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657B1 -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 Google Patents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657B1
KR0127657B1 KR1019930001162A KR930001162A KR0127657B1 KR 0127657 B1 KR0127657 B1 KR 0127657B1 KR 1019930001162 A KR1019930001162 A KR 1019930001162A KR 930001162 A KR930001162 A KR 930001162A KR 0127657 B1 KR0127657 B1 KR 0127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edge
cutter
arc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020A (ko
Inventor
마사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마사오 코바야시
카부시키가이샤 코버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26288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276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사오 코바야시, 카부시키가이샤 코버어드 filed Critical 마사오 코바야시
Publication of KR93001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21C11/103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utting elements slidably or rotably mounted in a diaphragm-lik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21C11/163Applying co-extrusion, i.e. extruding two or more plastic substances simultaneously, e.g. for making filled dough products; Making products from two or more different substances supplied to the extrud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Confectio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봉형상으로 압출되는 가소성 식품을 셔터부재를 사용하여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각 셔터부재의 정점을 인접한 셔터부재의 커터변에 맞닿게 하여, 모든 셔터부재의 중앙에 공극을 형성해 두고, 셔터부재를 회동시켜서 그 공극을 교축하는 것에 의해, 봉형상의 식품재료를 절단하는 장치이다.

Description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표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기구에 사용되는 셔터체의 형상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의 (1)은 셔터체가 확대한 괄약게이트(G)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 (2)는 동 상태에 있는 괄약게이트 중심에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가 압출공급되어 오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제4도의 (1)은 셔터체의 괄약게이트가 좁혀지고 있는 상태의 평면 설명도, (2)는 좁혀지고 있는 괄약게이트가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를 압박하여 그 게이트를 구성하는 커터변이 괄약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제5도의 (1)은 각 셔터체의 커터변의 최돌단(最突端)이 서로 맞닿아서 괄약게이트가 폐색된 상태의 평면 설명도, (2)는 동 상태에 있는 괄약게이트에 협지된 상태에 있는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와 셔터체의 수직단면 설명도.
제6도의 (1)은 각 셔터체의 날끝변(11)의 돌출단이 서로 맞붙은 상태의 평면 설명도, (2)는 동 상태에 있는 셔터체의 날끝변이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의 하방부를 전단하여 구형상의 식품으로 절단하여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제7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단기구에 사용하는 셔터체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셔터체로 구성된 절단기구의 각 셔터체가 확대상태에 있는 괄약게이트의 중심에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가 압출공급되어 오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제9도는 상기한 전단기구의 각 셔터체가 형성하는 괄약게이트가 좁혀지기 시작하여,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를 압박하여 그 게이트를 구성하는 커터변이 괄약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제10도는 상기한 절단기구의 각 셔터체가 형성하는 괄약게이트가 폐색된 괄약게이트에 협지된 상태로 있는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와 셔터체의 수직단면 설명도.
