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356B1 - 생산품 포장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생산품 포장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356B1
KR900006356B1 KR1019860003570A KR860003570A KR900006356B1 KR 900006356 B1 KR900006356 B1 KR 900006356B1 KR 1019860003570 A KR1019860003570 A KR 1019860003570A KR 860003570 A KR860003570 A KR 860003570A KR 900006356 B1 KR900006356 B1 KR 900006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rip
product
casing
rib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918A (ko
Inventor
테오도르 타운샌드 래이
윌톤 스미드 데이비드
마우리스 디케스 로버트
Original Assignee
타운샌드 엔지니어링 컴패니
테오도르 타운샌드 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운샌드 엔지니어링 컴패니, 테오도르 타운샌드 래이 filed Critical 타운샌드 엔지니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6000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13/0003Apparatus for making sausage casings, e.g. simultaneously with stuffing artificial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 A22C11/02Sausage filling or stuff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Adornme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생산품 포장용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4도는 스터핑 튜브(stuffing tube)의 끝단에 대한 확대도.
제5도는 스터핑 튜브의 끝단에서 포장의 배열을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6-6을 따라 본 단면도.
제7도는 스터핑 튜브의 유입구 끝단을 도시한 확대도.
제8도는 포장재료 공급장치의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를 따라 본 단면도.
제10도는 스터핑튜브의 배출구 끝단과 연결수단의 확대평면도.
제1l도는 제10도의 선 11-11을 따라 본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제10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l3도는 리본물질이 감겨질때 스터핑 튜브의 부분에 대한 부분적인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 14-14를 따라 본 횡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선 15-15를 따라 본 종단면도.
제16도는 포장된 물질에 대한 잘려진 링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터핑 및 연결기계(stuffing and linking) 12 : 하우징
14 : 생산물펌프조립체 16 : 튜브 지지조립체
18 : 스터핑튜브 20 : 연결장치
22 : 포장리본공급조립체 24 : 펌프유출구
26 : 스터핑유입구 28 : 지지조립체 하우징
30 : 베어링 32 : 벨트풀리
34 : 모터풀리 36 : 구동벨트
38 : 모터 40 : 확장부분
42 : 감소직경부 44 : 스터핑배출구
46 : 핑거 48 : 핑거끝단
50 : 포장재 52 : 엘보프레임
54 : 상부프레임부재 56 : 하부프레임부재
58 : 엘보부(elbow) 62 : 리일부
66 : 추축핀 68 : 포장리본
68A : 나선 68B,68C : 겹침부
70,72 : 측면테두리 74 : 부싱
76,78 : 조오부재(jaw member) 80 : 회전식블록
82 : 볼트 83,84 : 플랜지
86 : 지지블록 88 : 핀
89 : 조절플레이트 92,94 : 핀
104 : 지지 부재 100 ; 회전연결체인
102 : 집게부재 106 : 사슬톱니
108 : 지지브래킷 110 : 연결통로
112 : 척조립체(chuck assembly) 114 : 구동부재
116 : 척개방부 118 : 세로주름
본 발명은 생산품 포장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진 생산품 포장장치는 스티핑 튜브(stuffing tube)와, 스터핑튜브를 통하여 플라스틱 생산품을 펌핑하기위한 펌프 및, 스터핑 튜브의 배출구 전방에서의 회전 척(chuck), 그리고 채워진 포장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와, 환상체 내에서 연결을 배열하기 위한 환상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척의 사용에 부가되어지는 바와같이, 어떤 장치는 포장재가 연결 장치에서 연결되기에 앞서 채워진 포장재에 회전을 주는회전 스터핑 튜브를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관형포장재는 스터핑튜브를 지나 아코디언과 같은 형태로 압축되어지고, 스터핑튜브의 배출구를 지나 나오는 한 벌려진 끝단을 구성하고 있다. 생산품이 스터핑 튜브의 배출구로부터 유출되어질때, 이것은 스터핑튜브의 끝단을 지나 밀리는 포장재의 부분을 채우게되고, 그러므로써, 포장재의 부가적인 부분이 펴지게되고 튜브의 끝단뒤로 이동되어지도록 하여 튜브의 배출구로부터 멀어져 포장재를 채우게되고 추진되게된다.
껍질이 없는 프랑크소세지(Frank)를 만들기위한 포장재뿐 아니라 소세지의 다른 종류를 위한 식용의 포장재는 현재 스터핑튜브의 끝단을 지나 채워지기에 앞서 관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관형태로 인하여, 포장물질의 양측면으로부터 포장재를 다루기에 어려운 것이다. 또한, 튜브에 설치되어지는 포장재의 실질적인 길이를 허용하기 위하여, 포장재의 고려할 수 있는 길이가 통상 100피트 또는 그보다 큰 혼부(horn)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스틱형태로 포장재(짧은 길이로 응축되도록 포장재를 주름지게 하는 것)를 주름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름공정(shirring process)은 비용이 많이들고 시간이 많이걸리며, 포장재는 부피가 커지고 수송을 위하여 망가지기 쉬운 상태로 되어진다. 스터핑과 연결공정동안 이들 스틱 또는 주름진 포장은 스터핑 혼부에 배치되어지고, 이것이 연결을 형성하기위하여 채워진후 때때로 포장재의 용이한 비틀림을 위하여 실질적인 속도로 회전되어진다.
