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812Y1 - 컴퓨터와 프린터의 인터페이스 회로 - Google Patents

컴퓨터와 프린터의 인터페이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812Y1
KR890004812Y1 KR2019860018891U KR860018891U KR890004812Y1 KR 890004812 Y1 KR890004812 Y1 KR 890004812Y1 KR 2019860018891 U KR2019860018891 U KR 2019860018891U KR 860018891 U KR860018891 U KR 860018891U KR 890004812 Y1 KR890004812 Y1 KR 890004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ata
printer
input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363U (ko
Inventor
성동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8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812Y1/ko
Publication of KR8800103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3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8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interrupt
    • G06F13/2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interrupt with priority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컴퓨터와 프린터의 인터페이스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회로 주요부분의 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버퍼 3 : D플립플롭
4 : 중앙처리 장치 6 : 입. 출력 장치
본 고안은 주 컴퓨터와 프린터사이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 컴퓨터가 프린터에 데이타를 전송하고자 할때는 프린터의 제어용 중앙처리 장치에 인터럽트를 걸어서 프린터로 하여금 수행중인 주프로그램의 수행을 잠시 중단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수행토록하므로서 데이타의 전송을 수반하는 기기의 실행속도를 증가시킬수 있도록 한 컴퓨터와 프린트의 인터페이스 회로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검큐터와 프린터 사이의 병렬 인터페이스는 주컴퓨터에 프린터축으로 데이타를 전송할때는 주컴퓨터가 프린터축의 신호('비지': BUSY)상태를 검색하여 데이타를 받을 준비가 되었는가를 확인하고 준비가 되었으면 데이타를 출력포트로 출력함과 동시에 데이타가 전송된다는 것을 알리는 신호('스트로브': STROBE)를 출력한다.
이 스트로브 신호가 프린터의 입력포트로 전해지면 프린터의 제어용 프로세서는 전송된 데이타를 읽어 들여 소정의 프린터 구동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즉, 데이타 스트로브 신호와 데이타가 입. 출력장치의 포트를 통해 검색되면 우선 데이타를 읽어 이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해 컴퓨터쪽으로 비지신호를 보낸다. 컴류터는 이 비지신호가 '하이'이면 데이타 전송을 중지하여 프린터의 프로세서가 먼저 전송된 데이타를 처리할 시간 여유를 준 다음 프린터의 데이타 처리가 완료되면 프린터는 다시 비지신호를 '로우'로 출력하여 다음 데이타를 주컴퓨터로 부터 전송 받아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는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터페이스 회로는 프린터측의 주프로그램 실행중에 주기적으로 컴퓨터로 부터의 데이타 전송유무를 검색해야 되기 때문에 프로그램 실행속도 및 데이타 처리속도가 늦어지게 되었을 뿐만아니라 데이타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의 복잡성이 가중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린터는 컴퓨터로 부터의 데이타의 전송유무를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루틴이 삭제된 자체의 주프로그램만을 수행하다가 컴퓨터가 프린터에 전송할때만 프린터에 인터럽트를 걸어서 인터럽트서비스 루틴을 수행토록 하므로서 프로그램의 실행속도 및 데이타 처리속도를 증가 시키고 회로 구성을 간소화 할수 있게한 컴퓨터와 프린터의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스트로브 신호(STROBE) 가 입력되는 반전기(1)의 출력은 데이타(D0∼D7)가 입력되는 버퍼(2)의 인에이블단자(EN)와 D플립플롭(3)의 클록단자(CK)에 연결하고, D플립플롭(3)의 출력(Q)은 프린터 제어용 중앙처리장치(4)의 인터럽트단자(INT)와 OR게이트(5)의 일측 입력에 연결하되, OR게이트(5)의 타측 입력은 버퍼(2)의 출력(Q0∼Q7)으로부터 데이타가 입력되는 입. 출력장치(6)의 출력단자(PA1)에 연결하여 OR게이트(5)의 출력에서 비지신호(BUSY)가 출력되도록 하며, 입. 출력장치(6)의 출력단자(PA2)는 D플립플롭(3)의 클리어단자(CLR)에 연결함과 동시에 반전기(7)입력에 연결하여 반전기(7)의 출력에서 데이타를 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인식신호(ACK)가 출력되도록 하여서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프린터모터 제어회로, 9는 모터 구동회로, 10은 프린터의 모터를 제외한 기타 장치를 구동하는 회로, 11은 롬(ROM), 12는 램(RAM), R0∼R6는 저항, C0∼C2는 콘텐서 +Vcc는 전원이다.
