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919B1 - 섬유기계용 급사장치 - Google Patents

섬유기계용 급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919B1
KR900004919B1 KR1019850002982A KR850002982A KR900004919B1 KR 900004919 B1 KR900004919 B1 KR 900004919B1 KR 1019850002982 A KR1019850002982 A KR 1019850002982A KR 850002982 A KR850002982 A KR 850002982A KR 900004919 B1 KR900004919 B1 KR 900004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upply
holder
feeding device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194A (ko
Inventor
메밍거 구스타브
로저 에리히
퀸 팔크
Original Assignee
메밍거 구스타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밍거 구스타브 filed Critical 메밍거 구스타브
Publication of KR85000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14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thread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32Supporting or driving arrangements for forwar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18Driven rotary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9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섬유기계용 급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급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를 약간 변형시킨 본 발명에 따른 급사장치에 대한 부분 파단평면도이며,
제3도는 급사장치와 결합된 급사수단이 장치된 제2도와 유사한 급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위치로부터 회전된 위치의 급사수단을 나타내는 제3도에 따른 급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며,
제5도는 제2도와 유사한 급사장치에 대한 부분 파단전면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다른 급사장치용 제어회로에 대한 블록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환편기와 같은 섬유기계용 급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급사장치는 사가 그의 주연면에서 전진하고, 홀더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공급 부재를 갖추고 있다. 홀더는 캐리어위에 고정되도록 배열되고, 공급 부재에 의해 공급되거나 송출되는 사에 대한 급사수단 및/또는 모니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공급 부재는 홀더위에 배치되는 정격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멀티 시스템 환편기 개개의 편성 시스템에 대한 사의 균일한 공급 및 사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공급되는 사에 의해 수회 감긴 드럼 형태의 사 공급 부재와 결합되어 사의 코일이나 팩키지를 형성하는 개개의 편성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사 횡단 속도는 공급 드럼을 향해 이동하는 사와 이 드럼으로부터 이탈하는 사 둘다에 대해서 동일하다. 사 공급 드럼의 기계 주위를 회전하는 천공벨트 또는 치형벨트로 구체화할 수 있는 앤들리스 밸트(endless belt)에 의해 구동된다. 이것과 연결된 벨트 가이딩 장치 때문에, 기계 주위를 회전하는 앤들리스 벨트는 가격이 비싸다.
또한, 앤들리스 벨트로 구동하는 사 공급 드럼으로서 예시되는 이들 사 공급 부재 모두는 동일량의 사를 정확하게 공급해야 한다. 그러나, 무늬 있는 제품을 편성하는 경우와 같은 특정 작업조건하에서는 상이한 양의 사를 각종 편성위치에서 사용한다. 따라서 이들 사 공급 부재는 이러한 용도에로는 부적합하다. 대신에, 공급드럼위에 사 스풀을 이동시키는 예비 용량의 공급디스크를 사용하여, 사를 스풀로부터 헤드까지 미권취시켜야 한다. 이러한 스풀의 크기는 공급드럼을 구동시켜 2개의 최저 값내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사가 헤드에 미권취되는 경우, 편성 위치에서의 사장력은 단지 한개의 사균열에 의해서만 조절될 수 있으므로, 특정사에 대해서는 어려움이 따르고 부정확해진다.
이러한 종류의 예비 용량 공급 부재는, 공급 드럼의 원통형 스풀이 스풀 내부에 지지된 전기모터의 추진체가 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자체 전기모터 구동체를 갖춘 각각의 사 공급 드럼을 장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참조예:심사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DE-AS) 제 16, 35, 899호], 모터는 미세 스위치로 조절하는 전원으로부터의 전류가 공급된다. 사 시풀을 유도하는 디스크는 스풀이 소정 크기보다 크거나 작게 되는 경우에 미세 스위치가 전기모터를 점멸시키도록 하는 방법으로 미세 스위치를 조절한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스풀 몸체의 주속도(circumferential speed)를 조절할 수가 없다.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사 저장 드럼의 이러한 규칙적인 rpm(revolutions per minute)의 rpm의 범위를 조절하도록 배열된 사 저장장치와 공급장치로 수득할 수 있으며[심사된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원 DE-AS) 제 23 50 979호], 전기모터는 잔류 토오크가 사 저장 드럼을 구통하는데 사용되도록 하는데 중요한, 거의 일정한 토오크를 구비하고, 드럼 rpm은 스풀의 크기 및 가변력에 따라 조절되므로 전기모터를 스풀에 축방향으로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이 장치는 rpm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대한 기준으로서 사 저장 드럼 위에 사 스풀의 가변성 미끄럼 저항력을 이용한 원리에 기초를 둔다. 그러나, 이 미끄럼 저항력은 공급되는 사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다르다. 이외에도, 이러한 종류의 조정은 근본적으로 매우 조야하다.
마지막으로 환편기용 급사장치는 또한 동독 특허(DE-PS) 제 44, 94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필요한 사의 변환은 각 편성 위치에서 프로그램-제어한다. 급사장치는 권취된 사를 이동시키거나 사가 권취된 전기모터 또는 로우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주연부위 위에서 정치시키는 롤러를 포함한다. 롤러는 사가 미끄러지지 않고 이동하는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장치는 니들 실린더와 모터의 rpm이 자동적으로 동시성을 갖도록 한다. 본원에서는 급사장치의 원리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며, 이러한 장치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않는다.
