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859B1 -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859B1
KR900002859B1 KR1019860002127A KR860002127A KR900002859B1 KR 900002859 B1 KR900002859 B1 KR 900002859B1 KR 1019860002127 A KR1019860002127 A KR 1019860002127A KR 860002127 A KR860002127 A KR 860002127A KR 900002859 B1 KR900002859 B1 KR 90000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propylene
parts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318A (ko
Inventor
요이찌 가와이
마사미 마끼
마사루 아베
사찌오 요꼬떼
가쓰미 세끼구찌
Original Assignee
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도즈까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4632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28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6005594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72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595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17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59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17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6904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28029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도즈까 야스아끼 filed Critical 미쓰이 도오아쓰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조성물, 더욱 특별하게는 우수한 도장성(paintability)을 갖는 성형품의 제조에 적당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성형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제품, 특히 자동차 범퍼에 관한 것이다.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는 중량감소, 내구성, 안전성, 성형성, 경제성 등이 우수하므로, 그의 성형품은 각종 공업적 원재, 부품, 성분 등으로 널리 사용되며, 범퍼와 같은 자동차 부품 및 성분으로 제조된다. 많은 성형품들은 그의 색조, 내 기후성등의 관점에서 검정 또는 유사한 어두운 색으로 채색된다. 따라서 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높은질의 외관을 유지하면서 성형품을 도장하기 위한 필요가 절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성형품에 도장성을 주는 것이 불가피하다.
오늘날, 성형된 폴리 프로필렌 기재와 수지 제품은 많은 경우 그의 표면을 트리클로로에틸렌 또는 트리클로로에탄과 같은 할로겐-함유 유기용매로 처리하고, 프라이머 코우팅 및 탑 코우팅 함으로써 도장된다. [mod. Plas., 39(No.9) 153 (1962)]. 할로겐 함유 유기용매로 인한 환경 공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의 도장 공정을 단순화 시키므로써 제조 단가를 감소 시키기 위해, 성형품의 플라스마 표면 처리에 이어 그의 탑 코우팅을 수행하는 새로운 방법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J. Appl. Poly. Sci., 11, 1461(1967) 및 미합중국 특허 제 4,465,715호].
대부분의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는 이미 그들이 그의 전체표면에 도장되거나 그의 제한된 표면에 도장되는 것에 상관없이, 그의 도장에 앞서 무기 또는 유기 착색제 또는 그의 혼합물로 착색되고 있다. 그의 사용방법 및 그의 기후성 향상에 대한 관점에서, 옥외에서 사용되는 원재, 부품, 성분 등에 카본 블랙 또는 기본적으로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검정 또는 검정 계열의 안료를 배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런 조건에서, 카본 블랙은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에 많은 비율로 배합된다.
그러나, 많은 량의 카본 블랙을 가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의 성형품의 도장성은 그의 플라스마 처리에 이어 도장할 때 상당히 감소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마 표면 처리에 뒤이어 우수한 도장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형품의 제조에 적당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은 견고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며, 플라스마 표면 처리에 이어 우수한 도장성을 나타낼 수 있는 범퍼의 제조에 적당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의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조성물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및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를 기준으로 0.01∼0.6중량%의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성형품 제조에 적당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조성물.
본 발명을 실시 하는데 유용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의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A), 0∼100중량부의 열가소성 탄성체(B) 및 0∼100중량부의 무기 충전체(C)를 함유하며 (B)+(C)/(A)가 1.0 이하인 수지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의 용어는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의 다른 상세한 예로는 각종 폴리에틸렌 수지 및 기타 결정성 수지를 가함으로써 수득된 것이 언급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앞서 말레산 무수물 등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변형 시킬 수 있다.
열가소성 탄성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프로필렌 탄성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탄성고무, 스티렌-부타디엔 탄성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탄성 고무 등이 있다.
무기 충전제는 분말상 또는 섬유상이다.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 칼슘, 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알루미늄, 탄산 마그네슘, 규산 칼슘, 규산 마그네슘, 황산 칼슘, 황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황산 바륨, 아황산 칼슘, 티탄 칼슘, 황산 바륨 및 활석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각종 무기 충전제는 각종의 결합체, 표면 활성제 등으로 표면 처리한 후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런 표면 처리는 생성된 수지 조성물의 견고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 시킨다. 무기 충전제의 평균입자크기는 6μm를 초과하면 생성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감소된다.
