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622B1 -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622B1
KR101836622B1 KR1020160049343A KR20160049343A KR101836622B1 KR 101836622 B1 KR101836622 B1 KR 101836622B1 KR 1020160049343 A KR1020160049343 A KR 1020160049343A KR 20160049343 A KR20160049343 A KR 20160049343A KR 101836622 B1 KR101836622 B1 KR 101836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automobile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885A (ko
Inventor
최민진
최영호
김영인
성한기
설재원
정진형
김상목
장충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원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원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62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08K7/20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0Organic dyes or pigments; Optical brighten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2Fillers; Inorganic pigments; Reinforc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에 요구되는 고광택성, 고강성, 고유동성, 내스크래치성을 가질 수 있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 내지 30 중량%, (B)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0 내지 65중량%, (C)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5 내지 20 중량%, (D) 스티렌계 중합체 고무 5 내지 15 중량%, (E) 실리콘 마스터배치 3 내지 5 중량%, (F) 무기충전제 5 내지 15 중량%, (G) 글라스비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며, (H) 광택안료 0.1 내지 1.0 중량% 및 (I) 유기 또는 무기안료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고유동성 확보를 통한 사출 성형품 외관품질 개선 및 박육화 부품소재 적용 가능성을 증대할 수 있고, 광택 안료와 무기 안료만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도장 외관 특유의 착색감, 도장감, 고광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for the Non-Paint Exterior Automotive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에 요구되는 고광택성, 고강성, 고유동성, 내스크래치성을 가질 수 있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외장부품의 제조비용 절감과 환경대응 목적으로 무도장화를 구현하기 위해 많은 적용사례들이 있어 왔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경우 저비중, 저비용, 내화학성, 내충격성 등의 장점으로 자동차 내·외장재 부품소재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폴리프로필렌의 무도장화 적용은 사출 성형 후 외관 문제(Weld Line, Sink, Flow Mark 등)와 고광택성, 내스크래치성 등 도장 특유의 장점들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의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착색감을 높이면서 고광택성을 발현하여 도장 특유의 외관을 구현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수지에 스티렌계 중합체 고무와 결정핵제를 적용하여 수지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내스크래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무기필러를 소량 투입하거나 전혀 넣지 않는 방법으로 개선하려는 사례들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낮은 무기필러의 함량과 고유동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선택의 폭이 제한적이어서, 성형품의 치수 안정성, 기계적 물성, 내열성, 박육화 부품의 성형성 문제 등 안정적인 소재 물성의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특히, 도장 특유의 고급스러운 외관을 발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자동차 무도장 부품소재로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관련 선행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5256호에는 폴리프로필렌과 고무 혼합물에 핵제 및 블랙 안료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투명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경도가 낮은 특성 때문에 내스크래치성이 취약하고 높은 수축으로 인한 치수 문제가 있어 무도장 외장 부품에 실제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무도장 외장부품에 요구되는 고광택성, 고강성, 고유동성, 내스크래치성을 구현하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05256호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무도장 외장부품에 요구되는 고광택성, 고강성, 고유동성, 내스크래치성을 가질수 있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 내지 30 중량%, (B)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0 내지 65중량%, (C)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5 내지 20 중량%, (D) 스티렌계 중합체 고무 5 내지15 중량%, (E) 실리콘 마스터배치 3 내지 5 중량%, (F) 무기충전제 5 내지 15 중량% 및 (G) 글라스비드 0.1 내지 5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H) 광택안료 0.1 내지 1.0 중량% 및 (I) 유기 또는 무기안료 0.1 내지 1.0 중량%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용융지수가 30 내지 60g/10분(230℃, 2.16kg)이고, 열변형온도가 135 내지 145℃이고, 크실렌 용해성(xylene soluble) 함량은 0.5 내지 3.