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489Y1 - 조광식 푸시버튼장치 - Google Patents

조광식 푸시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489Y1
KR900005489Y1 KR2019870003473U KR870003473U KR900005489Y1 KR 900005489 Y1 KR900005489 Y1 KR 900005489Y1 KR 2019870003473 U KR2019870003473 U KR 2019870003473U KR 870003473 U KR870003473 U KR 870003473U KR 900005489 Y1 KR900005489 Y1 KR 900005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ight
push button
elastic
retur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834U (ko
Inventor
다까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알파인 가부시기 가이샤
구쓰자와 겐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인 가부시기 가이샤, 구쓰자와 겐다로 filed Critical 알파인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68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8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4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광식 푸시버튼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조광식 푸시버튼장치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복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 2도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조광식 푸시버튼장치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푸시버튼 31 : 누름체
32 : 조작로드 5 : 스위치
6 : 광원램프 7 : 복귀부재
71 : 기재 72 : 탄성 팽출부
73 : 안내구멍 74 : 굴곡부
본 고안은 음향기기 등에 사용되는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등에 사용되는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로서는 제 4도의 측단면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음향기기등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커버(1)와 후면커버(2)와의 사이에, 푸시버튼(3)이 탄성면 형성체(4)를 재해시켜 설치되어 있다. 푸시버튼(3)은 전면커버(1)로 부터 돌출되는 누름체(31)와, 탄성면 형상체(4)의 구멍(41)을 관통하고, 또한 후면커버(2)의 구멍(21)에서 돌출된 조작로드(32)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전면커버(1)에서 돌출된 누름체(31)를 누르면 탄성면 형상체(4)가 압축되어 조작로드(32)의 선단이 대향된 스위치(5)를 온.오프 한다. 이 스위치(5) 또는 기타의 파워스위치둥의 온.오프에 의하여 광원램프(6)가 점멸한다. 이어서 누름체(31)를 누름상태로 부터 해방하면, 탄성면 형상체(4)의 복귀력에 의하여 누름체(31) 및 조작로드(32)를 원위치(누름전)로 복귀 시킨다.
상기 탄성면 형상체(4)는 통상 플리에스텔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시간 경과에 따라 자외선등의 영향을 받아 변색되어 백라이팅을 저하 시킨다. 또한 탄성면 형상체(4) 자체가 휘어지거나 구부려 지거나 하면 푸시버튼(3)의 스트로크에 불균일이 생겨 조작로드(32)와의 위치맞춤, 스트로크 조정에 시간이 걸린다. 또한 푸시버튼(3)의 조작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 탄성면 형상체가 구멍내에 일단 푸시버튼의 조작로드가 관통삽입된 상태에서도 설치상태의 맞춤성이 결여되어 자동조립라인등에서의 시공능률을 저하 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기재에 복수의 탄성팽출부를 배열하고, 또 인접하는 탄성팽출부 사이에는 기재를 두께가 얇은 형상으로 하여 굴곡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탄성팽출부의 대략 중앙에 푸시버튼의 조작로드를 안내하는 안내구멍을 뚫어서된 복귀부재를 사용한 조광식 푸시버튼장치를 제공하는것이다.
실리콘수지등의 기재에 탄성팽출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탄성팽출부의 대략 중앙부에 푸시버튼의 조작로드를 안내하는 안내구멍을 천설하였기 때문에, 복귀부재로서는 극히 내열, 내구성이 좋고, 변색도 되지않는다. 더우기 복귀부재가 휘어지거나 구부러짐이 발생하더라도 각 탄성팽출부 사이의 굴곡부가 신장, 축소되어 휘어지거나 구부러짐에 의한 변위를 흡수하게되어, 커버체의 크기가 다른 것에 있어서도 층분히 추종할수가 있다.