제11도는 상기한 절단기구의 각 셔터체의 날끝변이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의 하방부를 전단하여 구형상 식품으로 절단하여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셔터체2 : 셔터구동 연관기구부
3 : 압출기구부10 : 회동지지부
11 : 날끝변12 : 원호형상 커터변
12a : 모따기부13 : 폐색변
C : 가상원주F :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
G : 괄약게이트N : 노즐
O : 중심P : 지지점
f : (구형상으로 절단된)식품
본 발명은 압출기구로부터 연속적으로 봉형상으로 압출되어 오는 가소성 식품재료를 구(球)형상으로 절단시키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심(有芯)봉형상으로 압출되는 내심(內芯)식품재료를 외피식품재료로 피복한 구형상의 유핵(有核)식품형태로 성형하기에 유리하여서, 상품가치의 향상에 유용하다.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 중에는, 예를들어 찹쌀떡이나 글루텐성분이 풍부한 빵재료와 같이, 연성과 점탄성이 커서 절단하기가 대단히 곤란한 것이 있는데, 이러한 성질이 있는 봉형상 식품재료를 구형상으로 절단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도, 종전부터 각종 제안을 하여 그 실용화에도 성공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연성과 점탄성이 높은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를 구형상으로 절단하는 기구로서는, 일본국 실공소 63-29433호 공보나 일본국 특공평 1-4265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다각형의 내주변(邊)을 따라 왕복적으로 직진운동하는 셔터판을 배치하여 중앙부에 확축개폐(擴縮開閉)하는 다각형상의 절단부를 형성하고, 이 절단부를 향하여 가소성 식품재료를 봉형상으로 공급하여 절단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셔터판의 직진후퇴기구에 의한 종래의 절단방식은, 역학적으로 무리가 많아 동력의 손실도 크고, 또, 절단부위가 메워진 상태로 구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이 곤란하였기 때문에, 절단대상이 심부(芯部)에 팥소나 크림 등의 다른 종류의 식품재료를 내포한 유심봉형상 식품을 절단할 때에는, 절단부위로부터 심부를 형성하는 팥소나 크림이 누출하는 결점이 있어서, 전부터 개량이 도모되고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셔터판 직진후퇴기구를 사용하는 종래의 절단방식이 아직 충분하게 업계의 요망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심봉형상으로 압출하여 공급되는 가소성 식품재료에서도 심부의 식품재료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일이 없이, 외피의 식품으로 감싸서 구형상으로 고능률로 절단해 갈 수 있고, 더욱이 구조가 간소하여 제작비가 저렴한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채용한 수단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가소성 식품재료를 봉형상 식품재료(F)로 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종래 주지의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에 있어서 압출기구부(3)의 노즐(N)의 하방에, 중심(O)으로부터 반경 R로 그려지는 가상원주(C)를 균등분할하는 점 P, P…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한 가상원주(C)내의 영역에 있어서 자유단 가장자리 쪽이 동기적으로 왕복요동 가능한 적어도 3개의 셔터체(1)(1)…를 구비하고, 이들 각 셔터체(1)의 자유단 가장자리쪽에는 이웃한 셔터체(1)와 미끄럼접합하여 가소성 봉형상 식품(F)을 전단하는 날끝변(11), 이 날끝변(11)을 사이에 두고 한쪽의 옆가장자리에는 상기한 가상원의 중심(O)의 주위로 확축하는 괄약게이트(G)를 형성하는 원호형상의 커터변(12) 및 상기한 날끝변(11)을 사이에 두고 나머지 옆가장자리에는 이웃한 원호형상의 커터변(12)에 합치하는 폐색변(13)이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원호형상 커터변(12)의 상하면에는 모따기부(12a), (12a)가 형성되고, 상기한 폐색변(13)의 측면에는, 상기한 날끝변(11)으로부터 지지점(P)쪽을 따라 도려내어져 이웃한 커터변(12)의 모따기부(12a), (12a)를 받아들일 수 있는 오목부(13a)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절단기구(M)를 배설하고, 이 절단기구(M)에 있어서 상기한 셔터체(1)(1)…의 각 원호형상 커터변(12)이 요동에 따라 형성하는 괄약게이트(G)를 향하여, 압출기구부(3)의 노즐(N)로부터 압출되어 오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F)를 도입하여, 상기한 각 원호형상 커터변(12)으로 괄약하면서, 괄약되어 좁혀진 식품(F)의 괄약면을 상기한 원호형상 커터변(12)의 상하면에 형성된 모따기부(12a), (12a)…에 접촉시켜서 구형상의 식품(F)으로 절단시키는 절단수단을 채용한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실시예)
