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282B1 - 원통형 반죽물을 절단하고 절단된 반죽물에 외피를 형성시키므로써 구형 반죽물을 형성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반죽물을 절단하고 절단된 반죽물에 외피를 형성시키므로써 구형 반죽물을 형성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282B1
KR900002282B1 KR1019870005195A KR870005195A KR900002282B1 KR 900002282 B1 KR900002282 B1 KR 900002282B1 KR 1019870005195 A KR1019870005195 A KR 1019870005195A KR 870005195 A KR870005195 A KR 870005195A KR 900002282 B1 KR900002282 B1 KR 900002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sliding
hole
cylindrical objec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784A (ko
Inventor
야스노리 다시로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하야시 도라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하야시 도라히꼬 filed Critical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21C11/103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utting elements slidably or rotably mounted in a diaphragm-lik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통형 반죽물을 절단하고 절단된 반죽물에 외피를 형성시키므로써 구형 반죽물을 형성하는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조립체를 구성하는 하나의 활주 부재의 사시도.
제 2 도, 3도 및 4도는 하우징 및 다수의 활주 부재로 구성되고, 제각기 활주 운동의 사이클전, 사이클중 및 사이클 후에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실시예의 조립체의 평면도.
제 5 도, 6도 및 7도는 제각기 제 2 도, 3 도 및 4 도와 일치하며, 실시예의 활주 부재의 표면으로써 원통형 물체를 수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 8 도는 종래 기술의 쐐기형 칼날로써 원통형 물체를 절단하는 과정에 있는 도면.
제 9 도 및 10도는 원통형 물체로부터 구형체로 절단할때 반죽의 운동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관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 12 도는 제 11 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입면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 14 도 및 15도는 제각기 테이퍼 부분을 가지는 직사각형 평행 6면체의 4개의 활주 부재로 구성된 조립체의 운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 16 도 및 17도는 제각기 테이퍼 부분을 가지는 평행 6면체의 3개의 활주 부재로 구성된 조립체의 운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 18 도 및 19도는 제각기 테이퍼 부분을 가지며 각각의 쌍은 다른 쌍과 다르게 형성되는 3쌍의 활주 부재로 구성된 조립체의 운동을 도시하는 도면.
제 20 도는 종래 장치의 활주 부재의 사시도.
제 21 도 및 22도는 성형 작동중과 작동후에 관한 종래 기술의 조립체 및 원통형 물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활주 부재 2 : 테이퍼 부분
3, 5 : 활주 표면 7 : 경사
10 : 에지 14 : 구멍
15 : 원통형 물체 17 : 반죽껍질
19 : 충전재 23 : 절단기
53 : 벨트 컨베이어
