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311B1 - 제품의 포장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의 포장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311B1
KR930006311B1 KR1019890018141A KR890018141A KR930006311B1 KR 930006311 B1 KR930006311 B1 KR 930006311B1 KR 1019890018141 A KR1019890018141 A KR 1019890018141A KR 890018141 A KR890018141 A KR 890018141A KR 930006311 B1 KR930006311 B1 KR 93000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product
stuffing tube
packaging material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860A (ko
Inventor
테오도르 타운샌드 레이
Original Assignee
타운샌드 엔지니어링 컴패니
테오도르 타운샌드 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운샌드 엔지니어링 컴패니, 테오도르 타운샌드 레이 filed Critical 타운샌드 엔지니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90001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06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 B65B11/38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combination of straight and curved paths
    • B65B11/40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combination of straight and curved paths to fold the wrappers in tubular form about contents
    • B65B11/44Wrapp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conveying wrapper and contents in common defined paths in a combination of straight and curved paths to fold the wrappers in tubular form about contents the ends of the tube being subsequently twisted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 A22C11/10Apparatus for twisting or linking sausages
    • A22C11/107A string passing between two rotary members comprising dividing elements cooperating with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 A22C11/10Apparatus for twisting or linking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13/0003Apparatus for making sausage casings, e.g. simultaneously with stuffing artifici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Packag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품의 포장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제품의 스터핑관(stuffing tube)의 단부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5도는 스터핑관의 단부에서의 포장작업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6-6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7도는 스터핑관의 유입구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8도는 포장재의 공급장치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0도는 스터핑관의 출구단 및 연결수단을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제10도의 선 11-11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포장 스트립이 감겨질 때의 스터핑관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선 14-14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선 15-15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연결된 제품을 도시한 측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선 17-17을 따라서 포장재의 끝부분의 비틀림 부분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포장장치 12 : 테이블
14 : 펌프 16 : 관지지 조립체
18 : 스터핑관 20 : 연결기
22 : 포장 스트립 공급조립체 24 : (펌프의) 출구부
26 : (스터핑관의) 유입구 28 : 하우징
30 : 지지베아링 32 : 벨트풀리
34 : 전동풀리 36 : 구동벨트
38 : 모타 40 : 확장 직경부
42 : 감소 직경부 44 : (스터핑관의) 출구부
46 : 횡거(finger) 48 : (횡거의) 단부
50 : 포장재 52 : 엘보우 프레임
54 : 상부 프레임 56 : 하부 프레임
58 : 엘보우 62 : 아암
64 : 릴 66 : 핀
68 : 포장 스트립 70,72 : 양측면 가장자리
74 : 부싱 76,78 : 수직턱
80 : 스윙블록 83,84 : 플렌지
86 : 지지블록 88 : 볼트
본 발명은 육류제품 등을 나선형으로 비틀려지는 포장재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완성된 제품을 포장한 포장재의 비틀림 회전수와 이러한 포장제의 끝단에 있는 비틀림 부분의 비틀림 회전수가 동일하도록 육류제품으로 채워진 포장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순서에 따라 비틀림 회전시키는 포장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선형으로 비틀려지는 포장재를 사용하여 육류 등을 포장하는 방법은 이미 미합중국 특히 제2,575,467호, 제4,709,447호, 제4,660,255호 및 제4,727,62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이후에 프랑크 또는 소세지 등의 포장재의 끝단에서의 비틀림 회전수와 제품을 둘러싸는 포장재에서의 비틀림 회전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일정한 제품을 나선식으로 비틀려진 포장재를 이용하여 획기적으로 공정처리 작업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었다(첨부된 도면 제16도 참조).
