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047B1 -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047B1
KR940000047B1 KR1019890005424A KR890005424A KR940000047B1 KR 940000047 B1 KR940000047 B1 KR 940000047B1 KR 1019890005424 A KR1019890005424 A KR 1019890005424A KR 890005424 A KR890005424 A KR 890005424A KR 940000047 B1 KR940000047 B1 KR 940000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ribbon
side edges
packaging material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931A (ko
Inventor
테오도르 타운샌드 래이
윌톤 스미스 데이비드
마우리스 디케스 로버트
Original Assignee
타운샌드 엔지니어링 컴패니
테오도르 타운샌드 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187,351 external-priority patent/US4944069A/en
Application filed by 타운샌드 엔지니어링 컴패니, 테오도르 타운샌드 래이 filed Critical 타운샌드 엔지니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90015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13/0003Apparatus for making sausage casings, e.g. simultaneously with stuffing artifici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Toy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포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포장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포장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포장장치의 스터핑관(stuffing tube)의 단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스터핑관의 단부에서의 포장작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6-6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스터핑관의 유입구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8도는 포장재의 공급장치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0도는 스터핑관의 출구단 및 연결수단의 확대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 11-11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제10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13도는 포장리본이 감겨질 때의 스터핑관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 14-14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선 15-15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6도는 포장된 제품에 대한 완성된 연결을 도시한 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포장리본을 포함하는 밀봉된 카트리지의 사시도.
제18도는 포장리본 또는 포장재가 제품 포장기에 공급될 때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장장치 12 : 테이블
14 : 펌프 16 : 관 지지조립체
18 : 스터핑관 20 : 연결기
22 : 포장리본 공급 조립체 24 : (펌프의)출구부
26 : (스터핑관의)유입구 28 : 하우징
32 : 벨트폴리 34 : 전동풀리
36 : 구동벨트 38 : 모터
40 : 확대직경부 42 : 감소직경부
44 : (스터핑관)의 출구부 46 : 휭거
48 : (휭거의)단부 50 : 포장재
52 : 엘보우프레임 54 : 상부프레임
56 : 하부프레임 58 : 엘보우
62 : 아암 64 : 릴
64A,64D : 카트리지 66 : 핀
68 : 포장리본 70,72 : 측면 가장자리
74 : 부싱 76,78 : 수직턱
80 : 스윙블록 82,88,92 : 볼트
83,84 : 플랜지 86 : 지지블록
89 : 조절판 92 : 스롯
94 : 핀 100 : 회전연결체인
106 : 스프로킷 108 : 지지브래킷
110 : (고정식)스터핑관 112 : 척 조립체
114 : 구동부재, 116 : 척 개방부
118 : 플루트(flute)
본 발명은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진 육류등의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는 스터핑관(stuffing tu be)과, 이러한 스터핑관을 통하여 소성제품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스터핑관의 출구부 전방에 제공된 회전척(chuck)과, 채워진 포장리본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와 그리고 연결장치를 루우프식으로 배열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척을 사용함에 있어서, 포장재가 연결장치에서 연결되기에 앞서 채워진 포장재에 회전을 주도록 회전식 포장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포장장치에 있어서, 관형포장재는 스터핑관을 지나 아코디언과 같은 형태로 압축되어지고, 스터핑관의 출구부를 통과하면서 바깥쪽으로 벌려진 한쪽 단부를 형성하게 된다. 포장재가 스터핑관의 출구부로부터 배출될 때, 스터핑관의 단부를 통해서 소성제품이 포장재의 일에 채워지게 되고, 이에 의해 포장재의 나머지 부분이 퍼지면서 스터핑관의 단부 뒷쪽으로 이동하여서, 포장재가 스터핑관의 출구부로 부터 멀어지면서 제품으로 채워져 이동하게 된다.
지금까지, 껍질이 없는 프랑크소세지를 만들기 위한 포장재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소세지를 포장하기 위한 식용의 포장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스터핑관의 출구부를 통과하면서 제품으로 채워지기에 앞서 관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관 형태로 인하여, 포장재의 양측면으로부터 포장재를 다루기는 어려운 것이다. 또한, 스터핑관상에 전체 길이의 포장재를 설치하기 위하여, 포장재의 길이를 통상 3m(100피트)로 제한시켜서 그보다 큰 호온(horn)상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포장재를 스틱형태(짧은 길이로 응축되도록 포장재를 주름지게 하는 것)로 주름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름공정(shirring process)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포장재의 부피가 커지고 수송을 위하여 망가지기 쉬운 상태로 되어진다.
