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424B1 - 스텝핑 모우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스텝핑 모우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424B1
KR900002424B1 KR1019850002992A KR850002992A KR900002424B1 KR 900002424 B1 KR900002424 B1 KR 900002424B1 KR 1019850002992 A KR1019850002992 A KR 1019850002992A KR 850002992 A KR850002992 A KR 850002992A KR 900002424 B1 KR900002424 B1 KR 900002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tepping motor
motor
signal
exc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581A (ko
Inventor
히로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50008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8/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ynamo-electric motors of the kind having motors rotating step by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Stepping Motors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텝핑 모우터의 제어장치
제 1a 도는 종래 스텝핑모우터에서의 회전각에 대한 토오크의 관계를 표시하는 특성도.
제 1b 도는 종래 스텝핑모우터의 부분적인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텝핑모우터의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모우터콘트롤러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모우터구동회로와 그 주변회로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 5a 도 ∼ 제 5d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텝핑모우터의 제어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텝핑모우터의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계되는 모우터구동회로와 그 주변회로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토오크와 전압 및 회전각도간의 특성곡선
13 : 회전자 14 : 고정자
20 : 스탭핑모우터 20a : 여자위상코일
21 : 모우터구동회로 22 : 모우터콘트롤러
23, 24 : 스위치회로 25∼27 :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28, 29 : OR(논리회로) 30, 31 : 플립플롭
32 : NAND 회로 33 : NOT 회로
44, 45 : 버퍼증폭기 46, 47 : NOT 회로
60 : 스위치회로 70 : 트랜지스터
71 : 논리회로 72∼75 : AND 회로
76, 77 : NOT 회로 78, 79 : 버퍼증폭기
Ø1, Ø2 : 여자위상펄스신호
Figure kpo00002
: 스텝펄스
D : 방향신호 DS : 구동선택신호
MO : 모우터기동신호 P1, P2, P3 : 펄스신호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의 자기헤드위치 결정장치에 사용되는 스텝핑모우터(stepping motor, 또는 pulse motor)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된 스텝핑모우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
스텝핑모우터는 그 구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기 때문에 각종 위치결정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그 구체적인 사용예로서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에서는 자기헤드를 구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스텝핑모우터가 이용되고 있다. 즉,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에서는 이 자기헤드가 스텝핑모우터의 회전구동에 따라 플로피디스크상의 소정트랙 위치까지 이동(SEEK 동작, 수색동작)하여 데이터의 독출,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호스트컴퓨터로부터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에 대하여 억세스기능이 실시되면, 자기헤드는 수색동작후에 위치하는 트랙이나 현싯점에서의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하여 독출/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수색동작시에 필요한 스텝핑모우터의 토오크는 특정트랙상에다 자기헤드를 유지시키는 경우에 필요한 토오크보다 더 크기 때문에, 종래에는 수색동작시에 스텝핑모우터의 여자전압(exciting voltage)을 증대시키는 반면, 자기헤드를 특정트랙상에다 유지시키는 비수색동작시에는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스텝핑모우터의 여자전압을 강하시키도록 모우터가 제어되고 있다.
또 소비전력을 더 한층 절감시키기 위해 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억세스가 이루어지지 않는 비동작상태(대기상태라 칭함)에서는 스텝핑모우터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지시키고 있다.
여기서 자기헤드가 상기한 대기상태의 해제 후 대기상태시의 트랙에서 데이터의 독출/기록을 수행할 경우, 스텝핑모우터는 비여자상태로부터 낮은 여자전압이 공급되는 상태로된다. 즉, 제 1a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낮은 여자전압(예컨대 5V)이 공급되는 상태(곡선 10)에서는 스텝핑모우터의 회전각(θ)이 동일 토오크(Ti)에 대한 높은 여자전압 (예컨대 12V)인 경우(곡선 11)에 비해 크게 되고, 이때 스텝핑모우터의 회전각(θ)은 제 1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텝핑모우터의 회전자 (13 ; rotaor)가 고정자(14 ; stator)에 대하여 소정의 토오크로 회전한 각도이다.