주름진 형태로 스터핑튜브에 포장재를 배치시키기위한 위에서 설명된 방법은 또한 포장재의 길이가 어느정도 한정되어지는 불합리함을 가지고 있다. 포장재의 각 길이가 위에서 사용되어진 바와같이, 주름진 포장재의 부가적인 스틱이 스터핑튜브를 지나 적합시킬 수 있는 기계를 아래로 닫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포장재가 평편한 리본형태로 생산되어질 수 있고, 길이에서 1000피트로 되어 있는 롤(Roll)로 공급되어질수 있는 것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은 실린더형 포장재를 마련할 수 있는 형태로 스터핑튜브에 이 포장재를 공급하기 위하여 이전에는 편리한 수단이 되지 못했다. 이것은 포장재가 비틀려진 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회전되어져야만 하기때문에 본 발명의 이전에는 비실용적이었다. 이전에,1984.8.24일 출원된 출원번호 644,218의 발명에서는 실용적인 수단으로 스터핑튜브에 포장재의 리본을 적용하면서 동시에 비틀림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회전되어지는 포장재를 허용하기외하여 마련되어있지 못하다. 그러나, 그 발명에서 사용되어지고 나선형으로 형성된 리본물질의 테두리에 적용되어지는 점착성은 매우 약하고. 복잡한 작업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차적인 목적은 포장되어지는 것과 같은 것을 위한 개량된 포장생산품과 그 방법 및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그외의 목적은 실린더형 포장재로 포장물질의 평편한 리본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생산물로 채워지고, 다수의 소세지 연결로 비틀려지고 회전되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인데, 그중에 리본에 점착제의 사용은 요청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그외의 목적은 겹침 리본에 대한 고유점착력의 결합효과와 포장재내에 위치되는 물질의 외측방향으로의 압력을 통하여 실린더형 포장을 형성하기위해 리본의 인접한 나선형 회전에 대한 상기 테두리를 겹치고 맞물리는 나선형 회전으로 서로의 내부에서 리본의 상기 테두리로 다수의 나선형 회전에 따른 포장재물질의 가늘고 긴 리본의 형성을 허용할 수 있는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그외의 목적은 포장재가 스터핑튜브 둘레에 감겨지는 나선형 회전의 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조절되어질 수 있는 포장재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그외의 목적은 스터핑튜브가 고정되어질 것인지 아니면 회전되어질 것인지에 불문하고 포장물질의 게속적인 스트립으로부터 스터핑튜브에 실린더형 포장의 형성을 허용하는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그외의 목적은 고정된 포장재 공급수단과, 포장재가 채워진후 포장재를 회전시키기위한 수단 및, 채워진 포장재를 회전시키고 비틀리도록 포장재를 허용하며 연결을 형성하도록 지지되어지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그외의 목적은 관형포장의 전진속도가 연결장치에 의해 조절되어지고, 관형 포장재의 회전속도가 포장리본의 측면 또는 횡방향 이동을 결정하는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그외의 목적은 포장재의 종방향 속도와 포장재의 회전속도는 각 연결로 포장재 스트립의 나선형 회전에 대한 원하는 수를 이루기위하여, 그리고 소세지의 원하는 길이를 마련하기 위하여 원하는 직경과 회전속도의 관형포장을 마련하도록 조종되어질 수 있는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그외의 목적은 소세지 연결을 형성하기위하여 포장재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그외의 목적은 소세지의 연결을 허용하면서 기계가 포장물질을 재 적재시키기 위하여 진행되고 멈추어져야만하는 시간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그외의 목적은 보다 짧은 스터핑튜브의 사용을 허용하므로써 개량된 소세지 생산품을 생산할 수 있고, 그러므로써, 현재의 주름진 포장재에 대하여 필요한 것으로 되어 있는 비교적 길고 가는 튜브를 통한 소세지의 채움을 배제할 수 있는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그외의 목적은 작동에서 능률적이고, 사용에서 영속성이 있으며, 제조에 경제적인 장치의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산물펌프와, 생산물펌프에 연결된 스터핑튜브 및, 스터핑튜브의 배출구를 지나서있는 연결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포장재 공급장치는 스터핑튜브에 인접하게 설치되어져 있고, 포장물질로부터 스터핑튜브까지 평편한 리본을 마련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스터핑튜브는 고정적으로 되어질 수있거나 또는 회전할 수 있는 스터핑튜브로 되어질 수 있다. 고정되어질 수 있는 스터핑튜브의 경우에, 회전척과 같은 부가적인 수단은 생성물이 연결장치에 도달되어지기에 앞서 채워진후 포장재를 회전시키기위하여 마련되어져 있다. 이러한 회전이동은 회전할 수 있는 스터핑튜브를 갖춘 기계의 경우에 회전스터핑튜브에 의해 공급되어진다.
포장리본은 회전리일의 형태로 또는 다른 적절한 형태로 되어질 수 있는 포장공급장치에 설치되어져 있다. 리본은 스터핑튜브의 종축에 관하여 경사를 이룬 각으로 리일로부터 스터핑튜브의 외측면으로 공급되어진다. 스터핑튜브의 외측면 둘레에 감겨진 포장재는 회전스터핑튜브(회전할 수 있는 스터핑튜브의 경우에)에 의하거나 또는 회전척(고징되어 있는 스터핑튜브의 경우에)과 같은 적절한 다른 수단에 의하여 회전되어진다.
생산물펌프는 스터핑튜브를 통하여, 그리고 스터핑튜브의 배출구에서 포장으로 생산물질을 강제시킨다. 생산물질은 스터핑튜브의 끝단으로부터 포장재를 당기고, 연결장치쪽으로 이것을 추진시킨다. 생산물펌프의 계속적인 활동은 포장으로 하여금 계속적으로 스터핑튜브의 끝단을 밖으로 당기고, 따라서 포장리본으로 하여금 리본공급장치로부터 계속적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리본공급장치는 튜브의 종축방향에 관하여 경사진 각으로 튜브의 회측면에 리본을 제공한다. 회전할 수있는 튜브의 경우에 회전튜브(또는, 고정되어지는 튜브의 경우에 회전척)은 리본으로 하여금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튜브의 외축면 둘레를 감싸도록 한다. 튜브에 대한 리본의 유입각과 리본의 폭은 리본의 테두리가 나선회전 내부에서 서로 겹치게 되도록 선택되어지는데, 그러므로써, 가늘고 긴 실린더형 포장재를 형성시킨다. 포장스트립의 겹침 테두리는 포장물질의 겹침부에 대한 본래의 집착력에 의해서만 그리고, 균일한 실린더형 포장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싸여진 생산물의 압력에 의해서만 서로에 접착되어진다.
리본공급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수평축과 수직회전축 양쪽에 관하여 추축이동을 위해 릴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리일(reel)을 포함하고 있다. 리일은 리일로부터 리본의 당김에 응하여 예정된 각으로 스터핑튜브에 관해 자체적으로 정렬되도록 리일을 허용하기 위하여 수직회전축에 관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해제되어 있다. 스터핑튜브의 종축에 관한 리일의 각은 기계적인 프레임에 관하여 제2수직 축에 대해 리일 지지프레임을 회전시키므로써, 그리고 원하는 각이 성취되어질 경우 고징된 위치로 리일지지프레임을 고정시키므로써 변경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도시된 스터핑튜브는 스터핑튜브의 배출끝단이 그곳에서 다수의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핑거를 갖춘 독특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외측으로 연장된 핑거는 다수의 지점에서 포장재의 내부면을 결착할 수 있는 핑거끝단으로 끝을 이루고 있다. 핑거끝단 사이의 간격은 포장재가 그의 통상 실린더형 둘레를 지나 뻗치지 않게되어 있고, 대신에, 다각형의 정점(Apex)을 마련한 각 핑거에 대하여 다각형의 형태로 횡단면에서 거의 실현시킬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어진다. 이들 외측으로 연장된 핑거는 포장재가 스터핑튜브의 배출구 밖으로 끌려질때 포장재의 종축방향이동으로 견인효과 또는 끌림을 마련한다. 이러한 끌림은 포장재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포장의 적절한 채움을 보장하기 위하여 중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리본을 지지하는 리일을 위하여 고정되어질 수 있는 설치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럼에도, 비틀려진 연결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터핑튜브의 끝단에서 회전되어지는 포장재를 허용한다. 고정되어질 수있는 스터핑튜브의 경우에 있어서, 회전 척 또는 다른 수단은 연결에 대해 원하는 수의 비틀림을 마련하기위하여 적절한 속도에서 포장재의 관형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혼부 또는 튜브의 유출구에 인접하여 마련되어져 있다. 회전 스터핑튜브의 경우에 있어서, 회전튜브는 튜브상의 포장재에 대하여 회전을 자체적으로 전달한다.
스터핑튜브의 끝단 다음에는 비틀림이 관형포장재에 정확하게 형성되도록 결정하는 것뿐만아니라 소세지연결의 길이를 결정하기위한 연결사이의 거리를 간격지게하는 것에 대하여 조절된 간격으로 함께 포장재를 집는 연결장치이다.