스터핑관의 연결공정동안 이들 스틱 또는 주름진 포장부분은 스터핑관의 호온상에 배치되어지고, 포장재가 제품으로 채워진 후 각각의 제품을 연결시키기 위해 포장재를 비틀어서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적절한 속도로 회전되어진다.
주름진 형태로 스터핑관에 포장재를 배열시키기 위한 이러한 방법은 포장재의 길이가 어느정도 한정되어지는 불합리함을 가지고 있다. 포장된 제품의 각각의 길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주름진 포장재의 일부가 스터핑관을 통과한 후 제품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포장재가 평편한 리본형태로 생산되어질 수 있고, 약 30m(100피트) 길이로 구성되어 있는 롤(Roll)형태로 공급되어질 수 있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원통형 포장재를 제공하기 위해서 스터핑관에 이러한 포장재를 공급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이 되지 못했다. 이것은 포장재에 비틀림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포장재가 회전되어져야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이전에는 비실용적이었다. 참고로, 1984. 8. 24.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644,218호의 발명에서는, 실용적인 수단으로서 스터핑관에 포장리본을 공급하면서 동시에 포장재에 비틀림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포장재가 회전되어지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발명에서 사용된 나선형 포장리본의 가장자리는 점착성이 매우 약하고 이러한 점착성을 제공하는 공정이 매우 복잡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차적인 목적은 소성제품의 포장을 위한 개선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통형 포장재로 형성되는 포장리본에 위해서 소성제품이 채워지는 동시에 소성제품상에 다수의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회전될 수 있는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로서, 관지지조립체와, 양측면 가장자리를 갖춘 긴 포장리본과 긴 결합선을 따라서 마찰력에 의해 서로 맞물리고 겹쳐지는 상기 포장리본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포장리본을 기다란 관형 포장재로 형성되도록 상기 관지지조립체에 설치된 제1수단과, 그리고 상기 소성제품을 상기 포장재내로 도입시키도록 상기 관지지조립체상에 설치된 제2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포장리본의 서로 겹쳐지는 상기 측면 가장자리가 수분에 의해서 충분한 습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포장리본이 상기 관형 포장재내에 단단히 유지되어서 내부에 상기 소성제품을 포함하도록 상기 측면 가장자리가 서로 충분히 겹쳐져 있는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방법으로서, 기다란 점착성 포장리본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리본의 측면 가장자리가 서로 겹쳐지면서 접착되도록 적어도 상기 포장리본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리본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가 기다란 결합선을 따라 서로 마찰에 의해 맞물리고 겹쳐져서 기다란 관형 포장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포장리본을 변형시키는 단계와, 상기 소성제품을 상기 포장재내로 도입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포장리본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를 충분히 겹쳐지게 유지시키면서 상기 포장재내에 승기 소성제품을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포장장치(10)는 상부면에 펌프(14)를 설치한 테이블(12)과, 관지지조립체(16)와, 스터핑관 (18) 및 연결기(2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테이블(12)상에는 포장리본 공급조립체 (22)가 설치되어 있다.
