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832B1 - 귀금속의 용해 및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귀금속의 용해 및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832B1
KR900001832B1 KR1019860700926A KR860700926A KR900001832B1 KR 900001832 B1 KR900001832 B1 KR 900001832B1 KR 1019860700926 A KR1019860700926 A KR 1019860700926A KR 860700926 A KR860700926 A KR 860700926A KR 900001832 B1 KR900001832 B1 KR 900001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al
metal
catalyst
solution
meta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104A (ko
Inventor
타다시 쿠니나가
히로시 다이도지
노부다카 고토
Original Assignee
크로닌 엔지니어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모리야마 미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닌 엔지니어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모리야마 미키오 filed Critical 크로닌 엔지니어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8070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02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of cells comprising at least an electrode made of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C22B11/042Recovery of noble metals from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4Obtaining noble metals by wet processes
    • C22B11/042Recovery of noble metals from waste materials
    • C22B11/048Recovery of noble metals from waste materials from spent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2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noble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5/00Electrolytic stripping of metallic layers or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Catalyst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귀금속의 용해 및 회수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동층형전해조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정층형전해조의 개략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동층전해법이나 고정층전해법을 써서 사용이 끝난 촉매등으로부터 귀금속을 용해하고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백금족금속등과 같은 귀금속은 자동차 배기가스를 정화한다던가 각종 유기화학반응용 촉매로서 또는 연료전지의 전극촉매, IC 등과 같은 전자부품의 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이러한 귀금속은 값이 비싸고, 자원면에서도 충분치 못하기 때문에 사용이 끝난 재료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는 것이 중요시 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귀금속을 회수하기 위해서 열농류산이나 왕수와 같은 산화력이 강한 산을 써서 귀금속을 그 담체와 함께 녹여 이렇게 하여 얻어진 용액에다 환원제를 가해 용액으로부터 금속을 석출시킨다던지, 낮은 전류밀도를 갖는 전해조에서 전해시켜 음극상에 석출 되어지도록 해오고 있었다. 그러나, 산에 의한 용해에서는 가열하는데 많은 열이 필요하게됨과 더불어 산화력이 강한 산은 위험하여 취급하기가 까다로웠다. 그리고 귀금속을 용해시켜주기 위해 종래부터 사용되어지고 있는 왕수에서는 NOX가 발생하여 공해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어 그 처리가 큰 문제로 되고, 또 시안화나트륨과 같은 시안화물도 귀금속을 용해하는데 유효한 것이긴 하지만 맹독을 갖는 시안화물이기 때문에 취급은 물론 배수처리에 주의를 요하게 된다.
또한, 귀금속촉매로부터 귀금속을 회수하게되는 경우에는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과 같은 담체에 미량의 귀금속이 극히 적기 때문에(촉매체적 1l에 대하여 귀금속 약 1g)담체를 포함하여 용해시켜도 회수율이 저하되게 됨과 더불어 다량의 용액을 처리해야만 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들 귀금속의 일부가 산화물로서 존재하는 경우가 있고, 또 귀금속산화물에는 왕수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도 있기 때문에 용해되기전에 환원처리를 하거나 또는 산에 의한 귀금속용해와 알칼리에 의한 산화물 용해를 조합시켜 주는등 2개의 공정으로 나누어 용해조작을 해야만 하는 것과 같은(일본국 특허공개소 57-155333호 참조) 결점이 있었다.
한편, 금속을 전기분해로 용해시켜 주는 방법이 여러가지로 제안되어져 있으나, (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소 51-37045) 귀금속촉매류 등의 금속이나 금속화합물이 담지되어져 있는 입상체로부터 귀금속을 용해시켜주게 될 때 전해법을 채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아직 보고되고 있지 않다.