여기서, "평균입자크기"라는 용어는 빛 투과 방법에 따라 측정된 누센스타인(Nussenstein)의 입자 크기를 의미하며, 누적 입자 크기 분포에서 50%에 해당하는 입자 크기를 결정한 값(일반적으로 "D50"이라고 함) 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카본 블랙 물질의 예로는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에 검정을 착색 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로(furnace)블랙, 열블랙, 채널블랙, 아세틸렌 블랙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색조, 내열성, 기후성 등의 면에서, 5∼40mμ의 평균 입자 직경 및 50∼1100
Figure kpo00001
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에 예시한 카본 블랙 물질중에서, 로 블랙 및 채널 블랙이 바람직하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들 카본 블랙 물질 두가지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범위 내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입자크기가 너무 작으면, 입자는 2차적으로 응고되므로 그의 분산성이 저하된다. 그외에도, 매우 미세한 카본 블랙은 값이 비싸다. 평균입자크기가 너무 크면, 색조가 불량해지며, 내 기후성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상기에 설명한 범위를 벗어나는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카본 블랙의 평균 입자크기 값으로는, 전자 현미경으로 직접 측정한 값 또는 비 표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한 값이 사용되며, 입자가 구형인 경우 흡착된 질소, 요오드 등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상술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를 만들기 위해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에 배합된 열가소성 탄성체 및 무기충전제의 합이 100중량부의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에 대해 100중량부를 초과 한다면, 생성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조성물의 견고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및 물리적 특성과 도장성과의 균형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범위를 벗어난 양의 열가소성 탄성체 및 무기충전제를 배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술한 카본 블랙은 100중량부의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에 대해 0.01∼0.6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5중량부의 양으로 가해진다. 0.01중량부보다 적은 양은 기후성을 감소시킨다. 기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상적인 내열성/기후성 안정제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안정제는 상당히 높은 비율로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생성된 수지조성물의 가격이 매우 높게 된다. 더욱이, 안정제를 성형품의 성형에 이어 표면에 사용할 때, 외관 및 도장성이 감소하는 결점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러한 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은 비실용적이다. 한편, 0.6 중량부 이상의 카본 블랙을 가하는 것은 플라스마 처리에 이어 수행한 도장 필름의 벗겨짐 강도가 상당한 정도로 감소되고 온수 저항 시험에서 수포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통상적으로 폴리 올레핀에 가하는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방염 저지제, 핵형성제, 유기 또는 무기 색소 및/또는 등등 한가지 이상을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에 가할 수 있으며, 단 그의 함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실제적으로 방해하지 않는 정도에 제한된다.
본 발명에서 특히 바람직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는 a) 100중량부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b) 7∼60중량부의 열가소성 탄성체, 및 c) 3∼30중량부의 무기 충전제를 함유한 수지이다. 상기의 수지 및 카본 블랙으로 구성된 조성물은 자동차 범퍼에 특히 바람직하다. 말할 필요도 없이 상기에 예시한 탄성체 및 충전제는 탄성체 b) 및 충전제 c)로 사용될 수 있다.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a)는 바람직하게는 수득될 성형품의 내충격성 및 탄성 모듈러스의 면에서 7∼30중량%의 에틸렌 및 끓는 n-헵탄에 불용인 물질 65중량%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열가소성 탄성체 b) 로는 특히 프로필렌 함량이 20∼90중량% 및 100℃에서 무니점도가 15∼100인 에틸렌 프로필렌 탄성고무 및/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탄성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 프로필렌 기재와 수지에서 열가소성 탄성체의 함량이 7중량부 이하이면, 카본 블랙을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와 혼합함으로써 수득된 수지 조성물로부터의 성형품, 특히 범퍼 등은 그의 플라스마 처리에 뒤이은 도장시 저온 내충격성이 감소된다. 한편, 60중량부 이상이면 성형품, 특히 범퍼등의 표면층이 벗겨지게 되어 도장 필름의 벗겨짐 강도가 감소되며, 더욱이 성형품의 견고성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양의 열가소성 탄성체를 배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무기 충전제를 3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배합하면, 수지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제품은 견고성이 감소하며, 특히 범퍼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적어진다. 무기 충전제의 함량이 30중량부를 초과한다면, 무기 충전제에 함유된 물로 인해 사용된 도장 필름의 온수 저항성 및 습기 저항성이 감소되며, 수지층과 도장 필름 사이에 수포가 생성될 뿐 아니라, 성형품의 저온 내충격성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는 양의 무기 충전제를 배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및 카본 블랙을 함유한 수지 조성물을 예를들면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던 헨스켈(Henschel)믹서 등을 사용하여 혼합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단일 나사 압출기, 2중 나사 압출기, 롤반바리 믹서 등에 의해 반죽하고, 펠릿화 한다.