사 공급 부재를 구동시키는 개개의 전기모터가 장치된 상기 언급한 급사장치는 전체 환편기의 원주위에 연장시킨 구동 벨트를 장치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급사장치의 가격은 비교적 고가이며, 특히는 다수의 시스템(144개 이하의 시스템)을 갖는 편기라는 심각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편성위치와 관련된 사 공급 부재가 그들 자체의 전기모터 구동기구를 가지며, 여러 용도에 사용할 수 있는 급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이 장치는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각종 용도의 조건에 맞출 수 있는 정확한 사 공급을 가능케하며, 저렴한 비용 및 필요한 작은 공간에 의해 특정지워진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급사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전기모터가 스텝핑 모터이며, 급사장치의 원주에서 미끄러짐이 없이 사를 전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모터 구동 급사부재가 홀더 위에 장착되고, 홀더 위에 위치한 급사수단 및 모니터 장치가 장치되는 것으로 특정지워진다.
특히 바람직한 조건은 2개의 공급 부재가 홀더의 반대측 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환편기의 원주방향에서 필요한 공간에 의해 수득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일반적인 스텝핑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두개의 공급 부재 모두는 스텝핑 모터의 축에 대하여 쌍축방향으로 배치되고, 그들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커플링을 통해 모터축에 연결된다. 이 커플링은 전기 작동 가능하므로, 중앙 명령 유니트로부터의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의 공급 디스크, 또는 통상의 모터 축위에 배치된 다수의 공급 부재가 홀더 위에 장착된 자체 스텝핑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는 급사장치에 대한 이론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신규의 급사장치는 2개 이상의 사를 공급하고, 환편기의 원주 위에 급사장치를 고정하는데 1개의 홀더가 필요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공간-절약형 구성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1개의 홀더와 연결된 공급 부재는 1개의 급사장치로 공동으로 또는 교호 구동될 수 있으며, 편성 시스템에 의해 다수의 사를 공급하거나(첨사 편조직을 형성하기 위해서), 소위 스트라이프, 또는 환형 스트라이핑 부품에 사를 공급할 수도 있다.
신규의 급사장치에 대한 추가의 잇점은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의 목적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몇가지 구조를 다르게하여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급사장치는 사-사용 섬유 기계의 사 랙크 또는 고정 보빈크릴과 같은 프레임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를 갖는 홀더(1)를 갖는다. 제1도에 나타낸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고정장치는 홀더(1)위에 제공되며 직각으로 구부러지고 2개의 고정홀(3)이 있는 부분(2)으로 이루어진다. 제2도의 실시양태에서, 홀더(1)는 말단에 브래킷과 유사한 부분(4)이 제공되어 고정시킬 수 있으며, 브래킷 유사부(4)는 림(제3도 참조)에서 개방된 홈(5)에 (6)으로 표시한 사 랙크 위로 밀어 고정나사(7)로 단단히 끼울 수 있다. 접촉핀(8)이 림의 개방된 부분(5)에 돌출하여 있으며, 홀더(1)를 사 랙크(6)에 단단히 끼우면, 전도체(9)와 접촉된다.
자동동기 또는 스텝핑 모터로서 도시한 전기모터를 홀더(1) 위에 고정시킨다. 그것의 말단면위에, 스텝핑 모터(10)는 홀더(1)의 상응하는 면에 고정나사(12)로 단단히 죄어진 고정 플랜지(11)를 구비한다. 배열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축(13)은 홀더(1)가 작동부위에 위치하는 경우에 거의 수평으로 연장한다.
플라스틱 또는 경금속의 2개의 컵형 공급 디스크(14) 형태의 2개의 공급 부재는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킨 방법으로 모터축(13) 위에 고정시키고, 그들중의 하나는 홀더(1)의 결합면(15)과 함께 스텝핑 모터(10) 전체를 둘러싸서 외부와 차단시킨다. 각각의 공급 디스크(14)의 직경은 사 공급 드럼의 실재용량 또는 예비 용량 공급 디스크의 직경보다 비교적 크다. 슬릿-형 통풍 개구부(16, 17)가 제공되는데, 통풍 개구부(16)는 하부면에 위치하고, 통풍 개구부(17)는 공급 디스크(14)의 주연면에 위치하며, 공급 디스크의 내부에는 팬 블레이드(18)가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냉각기류(20)가 생성되고, 공급 디스크(14)의 내부를 통과하여 스텝핑 모터(10)를 냉각시킨다. 공급 디스크(14)의 내부에 플러프와 린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풍개구부(16)를 분진 스크린(21)으로 덮는다. 통풍 개구부(17)는 생략하여 공급디스크(14)가 매끄러운 표면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기류 개구부(170)는 컵형 공급 디스크(14)로 덮어진 부분의 내부에서 홀더(1)중에 제공될 수 있으며,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부재를 유도해 내는 공기호스는 기류 개구부에 연결할 수 있다.
각각의 공급 디스크(14)는 깔때기 모양으로 그의 림을 향하여 그 말단이 거의 원추형 영역(23)과 연결된 원통형 또는 주연부(22)가 구비되어 있다. 원통형주연면(22)은 각각의 웹(24) 사이에서 슬릿-형 구멍과 통풍 개구부(17)에 의해 차단되며, 사(25)는 사 스풀(26, 제1도 참조)의 각 권사기에 권추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큰 직경의 공급 디스크(14)에 비해 비교적 작은 스풀(26)의 권사수는 공급 디스크(14)가 사(25 또는 25a)의 미끄러짐이 없이 회전하도록 선택된다.
공급 디스크(14)에 연결된 급사수단 및 모니터장치는 홀더 위에 배치하는데, 제1도에서 이들 장치는 3개의 급사구(27, 28, 29 또는 27a, 28a, 29a), 2개의 송출구(30, 31 또는 30a, 31a) 및 2개의 사 필러 아암(32, 33 또는 32a, 33a)을 포함한다. 급사구(27 내지 29 또는 27a 내지 29a)는 홀더(1)에 고정된 브래킷(34) 위에서, 모터축(13)의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서로 동축으로 배열된다. 두개의 송출구(30, 31)도 상응하는 홀더 브래킷(35)에 동일한 방법으로 배열된다. 사(25, 25a)는 송출구(31)를 통과한 후, 하기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홀더(1) 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부가의 연성 사 필러 아암(330 또는 330a)의 말단위의 구멍(310 또는 310a)을 통과한다. 또한, 도시한 구멍(311)은 구멍(310) 다음에 고정 배치한다.