또 얻어질 금속의 농도가 너무 희박한 용액이기 때문에 환원제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처리액의 양이 많아져 운전비가 높아지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고, 또 통상적인 평판형상으로 된 전극을 쓰게되는 전해조에서는 농도가 희박하기 때문에 귀금속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산화성 산을 쓸 필요없이 전해법의 장점을 살려, 금속입자라든지 금속화합물입자가 담지된 사용이 끝난 촉매 또는 연료전지전극, 전자부품등을 분쇄한 입상체를 산화성 산을 쓰게 되는 경우에 생기는 후처리 문제같은 것을 일으키지 않고 전해조의 양극실내에서 금속을 용해액중에 용해시키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희박한 용액을 유동층 전해조의 음극입자상에 석출되도록 함에 따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입상체라함은 촉매담체와 같은 입상이나 원주상체를 위시하여 판상, 원추상, 파쇄 또는 분쇄에 의해 얻어진 무정형, 연소후의 재로 얻어진 것들을 말하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발명을 사용이 끝난 촉매를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비전도성의 촉매담체로부터 귀금속이 녹아나오는 과정은 아직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귀금속에다 양극으로부터 통전시켜 녹여내는 양극적 용출과, 각기 입상체로 된 귀금속성분이 복극전극으로 작용함에 따른 용출 및 전해액중의 성분이 전해됨으로서 생겨나는 염소등의 작용과 같은 여러 인자가 용출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대상으로되는 귀금속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알루미나라던가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등으로 된 사용이 끝난 촉매의 기체(基體)나 IC등과 같은 전자부품 연료전지전극상에 담지되어져 있는 귀금속들인 팔라듐, 백금, 로듐, 루테늄, 이리듐, 은 및 금같은 것을 포함한다. 담체상에 담지되어져 있는 금속이나 금속화합물의 양은 담체의 용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예컨대 사용이 끝난 촉매인 경우 담체중량 1kg에 대해 0.1-50g정도가 된다. 여기서 금속용해에 사용되는 전해조는 격막에 의해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획되어지기만 한다면 그 구조와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자모양이나 통모양 같은 것으로 된 전해조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격막에는 양극실에서 용해된 귀금속성분이 음극실로 투과되어 음극상에 석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격막은 귀금속성분이 양이온으로 전해액중에 존재할 경우에는 양이온의 투과를 저지하게 되는 음이온교환막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귀금속성분은 반드시 양이온으로서만 존재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전해액의 조성이나 용출되는 귀금속성분에 따라 그에 맞는 중성막이라던지 양이온교환막으로서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면 좋다. 또 본 발명의 용출방법에서는 오직 양극실의 반응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격막의 위치를 조절해서 양극실의 용량이 음극실의 용량보다 커지게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여기서 사용하게 될 양극과 음극은 귀금속산화물을 피복시킨 칫수안정성을 갖는 양극과 티타늄으로 된 음극 등과같은 통상적인 것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이를 양 전극은 전해전압이 가장 낮아지게 되도록 배치해 놓아주면 좋고, 또 이 경우 음극을 다공질체로 해서 음극과 격막사이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음극 뒷쪽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주게 되면 보다 낮은 전압으로 전해조를 운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해액으로는 염산이나 초산, 황산 또는 혼합된 산등과 같은 각종 산을 사용할 수가 있으나, 폐액과 폐가스를 처리한다는 면에서는 비교적 폐액과 폐가스 처리가 쉬운 염산을 쓰는 것이 좋으며, 또 그 농도는 5-35%범위내에 있는 것 중 임의로 선택하여 쓰면 된다.
전해조의 양극실에다 이와같은 각 요소로 이루어진 사용이 끝난 촉매등을 넣고서 이 양극실에 전해액을 공급해 주면서 전해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입상체는 유동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도 고정층 상태가 되도록 하여도 좋고, 입상체를 유동층상태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전해조를 상자형으로해서 내식성을 갖는 프로펠러 등으로 교반시켜준다던지 통상 전해조에다 아래쪽으로부터 이 전해액이 상승되는 힘으로 담체를 유동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층전해에서는 담체입자가 끊임없이 회전하게 되어 그 표면전체로부터 담지 되어져 있는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 모두를 용해시켜줄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입상체를 정지상태로 유지시켜 주도록 된 고정층전해법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입상체 양극실에 충전시켜 놓은 상태로 통전시켜주게 된다. 이 경우 입상체중에는 불균일한 것이 많아 상기 유동층전해법으로서는 균일한 유동상태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정층 전해법에 따른 안정된 조건에서 유동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고정층전해법에서는 담체상의 모든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을 완전히 용해시켜주기 위해서도 많은 양의 용액을 순환시켜주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귀금속 용해방법에 있어서, 귀금속이 완전히 용출되기 이전에 전해를 중단하여 귀금속이 용출된 전해액을 뽑아내고 귀금속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산과 교환해 주고서 계속 전해처리를 해줌으로서 입상체에 남아 있는 금속의 양을 감소시켜 줄 수가 있게 되어 귀금속의 회수율을 높혀줄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해가 끝난 다음 용해된 전해액을 잔사와 더불어 전해로부터 끄집어 낸후 압착여과와 세척을 하게되나 세척에 사용된 액을 용해 또는 석출과정에 사용함으로서 귀금속의 회수율을 높혀줄 수가 있다.