제7도를 보면 펌프(14)는 일반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펌프(14)는 스터핑관(18)의 유입구(26)와 연통되어 있는 출구부 (24)를 포함하고 있다. 관지지조립체(16)는 하우징(28)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하우징(28)은 테이블(12)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고, 스터핑관(18)을 지지하는 다수의 베어링(30)을 포함하고 있어서 스터핑관(18)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8)내에서는 벨트폴리(32)가 스터핑관(18)에 장착되어 있다. 벨트폴리(32) 및 전동폴리(34) 둘레로 구동벨트(36)가 연결되어 있다. 전동폴리(34)는 모터(38)로 작동되며, 이에 따라서 스터핑관(18)이 그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터핑관(18)의 유입구(26) 부근에는 확대직경부(40)가 제공되어 있고, 또한 확대직경부(40)로부터 스터핑관(18)의 출구부(44)(제4도 참조)까지 연장된 감소직경부(42)가 제공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스터핑관의 출구부(44)에 다수의 휭거(46)가 마련되어져 있는데, 이 각각의 휭거(46)는 휭거의 단부(48)를 향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벌려져 있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구조에 있어서는 4개의 휭거 (4 6)가 제공되어 있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휭거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각각의 휭거(46)의 단부(48)는 포장재(50)의 내부면과 접하여 있어서, 포장재(50)가 스터핑관(18)의 감속직경부(42)를 둘러싸고 있을 때는 원형을 이루지만 단부(48)에서는 다각형(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되어진 경우에는 사각형)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바깥쪽으로 벌려진 단부(48)는 포장재 (50)가 스터핑관(18)의 감소직경부(42)를 둘러싸고 있을 때 그 원래의 길이를 변형시키거나 늘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포장재가 단부(48)을 둘러싸고 있을 때 포장재의 둘레길이는 포장재가 스터핑관(18)의 감소직경부(42)를 둘러싸고 있을 때의 둘레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제6도를 보면, 길이(X)는 스터핑관의 단면중심으로 부터 바깥쪽으로 벌려진 단부(48)까지의 간격을 나타낸 것이다. 만약, 이 길이(X)가 감소직경부(42)에서 스터핑관(18)의 반경의 약 1.11배가 되도록 선택한다면, 포장재의 둘레길이를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지 않은 상태로 포장재(50)의 형상을 이 단부(48)에 의해서 변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같이 바깥쪽으로 벌려진 휭거(46)의 형상에 의해서, 포장재(50)에는 종방향의 저항력이 전달되며, 따라서 스터핑관(18)의 출구부(44)로부터 육류등의 제품이 빠져나옴으로써 생기는 전방으로의 가속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포장리본 공급조립체(22)는 엘보우프레임(5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엘보우프레임(52)은 상부프레임(54) 및 엘보우(58)에서 상부프레임(54)과 연결된 하부프레임(56)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프레임(54)은 하나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프레임(56)은 한쌍의 이결된 아암(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아암(62)과 상부프레임(54)은 엘보우(58)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격된 한쌍의 아암(62) 사이에 포장재의 릴(64)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릴(64)은 엘보우(58)에서 핀(66)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이 핀(66)은 릴(64)을 관통하여 있다. 핀(66)에 의해서 릴(64)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릴(64)의 둘레에는 포장리본(68)이 감겨져 있는데, 이 포장리본(68)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 가장자리(70,72)(제13도)를 포함하고 있다. 포장리본(6 8)은 일반적으로 소세지 포장에 사용되어지는 셀룰로우즈 재료로 제조되며, 그 두께는 약 0.003cm(0.0012인치)이며, 폭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나 약 10.16cm(4인치) 정도가 좋다.
제9도를 참조하면, 하부프레임(56)의 하단부에는 회전식 스윙블록(80)의 수직방향으로 이결된 상하부의수직턱(76,78) 사이에 수직으로 놓인 부싱(74)이 제공되어 있다. 볼트(82)가 상하부 수직턱(78) 및 부싱(7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엘보우프레임(52)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피봇회전할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부싱(74)의 길이는 하부프레임(56)의 두께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하부프레임 (56)이 수직턱(76,78)과 맞닿지 않고 부싱(74)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회전식 스윙블록(80)에는 한쌍의 이격된 플랜지(83,84)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플렌지(83,84)는 테이블(12)에 견고하게 설치된 지지블록(86)을 둘러싸고 있다. 스윙블록(80)은 플랜지(83,84) 및 지지블록(86)을 통하여 연장된 볼트(88)에 의해 지지블록(86)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회전식 스윙블록(80)은 볼트(88)에 의해 그 수직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지지블록(86)의 상부면에는 조절판(89)이 견고하게 설치되어져 있다. 조절판 (89)은 이 조절판(89)을 관통하여 연장된 볼트(88) 및 볼트(92)에 의해서 지지블록 (86)의 이동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조절판(89)은 곡선형 슬롯(90)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슬롯(90)은 볼트(88)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축가 동심인 곡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볼트(82)는 슬롯(90)을 통하여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수직턱(76,78) 및 부싱(84)을 관통하고 있다. 볼트 (82)가 조여질 경우, 스윙블록(80)은 볼트(88)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으며, 동시에 엘보우프레임(52)이 볼트(82)에 의해서 제공되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다. 볼트(88)를 중심으로 스윙블록(80)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단지 볼트(82)를 느슨하게 풀어서, 스윙블록(80)을 볼트(88)를 중심으로 필요한 위치만큼 회전시키면 된다. 그리고 나서, 볼트(82)를 조여 스윙블록(80)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킨다.