본 발명은 반죽껍질과 충전재로 구성된 구형체의 형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재를 노출시키거나 흩뜨리지 않고 반죽껍질 및 충전재로 구성된, 연속 공급된 원통형 물체를 수축함으로써 구형체를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 85178/85호는, 가이드에서 다수의 압착 부재와 상기 압착 부재를 활주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에 의해 봉형 식료품을 절단하는 절단기를 공지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은 단일 성분으로 구성된 봉형 식료품이 압착 부재에 의해 절단되는 절단기를 제공하고 있다. 각각의 압착 부재는 얇으며, 식료품을 원활하게 절단하기 위하여 내단부에 예리한 에지를 가지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 251, 201호는 이리스 밸브가 다각형 구멍을 폐쇄 및 개방하여 충전재 및 피막재로 구성된 압출물을 절단하는 압출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이리스 밸브는 반경 방향으로 가해진 힘으로 구멍을 개방 및 폐쇄하는 원주상에 배치된 다수의 엽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엽상 부재는 서로 중첩되어서 구멍이 만들어지므로, 각각의 엽상 부재의 두께는 반드시 제한되어 있고 구멍을 완전하게 폐쇄될 수 없다. 게다가, 구멍은 얇은 엽상 부재의 내부 단부에 형성된 예리한 에지에 의해 반드시 규정되므로, 물품이 예리한 칼날에 의해 절단될 때 엽상 부재에 의해 관통될 것은 확실하며, 따라서 충전재가 용이하게 노출된다. 또한 물품은 엽상 부재 사이를 막는 경향이 있다.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90074호("74")에는 반죽 껍질 및 충전재로 구성된 구형체를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상기 장치에서, 원통형 물체는 3개 이상의 활주 부재로 구성된 형성 조립체의 구멍으로 연속 공급되어 통과된다. 상기 부재가 서로 활주 관계로 조립되어 내향 및 외향으로 이동하여 구멍을 개방 및 폐쇄 시킴으로써 구형체가 만들어진다. 제 20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074의 부재(101)는 지점(110)가지 테이퍼되는 테이퍼 부분(102)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때문에 연속적으로 공급된 원통형 물체는 충전재를 노출시키지 않고 절단될 수 있고, 동시에 원통형 물체가 절단되는 부위로 반죽껍질이 운반된다. 그러나, 반죽의 탄성이 큰 경우에는 절단되는 부위에 있는 반죽은 탄성력때문에 탄력 귀환되는 경향이 있고, 그 결과 제 21 도 및 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충전재를 노출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연속적으로 공급된 재료를 절단함으로써 껍질과 충전재로 구성된 구형체를 준비할때, 구멍이 완전히 폐쇄되어서 충전재 또는 껍질이 절단기나 절단기를 구성하는 부재 사이에 부착되지 않으며 충전재가 균일한 두께의 껍질로 둘러싸이게 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재를 포함하는 원통형 물체를 절단하여 외피와 충전재로 구성된 구형 제품을 형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적으로 공급된 원통형 물체를 절단하고, 동시에 반죽껍질의 탄성이 클지라도 외피로 충전재를 완전히 둘러싸므로써 형성된 구형체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충전재 또는 껍질이 절단기에 부착되지 않고 작동이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연속적으로 공급된 원통형 물체를 절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반죽껍질 및 충전재로 구성된 구형체 형성 장치는,
가) 서로 활주 관계로 조립되어 원주상에 배치된 3개 이상의 활주 부재로 구성된 조립체와,
나) 상기 조립체의 중심에 상기 부재에 의해 규정된 구멍과,
다) 반죽껍질 및 충전재로 구성된 원통형 물체를 상기 구멍으로 연속 공급하는 수단과,
라) 상기 구멍을 폐쇄 및 개방하기 위하여 원통형 물체의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내향 및 외향으로 상기 부재를 모두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고, 각각의 부재는 에지를 형성하며 서로 접해 있는 2개의 활주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을 따라 인접한 부재의 인접한 활주 표면이 활주 가능하고, 또한 에지에 접하게 형성된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테이퍼 부분이 에지가 소정 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에지 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힘은 원통형 물체가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내부 구멍을 가진 원형의 내향 절단기를 형성하는 3개 이상의 활주 부재에 의해, 적어도 3방향에서 원통형 물체에 적용된다. 한 부재의 활주 표면은 다른 부재의 활주 표면 위로 활주하여서 구멍을 통과하는 원통형 물체의 표면에 접촉하고, 활주 부재는 점차로 원통형 물체를 수축하여 절단한다.