따라서, 스텝핑모우터에 대해서 낮은 여자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스텝핑모우터의 회전각이 커지게 되고, 스텝핑모우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자기헤드의 위치결정 정확도는 높은 여자전압이 공급되어지는 경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스텝핑모우터 제어방식에서 비수색동작시 스텝핑모우터에 인가되는 여자전압을 강하시켜서 제어를 실시하므로써 저소비전력화를 구현할 수는 있으나, 대기상태 해제후에는 위치결정의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자기헤드가 대기상태 해제후에 그 대기상태시에서의 위치에서 데이터의 독출/기록동작을 수행 할 때에는 스텝핑모우터에 낮은 여자전압이 공급되어져 자기헤드의 위치결정동작이 실행되기 때문에 대기상태 해제후의 위치결정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의 자기헤드를 스텝핑모우터에 의해 구동시켜서 소정의 트랙상에 그 위치를 결정해주도록 된 위치결정장치에 있어서, 스텝핑모우터에 대한 소비전력을 절감시킴과 더불어 위치결정장치의 위치결정 정확도를 향상시킬수 있는 스텝핑모우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텝핑모우터를 이용하여 이동부재를 소정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된 위치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핑모우터의 각 여자코일에 여자전압을 공급하는 모우터구동회로와, 상기 장치의 대기상태시 상기 모우터구동회로에 대한 여자전압공급이 정지되는 반면 대기상태의 해제시 상기 여자전압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절환동작하는 스위치회로, 상기 대기상태 해제시 상기 스텝핑모우터가 회전동작하는 경우에는 높은 레벨의 여자전압을 상기 스위치회로에 출력하는 반면 상기 스텝핑모우터가 회전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낮은 레벨의 여자전압을 상기 스위치회로에 출력하는 스위치회로 및, 대기상태가 해제된 후 그 위치결정장치의 위치결정동작이 안정화되도록 하기위해 상기 스위치회로를 제어하여 높은 레벨의 여자전압이 일정시간동안 출력되도록 하는 모우터콘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작용]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결정장치의 대기상태가 해제된 직후에 예컨대 높은 레벨의 여자전압을 스텝핑모우터에 공급함으로써 위치결정장치의 위치결정동작을 안정하게 수행시킬 수가 있게됨에 따라 위치결정장치의 위치결정정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되고, 또한 대기상태의 해제로부터 일정시간후에는 스텝핑모우터에 대해 소비전력을 확실하게 절감시킬 수 있게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텝핑모우터의 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텝핑모우터의 제어회로는 모우터구동회로(21)와, 모우터콘트롤러(22), 스위치회로(23, 24),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25∼27), 논리회로(28, 29)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상기 모우터구동회로(21)는 모우터콘트롤러(22)로부터 출력되는 여자위상펄스신호(Ø1, Ø2)에 응답하여 소정의 여자전압을 스텝핑모우터(20)의 각 여자코일에 공급해서 스텝핑모우터(20)를 구동시키는 회로이고, 상기 모우터콘트롤러(22)는 스텝펄스
Figure kpo00003
및 방향신호(D)에 따라 여자위상펄스신호(Ø1, Ø2)를 발생시켜 모우터구동회로(21)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텝펄스
Figure kpo00004
는 도시되지 않은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의 플로피디스크콘트롤러(이하, FDC라 함)로부터 자기헤드의 수색동작에 따라 출력되는 펄스로서 그 수색거리에 대응하는 펄스수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상기 방향신호(D)는 자기헤드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상기 스텝펄스
Figure kpo00005
와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FDC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회로(23)는 논리회로(28)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모우터구동회로(21)에 대한 여자전압의 공급을 제어하게되고, 상기 스위치회로(24)는 논리회로(29)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높은 레벨의 전압(Va; 예컨대 12V) 또는 낮은 레벨의 전압(Vb ; 예컨대 5V)중 1가지 전압레벨을 선택하여 상기 스위치회로(23)의 입력단자(23a)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논리회로(28, 29)는 예컨대 OR회로로 구성되고, 이 OR회로(28)의 각 입력단자에는 도시되지 않은 FDC로부터 구동선택신호(DS)와 모우터기동신호(MO)가 공급되는바, 여기서 상기 구동선택신호(DS)는 플롭피디스크드라이브를 대기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신호이고, 상기 모우터기동신호(MO)는 플롭피디스크다라이브의 플롭피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우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동신호이면서 플롭피디스크드라이브를 대기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신호이기도 하다.