상부프레임부재(54)의 상단부에는 포장리본을 지지하는 핀(94)(제2도 및 제3도 참조)이 장착되어 있다. 핀(94)은 릴(64)로부터 포장리본(68)이 빠져 나올 때 미끄러지는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포장리본의 자유단부가 릴(64)의 밖으로 빠져나오는 경우 포장리본(68)의 자유단은 핀(94)을 지나 윗쪽으로 통과하고, 그 다음에 스터핑관(18)의 둘레로 나선형으로 감겨져서 가늘고 기다란 원통형 포장재(50)를 형성하게 된다. 제15도를 보면, 나선(68A)은 겹침부(68B,68C)를 포함하고 있다. 겹침의 양은 변화시킬 수 있으나, 나선(68A)이 제품으로 채워짐에 따라 서로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크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겹침은 포장리본(68)의 폭의 절반정도 이상이면 충분하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핀(94)은 볼트(68)의 앞쪽으로 위치되어져 있다. 이때, 핀(92)에 의하여 제공되는 회전축의 반대편쪽에 릴(64)과 핀(94)을 배치시킨다. 포장리본(68)이 핀(94)위로 당겨질 경우, 엘보우프레임(52)은 볼트(82)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이동되어서, 일(64)이 스터핑관(18)상에서 포장리본(68)의 나선의 각도로 정렬된다.
연결기(20)는 일반적인 구조로 되어 있고, 다수의 V형 핀칭부재(102) 및 다수의 V형 고정부재(104)를 갖춘 한쌍의 회전 연결체인(100)을 포함하고 있다. 회전연결체인(100)은 서로 이격된 스프로킷(108)상에 설치되어져 있고, 한쌍의 지지브래킷 (108)이 회전연결체인(1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통로(110)가 제공되어서 포장재(50)의 회전시에 포장재(50)를 스터핑관(18)의 출구분 (44)의 끝단으로 부터 수용하며, 이에 따라서 종래의 방식으로 제품이 채워진 포장재 (50)에 비틀려진 부분이 형성된다.
제1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회전식 스터핑관(18)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고정식 스터핑관(18)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인데, 고정식 스터핑관(18)은 그 출구부 근처에 회전식 척조립체(112)를 포함하고 있다. 척조립체(112)는 제품 포장기계에 현재 사용중인 회전식 척과 유사한 것이다. 척조립체(112)에는 구동부재(114)가 제공되어 있는데,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플루트(flute)(118)를 갖춘 종방향 척 개방부(116)를 갖추고 있다. 플루트(118)는 스터핑관(110)의 출구부 끝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제품에 의해서 채워진 후에 포장재의 외측면에 결합되어진다. 구동부재 (114)는 포장재의 연결기(20)에 의해 연결될 때, 제품으로 채워진 포장재(5 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1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작동자는 먼저 스터핑관(18)에 결합되는 포장리본(68)의 각도를 정한다. 이를 위해서, 볼트(82)를 느슨하게 풀고 각도에 맞추어 필요한 각도에 맞추어 슬롯(92)의 각도범위 이내에서 스윙블록 (8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나서, 볼트(82)를 조여 회전식 스윙블록(80)을 더이상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킨다. 볼트(82)를 중심으로 엘보우프레임(52)을 회전고리식으로 자유롭게 위치시킴으로써, 릴(64)이 볼트(82)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릴(64)은 그로부터 포장리본(68)이 풀려나오는 작동으로 인하여 자체적으로 정렬된다.