이렇게 귀금속을 용출시킨 액은 수백 mg/1정도의 희박한 용액이기 때문에 이 액을 그대로 촉매의 제조라던가 도금을 비롯한 각종 용도에 쓸수가 없으므로 필요한 정도로 농축하거나 용액으로부터 귀금속을 석출시켜 주어야만 하게된다.
본 발명방법으로서는 상기와 같이 희박한 귀금속을 함유하는 액을 유동상태의 음극입자를 갖는 유동층전해조에다 넣어 음극상에 석출시켜 금속으로 회수한다던지, 촉매의 제조와 같이 적당한 농도의 용액이 필요한 경우에는 귀금속이 석출된 음극입자를 다시 용출용전해조에서의 용출용도로 쓰여지도록 하고, 또 전해에 의해 농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귀금속 성분도 동시에 정제할 수가 있게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귀금속 석출용 유동층전해조는 예컨대 본 출원인등이 일본국에 출원한 일본특허공개소 제60-200994호와 미국특허 제4,569,729호의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전해조를 사용하면 좋다.
유동층전해조를 가지고 금속을 석출하게되는 경우에는 전해액인 산의 도전율이 클 경우 전해가 입자표면 상에서 일어나지가 않고 입자에 전해전류를 공급하는 집전체로서 작용하는 음극상에서 금속의 석출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용해공정에서 얻어진 용액을 희석해 주어야만 하는바, 희석에는 용해공정에서 쓰여진 세척액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시안화물이라던가 산화성 산을 쓰는 일없이 사용이 끝난 촉매등을 전해조의 양극실에서 전해시켜 귀금속 성분을 전해액중에 용해시켜 주게되고, 또 얻어진 귀금속을 석출한다던지 귀금속의 순도 및 농도를 높인 용액을 얻을 수가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바,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제1도에 도시된 유동층형전해조를 써서 자동차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촉매중의 백금을 용해시켜 보았다. 여기서 촉매로서는 평균입자 직경 3mm인 알루미나에 백금과 미량의 팔라듐이 담지되어져 있는 것이며, 촉매 1kg에 대해 담지되어져 있는 백금의 양이 약 1g이고, 비중이 약 0.65kg/1인 것을 사용하였다.
전해조(1)는 세로 85mm, 가로 115mm, 깊이 200mm인 상자형전해조로서, 이 전해조(1)를 불소수지계음이온 교환막으로 된 격막(2)을 써서 양극실(3)과 음극실(4)의 용적비가 17:6이 되도록 구획시켰다. 양극(5)으로서는 다공성을 지니고서 칫수안정성을 갖춘 양극을 쓰고, 음극(6)으로서는 티타늄을 썼다.
그리고 음극실(4)에 15중량%의 염산을 가하고, 양극실(3)에는 상기 촉매입상체(7)를 0.8kg 넣어 전체 3.5l의 15중량% 염산을 2l/hr의 유속이 되도록 순환공급해주면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으로 만들어진 프로펠라(8)를 가지고 교반시켜 촉매입자(7)를 유동상태로 유지시켜 주고서 5A의 전류로 4시간 전해하였다. 2시간이 경과된 다음의 백금농도는 147mg/1, 전해가 끝났을때의 백금농도는 226mg/1, 팔라듐 농도가 17.1mg/1이 되었고, 백금회수율은 98.9%, 전류효율은 2.2%이었다.
[비교예 1]
전해조에 통과시켜 주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 조건에서 2시간이 지난 다음의 용액중 백금 농도는 9.9mg/1, 전해가 끝난다음의 백금농도는 15.3mg/1이고, 팔라듐 농도는 0 mg/1이었고 백금회수율은 6.7%이었다.
[실시예 2]
제2도에 개략도로 도시된 고정층형전해조를 써서 분해가솔린의 선택수첨가촉매중의 팔라듐을 용해시켜 보았다. 여기서의 촉매로서는 평균입자 직경 약 3.2mm인 알루미나펠렛에 팔라듐을 담지시켜 놓은 것으로서 촉매 1kg에 대한 팔라듐 양이 약 30g이고, 비중 0.6kg/1인 것을 전해에 앞서 환원처리해서 존재하는 금속산화물을 모두 금속이 되도록 하였다.