힘은 부재의 활주 운동의 궤적 즉, 원통형 물체의 원주에 접하는 방향으로 편의되는 궤적을 따라 원통형 물체에 적용되기 때문에, 원통형 물체는 구심적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지 않으며, 활주 표면에 접한 반죽껍질은 절단되어야 할 부분으로 흘러가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활주 표면과 반죽껍질의 표면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 때문이다. 또한, 활주 표면과 원통형 물체와의 접촉 면적은 물체에 접선 방향력이 가해짐으로써, 물체를 수축하는 동안에 감소되기 때문에 물체는 절단기가 물체를 관통하게 되는 힘을 받지 않는다. 충전재는 원통형 물체의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분리되고, 그 동안에 반죽껍질은 원통형 물체가 절단되는 부위로 운반됨으로써 충전재를 완전히 둘러싼다. 이것은 반죽껍질과 충전재간의 유동학적 성질 차이 때문에 일어난다. 더구나 각각의 부재의 테이퍼 부분이 에지가 송정 길이를 유지하도록 경사지기 때문에, 활주 표면의 내향으로 배치된 부분에 의해 규정된 구멍이 소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구멍에서의 반죽껍질은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추가의 반죽량을 수령하여 구형체가 형성되어 분리될때 반죽이 절단 부위에서 탄력 귀환되는 경향을 보정하게 된다. 구멍이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구멍에 남아 있는 반죽의 일부는 상향 및 하향으로 빠져 나가고, 이에 의해 조립체 바로 아래의 구형체와 조립체 위의 원통형 물체의 충전재를 둘러싸기 위하여 반죽이 첨가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에는 절단기 조립체의 활주 부재(1)가 도시되어 있다. 활주 부재(1)는 높이(a)로 된 3개의 측면과 상단면 및 하단면을 형성하며 2개의 대향하는 부등변 4각형 표면을 가진 6면체이다. 2개의 측면은 인접하고 있는 제1 및 제 2내부 활주 표면(3,5)으로 구성된다. 제 3 측면은 외부 활부 표면(9)이다. 이러한 활주 표면들은 모두 수직이다. 두개의 내부 활주 표면(3,5)은 에지(10)에서 만난다. 에지(10)에 인접한 부위는 에지(10)가 소정길이(a'')를 유지하게 하도록 에지(10)의 방향으로 테이퍼되는 2개의 경사(7)를 가진 테이퍼 부분(2)을 형성한다. 테이퍼 부분(2)은 활주 부재(1)의 모서리를 절단함에 의한 인접한 두 내부 활주 표면(3,5)과 활주 부재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도는 상단면 및 하단면을 절단하여 두개의 경사(7)를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테이퍼부분(2)의 경사(7)는 선형 그래디언트를 가지지만 원통형 물체의 성질을 조정하기 위하여 외부로 굴곡된 그래디언트를 가지는 것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경사는 에지에서 가장 먼 부위에서 완만하고 에지(10)에서 가까운 곳에서 가파르게 될 것이다. 에지(10)의 길이는 반죽껍질의 탄성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탄성이 큰 반죽껍질과 함께 원통형 물질을 절단할때 유리하다. 따라서, 에지(10)는 비교적 길게 제작된다. 예를들면, 에지(10)의 길이(a'')와 접촉 부위에서 테이퍼 부분 이외의 부분의 높이(a)의 비율은 반죽껍질 재료의 탄성에 의존하여 1/3내지 1/10까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호한 실시예에서, 측면의 높이(a)가 30㎜이면 길이(a'')는 3㎜ 내지 10㎜가 될 것이다. 테이퍼 부분의 하단면에서 경사는 경우에 따라 큰 불리한 점이 없이 제거시킬 수 있는데 특히, 제 1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승 위치에서 구형체를 수령한 다음에 원통형 물체의 하강과 동시에 구형체를 하강시키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을 때에는 경사를 피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에지(10)는 활주 부재의 하단면에 접하게 형성될 것이고, 상단면의 경사(4)는 최하점이 하단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될 것이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우징(11)에서 조립체(16)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활주 부재(1)를 함께 놓을 때, 여기서 외부 활주 표면은 하우징의 내벽에 접촉하고, 구멍(14)은 각각의 부재의 내부 활주 표면(3)의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채로 형성된다. 활주 부재(1)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하나의 활주 부재(1)에 고정 장착된 핀(25) (제 11 도)을 이동시킴으로써 화살표(S)로 도시된 방향으로 활주 이동된다. 핀(25)이 활주 부재(1)를 이동시킬때, 부재의 외부 활주 표면(9)은 하우징(11)의 내부벽 위로 활주하며 다른 부재의 외부 활주 표면에 힘을 가하면서 하우징(11)의 내벽을 따라 이동시킨다. 내부 활주 표면(3)의 내부로 노출된 부분은 구멍(14)을 한정하는 벽(13)을 구성한다. 구멍(14)은 완전히 개방되어 있을때 반죽껍질(17) 및 충전재(19)로 구성된 원통형 물체(15)를 통과시킬 정도로 충분히 넓은 단면적을 가진다. 각각의 활주 부재의 외부 활주 표면(9)이 활주할때 앞서 진행하는 부재의 제 2 내부 활주 표면(5)은 뒤에 이어지는 부재의 제 1 내부 활주 표면(3)위로 활주하도록 만들어지고 이에 의해 에지(10)가 내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는 것을 제 2 도 내지 7 도를 검토하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활주 운동은 구멍(14)의 면적을 감소시키게 된다. 원통형 물체(15)가 제 2 도 및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14)을 통과할때, 활주 부재(1)는 방향 S로 이동하게 되고, 활주 표면(3)의 내향으로 노출된 부분은 활주 부재의 활주 운동의 궤적을 따라 원주상으로 편의된 방향으로 원통형 물체에 수축력을 가한다. 활주 부재(1)가 제 3 도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될때, 구멍(14)은 제 6 도에 도시된 정도까지 폐쇄되고, 이에 따라 원통형 물체(15)를 수축시키게 된다. 활주 부재(1)가 활주할때, 활주 부재는 벽(13)에서 즉, 활주 표면(3)의 내향으로 노출된 부분에서 원통형 물체(15)의 외면과 접촉하게 되고, 부재의 활주 운동의 거리가 길수록, 원통형 물체(15)의 외면과 벽(13)이 접촉하는 부위가 더욱 수축된다. 따라서, 구멍의 면적이 감소됨에 따라 원통형 물체(15)와 접촉하는 벽(13)의 면적이 감소된다.
