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123A -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123A
KR20190066123A KR1020170165532A KR20170165532A KR20190066123A KR 20190066123 A KR20190066123 A KR 20190066123A KR 1020170165532 A KR1020170165532 A KR 1020170165532A KR 20170165532 A KR20170165532 A KR 20170165532A KR 20190066123 A KR20190066123 A KR 20190066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resin composition
weight
molecular weight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990B1 (ko
Inventor
장경훈
안부연
한인수
김대식
이슬
이병호
김철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화토탈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화토탈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990B1/ko
Priority to US16/165,278 priority patent/US11046845B2/en
Priority to CN201811306149.7A priority patent/CN109867900B/zh
Priority to DE102018128371.7A priority patent/DE102018128371B4/de
Publication of KR2019006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 C08F297/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 C08F297/08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the monomers being ethylene or 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0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Abstract

본 발명은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PI(Polydispersity Index)가 4.5 ~ 6.5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 350,000g/mol이며, C13-NMR법에 의한 아이소탁틱 펩타드분율이 96% 이상인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50 ~ 80 중량%; 용융지수가 1 ~ 6 g/10min(230 ℃, 2.16Kg)인 고무 1 ~ 30 중량%; 탈크 10 ~ 20 중량% 및 휘스커 1 ~ 10 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기필러 11~30 중량%; 및 내스크래치제 1 ~ 5 중량%;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UNCOATED CRASH PAD}
본 발명은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용융지수 및 분자량 분포가 서로 다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혼합 사용하고, 고무로 에틸렌-옥텐계 고무 및 SEBS계 고무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고무로 에틸렌-옥텐계 고무 및 SEBS계 고무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무기필러로 탈크 및 휘스커를 사용하고, 내스크래치제로 합성실리콘과 개질된 폴리에틸렌왁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이들 성분들을 필수 구성성분으로 하여 혼합함으로써 외관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강성, 충격특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특성이 향상된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하드 IP용 크래쉬 패드의 경우는 사출 부품인 크래쉬 패드 메인 판넬에 도장을 하여 부품의 외관과 내스크래치 성능을 향상시켰으나, 이 경우 도장 공정 자체로 인한 제품의 공정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무도장의 크래쉬 패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품 자체로 고외관 및 내스크래치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내장재로 개발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중에 내충격성, 강도 등의 물성을 개선한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나, 무도장 상태에서는 외관특성 및 내스크래치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키지는 못하였다.
종래 한국등록특허 제10-0898046호에서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옥타디엔 고무, 탈크, 폴리프로필렌-그라프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해 개시되어 있으나, 표면 외관이 불량하고, 충격강도가 낮아 고충격을 요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도장공정을 삭제함에 따라 우려되는 외관 불량문제를 개선하는 동시에 내스크래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소재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8046호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용융지수 및 분자량 분포가 서로 다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혼합 사용하고, 고무로 에틸렌-옥텐계 고무 및 SEBS계 고무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무기필러로 탈크 및 휘스커를 사용하고, 내스크래치제로 합성실리콘과 개질된 폴리에틸렌왁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이들 성분들을 필수 구성성분으로 하여 적정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외관 불량 문제를 개선하고, 부품의 강성 및 충격특성과 내스크래치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어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강성, 충격특성 및 내스크래치성 등의 물성특성이 향상된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PI(Polydispersity Index)가 4.5 ~ 6.5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 350,000 g/mol이며, C13-NMR법에 의한 아이소탁틱 펩타드분율이 96% 이상인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50 ~ 80 중량%; 용융지수가 1 ~ 6 g/10min(230 ℃, 2.16Kg)인 고무 1 ~ 30 중량%; 탈크 10 ~ 20 중량% 및 휘스커 1 ~ 10 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기필러 11~30 중량%; 및 내스크래치제 1 ~ 5 중량%;를 포함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용융지수 및 분자량 분포가 서로 다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혼합 사용하고, 고무로 에틸렌-옥텐계 고무 및 SEBS계 고무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수지의 흐름성을 극대화하여 플로우 마크(flow mark), 용접선(weld line) 형성 등의 외관 불량 문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표면외관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무기필러로 탈크 및 휘스커를 혼합 사용하고, 내스크래치제로 합성실리콘과 