일러(3)의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켜 주도록 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은, 가스연로를 사용한 흡수식 냉수유니트가 내장되어 냉수를 발생시켜주는 실외기의 하우징에 가스를 이용하여 가동되는 가스보일러를 일체형으로 구비하여 공급되는 가스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를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전자제어시스템이 내장된 전자컨트롤박스를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의 하우징의 내부에 가스보일러와 나란하게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가스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가 내장될 실외기에 가스보일러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므로 심플하게 일체형 구조로되고, 가스보일러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에서 공급되는 냉/온수를 각 실내에 설치되는 팬코일유니트 또는 바닥난방코일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선택적이고 효과적으로 냉/난방을 실시할 수 있으며, 전자컨트롤박스에 설치된 전자제어시스템에 의해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와 가스보일러를 전자적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팬코일유니트와 바닥난방코일에는 밸브와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모든 팬코일유니트와 바닥난방코일의 냉/난방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하여 냉/온수의 낭비를 줄여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 가스흡수식 냉온수유니트의 단점인 난방능력 부족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탕 공급도 가능하다.

Claims (3)

  1. 냉방기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 또는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펌프(P1)에 의해 팬코일유니트(30-1 ~ 30-N)에 선택적으로 공급 순환시키거나, 분리된 팬코일유니트(30-1 ~ 30-N) 또는 바닥난방코일(31-1 ~ 31-N)에 공급 순환시켜 주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냉방기 및 보일러는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 또는 냉온수유니트(2) 및 가스보일러(3)인 것과,
    가스공급관(21) 및 급수관(22)을 설치하여 가스 및 냉수를 동시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과,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내부 일 측에 가스보일러(14)와 상기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 및 가스보일러(14)를 전자적으로 컨트롤하는 전자컨트롤박스(17)를 설치한 것과,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각수공급관(23)과 냉각수배출관(24) 및 가스보일러(3)의 온수유입관(25)과 온수배출관(26)에 통상의 펌프(P1)(P2)가 구비된 순환관을 통합 또는 개별 연결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팬코일유니트(30-1 ~ 30-N) 또는 바닥난방코일(31-1 ~ 31-N)에 공급하도록 된 배관시스템(20)(20-1)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수와 가스보일러(3)의 온수를 팬코일유니트(30-1 ~ 30-N)에 공급 순환시키도록 하는 배관시스템(20)은,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각수공급관(23)과 냉각수배출관(24) 및 가스보일러(3)의 온수유입관(25)과 온수배출관(26)에는 통상의 온오프밸브(V1 ~ V4)를 각각 설치한 것과,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각수공급관(23)과 가스보일러(3)의 온수유입관(25)은 공급순환관(27)에 연결시키고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각수배출관(24)과 가스보일러(3)의 온수배출관(26)은 펌프(P1)가 구비된 배출순환관(28)에 연결시킨 것과,
    공급순환관(27)과 배출순환관(28)에는 각 팬코일유니트(30-1 ~ 30-N)를 각각 연결시키되 각 팬코일유니트(30-1 ~ 30-N)의 배출관에는 온오프밸브(30-V1 ~ 30-VN)를 각각 설치한 것과,
    각 팬코일유니트(30-1 ~ 30-N)에는 온도를 측정하여 전자컨트롤박스(17)에 제공하는 온도센서(30-S1 ~ 30-SN)를 각각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수와 가스보일러(3)의 온수를 팬코일유니트(30-1 ~ 30-N) 또는 바닥난방코일(31-1 ~ 31-N)에 공급 순환시키는 배관시스템(20-1)은,
    가스보일러(3)의 온수유입관(25)과 온수배출관(26) 및 가스흡수식 냉수유니트(2)의 냉각수공급관(23)과 냉각수배출관(24)에는 공급순환관(27-1)(27)과 배출순환관(28-1)(28)을 연통되게 설치하되 배출순환관(28-1)(28)에는 통상의 펌프(P1)(P2)를 설치한 것과,
    각 공급순환관(27)(27-1)과 배출순환관(28)(28-1)에는 각 팬코일유니트(30-1)(30-2)(30-N) 및 바닥난방코일(31-1 ~ 31-N)을 각각 연결시킨 것과,
    각 팬코일유니트(30-1)(30-2)(30-N) 및 바닥난방코일(31-1)(31-2)(31-N)에는 온도를 측정하여 그 정보를 전자컨트롤박스(17)의 전자시스템에 제공하는 온도센서(30-S1 ~ 30-SN)(31-S1 ~ 31-SN)를 각각 설치하고, 배출측에는 통상의 온오프밸브(30-V1 ~ 30-VN)(31-V1 ~ 31-VN)를 각각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KR20-2004-0018713U 2004-07-01 2004-07-01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KR200363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13U KR200363829Y1 (ko) 2004-07-01 2004-07-01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13U KR200363829Y1 (ko) 2004-07-01 2004-07-01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829Y1 true KR200363829Y1 (ko) 2004-10-07

Family

ID=49438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713U KR200363829Y1 (ko) 2004-07-01 2004-07-01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8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01B1 (ko) 2009-05-28 2011-04-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복사 및 대류를 이용한 주택용 냉난방시스템
KR101652906B1 (ko) 2015-03-20 2016-09-02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대류난방이 가능한 온수분배기
KR20200142616A (ko) 2019-06-12 2020-12-23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하이브리드 보일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01B1 (ko) 2009-05-28 2011-04-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복사 및 대류를 이용한 주택용 냉난방시스템
KR101652906B1 (ko) 2015-03-20 2016-09-02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대류난방이 가능한 온수분배기
KR20200142616A (ko) 2019-06-12 2020-12-23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하이브리드 보일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7876B9 (zh) 热泵热回收空调机组
CN104165414B (zh) 一种温度调节装置
US5054542A (en) Heat transfer system
JP2023535739A (ja) 建物の内部空間を空調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11075218A (ja) 空調熱源ユニット及び空調システム
EP1795825A1 (en) Equipment for supplying chilled fluid for an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and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with said equipment
KR200400682Y1 (ko) 보일러의 순환수를 이용한 냉방장치
KR200363829Y1 (ko) 팬코일유니트 연결 보일러일체형 냉난방 시스템
KR20100005250A (ko) 히트펌프식 냉난방 및 냉온수 공급 시스템
CN101696816A (zh) 壁挂式空调热水器
CN207945732U (zh) 风机盘管及空调水系统
CN101498522B (zh) 除湿空调热泵热水器
KR20020014073A (ko) 축냉열식 냉난방장치
US20210364195A1 (en) Air conditioner/heat pump expansion function box and air conditioner/heat pump heat storage refrigeration system
CN213630742U (zh) 全联供热泵除湿热水机组
CN201539932U (zh) 壁挂式空调热水器
CN201306883Y (zh) 毛细管辐射式水源热泵机组
GB2334089A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a building
KR101871393B1 (ko) 급, 배기구를 주기적으로 바꿔주는 듀얼 열교환 타입의 외기 도입형 공기조화기
KR20100034112A (ko) 온실용 냉난방기
CN110986202A (zh) 精确控制的工质直膨地板供暖供冷风管机除湿的装置
KR20080052961A (ko) 지열공조시스템
US20090078783A1 (en) Secondary heating and cooling system
KR20000065998A (ko) 축열,축냉식 냉,난방기
JP3142897B2 (ja) 蓄熱機能を備えた冷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