이하, 4개의 셔터체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의 기구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기구에 사용하는 셔터체의 형상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상기한 셔터체를 장착한 절단기구에 의한 봉형상 식품재료의 절단과정을 차례대로 나타낸 설명도로서, 제3도의 (1)은 셔터체가 확대된 괄약게이트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 제3도의 (2)는 동 상태에 있는 괄약게이트 중심에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가 압출공급되어 오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제4도의 (1)은 셔터체의 괄약게이트가 좁혀지고 있는 상태의 평면 설명도, 제4도의 (2)는 좁혀지는 괄약게이트가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를 압박하여 그 게이트를 구성하는 커터변이 괄약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제5도의 (1)은 각 셔터체의 커터변의 최돌단이 서로 맞닿아서 괄약게이트가 폐색된 상태의 평면 설명도, 제5도의 (2)는 동 상태에 있는 괄약게이트에 협지된 상태에 있는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와 셔터체의 수직단면 설명도, 제6도의 (1)은 각 셔터체의 날끝변(11)의 돌출단이 서로 맞붙은 상태의 평면 설명도, 제6도의 (2)는 동 상태에 있는 셔터체의 날끝변이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의 하방부를 전단하여 구형상의 식품으로 절단하여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제7도는 제1도의 봉형상 식품 절단기의 절단기구에 사용하는 셔터체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8도는 확대상태에 있는 괄약게이트의 중심에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가 압출공급되어 오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제9도는 좁혀지는 괄약게이트가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를 압박하여 그 게이트를 구성하는 커터변이 괄약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 제10도는 폐색된 괄약게이트에 협지된 상태로 있는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와 셔터체의 수직단면 설명도, 제11도는 셔터체의 날끝변이 상기한 봉형상 식품재료의 하방부를 전단하여 구형상의 식품으로 절단해서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절단기구에 장착되는 셔터체(1)(1)…는, 제2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끝이 뾰족한 창칼형의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셔터체(1)는, 그 기단부 중앙에 후술하는 지지점(P)에서 회동자재하게 지지되는 회동지지부(10)를 보유하며, 이 회동지지부(10)의 반대쪽의 자유단부로 되는 위치에는 날끝변(11), 이 날끝변(11)을 사이에 두고 옆가장자리에는 소정의 곡률로 돌출 만곡하는 원호형상의 커터변(12) 및 상기한 날끝변(11)을 사이에 두고 나머지 옆가장자리에는 상기한 원호형상 커터변(12)이 끼워 넣어져서 합치되는 폐색변(13)이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한 폐색변(13)의 측면은 오목하게 파내어져 오목부(13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2도의 셔터체(1)에 있어서는, 상기한 원호형상 커터변(12)의 상하면에 날끝변(11)에 접근할수록 기울기가 작게 되는 테이퍼형상의 모따기부(12a)(12a)가 형성되어 있고, 또 제2도의 셔터체(1)에 있어서는, 상기한 원호형상 커터변(12)의 상하면에 날끝변(11)에 접근할수록 접선이 이루는 각도가 체감하는(즉, 곡면의 기울기가 작게 되는) 볼록한 곡면형상의 모따기부(12a)(1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도 및 제7도의 셔터체에 있어서 폐색변(13) 및 폐색변 측면의 오목부(13a)의 오목하게 파내어지는 형상은, 원호형상 커터변(12)에 형성되는 모따기부(12a)(12a)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각각 테이퍼형상의 오목면 또는 오목곡면으로 형성하고 있어서, 상기한 원호형상의 커터변(12)의 모따기부(12a) 위에 덮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해서, 제2도에 도시하는 셔터체(1)를 4개 사용하여 본 실시예의 절단기구(M)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4개의 셔터체(1)(1)(1)(1)의 회동지지부(10)를, 중심(O)으로부터 반경 R로 그려지는 가상원주(C)를 4분할하는 4개의 점(P)(P)(P)(P)을 지지점으로 하여 날끝변(11)(11)(11)(11)이 중심(O)을 지향하여 동기(同期)적으로 왕복요동하도록 회동지지한다(제3도 참조). 