개질된 폴리에틸렌왁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적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부품의 강성 및 충격특성과 내스크래치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밀도 하향으로 중량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금형 이형이 용이하며, 기존 도장공정 대비 무기물 함량을 낮추고 도장공정의 삭제로 공정 단순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도장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내 공기질 오염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테스트 시편의 표면외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테스트 시편의 표면외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PI(Polydispersity Index)가 4.5 ~ 6.5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 350000/mol이며, C13-NMR법에 의한 아이소탁틱 펩타드분율이 96% 이상인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50 ~ 80 중량%; 용융지수가 1 ~ 6 g/10min(230 ℃, 2.16Kg)인 고무 1 ~ 30 중량%; 탈크 10 ~ 20 중량% 및 휘스커 1 ~ 10 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기필러 11~30 중량%; 및 내스크래치제 1 ~ 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아이소탁틱 지수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아이소탁틱 지수가 높을수록 결정성이 커지는 특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C13-NMR법에 의한 아이소탁틱 펩타드분율이 96% 이상의 높은 수지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PI(Polydispersity Index)가 4.5 ~ 6.5인 것을 사용하는데, 이때 PI가 4.5 미만이면 외관 플로우 마크(flow mark) 특성이 나빠질 수 있고, 반대로 6.5 초과이면 강성 등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 350000g/mol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호모폴리프로필렌 및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은 분자량 분포(MWD)가 6~8로 넓게 분포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250000 g/mol이고, 용융지수가 10~30 g/10min(230 ℃, 2.16Kg)인 것을 사용하여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은 분자량 분포가 6 미만이면 사출 성형성이 나빠지며, 8 초과이면 강성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용융지수가 10 g/10min 미만이면 흐름성이 떨어지며, 30 g/10min 초과이면 탄성율이 낮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25 g/10min(230 ℃, 2.16Kg)인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분자량 분포(MWD)란 중량평균분자량(Mw)를 수평균분자량(Mn)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며, 이러한 분자량 분포는 가공 성형성과 물성과도 많은 연관이 있는데, 분자량 분포(MWD)가 낮을수록 강성 및 충격 등의 밸런스가 좋으나, 사출 성형성은 떨어질 수 있고, 반대로 분자량 분포(MWD)가 높을수록 사출 성형성은 우수하나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은 호모폴리프로필렌 85~90 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10~15 중량%가 공중합된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 함량이 블록코폴리프로필렌 총 함량에 대하여 3~8 중량%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은 분자량 분포(MWD)가 7~12로 넓게 분포되고, 용융지수가 20~100 g/10min(230 ℃, 2.16K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350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은 분자량 분포가 7 미만이면 충격은 좋아지나 가공성이 나빠지며, 12 초과이면 흐름성은 좋으나 강성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은 중대형 부품에서 쉽게 관찰되는 플로우 마크(flow mark)를 개선하기 위해 분자량분포가 넓고 용융지수가 각각 다른 2종의 블록코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혼합하여 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ⅰ) 용융지수가 20~40 g/10min(230 ℃, 2.16Kg)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350000 g/mol인 블록코폴리프로필렌 및 (ⅱ) 용융지수가 60~100 g/10min(230 ℃, 2.16Kg)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250000 g/mol인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ⅰ)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은 분자량 분포(MWD)가 7 이상인 것으로 용융지수가 20 g/10min 미만이면 유동성이 떨어질 수 있고, 40 g/10min 초과이면 충격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35 g/10min(230 ℃, 2.16Kg)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ⅱ)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가 60 g/10min 미만이면 사출 성형성이 떨어질 수 있고, 100 g/10min 초과이면 유동성은 우수하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0~90 g/10min(230 ℃, 2.16Kg)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 용융지수가 20~40 g/10min(230 ℃, 2.16Kg)인 블록코폴리프로필렌 및 용융지수가 60~100 g/10min(230 ℃, 2.16Kg)인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이 1: 1: 3~6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1: 3.6~5.7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고무는 저온(-30 ℃)에서의 충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에틸렌-옥텐계 고무와 스타이렌-에틸렌-부타디엔-스타이렌계 고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렌-옥텐(EO) 고무 및 스타이렌-에틸렌-부타디엔-스타이렌(SEBS) 고무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2 성분을 혼합 사용할 때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에 사용하기 적합한 정도의 유연성을 얻을 수 있으며, 저온 충격성 등의 충격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무는 1~30 중량%를 혼합하는데,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저온 충격성 효과가 미미하고 부품 외관에 버(burr) 등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30 중량% 초과이면 과량의 고무를 사용함으로 인해 강성 및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부품 