그리고, 상기 OR 회로(29)의 각 입력단자에는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26, 27)로부터 출력펄스신호(P2, P3)가 공급되는데, 여기서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27)는 부펄스(負pulse)인 스텝펄스
Figure kpo00006
에 의해 트리거되어 소정의 펄스폭(T3)을 갖는 정펄스신호(P3 ; 正 pulse signal)를 발생시키고,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6)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5)로부터 출력되는 부펄스인 펄스신호(P1)의 상승시점에서 트리거되어 소정의 펄스폭(T2)을 갖는 정펄스신호(P2)를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5)는 모우터기동신호(MO)에 의해 트리거되어 소정의 펄스폭(T1)을 갖는 부펄스신호(P1)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 3 도는 상기 제 2 도의 제 1 실시예에 구비된 모우터콘트롤러(22)의 구체적인 구성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 모우터콘트롤러(22)는 플립플롭(30, 31)과 NAND 회로(32), NOT 회로(33) 및 EX-OR 회로(34, 35)를 갖추고 있고, 여기서 상기 플립플롭(30, 31)은 D형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각 출력단자(Q)로부터 각각의 여자위상펄스신호(Ø1, Ø2)가 모우터구동회로(21)에 출력되는 한편, 플립플롭(30)의 데이터 입력단자(D)에는 EX-OR 회로(34)의 출력신호가 입력됨과 더불어, 그 클록단자(CK)에 NAND 회로(32)의 출력신호가 인가된다. 또, EX-OR 회로(35)의 한쪽 입력단자에는 도시되지 않은 FDC로부터 방향신호(D)가 인가되는 반면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상기 플립플롭(31)의 반전출력신호
Figure kpo00007
가 인가되고, 상기 플립플롭(31)의 데이터입력단자(D)에는 상기 EX-OR 회로(34)의 출력신호가 입력됨과 더불어, 그 클록단자(CK)에는 NAND 회로(32)의 출력신호가 인가된다. 또한, EX-OR 회로(35)의 한쪽 입력단자에는 FDC로부터 방향신호(D)가 공급됨과 더불어,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상기 플립플롭(30)의 출력신호(Ø1)가 인가되고, 상기 NAND 회로(32)의 한쪽 입력단자에는 FDC로부터 구동선택신호(DS)가 공급됨과 더불어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스텝펄스
Figure kpo00008
가 반전된 NOT 회로(33)의 출력신호가 인가된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모우터구동회로(21)와 그 주변회로의 구체적인 구성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모우터구동회로(21)는 스텝핑모우터(20)의 여자위상코일(20a)에 대응되게 트랜지스터(40∼43)와 버퍼증폭기(44, 45) 및 NOT 회로(46, 47)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회로들은 제 2 도에 도시된 전압(Vc ; 예컨대 5V)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버퍼증폭기(44, 45) 및 NOT회로(46, 47)의 각 입력단자에는 상기 모우터콘트롤러(22)로부터 출력되는 여자위상펄스신호(Ø1)가 공통으로 인가되고, 또 상기 트랜지스터(40, 41)는 직렬로 접속된 NPN 형 트랜지스터로서, 그 트랜지스터(40, 41)의 접속점에는 스텝핑모우터(20)의 여자위상코일(20a)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트랜지스터(40)는 그 베이스에 버퍼증폭기(44)로부터 출력되는 여자위상펄스신호(Ø1)가 공급됨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한편, 트랜지스터(42, 43)는 직렬로 접속된 NPN 형 트랜지스터로서, 그 트랜지스터(42, 43)의 접속점에는 그 스텝핑모우터(20)의 여자위상코일(20a)의 다른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이 경우 트랜지스터(43)는 버퍼증폭기(45)로부터 출력되는 여자위상펄스신호(Ø1)가 그 베이스에 공급됨에 따라 동작하게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42)는 NOT 회로(47)로부터 출력되는 여자 위상펄스신호(Ø1)의 반전신호가 그 베이스에 공급됨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또한, 이 모우터구동회로(21)의 트랜지스터(40, 42)는 그 콜렉터가 스위치회로(23)에 구성된 트랜지스터(48)의 클렉터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회로(23)의 트랜지스터(48)는 PNP 형 트랜지스터로서, 논리회로(28)의 출력신호가 그 베이스에 공급됨에 따라 스위칭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논리회로(28)는 제 2 도에 도시된 OR 회로에 대응되게 예컨대 NOR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FDC로부터의 구동선택신호(DS) 및 모우터기동신호(MO)가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회로(23)에 포함된 트랜지스터(48)의 에미터는 스위치회로(24)에 구성된 트랜지스터(49)의 콜렉터 및 다이오드(50)의 캐소드의 공통접속점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트랜지스터(49)는 NOT 회로(51)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그 베이스에 공급됨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실시하게 되는바, 상기 NOT 회로(51)는 제 2 도에 도시된 OR 회로(2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PS)를 반전시켜서 트랜지스터(49)의 베이스에 출력하게 되고, 트랜지스터(49)의 에미터에는 높은 레벨의 전압(Va ; 12V)이 공급되게 된다.