형성되고 채워진 관형포장의 전진속도는 연결장치에 의해 조절되어지는 반면, 관형 포장재의 회전속도는 포장재 리본이 리본 공급수단의 밖으로 당겨지는 속도로 결정되어진다. 이러한 두개의 속도를 조절하므로써, 그리고 리본의 정확한 폭을 이루므로써, 이것은 연결에 대해 원하는 수의 비틀림을 이루기 위하여, 그리고 소세지의 원하는 길이를 이루기위하여 적절한 속도로 회전되어지는 원하는 직경의 관형포장을 생산하기에 가능한 것이다. 이를 두개의 동작은 리본이 혼부에 적용되어지는 각을 함께 결정하여 결합되어져 있다. 포장재 공급수단의 자유로운 바퀴 회전설치는 수직회전축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포장재의 활동을 허용하고, 또한 원하는 각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포장재의 비용을 감소시키므로써, 그리고 주름진 포장재로 할 경우에 이따금있는 기계를 정지하고 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결과로 인한 효율의 증가에 의하여 소세지 산업에 실질적인 이로움을 마련하는것이다. 또한 완전한 생산품의 품질은 보다 짧은 스터핑튜브가 사용되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개량되어진다. 주름진 포장재에 대하여 필요한 비교적 가늘고 긴 튜브를 통한 소세지의 채움은 유제 또는 소세지물질에 대하여 종종 손상을 일으킨다.
이하에서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여, 번호(10)은 본 발명의 스터핑(stuffing)과 연결기계를 도시한 것이다. 기계(10)는 생산물펌프조립체(14)를 그의 상부면에 설치한 하우징(12) 또는 테이블과 튜브지지조립체(16) 및, 스터핑튜브(18) 또는 혼(horn)과, 연결장치(2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2)에 설치되어있는 것은 포장리본 공급조립체(22)이다.
제7도를 참조하여, 생산물펌프(14)는 일반적인 구조로 되어 있고, 따라서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았다. 펌프(14)는 스터핑튜브(18)의 유입구(26)와 소통되어 있는 펌프유출구(24)를 포함하고 있다. 튜브지지조립체(16)는 하우징(12)의 상부면에 설치되어져 있고, 스터핑튜브(18)를 차지하는 다수의 베어링(30)을 포함하며, 수평축에 대하여 회전을 위한 스터핑튜브(18)의 회전할 수 있는 설치를 마련하는 지지조립체하우징(28)을 포함하고 있다. 벨트 풀리(pulley)(32)는 하우징(28)내에서 스터핑튜브(18)에 설치되어져 있다. 벨트풀리(32)둘레와 부가적인 모터풀리(34) 둘레에서 끌려지는 것은 구동벨트(36)이다. 모터풀리(34)는 그의 종방향축에 대하여 스터핑튜브(18)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모터(38)에 의해 구동되어진다.
스터핑튜브(18)는 그의 스터핑 유입구(26)에 인접한 확장된 직경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또한 스터핑튜브(18)의 스터핑배출구(44)(제4도)를 위하여 확장부분(40)으로부터 연장된 가늘고 긴 감소직경부분(42)을 포함하고 있다.
제4,5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같이, 스터핑배출구(44)는 다수의 핑거(46)와 함께 마련되어져 있는데, 이 각각은 핑거 끝단(48)을 향해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벌어져 있다. 제4,5도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 4개의 핑거(46)가 있지만, 그러나 더 많거나 더 적은 핑거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각각의 핑거끝단(48)은 스터핑튜브(18)의 감소된 직경부분(42) 둘레에서 형성되는 원형횡단면 형태라기보다는 포장재료로 하여금 실질적으로 다각형태(제4,5도에 도시되어진 경우에는 사각형)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포장재(50)의 내부면을 결착시킨다. 핑거끝단(48)의 외측벌림은 끝단이 스터핑튜브(42)를 에워싸는 장점에 의해 달성되는 그의 원래의 특성적인 형태로부터 포장재를 변형시키거나 늘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포장재가 핑거끝단(48)에 의해 결착되어질 경우, 포장재의 둘레는 동일하게되고, 포장재가 스터핑튜브(18)의 감소된 직경부(42)를 둘러쌀 경우 포장재(50)의 둘레로부터 확장되어지지 않는다. 제6도를 참조하여, 치수(X)는 스터핑튜브의 횡단면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모서리진 핑거끝단(48)까지 간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만약, 이 간격(X)이 감소된 직경부분(42)에서 스터핑튜브의 반경을 약 1.11 배가 되도록 선택한다면, 이 결과는 포장재의 둘레를 당기거나 확장됨이 없이 핑거끝단(48)에 의해 포장재의 원형형태에 대해 변형시킬 수 있을 것이다.
회측으로 벌려진 핑거(46)의 상기 구조에 대한 결과는 종방향 견인이 스터핑튜브(18)의 외측배출구(44)로부터 생산물 출구에 의해 주어지는 전방추진동작을 방해하기 위하여 포장재에 주어진다.
포장리본 공급조립체(22)는 엘보부(58)에서 연결된 상부프레임부재(54)와 하부프레임부재(56)를 갖춘 길게된 엘보프레임(52)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프레임부재(54)는 구조에 있어서 독자적으로 되어 있다. 하부프레임부재(56)는 한쌍의 간격진 분리아암(6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간격진 분리아암(62)과 상부 프레임부재(54)는 엘보부(58)에서 서로에 대해 연결되어져 있다.
간격진 분리아암(62)사이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는 것은 리일부(64)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된 주축핀(66)에 의해 엠보부(58)에 지지되어진 포장리일부(64)이다. 핀(66)은 수평추축에 관한 리일부(64)의 회전설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리일(64)둘레에 감겨진 것은 편평하게된 길게 연장된 포장리본(68)이고 반대편 측면테두리(70,72)(제13도)를 포함하고 있는 리본이다. 리본(68)은 일반적으로 소세지 포장에 사용되어지는 셀룰로우즈 물질이다.그것의 두께는 약 0.0012인치이며, 폭은 변화할 수 있는데, 4인치까지중의 어느 폭은 만족할 만한 것이다.
하부 프레임부재(56)의 하부끝단은 회전식 블록(swing block)(80)의 두개의 수직으로 간격진 조오부재(76,78)사이에 위치된 수직으로 방향된 부싱(bushing)(74)(제9도)을 포함하고 있다. 피봇핀 또는 볼트(82)는 상부와 하부조오(78)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수직축에 관하여 엘보프레임(52)의 추축설치를 마련하기위하여 부싱(74)을 통과하여 연장되어있다.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부싱(74)의 길이는 프레임부재(56)가 상, 하부에 간격진 분리 조오부재(76,78)에 대하여 바인딩(binding)없이 부싱(74)에 관하여 자유롭게 선회되어질 수 있게 되도록 하부 프레임부재(56)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크게되어있다.
회전식 블록(80)은 하우징(12)에 견고하게 설치된 지지블록(86)을 구성하는 한쌍의 간격진 분리플랜지(83,84)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식 블록(80)은 플랜지(83,84)를 통하여 연장되고 또한 지지블록(86)을 통하여 연장되는 핀(88)에 의해 지지블록(86)에 추축으로 설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회전식 블록(80)은 핀(88)에 의해 마련되어진 수직축에 관하여 흔들리도록 자유롭게 되어있다.