따라서 조작로드와 구멍의 위치맞춤이나 스트로크 조정이 용이하여 많은 푸시버튼장치에 대응할 수 있게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종래예(제4도)에서 설명한 구성품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 개략도이다.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는 음향기기등의 전면에 설치한 전면커버(1)와 후면커버(2)의 사이에 푸시버튼(3)을 배치하고, 이 푸시버튼(3)과 후면커버(2) 사이에 복귀부재(7)를 설치한 것이다. 즉 푸시버튼(3)은 전면커버(1)로 부터 돌출하는 누름체(31)와 후면커버(2)의 구멍(21)을 관통하여 스위치(5)에 맞닿아지는 조작로드(32)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한편 복귀부재(7)는 제 2도의 사시도 및 제 2도의 A-A선 단면도와 같다. 제 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탄성이 풍부한 수지재에 의하여 1매의기재(71)를 이루고 이 기재(71)에 복수의 탄성팽출부(72)를 배열한 것이다. 탄성팽출부(72)는 푸시버튼(3)에 설치된 누름체(31)의 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또한 소정간격, 즉 조작로드(32)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탄성팽출부(72)는 기재(71)의 일면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것이고, 원형 대반(台盤)형상을 이룬다. 또 그 대략 중앙에는 안내구멍(73)이 뚫려있다. 안내구멍(73)의 형상은 조작로드(32)의 단면형상(예를들면 원형, 구멍)과 거의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작로드(32)를 끼워넣게 된다. 또, 각 인접하는 탄성팽출부(72와 72)사이에는, 기재(71)자체를 두께가 얇은 형상으로하여 위쪽으로 굴곡시킨 굴곡부(74)를 각각 가로·세로로 형성한다.
이 굴곡부(74)는 복귀부재(7)자체에 연성(軟性)을 줄뿐만 아니라, 신장, 축소하기 때문에, 탄성팽출부(72)사이의 상호위치를 변위시킬수 있다.
따라서, 전면커버(1)의 크기나 조작로드(32)의 피치가 다른 경우에도 층분히 추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굴곡부(74)의 교차부를 관통구멍(75)으로 하거나, 탄성팽출부(72와 72) 사이의 기재(71) 자체를 두께가 얇은 형상으로 형성하거나하면 가용성이나 신축성이 한층더 증가한다. 또한 기재(71)를 광투과성을 가지는 수지재, 예를들어 실리콘 고무등에 의하여 형성하여, 수지재의 광투과성을 조정하므로서 후술하는 광원램프의 수를 저감 시킬수도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 복귀부재(7)를 사용한 푸시버튼 장치의 조립시공과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복귀부재(7)를 그 탄성팽출부(72)가 누름체(31) 방향으로 향하도록 전면커버체(1)내에 배치한다. 이어서 안내구멍(73) 및 후면커버(2)의 구멍(21)에 조작로드(32)를 관통시켜 삽입한다.
이때 복귀부재(7)의 휘어짐이나 구부러짐 또는 전면커버체(1)의 크기가 원인이되어 안내구멍(73)과 조작로드(32) 및 후면커버(2)의 구멍(21)의 피치가 맞지 않더라도, 상기 굴곡부(74)에 의하여 탄성팽출부(72)사이의 상호위치를 변위시킬수가 있으므로 안내구멍(73)의 위치 맞춤과 조작로드(32)의 스트로크 조정이 용이해진다.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 기재(71)는 후면커버(2)의 내면측에 맞닿게되고, 한편 탄성팽출부(72)는 푸시버튼(3)을 전면커버(1)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누름면(31)을 누르면 탄성팽출부(72)가 축소되어 조작로드(32)가 스위치(5)를 눌러서 온·오프 된다.
한편 스위치(5)의 근방에 설치된 광원램프(6)는 스위치(5) 또는 파워스위치등의 온·오프에 의하여 점멸하고, 점등시의 빛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된 조작로드(32) 및 누름체(31)를 투과한다.
또 누름상태를 해방하면 탄성팽출부(7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푸시버튼 (3)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조작로드(32)는 스위치(5)로 부터 떨어진다(제 1도 참조).
상기 구성의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복귀부재에 굴곡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추종성이 크고, 따라서 커버체의 대소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조작로드 등과의 피치나 스트로크 조정도 용이해지고, 또 스위치의 조작성도 양호해 진다.
2) 복귀부재를 1매의 수지개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공기 흡착이 가능해져 자동조립라인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능률을 향상 시킨다.
복귀부재의 팽출부는 기재로 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기재의 두께를 변화시키므로서 푸시버튼의 터치 감각을 임의로 변화시킬수 있다.
기재 자체의 광투과율을 가변시키므로서 광원램프의 수를 감소 시킬수 있다.