한편, 다이오드(50)의 애노우드에는 낮은 레벨의 전압(Vb ; 5V)이 공급된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텝핑모우터(20)는 2여자위상코일의 모우터를 상정하기로하고, 이 경우 상기 모우터 구동회로(21)에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회로가 1조 더 구비된다(Ø2에 대해 동작함). 즉, 이 부가적인 회로는 버퍼증폭기(44, 45)와 NOT 회로(46, 47)의 각 입력단자에 모우터콘트롤러(22)로부터 출력되는 여자위상펄스신호(Ø2)가 공통으로 인가되어 동작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제 5a 도∼5d 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는 대기상태이고 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억세스가 수행되지 않는 상태라 가정하면, 이 상태에서는 FDC로부터의 구동선택신호(DS) 및 모우터가동신호(MO)는 모두 그 논리레벨이「L」인 상태이므로 스위치회로(23)는 제 2 도에 도시된 접점(23b)측으로 스위칭동작을 실시하게 되어 모우터구동회로(21)에 대한 전압공급이 중지되게 된다. 따라서, 스텝핑모우터(20)의 구동은 정지상태이며 자기헤드는 소정의 트랙(예컨대 0트랙)상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 되고, 이때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의 스핀들모우터는 상기한 바와같이 모우터기동신호(MO)가 「L」상태이기 때문에 역시 정지한 상태이다.
다음에,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에 대해 억세스가 이루어지면, FDC로부터의 구동선택신호(DS)가 논리레벨「H」의 상태로 변화되고, 이에 따라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는 대기상태에서 해제되어, 스위치회로(23)가 접점(23a)측으로 스위칭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즉, 제 4 도에 도시된 스위치회로(23)의 트랜지스터(48)가 ON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모우터구동회로(21)에 대해 여자전압(V)이 공급가능한 상태로되고 이때 FDC로부터는 모우터기동신호(MO) 및 스텝펄스
Figure kpo00009
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OR회로(29)의 출력신호(PS)는 논리레벨「L」의 상태가 되므로, 스위치회로(24)는 제 2 도에 도시된 접점(24b)측으로 스위칭동작을 실시하게 되어 낮은 레벨의 전압(Vb)이 스위치회로(24)의 입력단자(23a)에 공급된다. 즉,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회로(24)의 트랜지스터(49)는 OFF 상태이기 때문에 스위치회로(23)에는 낮은 레벨의 전압(Vb)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모우터 구동회로(21)에는 낮은 레벨의 전압(Vb)이 여자전압(V)으로서 공급된다.