지지블록(86)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설치되어져 있는 것은 조절플레이트(89)이다. 플레이트(89)는 볼트(92)에 의해 그리고 플레이트(89)를 통하여 연장되는 핀(88)에 의해 블록(86)에 관하여 대항이동을 유지한다.
플레이트(89)는 핀(88)에 의해 마련된 추축에 동심으로 되어진 만곡을 따라 연장된 아아치형 슬롯(90)을 포함하고 있다. 볼트(82)는 슬롯(90)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조오부재(76,78)와 부싱(84)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어있다. 볼트(82)가 조여질 경우, 이것은 축(88)에 대하여 추축이동에 대항하는 회전식 블록(80)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핀(82)에 의하여 마련되는 수직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과 선회를 이루도록 엘보프레임(52)을 허용한다. 이것이 축(88)에 관하여 회전블록(80)을 원할 경우 필요한 것은 볼트(82)를 느슨하게 하는 것이고, 원하는 위치가 되도록 핀(88)에 대하여 회전식블록(80)을 선회한다.
상부 프레임부재(54)의 상부끝단에 설치되어져 있는 것은 리본 지지핀(94)(제2,3도)이다. 핀(94)은 이것이 리일부(64)의 밖으로 끌어당길때 리본(68)을 위하여 활주지지면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것이 리일부(64)의 밖으로 통과되어질때 리본의 자유단은 핀(94)을 지나 위쪽으로 통과하고, 그 다음에 가늘고 길게된 실린더형 포장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나선 형태는 스터핑튜브(18) 둘레를 감싼다. 제15도를 참조하여, 각 나선(helix)(68A)은 겹침부(68B,68C)를 포함하고 있다. 겹침의 양은 변화시킬 수 있으나, 나선(68A)은 물질로 채워짐에 따라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되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리본(68)의 폭을 절반 정도로 겹치는 것은 보다 충분한 것이다.
제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핀(94)은 회전핀의 앞쪽으로 위치되어져 있다. 이러한 배열은 핀(92)에 의하여 마련된 회전축의 반대편 쪽에 리일부(64)와 핀(94)을 배치시킨다. 리본(68)이 핀(94)위로 당겨질경우, 이것은 엘보프레임(52)으로 하여금 스터핑튜브에 형성되어진 리본 나선의 각과 함께 리일부(64)를 스스로 정렬시키기 위하여 회전핀(82)에 관하여 자유롭게 회전되어진다.
연결장치(20)는 일반적인 구조로 되어있고, 다수의 V형 집게부재(102)와 그것에 다수의 V형 지지부재(104)를 갖춘 한쌍의 회전 연결 체인(100)을 포함하고 있다. 체인(100)은 간격진 분리 사슬 톱니(sprocket)(106)에 설치되어져 있고, 한쌍의 지지 브래킷(bracket)(108)은 스터핑튜브(18)의 배출구로부터 회전 포장재(50)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리고 일반적인 형태로 채워진 포장재로부터 비틀림 연결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서 연결통로(110)를 마련할 수 있도록 간격진 분리 상호 관련으로 체인을 지지하기위하여 위치되어져 있다.
제1-12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수정은 회전 스터핑튜브(18)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정 스터핑튜브와 연합으로 또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수정된 형태를 설명한 것인데, 그중에 고정시킨 스터핑튜브(110)는 회전 척 조립쳬(rotation chuck assembly)(112)를 인접한 그의 배출 끝단에 구성시킨다. 척 조립체(112)는 생산물 포장기계에서 현재 사용되어지는 회전 척과 유사한 것이다. 이것은그들로부터 방사상으로 한쪽으로 돌출된 다수의 세로 주름(flute)(118)종방향 척 개방부(116)를 갖춘 회전할 수 있는 구동부재(114)를 포함하고 있다. 세로 주름(118)은 이것이 스터핑튜브(110)의 배출 끝단으로부터 유출되는 생산물에 의해 채워진 후에 포장재의 외측면에 결착하기 위하여 적합되어진다. 이 회전부재는 포장재가 회전되어 지고, 동시에 이것이 연결장치(20)에 의해 결착되어지도록 하여 포장재를 채우도록 회전을 전달한다.
제1-11도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 작동자는 먼저 스터핑튜브(18)를 결착시키기 위하여 그가 원하는 스트립인 포장리본(68)으로 각을 정한다. 이것은 풀려진 볼트(82)와 원하는 각을 이루도록 아치형 슬롯(92)내로 추축 회전식 블록(80)에 의해 성취되어질 수 있다. 볼트(82)는 회전식 블록(80)에 대한 그이상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그 다음에 고정되어진다. 핀(82)에 대한 엘보프레임(52)의 자유 회전설치는 핀(82)의 수직축에 대해 리일부(64)를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륵 허용되어진다. 이것은 리일부를 밖으로 당기는 리본의 작동에 의해 자체 배열이 되도록 리일부(64)를 허용한다.
회전식 블록(80)을 위한 정확한 세팅을 선정한후, 작동자는 제3,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핀(94)을 지나 위쪽으로 리본(68)의 풀려진 끝단을 당긴다. 그는 그 다음에 포장재의 부분이 스터핑 튜브의 배출구 뒤쪽으로 나올때까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선 형상으로 스터핑튜브(50)둘레에 포장재를 감는다. 작동자가 리일부(64)의 밖으로 리본을 당기는 것과같이, 겹침부(68B,68C)는 포장재(50)의 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에 마찰력있게 점착되어질 것이다. 따라서, 리본이 스터핑튜브(18)둘레에 감겨질 경우, 측면 테두리(70,72)는 겹쳐지고, 결착되며, 서로에 대하여 마찰력있게 점착되어질 것이고, 리본으로 하여금 도면에 도시된 가늘고 긴 실린더형 포장재(50)로 형성되어질 것이다.
작동자는 다음에 생산물 펌프(14)로 하여금 스터핑튜브를 통해 생산물을 강제시키고, 동시에 스터핑튜브(18)로 하여금 회전시킴으로 기계를 회전시킨다. 스터핑튜브가 회전되어될때, 스터핑튜브와 실린더형 포장재(50)사이의 마찰은 실린더형 포장재(50)로 하여금 스터핑튜브와 일치되게 회전시키므로써 발생된다. 스터핑튜브를 통하여 펌프된 생산물은 스터핑튜브의 배출구를 통하여 유출되고, 제10,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일반적인 형태로 연결장치에 의해 결속된 채워진 링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터핑튜브를 지나서 나오는 포장재를 채우게된다. 포장재의 채움은 나선(68A)에 대항한 측력을 발휘하고, 겹침부(68B,68C)로 하여금 보다 균일하게 결착되도록 그리고 함께 마찰력있게 점착되도록 발휘되어 진다.
벌려진 핑거 끝단(48)은 이것이 스터핑튜브의 배출구를 지나 당겨질때 포장재의 내부면을 결착시키고, 포장재의 축방향 이동으로 견인 또는 지면을 마련하게 한다. 이것은 연결작동에 앞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도록 포장재를 허용한다. 연결장치의 측면으로의 속도는 원하는 바와같이 채움의 최종 정도를 마련하는것이다. 또한 벌려진 핑거 끝단(48)은 스터핑튜브의 회전에 응하여 포장재(5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스터핑튜브의 배출구로부터 실린더형 포장재(50)의 축방향 이동과 스터핑튜브의 회전은 리본으로 하여금 리일부(64)의 밖으로 계속적으로 당겨지게되고 스터핑튜브(18)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진다.