수득된 수지 조성물은 주사 성형, 압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과 같은 통상적 성형 방법에 의해 목적하는 성형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생성된 성형품을 도장하기에 앞서 플라스마로 표면 처리한다. 이 플라스마 표면 처리는 고주파 방전, 초단파 방전 등을 갖는 산소, 질소 또는 다른 불활성 기체 또는 이들의 혼합 기체를 자극함으로써 얻어진 플라스마를 성형품의 표면과 접촉 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사용되는 기체의 종류에 상관없이 하기의 처리 조건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압력 : 0.1∼5토르
처리시간 : 약 5∼600초
물론 각 성형품의 모양에 따라 처리 시간을 증가 시키거나 처리 탱크의 형태를 변화 시킬 필요가 있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다.
[실시예 1∼4]
에틸렌 함량이 8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PP-A)100중량부에, 0.05중량부의 2.6-디-t-부틸-4-메틸 페놀, 0.1중량부의 칼슘 스테아레이트, 0.2중량부의 테트라키스[메틸렌-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4중량부의 비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세바세이트 및 0.2중량부의 2-(3-t-부틸-5-메틸-2-히드록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과 하기 표 1에 나타낸 양의 18mμ의 평균입자크기 및 200㎡/g 비표면적을 갖는 로블랙(이후 "카본 블랙 A"로 명명한다) 또는 14mμ의 평균입자크기 및 280㎡/g 비표면적을 갖는 채널블랙(이후 "카본 블랙 B"로 명명함)을 가한다. 상기 비율의 혼합물을 헨스켈 믹서에서 따로 혼합한후, 배럴 직경이 40㎜인 압출기로 펠릿화하고, 230℃에서 유지하여 펠릿화된 형태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된 수지 조성물을 주사성형에 의해 따로 성형함으로써 그의 도장 시험을 위한 시험편(80×160×2nm 플레이트)를 수득한다.
이들 각 시험편을 하술하는 조건하에 플라스마 처리한 후, 2팩 탑 코우팅 우레탄 페인트를 Ca. 100μm두께로 칠한다. 이렇게 도장된 시험편을 90℃에서 40분간 건조 시키고,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방치함으로써 도장된 시험편을 수득한다. 각 도장된 시험편의 도장 필름에 커터로 1.0cm간격으로 커트를 형성한다. 각 도장 필름의 180°벗겨짐 강도를 인스트론 인장 시험기에 의해 측정한다. 또한, 이들 도장된 시험편을 40℃의 온수에 침지시키고, 도장 필름의 질을 240시간 동안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의 도장성을 평가한다. 결과는 표 1에 요약한다.
플라스마 처리조건
1) 장치 : 초단파 플라스마 처리장치(모델 : TMZ-2026M : 도시바사 제품)
2) 대기 : 산소
3) 시간 : 30초
4) 기체압 : 1.0토르
5) 기체 유속 : 480cc/분
6) 초단파 출력 : 1500W
도장 필름질의 평가 기준
○ : 도장 필름에 수포가 전혀 없음.
△ : 도장 필름에 약간의 수포가 생김.
× : 도장 필름에 상당량의 수포가 생김.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된 PP-A 80중량부에 플로필렌 함량이 26중량% 및 100℃에서 무니 점도가 24인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고무(EPR-A) 20중량부를 가함으로써 수득된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 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8]
카본 블랙 물질을 6mμ의 평균입자크기 및
Figure kpo00002
의 비표면적을 갖는 로블랙(이후 "카본 블랙 C"로 명명한다) 및 35mμ의 평균입자크기 및
Figure kpo00003
의 비 표면적을 갖는 채널 블랙(이후 "카본 블랙 D"로 명명한다.)으로 변화시키고, 표 1에 나타낸 양으로 배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2]
카본 블랙 A를 1.0중량부의 양으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5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04
* 기타 첨가제 : 2, 6-디-t-부틸-4-메틸페놀 : 0.05중량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 0.1중량부 테트라키스[메틸렌-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 0.2중량부 비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세이트 : 0.4중량부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 0.2중량부.