전해조(1)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전해조로서, 양극실(3)하부에 촉매를 붙잡아주도록 하기 위한 규격 10메쉬의 그물망(눈의 크기 1.65mm)을 깔아놓은 분산판(9)을 설치해 놓고서, 이 분산판(9)위에 촉매입자(7)를 1kg 충전시키고 15중량% 염산을 가하였다. 이어 양극실(3)에 전체 10l의 10중량%의 염산을 2l/hr의 유속이 되도록 순환공급하여 촉매입상체(7)를 정지상태로 유지해 주면서 30A의 전류로 4시간동안 전해시킨 결과 전해가 끝났을때의 팔라듐 농도는 65mg/1이고 용해효율은 48.8%가 되었다.
[비교예 2]
전해조내에다 통전시켜주지 않는 것 이외에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 조건에서 10중량% 염산을 전해조에 공급해서 분해가 소린의 선택수첨가 촉매중의 파라듐을 용해시켜본 결과 4시간 경과후의 팔라듐 농도가 37mg/1이었다.
[실시예 3]
귀금속이 도금된 알루미나 제IC기판(전체중량 32g)을 분쇄기로 입자직경 1.2mm이하로 분쇄한 후 850℃에서 12시간동안 연소시킨 입상체로부터 제1도 도시된 유동층형전해조를 써서 금을 용해시켜 보았다. 전해조의 양극실에다 전체량 5l의 10중량% 염산을 유속이 2l/hr가 되도록 순환공급해서 입자를 프로펠라로 교반해 주면서 10A의 전류로 30분동안 전해한 결과 15분이 지난 다음 및 30분이 지난 다음의 전해액 중의 금농도는 각각 151mg/1와 187mg/1이었고, 전체용해에 관한 전류효율은 약 2.5%이었으며, 전해가 모두 끝난 다음의 입상체로부터는 금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비교예 3]
실시예 3에서 사용한 IC기판의 분쇄입자를 제1도에 도시된 유동층형전해조를 써서 전류를 흘리지 않고 금을 용해시켜 본 결과 15분이 지난 다음에는 전해액 중에 금이 검출되지 않았고, 30분이 지난후에 미량이 검출되었을뿐 IC 기판상에 금이 잔류되어 있었다.
[실시예 4]
제1도에 도시된 유동층형전해조를 써서 탄소입장상에 팔라듐과 백금이 담지된 수첨가반응에 사용하는 촉매중의 팔라듐과 백금을 용해시켜 보았다. 이 촉매는 전해에 앞서 연소시켜 그 연소재 가운데 입자직경이 15㎛이하인 것을 채로 걸러 모아본 결과 그들의 성분은 팔라듐과 백금, 철, 알루미늄, 규소, 칼륨 및 마그네슘의 산화물과 미연소 탄소들이었고, 그중 산화 팔라듐량은 약 25%, 산화백금량은 약 2%가 되었다.
전해조의 양극실을 26중량%의 염산으로 채우고 나서 그에다 상기 촉매 연소재 330g(체적 550ml)을 넣었다. 이때 양극실에의 26중량% 염산공급은 유속 2l/hr로 공급하고 촉매연소재는 프로펠라로 교반하여 유동층 상태로 유지시켜 주면서 30A의 전류로 3시간 전해하였다.
그 결과 전해액중에 함유된 팔라듐 및 백금농도가 전해개시초기에 각각 0mg/1, 0mg/1이었고, 1.5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각각 8930mg/1, 715mg/1이었으며, 전해가 끝났을때에는 각각 12,750mg/1와 980mg/1이었다. 또한 전해가 끝났을때의 촉매연소재중의 팔라듐 및 백금잔량은 각각 12ppm과 Oppm으로서 팔라듐과 백금을 거의 정량적으로 용해시켜 줄 수가 있었다.
[비교예 4]
전해조에다 전류를 통과시켜주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은 조건에서 수첨가반응에 사용된 촉매의 연소재중의 팔라듐 및 백금을 용해시켜 본 결과, 전해액중에 함유된 팔라듐 및 백금의 농도가 각각 전해개시 초기에는 0mg/1, 0mg/1이었고, 1.5시간 지난 다음에는 9.2mg/1, 0mg/1이었으며, 3시간이 지난 다음에는 각각 13.4mg/1, 0mg/1이었다. 이때의 팔라듐과 백금의 용해효율은 각각 0.2%와 0%이었다.