조립체의 활주 부재(1)의 절단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원통형 물체(15)는 공급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연속 공급되고, 구멍(14)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단 작동이 시작할때 원통형 물체는 원통형 물체와 활주 표면간의 접촉 면적이 가장 크게 되도록 활주 표면(3)의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다. 활주 표면(3)의 노출 부분에 의해 형성된 벽(13)의 면적이 방향 S로 활주 부재(1)의 활주 운동의 진행에 따라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멍(14)이 완전히 개방될때 경사를 제공하지 않는 위치에서 높이(a'')를 가질지라도, 벽의 높이는 축소된다. 경사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형 물체는 톱니형 벽에 의해 둘러싸인다. 원통형 물체의 단면과 절삭 공정의 어떤 지점에서 부재의 단면이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벽의 높이가 a'로써 도시되어 있다. 벽(13)과 접촉하는 원통형 물체(15)의 표면적은 벽(13)에 의한 원통형 물체(15)의 수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축소된다. 구멍(14)이 폐쇄될때, 에지(10)는 제 4 도 및 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길이 a''로 되고, 원통형 물체(15)는 절단되어 구형체(21)를 형성하게 된다. 반죽껍질(17)과 충전재(19)의 유동학적 성질의 차이 때문에 충전재(19)는 화살표 m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 물체의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제 8 도에 도시된 종래 장치에서는 쐐기형 칼날이 사용되는데, 칼날이 내향으로 이동할때 칼날은 화살표 S'로 도시된 바와같이 충전재(19)를 뚫고 들어가면서 원통형 물체와 접촉하는 칼날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 부재의 활주 운동중에 원통형 물체는 물체의 표면에 접선 방향으로 활주 표면(3)의 운동의 궤적을 따라 활주 표면(3)의 벽으로부터 힘을 받고, 따라서 반죽껍질은 구멍(14)의 중심으로 운반되고 결국에는 구멍(14)의 페쇄에 의해 절단된다. 상기 과정중에 반죽껍질과 활주 표면(34)간의 마찰은 방향 S로 반죽을 유동시킨다. 구멍(14)이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구멍은 반죽껍질로만 채워지고, 충전재는 구멍(14)의 어느 한 측면으로 위치가 바뀌게 된다. 원통형 물체는 제 4 도 및 제 7 도와 같이 최종적으로 절단되고, 형성체(12)가 만들어진다. 물체가 절단된후에 조립체의 활주 부재는 초기 위치로 신속히 귀환하여 원통형 물체로부터 다음 구형체로 절단할 준비를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에지(10)의 길이는 반죽 재료의 탄성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제 9 도에서 소정 길이(a'')의 구멍(14)에는 이 구멍이 폐쇄되기 전에, 반죽껍질로 채워진다. 구멍이 완전히 폐쇄되기 전에, 구멍내의 반죽은 두 대향 방향 즉, 상향 및 하향으로 분리되어서 구멍에서 밀려나오고, 이에 의해 구형체가 원통형 물체로부터 분리되는 부분을 추가의 반죽으로 덮게 된다. 반죽껍질의 탄성이 크면, 구형체와 원통형 물체의 반죽은 절단이 일어나는 부위로 반죽의 탄성으로 인하여 제 10 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귀환된다. 이러한 현상은 종래 절단기에서 생기는 문제점인데, 즉 절단 부위에서 반죽껍질이 얇아지는 경향이 있고, 충전재는 반죽의 탄성 귀환 때문에 노출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여 구멍에서 나오는 추가의 반죽이 활주 부재에 의해 부위로 운반된 반죽을 더하여 반죽의 얇아짐을 보정한다. 따라서, 충전재가 노출될 가능성이 완전히 없어진다. 게다가, 반죽의 탄성 귀환이 절단 부위로부터 추가의 반죽량을 끌어당긴다. 그 결과, 물체가 분리되는 곳에서 반죽껍질은 어떠한 돌출 부분도 없이 둥글고 깨끗한 표면을 가진다. 에지(10)의 길이(a'')는 반죽의 얇아짐을 보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추가의 반죽량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반죽껍질의 재료의 탄성이 클수록 에지(10)의 길이가 길어야 할 것이다.