[실시예 9∼13]
6.8%의 에틸렌 함량 및 8.0g/10분의 용융 유동지수를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PP-B) 및 1.3μm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활석을 각각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및 무기 충전제로 사용한다. 표 2에 기재된 량의 PP-B 및 활석으로 구성된 충전제 함유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100중량부에, 0.05중량부의 2, 6-디-t-부틸-4-메틸페놀 : 0.1중량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 0.2중량부 테트라키스[메틸렌-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 0.4중량부 비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세이트 및 0.2중량부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과 표 2에 기재된 량의 실시예 1 또는 3의 카본 블랙 A 또는 카본 블랙 B를 가한다. 이런 비율의 혼합물을 각각 헨스켈 믹서에서 혼합한 후, 각각 배럴 직경이 40mm인 압출기에 의해 펠릿화 하고 230℃에서 유지시켜 펠릿화된 형태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된 수지조성물을 각각 주사 성형에 의해 성형 시킴으로써 그의 도장 시험을 위한 시험편(80×160×2mm 플레이트)을 수득한다.
이들 각 시험편을 실시예 1과 같은 조건하에 플라스마 처리하여 그의 도장성을 평가한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4∼15]
활석을 각각 1.9μm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탄산 칼슘 및 1.2μm의 평균입자크기를 갖는 황산 바륨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7.5g/10분의 용융 유동 지수를 갖는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PP-C)를 PP-B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PP-C 및 활석의 양을 각각 70중량부 및 15중량부로 변화시키고, 프로필렌 함량이 27중량% 및 100℃에서의 무니 점도가 70인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고무(EPR-B)를 15중량부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PP-B 및 활석의 양을 각각 95중량부 및 5중량부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9∼21]
카본 블랙을 각각 실시예 6 및 8의 카본 블랙 C 및 카본 블랙 D로 변화시키고 표 2에 기재된 양으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6]
카본 블랙의 양을 1.0중량부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 11, 16 및 17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kpo00005
[22∼26]
용융 유동 지수가 4.0g/10분인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PP-D) 100중량부에 0.05중량부의 2, 6-디-t-부틸-4-메틸 페놀, 0.1중량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0.2중량부 테트라키스[메틸렌-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4중량부 비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세이트 및 0.2중량부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과, 24mμ의 평균입자크기 및
Figure kpo00006
의 비표면적을 갖는 로블랙(카본 블랙 E) 또는 18mμ의 평균입자크기 및
Figure kpo00007
의 비표면적을 갖는 채널 블랙(카본 블랙 F)를 표 3에 기재된 양으로 가한다. 이런 비율의 혼합물을 헨스켈 믹서에서 따로 혼합한 후, 배럴 직경이 40mm인 압출기에 의해 펠릿화하고, 230℃에서 유지 시킨다. 수득된 수지 조성물을 따로 주사 성형하여 시험편(80×160×2mm)을 얻는다.
이들 시험편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플라스마처리 한후, 그의 도장성을 평가한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8중량%의 에틸렌 함량 및 3.8g/10분의 용융 유동 지수를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PP-E)를 PP-D대신에 사용하며, 카본 블랙 E를 표 3에 기재된 양으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8 및 29]
실시예 5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EPR-A를 100중량부의 PP-E에 대해 각각 20중량부 및 40중량부의 양으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0 및 31]
평균입자크기가 3.2μm인 탄산 칼슘 20중량부를 100중량부의 PP-E에 대해 각각 10중량부 및 20중량부의 양으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2]
평균입자크기가 2.5μm인 탄산 칼슘 20중량부를 100중량부의 PP-E에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33∼35]
PP-E, EPR-A, 활석 및 탄산 칼슘을 표 3에 기재된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7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7∼11]
카본 블랙 E 또는 F의 양을 각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표 3에 기재된 양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 25, 27, 28 및 33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낸다.