이 경우, 이들 각 셔터체(1)의 동기적 요동은 후술하는 주지의 기구로 행하여지는데, 이렇게 하여 조립된 셔터체(1)의 각 원호형상 커터변(12)(12)(12)(12)은 왕복요동의 과정에서 중심(O)의 주위로 확축하는 대략 4각형의 괄약게이트(G)를 형성하는 것으로 된다(제3도 참조).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4개의 셔터체(1)를 사용한 경우에는 괄약게이트(G)의 면적을 크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도에 나타내는 봉형상 식품 절단기는, 상기한 구성의 절단기구(M)를 1개의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한 절단기구(M)는, 그 식품 절단기의 상부에 설치된 압출기구부(3)의 노즐(N)의 하방에, 상기한 셔터체(1)(1)(1)(1)가 형성하는 괄약게이트(G)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또 그 하방에는 승강테이블(T)이 배설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최상부에 배치한 압출기구부(3)는, 가소성의 외피 식품재료를 압출하는 압출기(31)와 가소성의 내심 식품재료를 압출하는 압출기(32)를 외관(外管)(33)과 내관(內管)(34)을 개재하여 유심봉형상으로 합류시켜서 사출하는 것이며, 또 승강테이블(T)은 상기한 절단기구(M)가 후술하는 동작을 통하여 구형상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식품(f)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상승하여 떠받쳐서 하방으로 운반하는 기구부이다. 또, 제1도의 봉형상 식품절단기에 있어서 절단기구(M) 이외의 기구부분, 예를 들어, 압출기구부(3)의 구성, 승강테이블(T)의 승강운동기구 등은 본 발명자가 종전에 개발하여 실용화한 주지의 봉형상 식품 절단기에 사용하고 있는 기구와 실질적으로 변화가 없으므로, 세세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예를 들어, 본 발명자가 제안한 일본국 특개소 57-186482호 공보, 일본국 특공평 2-207748호 공보, 일본국 특공평 2-227062호 공보 등).
이와 같이해서, 제1도의 절단기구(M)를 구성하는 셔터체(1)(1)(1)(1)는, 왕복회전모터(20), 이 모터(20)의 출력축(21)에 연계되어 왕복구동되는 스프로킷(22) 및 체인(23)으로 구성되는 스프로킷·체인전도부, 상기한 4개의 셔터체(1)의 각각의 회동지지부(10)에 연계되어 스프로킷(22)의 왕복구동에 따라 각각의 셔터체(1)를 일제히 회전시키는 피봇축(24)으로 구성되는 셔터구동 연관기구부(2)에 의해 괄약게이트(G)의 확축절단운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제1도의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에 있어서는, 압출기구부(3)로부터 유심봉형상으로 압출되어 오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F)는 확개상태에 있는 절단기구(M)의 괄약게이트(G)의 안으로 진입하게 되고, 소정의 치수만큼 진입하면 절단기구(M)의 괄약게이트(G)는 축소하여 점차 폐색되게 되어서, 괄약게이트(G)가 완전히 폐색되었을때, 이 봉형상 식품재료(F)의 하단으로부터 식품(f)을 구형상으로 절단하여 분리한다. 절단되어 분리된 구형상의 식품(f)은, 상승위치에 있는 승강테이블(T)에 의해 충격이 없이 받아 내어져, 도시하지 않는 주지의 벨트콘베이어에 놓여져서 반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절단기구(M)에 의한 봉형상 식품재료(F)의 절단과정을, 제3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차례대로 설명한다.
먼저, 제3도의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체(1)(1)(1)(1)의 날끝변(11)이 원주(C)방향으로 요동하여 괄약게이트(G)가 확개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때, 제1도의 압출기구부(3)로부터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F)가 압출되어와서 확개상태에 있는 괄약게이트(G) 안으로 하단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진입하여 온다.
이어서 곧,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체(1)(1)(1)(1)의 날끝변(11)(11)(11)(11)은 원호형상 커터변(12)(12)(12)(12)에 맞닿으면서 중심방향으로 요동하기 시작하여, 제4도의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 커터변(12)(12)(12)(12)이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F)의 주위를 순차적으로 사방으로부터 괄약시키며, 그때, 모따기부(12a)(12a)(12a)(12a)가 괄약되어 좁혀진 식품재료(F)의 상하부분에 접촉하여 어루만지는 것으로 된다. 이 모따기부(12a)(12a)(12a)(12a)에 의한 식품재료(F)의 괄약부분의 어루만짐은, 각 원호형상 커터변(12)에 모따기부(12a)를 형성한 것에 의해 생기는 바람직한 작용이다.