제 11 도, 12 도 및 13 도에서, 장치는 기부(20), 절단기(23), 원통형 물체 공급 장치(51) 및 벨트컨베이어(53)를 가진다. 절단기(23)는 프레임(40), 상기 프레임(40)에 장착되어 활주 부재(1)를 수용하는 하우징(11) 및 슬라이더(27)를 구비한다. 프레임(40)은 기부(20)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 샤프트(41)를 따라 후술한 바와같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활주하도록 되어 있다. 핀(25)의 한 단부는 하우징(11)에 형성된 슬롯을 통과하여 한 활주 부재(1)의 외부 활주 표면(9)에 연결되고, 핀의 다른 단부는 슬라이더(27)에 고정된다. 슬라이더(27)의 한 단부는 크랭크 로드(29)의 한 단부에 연결된다. 크랭크 로드(29)의 다른 단부는 디스크(31)의 원주 부근에 있는 지점에 핀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디스크(31)는 기부(20)에 장착된 브라켓(32)에 의해 지탱된 슬라이드 기어(33)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기어에 동심적으로 고정 연결된다. 슬라이드 기어(33)는 자체의 샤프트(34) 및 기어 (35, 37)를 통하여 모터(39)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모터(39)가 시동되면, 슬라이더(27)는 전후로 반복적으로 이동하고, 하우징(11)에서 활주 부재(1)를 활주시킨다.
핀(49)의 한 단부는 절단기(23)의 한 단부에 고정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크랭크 로드(47)의 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랭크 로드(47)의 다른 단부는 핀(44)의 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핀(44)의 다른 단부는 원주 부근의 지점에서 디스크(45)에 고정된다. 디스크(45)는 모터(43)에 의해 회전되어서 크랭크 로드(47)를 하향 및 상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절단기(23)가 절단 작동과 동시에 반복적으로 하강 및 상승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왕복 운동은 절단기(23)가 연속적으로 하강하는 원통형 물체를 소정 위치에서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벨트 컨베이어(53)는 컨베이어 프레임(54), 롤러(48,55,57), 두개의 인장 롤러(52), 벨트(50) 및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형 물체(15)는 공급 장치(15)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서 원통형 물체의 축에 수직 방향으로 절단기(23)에 의해 수축되어 구형체(21)를 형성하고, 구형체는 벨트 컨베이어(53)에 의해 다음 장소로 공급된다.
제 13 도에서, 벨트 컨베이어(53)의 한 단부는 절단기(23)의 조립체의 운동과 동시에 기부(20)에 장착된 컨베이어 상승 장치(46)에 의해 상향 및 하향으로 이동하도록 만들어지므로, 롤러(57)는 롤러(55)를 중심으로 선회하여서 구형체가 절단기(23)로부터 분리되는 순간에 구형체를 수령함으로써 구형제(21)의 변형을 배제하게 됨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 14 도 내지 1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러가지 다른 활주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4 도에서, 조립체(76)는 4개의 직사각형 평행 6면체 부재(77)로 구성되고, 각각의 부재는 모서리에서 테이퍼 부분(79)과, 활주 표면(78, 87)과, 에지(80)를 가진다. 활주 표면(78)의 부분은 구멍(83)을 규정하는 벽(81)을 형성하고, 각각의 부재는 방향 S로 활주한다. 구멍(83)이 폐쇄될때, 부재의 위치는 제 15 도에 도시되어 있다.