Claims (3)

  1. 스위치와 이 스위치를 누르는 조작로드(32) 및 사람의 손가락과 같은 외부조작체에 의하여 누르는 조작체를 구비하고, 광투과성 부재로 된 푸시버튼(3)과 이 푸시버튼(3)를 복귀시키는 복귀부재(7)와 이 복귀부재(7)를 배치하며, 상기 조작로드(32)를 삽입하는 관통구멍(21)를 구비한 커버와, 상기 스위치 또는 다른 스위치에 의하여 점등되는 광원램프(6)에 의하여 형성된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7)를 광투과성의 기재로 형성하고 이 기재에 복수의 탄성팽출부(72)를 소정간격으로 배열하고, 인접하는 탄성팽출부(72)사이에 이 탄성팽출부(72)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굴곡부(74)를 형성함과 동시에 각 탄성팽출부(72)의 대략적인 중앙에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로드(32)를 끼우는 안내구멍(73)을 뚫어 형성하고 또 상기 광원램프(6)를 상기 탄성팽출부(72) 사이에 대응시키고 상기 스위치와 동일면상에 배설하여 상기 광원램프(6)로 부터의 빛을 상기 조작로드(32)로 부터 누름체로 유도함과 동시에 광원램프로 부터의 빛을 상기 관통구멍(2l) 및 복귀부재(7)를 거쳐 누름체(31)에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식 누름버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74)는 기재를 두께가 얇은 형상으로 하여 위쪽으로 굴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식 푸시버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7)는 광투과성 수지재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식 푸시버튼장치.
KR2019870003473U 1987-02-06 1987-03-19 조광식 푸시버튼장치 KR90000548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16315U JPH051855Y2 (ko) 1987-02-06 1987-02-06
JP87-16315 1987-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834U KR880016834U (ko) 1988-10-08
KR900005489Y1 true KR900005489Y1 (ko) 1990-06-20

Family

ID=3080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473U KR900005489Y1 (ko) 1987-02-06 1987-03-19 조광식 푸시버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855Y2 (ko)
KR (1) KR9000054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0392B2 (ja) * 2005-02-25 2011-04-13 株式会社デンソー 支持体、操作パネルおよび操作パネルの組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855Y2 (ko) 1993-01-19
KR880016834U (ko) 1988-10-08
JPS63125322U (ko) 198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00682A (ja) コンピュータキーボード用の背面照明
JP2768030B2 (ja) フラットキーボードスイッチ
HK1009358A1 (en) Push button switch
KR900005489Y1 (ko) 조광식 푸시버튼장치
KR900005488Y1 (ko)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
JP2876570B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H0734336B2 (ja) 照明付押釦スイツチ
KR930005801B1 (ko) 키 보드장치
JP4470731B2 (ja) 操作パネルユニット
JPS584411B2 (ja) ランプ表示付押釦スイッチ
JP3820726B2 (ja) 照光装置
JP3341231B2 (ja) 照光型スイッチ機構
JPH0236176Y2 (ko)
JPH06283077A (ja) 照光式ツマミ
JPH0119293Y2 (ko)
JP2633925B2 (ja) キーボードの文字照明装置
KR950009768A (ko) 일체형 전원스위치
JPH0218884Y2 (ko)
KR0136722Y1 (ko) 모니터의 전원표시렌즈일체형 파워노브장치
JP3214064B2 (ja) 照光押ボタンスイッチ
JP2602681Y2 (ja) ヒンジ式押し釦スイッチユニット
JPH06215663A (ja)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H07335068A (ja) 電子楽器のキートップスイッチ
JP2003140563A (ja) 表示器周囲の照光装置
JPS5941546Y2 (ja) 照光式キ−ボ−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