각각의 공급 디스크(14)는 그와 연결된 2개 이상의 급사수단 및 모니터 장치를 구비하여 공급 디스크(14)의 주위에 여러 가닥으로 분리된 사를 저장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는 무늬없는 제품의 제조시에 특히 중용하며; 제1도에 나타낸 실시양태와 비교하여 절반 또는 더 적은 수로 수득할 수 있다.
투명한 커버링 캡(37)은 홀더(1) 위에 고정시키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작업시에 중지신호를 발생하는 표시 램프를 이 캡에 내장시킨다. 이러한 전기 장치는 모두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접촉판(8)과 연결시켜, 전류를 공급한다.
2개의 급사구(27, 28 또는 27a, 28a) 사이에, 사브레이트(39 또는 39a)를 브래킷(34) 위에 장치하여, 사의 공급장력을 스풀(26)을 형성하는데 유용하게 충당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공급구(27 내지 29)를 통해 수송되는 사(25 또는 25a)는 원추면(23)[참조:제2도]과 만나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권취사는 원통형면(22)을 향해 자동적으로 하방으로 이동된다. 원통형면(22)으로부터 사(25, 25a)는 각각의 공급 디스크(14)에 공급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송사구(30, 31 또는 30a, 31a)를 통해 이동한다. 스텝핑 모터(10)의 축(13)은 거의 수평으로 배열되는데 반해 사의 진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수직이다.
제3도와 제4도에 따른 실시양태는 제2도와 거의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숫자를 표시한다.
공급 디스크(14)를 함유하는 스텝핑 모터(10)에는 공급 디스크(14)를 벗어나 홀더(1) 위에서 모터축(13)의 축에 대하여 평행인 피봇 베어링(40) 위에 지지되고 공급 디스크(14) 사이에 돌출한 긴플랜지(11a)가 제공된다. 따라서, 공급 디스크(14)는 스텝핑 모터(10)와 함께 제3도에 도시한 위치를 벗어나, 스톱 핀(42)으로 한정되는 제4도에 도시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고정장치는 피봇 베어링(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브래킷(11a)을 제3도와 제4도의 2곳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시스템을 갖는 환편기에서, 급사장치는 특히 사가 통과할 경우에 급사장치에 대한 접근을 방해하는 사랙(yarn rack; 6)에 매우 가까이 장치한다. 제3도 및 제4도와 관련하여 기술한 공급 디스크(14)의 회전성은 공급 디스크(14)를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쉽게 접근가능한 위치에 이동시킨 다음 제3도에 도시한 작업위치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한다.
또다른 배치는 공급 디스크(14)를 홀더(1)위에 종방향으로 또는 텔레스코프형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개별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다른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회전가능한 플랜지(11a)는 홀더(1)에 위치한 전기스위치에 의해 회전된 위치에서 모니터할 수 있으며, 스위치의 작동 장치는 스톱 핀(42)으로 나타낸다. 이는 기계의 스위치가 부지불식간에 켜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커버링(37) 하부의 기능장애 표시램프를 이 위치에서도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두개의 아암(45, 46)은 양측으로 연장된 플랜지(11a) 위에서 고정나사(44)를 사용하여 조정 가능하게 지지되고, 말단에는 급사수단으로서 예시할 수 있으며 그들의 공기 호스(47a, 48a)를 조정할 수 있는 사(25 및 25a)를 위한 급사수단이 장치되어서 공급 디스크(14)의 양쪽 회전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사를 손으로 접선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한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급사수단은 압축기류에 의해 작동되는 인젝터(injector)형의 급사수단(47, 48)을 포함하는데, 화살표(49) 방향의 인젝터(47)는 사 브레이크로서 작용하고, 화살표(50) 방향의 인젝터(48)는 사를 전진시킨다. 인젝터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정은 도시하지 않은 폐쇄된 환상 기류라인(도시하지 않음) 또는 기류 개구부(170)로부터 분출되는 냉각공기로부터 인젝터(47, 48; 제2도 참조)에 대한 공기호스(47a, 48a)에 의해 수집하고 통과시킬 수 있는, 제4도에 도시한 공기호스(47a, 48a)를 통해 수행한다.
인젝터(47, 48)에 의해, 사(25 또는 25a)를 인도할 뿐만 아니라 파괴하고, 또는 거의 손대지 않고 진행하며, 플러프 등은 사로부터 자동적으로 송풍제거된다. 급사장치의 다른 위치에서, 공급 디스크(14)의 통풍개구부(17)로부터 분출되는 냉각공기는 플러프와 분진의 형성을 방지한다.
제5도에 나타낸 실시양태에서, 분리된 공급 디스크(14)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의 양측위에서 스텝핑 모터(10)의 축(13) 위에 고정되도록 재배치하고, 공급 디스크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동일부재는 동일한 숫자로 나타낸다. 각각의 공급 디스크(14)는 그와 연결된 급사수단 및 모니터 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브래킷(34, 34a 및 35, 35a) 위에 고정시킨 급사구(29, 29a) 및 송사구(30, 30a)만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2개의 공급 디스크(14)중 적어도 하나는 통상의 스텝핑 모터(10)에 이탈가능하게 연결시켜서, 공급 디스크에 분열이 일어나는 경우에 사를 손으로 스풀위에 권취하더라도 다른 공급 디스크(14)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전자력 커플링은 (100)으로 나타낸다. 전자력은 전기 신호를 통해 발생되어 슬립 링(101)을 통하여 송출된다.