회전식 스윙블록(80)을 정확히 설정한 작동자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핀(94)을 지나 윗쪽으로 포장리본(68)의 풀려진 끝단을 잡아당긴다. 그런 후에, 작동자가 포장재(50)의 일부분이 스터핑관(18)의 출구부(44) 부터 뒷쪽으로 나올 때까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선식으로 스터핑관(18)의 둘레에 포장재(50)를 감는다. 작동자가 릴(64)에서 포장리본(68)을 빼내면, 겹침부(68B,68C)가 서로 밀착되면서 포장재(50)를 계속하여 감게 된다. 따라서, 포장재(68)이 스터핑관(18)의 둘레에 감겨질 경우, 포장리본(68)의 양측면 가장자리(70,72)는 서로 겹쳐지고 결합되면서 서로에 대하여 마찰력 있게 정착되어질 것이고, 포장재(50)으로 부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늘고 긴 원통형 포장재(50)가 형성되어질 것이다.
다음으로, 작동자는 펌프(14)를 작동시켜서 스터핑관(18)속으로 제품을 밀어넣는 동시에 스터핑관(18)을 함께 회전시킨다. 스터핑관(18)이 회전되면, 스터핑관(1 8)과 원통형 포장재(50)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원통형 포장재(50)가 함께 회전한다. 펌프(14)에 의해서 스터핑관(18)을 통하여 나오는 제품은 스터핑관(18)의 출구부(4 4)를 통과하여서, 제10,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연결기(2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터핑관(18)을 지나서 나오는 포장재(50)를 제품으로 채우게 된다. 포장재(50)를 제품으로 채움으로써 나선(68A)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힘이 작용하여서 겹침부(68B,68C)가 보다 단단하게 결합되며 마찰에 의해서 함께 접착되어진다.
휭거(46)의 바깥쪽으로 벌려진 단부(48)가 스터핑관(18)의 출구부(44)로부터 포장재(50)가 빠져나올때 포장재(50)의 내부면과 맞닿아서 포장재(50)의 축선방향 이동을 저지한다. 이에 따라서, 포장재(50)가 연결기(20)의 연결부로 이동하기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품이 채워진다. 연결기(20)의 축방향 이동속도는 제품이 최종적으로 채워지는 정도를 원하는 바에 따라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휭거의 단부(48)로 인하여 스터핑관(18)의 회전에 대해 포장재(50)가 보다 원할하게 회전한다.
스터핑관(18)의 회전 및 스터핑관(18)의 출구부(44)로 부터 원통형 포장재 (5 0)의 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인하여, 포장재(50)이 릴(64)에서 계속적으로 빠져나와서 스터핑관(18)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진다.
엘보우프레임(52)은 볼트(82)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릴(64)은 2개의 볼트(82,88) 사이의 선에 대해서 직선이 되도록 자체적으로 정렬되어 진다.
만약, 포장리본(68)이 회전식 스터핑관(18)으로 유입되어지는 위치를 변경하기를 원할 경우, 작동자는 볼트(82)를 약간 느슨하게 풀고 원하는 위치로 회전식 스윙블록(80)을 회전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서, 스터핑관(18)과 연결된 릴(64)의 위치가 바뀌며, 스터핑관(18)을 감기 시작하는 포장리본(68)의 위치로 바뀐다.
포장리본(68)의 폭과 회전각도는, 포장리본(68)의 가장자리가 스터핑관(18)의 둘레로 감겨질 때 인접하거나 또는 겹쳐지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서, 포장재(50)의 롤은 스터핑관(18)에 고정되어 있는 포장리본 공급조립체(22)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동시에, 본 발명은 연결기(20)에 적합한 비틀림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스터핑관(18)의 끝단에 회전식 포장재(50)를 제공하고 있다.
관모양을 이루는 포장재(50)의 전진속도는, 연결기(20)에 의해서, 그리고 펌프 (14)가 스터핑관(18)의 끝단으로부터 제품을 밀어내는 속도에 의해서 조절되어진다. 이러한 관모양의 포장재(50)의 회전속도는 포장리본(68)의 축방향 이동속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두개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므로써 그리고, 포장리본(68)의 정확한 폭을 사용하므로써, 포장리본(68)의 원하는 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기(20)의 연결부의 1회전중의 비틀림 횟수 및 길이를 제공하도록 소정의 직경을 가진 관형 포장재(50)를 제조할 수 있다.