바로 이러한 방법이 본 출원 발명의 목적으로서, 지금까지 공지된 모든 발명에서는 개시되지 않았으며 공지되어 있지도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면 가장자리를 가지는 기다린 포장재의 일단부를 유입구 및 출구부를 갖춘 기다란 스터핑관의 원통형 외부면의 둘레로 감는 단계와, 상기 스터팅관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기 포장재의 상기 일단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포장재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스터핑관쪽으로 당겨지는 상기 스터핑관의 둘레를 감싸는 단계와, 상기 포장재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스터핑관의 종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상기 스터핑관쪽으로 공급하여서 상기 포장재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들이 인접되게 나선형으로 서로 겹치도록 상기 포장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스터핑관의 주위로 여러번 나선형으로 감는 단계와, 상기 스터핑관의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부를 통해서 상기 포장재 안으로 제품을 밀어넣는 단계와, 그리고 일정간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품을 상기 포장재의 안으로 밀어넣고 상기 포장재를 순차적으로 비틀어 회전시키되 완성된 각각의 제품에 대한 상기 포장재의 비틀림 회전수와 상기 제품의 양단부에 있는 비틀림 지점에서의 비틀림 회전수가 동일하도록 상기 포장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의 포장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관지지 조립체와 양측면 가장자리를 가지는 기다란 포장 스트립과, 상기 관지지 조립체상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 스트립을 다수의 나선으로 형성시켜서 상기 각각의 나선내의 상기 포장 스트립의 상기 양측면 가장자리가 인접한 나선내의 상기 포장 스트립의 상기 양측면 가장자리와 마찰결합하여 서로 겹쳐져서 기다린 관형 포장재를 형성하도록 작동하는 제1수단과, 상기 포장재 스트립의 중첩된 양측면 가장자리들이 상기 관형 포장재내에서 상기 나선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마찰 접착을 이루도록 서로 중첩되어서 상기 관형 포장재내에 제품을 담을 수 있게 상기 관형 포장재 안으로 상기 제품을 도입하는 상기 관지지 조립체상에 제공되어 있는 제2수단과, 완성된 제품의 양단부에서의 비틀림의 수가 상기 관형 포장재내의 상기 나선의 수와 동일하고 상기 양단부에서의 비틀림 지점에 의해서 각각의 제품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품을 상기 포장재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비꼬는 제 3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장치(1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포장장치(10)는 그 상부면에 펌프(14)가 장착되어 있는 테이블(12)과, 관지지 조립체(16)와, 스터핑관(18) 및 연결기(20)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12)에는 포장재의 포장 스트립 공급조립체(22)가 장착되어 있다.
제7도를 참조하면, 펌프(14)는 종래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한다. 펌프(14)에는 스터핑관(18)의 유입부(26)와 연통되는 출구부(24)가 제공되어 있다. 관지지 조립체(16)는 하우징(28)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하우징(28)은 테이블(12)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스터핑관(18)을 지지하는 다수의 베어링(30)을 포함하고 있어서, 스터핑관(18)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8)안에는 벨트풀리(32)가 스터핑관(18)에 장착되어 있다. 벨트풀리(32) 및 전동풀리(34) 둘레로 구동벨트(36)가 연결되어 있다. 전동풀리(34)는 모타(38)로 작동되며, 이 따라 스터핑관(18)이 그 종족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터핑관(18)의 유입구(26) 부근에는 확장 직경부(40)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확장 직경부(40)로부터 스터핑관(18)의 출구부(44)까지 감소 직경부(42)가 뻗어 있다(제4도 참조).
제4도와 5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스터핑관의 출구부(44)에는 한쌍의 휭거(finger)(46)가 붙어있고, 이 각각의 휭거(46)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벌려져 있다. 제4도와 5도에는 4개의 휭거(46)가 도시되어 있으나, 더 많거나 적은수의 휭거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휭거의 단부(48)는 포장재(50)의 내부면과 접하여 있어서, 포장재(50)가 스터핑관(18)의 감소 직경부(42)를 둘러싸고 있을 때는 원형 형상을 이루지만 단부(48)에서는 다각형(제4도와 5도에서는 정방향)의 형상을 이룬다. 이렇게 바깥쪽으로 벌려진 단부(48)는 포장재(50)가 스터핑관(42)으로 둘려싸여 있을 때의 원래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말하면, 단부(48)를 둘러싸고 있을 때의 포장재(50)의 둘레 길이는 스터핑관(18)의 축소 직경부(42)를 둘러싸고 있을 때의 포장재(50)의 둘레 길이와 동일하며 결코 크지 않다. 제6도에서 길이(X)는 스터핑관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벌려진 단부(48)까지의 길이를 표시한다. 