[표 3a]
Figure kpo00008
* 기타 첨가제 : 표 1 참고
* * 도장성의 평가 결과
* * * (A), (B) 및 (C)의 합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
[표 3b]
Figure kpo00009
* 기타 첨가제 : 표 1 참고
* * 도장성의 평가 결과
* * * (A), (B) 및 (C)의 합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
[실시예 36∼38]
12.5중량%의 에틸렌 및 94.2중량%의 끓는 n-헵탄에 불용인 물질을 함유하며 용융 유동 지수가 13.5g/10분인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이후 "PP-F"로 명명한다.) 75중량부, 프로필렌 함량이 59중량%이고, 100℃에서의 무니 점도가 27인 공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고무(이후 "EPR-C"로 명명한다) 20중량부 및 평균 입자 크기가 1.1μm인 활석 5중량부로 구성된 총량 100중량부에, 0.05중량부의 2, 6-디-t-부틸-4-메틸 페놀, 0.1중량부 칼슘 스테아레이트, 0.2중량부 테트라키스[메틸렌-3-(3', 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4중량부 비스(2, 2, 6, 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세이트 및 0.2중량부 2-(3-t-부틸-5-메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과, 22mμ의 평균 입자 크기 및 200㎡/g의 비표면적을 갖는 로블랙(카본블랙 G) 또는 16mμ의 평균입자 크기 및 220㎡/g의 비표면적을 갖는 채널 블랙(카본블랙 H)을 표 4에 기재된 양으로 가한다. 이런 비율의 혼합물을 헨스켈을 믹서에서 따로 혼합한 후, 배럴 직경이 40mm인 압출기에 의해 펠릿화하고, 230℃에서 유지시킨다.
이렇게 수득된 수지 조성물을 따로 주사성형하여 시험편(80×160×2mm 플레이트)을 수득한다.
이들 각 시험편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플라스마 처리한 후, 그의 도장성을 평가한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39]
평균입자크기가 1.9μm인 탄산 칼슘을 활석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6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40]
실시예 5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EPR-A를 EPR-C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6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41]
프로필렌 함량이 27중량% 이고, 100℃에서의 무니 점도가 88이며, 제 3 성분으로 에틸리덴노르보르난을 함유하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탄성 고무(이후 "EPDM"으로 명명한다)를 EPR-C 대신에 표 4에 기재된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6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42 및 43]
PP-F, EPR-C 및 활석을 표 4에 기재된 양으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6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44]
14중량%의 에틸]렌 및 85중량%의 끓는 n-헵탄에 불용인 물질을 함유하며 3.5g/10분의 용융 유동지수를 갖는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PP-G)를 EPR-C 대신에 표 4에 기재된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6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12∼16]
카본 블랙 A 또는 B를 표 5에 기재된 양으로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6, 37 및 39∼41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17∼19(범퍼의 비교 시험)]
PP-F, EPR-C 및 활석을 표 6에 기재된 양으로 혼합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각각 실시예 36과 같은 방법으로 펠릿화 한다. 수득된 펠릿시료를 주사 성형기에 의해 성형시켜 시험편을 수득한다. 시험편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다. 그의 물리적 특성의 균형, 즉 범퍼용 수지 조성물로서의 견고성 및 내충격성이 실시예 36에서 수득된 시험편에 비해 열등하기 때문에, 그의 도장성은 평가되지 않는다.
그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결과는 실시예 36에서 수득된 시험편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표 6에 나타낸다.
표 6에서, 각 용융 유동지수(MI), 굴곡의 탄성 모듈러스 및 아이조드 충격 각각 ASTM D-1238 ASTM D-790 및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다.
[표 4]
Figure kpo00010
[표 5]
Figure kpo00011
* 기타첨가제 : 표 1 참고
[표 6]
Figure kpo00012

Claims (20)

  1. 폴리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 기재의 수지를 기준으로 0.01∼0.6중량%의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성형품 제조용 폴리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본 블랙이 5∼40mμ의 평균입자크기 및 50∼1,100㎡/g의 비표면적을 갖는 수지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기재의 수지가 A) 100중량부의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B) 0∼100중량부의 열가소성 탄성체 및 C) 0∼100중량부의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며, 수지 A)에 대한 탄성체 B) 및 충전제 C)의 합의 중량비가 1.0이하인 수지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기재의 수지가 a) 100중량부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b) 7∼60중량부의 열가소성 탄성체, 및 c) 3∼30중량부의 무기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가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한가지 이상의 다른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인 수지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가 7∼30중량%의 에틸렌 및 65중량% 이상의 끓는 n-헵탄에 불용인 물질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탄성체가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탄성고무, 스티렌-부타디엔 탄성고무 또는 이소부티렌-이소프렌 탄성고무인 수지조성물.