표면에 플로우 마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무기필러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균입경이 0.1~1 ㎛인 탈크와 종횡비(aspect ratio)가 10~50인 침상형의 휘스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는 그 함량이 11~30 중량%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11 중량% 미만이면 굴곡탄성률이 저하될 수 있고, 30 중량% 초과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크는 특히 강성 및 충격 성능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 평균입경이 0.1~1 ㎛로 미세한 크기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탈크의 평균입경이 0.1 ㎛ 미만이면 압출 가공 시 분산을 시킬 수 없고, 1 ㎛ 초과이면 강성 및 충격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크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 중량% 초과이면 충격강도가 저하되며 내스크래치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0.3~0.7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휘스커는 종횡비(aspect ratio)가 10~50이고, 침상형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휘스커의 종횡비가 10 미만이면 강성 향상 효과가 미비하며, 50 초과이면 이방성이 높아져서 뒤틀림 등 후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강성과 치수 등의 균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종횡비가 20~4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휘스커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 초과이면 부품에 요구되는 내스크래치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내스크래치제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의 내스크래치 특성을 향상시시키기 위해 합성 실리콘 및 개질된 폴리에틸렌 왁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내스크래치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질된 폴리에틸렌 왁스는 말레산 무수물이 그래프트된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graft-maleic anhydride)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내스크래치제로 실록산(siloxane)과 폴리올레핀(polyolefin)이 합성된 실리콘 M/B를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내스크래치제는 합성실리콘으로 실록산과 폴리올레핀을 바로 합성하지 않고 상기 개질된 폴리에틸렌 왁스와 동시에 혼합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스크래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표면 이동(migration)을 최소화하여 부품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내스크래치성을 극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내스크래치제는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내스크래치성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 초과이면 굴곡탄성률이 저하되어 부품표면에 플로우 마크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가 25~43 g/10min(230 ℃, 2.16Kg)이고, 굴곡탄성률이 1500~2300 MPa이며,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가 450~510 J/m인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용융지수 및 분자량 분포가 서로 다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혼합 사용하고, 고무로 에틸렌-옥텐계 고무 및 SEBS계 고무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수지의 흐름성을 극대화하여 플로우 마크(flow mark), 용접선(weld line) 형성 등의 외관 불량 문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표면외관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무기필러로 탈크 및 휘스커를 혼합 사용하고, 내스크래치제로 합성실리콘과 개질된 폴리에틸렌왁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적정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부품의 강성 및 충격특성과 내스크래치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기존 약 1.04 g/cm3에서 약 1.00 g/cm3 이하의 밀도로 약 3~4%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금형 이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장공정의 삭제로 공정 단순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도장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내 공기질 오염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13
통상의 방법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5에 나타낸 구성성분과 혼합비율로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트윈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각 조성물을 펠렛상으로 제조하고, 사출기를 이용하여 테스트 시편을 제조하였다.
한편, 실험에 사용된 재료의 성분 및 특성을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1) 폴리프로필렌
시료 No. 용융지수
[g/10min]
(230 ℃, 2.16Kg)
PI* (230℃) 중량 평균 분자량
[g/mol]
분자량 분포
(MWD)
아이소탁틱펩타드
분율**
PP homo-1 20 5.9 220000 7 96~97
PP block-1 30 4.8 300000 9.9 96~97
PP block-2 80 - 230000 8.7 96~97
PP block-3 30 4.4 250000 9.3 96~97
PP block-4 80 - 130000 5.3 96~97
*PI(Poly dispersity Index)는 유변물성으로 G'(loss modulus), G"(Storage modulus)의 cross over point로서 분자량 분포의 척도임
**아이소탁틱 펩타드분율 C13-NMR로 측정한다.
*** PP homo-1: 호모폴리프로필렌
*** PP block-1, 2, 3, 4: 호모폴리프로필렌 88 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12 중량%가 공중합된 블록코폴리프로필렌임
(2) 고무
시료 No. 용융지수[g/10min]
(230 ℃, 2.16Kg)
밀 도[Kgf/cm3] 기타 사항
Rubber-1 2 0.86 에틸렌-옥텐 고무,
(Xylene soluble intrinsic viscosity 1.2~1.5 dL/g)
Rubber-2 4.5 0.89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copolymer elastomer)
Rubber-3 10 0.87 에틸렌-옥텐 고무
(Xylene soluble intrinsic viscosity 0.9~1.1 dL/g)
(3) 무기필러
시료 No. 시료 구분 Size [㎛]
Filler-1 탈크(talc) D50: 0.5(평균입경)
밀도 2.7g/
Filler-2 휘스커(whisker) Av. Length: 15 ㎛
Av. Dia. : 0.5 ㎛
Aspect Ratio: 30
(4) 내스크래치제
시료 No. 시료 구분 Spec.