이어 FDC로부터의 모우터기동신호(MO)가 논리레벨 「H」의 상태가 되면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의 스핀들모우터가 구동되어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가 회전되게 된다. 또한 제 2 도에 도시된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25)는 모우터기동신호(MO)에 트리거되어, 펄스폭(T1)을 갖는 부펄스신호(P1)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6)에 출력하게 되는데, 이 부펄스신호(P1)의 펄스폭(T1)에 상당하는 기간(T1)에서는 제 5d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우터구동회로(21)에 낮은 레벨의 전압(Vb)인 여자전압(V)이 공급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한 기간(T1 ; 즉 폴스폭T1)은 예컨대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에 있는 스핀들모우터의 기동개시로부터 자기헤드에 의한 데이터의 독출/기록동작개시까지의 시간보다 짧으며, 약 100ms~300ms 정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26)는 펄스신호(P1)의 상승엣지에서 트리거되어 펄스폭(T2)을 갖는 정펄스신호(P2)를 OR 회로(29)에 출력하게 되고, 이에따라 스위치회로(24)는 정펄스신호(P2)의 펄스폭(T2)에 상당하는 기간(T2)동안 접점(24a)측으로 스위칭동작을 실시하게 되므로 제 5d 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간 (T2)에서는 높은 레벨의 전압(Va)이 스위치회로(24, 23)를 통해서 모우터구동회로(21)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제 4 도에 도시된 스텝핑모우터(20)의 여자위상코일(20a)에는 높은 레벨의 전압(Va)이 공급되어 스텝핑모우터(20)는 높은 토오크로 구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와같이 스탭핑모우터가 높은 토오크로 구동함에 따라 자기헤드는 대기상태시와 동일한 특정 트랙상의 정확한 위치에 자리하게 된다. 즉, 대기상태와 동일한 특정 트랙상의 정확한 위치에 자리하게된다. 또, 대기상태의 해제후에 있어서, 스텝핑모우터(20)는 높은 토오크로 비교적회전각을 작게한 구동에 의해 자기헤드를 소정의 트랙상에 확실하게 위치결정시킬 수있게 된다. 여기서, 제 5d 에 도시된 기간(T2) 은 스텝핑모우터에 의해 자기헤드를 소정의 위치에 안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시간보다 크게 약 25ms~30ms 정도로 설정된다.
그후,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26)의 정펄스신호(P2)가 하강되어 OR 회로(29)의 출력신호(PS)가 논리레벨「L」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스위치회로(24)는 접점(24b)측으로 스위칭동작을 하게 되어 낮은 레벨의 전압(Vb)인 여자전압이 모우터구동회로(21)로 공급된다. 따라서 자기헤드가 비수색동작상태, 즉 스텝핑모우터(20)의 회전구동이 낮은 토오크로 충분한 경우 상기 스텝핑모우터(20)는 낮은 레벨의 여자전압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된다.
다음으로, FDC로부터 자기헤드의 수색동작에 필요한 스텝펄스
Figure kpo00010
가 출력되면,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27)는 스텝펄스
Figure kpo00011
의 하강부에서 트리거되어 정펄스(P3)를 OR 회로(29)에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OR회로 (29)의 출력신호(PS)가 논리레벨 「H」로 되기 때문에 스위치회로(24)는 접점(24a)측으로 스위칭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제 5d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텝펄스(SP)에 동기하여, 모우터구동회로(21)에 공급되는 여자전압(V)은 높은 레벨의 전압(Va)으로 변화하게 된다. 즉, 스텝펄스
Figure kpo00012
의 발생에 따라 모우터구동회로(21)에는 높은 레벨의 전압(Va)이 공급되고, 이 모우터구동회로(21)는 모우터콘트롤러(22)로부터 출력되는 여자위상펄스신호(Ø1, Ø2)에 따라 스텝핑모우터(20)의 여자상위코일(20a)에 높은 레벨의 전압(Va)인 여자전압(V)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따라 스텝핑모우터(20)는 높은 토오크로 회전하여 자기헤드를 스텝펄스
Figure kpo00013
의 펄스수에 대응되는 거리까지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모우터콘트롤러(22)는 제 3 도에 도시된 것처럼 스텝펄스
Figure kpo00014
및 방향신호(D)에 따른 위상의 여자위상펄스신호(Ø1, Ø2)를 모우터구동회로(21)에 출력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자기헤드는 스텝핑모우터(20)의 구동에 따라 방향신호(D)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의 트랙까지 수색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이어, 자기헤드가 소정의 트랙까지 수색동작을 실시하면, FDC로부터의 스텝펄스
Figure kpo00015
의 발생이 정지되고, 이때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27)는 스텝펄스
Figure kpo00016
의 하강엣지에서 트리거되어 정펄스신호(P3)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스텝펄스
Figure kpo00017
의 발생이 정지되어도 펄스폭(T3)을 가지는 정펄스신호(P3)가 OR 회로(29)로 출력된다. 이로 인하여 제 5D 도에 도시된 것처럼 스텝펄스
Figure kpo00018
의 발생이 정지되어 정펄스신호(P3)의 펄스폭(T3)에 상당하는 기간(T3)동안 모우터구동회로(21)에는 높은 레벨의 전압(Va)인 여자전압(V)이 스위치회로(24, 23)를 통하여 공급된다. 이는 수색동작후의 자기헤드를 수색목적트랙상에 확실히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의 대기상태해제후에 있어서, 자기헤드를 대기상태시의 트랙에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대기상태 해제후의 일정기간(T2)동안 높은 레벨의 전압(Va)인 여자전압(V)을 스텝핑모우터(20)에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자기헤드가 대기상태 해제후 그 상태시의 트랙에 대해 데이터의 독출/기록동작을 실시하는 경우, 높은 토오크로 회전하는 스텝핑모우터에 의해 자기헤드는 상기 트랙상에 확실하게 위치하게 된다.