엘보프레임(52)은 볼트(82)의 수직축에 관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허용되어지기 때문에, 리일부(64)는 핀(82,88) 사이에서 라인에 관하여 똑바른 라인으로 그 자체를 정렬시키도록 허용되어 진다.
만약, 리본이 회전 스터핑튜브(18)로 유입되어지는 위치를 변경하기를 원할경우, 작동자는 볼트(82)를 약간 느슨하게 하고, 원하는 위치에 회전식 블록(80)을 회전시킨다. 이것은 튜브 둘레에 감겨지기 시작하는 리본이 변화되어 지는 지점이 되므로 스터핑튜브와 비교하여 리일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리본(68)의 폭과 리본(68)의 개시에 대한 각은 리본의 테두리가 스터핑튜브(18)둘레에 감겨질 경우 인접하거나 또는 겹쳐지도록 하여 선정되어진다.
상기 구조의 결과는 포장재의 감김이 스터핑튜브에 관하여 고정되어 있는 포장리본 공급 조립체(22)에 설치되어 진다는 것이다. 동시에, 본 발명은 연결수단(20)과 관련하여 비틀림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혼부위 끝단에서 회전 포장재를 마련하고 있다.
형성된 관형 포장재(50)의 전방으로의 속도는 연결장치에 의해, 그리고 펌프 조립체(14)가 스터핑튜브의 끝단으로부터 생산물을 강제시키는 속도에 의해 조절되어 진다. 관형 포장재의 회전속도는 포장재 리본의 측방으로의 또는 횡방향이동을 결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두개의 속도를 조절하므로써, 그리고 리본의 정확한 폭을 사용하므로써, 리본의 착수에 대한 원하는 각을 성취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연결에 대한 비틀림의 원하는 수와 각 연결의 원하는 길이를 마련하기 위하여 적절한 속도로 회전되어 지는 원하는 직경의 관형포장재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제12도에 도시된 수정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터핑튜브(110)는 고정되어져 있고 넓혀진 끝단을 갖추고 있지 않다. 그러나, 포장재의 회전은 회전 척 조립체(112)에 의해 마련되어질 수 있고, 또한 스터핑튜브의 배출구 부근에서 채워진 포장재를 결착시킨다. 이것은 포장재로 하여금 스터핑튜브에 회전시키는 것이고, 그러므로써 공급 조립체(22)의 밖으로 리본(68)을 당기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실린더형 포장재(50)를 입히는 나선 회전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 스터핑튜브 또는 회전 스터핑튜브 양편에 함께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은 알 수있다.
본 발명은 소세지 제조 분야에 이로움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재 비용에서 크게 절약할 수 있을 뿐아니라, 현재의 주름진 포장으로 포장되어 질때마다 기계를 개시와 정지하지 않는 것으로 부터의 능력 결과를 증가하는 것까지 이로움을 마련한다. 소세지 생산품의 품질은 현재 주름진 포장재에 대해 필요로 되어지는 비교적 길고 가느다란 튜브를 통하여 소세지의 채움이 튜브를 통하여 펌프된 유제 또는 소세지 물질에 매우 손상되어 지기 때문에 본 발명으로 개량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스터핑튜브는 종래의 장치에 한한는 필요치 않는데, 그것에 의해 스터핑튜브의 내부와 유제사이의 마찰을 최소로 되어진다. 접착물의 사용을 제거하므로써, 공정은 보다 신속하게 처리되어질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그의 주장된 목적의 적어도 모두를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8)

  1.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는:지지부와, 생산물 수용 후방끝단과, 배출 전방끝단 및, 실린더형의 외축면을 형성한 연장된 스터핑튜브 및; 상기 튜브의 외측 실린더형 면을 둘러싸고 있는 실린더형 포장에서, 포장은 상기 테두리를 마주하고, 하나의 나선회전에 인접한 그들의 나선회전 내부에서 리본의 측면테두리를 마찰력있게 겹치고 맞물리도록 각 하나의 나선회전 내부에서 리본의 테두리로된 다수의 나선회전들로 튜브 둘레를 둘러싸도륵 가요성물질의 연장스트립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후방끝단으로 생산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그리고 실린더형 포장으로 전방끝단을 통해 상기 튜브의 밖으로 생산물을 강제시키기 위한 수단과; 그의 실린더형축에 대해 포장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포장에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포장이 생산물로 채워진후 다수의 연결로 포장을 형성시키기 위한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
  2.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스터핑튜브가 고정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의 장치에 있어서, 스터핑튜브는 그의 종방향축에 대하여 회전을 위해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는:지지부와, 생산물 수용 후방끝단과, 배출 전방끝단 및, 실린더형 외측면을 형성한 연장된 스터핑튜브 및: 상기 튜브의 외측 실린더형 면을 둘러싸고 있는 실린더형 포장에서, 포장은 상기 테두리를 마주하고, 하나의 나선회전에 인접한 그들의 나선회전 내부에서 리본의 측면테두리를 마찰력있게 겹치고 맞물리도록 각 하나의 나선회전 내부에서 리본의 테두리로된 다수의 나선회전들로 튜브둘레를 둘러싸도록 가요성물질의 연장스트립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의 실린더형측에 대해 포장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튜브의 후방끝단으로 생산물을 유입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실린더형 포장으로 전방끝단을 통해 상기 튜브의 밖으로 생산물을 강제시키기 위한 수단과;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
  5. 제4항의 장치에 있어서, 스터핑튜브가 고정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의 장치에 있어서, 스터핑튜브는 그의 종방향축에 대하여 회전을 위해 설치되고, 포장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포장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한 스터핑튜브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스터핑튜브에 구동되어질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는:지지부와: 생산물 수용 후방끝단과, 배출 전방끝단 및, 실린더형외측면을 형성한 연장된 스터핑튜브 및: 지지부에 설치되고, 가요성물질의 연장리본을 갖추고 있는 리본공급수단과, 상기 리본은 자유단과 테두리를 마주하고 있고, 상기 자유단부는 스터핑튜브를 둘레에서 감싸지게 되어있고; 상기 튜브의 종방향축에 대하여 자유단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과; 자유단 부분의 회전에 응하여 튜브의 종방향축애 관해 기울어진 각으로 튜브의 실린더형 외측면에 리본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그러므로써, 리본이 각 하나의 나선회전 범위에서 리본의 마주한 측면테두리가 인접한 나선회전 범위의 리본 측면테두리를 마찰력있게 겹치고 맞물릴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튜브 둘레에 감싸여지므로써 튜브에 실린더형 포장재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스터핑튜브에 인접하게 위치된 공급수단과; 상기 튜브의 후방끝단으로 생산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그리고 밖으로 생산물을 강제시키기 위한 수단과; 을 포함하고 있는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
  8. 제7항의 장치에 있어서, 스터핑튜브가 고정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터핑튜브는 그의 종방향축에 대하여 회전을 위해 설치되어질 수 있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리본의 자유단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자유단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스터핑튜브를 회전시키도록 스터핑튜브에 구동되어질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리일축에 대하여 회전되어질 수 있게 설치된 리일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리본은 리일부 둘레에 감겨져있고, 리일부는 회전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있고 리본의 자유단 부분의 회전에 응하여 리일부로부터 리본이 풀리도륵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의 장치에 있어서, 리일프레임은 지지부에 리일부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리일프레임은 스터핑튜브에 관하여 리일부의 위치에 대한 조절을 허용하기 위하여 스터핑튜브에 관해 선택적으로 조절되어질 수있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의 장치에 있어서, 리일프레임은 수직축에 관하여 자유로운 추축동작을 위하여 서로에 관해 추축으로 설치된 제1과 제2프레임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는:지지부와; 생산물 수용 후방끝단과, 배출 전방끝단 및, 실린더형외측면을 갖춘 연장 스터핑튜브에서, 상기 튜브는 그의 종방향축에 대하여 회전을 위해 지지부에 회전할 수있게 설치되어져 있으며;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져 있고 가요성물질의 연장 리본을 가진 리본 공급수단에서 상기 리본은 측면테두리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공급수단은 튜브의 종방향축에 관하여 경사진 각으로 튜브의 회전동안 튜브의 실린더 외측면에 리본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스터핑튜브에 인접하게 위치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리본은 각 하나의 나선회전 범위에서 리본의 마주한 측면테두리가 인접한 나선회전범위 내에서 리본의 측면테두리를 마찰력있게 겹치고 맞물릴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튜브 둘레에 감겨지므로써 튜브에 실린더형 포장을 형성하고; 튜브의 후방끝단으로 생산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그리고 실린더형 포장으로 튜브의 전방끝단을 통해 밖으로 생산물을 강제시키기 위한 수단과; 튜브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