길이(X)가 감소 직경부(42)에서 스터핑관의 반지름의 1.11배로 선택된 경우, 포장재의 둘레 길이를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지 않고서도 포장재의 형상을 휭거(48)에 의해서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같은 휭거(46)의 바깥쪽으로 벌려진 형상에 의해서, 포장재에는 종방향의 저항력이 전달되며, 따라서 스터핑관(18)의 출구부(44)로부터 제품이 빠져나옴으로써 생기는 전방으로의 가속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포장재의 포장 스트립 공급조립체(22)는 기다란 엘보우 프레임(5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엘보우 프레임(52)은 상부 프레임(54) 및 엘보우(58)에서 상부 프레임(54)과 연결된 하부 프레임(56)을 갖추고 있다(제2도 및 제3도 참조). 상부 프레임(54)은 하나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56)은 한쌍의 이격된 아암(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이격된 아암(62)과 상부 프레임(54)이 엘보우(58)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격된 아암(62) 사이에 포장재의 릴(64)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릴(64)은 엘보우(58)에서 핀(66)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이 핀(66)은 릴(64)를 관통하여 있다. 핀(66)에 의해서 릴(64)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릴(64)의 둘레에는 기다란 포장재의 포장 스트립(68)이 감겨져 있는데, 이 포장 스트립(68)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 가장자기(70,72)(제13도)를 포함하고 있다. 포장재의 포장 스트립(68)은 통상적으로 소세지 포장에 사용되는 셀루로우즈 재료로 제조되며, 두께는 0.003㎝(약 0.0012인치)이며 폭은 임의로 변경할 수는 있으나 2.5내지 10.16㎝(1내지 4인치) 정도가 바람직하다.
제9도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56)의 하단부에는 스윙블록(80)의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상하부의 수직턱(76,78) 사이에 수직으로 놓인 부싱(74)(제9도)이 제공되어 있다. 볼트(82)가 상하부의 수직턱(76,78) 및 부싱(74)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있어서, 엘보우 프레임(52)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피봇회전 할 수 있다. 부싱(74)의 길이는 하부프레임(56)의 두께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하부 프레임(56)이 수직방향 상하로 이격된 수직턱(76,78)에 맞닿지 않고 부싱(74)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스윙블록(80)에는 한 쌍의 이격된 플렌지(83,84)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플렌지(83,84)는 테이블(12)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는 지지블록(86)을 둘러싸고 있다. 스윙블록(80)은 플랜지(83,84) 및 지지블록(86)을 통하여 연장된 볼트(88)에 의해서 지지블록(86)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윙블록(80)은 볼트(88)에 의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지지블록(86)의 상부면에는 조정판(89)이 견고하게 정착되어 있다. 조정판(89)은 이 조정판(89)을 관통하는 볼트(88) 및 볼트(92)에 의해서 지지블록(86)의 이동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조정판(89)은 곡선형 슬롯(90)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슬롯(90)은 볼트(88)의 회전축과 동심인 곡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볼트(82)는 슬롯(90)을 관통하여 아랫쪽으로 뻗어서 수직턱(76,78) 및 부싱(74)을 관통하고 있다. 볼트(82)를 스윙블록(80)이 볼트(88)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으며, 동시에 엘보우 프레임(52)이 볼트(82)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볼트(88)를 중심으로 스윙블록(80)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단지 볼트(82)를 느슨하게 풀고 스윙블록(80)을 볼트(88)를 중심으로 필요한 위치만큼 회전시키면 된다. 그리고나서 볼트(82)를 조여 스윙블록(80)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한다.
상기 프레임(54)의 상단부에는 포장 스트립을 지지하는 핀(94)이 정착되어 있다(제2도와 제3도 참조). 핀(94)은 포장 스트립(68)이 릴(64)에서 빠져나올 때 미끄러지는 표면을 제공한다.
포장 스트립의 자유단부가 릴(64)에서 빠져나오는 경우 포장 스트립의 끝부분이 핀(94) 위로 지나간 후 스터핑관(18)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지게 되어서 기다란 원통형 포장재(50)를 형성하게 된다. 제15도를 참조하면, 나선(68A)은 겹치는 부분(68B와 68C로)을 포함한다. 그 겹치는 양은 변할 수 있으나, 나선(68A)이 제품으로 채워질 때 서로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겹침은 포장 스트립(68)의 넓이의 반 이상이면 충분하다.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핀(94)은 볼트(82)의 앞쪽에 위치한다. 이렇게하여 릴(64)과 핀(94)은 볼트(82)의 회전축의 양쪽에 놓아게 된다. 포장 스트립(68)이 핀(94)을 넘어가게 되는 경우, 전체 엘보우 프레임(52)은 볼트(82)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이동되어서 스터핑관(18)상에서 릴(64)이 포장 스트립의 나선의 각도로 자체적으로 정렬된다.