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30 내지 110g/10분(230℃, 2.16kg)이고, 열 변형온도가 125 내지 135℃이고, 에틸렌 함량이 3.0 내지 6.0 중량% 이고, 크실렌 용해성(xylene soluble) 함량은 6.0 내지 12.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충전재는 평균 입도 3.0 내지 7.0㎛ 범위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글라스비드는 평균입도가 0.1 내지 75㎛이고, 굴절률이 1.9 내지 2.2 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택안료는 판상의 형태로 평균 입경 5 내지 75㎛ 범위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고유동성 확보를 통한 사출 성형품 외관품질 개선 및 박육화 부품소재 적용 가능성을 증대할 수 있고, 유기 또는 무기 안료만으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도장 외관 특유의 착색감, 도장감, 고광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자동차 외장부품용으로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계적 물성을 향상 시키면서 내스크래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A)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 내지 30 중량%, (B)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0 내지 65 중량%, (C)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5 내지 20 중량%, (D) 스티렌계 중합체 고무 5 내지 15 중량%, (E) 실리콘 마스터배치 3 내지 5 중량%, (F) 무기충전제 5 내지 15 중량%, (G) 글라스비드 0.1 내지 5 중량%, (H) 광택안료 0.1 내지 1.0 중량% 및 (I) 유기 또는 무기안료 0.1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용융지수가 30 내지 60g/10분(230℃, 2.16kg)이고, 열변형온도가 135 내지 145℃ 이고, 크실렌 용해성(xylene soluble) 함량은 0.5 내지 3.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용융지수가 30g/10분(230℃, 2.16kg) 미만인 경우 조성물에 대한 용융지수가 저하되어 사출 성형 시 미성형 현상이 발생되며, 용융지수가 60g/10분(230℃, 2.16kg) 초과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열변형 온도가 135℃ 미만인 경우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145℃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료가 딱딱해져 성형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크실렌 용해성(xylene soluble) 함량(중량%)은 중합체의 중요한 특성이고, 중합체의 입체특이성에 대한 지표이다. 중합체 수지의 강성 및 인성과, 그 외에도 중합체 수지의 처리 중의 행동방식이 크실렌 용해성 함량에 의해 광범위하게 지배되기 때문에, 용도에 대한 특정 중합체의 유용성에 대해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30 내지 110g/10분(230℃, 2.16kg)이고, 열 변형온도가 125 내지 135℃이고, 에틸렌 함량이 3.0 내지 6.0 중량%이고, 크실렌 용해성(xylene soluble) 함량 6.0 내지 12.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는 밀도가 0.855 내지 0.875 g/㎤ 이고, 용융지수가 0.5 내지 30g/10분(190℃, 2.16kg), 유리전이온도는 -32℃ 내지 -58℃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는 예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사이클로 펜타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1,4-헥사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시클로 펜타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메틸렌 노보넨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에틸리덴 노보덴 고무 또는 결정성 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CEBC)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 고무는 스티렌 함량 20 내지 40중량%, 밀도 0.90~0.95 g/㎤, 용융지수 0.5 내지 10g/10분(200℃, 5kg), 경도 60 내지 90(쇼아 A)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중합체 고무로는 예로서, 수소화된 스틸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EBS), 수소화된 스틸렌 부타디엔 고무(HSBR), 스틸렌-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EBC) 및 결정성 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CEBC) 등을 들 수 있다.
고무성분은 조성물에 탄성과 유연성을 부여하고 중합체 수지와 혼합되어 충격성을 향상시키며, 수축율 조절 역할을 한다.
상기 실리콘 마스터배치는 폴리프로필렌-실리콘 마스터배치로 폴리프로필렌 50중량%, 초고분자량(Ultra High Molecular Weight, UHMW) 실록산 수지 50중량%를 조성으로 하는 마스터배치일 수 있다.
실리콘 마스터배치는 슬립성을 향상시키고, 흠 및 스크래치 방지 특성을 증진시키는 등 표면기능을 더욱 개선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리콘 소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유체 및 기타 첨가제의 이탈을 막아준다.
상기 무기 충전재는 평균 입도 3.0 내지 7.0㎛ 범위의 무기물일 수 있으며, 보다 적합하게는 탈크(Talc)일 수 있다. 탈크는 기계적 강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탈크의 평균입경이 7㎛을 넘으면 비표면적을 충분히 크게 할 수가 없고 조성물의 경도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글라스비드는 평균 입도 0.1 내지 75㎛ 범위, 굴절률 1.9 내지 2.2 범위 일 수 있다. 글라스비드는 광확산제로서 빛이 조명될 때 효과적으로 반사되면서 광택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평균입도가 0.1㎛ 미만일 경우 입자크기가 너무 작아 광택성의 효과를 충분히 가져올 수 없으며 75㎛ 초과되는 경우 분산성이 떨어지며,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글라스비드는 티탄바륨(Titan Barium) 타입의 글라스일 수 있다.
상기 광택안료는 판상의 형태로 평균 입경 5 내지 75㎛ 범위의 광택안료 일 수 있으며, 보다 적합하게는 알루미늄 안료로 0.1 내지 1.0 중량% 범위 일 수 있다.