  8. 제 4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탄성체가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탄성고무, 스티렌-부타디엔 탄성고무 또는 이소부티렌-이소프렌 탄성 고무인 수지조성물.
  9. 제 4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탄성체가 20∼90중량%의 프로필렌 함량 및 15∼100의 100℃에서의 무니 점도를 갖는 공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탄성고무인 수지조성물.
  10. 제 3 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제가 6μm 이하의 평균입자크기를 갖고, 10μm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가 5중량% 이하인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황산카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황산바륨, 아황산칼슘, 티탄칼륨, 활석, 점토, 운모, 유리분말,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 백운석 또는 규회석인 수지조성물.
  11. 제 4 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제가 6μm 이하인 평균입자크기를 갖고, 10μm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가 5중량% 이하인,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황산바륨, 아황산칼슘, 티탄 칼륨, 활석, 점토, 운모, 유리분말,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 백운석 또는 규회석인 수지조성물.
  12. 제 10 항에 있어서, 무기충전제가 탄산칼슘, 황산바륨 또는 활석인 수지조성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무기충전제가 탄산칼륨, 황산바륨 또는 활석인 수지조성물.
  14. a) 100중량부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b) 7∼60중량부의 열가소성 탄성체, c) 3∼30중량부의 무기 충전제, 및 d) 공중합체 a), 탄성체 b) 및 충전제 c)의 합계를 기준으로 0.01∼0.6중량%의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범퍼 제조용 수지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가 7∼30중량%의 에틸렌 및 65중량% 이상의 끓는 n-헵탄에 불용인 물질을 함유하는 수지조성물.
  16. 제 14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탄성체가 20∼90중량%의 프로필렌 함량 및 15∼100의 100℃에서의 무니 점도를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탄성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탄성고무인 수지조성물.
  17. 제 14 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제가 6μm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고, 10μm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가 5중량% 이하인,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황산바륨, 아황산칼슘, 티탄칼륨, 활석, 점토, 운모, 유리 분말,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 백운석 또는 규회석인 수지조성물.
  18. 제 14 항에 있어서, 카본 블랙이 5∼40mμ의 평균입자크기 및 50∼
    Figure kpo00013
    의 비표면적을 갖는 수지조성물.
  19. 폴리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성형품이 제 1∼4항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원래 제품의 형상을 갖는 제품을 플라스마처리 함으로써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기재의 수지조성물.
  20. 범퍼를 a) 100중량부의 결정성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b) 7∼60중량부의 열가소성 탄성체, c) 3∼30중량부의 무기 충전제, 및 d) 공중합체 a), 탄성체 b) 및 충전제 c)의 합계를 기준으로 0.01∼0.6중량%의 카본블랙을 함유하는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범퍼제조용 수지조성물로부터 성형하고, 그의 표면에 플라스마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도장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범퍼.
KR1019860002127A 1985-03-22 1986-03-21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조성물 KR900002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55944 1985-03-22
JP60055944A JPH0627238B2 (ja) 1985-03-22 1985-03-22 塗装バンパ−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55944 1985-03-22
JP60059586A JPH0811774B2 (ja) 1985-03-26 1985-03-26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の塗装方法
JP60-59585 1985-03-26
JP60059585A JPH0811773B2 (ja) 1985-03-26 1985-03-26 フィラー含有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の塗装方法
JP59585 1985-03-26
JP59586 1985-03-26
JP60-59586 1985-03-26
JP60-69049 1985-04-03
JP69049 1985-04-03
JP60069049A JPS61228029A (ja) 1985-04-03 1985-04-03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成形品の塗装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318A KR860007318A (ko) 1986-10-10
KR900002859B1 true KR900002859B1 (ko) 1990-05-01

Family

ID=2746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127A KR900002859B1 (ko) 1985-03-22 1986-03-21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34450A (ko)
EP (1) EP0200340B1 (ko)
KR (1) KR900002859B1 (ko)
CN (1) CN1003648B (ko)
CA (1) CA1314644C (ko)
DE (1) DE3689861T2 (ko)
IN (1) IN1649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506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삼양사 마이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5252A (ja) * 1986-10-13 1988-04-26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SE466312B (sv) * 1987-05-11 1992-01-27 Tetra Pak Holdings Sa Behaallarlock med aaterfoerslutbar oeppningsanordning innefattande en polyolefin och oorganiskt fyllmedel
US5095213A (en) * 1988-11-03 1992-03-10 Syntex (U.S.A.) Inc. Method of using an opaque plastic microscope slide for epi-fluorescent microscopy