연결기(20)는 종래의 통상적인 구조로서, 다수의 V형 핀칭부재(102) 및 다수의 V형 고정부재(104)를 가지고 있는 한 쌍의 회전연결체인(100)을 포함하고 있다. 회전연결체인(100)은 서로 이격된 스프로킷(106)상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한쌍의 지지 브래킷(108)이 회전연결체인(1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통로(110)가 제공되어서, 회전하는 포장재(50)를 스터핑관(18)의 출구 끝단부분으로부터 수용하며, 종래의 방식에 따라 채워진 포장재로부터 비틀려진 연결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제1도 내지 제11도의 실시예는 회전식 스터핑관(18)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정 스터핑관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고정 스터핑관(110)은 출구부 가까이에 있는 회전식 척 조립체(112)를 포함한다. 척 조립체(112)는 제품 포장기계에 현재 사용중인 회전식 척과 유사하다. 척 조립체(112)에는 회전식 구동부재(114)가 제공되어 있는데,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플루트(flute)(118)를 갖춘 종방향의 척 개구부(116)를 갖고있다. 풀르트(118)는 포장재가 스터핑관(110)의 출구부 끝단 부분으로부터 나오는 제품으로 가득 채워진 후에 포장재의 외부표면과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재는 포장재의 연결기 (20)에 연결될 때, 제품으로 채워진 포장재의 회전력을 제공한다.
제1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법은 다음과 같다. 작동자는 먼저 스터핑관(18)에 결합되는 포장 스트립(68)의 각도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서, 볼트(82)를 느슨하게 풀고 필요한 각도에 맞추어 슬롯(92)의 각도범위 이내에서 스윙블록(80)을 회전시킨다. 그런 후 볼트(82)를 조여 스윙블록(80)을 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볼트(82)를 중심으로 엘보우 프레임(52)을 회전고리식으로 자유롭게 위치시킴으로써, 릴(64)이 볼트(82)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릴(64)은 그로부터 포장 스트립이 풀려나오는 작동으로 인하여 자체적으로 정렬된다.
스윙블록(80)을 정확히 설정한 후에, 작동자가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핀(94) 윗쪽으로 포장 스트립(68)의 느슨한 끝부분을 잡아당긴다. 그런후, 작동자는 포장재의 일부분이 스터핑관의 출구부로부터 밖으로 나올때까지 제2도와 같이 나선식으로 스터핑관(50) 주위에 포장재를 감는다. 작동자가 릴(64)에서 포장 스트립을 빼내면, 겹치는 부분(68B와 68C)이 서로 밀착되면서 포장재(50)를 계속 감게 된다. 그러므로 포장 스트립을 스터핑관(18)에 감을 때, 양측면 가장자리(70,72)가 서로 겹치도록 감겨지면서 서로 접착되어서, 포장 스트립은 기다란 원통형 포장재(50)가 된다.
다음으로 작동자가 장치(10)를 스위치 온시키면, 펌프(14)가 작동하여서 제품을 스터핑관(18) 속으로 밀어 넣는 동시에 스터핑관(18)이 회전하게 한다. 스터핑관이 회전함에 따라, 스터핑관과 원통형 포장제(50)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원통형 포장재(50)가 스터핑관과 함께 회전한다. 펌프에 의하여 스터핑관을 통해 나오는 제품은 스터핑관의 출구부를 통과하여서, 스터핑관의 밖으로 나와있는 포장재를 채우며,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방식의 연결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포장재를 제품으로 채움으로써 나선(68A)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힘이 작용하여서, 겹치는 부분(68B와 68C)이 보다 단단하게 결합되며 마찰에 의해 함께 접착된다.
바깥쪽으로 벌려진 단부(48)가, 스터핑관의 출구부로부터 포장재가 빠져나올 때 포장재의 내부면과 맞닿아서 포장재의 축선방향 이동을 저지한다. 이렇게 되어, 연결부로 이동하기 전에 포장재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연결기의 측방향 속도는 제품이 최종적으로 채워지는 정도를 원하는 바에 따라서 제공한다. 또한, 단부(48)로 인하여 스터핑관의 회전에 대해 포장재(50)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스터핑관의 회전 및 스터핑관의 출구로부터 원통형 포장재(50)의 축선방향 이동으로 인하여 포장 스트립(68)이 릴(64)에서 계속 빠져나와서 스터핑관(18)을 나선형으로 감게된다. 엘보우 프레임(52)이 볼트(82)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므로, 릴(64)은 2개의 볼트(82,88) 사이의 선에 대해서 직선이 되게 자체적으로 정렬된다.