  14.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방법은:연장된 스터핑튜브의 실린더형 외측면 둘레에 가늘고 긴 포장재 스트립의 한끝단을 감고, 상기 스터핑튜브는 유입구 끝단과 배출구 끝단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포장 스트립은 마주한 측면테두리를 형성하고 있고: 스터핑튜브의 실린더형축에 대하여 포장 스트립의 한 끝단부분을 회전시키므로써, 포장의 나머지부분이 그쪽으로 당겨질 것이고, 스터핑튜브 둘레에 감겨지며: 스터핑튜브의 실린더형축에 관해 기울어진 각으로 스터핑튜브를 향하여 포장 스트립의 나머지 부분을 공급하므로써,상기 스트립은 인접한 나선회전에서 측면테두리와 함께 마찰력있는 겹침 맞물림으로 되도록 각 회전의 스트립의 측면테두리로된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튜브 둘레를 감싸게 되고; 유입 끝단으로부터 배출 끝단까지,그리고 실린더형 포장내로 튜브를 통하여 생산물을 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방법.
  15.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방법은:그의 종방향축에 대하여 연장 스터핑튜브를 회전시키고, 스터핑튜브는 생산물 수용 후방 끝단과, 배출끝단, 그리고 연장된 실린더 외측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포장 스트립은 마주한 측면테두리를 형성하고 있고; 가요성 리본이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튜브 둘레에 감겨지도록 튜브의 종방향축에 대해 경사진 각으로 회전 튜브의 실린더 외측면까지 연장된 가요성 리본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고, 리본의 테두리가 튜브에 실린더헝 포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나선회전들 범위에서 서로를 마찰력있게 겹치고 맞물리며; 후방끝단으로부터 배출끝단까지 그리고 포장내로 튜브를 통하여 생산물을 강제; 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방법.
  16.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는:지지부와: 연장된 가요성 포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겹침 나선회전으로 연장된 리본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부상의 제1수단과, 포장으로 식품생산물 주입하기 위하여 지지부 제2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여지는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
  17.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장치는:연장된 가요성 포장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겹침 나선회전으로 연장된 리본을 형성하고, 포장내로 식품생산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을 둘러싸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의 방법에 있어서, 식품생산물은 포장의 형성과 함께 실질적으로 동시에 포장으로 주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의 방법에 있어서, 포장은 상기 식품생산물이 포장내로 주입되어진후 다수의 연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의한 장치는:지지부를 포함하고: 생산물을 유임하는 후위 단부와 배출하는 전방단부 및 외측면을 형성하고 있는 지지부상의 가늘고 긴 스터핑튜브를 포함하며: 스터핑튜브에 인접한 지지부에 설치된 케이싱 공급수단을 포함하고: 그의 종방향축에 관하여 가늘고 긴 관형케이싱을 형셩하기 위하여 나선회전의 범위 내에서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를 마찰력있게 맞물리고 겹치도록 나선회전 각하나의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튜브 둘레에 감싸여진 제1끝단부를 가지고 있는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가요성물질의 가늘고 긴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튜브의 후위끝단으로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유입하기 위한, 그리고 관형케이싱으로 튜브의 전방끝단을 통하여 튜브 밖으로 생산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스트립은 공급수단에 설치된 제2끝단부와 공급수단으로부터 스터핑튜브까지 연장되어 있는 중간부분을 형성하고 있고: 공급수단은 튜브에 스트립을 나선으로 감도록 스터핑튜브를 향해 스트립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으며, 케이싱 스트립은 공급수단으로부터 스터핑튜브까지 이동하는 동안 케이싱 스트립에 대하여 화학적 적용으로부터 배제되며, 접착성이 배제되고, 가열되지 않음으로써, 스트립의 겹침 가장자리가 스트립의 물질에 대한 고유의 마찰접착에 의해서만이 서로에 접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스터핑튜브가 고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스터핑튜브가 그 종방향축에 관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스터핑튜브는 그 종방향축에 관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케이싱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케이싱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하여 스터핑튜브를 회전시키도록 스터핑튜브에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공급수단은 스트립으로 하여금 튜브 둘레에 나선적으로 계속 감겨지도록 하기 위하여 튜브의 종방향축에 관해 경사진 각으로 튜브의 외측면에 스트립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위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공급수단은 리일축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리일축을 포함하고 있고, 스트립은 리일 둘레에 감겨지며, 리일은 스트립의 자유단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리일로부터 스트립을 회전시키고 풀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리일프레임은 지지부에 리일부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리일프레임은 스터핑튜브에 관하여 리일부의 위치에 대한 조절을 허용하기 위하여 스터핑튜브에 관해 선택적으로 조절되어질 수 있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리일프레임은 수직축에 관하여 추축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추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및 제2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와: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릍 갖춘 점착력이 없는 가늘고 길게된 케이싱 스트립과: 가늘고 긴 관형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나선회전에 인접한 나선회전부 범위내에서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를 마찰력있게 맞물리고 겹치도록 나선회전 각 하나의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부상의 제1수단과: 스트립의 겹침 가장자리가 스트립의 물질에 대한 고유의 마찰접착에 의해서만이 서로에 결합되어지도록, 케이싱 스트립은 케이싱 스트립에 대하여 화학적 적용으로부터 배제되머, 점착성이 배제되고, 가열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케이싱 스트립과; 케이싱내로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유임시키기 위한 지지부상의 제2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29.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의한 방법에 있어서, 가늘고 긴 스터핑의 외측면 둘레에 가늘고 길게된 점착력이 없는 케이싱 스트립의 한 끝단부를 감고, 그중 스터핑튜브는 유입끝단부와 유출끝단부를 형성하고 있고, 케이싱 스트립은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고: 스터핑튜브의 종방향축에 관하여 케이싱 스트립의 한 끝단부분을 회전시키고, 그럼으로써 케이싱의 잔여부분이 스터핑튜브쪽으로 당겨지고 그둘레에 감겨지게 되며: 스터핑튜브의 종방향축에 관하여 기울어진 각으로 케이싱 스트립의 나머지부분을 스터핑튜브쪽으로 공급함으로써, 스트립은 관형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한 나선회전으로 가장자리에 대하여 마찰겹침 맞물림으로 되도록 스트립의 각 회전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튜브둘레에 감겨지고; 유입 끝단으로부터 유출 끝단까지 튜브를 지나 그리고 케이싱내로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밀어넣고: 스터핑튜브쪽으로 케이싱 스트립의 공급동안 케이싱 스트립에 대하여 열, 점착력, 그리고 화학적 물질의 적용으로부터 방지된 케이싱 스트립을 유지함으로써, 스트립의 겹쳐진 가장자리는 케이싱 스트립의 고유의 마찰접착에 의해서만이 서로에 접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스터핑튜브의 종방향축에 관한 케이싱 스트립의 회전은 고정된 스터핑튜브를 유지하면서 성취되어 질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스터핑튜브의 종방향축에 관한 케이싱 스트립의 회전은 그 종방향축에 관하여 스터핑튜브의 회전에 의하여 성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가늘고 길게된 관형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한 나선회전으로 가장자리에 대하여 마찰겹침 접착으로되도록 나선회전의 각 하나에 대한 리본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를 가진 가늘고 길게된 점착성이 없는리본을 형성하고; 열, 점착력, 그리고 화학적 작용의 물질적용으로부터 방지된 리본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