조립체는 제 1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3개의 평행 6면체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각기 테이퍼 부분(85)과, 활주 표면(86, 92)과, 에지(88)를 가진다. 테이퍼부분(85)은 위로 올라가는 경사를 가진다. 부재의 활주 표면(86)에 의해 형성된 벽(90)은 구멍(91)을 규정하고, 각각의 부재는 방향 S로 활주한다. 구멍(91)이 폐쇄될때, 부재의 위치가 제 17 도에 도시되어 있다.
더구나, 그러한 형성 부재는 항상 동일한 형태의 다면체로 구성되지는 않는다. 제 18 도 및 19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립체(93)는 형태가 다른 세쌍의 다면체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부재는 위로 올라간 테이퍼부분(94), 활주표면(95, 96) 및 에지(97)를 가진다. 따라서 각각의 부재는 구멍(98)을 폐쇄하기 위하여 방향S'로 활주한다. 구멍(98)이 폐쇄될때 부재의 위치가 제 19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활주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슬라이더에 고정된 두 핀(99, 100)이 제공되고, 한쌍의 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동은 하나의 부재에 연결된 하나의 핀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원통형 물체의 수축은 원통형 물체의 표면과 접촉하는 구멍의 벽 면적이 점차로 감소하는 동안에 달성된다.
접촉 면적의 테이퍼 부분은 에지(10)가 소정 길이를 유지하게 되도록 테이퍼된다. 구멍내의 반죽껍질은 반죽껍질의 고탄성 때문에 절단되는 곳에서 반죽껍질이 얇아짐을 보정하기 위하여 추가의 반죽량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구형체는 반죽으로써 고탄성 재료가 사용될지라도 충전재를 노출시킴이 없이 본 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형성 장치를 여러가지 양호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는 동안에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

  1. 서로 활주 관계로서 조립되어 원주상에 배치된 3개 이상의 활주 부재(1)로 구성된 조립체(16)와, 상기 조립체(16)의 중심에 상기 활주 부재(1)에 의해 규정된 구멍(14)과, 반죽껍질(17) 및 충전재(19)로 구성된 원통형 물체(15)를 상기 구멍(14)으로 연속 공급하는 공급 수단(51)과, 상기 구멍(14)을 폐쇄 및 개방하기 위하여 원통형 물체(15)의 종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내향 및 외향으로 상기 부재를 모두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각각의 활주 부재(1)가 에지(10)를 형성하며 서로 접해있고 상기 표면을 따라 인접한 부재의 인접 활주 표면(3, 5)이 활주 가능한 2개의 활주 표면(3, 5)과 에지에 접하게 형성된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는, 반죽껍질과 충전재로 구성되는 구형체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재(1)의 상,하단면은 에지(10)가 소정길이(a'')를 갖도록 상기 에지(10)방향으로 수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체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길이(a'')는 반죽껍질(17)의 탄성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체 형성 장치.
KR1019870005195A 1986-05-26 1987-05-26 원통형 반죽물을 절단하고 절단된 반죽물에 외피를 형성시키므로써 구형 반죽물을 형성하는 장치 KR900002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20494A JPS62278934A (ja) 1986-05-26 1986-05-26 包被切断装置
JP61-120494 1986-05-26
JP120494 1986-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784A KR870010784A (ko) 1987-12-18
KR900002282B1 true KR900002282B1 (ko) 1990-04-10

Family

ID=1478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195A KR900002282B1 (ko) 1986-05-26 1987-05-26 원통형 반죽물을 절단하고 절단된 반죽물에 외피를 형성시키므로써 구형 반죽물을 형성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767304A (ko)
EP (1) EP0247825B1 (ko)
JP (1) JPS62278934A (ko)
KR (1) KR900002282B1 (ko)
CN (1) CN1007579B (ko)
AT (1) ATE78979T1 (ko)
AU (1) AU580711B2 (ko)
CA (1) CA1280937C (ko)
DD (1) DD263697A5 (ko)
DE (1) DE3780870T2 (ko)
ES (1) ES203384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4296A (en) * 1987-03-10 1989-07-04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quantitatively delivering food materials
DE3880492T2 (de) * 1988-12-15 1993-08-26 Frisco Findus Ag Formmaschine fuer speiseeis.