추가의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공급 디스크(14)는 그 자체의 스텝핑 모터(10)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장점은 통상의 홀더(1), 커버링(37) 하부에 있는 통상의 표시램프 및 구조물이 작다는 것이다.
제6도에 나타낸 제어 회로에서, 예를 들면 환편기를 구동시키는 주 동력에 의해 공급되는 주 구동메카니즘(60)은 제동기어(61)를 통하여 연결되고, 초기의 rpm을 무한하게 조절가능하게 한다. 제동기어(61)는 증분변환기(62)를 구동하고, 주 구동기(60)의 rmp에 따라 고정시킨 회전하는 변환기 휘일을 포함하는데, 이 변환기 휘일은 전기광학적으로 또는 전자기학적으로 정기점검한다. 증분변환기는 전원 팩(63)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고, 컴퓨터 단계(65)에 공급되며, 또한 전원팩(63)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는 관련된 스텝핑 주파수를 갖는 펄스 열(64)을 외부로 방출한다. 컴퓨터 단계(64)의 출력단계에서 방출되는 스텝핑 펄스 제어신호(66)는 관련 급사장치의 입력 단계(67)로 수송되어 이로부터 출력 단계(68)를 통하여 스텝핑 모터(10)를 움직이게 한다. 입력 단계(67) 및 출력단계(68)는 인쇄회로판(69) 위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며, 관련 급사장치의 하우징(36) 내에 설치한다.
입력 단계(67) 및/또는 출력 단계(68)는 개별식 또는 중앙식으로 손으로 스텝핑 모터(10)를 개폐할 수 있는 전기 스위치 수단(70)을 함유할 수 있으며, 사 필러 아암(32, 33; 제1도 참조)의 조절하에서 기계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컴퓨터 단계(65)로부터 수행할 수 있는 급사장치의 개별적인 개폐는 또한 급사장치와 사 수송 사이에서 사 파손이 일어나기 때문에 니들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경우에 중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급사장치의 스위치를 끄면, 해당 공급 디스크(14)는 사 스풀(26)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 공회전하여서 니들은 필요에 따라 그들의 사 자체를 일시적으로 폐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환편기용 급사장치는 모두 상기한 방법으로 컴퓨터 단계(65)에 연결하여서, 전기적 수단으로 모든 공급 디스크(14)를 완전하게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제동기어(61)를 상응하게 조절함으로써, 모든 공급 디스크(14)의 주연속도와 모든 급사장치에 의해 송출되는 사의 양을 동시에 동일한 비율로 변화시킬 수 있다. 모든 스텝핑 모터는 기계의 회전수에 대한 단계의 수가 정확하게 일치하기 때문에, 스텝핑 모터는 모든 급사장치가 완전하게 동시에 조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계의 시동과 정지동작 중에조차도 스텝핑 모터의 동시 조작은 유지된다.
기계의 주 구동기(60)에 대하여 갑작스런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에, 공급 디스크(14)는 권취되는 사에 의해 기계가 제동되는 동안에 서로 동시에 구동하며, 각각의 편성위치에의 니들에 의해 계속해서 페치되므로; 따라서 자동적인 사 제동은 각각의 스텝핑 모터의 영구 자석 시스템의 억제력에 의해 발생하고, 개개의 급사장치가 고장을 일으키고 그결과 각각의 편성위치에서 사가 초과하거나 부족하게 되는 고장상태를 확실하게 방지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스텝핑 모터(10)는 기계가 정지한 경우에 그들 고유의 회전 위치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며, 예를 들면 사를 드레드하기 위해서 손으로 임의 회전시킬 수도 있다. 급사장치가 플러프 및 린트의 생성을 확실하게 억제함에도 불구하고, 불량한 스풀로부터 시작하는 경우에 편성의 부정확한 고정에 의해 사의 증가된 손실은 스텝핑 모터(10)의 토오크를 사에 의해 회전될 수 없을 정도로 발전시킴으로써 억제한다.
급사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소위 포지티브 형(positive mode)의 조작으로만 작동시킬 수 있으며, 접선에서 공급 디스크(14)에 접근하는 사(25, 25a)의 속도는 접선에서 이탈하는 사의 속도와 동일하다. 경우에 따라, 급사장치는 사를 불규칙하게 소비[소위, 네가티브형(negative) 조작]함으로써 조작할 수 있으며, 송사구(30, 30a; 제5도)는 사(25 또는 25a)가 공급 디스크(14)로부터 말단에서 헤드에까지 미권취되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급사장치의 스텝핑 모터(10)에 공급되는 전압의 단계적 주파수는 적어도 요구되는 사의 최대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사용하는 사의 양을 감소시키는 경우, 공급 디스크(14) 위에 위치한 스풀(26)의 크기는 관련 탐지장치를 조정하면서 스텝핑 모터(10)가 정지되거나 더 낮은 스텝핑 주파수가 될 때까지 증가시킨다.
특수한 경우에, 급사장치는 소위 마찰 공급드럼으로서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텝핑 모터(10)에 공급되는 전압의 스텝핑 주파수가 너무 높아서 급사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편성 시스템 시스템이 모든 니들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것을 추정함)의 과잉공급을 초래한다. 그러나, 사 스풀(26)은 단지 몇가닥의 권사만을 함유하여서, 미끄러짐이 없는 공급을 할 수 없으며, 마찰이 사와 함께 수송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그 당시의 사 장력에 따라 다르다.
제6도에 나타낸 제어회로의 적합한 실시양태에서 급사장치는 환형 스트라이프 무늬를 제조하기 위해서 설정하는 환편기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에징 부품(edging attachment)으로 제공되거나, 쟈카드 기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회로는 무늬 변환부재(71)를 포함하며, 무늬 저장장치(72)를 시동시키면 전(73)을 통해 무늬 제어명령이 방출한다. 기계의 무늬 저장장치(72)는 패턴휘일 또는 패턴드럼, 천공카드 판독기(punched card reader), 프로그램 기억장치등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무늬 제어 명령은 공정 제어 컴퓨터(74)에 송출하여 요구되는 신호 전환을 수행하고, 선(75)을 통해 컴퓨터 단계(65)에 제어명령 및 무늬정보를 수송하고, 이러한 명령 및 정보로부터 스텝핑 펄스(64)와 함께 각각의 스텝핑 모터(10)에 대한 제어 신호(66)을 유동한다.