그리고 광택안료는 펄 또는 메탈안료에서 선택된 광택안료일 수 있다. 광택안료는 제품의 성형 후 도장품과 유사한 금속질감 및 광택성을 나타내고 웰드라인의 발생을 최소화 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을 감소시키며 외관의 품질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유기 또는 무기 안료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안료 중 유기안료는 아조계 안료 등을 들 수 있으며, 황색, 청색, 적색 등을 조합하여 무기안료로는 구현할 수 없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안료로 밝은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이산화티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어두운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카본 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경우에 따라 안료, 핵제, 내후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분산제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자동차 부품의 사이드 몰드, 사이드 가니쉬, 스키드 플레이트, 휠 커버, 범퍼, 라커 몰딩 등의 부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5
하기 표 1 에 나타낸 성분들을 그 기재된 함량으로 믹서(mixer)에 투입하고 잘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압출기(extruder)를 이용하여, 180 내지 230℃의 온도구간에서 용융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수분에 의한 물성의 약화를 고려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건조된 조성물을 사출기를 사용하여 사출성형 하였고, 이를 상온에서 2일 방치한 후 물성 테스트를 위한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들을 그 기재된 함량만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조성물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조성성분(중량:%)
A B C D E F G H I
실시예 1 30 31 20 5 3 8 2 0.5 0.5
2 20 46 15 5 3 8 2 0.5 0.5
3 5 60 14 5 3 8 4 0.5 0.5
4 10 51 10 10 4 11 2 1 1
5 10 47 15 5 5 14 2 1 1
비교예 1 30 34 20 5 3 7 - 0.5 0.5
2 76 - 15 5 3 - - 0.5 0.5
3 65 - 14 5 3 8 4 0.5 0.5
4 - 65 12 10 1 10 - 1 1
5 62 - 15 5 3 13 - 1 1
상기 표 1에 기재된 A 내지 I의 조성물 및 각 성분의 특성은 표 2와 같다.
구분 조 성 물 각 성분의 특성
A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용융지수 30~60g/10분(230℃, 2.16kg), 열변형온도 135~145℃, 크실렌 용해성(Xylene Soluble) 함량 0.5~3.0 중량%
B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용융지수 30~110g/10분(230℃, 2.16kg), 열변형온도 125~135℃, 에틸렌 함량 3.0~6.0 중량%, 크실렌 용해성(Xylene Soluble) 함량 6.0~12.0 중량%
C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밀도 0.855~0.875 g/㎤, 용융지수 0.5~30g/10분(190℃, 2.16kg), 유리전이온도 -32℃ ~ -58℃
D 스티렌계 중합체 고무 스티렌 함량 20~40 중량%, 밀도 0.90~0.95 g/㎤, 용융지수 0.5~10g/10분(200℃, 5kg), 경도 77(쇼아 A)
E 실리콘 마스터배치 폴리프로필렌 50 중량%, 초고분자량(UHMW)인 실록산 수지 50 중량%를 조성으로 하는 마스터배치
F 무기충전제 평균 입도 3.0~7.0㎛ 범위의 탈크(Talc)
G 고휘도 글라스비드 평균 입도 0.1~75㎛ 범위, 굴절률 1.9~2.2 범위, 티탄바륨(Titan Barium) 타입의 글라스
H 광택안료 판상의 형태로 평균 입경 5~75㎛ 범위의 알루미늄 안료, 0.1~1.0 중량% 범위 사용
I 유기 또는 무기안료 화이트(밝은) 칼라를 구현하기 위해서 이산화티탄 사용
블랙(어두운) 칼라를 구현하기 위해서 High Black Carbon을 사용
시험예
물성측정방법
(1) 유동성 평가
ASTM D1238에 규정된 방법에 의하여 230℃, 2.16kg의 조건하에서 용융흐름지수(g/10분)를 측정하였다.
(2) 내충격성 평가
1/4“ 두께의 노치된(notched) 아이조드 충격강도 측정용 시편으로 ASTM D256에 규정된 방법으로 아이조드충격강도(단위:J/m)를 측정하였다.
(3) 강성 평가
ASTM D790에 규정된 방법에 의하여 굴곡탄성율을 측정하였다.(단위: MPa)
(4) 내열성 평가
ASTM D648에 규정된 방법에 의하여 열변형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를 측정하였다.
(5) 내스크래치성 평가
하중 10N, 긁힘길이 40mm 이상, 간격 2mm 이상, 긁힘속도 1000mm/분, 긁힘자 Φ 1mm (0.5R) 텅스텐 재질, 긁힘횟수 가로/세로 20회, 측정장비 광원 D65(d/8°, Spin sphere)의 평가조건으로 2mm 간격으로 20 개이상씩 격자무늬로 스크래치를 만들고 스크래치 평가 전과 후의 L 값을 측정하여 (스크래치 후 L 값- 초기 L 값) Δ L 값을 계산하였으며, Δ L이 1.2이하이면 양호하다고 판단하였다.
(6) 광택도 평가
Glossmeter를 사용하여 60도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광택도가 75% 이상인 경우 외관이 양호한다고 판단하였다.