US5190770A (en) * 1989-01-12 1993-03-02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and shaping a spherical body
JPH03175925A (ja) * 1989-12-01 1991-07-31 Rheon Autom Mach Co Ltd 包被球断装置
GB8901987D0 (en) * 1989-01-30 1989-03-22 Matthews Bernard Plc Improvements in the manufacture of food stuffs
US5248513A (en) * 1989-03-02 1993-09-28 Nestec, S.A. Process to deform surfaces of extruded materials
EP0384929B1 (fr) * 1989-03-02 1993-05-12 Frisco-Findus Ag Dispositif, installation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gâteaux extrudés
JPH03285632A (ja) * 1990-03-30 1991-12-16 Rheon Autom Mach Co Ltd 包被球断装置
JP2916515B2 (ja) * 1990-05-01 1999-07-05 レオン自動機 株式会社 包被球断装置
AU643818B2 (en) * 1990-09-12 1993-11-25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an enveloped body
US5223277A (en) * 1990-09-12 1993-06-29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an enveloped body
US5820890A (en) * 1992-01-30 1998-10-13 Kobird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plastic bar-shaped food
JP2597990Y2 (ja) * 1993-12-27 1999-07-26 明治製菓株式会社 成形カッター
CA2220073C (en) * 1995-06-07 2002-05-28 The Pillsbury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dough products
US6907808B2 (en) * 1996-02-02 2005-06-21 Brigitte Merritt Apparatus for the processing of a strip of plastic material
JP2860937B2 (ja) * 1996-08-08 1999-02-24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フチ付き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AU689412B1 (en) * 1996-09-25 1998-03-26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cutting and shaping a spherical body
US5974668A (en) * 1997-02-18 1999-11-02 Butzer; Dane C. Irising cigar cutter
JP2934206B2 (ja) * 1997-05-19 1999-08-1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材料接合吐出装置、及び食品成形機
US5931086A (en) * 1997-11-05 1999-08-03 Interbake Dairy Ingredients Apparatus for the assembly of sandwich products
US6234779B1 (en) 2000-02-18 2001-05-22 Robert Ou-Young Method of shaping a spherical body and apparatus therefor
JP3471726B2 (ja) * 2000-08-01 2003-12-02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あん機
US20110086130A1 (en) * 2009-10-09 2011-04-14 Axelrod Glen S Continuous Production Of Edible Food Products With Selected Shapes
US9247752B2 (en) 2006-08-07 2016-02-02 Kellog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urled extrudate
EP2398329A2 (en) * 2009-01-23 2011-12-28 Mars, Incorporated Product shap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10081453A1 (en) * 2009-10-05 2011-04-07 T.F.H. Publications, Inc. 3-D Continuous Shaping Of Edible-Based Extrudates
CN104585265B (zh) * 2015-01-09 2017-01-25 阳政精机(无锡)有限公司 一种能将包子端部封闭、切断及捏出花纹的装置及方法
US20180056411A1 (en) * 2016-08-30 2018-03-01 Baker Perkins Inc. Iris-type segmenting mechanism
ES2863409T3 (es) * 2016-09-02 2021-10-11 Handtmann Albert Maschf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conformar y dividir al menos una tira pastosa de alimento en productos en forma de rodaja
CN107873808B (zh) * 2017-11-18 2020-03-27 王亚飞 一种水产单环刺螠处理装置
WO2019113561A1 (en) * 2017-12-08 2019-06-13 Schmuck Joseph T Fortune cooki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9845773A (zh) * 2018-09-25 2019-06-07 王晓杰 一种包子机
CN109511699A (zh) * 2018-09-25 2019-03-26 王晓杰 食品切断加工机和包子机
CN109511701A (zh) * 2018-09-25 2019-03-26 王晓杰 一种食品切断加工机和包子机
CN116268027A (zh) * 2023-03-03 2023-06-23 黑龙江省绿色食品科学研究院 一种夹心食品成形装置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176C (ko) *
US2578229A (en) * 1947-11-17 1951-12-11 Clement Marcel Rene Draw plate