소위 스트라이프 형에 있어서, 환형 스트라이프를 제조하는 경우에 환편기에는 소위 스트라이퍼 부품이 장착되는데, 이 부품은 무늬에 따라 바뀐다. 무늬 제어회로(71)를 통해서, 주어진 사와 관련된 급사장치는 점멸가능한 사 캐리어와 함께 점멸시키는데, 통상 개개의 편기위에 스트라이퍼 부품당 4개씩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류의 4개 급사장치는 무늬 저장장치(72)의 제어하에서 1회에 1개씩 편성위치당 제공된다. 본원에서는 각편침에 대한 정확한 급사장치의 점멸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텝핑 모터(10)에 의한 정확한 구동이 특히 중요하다. 이는 공정-제어컴퓨터(74)에 무늬 저장장치(72)로부터 제동되는, 상응하는 수의 자유롭게 프로그램 가능한 계수 유니트를 장치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계수 유니트는 또한 소위 체인지오버 포인트(changeover point; 사를 교체하는 경우에 사를 삽입하고 제거하는 위치)에서 특정수의 니들을 통해 작동하는 2개의 급사장치를 갖출 수 있도록 하여서, 하나의 사에서 다른사로의 이동시에 중단되지 않는 연결을 가능케 한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스텝핑 모터([10; 각각의 공급 디스크(14)에 대하여 1개씩]를 갖추고, 사(25 또는 25a)는 사 필러 아암(330 또는 330a)의 말단에서 공급구(310, 310a)를 통해 송사구로부터 고정공급구(311 또는 311a)로 이동하여, 사 필러 홀더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성의 사 필러 아암(330, 330a)은 사 필러 아암(330 또는 330a)의 특정 위치에 따라 점멸되는 스텝핑 모터(10)에 의해 하우징(37) 내부에 위치한 스위치를 조절한다. 작동 위치는 제1도에 실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스위치를 끈 상태의 위치는 파선으로 표시하였다. 제3위치에서는 사가 파열되는 경우에 전체 기계가 점멸된다.
기계적 스트라이퍼 부품제어기가 장착된 환편기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나타낸다:
편성 시스템 중에 사변화가 일어나는 경우에, 새로운 환형 스트라이프 사 캐리어에 사가 삽입된다. 환형 스트라이프 사 캐리어의 삽입 운동으로 인해 이 사에 장력이 걸린다. 그 결과, 필터 아암(330 또는 330a)은 공급구(310 또는 310a)와 함께 제1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조작위치내로 이동하고, 이 위치에서 스텝핑 모터(10)가 켜진다. 스텝핑 모터(10)는 상응하는 환형 스트라이프 사 캐리어가 다시 그의 사를 제거하여, 사 장력을 저하시킬 때까지 켜둔다. 그 결과, 연성 필러 아암(330 또는 330a)은 스프링력에 의해 파선으로 나타낸 사의 진로에 해당하는 스위칭 위치로 이동하고, 이 위치에서 관련된 스텝핑 모터(10)는 점멸된다.
3개의 상이한 스위치 위치는 사 필러아암(33 또는 33a)과 관련될 수 있는데 즉;
제1위치:스텝핑 모터(10, 또는 커플링 100) 스위치 켜짐:기계 작동
제2위치:스텝핑 모터(10, 또는 커플링 100) 스위치 꺼짐:기계 작동
제3위치:스텝핑 모터(10, 또는 커플링 100) 스위치 꺼짐:기계 점멸
소위 애징공정에서, 즉 가장자리를 편성할 때, 편물을 편성하는 동안 소모되는 사는 제품의 최초편성 가장 자리)과는 다르다. 급사장치의 스텝핑 모터(10)는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은 무늬 저장장치(72)로부터 유도되는 무늬제어 명령을 받아들여, 소정형태의 편성을 위해서 필요한 양의 사를 제공한다.
가장자리가 제품 자체의 길이로 편성되지 않은 소위 보강사로 편성되는 경우에, 이들 보강사는 급사장치의 포지티브-사 공급 디스크를 통해 수송되고, 스텝핑 모터(10) 또는 커플링(100)은 무늬에 따라 점멸되며; 부가적인, 값비싼 부품이 필요치 않다.
무늬 또는 소위 자키드 제품을 편성하는 경우에, 신규의 급사장치를 사용하는 포지티브 사 공급을 다시 수행한다. 무늬 저장장치(72)는 소정의 편성 위치에서 니들을 선택하는 동일한 무늬 정보를 함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무늬 정보로부터, 각각의 스텝핑 모터(10) 또는 그들의 커플링(100)을 조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스텝핑 주파수는 공정 제어 컴퓨터(74) 및 컴퓨터 단계(65)를 통해 무늬에 따라 산정하여, 요구되는 사의 특정 양을 매우 정확한 수단으로 공급한다.
