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488Y1 -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488Y1
KR900005488Y1 KR2019870003472U KR870003472U KR900005488Y1 KR 900005488 Y1 KR900005488 Y1 KR 900005488Y1 KR 2019870003472 U KR2019870003472 U KR 2019870003472U KR 870003472 U KR870003472 U KR 870003472U KR 900005488 Y1 KR900005488 Y1 KR 900005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member
light
light source
switch
opera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362U (ko
Inventor
게이지 곤도오
Original Assignee
알파인 가부시기 가이샤
구쓰자와 겐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인 가부시기 가이샤, 구쓰자와 겐다로 filed Critical 알파인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3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3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4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를 나타낸 개략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복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동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푸시버튼 31 : 누름체
32 : 조작로드 5 : 스위치
6 : 광원램프 7 : 복귀부재
72 : 탄성 팽출부 73 : 안내구멍
본 고안은 음향기기 등에 사용되는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등에 사용되는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로서는 제 4도의 개략 측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향기기둥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커버(1)와 후면커버(2)의 사이에 푸시버튼(3)이 탄성면 형상체(4)를 개재시켜설치되어 있다. 푸시버튼(3)은 전면커버(1)로부터 돌출하는 누름체(31)와, 탄성면 형상체(4)의 구멍(41)을 관통하고 또 후면커버(2)의 구멍(21)에서 돌출된 조작로드(32)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면커버(1)에서 돌출된 누름체(31)를 누르면 탄성면 형상체(4)가 압축되어 조작로드(32)의 선단이 대향된 스위치(5)를 온·오프한다.
이 스위치(5) 또는 기타 파워 스위치등의 온·오프에 의하여 광원램프(6)가 점멸한다.
이어서, 누름체(31)를 누른 상태로부터 해방하면, 탄성면 형상체(4)의 복귀력에 의하여 누름체(31) 및 조작로드(32)를 원위치(누름전)로 복귀된다.
상기 탄성면 형상체(4)는 폴리에스텔형으로 형성되고,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자외선등의 영향을 받아 변색하여 백라이팅을 저하시킨다. 또 저온(예를 들어 빙점 이하정도)내에서의 탄성저하가 심해진다.
또한 형상 성형재(발포 또는 망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흡착이 되지 않고, 자동조립라인에있어서는, 해당탄성면 형상체를 수작업등에 의하여 배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더욱이 탄성면 형상체의 구멍내에 푸시버튼의 조작로드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설치상태의 안전성이 결여되어 자동조립라인에서의 조립시공 능률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고안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돤 것으로, 기재에 탄성팽출부를 설치하고, 이 탄성팽출부의 대략 중앙에 푸시버튼의 조작로드를 안내하는 안내구멍을 천설한 복귀 부재를 사용한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리콘 수지등의 기재에 탄성팽출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탄성팽출부의 대략 중앙에 풋시버튼의 조작로드를 안내하는 안내구멍을 뚫었기 때문에 복귀부재로서 극히 내열, 내구성이 좋고 변색도 되지 않는다. 또한 형상 성형재와 달리 공기 흡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조립라인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이 극히 용이해진다.
그리고 안내구멍에 조작로드를 관통삽입하는 것만으로 푸시버튼의 설치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예(제 4도)에서 설명한 구성 부품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조광식 버튼장치를 나타낸 측단면의 개략도이다. 종래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는 음향기기등의 전면에 설치한 전면커버(1)와 후면커버(2)의 사이에 푸시버튼(3)을 배치하고, 이 푸시버튼과 후면커버(2) 사이에 복귀부재(7)를 설치한 것이다. 즉 푸시버튼(3)은 전면커버(1)로부터 돌출하는 누름체(31)와 후면커버(2)의 구멍(21)을 관통하여 스위치(5)에 맞닿은 조작로드(32)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한편, 복귀부재(7)는 제 2도의 사시도 및 제 3도의 단면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이 풍부한 수지재에의하여 1매의 기재(71)로하고, 이 기재(71)에 소정수의 탄성 팽출부(72)를 형성한 것이다. 탄성팽출부(72)는 기재(71)의 일면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것으로, 원형대판 형상을 이룬다. 또 대략 중앙에는 안내구멍(73)이 뚫려져 있다. 안내구멍(73)의 형상은 조작로드(32)의 단면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성되고 조작로드(32)를 원할하게 안내한다. 이 기재(71)는 광투과성을 가진 수지재, 예를들어, 실리콘 고무등에 의하여 형성되고, 수지재의 광투과율을 조정함으로써 후술하는 광원램프의 수를 저감시킬 수도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 복귀부재(7)를 사용한 푸시버튼 장치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귀부재(7)는 그 탄성팽출부(72)를 누름체(31)방향을 향하여 배치되고, 안내구멍(73) 및 후면커버(2)의 구멍(21)에 조작로드를 끼워넣어 배치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기재(71)는 후면커버(2)의 내면측에 맞닿고, 한편 탄성팽출부(72)는 푸시버튼(3)을 전면커버(1)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는 상태로 힘을 작용한다. 그리고 누름면(31a)을 누르면 탄성팽출부(72)가 축소되어 조작로드(32)가 스위치(5)를 눌러서 온·오프된다.
한편 스위치(5)의 근방에 설치된 광원램프(6)는 스위치(5) 또는 파워스위치 등의 온·오프에 의하여 점멸하고, 점등시의 빛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조작로드(32) 및 누름체(31)를 투과한다. 그리고 누름상태를 해방하면 탄성팽출부(7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푸시버튼(3)은 원위치로 복귀되어 조작로드(32)는 스위치(5)로부터 떨어진다(제 1도 참조).
상기 구성의 조광식 푸시버튼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복귀부재를 실리콘 고무등의 내열, 내구성이 큰 수지재로 형성하있기 때문에, 백 라이팅의 감소가 없고, 항상 일정한 터치감각으로 온·오프 할수가 있다.
2) 복귀부재를 1매의 수지재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공기 흡착이 가능하므로 자동조립 라인에 있어서의 부품공급 능률을 향상시킨다.
3) 자동조립라인에 있어서 안내구멍에 푸시버튼의 조작로드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안정된 푸시버튼의 설치상태가 확보된다.
4) 복귀부재의 팽출부는 기재에서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며, 기재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푸시버튼의 터치감각을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고, 또 기재자체의 광투과율을 가변시킴으로써 광원램프의 수를 감소시킬수가 있다.