  33. 제26항에 있어서, 식품생산물은 케이싱의 형성과 동시에 케이싱내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26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식품생산물이 케이싱내로 유입되어진 후 다수의 고리 연결로 분할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는:지지부와: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를 가진 가늘고 길게된 케이싱 스트립과: 가늘고 긴 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나선회전에 인접한 나선회전부 범위내에서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를 마찰력 있게 맞물리고 겹치도록 나선회전 각 하나의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저지부상의 제 1 수단과: 케이싱내로 형성력있는생산물을 유입하기 위한 지지부상의 제 2수단 및: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담기 위하여 자체로 싸여진 관형케이싱내로 나선회전을 유지하도록 충분한 마찰접착을 일으키기 위하여 충분해 겹쳐진 케이싱 스트립의 겹침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36.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은:가늘고 길게된 관형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한 나선회전으로 가장자리에 대하여 마찰겹침 접착으로 되도록 나선회전의 각 하나에 대한 리본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를 가진 가늘고 길게된 리본을 형성하고: 케이싱내로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유입시키고: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담기 위하여 자체로 싸여진 관형케이싱내로 나선회전을 유지하도록 충분한 마찰접착을 일으키기 위하여 충분하게 리본의 측면 가장자리를 겹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
  37.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는:지지부와: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를 가진 가늘고 길게된 케이싱 스트립과: 가늘고 긴 접합선을 따라 서로 마찰적으로 겹쳐지고 맞물린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가늘고 길게된 관형케이싱으로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부상의 제1수단을 포함하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관형케이싱은 가요성물질의 하나의 스트립만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39.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은:가늘고 긴 관형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하여 긴 접합선을 따라 서로 마찰적으로 겹쳐지고 결속되는 리본의 측면 가장자리를 형성한 가늘고 긴 관형케이싱으로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가늘고 긴 리본을 형성하고: 케이싱내로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유입시키며: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담기 위하여 자체로 싸여진 관형케이싱으로 리본을 유지하도록 고정된 겹침관련으로 측면 가장자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충분하게 리본의 측면 가장자리를 겹치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관형케이싱은 가요성 있는 물질의 만일 스트립으로만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의한 장치는:지지부와: 생산물 유입 후위 끝단부, 배출 전방끝단부및, 외부면을 형성한 지지부상의 가늘고 길게된 스터핑튜브와: 스터핑튜브에 인접하여 지지부에 설치된 케이싱 공급수단과,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를 형성한 가요성물질의 가늘고 긴 스트립 및: 종방향축에 관해 가늘고 긴 관형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하여 나선회전의 범위 내에서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다수의나선회전으로 튜브 둘레에 감싸여진 제1끝단부를 가지고 있는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는 가요성물질의 가늘고 긴 스트립과: 튜브의 후위끝단으로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그리고 관형케이싱내로 튜브의 전방끝단을 통하여 튜브의 밖으로 생산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스트립은 공급수단으로부터 스터핑튜브까지 연장된 중간부분과 공급수단에 설치된 제2끝단부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공급수단은 튜브에 스트립을 나선으로 감도록 스터핑튜브를 향해 스트립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기에 적합하고, 케이싱 스트립의 겹침 가장자리는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담기 위하여 자체로 싸여진 관형케이싱으로나선회전을 유지하도록 충분한 마찰접착력을 일으키기 위하여 충분하게 겹쳐지도록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42. 형성력이 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는 지지부와 마주한 측면 가장자리를 가진 가늘고 긴 접착성이 없는 케이싱 스트립과: 가늘고 긴 관형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나선회전에 인접한 나선회전부 범위 내에서 스트립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스트립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부상의 제1수단과;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담기위하여 자체로 싸여진 관형케이싱으로 나선회전을 유지하도록 충분한 마찰접작력을 일으키기위하여 충분하게 겹쳐지는 케이싱 스트립의 겹침 가장자리와: 케이싱내로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지지부상의 제2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43.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가늘고 긴 스터핑튜브는 유입끝단부와 유출끝단부를 형성하고 있고, 케이싱 스트립은 마주한 측면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으며;. 스터핑튜브의 원통의축방향애 관하여 케이싱 스트립의 한끝단 부분을 회전시킴으로써, 케이싱의 나머지 부분이 스터핑튜브쪽으로 당겨지고 그 둘레에 감겨지게 되고: 스터핑튜브의 원통의축방향에 관하여 기울어진 각으로 케이싱 스트립의 나머지 부분을 스터핑튜브쪽으로 공급함으로써, 스트립은 인접한 나선회전으로 가장자리에 대하여 마찰겹침 맞물림으로되도륵 스트립의 각 회전의 측면가장자리에 대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튜브 둘레에 감겨지며: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담기 위하여 자체로 싸여지는 관형케이싱으로 나선회전을 유지하도륵 충분한 마찰접착을 일으키기 위하여 충분하게 스트립의 측면가장자리를 겹치며: 유입끝단으로부터 유출끝단까지 튜브를 통하여 그리고 원통형 케이싱으로 생산물을 강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물을 포장하는 방법.
  44.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가늘고 긴 스터핑의 외측면 둘레에 가늘고 길게된 점착력이 없는 케이싱 스트립의 한 끝단부를 감고, 그중 스터핑튜브는 유입끝단부와 유출끝단부를 형성하고 있고, 케이싱 스트립은 마주한 측면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있고: 스터핑튜브의 종방향축에 관하여 케이싱 스트립의 한 끝단부분을 회전시키고, 그럼으로써 케이싱의 잔여부분이 스터핑튜브쪽으로 당겨지고 그 둘레에 감겨지게 되며: 스터핑튜브의 종방향축에 관하여 기울어진 각으로 케이싱 스트립의 나머지부분을 스터핑튜브쪽으로 공급함으로써, 스트립은 관형케이싱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한 나선회전으로 가장자리에 대하여 마찰겹침 맞물림으로 되도록 스트립의 각회전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하여 다수의 나선회전으로 튜브 둘레에 감겨지고; 형성력있는 생산물을 담기 위하여 자체로 싸여지는 관형케이싱으로 나선회전을 유지하도록 충분한 마찰접착을 일으키기 위하여 충분하게 스트립의 측면가장자리를 겹치며: 유입끝단으로부터 유출끝단까지 튜브를 지나 통하여 그리고 상기 케이싱내로 생산물을 강제시키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생산물을 포장하기 위한 방법.