[실시예 5]
제2도에 도시된 고정층형 전해조를 써서 자동차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입상체중의 귀금속을 용해시켜 보았다. 여기서의 촉매는 이른바 3원 촉매라 일컬어지는 것으로서 백금과 팔라듐 및 로듐등을 알루미나에 담지시켜 놓은 것인바, 백금 약 300ppm, 팔라듐 약 1000ppm 및 로듐 약 15ppm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다.
전해조(1)는 세로 180mm, 가로 250mm, 깊이 1000mm인 상자형전해조로서, 이 전해조(1)를 불소수지계통 음이온교환막으로된 격막(2)을 가지고 양극실(3)과 음극실(4)의 용적비가 5 : 1이 되도록 구획시켰다. 또 양극(5)으로서는 다공성을 갖는 칫수안정성 양극을 쓰고, 음극(6)으로서 티타늄을 사용하였다.
상기 음극실(4)에 30중량%의 염산을 첨가하고, 양극실(3)에는 20-40메쉬로 분쇄한 촉매입상체(7)를 22kg 넣어 전체량이 45l가 되는 30중량%의 염산을 80l/hr의 속도로 순환공급시켜 주면서 200A의 전류로 6시간 전해하였다.
그결과 전해가 끝난 다음 전해액중의 각 금속성분 농도는 백금이 118mg/1, 팔라듐이 347mg/1, 로듐이 56mg/1이었고, 잔사를 분석해 보니까 백금 7%, 팔라듐 96%, 로듐이 69%가 용출되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전해를 개시한 후 4시간이 지난 다음 통전을 일시 중단시키고, 양극실에 있는 전해액을 35중량%의 염산으로 교환시켜 주고서 2시간동안 전해시켜 주게되는 2단계 전해를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 조건에서 용해시켜 보았다.
1단계의 4시간 전해후 잔사를 분석해 본 결과 백금 94%, 팔라듐 94% 및 로듐 59%가 용출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나, 2단계의 2시간전해를 한 다음에는 백금 97%, 팔라듐 98% 및 로듐 74%를 용출되었음을 알 수 있어 실시예 5에 비해 팔라윰 및 로듐의 용출율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실시예 4에서 얻어진 팔라듐 및 백금을 함유하는 용액을 약 50배로 희석하여 양극직경 약 50mm, 음극직경 140mm, 높이 약 1000mm이고, 탄소입자를 음극입자로 양이온 교환막을 격막으로 한 원통형 유동층전해조에 전해액을 순화시켜 주면서 전해시켜보았다. 그 결과 팔라듐은 14mg/1까지 백금은 13mg/1까지 감소되었다.
[실시예 8]
실시예 5에서 얻어진 백금과 팔라듐 및 로듐을 함유하는 용액을 약 6배로 희석해서 양극 직경 약 30mm 음극직경 약 90mm, 높이 약 600mm이고, 탄소입자중 음극입자로 양이온교환막을 격막으로 한 원통형 유동층 전해조에서 20A의 전류로 전해액을 순환시켜주면서 전해시켜 보았다.
이때 음극입자는 탄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백금은 2mg/1 팔라듐은 3mg/1까지 감소되고 로듐은 검출한계 이하로 되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발명은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시안화물이나 산화성산을 이용하지 않고 귀금속 또는 귀금속화합물을 갖거나 함유하는 사용이 끝난 촉매를 전해조의 양극실에서 전해하여 귀금속 성분을 전해액중에 용해시켜, 이렇게 얻어진 귀금속을 함유하는 농도가 희박한 용액으로부터 귀금속을 석출한다던지 귀금속의 순도 및 농도를 높힌 용액을 얻을 수가 있어 작업을 단축시키고 간략화시켜 줄 수가 있어 경제성도 향상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Claims (16)

  1. 격막에 의해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획된 무기산수용액의 전해액이 담긴 전해조에 전류를 통하게 하여 양극실에서 촉매의 담체나 기체에 pt족 금속이나 pt족 금속화합물중 적어도 하나가 함유되어 있는 사용이 끝난 입상체형태의 촉매를 처리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용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이 끝난 촉매는 연료전지전극으로 사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의 용해방법.