본 고안의 제1도 회로는 프린터측에 구성되는 회로로서 스트로브신호(STROBE)와 데이타(D0∼D7)는 주컴류터로 부터 전송되는 것이며, 비지신호(BUSY)와 인식신호(ACK)는 주컴퓨터로 전송되는 신호이고, 모터 제어회로(8)와 구동회로(9) 및 기타 장치 구동회로(10), 롬(11)과 램(12)은 통상의 프린터 장치에서와 같이 프린터 제어용 중앙 처리장치(4)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화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의 본 고안 회로에 의한 데이타의 전송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린터는 초기상태에서는 비지신호(BUSY)을 로우상태로 두므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프린터를 사용 가능한 상태라는 것을 인식시키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가 프린터를 사용하고자 할때는 비지신호(BUSY)가 로우인 것을 확인하여 로우 일때 데이타(D0∼D7)를 출력하고 데이타 스트로브 신호(STROBE)를 출력한다.(제2a도 및 제2b도 참조)
컴퓨터에서 출력된 데이타(D0∼D7)는 버퍼(2)의 입력(I0∼I7)에 공급되고 스트로브 신호(STROBE)는 저항(R0, R1)과 콘덴서(C0)의 저역 여파기를 통해 반전기(1)로 반전된 다음 버퍼(2)의 인에이블 단자(EN)와 D플립플롭(3)의 클록단자(CK)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순간 버퍼(2)가 인에이블 되어 입력된 데이타(D0∼D7)는 출력(Q0∼Q7)을 통해 입. 출력장치(6)의 입력(D0∼D7)에 공급되고 또한 D플립플롭(3)은 클록단자(CK)에 클록이 인가된 것이므로 출력(Q)은 하이가 된다. 이 D플립를롭(3)의 하이출력(Q)신호는 픈터 제어용 중앙처리 장치(4)의 인터럽트 단자(INT)에 인가되어 인터럽트를 걸게되므로 중앙처리 장치(4)는 현재의 보든 스테이러스를 스택에 저장하고 주프로그램의 수행을 일시 중단한채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으로 프로그램 수행시점을 옮겨가게 된다.
따라서 인터럽트 서비스 루턴을 수행하게 되는데 우선 비지신호(BUSY)를 하이로 만들기 위해서 입. 출력장치(6)의 출력단자(DA1)에서 하이신호를 출력토록 하여 D플립플롭(3)의 출력(Q)인 하이신호와 함께 OR게이트(5)의 입력에 인가하면 OR게이트(5)의 출력에서는 제2c도와 같이 비지신호(BUSY)가 하이로 출력되어 컴류터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비지신호(BUSY)를 하이로 출력하는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먼저 입력된 데이타(D0∼D7)를 다 처리하기 전까지는 다음 데이타를 받지 않기 위함인 것이다. 따라서 비지신호(BUSY)가 하이가 되면 컴퓨터는 다음 데이타의 전송을 일단 중단하게 된다. 이때 중앙처리장치(4)는 입. 출력장치(6)에 입력된 데이타(D0∼D7)을 읽어서 램(RAM)의 메모리 일부 영역에 할당된 수신버퍼부에 저장시키고 데이타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이후에 중앙처리 장치(4)는 입. 출력장치(6)의 출력단자(PA2)에서 하이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단자(PA1)에서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출력단자(PA2)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이 하이신호가 D플립플롭(3)의 클리어단자(CLR)에 가해져서 D플립플롭(3)이 클리어 되어 출력(Q)이 로우가 되므로 OR게이트(5)의 출력은 다시 로우가 된다. 즉 비지신호(BUSY)가 로우가 되므로 다음 데이타를 받을 준비가 되는 것이다. 또한 입. 출력장치(6)의 출력단자(PA2)에서 출력된 하이신호는 반전기(7)를 통해 로우로 반전되어 인식신호(ACK)를 출력하므로서 컴퓨터에 데이타를 받을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알려 주게 되는 것이다.(제2d도 참조)
이와 같이 비지신호(BUSY)와 인식신호(ACK)를 제어한 후 중앙처리장치(4)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종결한 후 스택에 저장해둔 모든 스테이러스를 원상복구 시키고 다시 주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주 프로그램은 인터럽트시 램(12)에 할당된 수신버퍼부에 저장해둔 데이타들을 읽어서 프린터 구동에 필요한 데이타로 변환한 후 모터제어기(8)로 데이타를 보내어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컴퓨터로부터 제2a도와 같이 다른 데이타(D'0∼D'7)가 공급되고 스트로브 신호(STROBE)가 액티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의 동작을 반쪽하여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컴퓨터는 프린터 사용시에 인터럽트를 걸어서 프린터로 하여금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므로 프린터의 주 프로그램 수행중에 따로 데이타 전송에 관계된 루틴의 수행 삭제되어 수행속도가 증가되고 회로 구성이 간소화 되게 한 것이다.