그리고, 제5도의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 커터변(12)(12)(12)(12)의 돌출단이 서로 맞닿아 합쳐지게 되면, 제5도의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F)는 원호형상 커터변(12)(12)(12)(12)에 의해 눌러 찌부러져서 상하로 편재됨과 아울러, 모따기부(12a)(12a)(12a)(12a)에 의한 어루만짐은 기울기가 작게되어 그 식품(F)의 괄약면의 근원 가까이에 도달한다.
이렇게 하여, 제6도의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셔터체(1)(1)(1)(1)에 의한 괄약게이트(G)의 축소방향으로의 요동이 최종단계에 도달하면, 이들 셔터체(1)의 자유단에 형성된 날끝변(11)(11)(11)(11)이 서로 맞대어지게 되어, 제6도의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변(11)(11)(11)(11)이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F)로부터 괄약되어 나온 부분을 흠집을 남기지 않고 전단하여 구형상 식품(f)으로 하여 셔터체(1)(1)(1)(1)의 하방으로 절단하여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또, 제8도 내지 제11도는, 제7도에 원호형상 커터변(12)의 상하면에 볼록한 곡면형상의 모따기부(12a)(12a)(12a)(12a)를 보유하는 셔터체(1)를 사용한 절단기구(M)에 의한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F)의 절단과정을 차례대로 도시한 것인데, 셔터체(1)에 의한 괄약게이트(G)의 확축형태 및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F)의 절단작용은, 상기한 제3도 내지 제6도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차이가 없다.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한 실시예는 대략 상기한 바와 같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 기재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여, 예를 들어 상술한 도시예에서는 셔터체(1)에 있어서 원호형상 커터변(12)의 상하면에 형성한 모따기부(12a)는 상하 대칭으로 되어 있지만, 비대칭형상으로 해도 좋으며, 전단대상으로 되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F)의 구체적인 물성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상원주를 균등하게 분할하는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4개의 셔터체를 동기적으로 왕복요동 가능하게 설치함과 아울러, 이들 셔터체의 자유단 가장자리에는 날끝변, 이 날끝변을 사이에 두고 한쪽 옆가장자리에는 상기한 가상원주의 중심의 주위로 확축하는 괄약게이트(G)를 형성하는 원호형상 커터변 및 날끝변을 사이에 두고 또 하나의 옆가장자리에는 인접하는 원호형상 커터변에 합치하는 오목형상의 폐색변을 형성하는 한편, 또 상기한 원호형상 커터변의 상하면에는 날끝변에 근접할수록 기울기가 작게 되도록 모따기부를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적용하여 구성한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는, 유심봉형상으로 압출하여 공급되는 가소성 식품재료이더라도, 각 셔터체의 원호형상 커터변이 형성하는 괄약게이트에 의해 주위로부터 서서히 무리없이 괄약하면서 그 식품의 괄약부분을 모따기부로 둥글게 하여, 자유단 가장자리에 있는 날끝변에 의해 그 식품재료를 가위로 자르듯이 간단하여 하단부분을 구형으로 절단하여 떨어뜨릴 수 있어서, 결코 심부의 식품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일이 없고, 또, 보기 흉한 흠집을 남기는 일도 없으므로, 상품가치가 높은 구형상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봉형상 식품 절단기는, 셔터체를 가상원주의 중심을 향하여 왕복적으로 일제히 요동시키는 것만의 간단한 구조이므로, 고능률로서 봉형상 식품재료를 구형상으로 절단하여 가는 것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제작비용을 저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봉형상 식품재료의 절단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만족할 만한 상태까지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산업상의 이용가치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Claims (6)