  3. (a) 격막에 의해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획된 무기산수용액의 전해액이 담긴 전해조에 전류를 통하게 하여, 양극실에서 촉매의 담체나 기체에 pt족 금속이나 pt족 금속화합물중 적어도 하나가 함유되어 있는 사용이 끝난 입상체형태의 촉매를 처리하고, (b) 유동상태의 음극입자를 갖는 전해조의 음극실에서 pt족 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용해단계의 전해액을 전해시켜 음극입자상에 pt금속이 석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 수용액의 전해액은 염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사용이 끝난 촉매담체 또는 기체는 비전도성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Pt족 금속 또는 Pt족 금속화합물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거나 함유하는 입상체는 연료전지전극의 분쇄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7. 격막에 의해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획된 전해조에 전류를 통하게 하고, 무기산수용액의 전해액이 담긴 양극실에서, Pt족 금속이나 Pt족 금속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가 지지되거나 함유되어 있는 입상체를 처리한 후, 유동상태의 음극입자를 갖는 유동층 전해조의 음극실에 pt금속성분을 함유하는 용액을 공급하여 전해시켜 음극입자상에 상기 Pt족 금속이 석출되게 한 다음, 얻어진 음극입자를 격막에 의해 양극실과 음극실로 구획된 전해조에 전류를 통하게 하여, 양극실에서 재용출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염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Pt족 금속 또는 pt족 금속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거나 함유하는 입상체는 사용이 끝난 촉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체는 Pt족 금속이거나 또는 Pt, Pd, Rh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Pt족 금속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거나 함유하는 연료전지전극의 분쇄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산수용액의 전해액은 염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용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이 끝난 촉매는 자동차배기가스를 정화하는데 사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용해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족 금속화합물은 Pt, Pd, Rh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금속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용해방법.
  14. 제3항에 있어서, Pt족 금속이나 Pt족 금속화합물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거나 함유하는 사용이 끝난 촉매는 자동차 배기가스를 정화하는데 사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t족 금속화합물은 Pt, Pd, Rh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금속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사용이 끝난 촉매는 Pt금속 또는 Pt, Pd, Rh 및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Pt족 금속화합물을 지지하거나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회수방법.
KR1019860700926A 1985-04-25 1986-04-24 귀금속의 용해 및 회수방법 KR900001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39585 1985-04-25
JP60-87395 1985-04-25
PCT/JP1986/000203 WO1986006418A1 (en) 1985-04-25 1986-04-24 Method of dissolving and recovering noble met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104A KR880700104A (ko) 1988-02-15
KR900001832B1 true KR900001832B1 (ko) 1990-03-24

Family

ID=1391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926A KR900001832B1 (ko) 1985-04-25 1986-04-24 귀금속의 용해 및 회수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75452A (ko)
EP (1) EP0221187B1 (ko)
JP (1) JPS6230827A (ko)
KR (1) KR900001832B1 (ko)
AU (1) AU600666B2 (ko)
DE (1) DE3672956D1 (ko)
WO (1) WO198600641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77B1 (ko) * 2006-04-26 2007-09-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백금 스크랩으로부터 고순도 백금의 정제방법
WO2008060038A1 (en) * 2006-11-13 2008-05-22 In-Soo Jin Method of extracting platinum group metals from waste catalists through electrochemical process
KR100981789B1 (ko) * 2010-04-22 2010-09-13 남택준 솔더 스크랩의 주석 및 유가 금속 회수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5166A (ja) * 1985-10-19 1987-05-0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超音波霧化装置
FR2616810B1 (fr) * 1987-03-25 1989-08-18 Rhone Poulenc Sante Procede electrochimique pour recuperer le rhodium metallique a partir de solutions aqueuses de catalyseurs usages
CH672925A5 (ko) * 1988-09-19 1990-01-15 Hana Dr Sc Nat Frauenknecht
JP2641279B2 (ja) * 1988-12-27 1997-08-13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銅もしくは銅合金上の銀剥離液
GB8900557D0 (en) * 1989-01-11 1989-03-08 Atomic Energy Authority Uk Electrochemical cell
US5156721A (en) * 1990-12-03 1992-10-20 Whewell Christopher J Process for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of rhodium