DE1454966A1 (de) * 1964-08-01 1969-04-10 Basf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Hohlkoerpern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im Blasverfahren
US3923089A (en) * 1971-06-03 1975-12-02 Multifastener Corp Nut and panel assembly
DE2651564C2 (de) * 1976-11-11 1982-12-16 Aluminium-Walzwerke Singen Gmbh, 7700 Singen Vorrichtung an einer Strangpresse zum Schälen der Metallblöcke
US4251201A (en) * 1978-09-18 1981-02-17 Krysiak Janusz D Extrusion apparatus
IT1165135B (it) * 1979-06-29 1987-04-22 Pirelli Migliotamento nelle presse per estrusione
JPS6024157Y2 (ja) * 1983-06-03 1985-07-18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可塑性物質の包被球断装置
JPS60105482A (ja) * 1983-06-24 1985-06-10 ナビスコ ブランズ インコ−ポレ−テツド フード・ピースの製造方法
JPS6085178A (ja) * 1983-10-15 1985-05-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ドアウインドウレギユレ−タの取付構造
AU562512B2 (en) * 1984-02-07 1987-06-11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Forming stuffed pieces from filled tube
US4647468A (en) * 1984-05-18 1987-03-03 Nabisco Brands, Inc. Apparatus for forming filled edible products without waste
JPS6192536A (ja) * 1984-10-12 1986-05-10 Rheon Autom Mach Co Ltd 包被切断方法及び装置
US4734024A (en) * 1986-01-16 1988-03-29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shaping a spherical body
US4676727A (en) * 1986-04-09 1987-06-30 Atwood Harold T Machine for dividing mass material into individual pieces
US4643084A (en) * 1986-04-17 1987-02-17 Isaac Gomez Cookie machine
JPS6442652A (en) * 1987-08-10 1989-02-14 Konishiroku Photo Ind Method for processing silver halide color photographic sensitiv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22487A (en) 1987-12-03
EP0247825A1 (en) 1987-12-02
CN1007579B (zh) 1990-04-18
JPS62278934A (ja) 1987-12-03
CA1280937C (en) 1991-03-05
DD263697A5 (de) 1989-01-11
EP0247825B1 (en) 1992-08-05
DE3780870D1 (de) 1992-09-10
ATE78979T1 (de) 1992-08-15
CN87103838A (zh) 1988-02-03
AU580711B2 (en) 1989-01-27
ES2033842T3 (es) 1993-04-01
US4767304A (en) 1988-08-30
DE3780870T2 (de) 1993-01-14
KR870010784A (ko) 198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282B1 (ko) 원통형 반죽물을 절단하고 절단된 반죽물에 외피를 형성시키므로써 구형 반죽물을 형성하는 장치
KR900002281B1 (ko) 실린더형 반죽물을 절단하여 절단된 반죽물을 외피로 형성시키므로써 구형 반죽물을 형성하는 장치
KR900003436B1 (ko) 실린더형 반죽물을 절단하여 절단된 반죽물을 외피로 성형시키므로써 구형 반죽물을 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
AU650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filled buns
KR100236618B1 (ko) 봉 형상 식품의 절단방법 및 절단장치
EP08795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a double-layered food product
KR0127657B1 (ko)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KR860002210Y1 (ko) 플라스틱 볼 제조장치
US591660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aised-brim products
DE2760380C2 (ko)
US5496165A (en) Shaping cutter
US4822271A (en)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short cut pasta, in particular orecchiette, cavatelli etc.
DE1757225B1 (de) Vorrichtung zum Einhuellen eines eine Fuellung bildenden Nahrungsmittels in ein elastisches,teigartiges Material
KR880001471B1 (ko) 포피구형 식품제조장치
KR930003139Y1 (ko) 비틀린 주름을 갖는 회전타원형 반죽물 몸체의 성형 장치
JPH0420218Y2 (ko)
EP1513414B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a strand into individual pieces
JP2805415B2 (ja) 棒状食品体の連続分割用ブロック片及び連続分割装置
JP2641033B2 (ja) 多層包被食品の製造方法
JPH0510625Y2 (ko)
JPH0773488B2 (ja) 成形食品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装置
JPS62239970A (ja) 肉まんじゆう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S62186751A (ja) 包被切断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