(7) 외관 평가
1.8mm 두께의 100x350(가로/세로) 시편을 같은 성형조건으로 사출하여 메탈감이 우수하고 웰드라인, 플로우마크, 미성형 등의 외관불량이 없을시 양호로 기재하고 메탈감이 열세하고 외관불량이 있을시 불량으로 기재였다.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물성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물 성
용융 흐름 지수 아이조드충격강도 강성 열변형온도 내스크래치성 광택도 외관
g/10분 J/m MPa dL GU -
실시예 1 41 350 1700 121 0.38 78 양호
2 53 340 1620 120 0.40 77 양호
3 60 365 1610 122 0.50 81 양호
4 56 300 1750 123 0.80 76 양호
5 54 285 1810 125 0.95 75 양호
비교예 1 31 365 1600 118 0.57 79 불량
2 32 175 850 113 0.42 85 양호
3 31 135 1150 117 0.37 77 양호
4 62 310 1320 115 1.95 73 불량
5 32 130 1350 118 1.12 71 불량
상기 실시예 1내지 5에 따라 제조된 시편의 경우, 유동성, 충격강도, 강성, 열변형온도, 내스크래치성이 모두 우수한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글라스비드를 적용하기 않아 외관이 불량하며, 비교예 2의 경우 무기충전제를 적용하지 않아 강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비교예 2, 3, 5와 같이 기초수지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만을 사용했을 경우 충격강도, 강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 5의 경우 글라스비드를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 금속특성의 외관을 구현하기가 어렵고 내스크래치성도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A) 용융지수가 30 내지 60g/10분(230℃, 2.16kg)이고, 열변형온도가 135 내지 145℃이고, 크실렌 용해성(xylene soluble) 함량은 0.5 내지 3.0 중량%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5 내지 30 중량%,
    (B)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0 내지 65 중량%,
    (C)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5 내지 20 중량%,
    (D) 스티렌계 중합체 고무 5 내지 15 중량%,
    (E) 실리콘 마스터배치 3 내지 5 중량%,
    (F) 무기충전제 5 내지 15 중량% 및
    (G) 글라스비드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H) 광택안료 0.1 내지 1.0 중량% 및 (I) 유기 또는 무기안료 0.1 내지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30 내지 110g/10분(230℃, 2.16kg)이고, 열 변형온도가 125 내지 135℃이고, 에틸렌 함량이 3.0 내지 6.0 중량% 이고, 크실렌 용해성(xylene soluble) 함량은 6.0 내지 1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재는 평균 입도 3.0 내지 7.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비드는 평균입도가 0.1 내지 75㎛이고, 굴절률이 1.9 내지 2.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택안료는 판상의 형태로 평균 입경 5 내지 7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품.
KR1020160049343A 2016-04-22 2016-04-22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836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43A KR101836622B1 (ko) 2016-04-22 2016-04-22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43A KR101836622B1 (ko) 2016-04-22 2016-04-22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85A KR20170120885A (ko) 2017-11-01
KR101836622B1 true KR101836622B1 (ko) 2018-03-08

Family

ID=6038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343A KR101836622B1 (ko) 2016-04-22 2016-04-22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5354B2 (en) 2019-12-13 2023-05-23 Hyundai Motor Company Coating-free metall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tallic texture and glo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080B1 (ko) * 2017-12-29 2019-12-02 한화토탈 주식회사 내스크래치 성능이 우수한 무도장용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127349B1 (ko) * 2019-01-14 2020-06-26 대원케미칼주식회사 플로우 마크가 개선된 무도장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2025697A1 (ko) * 2020-07-30 2022-0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5354B2 (en) 2019-12-13 2023-05-23 Hyundai Motor Company Coating-free metalli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tallic texture and g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85A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7753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creating fabric texture
JP5188676B2 (ja) 光輝材含有樹脂組成物
US7208536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anti-scratch characteristics
KR101836622B1 (ko) 자동차 무도장 외장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35228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KR101947230B1 (ko) 무도장용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H0228232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76057B1 (ko) 천질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66123A (ko)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14194B1 (ko) 고유동 고내충격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152672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2212543A (ja) バンパー用樹脂組成物
JP5703202B2 (ja) 射出成形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射出成形体
JP2003286383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射出成形体
CN113039050B (zh) 高光泽黑色tpo替代漆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00079612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1352760B1 (ko) 저 비중, 내스크래치 및 외관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876021B1 (ko)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987575B1 (ko) 내백화 특성을 갖는 무도장용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4481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84860B1 (ko) 스크래치 및 휨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4292723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1309994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9942951B (zh) 聚丙烯树脂组合物和由其制造的车辆内外饰材料用成型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