  45. 제41항에 있어서, 관형케이싱은 가요성물질로된 단일 스트립만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46. 제42항에 있어서, 관형케이싱은 가요성물질로된 단일 스트립만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47. 제43항에 있어서, 관형케이싱은 가요성물질로된 단일 스트립만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8. 제44항에 있어서, 관형케이싱은 가요성물질로된 단일 스트립만으로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KR1019860003570A 1985-05-08 1986-05-08 생산품 포장용 장치 및 방법 KR900006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1,995 1985-05-08
US06/731,995 US4660255A (en) 1985-05-08 1985-05-08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a product
US731995 1985-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918A KR860008918A (ko) 1986-12-19
KR900006356B1 true KR900006356B1 (ko) 1990-08-28

Family

ID=2494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570A KR900006356B1 (ko) 1985-05-08 1986-05-08 생산품 포장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4660255A (ko)
JP (1) JPH0755125B2 (ko)
KR (1) KR900006356B1 (ko)
AU (1) AU583609B2 (ko)
BE (1) BE904290A (ko)
BR (1) BR8601927A (ko)
CA (1) CA1291895C (ko)
CH (1) CH673932A5 (ko)
DE (3) DE8612520U1 (ko)
DK (1) DK168608B1 (ko)
ES (2) ES8705292A1 (ko)
FI (1) FI862209A (ko)
FR (1) FR2581616B1 (ko)
GB (1) GB2174885B (ko)
IT (1) IT1207330B (ko)
LU (1) LU86423A1 (ko)
MX (1) MX169735B (ko)
NL (1) NL190979C (ko)
NO (1) NO168225C (ko)
NZ (1) NZ215792A (ko)
PT (1) PT82520B (ko)
SE (1) SE465301B (ko)
ZA (1) ZA8634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910A (en) * 1988-04-28 1990-10-30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905349A (en) * 1989-03-06 1990-03-06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Encased product and method for encasing the same
US5180327A (en) * 1989-04-27 1993-01-19 Hitec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usages or the like
US5013279A (en) * 1990-03-30 1991-05-07 Johnsonville Sausage, Inc. Apparatus for encasing a product in a curved casing
KR0109584Y1 (en) * 1994-09-06 1997-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tch device for monitor
US5658414A (en) * 1995-03-03 1997-08-19 Kraft Foods, Inc. Organometallic solvent seaming of cellulosic materials
US5690777A (en) * 1995-03-03 1997-11-25 Kraft Foods, Inc. Seamed cellulosic materials using organometallic solvents
US6616521B1 (en) 2002-06-27 2003-09-09 Ray T. Townsend Method and means for creating a casing on a sausage making machine
US10181366B2 (en) * 2016-03-28 2019-01-1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Tape dispens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45841A (en) * 1946-05-14 1950-11-08 American Viscose Corp Process of stuffing casings
US2575467A (en) * 1946-05-14 1951-11-20 American Viscose Corp Process and apparatus for stuffing casings
GB661401A (en) * 1948-01-28 1951-11-21 American Viscose Corp Method of forming a food package
US2685769A (en) * 1950-11-30 1954-08-10 American Viscose Corp Apparatus for making stuffed products
GB787879A (en) * 1956-01-02 1957-12-18 Mayer & Co Inc O Packaging machine
GB941892A (en) * 1961-05-04 1963-11-13 Ic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forming and wrapping cylindrical columns of plastic material such as gelatinous explosive
US3238951A (en) * 1964-03-03 1966-03-08 Samuel J Silberman Apparatus for wrapping and tipping cigars
ZA738826B (en) * 1972-11-30 1974-10-30 Mercer Ltd F 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king and filling of tubular packages
JPS50109081A (ko) * 1974-02-08 1975-08-27
JPS52113888A (en) * 1976-03-19 1977-09-24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ontainer consisting of paper tube
DE3228675A1 (de) * 1982-07-31 1984-04-12 Hoechst Ag, 6230 Frankfurt Geraffte wursthuel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688299A (en) * 1986-01-08 1987-08-25 Viskase Corporation Stuff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61579L (no) 1986-11-10
DE8612520U1 (de) 1986-10-30
DE3615478A1 (de) 1986-11-13
IT8647986A0 (it) 1986-05-06
JPH0755125B2 (ja) 1995-06-14
GB8608762D0 (en) 1986-05-14
AU5598686A (en) 1986-11-13
IT1207330B (it) 1989-05-17
CH673932A5 (ko) 1990-04-30
BR8601927A (pt) 1987-01-06
NL8601052A (nl) 1986-12-01
NL190979B (nl) 1994-07-01
SE8601726D0 (sv) 1986-04-16
SE8601726L (sv) 1986-11-09
US4660255A (en) 1987-04-28
DE8625411U1 (ko) 1987-04-02
GB2174885B (en) 1989-09-06
SE465301B (sv) 1991-08-26
ES554404A0 (es) 1987-05-01
PT82520B (pt) 1992-07-31
MX169735B (es) 1993-07-22
DK194486D0 (da) 1986-04-29
DK194486A (da) 1986-11-09
CA1291895C (en) 1991-11-12
NZ215792A (en) 1987-08-31
FR2581616A1 (fr) 1986-11-14
FI862209A (fi) 1986-11-09
ES296171U (es) 1988-04-01
ES8705292A1 (es) 1987-05-01
NO168225B (no) 1991-10-21
JPS61265041A (ja) 1986-11-22
DK168608B1 (da) 1994-05-09
AU583609B2 (en) 1989-05-04
ES296171Y (es) 1988-11-16
NO168225C (no) 1992-01-29
FI862209A0 (fi) 1986-05-26
LU86423A1 (fr) 1986-12-02
NL190979C (nl) 1994-12-01
ZA863445B (en) 1988-02-24
KR860008918A (ko) 1986-12-19
GB2174885A (en) 1986-11-19
BE904290A (fr) 1986-06-16
FR2581616B1 (fr) 1990-05-11
PT82520A (en) 1986-06-01
DE3615478C2 (ko) 1992-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356B1 (ko) 생산품 포장용 장치 및 방법
US47303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ausages
KR930006311B1 (ko) 제품의 포장방법 및 장치
US4727625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5019012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944069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972547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709447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956893A (en) Apparatus for encasing a product
US4972548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KR940000047B1 (ko)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JPH11500691A (ja) 包装機における包装材被着用の装置と方法
JPS581007B2 (ja) ひねり包装機における菓子片と包装紙の送り方法および装置
JP6956685B2 (ja) 折曲げ装置およびピロー包装機
BE835275A (fr) Procede et machine pour former des sachets tubulaires fermes aux extrem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8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