GB9217414D0 (en) * 1992-08-15 1992-09-30 British Nuclear Fuels Plc Removal of metal from graphite
US5685827A (en) * 1992-12-14 1997-11-11 Daito Electric Machine Industry Company Limited Roller massaging device
DE4243698C1 (de) * 1992-12-18 1994-03-24 Mib Metallurg Und Oberflaechen Elektrolytisches Verfahren zum Lösen von Platin, Platinmetallverunreinigungen und/oder Platinmetallegierungen
DE4243697C1 (de) * 1992-12-18 1994-03-17 Mib Metallurg Und Oberflaechen Elektrolytisches Verfahren zur Gewinnung von Platin hoher Reinheit aus Platinlegierungen
DE4243699C1 (de) * 1992-12-18 1994-02-10 Mib Metallurg Gmbh & Co Elektrolytisches Verfahren zur Gewinnung von Platin hoher Reinheit aus verunreinigtem Platin
FR2737506B1 (fr) * 1995-08-04 1997-10-17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traitement par voie electrochimique de compositions contenant des metaux precieux en vue de leur recuperation
FR2740998B1 (fr) * 1995-11-10 1998-01-30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traitement par voie electrochimique de compositions contenant des metaux precieux en vue de leur recuperation
US5783062A (en) * 1995-08-04 1998-07-21 Rhone-Poulenc Chimie Process for the treatment, by an electrochemical route, of compositions containing precious metals with a view to their recovery
US6190428B1 (en) * 1996-03-25 2001-02-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lectrochemical process for removing low-valent sulfur from carbon
KR100369739B1 (ko) * 2000-10-21 2003-01-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안화 금카리 제조방법
KR100371564B1 (ko) * 2000-10-27 2003-02-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금속표면처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금속표면처리방법
US20040173057A1 (en) * 2003-03-04 2004-09-09 Aeromet Technologies, Inc. Leach column and method for metal recovery
US7255798B2 (en) * 2004-03-26 2007-08-14 Ion Power, Inc. Recycling of used perfluorosulfonic acid membranes
EP1626110A3 (en) * 2004-07-30 2008-02-06 Shinano Kenshi Kabushiki Kaisha Metallic p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60147791A1 (en) * 2004-12-30 2006-07-06 Debe Mark K Platinum recovery from fuel cell stacks
US20060144791A1 (en) * 2004-12-30 2006-07-06 Debe Mark K Platinum recovery from nanostructured fuel cell catalyst
CN100564602C (zh) * 2006-07-05 2009-12-0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氯铑酸的制备方法
KR100876682B1 (ko) * 2008-06-24 2009-01-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귀금속 용해장치
KR101048790B1 (ko) * 2008-11-24 2011-07-15 진인수 흐름 전해조를 이용하여 백금족 금속을 분리하는 방법
TWI404830B (zh) * 2010-04-15 2013-08-11 Solar Applied Mat Tech Corp 釕鈷系合金電化學溶解的方法
CN102234812B (zh) * 2010-04-29 2013-12-25 光洋应用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钌钴系合金电化学溶解的方法
EP2573196B1 (en) 2010-05-20 2015-03-11 Jin, In-Soo Apparatus for extracting precious metal from an inorganic granular waste catalyst
RU2439175C1 (ru) * 2010-12-09 2012-01-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платины (ii, iv) и родия (iii) в солянокислых водных растворах
RU2510669C2 (ru) * 2012-08-14 2014-04-10 Арье БАРБОЙ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благородных металлов из упорного сырья
US9580826B2 (en) 2013-04-11 2017-02-28 Syddansk Universitet Method for recovering platinum group metals from catalytic structures
RU2610185C2 (ru) * 2015-07-16 2017-02-0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платины (ii, iv) и железа (iii) в солянокислых растворах
RU2637547C1 (ru) * 2016-11-02 2017-12-0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платины (ii, iv), меди (ii) и цинка (ii) в солянокислых растворах
DE102018207589A1 (de) * 2018-05-16 2019-11-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Gewinnung von Gold, Silber und Platinmetallen aus Bestandteilen eines Brennstoffzellenstapels oder eines Elektrolysators
JP7275629B2 (ja) * 2018-05-16 2023-05-18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硫酸溶液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810A (en) * 1956-02-21 Cathode
US961924A (en) * 1909-03-10 1910-06-21 Norddeutsche Affinerie Process for refining gold.