또한, 자기헤드의 비수색동작기간 (제 5d 도에서 기간 T2를 제외한 기간)에서는 스텝핑모우터에 낮은 레벨의 전압(Vb)인 여자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스텝핑모우터의 저소비전력화를 확실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스위치회로(60)가 논리회로(28)의 출력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모우터구동회로(21)에 대해 회로구동전압(Vc ; 예컨대 5V)을 공급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스위치회로(24)는 OR회로(29)의 출력회로(PS)에 따라 높은 레벨의 전압(Va) 또는 낮은 레벨의 전압(Vb)중 어느 하나를 여자전압(V)으로서 모우터구동회로(21)에 공급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 6 도에 도시된 모우터구동회로(21) 및 그 주변회로는 구체적으로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스위치회로(60)는 PNP형 트랜지스터(70)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논리회로(28)인 NOR 회로의 출력신호가 그 베이스측에 공급되면 PNP형 트랜지스터(70)의 동작에 의해 구동전압(Vc)이 모우터구동회로(21)와 스위치회로(24)를 구성하는 논리회로(71)에 출력된다. 상기 논리회로(71)는 AND 회로(72∼75)와 NOR 회로(76)(77) 및 버퍼증폭기(78, 79)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이 논리회로(71)에서 NOT 회로(76)는 OR회로(29)로부터의 출력신호(PS)를 반전시켜서 AND 회로(72)의 한 입력단자에 공급하게 되고, AND 회로(72)의 다른 입력단자에는 FDC로부터의 여자위상펄스신호(Ø1)가 NOT회로(77)에 의해 반전되어 입력되는 한편, 이 AND 회로(72)의 출력신호는 스위치회로(24)를 구성하는 NPN형 트랜지스터(80)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80)는 AND 회로(72)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그 에미터를 통해 낮은 레벨의 전압(Vb)을 NPN형 트랜지스터(82)의 콜렉터에 공급하게 되고, NPN형 트랜지스터(82)는 모우터구동회로(21)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로서, 그 콜렉터측에는 스텝핑모우터(20)의 여자위상코일(20a)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NOT 회로(77)는 FDC로부터의 여자위상펄스신호(Ø1)를 반전시켜 AND 회로(73)의 한쪽 입력단에 출력하게 되고, AND 회로(73)의 다른 입력단에는 OR회로(29)로부터의 출력신호(PS)가 공급되는 한편, 이 AND 회로(73)의 출력신호는 스위치회로(24)를 구성하는 NPN 트랜지스터(81)의 베이스에 공급되며, 이 NPN 형 트랜지스터(81)는 AND 회로(73)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그 에미터를 통해 높은 레벨의 전압(Va)을 NPN 형 트랜지스터(82)의 콜렉터측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이 NPN 형 트랜지스터(82)는 베이스에 FDC로부터의 여자위상펄스신호(Ø1)가 버퍼증폭기(78)를 통하여 인가됨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한편, 스텝핑모우터(20)의 여자위상코일(20a)의 다른 단은 NPN 형 트랜지스터(83)의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고, 이 NPN 형 트랜지스터(83)는 버퍼증폭기(79)로부터 출력되는 여자위상펄스신호(Ø1)의 반전신호(NOT 회로(77)의 출력신호)가 그 베이스측에 공급됨에 따라 동작하게 되며, AND 회로(74)의 각 입력단자에는 여자위상펄스신호(Ø1)와 OR 회로(29)로부터의 출력신호(PS)가 입력되고, 이 AND 회로(74)의 출력신호는 스위치회로(24)를 구성하는 NPN형 트랜지스터(85)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에따라 NPN 형 트랜지스터(85)는 AND 회로(74)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그 에미터를 통해 높은 레벨의 전압(Va)을 모우터구동회로(21)를 구성하는 NPN형 트랜지스터(83)의 콜렉터에 출력하게 된다. AND 회로(75)의 한쪽 입력단자에는 OR 회로(29)의 출력신호(PS)에 대한 반전신호가 NOT 회로(76)로부터 인가되는 한편, 다른 입력단에는 FDC로부터의 여자위상펄스신호(Ø1)가 입력된다. 