Anti-scratch-1 합성 silicon + 개질된 폴리에틸렌 왁스 합성 silicon + Polyethylene wax-graft-maleic anhydride
Anti-scratch-2 합성 실리카 분말(Synthesized Silica powder)  MI: 10
(230 ℃, 2.16Kg)
Figure pat00001
실험예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13에서 제조된 테스트 시편을 이용하여 다음 규정의 방법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
(1) 용융지수(MI):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kg 하중으로 230 ℃(폴리프로필렌), 190 ℃(폴리에틸렌)에서 측정하였다.
(2) 굴곡탄성률: ASTM D 790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서 상온에서 측정하고, 시험편의 크기는 127 × 12.7 × 6.4 mm 이고, 시험속도는 30 mm/min이다.
(3)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63.5 × 12.7 × 6.4 ㎜이며, 노치(Notch)된 시험편을 사용한다.
(4) 내스크래치성: 에릭슨 장비를 이용하여 2 mm 간격으로 20 개 이상씩 격자무늬로 스크래치를 만들고, 스크래치 평가 전과 후의 L 값을 측정하여 (스크래치 후 L 값 - 초기 L 값) Δ L 값을 계산한다.
(5) 부품표면외관: 부품의 표면에서 플로우 마크의 생성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및 평가하였다. (○: 좋음, △: 나쁨(일부 플로우 마크 형성), X: 아주 나쁨(전면 플로우 마크 형성))
Figure pat00002
상기 표 6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1~4에서는 굴곡탄성율, 충격강도, 내스크래치, 부품 외관 특성의 밸런스가 전체적으로 우수하며,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으로 요구되는 물성수치를 모두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테스트 시편의 표면외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상기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테스트 시편의 표면외관에 플로우 마크 또는 버(burr) 등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상기 비교예 1의 경우 호모폴리프로필렌에 분자량 분포가 넓고 용융지수가 큰 블록코폴리프로필렌 1종만을 사용함으로 인해 부품에 플로우마크가 일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2의 경우 내스크래치제로 합성 실리카 분말을 사용함으로 스크래치 성능이 저하되었고 부품 표면외관이 나쁨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량평균분자량 또는 분자량 분포도가 다른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을 혼합 사용한 비교예 3, 4의 경우, 상기 비교예 3에서는 외관에 일부 플로우 마크가 발생하였고, 상기 비교예 4는 전체적으로 외관에 플로우 마크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도 2는 상기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테스트 시편의 표면외관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상기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표면 외관에 플로우 마크가 발생하여 외관이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비교예 5는 고무 성분으로 용융지수(MI)가 높고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IV)가 낮은 에틸렌-옥텐계 고무를 사용함으로 인해 외관에 플로우 마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비교예 6의 경우 고무의 함량이 1 중량% 미만 사용 시 충격 성능 및 부품 외관에 버(burr) 등 불량이 발생하였고, 상기 비교예 7과 같이 고무 함량이 35 중량%로 과다한 경우 용융지수(MI)가 급격하게 낮아지면서 부품 표면에 플로우 마크가 발생하였으며, 강성이 저하됨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8의 경우 탈크 함량이 10 중량% 미만 사용 시 부품외관 표면에 불량이 발생하고 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상기 비교예 9의 경우와 같이 탈크 함량이 20 중량% 초과할 경우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스크래치 성능을 만족할 수 없으며 밀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10의 경우 소량의 휘스커를 혼합하게 되면 제품 강성이 낮아졌으며, 상기 비교예 11과 같이 휘스커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내스크래치 성능을 만족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12와 경우 내스크래치제 함량이 1 중량% 미만 사용 시 내스크래치 성능이 저하되며, 상기 비교예 13과 같이 내스크래치제 함량이 5 중량% 초과 시 부품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PI(Polydispersity Index)가 4.5 ~ 6.5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 350,000g/mol이며, C13-NMR법에 의한 아이소탁틱 펩타드분율이 96% 이상인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50 ~ 80 중량%;
    용융지수가 1 ~ 6 g/10min(230 ℃, 2.16Kg)인 고무 1 ~ 30 중량%;
    탈크 10 ~ 20 중량% 및 휘스커 1 ~ 10 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무기필러 11~30 중량%; 및
    내스크래치제 1 ~ 5 중량%;
    를 포함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호모폴리프로필렌 및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은 분자량 분포(MWD)가 6~8이고, 용융지수가 10~30 g/10min(230 ℃, 2.16K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2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은 분자량 분포(MWD)가 7~12이고, 용융지수가 20~100 g/10min(230 ℃, 2.16Kg)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3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은 (ⅰ) 용융지수가 20~40 g/10min(230 ℃, 2.16Kg)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350000 g/mol인 블록코폴리프로필렌 및 (ⅱ) 용융지수가 60~100 g/10min(230 ℃, 2.16Kg)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250000 g/mol인 블록코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에틸렌-옥텐(EO)계 고무 및 스타이렌-에틸렌-부타디엔-스타이렌(SEBS)계 고무가 1: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크는 평균입경이 0.1~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스커는 종횡비(aspect ratio)가 10~50이고, 침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가 25~43 g/10min(230 ℃, 2.16Kg)이고, 굴곡탄성률이 1500~2300 MPa이며, Izod 충격강도가 450~510 J/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170165532A 2017-12-05 2017-12-05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45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532A KR102451990B1 (ko) 2017-12-05 2017-12-05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16/165,278 US11046845B2 (en) 2017-12-05 2018-10-19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uncoated crash pad