Claims (1)

  1. 중앙처리 장치로 메모리와 프린터 모터를 구동 제어토록된 것에 있어서, 스트로트 신호(STROBE)가 입력되는 반전기(1)의 출력은 데이타(D0∼D7)가 입력되는 버퍼(2)의 인에이블 단자(CK)와 D플립플롭(3)의 클록단자(CK)에 연결하고, D플립플롭(3)의 출력(Q)은 프린터 제어용 중앙처리 장치(4)의 인터럽트 단자(INT)와 OR게이트(5)의 일측 입력에 연결하되, OR게이트(5)의 의타측 입력은 버퍼(2)의 출력(Q0∼Q7)으로부터 데이타가 입력되는 입. 출력장치(6)의 출력단자(PA1)에 연결하여 OR게이트(5)의 출력에서 비지신호(BUSY)가 출력되도록 하며, 입. 출력장치(6)의 출력단자(PA2)는 D플립플롭(3)의 클리어 단자(CLR)에 연결함과 동시에 반전기(7)의 입력에 연결하여 반전기(7)「의 출력에서 데이타를 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인식신호(ACK)가 출력되도록 하여서된 컴퓨터와 프린터의 인버페이스 회로.
KR2019860018891U 1986-11-29 1986-11-29 컴퓨터와 프린터의 인터페이스 회로 KR890004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891U KR890004812Y1 (ko) 1986-11-29 1986-11-29 컴퓨터와 프린터의 인터페이스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891U KR890004812Y1 (ko) 1986-11-29 1986-11-29 컴퓨터와 프린터의 인터페이스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363U KR880010363U (ko) 1988-07-27
KR890004812Y1 true KR890004812Y1 (ko) 1989-07-20

Family

ID=1925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891U KR890004812Y1 (ko) 1986-11-29 1986-11-29 컴퓨터와 프린터의 인터페이스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8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363U (ko) 198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1840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
EP0013739A1 (en) Communication controller in a data processing system
CA20218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between a host processor and peripheral devices connected by an scsi bus
EP0311760A2 (en) High speed parallel data transfer driver
KR890004812Y1 (ko) 컴퓨터와 프린터의 인터페이스 회로
US5842044A (en) Input buffer device for a printer using an FIFO and data input method
JPH01188374A (ja) プリントシステム
KR950002316B1 (ko) 1바이트 래치를 이용한 보드간 데이타 전송장치
KR0135870B1 (ko)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JPH036532B2 (ko)
KR890004536Y1 (ko) 마이크로 컴퓨터의 인터럽트 회로
KR950008788Y1 (ko) 병렬 포트 통신 시스템
KR890003721B1 (ko) 데이타변환 케이블장치
KR890006186Y1 (ko) 병렬 프린터용 직접메모리 엑세스 요청회로
JPH03158924A (ja) プリンタ制御装置
KR100259585B1 (ko) 디엠에이 콘트롤러
JP2586638B2 (ja) 2cpu間の片方向通信制御回路
KR900000610B1 (ko) 컴퓨터용 라인프린터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KR880002131Y1 (ko) 컴퓨터용 결속 변환 제어장치
JPS58154030A (ja) Dma制御方式
KR940001838Y1 (ko) 온/오프 라인 인터페이스 제어회로
KR970007157Y1 (ko) 시스템버스와 다수 병렬포트 사이의 인터페이스 장치
JPH057734B2 (ko)
JPH10250055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02258358A (ja) レーザプリンタにおける通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