  1. 가소성 식품재료를 봉형상 식품재료로 하여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구부(3)의 노즐(N)의 하방에, (a) 중심(O)으로부터 반경 R로 그려지는 가상원주(C)를 균등분할하는 점 (P), (P)…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한 가상원주 내의 영역에 있어서 자유단 가장자리 쪽이 동기적으로 왕복요동 가능한 적어도 3개의 셔터체(1)(1)…를 구비하고, (b) 이들 각 셔터체(1)의 자유단 가장자리에는 이웃한 셔터체(1)와 미끄럼접합하여 가소성 봉형상 식품(F)을 절단하는 날끝변(11), 이 날끝변(11)을 사이에 두고는 한쪽 옆가장자리에는 상기한 가상원의 중심(O)의 주위로 확축하는 괄약게이트(G)를 형성하는 원호형상의 커터변(12) 및 상기한 날끝변(11)을 사이에 두고 나머지 옆가장자리에 이웃한 원호형상의 커터변(12)에 합치하는 폐색변(13)이 설치되며, (c) 상기한 원호형상 커터변(12)의 상하면에는 모따기부(12a)(12a)가 형성되고, (d) 상기한 폐색변(13)의 측면에는, 상기한 날끝변(11)으로부터 지지점(P)쪽을 따라 도려내어져 이웃한 커터변(12)의 모따기부(12a)를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오목부(13a)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절단기구(M)를 배설하고, 이 절단기구(M)에 있어서 상기한 셔터체(1)(1)…의 각 원호형상의 커터변(12)이 요동에 따라 형성하는 괄약게이트(G)의 중심을 향하여, 압출기구부(3)의 노즐(N)로부터 압출되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재료(F)를 도입하여, 상기한 각 원호형상의 커터변(12)으로 괄약하면서, 괄약되어 좁혀진 식품(F)의 괄약면을 상기한 원호형상의 커터변(12)의 상하면에 형성된 모따기부(12a), (12a)…에 접촉시켜서 구형상의 식품(F)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가상원주(C)를 4분할하는 지지점(P)(P)(P)(P)에, 4개의 셔터체(1)(1)(1)(1)를 회동자재하게 지지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셔터체(1)에 있어서의 원호형상 커터변(12)의 모따기부(12a)가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각 셔터체(1)에 있어서의 원호형상 커터변(12)의 모따기부(12a)가 볼록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각 셔터체(1)에 있어서의 폐색변(13)의 오목부(13a)는, 원호형상 커터변(12)의 지지점(P)쪽과 중심(O)쪽과의 사이의 행정영역에 걸쳐 그 커터변(12)의 모따기부(12a)(12a)에 덮혀진 상태로 미끄럼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압출기구부(3)가, 가소성의 외피식품재료를 압출하는 외피압출기(31)와 가소성의 내심(內芯)식품재료를 압출하는 내심압출기(32)에 의해 유핵봉형상 식품재료(F)로 하여 압출하는 복합압출창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KR1019930001162A 1992-01-30 1993-01-29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KR0127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042183 1992-01-30
JP4042183A JPH084443B2 (ja) 1992-01-30 1992-01-30 可塑性棒状食品切断機
JP92-0421830 1992-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020A KR930016020A (ko) 1993-08-26
KR0127657B1 true KR0127657B1 (ko) 1997-12-26

Family

ID=1262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162A KR0127657B1 (ko) 1992-01-30 1993-01-29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553958B2 (ko)
JP (1) JPH084443B2 (ko)
KR (1) KR0127657B1 (ko)
CN (1) CN1044848C (ko)
DE (1) DE69304937T3 (ko)
TW (1) TW29490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132B1 (ko) * 1998-04-01 2001-09-24 도라히코 하야시 식품 연속 절단 및 성형 장치와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28155T2 (de) * 1992-05-26 2000-09-14 Kobird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lastischen nahrungsmitteln
TW339262B (en) * 1993-08-26 1998-09-01 Kenbart Kk Method of cutting strip-shaped food and the device
TW306868B (ko) * 1995-03-07 1997-06-01 Reon Zidoki Kk
JP2906223B2 (ja) * 1995-04-10 1999-06-14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被切断装置
JP2860937B2 (ja) * 1996-08-08 1999-02-24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フチ付き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DE19723228C2 (de) * 1997-06-03 1999-11-11 Handtmann Albert Maschf Diaphragma
JP3363843B2 (ja) * 1999-07-26 2003-01-08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包被切断機
CN103636697B (zh) * 2013-11-26 2015-09-30 福州金翔食品机械设备技术有限公司 多色包成型机