US2088250A (en) * 1934-02-06 1937-07-27 Degussa Process for the separation of precious metals from gold metal containing materials
JPS499283B1 (ko) * 1968-05-28 1974-03-04
CA1016493A (en) * 1970-02-03 1977-08-30 Hiroshi Kametani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oelectrometallurgy
US3787293A (en) * 1971-02-03 1974-01-22 Nat Res Inst Metals Method for hydroelectrometallurgy
US3673061A (en) * 1971-02-08 1972-06-27 Cyprus Metallurg Process Process for the recovery of metals from sulfide ores through electrolytic dissociation of the sulfides
US3736238A (en) * 1972-04-21 1973-05-29 Cyprus Metallurg Process Process for the recovery of metals from sulfide ores through electrolytic dissociation of the sulfides
JPS549574B2 (ko) * 1972-07-31 1979-04-25
US3886055A (en) * 1973-12-12 1975-05-27 Texas Instruments Inc Electrolytic separation of metals
US3956086A (en) * 1974-05-17 1976-05-11 Cjb Development Limited Electrolytic cells
JPS5395804A (en) * 1977-02-01 1978-08-22 Nippon Tungsten Separating and recovering of valuable metal
SU973483A1 (ru) * 1979-09-20 1982-11-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815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 рени из ренийсодержащих материалов
SE8005137L (sv) * 1980-07-11 1982-01-12 Sodermark Nils Erik Sett att utvinna edelmetaller ur edelmetallhaltiga produkter
JPS6245825A (ja) * 1985-08-22 1987-02-27 Tokyu Constr Co Ltd 杭打ち装置
JPH0595101A (ja) * 1991-07-31 1993-04-16 Fuji Photo Film Co Ltd 半導体光電変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77B1 (ko) * 2006-04-26 2007-09-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백금 스크랩으로부터 고순도 백금의 정제방법
WO2008060038A1 (en) * 2006-11-13 2008-05-22 In-Soo Jin Method of extracting platinum group metals from waste catalists through electrochemical process
KR100858551B1 (ko) * 2006-11-13 2008-09-25 진인수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폐촉매로부터 백금족 금속을추출하는 방법
KR100981789B1 (ko) * 2010-04-22 2010-09-13 남택준 솔더 스크랩의 주석 및 유가 금속 회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00666B2 (en) 1990-08-23
EP0221187B1 (en) 1990-07-25
EP0221187A4 (en) 1987-09-16
WO1986006418A1 (en) 1986-11-06
AU5771086A (en) 1986-11-18
KR880700104A (ko) 1988-02-15
JPS6230827A (ja) 1987-02-09
EP0221187A1 (en) 1987-05-13
DE3672956D1 (de) 1990-08-30
US4775452A (en) 1988-10-04
JPH0364572B2 (ko) 199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832B1 (ko) 귀금속의 용해 및 회수방법
US4331520A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hydrogen-reduced metals, ions and the like at porous hydrophobic catalytic barriers
KR100858551B1 (ko) 전기화학적 방법에 의해 폐촉매로부터 백금족 금속을추출하는 방법
KR101392179B1 (ko) 백금족 금속의 회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백금족 금속의 회수장치
US4422911A (en) Method of recovering hydrogen-reduced metals, ions and the like at porous catalytic barriers and apparatus therefor
GB2038872A (en) Electrolytic process for preparing nitrites
JPH0532453B2 (ko)
JPS61223140A (ja) ひ素およびアンチモン含有溶液からの銅回収方法
Krstić et al. Novel multifunctional two layer catalytic activated titanium electrodes for various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processes
US3899404A (en) Method of removing mercury from an aqueous solution
US3957506A (en) Catalytic water treatment to recover metal value
JP2520674B2 (ja) 担体上に担持された金属の回収方法及び装置
JPH06212473A (ja) 貴金属の回収方法
RU2094534C1 (ru) Электроли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растворения платины, примесей платиновых металлов и/или сплавов платиновых металлов, содержащих родий, палладий, иридий, золото и серебро
JPH0691991B2 (ja) 高濃度硝酸アンモニウム含有廃水の処理方法
CN1277269A (zh) 电解方法
KR100367709B1 (ko) 폐액으로부터 백금족 금속의 회수방법
Li et al. Strategies of selective electroreduction of aqueous nitrate to N2 in chloride-free system: A critical review
KR101452809B1 (ko) 폐촉매에서 회수한 백금을 이용한 연료전지용 백금 담지 촉매 제조방법
JP2594802B2 (ja) 電解還元法
KR102391443B1 (ko) 금속성 대상체로부터 백금족 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CN214458369U (zh) 一种贵金属回收装置
CN219449948U (zh) 一种处理材料中的金属杂质去除装置
NL2022919B1 (en) Method, device an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phosphorus, such as phosphate, removal from a feed solution
RU2131485C1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благородных металлов из солянокислого раств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