DE3841457A1 (de) * 1988-12-09 1990-06-13 Schoeller F Jun Gmbh Co Kg Kunststoffkonzentrat zur herstellung einer beschichtungsmasse fuer fotografische schichttraeger
US5116540A (en) * 1989-03-03 1992-05-26 Ferro Corporation Free-radical modified carbon black filled polypropylenes
EP0423508A1 (en) * 1989-10-20 1991-04-24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ing compositions
US5214088A (en) * 1989-10-20 1993-05-25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ly dense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US5399608A (en) * 1989-10-20 1995-03-21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ly dense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US5247007A (en) * 1990-03-16 1993-09-21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ating molded products of the resin composition
WO1991016716A1 (en) * 1990-04-24 1991-10-31 Ferro Corporation Free-radical modified carbon black filled polypropylenes
US6045921A (en) 1991-02-07 2000-04-04 Cadillac Products, Inc. Shield for water and sound
US5409779A (en) * 1991-02-07 1995-04-25 Cadillac Products, Inc. Shield for water and sound
JP2902496B2 (ja) * 1991-03-28 1999-06-07 宇部興産株式会社 自動車バンパー用樹脂組成物
JPH05271532A (ja) * 1992-03-27 1993-10-19 Sumitomo Chem Co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US5441997A (en) * 1992-12-22 1995-08-15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density polyester-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
US5346767A (en) * 1992-12-22 1994-09-13 General Electric Company Abrasion resistant highly filled polyester compositions
CA2103420A1 (en) * 1992-12-22 1994-06-23 Eileen B. Walsh Stabiliz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polybutylene terephthalate/polyester blends with phosphorus compounds
US5420183A (en) * 1993-07-06 1995-05-30 Hpg International, Inc.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composition
US5484838A (en) * 1994-12-22 1996-01-16 Ford Motor Company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modified electrical conductivity
US5674931A (en) * 1995-04-07 1997-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heavily filled thermoplastic composition
US5844037A (en) * 1996-07-24 1998-12-01 The Dow Chemical Company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with modified electrical conductivity
US6120863A (en) * 1996-10-18 2000-09-19 Fort James Corporation Disposable food contact compatible microwaveable containers having at least one micronodular surface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US6211500B1 (en) 1998-03-20 2001-04-03 Fort James Corporation Disposable, microwaveable containers having suitable food contact compatible olfactory propertie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US6211501B1 (en) 1998-03-20 2001-04-03 Fort James Corporation Thermoformed polypropylene mineral-filled microwaveable containers having food contact compatible olfactory propertie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US6211275B1 (en) * 1998-11-10 2001-04-03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Wood substitu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6241096B1 (en) 1999-06-18 2001-06-05 Fort James Corporation Disposable servingware with nesting resistant flange patterns
USD434604S (en) * 1999-06-18 2000-12-05 Fort James Corporation Flange pattern for a disposable food serving bowl
US6401962B1 (en) 1999-07-02 2002-06-11 Fort James Corporation Disposable food serving bowl
US6474497B1 (en) 1999-07-02 2002-11-05 Fort James Corporation Smooth profiled food service articles
US6440509B1 (en) 1999-07-16 2002-08-27 Fort James Corporation Compartmented disposable plate with asymmetric rib geometry
DE10025427A1 (de) * 2000-05-24 2001-12-06 Sachtleben Chemie Gmbh Verwendung eines modifizierten Polypropylencompounds für die Herstellung von Anbauteilen in der Automobilindustrie
US6756440B2 (en) 2000-12-12 2004-06-2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ire 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electrical wire having fire resistant covering
US6881937B2 (en) * 2002-03-22 2005-04-19 Fort James Corporation Thermoformed food containers with enhanced rigidity
WO2005083721A1 (en) * 2004-02-10 2005-09-0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ally-dissipative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US7819790B2 (en) * 2004-02-20 2010-10-26 Dixie Consumer Products Llc Apparatus for making paperboard pressware with controlled blank feed
US20070104923A1 (en) * 2005-11-04 2007-05-10 Whitaker Robert H Novel mineral composition
US7651559B2 (en) * 2005-11-04 2010-01-26 Franklin Industrial Minerals Mineral composition