또, 이 AND 회로(75)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그 에미터를 통해 낮은 레벨의 전압(Vb)을 NPN트랜지스터(83)의 콜렉터에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은 제 7 도의 회로는 2여자위상스텝핑모우터(20)에서 제 1 여자위상코일(20a)에 대한 것이고, 제 2 여자위상코일에 대한 모우터구동회로(21 ; 여자위상펄스신호(Ø2)가 입력되는 회로)는 제 7 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도면과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 6 도에서 스위치회로(60, 24)와 모우터구동회로(21) 이외의 회로는 제 2 도에 도시된 회로와 동일하게 되어있고, 모우터콘트롤러(22)는 제 3 도에 도시된 회로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6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플롭피디스크드라이버의 대기상태에서 OR회로(28)의 출력신호가 논리레벨「L」의 상태로 되고, 스위치회로(60)가 접점(60a ; open단자)측으로 스위치동작을 실시하게 되기 때문에 대기상태시에는 모우터구동회로(21)에 대한 회로구동전압(Vc)의 공급이 중지되며, FDC로부터의 구동선택신호(DS)가 상승되어 대기상태가 해제되면, OR 회로(28)의 출력신호는 논리레벨「H」상태가 된다. 이에따라 스위치회로(60)는 접점(60b)측으로 스위치동작을 실시하게 되어 모우터구동회로(21)에서 회로구동전압(Vc)이 공급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 회로전체에 대한 소비전력이 더 작아지게 된다. 여기서 대기상태의 경우라 하더라도 여자전압(V)이 스위치회로(24)로부터 모우터구동회로(21)에 공급되지만, 모우터구동회로(21)가 구동정지상태인 경우,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랜지스터(82, 83)가 동작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스텝핑모우터(20)의 여자위상코일(20a)에 여자전압(V)이 공급되지 않고, 또 그 밖의 다른 작용, 효과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텝핑모우터에서 소모되는 전력이 작으면서도 위치결정장치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스텝핑모우터의 제어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된다.

Claims (1)

  1. 스텝핑모우터(20)를 이용하여 이동부재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된 위치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텝핑모우터(20)의 각 여자코일(20a)에 여자전압을 공급하는 모우터구동회로(21)와, 상기 장치의 대기상태시 상기 모우터구동회로(21)에 대한 여자전압공급이 정지되는 반면 대기상태의 해제시 상기 여자전압의 공급이 개시되도록 절환동작하는 스위치회로(23), 상기 대기상태의 해제시 상기 스텝핑모우터(20)가 회전동작하는 경우에는 높은 레벨의 여자전압을 상기 스위치회로(23)에 출력하는 반면 상기 스텝핑모우터(20)가 회전동작을 정지하는 경우에는 낮은 레벨의 여자전압을 상기 스위치회로(23)에 출력하는 스위치회로(24) 및, 대기상태가 해제된 후 상기 위치결정장치의 위치결정동작이 안정화되도록 하기위해 상기 스위치회로(24)를 제어하여 높은 레벨의 여자전압이 일정시간동안 출력되도록 하는 모우터콘트롤러를 구비하여(22)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핑모우터의 제어장치.