회전식 스터핑관(18)으로 들어가는 포장 스트립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작동자는 볼트(82)를 풀고 스윙블록(80)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터핑관과 연결된 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스터핑관을 감기 시작하는 포장 스트립의 위치도 역시 바뀐다.
포장 스트립(68)의 회전각도 및 폭은, 포장 스트립의 가장자리가 스터핑관(18)을 감을 때 인접하든지 서로 겹치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이를 감안하여, 포장재의 롤은 스터핑관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포장 스트립 공급조립체(22)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동시에 본 출원은, 연결기(20)에 적합한 비틀림 연결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스터핑관의 끝부분에 회전식 포장재(50)가 구비되어 있다.
관 모양을 이루는 포장재(50)의 전진속도는 펌프(14)가 스터핑관의 끝부분에서 제품을 밀어내는 속도 및 연결기에 의하여 조절된다. 이러한 관 모양의 포장재의 회전속도는 포장재의 포장 스트립의 축방향 이동속도를 결정된다. 그러므로, 이 두가지 속도를 조절하고 정확한 포장 스트립의 폭을 사용하여 포장 스트립의 원하는 회전각도를 얻을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부의 1회전중의 비틀림 횟수 및 길이를 제공하도록 소정의 직경을 가진 관형 포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제12도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스터핑관(110)이 고정식이며 휭거의 바깥쪽으로 벌려진 단부가 없다. 그러나, 포장재는 회전식 척 조립체(112)에 의하여 회전되며, 스터핑관의 출구부에 인접한 포장재에 연결된다. 이렇게 되어, 포장재가 스터핑관상에서 회전하게 되며 포장 스트립 공급조립체(22)로부터 포장 스트립(68)이 빠져 나오므로, 원통형 포장재(50)를 만드는 나선형 회전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결이(20) (제10도 및 제11도)는 채워진 포장재가 스터핑관의 출구부를 떠날 때 회전하는 것을 중지시키며, 이에 따라서 나선형 포장재(50A,50B,50C,50D 및 50E)와 그 양단부에 있는 비틀림 지점(50F)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된 포장재(50)가 완성된 제품을 포장시킨다(제16도 참조).
각 비틀림 지점(50F)에서 포장재의 비틀림 횟수는, 비틀림 지점(50F)이 한 개의 연결된 제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포장 재료의 회전 횟수이기 때문에, 완성된 제품의 나선형 포장재(51A,51B,51C,51D와 51E)의 수와 항상 같다. 포장재의 길이가 6개의 나선형 포장재를 포함할 경우, 비틀림 지점에는 여섯번의 비틀림이 제공된 것이다. 연결된 제품의 나선의 회전수가 비틀림 지점에서의 비틀림 횟수와 동일한 구성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며, 비틀림 포장재의 연결작업을 보다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기계라면 포장제품을 연결하는데는 상당히 어려울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이미 명시한 바 있는 목적을 최소한 달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양측면 가장자리(70,72)를 가지고 기다린 포장재(50)의 일단부를 유입구(26) 및 출구부(44)를 갖춘 기다란 스터핑관(18)의 원통형 외부면의 둘레로 감는 단계와, 상기 스터핑관(18)의 종축을 중심으로 상기 포장재(50)의 상기 일단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포장재(50)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스터핑관(18)쪽으로 당겨지고 상기 스터핑관의 둘레를 감싸는 단계와, 상기 포장재의 나머지 부분을 상기 스터핑관의 종축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상기 스터핑관쪽으로 공급하여서 상기 포장재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들이 인접되게 나선형으로 서로 겹치도록 상기 포장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스터핑관의 주위로 여러번 나선형으로 감는 단계와, 상기 스터핑관의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출구부를 통해서 상기 포장재 안으로 제품을 밀어넣는 단계와, 그리고 일정간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제품을 상기 포장재 안으로 밀어넣고 상기 포장재를 순차적으로 비틀어 회전시키되 완성된 각각의 제품에 대한 상기 포장재의 비틀림 회전수와 상기 제품의 양단부에 있는 비틀림 지점(50F)에서의 비틀림 회전수가 동일하도록 상기 포장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품의 포장방법.