제12도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고정식 스터핑관(110)은 휭거(46)의 바깥쪽으로 벌려진 단부(48)를 갖추고 있지 않다. 그러나, 포장재(50)는 회전식 척조립체 (112)에 의해 회전되며, 스터핑관(18)의 출구부(44)에 인접한 포장재(50)에 연결된다. 따라서, 포장재(50)는 스터핑관(18)상에서 회전하게 되며, 포장리본 공급조립체 (22)로 부터 포장리본(68)이 빠져나오므로, 원통형 포장재(50)를 형성하는 나선형 회전부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식 스터핑관 또는 회전식 스터핑관 모두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밀봉선(64D)를 따라 종래의 수단에 의해서 밀봉된 하우징(64B 및 64C)으로 구성된 카트리지(64A)를 포함하고 있다. 카트리지(64A)는 제조되는 시간에 원하는 수준의 습도 또는 습기가 제공되는 포장리본(68)을 갖추고 있다. 포장리본(68)은 제1,2 및 제3도에 도시된 형태로 사용될 때까지 일정한 습기수준이 유지되도록 카트리지(64A)내에서 밀봉된다.
제18도는 포장리본이 포장장치로 도입되는 순간에 습도 또는 습기가 포장리본 (68)에 첨가될 수 있도록 제1,2 및 제3도에 도시된 형태의 포장장치에 사용가능한 수단을 도시한 것이다. 로울러(22A)는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포장리본(68)에 인접하게 포장장치에 장착된다.
로울러(22A)는 회전지지부(22C)에 장착되어 있고 그 외부면에는 스폰지형 재료(22B)가 부착되어 있으며, 스폰지형 재료(22B)의 표면은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릴(64)에서 빠져나와서 포장리본(68)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가능한 액체 또는 수원에 연결되어 있는 액체 또는 물공급관(22D)이 스폰지형 재료(22B)의 둘레로 인접하게 종결되어 있어서, 스폰지형 재료(22B)상에 액체가 공급되며, 이어서 액체는 포장리본(68)에 공급된다. 이러한 액체는 물 또는 수분을 함유하는 비점착성 유체이다.
포장리본(68)상에 공급되어지는 습도 또는 습기의 함량은 포장리본의 정밀한 물질조직에 따라서 다르다. 그러나, 포장리본의 겹쳐진 가장자리가 충분한 마찰점착력을 거쳐서 소성제품을 포함하는 관형 포장재내에서 포장리본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습기가 존재해야만 한다. 로울러(22A)는 전체 포장리본(68) 또는 그 겹쳐진 측면 가장자리(7,72)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포장리본(68)은 예를들어 폴리아미드나 폴리에스터로 제조될 수 있는 셀룰로우즈 수화물, 콜라겐 혹은 인조창자등과 같은 종래의 포장재로 구성될 수 있다. 셀룰로우즈 수화물의 포장재는 점성을 응고시켜서 셀룰로우즈를 재생함으로서 제조되며, 글리세롤과 같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포장재는 일반적으로 6내지 15중량%의 수분함량을 포함하지만, 24 중량% 이상의 수분함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관형태인 일반적인 포장재의 수분함량은 이러한 일반적인 포장재를 재조하는 것과는 관계가 없다(미합중국 특허 제4,505,603호의 칼럼 5의 15행을 참조).
또한 몇몇 일반적인 포장재들은 본 발명에 사용되기에 부적합한 수분 및 수중기가 침투할 수 없는 외부층을 갖추고 있다. 이것은 포장리본(68)의 수분함량이 포장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포장리본의 마찰접착 수행에 결정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리본(68)은 15내지 45 중량%의 수분함량,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의 수분함량을 가져야 한다. 수분함량이 45 중량% 이상이라면, 포장재는 너무 젖어서 수분이 포장리본의 표면을 윤활시킴으로써 접착과정을 방해한다.

Claims (8)

  1.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로서, 관지지조립체(16)와, 양 측면 가장자리(70,72)를 갖춘 긴 포장리본(68)과, 긴 결합선을 따라서 마찰력에 의해 서로 맞물리고 겹쳐지는 상기 포장리본(60)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70,72)를 따라 상기 포장리본 (68)을 기다란 관형 포장재(50)로 형성시키도록 상기 관지지조립체(16)상에 설치된 제1수단(18)과, 그리고 상기 소성제품을 상기 포장재(50)내로 도입시키도록 상기 관지지조립체(16)상에 설치된 제2수단(14,26)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포장리본(68)의 서로 겹쳐지는 상기 측면 가장자리(70,72)가 수분에 의해서 충분한 습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포장재(68)이 상기 관형 포장재(50)내에 단단히 유지되어서 그 내부에 상기 소성제품을 포함하도록 상기 측면 가장자리(70,72)가 서로 충분히 겹쳐져 있는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긴 관형 포장재(5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리본(68)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70,72)가 마찰에 의해 맞물리고 겹쳐지도록 다수의 헬리컬 나선부들을 형성하는 수단(22,38)을 더 포함하는 포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리본(68)이 15 내지45 중량%수분함량을 가지는 포장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리본(68)이 20 내지 40 중량%의 수분함량을 가지는 포장장치.