CN201811306149.7A CN109867900B (zh) 2017-12-05 2018-11-05 用于未涂覆的防震垫的聚丙烯树脂组合物
DE102018128371.7A DE102018128371B4 (de) 2017-12-05 2018-11-13 Polypropylen-Harz-Zusammensetzung für ein unbeschichtetes Zusammenstoß-Polster und Formkörper enthaltend diesel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532A KR102451990B1 (ko) 2017-12-05 2017-12-05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123A true KR20190066123A (ko) 2019-06-13
KR102451990B1 KR102451990B1 (ko) 2022-10-06

Family

ID=6654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532A KR102451990B1 (ko) 2017-12-05 2017-12-05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46845B2 (ko)
KR (1) KR102451990B1 (ko)
CN (1) CN109867900B (ko)
DE (1) DE10201812837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3161A (zh) * 2020-01-13 2020-04-28 山东道恩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优异的注塑外观的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
CN111484673B (zh) * 2020-05-12 2022-09-30 浙江鑫鼎塑业股份有限公司 改性聚丙烯塑料
CN114591565B (zh) * 2020-12-07 2023-12-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塑料制品和电器
CN113667259B (zh) * 2021-08-19 2024-02-23 江门市佳信达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2209A (en) * 1992-04-16 1995-07-11 Mitsubishi Petrochemical Company Limited Propylene resin composition
US6441081B1 (en) * 1998-10-05 2002-08-2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base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s of injection molding thereof
KR100898046B1 (ko) 2007-12-26 2009-05-19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스크래치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58703B1 (ko) * 2013-12-20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70127656A (ko) * 2016-05-12 2017-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4489B1 (en) 1995-11-17 2001-09-19 Japan Polychem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5462439B2 (ja) 2007-10-31 2014-04-02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発泡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57303B1 (ko) * 2007-11-26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26726B1 (ko) 2013-12-06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483914B1 (ko) * 2014-08-26 2015-01-16 삼성토탈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2209A (en) * 1992-04-16 1995-07-11 Mitsubishi Petrochemical Company Limited Propylene resin composition
US6441081B1 (en) * 1998-10-05 2002-08-2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base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s of injection molding thereof
KR100898046B1 (ko) 2007-12-26 2009-05-19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스크래치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58703B1 (ko) * 2013-12-20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70127656A (ko) * 2016-05-12 2017-1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69419A1 (en) 2019-06-06
DE102018128371A1 (de) 2019-06-06
CN109867900B (zh) 2023-05-09
KR102451990B1 (ko) 2022-10-06
CN109867900A (zh) 2019-06-11
US11046845B2 (en) 2021-06-29
DE102018128371B4 (de)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5786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KR100387649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2451990B1 (ko) 무도장 크래쉬 패드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947230B1 (ko) 무도장용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JPH01150A (ja) 自動車バンパ−用樹脂組成物
EP0069479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N113896991A (zh) 一种可喷涂耐低温冲击的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7092050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体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876021B1 (ko)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10306181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101580957B1 (ko)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1129690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JPH093299A (ja) ポリプロピレン系組成物
JP3238575B2 (ja) 自動車内装用樹脂組成物
JPH06256596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成形品
KR102209155B1 (ko) 도금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3512252B (zh) 一种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44812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987575B1 (ko) 내백화 특성을 갖는 무도장용 메탈릭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84860B1 (ko) 스크래치 및 휨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2004292723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2006124520A (ja) ウエルド外観及びフローマーク外観に優れる射出成形体を与える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0241274B1 (ko)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JPS59199740A (ja) 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