Claims (2)

  1. 스위치와 이 스위치에 맞닿게 되는 조작로드(32)와 사람의 손가락 등의 외부조작제에 의하여 누르게 되는 누름체(31)를 구비하고, 광투과부재로 이루어지는 푸시버튼(3)과 이 푸시버튼(3)을 복귀시키는 복귀부재(7)와 이 복귀부재(7)를 배치하고, 상기 조작로드(32)가 관통하는 구멍(21)을 구비한 커버와 상기 스위치나 다른스위치에 의하여 점등하는 광원램프(6)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이며, 상기 복귀부재(7)를 광투과성의 기재로 형성하고, 이 기재에 탄성팽출부(72)를 형성하여 이 탄성팽출부(72)의 중앙에는 상기 푸시버튼의 조작로드(32)를 안내하는 안내구멍(73)을 뚫고, 상기 광원램프(6)를 상기 스위치와 동일면상에 배설하여, 상기 광원 램프로부터의 빛을 상기 조작로드(32)로부터 누름체(31)로 유도함과 동시에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관통구멍(21)및 복귀부재(7)를 걸쳐서 누름체(31)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식 푸시버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재가 광투과성 수지재에 의하여 복수의 탄성팽출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성 푸시버튼 장치.
KR2019870003472U 1986-07-11 1987-03-19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 KR9000054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06670U JPS6314321U (ko) 1986-07-11 1986-07-11
JP86-106670 1986-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362U KR880003362U (ko) 1988-04-13
KR900005488Y1 true KR900005488Y1 (ko) 1990-06-20

Family

ID=3098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472U KR900005488Y1 (ko) 1986-07-11 1987-03-19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4321U (ko)
KR (1) KR9000054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433B1 (ko) * 1991-10-25 1996-07-31 퉁그스람 레스비니따르혀샥 싱글-엔디드 저압 방전등
JP2012216353A (ja) * 2011-03-31 2012-11-08 Sigma Corp 防塵防滴機構を有する押釦装置
KR102573217B1 (ko) * 2022-05-04 2023-09-01 전시현 입체도형의 단면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도형의 단면 확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4321U (ko) 1988-01-30
KR880003362U (ko) 198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2262C (zh) 电子按钮开关
GB2241383B (en) Two-stage rubber switch
US6890086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multi-light flashlight
JPS62184725A (ja) ロツカ−スイツチ
KR900005488Y1 (ko) 조광식 푸시버튼 장치
CN214477126U (zh) 一种无线自复位开关
US4180267A (en) Ball rollover switch assembly
KR900005489Y1 (ko) 조광식 푸시버튼장치
CN211125454U (zh) 一种家用的轻触式电源开关
JP2001229779A (ja) 照光付回転型電気部品の実装構造
CN209981050U (zh) 一种p档驻车开关及汽车
JPH02306510A (ja) 照明式パネル
JP3576718B2 (ja) スイッチ装置
JP4470731B2 (ja) 操作パネルユニット
JPH07105783A (ja) スイッチ装置
JPH0218884Y2 (ko)
JP2010123420A (ja) 押しボタン式スイッチ装置
JPH0320992Y2 (ko)
CN117953618A (zh) 带发光图标的钥匙
JPH07335068A (ja) 電子楽器のキートップスイッチ
JPH0236176Y2 (ko)
KR930005801B1 (ko) 키 보드장치
KR950009768A (ko) 일체형 전원스위치
FR2223806A1 (en) Illuminated electrical switch - has separate switching for main circuit and tally lamp for vehicle dash board
JPH02285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