  5.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으로서, 기다란 점착성 포장리본(68)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리본(68)의 측면 가장자리(70,72)가 서로 겹쳐지면서 접착되도록 적어도 상기 포장리본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포장리본(68)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70,72)가 기다란 결합선을 따라 서로 마찰에 의해 맞물리고 겹쳐져서 기다란 관형 포장재(50)을 형성하도록 상기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포장리본(68)을 변형시키는 단계와, 상기 소성제품을 상기 포장재(50)내로 도입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포장리본(68)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70,72)를 충분히 겹쳐지게 유지시키면서 상기 포장재(50)내에 상기 소성제품을 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포장재(5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포장리본(68)의 각각의 측면 가장자리(70,72)가 마찰에 의해 맞물리고 겹쳐지도록 다수의 헤리컬 나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장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리본(68)에 공급되는 수분을 15 내지 45중량%로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장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리본(68)에 공급되는 수분을 20 내지 40 중량%로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장장치.
KR1019890005424A 1988-04-28 1989-04-25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KR940000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7,351 1988-04-28
US07/187,351 US4944069A (en) 1988-04-28 1988-04-28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187,351 1988-04-28
US07/333,996 US4965910A (en) 1988-04-28 1989-04-04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333,996 1989-04-04
JP333,996 1989-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931A KR890015931A (ko) 1989-11-27
KR940000047B1 true KR940000047B1 (ko) 1994-01-05

Family

ID=2688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424A KR940000047B1 (ko) 1988-04-28 1989-04-25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4965910A (ko)
JP (1) JP2516425B2 (ko)
KR (1) KR940000047B1 (ko)
AR (1) AR244508A1 (ko)
AU (1) AU611015B2 (ko)
BE (1) BE1004035A5 (ko)
BR (1) BR8902028A (ko)
CA (1) CA1337101C (ko)
CH (2) CH683486A5 (ko)
DE (2) DE3913661C2 (ko)
DK (1) DK169064B1 (ko)
ES (1) ES2014070A6 (ko)
FI (1) FI892003A (ko)
FR (1) FR2630707B1 (ko)
GB (1) GB2217571B (ko)
IE (1) IE63975B1 (ko)
IT (1) IT1231465B (ko)
MX (1) MX167043B (ko)
NL (1) NL191687C (ko)
NO (1) NO172324C (ko)
NZ (1) NZ228873A (ko)
PT (1) PT90409B (ko)
SE (1) SE8901473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3249U1 (de) * 1994-02-26 1994-06-30 Westfaelische Fleischwarenfabr Wurst
US5658414A (en) 1995-03-03 1997-08-19 Kraft Foods, Inc. Organometallic solvent seaming of cellulosic materials
US5690777A (en) * 1995-03-03 1997-11-25 Kraft Foods, Inc. Seamed cellulosic materials using organometallic solvent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3001A (ko) * 1900-01-01
GB478241A (en) * 1936-05-13 1938-01-13 Ind Patents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usage casings and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GB595797A (en) * 1944-03-25 1947-12-17 Sylvania Ind Corp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stuffed products
US2575467A (en) * 1946-05-14 1951-11-20 American Viscose Corp Process and apparatus for stuffing casings
GB645841A (en) * 1946-05-14 1950-11-08 American Viscose Corp Process of stuffing casings
GB661401A (en) * 1948-01-28 1951-11-21 American Viscose Corp Method of forming a food package
US3616489A (en) * 1967-05-10 1971-11-02 Union Carbid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oisturizing shirred casing sticks
US4590107A (en) * 1981-02-06 1986-05-20 Teepak, Inc. Thin-walled, low plasticized content regenerated cellulose sausage casing