  2. 관지지 조립체(16)와, 양측면 가장자리(70,72)를 가지는 기다란 포장 스트립(68)과, 상기 관지지 조립체(18)상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 스트립을 다수의 나선(68A)으로 형성시키서 상기 각각의 나선(68A)내의 상기 포장 스트립(68)의 상기 양측면 가장자리(70,72)가 인접한 나선(68A)내의 상기 포장 스트립의 상기 양측면 가장자리와 마찰겹합하여 서로 겹쳐져서 기다란 관형 포장재(50)를 형성하도록 작동하는 제1수단(22)과, 상기 포장재 스트립의 중첩된 양측면 가장자리들이 상기 관형 포장재(50)내에서 상기 나선(68A)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마찰 접착을 이루도록 서로 중첩되어서 상기 관형 포장재내에 제품을 담을 수 있게 상기 관형 포장재 안으로 상기 제품을 도입하는 상기 관지지 조립체(18)상에 제공되어 있는 제2수단(14)과, 완성된 제품의 양단부에서의 비틀림의 수가 상기 관형 포장재내의 상기 나선(68A)의 수와 동일하고 상기 양둔부에서의 비틀림 지점(50F)에 의해서 각각의 제품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품을 상기 포장재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비꼬는 제3수단(20)을 포함하고 있는 포장장치.
KR1019890018141A 1989-03-06 1989-12-08 제품의 포장방법 및 장치 KR9300063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19,261 US4905349A (en) 1989-03-06 1989-03-06 Encased product and method for encasing the same
US319261 1989-03-06
US319,261 1989-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860A KR900013860A (ko) 1990-10-22
KR930006311B1 true KR930006311B1 (ko) 1993-07-14

Family

ID=2324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141A KR930006311B1 (ko) 1989-03-06 1989-12-08 제품의 포장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4905349A (ko)
JP (1) JPH07110650B2 (ko)
KR (1) KR930006311B1 (ko)
AU (1) AU612066B2 (ko)
BE (1) BE1003939A3 (ko)
BR (1) BR8906277A (ko)
CA (1) CA2005525C (ko)
CH (1) CH679386A5 (ko)
DE (3) DE3940688A1 (ko)
DK (1) DK626289A (ko)
ES (1) ES2023292A6 (ko)
FI (1) FI895732A0 (ko)
FR (1) FR2643880B1 (ko)
GB (1) GB2228855B (ko)
IE (1) IE62139B1 (ko)
IT (1) IT1242699B (ko)
LU (1) LU87642A1 (ko)
MX (1) MX164118B (ko)
NL (1) NL9000508A (ko)
NO (1) NO172621C (ko)
NZ (1) NZ231580A (ko)
PT (1) PT93319A (ko)
SE (1) SE501617C2 (ko)
ZA (1) ZA8993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2261A1 (de) * 1994-09-10 1996-03-14 Bosch Gmbh Robert Schlauchbeutelmaschine
US5775068A (en) * 1994-10-03 1998-07-07 Sig Schweizerische Industrie-Gesellschaft Bag forming, filling and sealing machine with endless supporting belts
US5709600A (en) * 1996-03-27 1998-01-20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Method and means for linking and then separating encased sausage
WO2000065921A1 (fr) * 1999-05-02 2000-11-09 Hitec Co., Ltd. Procede et dispositif de fabrication d'aliments en chaine tels que des saucissons
JP4204145B2 (ja) 1999-08-16 2009-01-07 ハイテック株式会社 ソーセージ等の食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US7704131B1 (en) * 2008-12-30 2010-04-27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Apparatus for forming spaced intervals in a stuffed casing and method thereof
US8641484B1 (en) * 2013-02-15 2014-02-04 Marel Meat Processing Inc. Variable speed linker
DE102020124001B3 (de) * 2020-09-15 2022-02-03 Vemag Maschinenbau Gmbh Portioniervorrichtung und -verfahren
EP4133942A1 (de) * 2021-08-10 2023-02-15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erdrängerelementepaa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41912A (ko) * 1939-11-16
US2406163A (en) * 1943-09-18 1946-08-20 Ind Patents Corp Sausage linking machine
US2575467A (en) * 1946-05-14 1951-11-20 American Viscose Corp Process and apparatus for stuffing casings
ES273550A1 (es) * 1961-01-18 1962-04-01 Arenco Ab Una maquina para la fabricaciën de cigarros, cigarrillos y articulos de tabaco semejantes