CN101270212B (zh) * 2007-03-22 2010-10-2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可激光标记的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090179039A1 (en) * 2008-01-11 2009-07-16 Tim Cimmerer Domed casserole roaster container
US20150086785A1 (en) * 2012-03-31 2015-03-26 American Selenite, Llc Reinforced polyolefin compositions and related products and methods
CN108373565B (zh) * 2018-03-19 2020-07-1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化学品、耐划伤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117064B (zh) * 2019-12-23 2021-11-1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1821A (en) * 1956-01-23 1960-09-06 Union Carbide Corp Pigmented polyethylene extrusion composition
NL124403C (ko) * 1959-05-27
US3206419A (en) * 1960-07-22 1965-09-14 Phillips Petroleum Co Dispersion of carbon black in polyolefins
US3422056A (en) * 1965-07-14 1969-01-14 Polymer Dispersions Inc Process of preparing isotactic polypropylene and carbon black mixtures
AT286404B (de) * 1968-07-08 1970-12-10 Felten & Guilleaume Carlswerk Hochspannungskabel
ZA731339B (en) * 1972-03-23 1974-05-29 Cabot Corp Black-pigmented olefin polymer compositions
US3775365A (en) * 1972-06-14 1973-11-27 Phillips Petroleum Co Production of polypropylene fibers
US3963647A (en) * 1974-08-22 1976-06-15 E. I. Du Pont De Memours And Company Electrostatically paintable injection moldable blend of propylene polymer, ethylene/higher α-olefin copolymer rubber and carbon black
JPS5531103A (en) * 1978-08-16 1980-03-05 Sumitomo Naugatuck Co Ltd Production of plated product
JPS5723642A (en) * 1980-07-17 1982-02-06 Mitsubishi Petrochem Co Ltd Olefinic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filler
US4421678A (en) * 1980-12-29 1983-12-20 Union Carbide Corporatio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ions comprising an ethylene polymer, a mineral filler and an oiled, electrically conductive carbon black
JPS57207630A (en) * 1981-06-15 1982-12-20 Toa Nenryo Kogyo Kk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GB2111071B (en) * 1981-09-16 1985-04-03 Mitsubishi Petrochemical Co Moldable composition containing propylene polymer
JPS58213043A (ja) * 1982-06-04 1983-12-10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S60197763A (ja) * 1984-03-21 1985-10-07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カ−ボンブラツク配合抵抗体
JPS60228552A (ja) * 1984-04-27 1985-11-13 Ube Ind Ltd ガラス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5506A (ko) *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삼양사 마이카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318A (ko) 1986-10-10
EP0200340B1 (en) 1994-06-01
EP0200340A3 (en) 1989-06-14
DE3689861T2 (de) 1994-10-20
DE3689861D1 (de) 1994-07-07
CN1003648B (zh) 1989-03-22
EP0200340A2 (en) 1986-11-05
CA1314644C (en) 1993-03-16
CN86102709A (zh) 1986-11-19
US4734450A (en) 1988-03-29
IN164905B (ko) 198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859B1 (ko) 폴리 프로필렌 기재의 수지 조성물
KR900000910B1 (ko) 폴리프로필렌-기초 수지 조성물
US4735988A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KR860000770B1 (ko)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CA1248270A (en) Improved polyolefi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U727936B2 (en) Polyprolylene resin compositions and interior automotive trim parts
JPS6042448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US5324771A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coating process for moldings thereof and its coated moldings
US6034177A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KR101836622B1 (ko)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5194804A (ja) 強化ポリプロピレン成形用組成物
JPH04275351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成形用材料
JPS61215643A (ja) 塗装バンパ−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243243A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3352815B2 (ja) ブロー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塗装樹脂成形体
EP0447271A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ating molded products of the resin compositions
JPS6122802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成形品の塗装方法
JPS61233048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564660B2 (ko)
JPH0811773B2 (ja) フィラー含有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の塗装方法
KR880000268B1 (ko) 폴리프로필렌-기본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JPS63128045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S6341552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S62119243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JPS59189146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