DE3139481A1 (de) * 1981-10-03 1983-05-05 Hoechst Ag, 6230 Frankfurt Fuer zu raeuchernde lebensmittel, insbesondere fuer zu raeuchernde wurstwaren geeignete schlauchhuel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US4479283A (en) * 1982-01-18 1984-10-30 H-Worth,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uffing foodstuff into a casing
DE3216437A1 (de) * 1982-05-03 1983-11-03 Hoechst Ag, 6230 Frankfurt Geraffte wursthuel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3228514A1 (de) * 1982-07-30 1984-02-02 Hoechst Ag, 6230 Frankfurt Leichtschaelbare wursthuelle mit einer klebenah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314289A1 (de) * 1983-04-20 1984-10-25 Grünzweig + Hartmann und Glasfaser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m umwickeln eines sich drehenden ballens aus wickelmaterial, insbesondere aus einer kaschierten mineralfaserbahn, mit einer schutzbahn zur verpackung, sowi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664861A (en) * 1985-02-04 1987-05-12 Teepak, Inc. Method for making preserved, high moisture, ready-to-stuff food casings
US4727625A (en) * 1985-05-08 1988-03-01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709447A (en) * 1985-05-08 1987-12-01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660255A (en) * 1985-05-08 1987-04-28 Townsend Ray T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a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947890A0 (it) 1989-04-27
AR244508A1 (es) 1993-11-30
CH683486A5 (de) 1994-03-31
IE63975B1 (en) 1995-06-28
BR8902028A (pt) 1989-12-05
DE3913661C2 (de) 1995-01-26
NL8901051A (nl) 1989-11-16
JPH02268637A (ja) 1990-11-02
AU3370989A (en) 1989-11-02
DK169064B1 (da) 1994-08-08
US4965910A (en) 1990-10-30
JP2516425B2 (ja) 1996-07-24
CA1337101C (en) 1995-09-26
FR2630707B1 (fr) 1994-09-16
FI892003A (fi) 1989-10-29
FI892003A0 (fi) 1989-04-27
CH680697A5 (ko) 1992-10-30
NO891697D0 (no) 1989-04-25
PT90409A (pt) 1989-11-10
IT1231465B (it) 1991-12-07
DE3913661A1 (de) 1989-11-09
KR890015931A (ko) 1989-11-27
GB8909329D0 (en) 1989-06-07
IE891289L (en) 1989-10-28
DK196289A (da) 1989-10-29
GB2217571B (en) 1992-11-18
DE8905289U1 (ko) 1989-12-28
NO891697L (no) 1989-10-30
GB2217571A (en) 1989-11-01
NO172324C (no) 1993-07-07
FR2630707A1 (fr) 1989-11-03
ES2014070A6 (es) 1990-06-16
NL191687B (nl) 1995-11-01
SE8901473D0 (sv) 1989-04-24
DK196289D0 (da) 1989-04-24
NZ228873A (en) 1992-02-25
NL191687C (nl) 1996-03-04
AU611015B2 (en) 1991-05-30
SE8901473L (sv) 1989-10-29
NO172324B (no) 1993-03-29
PT90409B (pt) 1994-07-29
BE1004035A5 (fr) 1992-09-15
MX167043B (es)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6012075A (es) Aparato para envasar material de relleno que fluye o que se puede verter.
KR930006311B1 (ko) 제품의 포장방법 및 장치
KR940000047B1 (ko)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KR900006356B1 (ko) 생산품 포장용 장치 및 방법
US5019012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727625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972547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944069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53542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a fragile extruded strand of meat product for linking purposes
US4972548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956893A (en) Apparatus for encasing a product
JPH0630690A (ja) 食肉填充機上でケーシング内に液状物質を塗布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3059404A (en) Machine for wrapping helically split tubing
CA1075969A (en) Method and means for encasing sausage or the like
US4187583A (en) Method and means for encasing sausage or the like
KR940003465A (ko) 기다란 육류 제품을 연결 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3461881A (en) Machine for wrapping cigar fillers or the like
JPH0511929B2 (ko)
LU87528A1 (fr) Appareil et procede pour envelopper un produit et produit ainsi enveloppe
JPS6029343B2 (ja) 紙管製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