KR1019850002992A 1984-05-09 1985-05-02 스텝핑 모우터의 제어장치 KR900002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92446 1984-05-09
JP92446 1984-05-09
JP59092446A JPS60237892A (ja) 1984-05-09 1984-05-09 ステツピングモ−タ制御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581A KR850008581A (ko) 1985-12-18
KR900002424B1 true KR900002424B1 (ko) 1990-04-14

Family

ID=1405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992A KR900002424B1 (ko) 1984-05-09 1985-05-02 스텝핑 모우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61755A (ko)
EP (1) EP0163947B1 (ko)
JP (1) JPS60237892A (ko)
KR (1) KR900002424B1 (ko)
DE (1) DE356733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4607A (ja) * 1985-01-21 1986-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数値制御装置
US4772841A (en) * 1986-03-08 1988-09-20 Shinko Electric Co., Ltd. Stepping mo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S6352698A (ja) * 1986-08-20 1988-03-05 Brother Ind Ltd ステツプモ−タの制御方法
JPS63117698A (ja) * 1986-10-31 1988-05-21 Nec Corp ステツプモータ駆動回路
US4820963A (en) * 1986-11-19 1989-04-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riving device for step motor
US4788484A (en) * 1987-08-26 1988-1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stepper motor with multiple voltages
JPH02303399A (ja) * 1989-05-17 1990-12-17 Canon Inc 電圧制御装置
JP2874508B2 (ja) * 1993-02-26 1999-03-2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の制御装置
DE19543810C1 (de) * 1995-11-24 1997-02-20 Philips Patentverwaltung Steuerschaltung für Schrittmotoren von elektromechanischen Positioniervorrichtung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9179A (en) * 1972-12-06 1976-12-22 Wickman Mach Tool Sales Ltd Drive circuits for stepping motors
DD106119A1 (ko) * 1973-07-09 1974-05-20
NL7501602A (nl) * 1974-03-26 1975-09-30 Siemens Ag Schakeling voor het besturen van stapmotoren.
US3893012A (en) * 1974-07-05 1975-07-01 Qume Corp Stepping motor drive circuit
DE2638521C2 (de) * 1976-08-26 1984-10-1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chaltungsanordnung zum wahlweisen Ansteuern eines in einem Positioniersystem verwendeten Schrittmotors
US4147968A (en) * 1977-09-26 1979-04-03 Moore Products Co. Stepper motor control
US4157577A (en) * 1977-11-14 1979-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able storage apparatus with digitally responsive circuitry for track selection
JPS605158B2 (ja) * 1978-01-13 1985-02-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ルスモ−タを用いた位置決め制御方式
JPS5641793A (en) * 1979-09-11 1981-04-18 Ricoh Co Ltd Driving system for stepping motor
IE52943B1 (en) * 1981-05-02 1988-04-13 Rodim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tepper motor
IT1145637B (it) * 1981-12-30 1986-11-05 Olivetti & Co Spa Circuito di pilotaggio di un motore a pass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581A (ko) 1985-12-18
JPS60237892A (ja) 1985-11-26
EP0163947B1 (en) 1989-01-04
US4661755A (en) 1987-04-28
DE3567337D1 (en) 1989-02-09
EP0163947A1 (en) 198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6142A (en) Magnetic disk apparatus
KR900002424B1 (ko) 스텝핑 모우터의 제어장치
KR890003563B1 (ko) 디스크 장치
US4709279A (en) Read/write amplifier power control device for a disk apparatus
KR100280581B1 (ko) 가변 스핀들 회전 속도를 가지는 직접 액세스 기억 장치(dasd)
KR930008149B1 (ko) 전력을 절약화한 데이타 기록 재생장치
US5630008A (en) Control circuit for driving motor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disk unit having the control circuit
US4769724A (en) Magnetic head drive apparatus which uses a common current source for the read/write head and the erasing head
JP2731206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1222699A (ja) フロッピディスク駆動装置
JP3050944B2 (ja) ステップ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2803512B2 (ja) 記録再生装置
JP2547989B2 (ja) 磁気デイスク装置
US4677358A (en) Stepping motor drive controlling circuit
JP3346633B2 (ja) ディスク装置
JPH01166358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JP2935324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駆動方法
JPH07201119A (ja) ディスク装置
JP2663511B2 (ja) 磁気記録装置
JPH033302B2 (ko)
JPS61107582A (ja) 磁気ヘツド制御装置
JPH04331497A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装置のステッピング・モータ駆動          回路
JPS6120868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5325401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541020A (ja) デイス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