무늬에 따라 루프를 형성하는 각각의 니들은 특정 사량을 X라 하고 편성에 사용되지 않는 사량(이는 사 연결, 또는 편물에서 다음 루우프에 대한 플로팅에 요구되는 사의 양이다)을 Y라 하는 경우에 사의 완전하게 균일한 배치는 무늬 및 포지티브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가장자리에 대한 테두리 무늬는 사의 수송이 니들 선택과 유사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간단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편성에 참여하지 않은 니들에 대한 사량 Y는 제품의 게이지와 무관하게 일정한데, 그 이유는 하나의 니들 스티치에서 다음 스티치까지의 스티치 및 소위 사 플로팅의 길이가 항상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편성 니들 변화에 의해 소모되는 사의 질만 변화시키는 경우에; 이는 공정-제어 컴퓨터(74)의 계수 유니트에 의해 검출되고, 컴퓨터 단계(65)와 함께 각각의 급사장치의 스텝핑 모터(10)를 제어하여 소정 시간에 필요한 사의 특정한 양에 대하여 요구되는 스텝핑 펄스의 수를 정한다.
제품의 품질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제동기어(61)를 변화시켜야 하는데, 기계가 정지하는 경우나 조작시에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급사장치는 직기의 위사 픽킹장치, 경편기, 라셀 편기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위사를 포지티브하게 공급하는 공급 디스크(14)는 위사가 종광에 삽입되는 동안에 위사에 과도한 장력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 위사 픽킹장치(즉, 그리퍼직기 중의 그리퍼)의 속도에 따라 제어회로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양태에서, 급사장치는 관련 기계의 사용위치에 근접하여서는 물론 기계에 위치한 고정 보빈 크릴 위에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빈과 연결시킬 수도 있다. 각각의 급사장치는 스텝핑 모터(10)를 통해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스텝핑 모터 자체가 모든 급사장치의 공급 디스크(14)의 완전한 동시 조작을 허용하고, 관련된 제어회로를 갖는 중앙 유니트에 연결된 제어케이블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이 유니트는 사-사용 기계에 장착할 수 있다. 환편기중에서 동일한 길이의 사횡단 경로를 수득하기 위해서, 보빈 크릴은 기계의 원주에 원형 세그먼트 형태로 장치할 수 있다.

Claims (21)

  1. 캐리어상에 고정 배열된 홀더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공급 부재에 공급되고/되거나 송출되는 사에 대한 급사수단 및/또는 사 모니터 장치를 포함하며, 홀더상에 장치된 정격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그의 주연면을 따라 사가 이동되도록 하는 공급 부재를 갖는, 환편기와 같은 섬유 기계용 급사장치에 있어서, 전기모터가 스텝핑 모터(10)이고,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사(25a)가 미끄러짐이 없이 그의 주연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급사수단과 모니터 장치(27a, 28a, 29a, 30a, 32a, 33a)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공급 부재(14)가 홀더(1) 상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공급 부재(4)가 홀더(1)에 대하여 반대측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텝핑 모터(10)에 의해 공동으로 구동되는 두개의 공급 부재(14)가 스텝핑 모터(10)의 축(13)과 같은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그들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커플링(100)을 통하여 모터축(13)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커플링(100)이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공통의 모터 축상에 장치된 공급 디스크 또는 다수의 공급 부재(14)가 홀더(1) 상에 장치된 자체 스텝핑 모터에 의해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부재(14)가 스텝핑 모터(10)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류가 통과하는 통풍구(16, 17)를 갖춘 공급 디스크 또는 공급 드럼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공급 디스크 또는 공급드럼(14)이 팬 휘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통풍구(16, 17)가 분진 스크린(21)에 의해 커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공급 디스크 또는 공급드럼(14)이 냉각기류용 팬블래이드(18) 및/또는 유도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10. 제6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홀더가 냉각기류가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구(17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급사수단(47, 48)을 이르는 공기 호스(171)가 공기배출구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부재(14)을 조립식으로 홀더(1)상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홀더(1)상에서 공급 부재(14)의 위치를 검색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관련 스텝핑 모터(10)가 축에 대하여 평행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홀더(1) 상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홀더(1)상에서 송사필러(33, 33a)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제2사필러(330, 330a)가 각각의 사 모니터 장치에 연결되며, 제2사필러는 하나의 공급 부재(14)에 의해 송출되는 사와 말단에서 연결되고, 관련 스텝핑 모터(10)에 전류의 공급을 개폐하거나, 전자력 커플링(100)을 점멸시키는, 홀더(1)상에 설치된 전기스위치가 이 제2사필러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사필러(330, 330a)가 작동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제2사필러(330, 330a)가 연성, 탄성체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홀더(1)상에 설치된 사 모니터 장치가 탐지된 사 장력에 따라, 스텝핑 모터(10)에, 또는 관련 공급 부재(14)의 전자력 커플링(100)에 공급되는 전류를 개폐하는 신호 또는 기계를 정지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송사 필러(330, 330a)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별개의 급사수단 및 모니터 장치가 각각의 공급 부재(14)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각 공급 부재(14)에 대해, 공급 부재와 함께 조립할 수 있는 2개의 사캐리어 부재를 갖추고 있으며, 그 말단에는 조립식으로 지지될 수 있는 급사수단(47, 4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2개의 사캐리어 부재가 공통의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2개의 아암형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사장치.