US3766603A (en) * 1964-12-15 1973-10-23 Union Carbide Corp Shirred tub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4209447A (en) * 1975-01-27 1980-06-24 Janssen Pharmaceutica N.V. Imidazole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in their preparation
JPS5361489A (en) * 1976-11-08 1978-06-01 Osutankinsukii Muyasopererabat Automatic packing apparatus for sticky foods
JPS53120990A (en) * 1977-03-29 1978-10-21 Ube Ind Ltd Method of wrapping goods
DE2926543A1 (de) * 1979-06-30 1981-01-22 Guenter Kollros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ldung eines endverschlusses an einem raupenfoermig gerafften stueck schlauchmaterial, insbesondere kunstdarm fuer die wurstherstellung
US4709447A (en) * 1985-05-08 1987-12-01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727625A (en) * 1985-05-08 1988-03-01 Townsend Engineering Company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4660255A (en) * 1985-05-08 1987-04-28 Townsend Ray T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a product
US4730367A (en) * 1985-09-26 1988-03-15 Envaril, S.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ausages
FR2607750B1 (fr) * 1986-12-04 1989-05-19 Gunther Sa Procede et appareil pour la fabrication d'un article composite de section constante comprenant une ame et une enveloppe exterieure et article composite en resultant
JP2789700B2 (ja) * 1989-08-10 1998-08-20 三菱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940688A1 (de) 1990-09-13
CH679386A5 (ko) 1992-02-14
JPH07110650B2 (ja) 1995-11-29
CA2005525A1 (en) 1990-09-06
DE8915412U1 (ko) 1990-07-12
BE1003939A3 (fr) 1992-07-22
GB8927011D0 (en) 1990-01-17
DK626289A (da) 1990-09-07
NO894758D0 (no) 1989-11-29
SE501617C2 (sv) 1995-03-27
IT9047538A0 (it) 1990-01-17
NO894758L (no) 1990-09-07
AU612066B2 (en) 1991-06-27
NZ231580A (en) 1992-11-25
DE8914499U1 (ko) 1990-06-07
IT9047538A1 (it) 1990-09-07
ZA899300B (en) 1990-09-26
DK626289D0 (da) 1989-12-12
JPH03133706A (ja) 1991-06-06
FR2643880B1 (fr) 1993-02-19
GB2228855B (en) 1992-09-16
FR2643880A1 (fr) 1990-09-07
SE8904157D0 (sv) 1989-12-11
FI895732A0 (fi) 1989-11-30
NO172621C (no) 1993-08-18
AU4577489A (en) 1990-09-13
PT93319A (pt) 1992-01-31
KR900013860A (ko) 1990-10-22
SE8904157L (sv) 1990-09-07
MX164118B (es) 1992-07-17
ES2023292A6 (es) 1992-01-01
GB2228855A (en) 1990-09-12
CA2005525C (en) 1994-04-05
NO172621B (no) 1993-05-10
US4905349A (en) 1990-03-06
NL9000508A (nl) 1990-10-01
LU87642A1 (fr) 1990-03-13
BR8906277A (pt) 1990-09-25
IE62139B1 (en) 1994-12-14
IT1242699B (it) 199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311B1 (ko) 제품의 포장방법 및 장치
KR900006356B1 (ko) 생산품 포장용 장치 및 방법
US4727625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5019012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KR940000047B1 (ko) 소성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JPS6055091B2 (ja) 後処理するために合成チユ−ブ材料を軸方向でひだ寄せするための装置
US4956893A (en) Apparatus for encasing a product
US4944069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CA1300184C (en) Stretching means for braking a web of plastic sheet which is pulled offa reel
US4709447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62603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piral garland
US3059404A (en) Machine for wrapping helically split tubing
US4972548A (en) Encased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asing same
US5022595A (en) Tensioning device
JPS6345944B2 (ko)
JPH0151428B2 (ko)
WO1998008392A1 (en) Sausage link forming machine
JPS6029343B2 (ja) 紙管製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