JP5984892B2 (ja) * 2014-01-29 2016-09-0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シャッタ片及び食品成形装置
EP3180989B1 (de) * 2015-12-16 2020-02-05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lebensmittelprodukten, insbesondere von hüllenlosen produkten einer bestimmten form
CN108784880B (zh) * 2018-06-08 2020-11-24 义乌市添诚科技有限公司 一种手握式幼犬断尾器
CN109511701A (zh) * 2018-09-25 2019-03-26 王晓杰 一种食品切断加工机和包子机
CN109511698A (zh) * 2018-09-25 2019-03-26 王晓杰 包子机
CN111742944B (zh) * 2019-03-28 2022-03-25 廊坊市盛兴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春卷制皮包馅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157Y2 (ja) * 1983-06-03 1985-07-18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可塑性物質の包被球断装置
US4734024A (en) * 1986-01-16 1988-03-29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shaping a spherical body
US4936203A (en) * 1988-09-03 1990-06-26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pparatus for shaping and arraying spheroidal bodies of food materials
JPH03175925A (ja) * 1989-12-01 1991-07-31 Rheon Autom Mach Co Ltd 包被球断装置
JPH03285632A (ja) * 1990-03-30 1991-12-16 Rheon Autom Mach Co Ltd 包被球断装置
JP2916515B2 (ja) * 1990-05-01 1999-07-05 レオン自動機 株式会社 包被球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132B1 (ko) * 1998-04-01 2001-09-24 도라히코 하야시 식품 연속 절단 및 성형 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7069A (ja) 1994-01-18
DE69304937T3 (de) 2004-05-13
TW294901U (en) 1997-01-01
EP0553958A1 (en) 1993-08-04
CN1044848C (zh) 1999-09-01
EP0553958B1 (en) 1996-09-25
KR930016020A (ko) 1993-08-26
DE69304937T2 (de) 1997-02-27
EP0553958B2 (en) 2003-08-06
CN1074804A (zh) 1993-08-04
JPH084443B2 (ja) 1996-01-24
DE69304937D1 (de) 199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657B1 (ko) 가소성 봉형상 식품 절단기
JP2500163B2 (ja) 同時押出された調理済み食料製品の製造方法
KR100236618B1 (ko) 봉 형상 식품의 절단방법 및 절단장치
US4251201A (en) Extrusion apparatus
US58627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food products
KR100294981B1 (ko) 유심봉형식품의제조방법과그장치
EP0140617A3 (en) High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lled edible products
CN85107603A (zh) 切割夹馅的圆柱形面团体的装置
US5030078A (en) Apparatus for food product manufacture
US4643904A (en) Method of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discrete morsels contained within a baked food product
US5820890A (en) Apparatus for cutting plastic bar-shaped food
US4697505A (en)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discrete morsels contained within a baked food product
US4536146A (en) Croquette machine
CN1219357A (zh) 一种用于制造边缘装满发面的产品的方法和设备
CN1058371C (zh) 成形刀
JP3037258B2 (ja) 棒状食品切断装置
CN109275923A (zh) 一种来回往复式的全自动球状坚果破壳机
EP3632660B1 (en) Angled or curved jaws and method for wrapping ice cream
JPH09168379A (ja) 棒状食品切断方法とこの方法を利用した切断装置
JPH089870A (ja) 棒状食品を球状切断する方法、および同方法を用いるカッター体組合せ式切断装置
JP3003519U (ja) 食品製造装置
JPH07114677B2 (ja) 棒状食品切断方法とその装置
US3837248A (en) Parison cutoff and sealing apparatus
JPH06217675A (ja) 成形食品製造方法とそのための装置
JP7487271B2 (ja) 包被食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