KR1019850002982A 1984-05-02 1985-05-02 섬유기계용 급사장치 KR900004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3416195 DE3416195A1 (de) 1984-05-02 1984-05-02 Fadenliefervorrichtung fuer fadenverarbeitende textilmaschinen, bspw. rundstrick- oder -wirkmaschinen
DEP3416195.3 1984-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194A KR850008194A (ko) 1985-12-13
KR900004919B1 true KR900004919B1 (ko) 1990-07-09

Family

ID=623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982A KR900004919B1 (ko) 1984-05-02 1985-05-02 섬유기계용 급사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706476A (ko)
JP (1) JPS60242179A (ko)
KR (1) KR900004919B1 (ko)
CS (1) CS272762B2 (ko)
DD (1) DD232937A5 (ko)
DE (1) DE3416195A1 (ko)
ES (1) ES8608071A1 (ko)
GB (1) GB2158107B (ko)
HK (1) HK85390A (ko)
IT (2) IT1183812B (ko)
SG (1) SG65690G (ko)
SU (1) SU1471950A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6195A1 (de) * 1984-05-02 1985-11-14 Gustav 7290 Freudenstadt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fuer fadenverarbeitende textilmaschinen, bspw. rundstrick- oder -wirkmaschinen
DE3627731C1 (de) * 1986-08-16 1988-03-31 Gustav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mit elektronischer Fadenspannungsregelung
DE3729297C1 (de) * 1987-09-02 1989-03-02 Gustav Memminger Vorrichtung zur UEberwachung der Fadenlieferung bei einer Faden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DE3731379A1 (de) * 1987-09-18 1989-04-06 Sipra Patent Beteiligung Strickmaschine mit fadenwechseleinrichtung
DE3732102C1 (de) * 1987-09-24 1989-05-03 Gustav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mit zeitlich unterschiedlichem Fadenverbrauch,insbesondere Strick- und Wirkmaschinen
DE9110404U1 (ko) * 1991-08-22 1991-11-28 Hacoba Textilmaschinen Gmbh & Co Kg, 5600 Wuppertal, De
DE4131322A1 (de) * 1991-09-20 1993-03-25 Stoll & Co H Fadenliefervorrichtung
DE4206607A1 (de) * 1991-09-26 1993-04-01 Erich Roser Fadenliefergeraet fuer fadenverbrauchende textilmaschinen
DE9206600U1 (ko) * 1992-05-18 1992-10-22 Schouten, Petrus Coenradus, Amsterdam, Nl
US5280713A (en) * 1992-12-29 1994-01-25 The Kendall Company Yarn feed device for knitting machine having separator means for hosiery fabric
US5388747A (en) * 1993-06-03 1995-02-14 Chen; Jen-Hui Positive yarn feeding device
WO1997013904A1 (en) * 1995-10-12 1997-04-1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for knitting fabric with non-elastic yarn and bare elastomeric yarn and sweater knit fabric construction
DE19811240C2 (de) * 1998-03-14 2000-05-31 Memminger Iro Gmbh Fadenliefergerät mit verbessertem Fadenlauf
IT1303022B1 (it) * 1998-04-17 2000-10-20 Btsr Int Spa Dispositivo di controllo dell'alimentazione del filato ad una macchinatessile e metodo di controllo del funzionamento e produzione di
US6079234A (en) * 1999-04-15 2000-06-27 Hsiung; Ching-Lung Yarn feeder for a jacquard knitting machine
US6102320A (en) * 1999-06-02 2000-08-15 Chen; Jen Hui Fabric yarn supply apparatus with dual feeding features
KR100433995B1 (ko) * 2001-12-20 2004-06-04 린 첸-후이 직기의 중앙 기둥형 송사 장치 조립체
US20030131350A1 (en) 2002-01-08 2003-07-10 Peiffer John 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digital audio signal
MXPA05004231A (es) 2002-10-23 2005-07-05 Nielsen Media Res Inc Aparato para la insercion de datos digitales, y metodos para utilizarlo con audio/video comprimidos.
ITBS20020108A1 (it) * 2002-11-25 2004-05-26 Sangiacomo Spa Sistema di controllo della presenza dei fili alimentati agli aghi in
DE10318931B4 (de) * 2003-04-26 2005-10-20 Memminger Iro Gmbh Fadenliefergerät
ITVI20030117A1 (it) * 2003-06-18 2004-12-19 Orizio Paolo Spa Dispositivo elettronico per la fornitura di filato ad
ITFI20040113A1 (it) * 2004-05-14 2004-08-13 Giovanni Corsani Dispositivo alimentatore di filo
DE102004039415A1 (de) * 2004-08-13 2006-02-23 Iro Ab Fadenverarbeitendes System und Fadenliefergerät
CN100427661C (zh) * 2006-09-22 2008-10-22 江苏雪亮电器机械有限公司 送纱器
JP4914289B2 (ja) * 2007-05-07 2012-04-11 柴田科学株式会社 綿塵発生装置
DE602009000914D1 (de) * 2009-02-16 2011-04-28 Lgl Electronics Spa Fadenliefervorrichtung mit einer leichten Fadenaufwickeltrommel
CN102140730B (zh) * 2010-11-12 2012-10-31 苏州市青田企业发展有限公司 横机织领断纱自停装置
DE102011015880A1 (de) * 2011-04-04 2012-10-04 Kern Antriebstechnik GmbH Fadenlieferwerk
US8561436B2 (en) * 2011-08-08 2013-10-22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Direct driving auxiliary yarn guide apparatus for flat knitting machines
ITTO20120805A1 (it) * 2012-09-17 2014-03-18 Lgl Electronics Spa Alimentatore di filato a tamburo rotante per lavorazioni tessili con selezione del filato.
RU2530082C1 (ru) * 2013-02-25 2014-10-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льметьевская чулочно-носочная фабрика "Алсу"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обрывности или отсутствия нити при вязании на кругловязальной машине
CN103910236B (zh) * 2014-04-10 2017-03-01 启东翔龙旅游开发有限公司 一种纺织机械的喂入装置
JP2016003400A (ja) * 2014-06-13 2016-01-12 村田機械株式会社 芯糸供給ユニット、芯糸供給装置、及び、紡績機
EP2966202B1 (en) * 2014-06-13 2017-06-28 Murata Machinery, Ltd. Core yarn supplying unit and spinning machine
ITUB20160067A1 (it) * 2016-01-26 2017-07-26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di recupero di filato per apparati tessili.
US11828009B2 (en) * 2018-05-16 2023-11-28 Fabdesigns, Inc. System and method of unspooling a material into a textile machine
CN110713075B (zh) * 2019-09-27 2021-04-02 郑培智 一种纺织导纱轮
CN111041689B (zh) * 2019-12-30 2021-08-10 汕头市天纶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针织大圆机用防纱线松动的输线装置
CN111470379A (zh) * 2020-04-17 2020-07-31 李小琴 用于纺织机械的消极式送纱器
KR102360393B1 (ko) 2020-07-28 2022-02-08 최병덕 환편끈 제조 시스템의 환편끈 정렬 수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44941A (ko) *
DE1069813B (ko) * 1959-11-26
US2227355A (en) * 1938-03-23 1940-12-31 Scott & Williams Inc Feeding apparatus
US2227356A (en) * 1939-07-01 1940-12-31 Scott & Williams Inc Method of and means for changing the speed of electric motors for various purposes
US3083924A (en) * 1959-09-11 1963-04-02 Textile Devices Corp Yarn furnishing device
GB965904A (en) * 1959-09-16 1964-08-06 Dennis Lawrence Munden Improvements in yarn feeding devices for knitting machines
US3093330A (en) * 1960-04-11 1963-06-11 Morat Gmbh Franz Feeding mechanism for yarn winding and processing machines
DE1833298U (de) * 1961-03-21 1961-06-22 Dennis Lawrence Munden Garnzufuehrvorrichtung fuer rundstrickmaschinen.
DE1585198B2 (de) * 1964-07-06 1977-05-18 Sulzer Morat Gmbh, 7024 Filderstadt Fadenliefervorrichtung an mehrsystemigen rundstrickmaschinen
DE1635899B1 (de) * 1967-03-22 1970-04-30 Rosen Karl I J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für Textilmaschinen
SE304070B (ko) * 1967-03-22 1968-09-16 K Rosen
DE2003760C3 (de) * 1970-01-28 1975-02-20 Compo Ag, Aldiswil, Zuerich (Schweiz) Fadenzubringer mit einem Fadenzwischenspeicher für fadenverbrauchende Textilmaschinen
CH571601A5 (ko) * 1973-02-20 1976-01-15 Skf Kugellagerfabriken Gmbh
GB1432973A (ko) * 1973-04-03 1976-04-22
US4007607A (en) * 1975-10-09 1977-02-15 Hayes-Alb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knitting patterned sliver high pile fabric
US4271687A (en) * 1978-08-01 1981-06-09 Memminger Gmbh Rapid maintenance thread or yarn supply apparatus, particularly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DE2842115A1 (de) * 1978-09-27 1980-04-10 Iro Ab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NL7907093A (nl) * 1979-09-24 1981-03-26 Rueti Te Strake Bv Werkwijze voor het weven met een spoelloze weefmachine, alsmede daarbij te gebruike inslagvoorbereidingsinrich- ting.
GB2127046B (en) * 1982-09-14 1986-03-05 Courtaulds Plc Yarn feed mechanism
FR2548693B1 (fr) * 1983-07-07 1985-10-18 Saurer Diederichs Sa Dispositif d'entrainement en rotation pour predelivreur-mesureur de trame, sur une machine a tisser sans navette
DE3416195A1 (de) * 1984-05-02 1985-11-14 Gustav 7290 Freudenstadt Memminger Fadenliefervorrichtung fuer fadenverarbeitende textilmaschinen, bspw. rundstrick- oder -wirk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16195C2 (ko) 1987-01-08
IT8567402A1 (it) 1986-11-02
SU1471950A3 (ru) 1989-04-07
CS272762B2 (en) 1991-02-12
DD232937A5 (de) 1986-02-12
GB2158107B (en) 1987-12-02
IT8553328V0 (it) 1985-05-02
SG65690G (en) 1990-10-26
CS315885A2 (en) 1990-06-13
US4706476A (en) 1987-11-17
ES8608071A1 (es) 1986-06-01
GB2158107A (en) 1985-11-06
ES542729A0 (es) 1986-06-01
IT8567402A0 (it) 1985-05-02
HK85390A (en) 1990-10-25
GB8510377D0 (en) 1985-05-30
DE3416195A1 (de) 1985-11-14
JPS60242179A (ja) 1985-12-02
IT1183812B (it) 1987-10-22
KR850008194A (ko) 1985-12-13
JPH0155181B2 (ko) 198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919B1 (ko) 섬유기계용 급사장치
US3720384A (en) Yarn control device
TWI385287B (zh) Sewing machine line supply device
EP2218809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constant-tension yarn feed or a take-up of a yarn fed to a textile machine, and a textile machine using same
KR0158777B1 (ko) 드레드의 장력 조절용 장치
CN1008545B (zh) 用电子方法控制纱线张力的给纱装置
JPH0212865B2 (ko)
EP1859089A1 (de) Schussfadenzuführvorrichtung für webmaschinen, insbes. greiferwebmaschinen"
EP3569750A1 (en) System and method of unspooling a material into a textile machine
US4138866A (en) Yarn delivery apparatus, especially for knitting machines
KR100353024B1 (ko) 실공급장치
JP3211224U (ja) 組紐の密度を変化させられる組紐成形機
JP3357955B2 (ja) ストランド供給装置
CN85103108A (zh) 针织圆机用的喂纱装置
US5058398A (en) Thread supply device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SU871740A3 (ru) Нитепо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кстильных машин
US5570593A (en) Strand feeding device
KR100427516B1 (ko) 편물, 메리야스 및 유사물 용으로 사용되는 섬유기계로 진입할 때의 둘 이상의 실을 짝형성하거나 케이블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832270A (en) Yarn feeding device
EP0824610A1 (en)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the rotational speed of a driving unit for a yarn windings storage drum
EP0580267B1 (en) A device for feeding a periodically operating yarn-consuming device
US2247245A (en) Strand feed-controlling mechanism for textile and other machines
JPH0241501B2 (ko)
SU7425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спускани трикотажных изделий
KR20000020735U (ko) 수세미 편직기의 금속사 공급량 자동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88201000950;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