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611B1 - 전자제어 서스펜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어 서스펜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611B1
KR890004611B1 KR1019840004397A KR840004397A KR890004611B1 KR 890004611 B1 KR890004611 B1 KR 890004611B1 KR 1019840004397 A KR1019840004397 A KR 1019840004397A KR 840004397 A KR840004397 A KR 840004397A KR 890004611 B1 KR890004611 B1 KR 890004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height
height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3261A (ko
Inventor
나오다께 구마가이
미노루 다떼모또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세끼 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세끼 신지 filed Critical 미쯔비시지도오샤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use when the vehicle is stationary, e.g. during loading, engine start-up or switch-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60G2400/102Acceleration; Deceleration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60G2400/106Acceleration; Deceleration longitudinal with regard to vehicle, e.g.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5Stroke; Height; Displacement
    • B60G2400/252Stroke; Height; Displacement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30Propulsion uni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7Magnetic/Electromagnetic
    • B60G2401/172Hall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2Retarders, delaying means, dead zones, threshold values, cut-off frequency, timer interru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7Inhibi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85Speed of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16Ru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0Stationary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01Load responsive, leveling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제어 서스펜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자제어 서스펜션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논리회로를 도시한 상세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차높이센서(차고센서) 12 : 차높이판정부(차고판정부)
13 : 데이터비교부 14 : 밸브구동회로
15 : 콤프레서 16 : 리어솔레노이드밸블
17 : 프론트솔레 노이드밸붇 18 : 배개솔레노이드밸브
19 : 급기솔레노이드밸브 20 : 제어금지부
21 : 브레이크센서 22 : G센서
236 : 핸들각도센서 24 : 점화키이 온 발생회로
25 : 논리회로 26 : 차속도센서
27 : 차속도검출부 31 : 타이머회로
32 ,34 : AND회로33 : 인버어터 121 ,123 : 차높이(차고)변화체크부
a ,b : 출력신호 c : 정지신호
d : 주행신호
본 발명은 승차감이나 조종한정성의 관점에서 차고(차높이)를 조정 가능토록 구성한 전자제어 서스펜션장치(현가장치)에 과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서스펜션 장치는 설정된 차고(차높이)판정시간에 있어서의 평균차높이와 목표차높이를 비교해서 차이가 있으면, 목표차높이를 향해서 차높이 조정를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높이 판정시간은, 주행중에 있어서는 노면의 요철을 통과할 때에, 또는 주행중의 가감속도에 의해서 차체자세가 일시적으로 변화할때에, 그 때마다 차높이 조정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길게(예를들면, 30초) 설정되고, 정차중에 있어서는 탑승객의 승차에 의한 차높이변화를 신속히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주행중에 있어서의 차높이 판정시간보다 약간 짧기는 하나, 너무짧게 설정하면, 정차중에 탑승객(승차원)이 승차하는 동안에 차높이 조정이 개시되어 버려서, 탑승객이 이화감을 느끼는 등의 불편이 있으므로, 실제로는 탑승객전원이 승차에 필요한 어느정도 긴듯한 시간(예를들면, 6초)이 바람직하다.
한편, 탑승객이 이미 전원승차한 상태, 또는 운전자만이 승차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미 그 운전자가 승차한 상태에서는 그 후에 탑승객이 승차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점화키이를 온했을 때 가능한한 신속하게 차높이 조정을 개시하는 편이 바람직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이 정차중의 차높이 판정시간의 설정에서는 점화키이를 온으로해도 상기 주행중의 차높이 판정시간 보다도 약간 짧기는 하나 어느정도 긴듯한 시간(예를들면, 6초)를 경과하지 않으면, 차높이 조정이 개시되지 않는다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같이 탑승객이 이미 승차한 상태에 있어서, 점화키이를 온으로 한후에, 1회만 차높이 판정시간을 통상 정차중에 있어서의 것보다 짧게해서 차높이 조정이 신속하게 개시되는 전자제어 서스펜션장치(suspension system)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1)은 차높이센서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 차높이 센서(11)는 호올 IC소자 및 자석의 한쪽은 차륜측, 다른쪽은 차체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차 높이에 3비트의 차높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차높이센서(11)로부터 출력된 차높이신호는 차높이판정부(12)에 입력된다. 차높이판정부(12)는 입력된 차높이 신호로부터, 차높이가 보통높이인지, 낮은 높이인지, 혹은 높은 높이인지를 판정한다. 차높이판정부(12)로부터 출력된 3비트의 신호는 1.5초간8판정시간)의 차높이 변화로부터 차높이 편균치를 연산하는 차높이 평균치연산부로서의 차높이 변화체크부(121), 6초간(판정시간)의 차높이 변화에서 차높이평균치를 연산하는 차높이평균치 연산부로서의 차높이 변화체크부(122), 30초간(판정시간)의 차높이 변화로부터 차높이평균치를 연산하는 차높이평균치 연산부로서의 차높이 변화체크부(123)에 각각 출력된다. 상기 차높이 변화체크부(121)와 차높이 벽화체크부(122) 및 차높이 변화체크부(123)에 의해서 차높이 평균치 연산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차높이변화체크부(121)는 정차시에 있어서의 엔진시동직후에 1회만 차높이변화의 체크가 행해지며, 차높이변화체크부(122)는 정차시에 차높이변화의 체크가 행해지며, 차높이변화체크부(123)는 주행중에 차높이 변화의 체크가 행해진다. 이들 차높이변화체크부(121~123)로 부터 출력되는 3비트의 출력신호는, 데이터비교부(13)에 입력된다. 데이터비교부에서는 입력된 데이터와 기준치를 비교하여, 그편차(0을 포함함)에 따라서 밸브구동회로(14)가 작동한다.
여기서, (15)는 콤프레서, (16)은 리어(rear)솔레노이드밸브, (17)은 프로트(front)솔레노이드밸브, (18)은 배기솔레노이드밸브, (19)는 급기솔레노이드밸브를 표시하고있으며, 밸브구동회로(14)가 각 솔레노이드밸브(16~19) 및 콤프레서(15)를 적절하게 온 ·오프작동시키므로서 차높이 조정이 행해진다.
(20)는 차높이조정을 금지시키는 제어금지부를 표시하고 있다. 이 제어금지부(20)는 브레이크의 답입상태를 검출하는브레이크센서(차량상태 검출센서)(21), 가속도를 검출하는 G센서(차량상태 검출센서)(22), 핸들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핸들각도센서(차량상태 검출센서)(23)의 각 검출신호를 받았을때에, 차높이조정을 금지하기 위해서 데어터비교부(13)에 연산금지신호를 출력한다. 이 연산금지신호를 출력하는 경우로서는, 예를들면 브레이크센서(21)에 의해서 브레이크의 답입상태를 검출했을때, G센서(22)에 의해서 미리 설정한 가속도이상의 차체가속도를 검출했을때, 혹은 핸들각도센서(23)에 의해서 핸들이 미리 설정한 각도이상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검출했을때 등, 적재하중이 변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차높이가 변해버리는 가능성이 있는 경우이며, 이로인해서 안정성도 향상된다. 또한 데어터비교부(12)는 상기 연산금지신호를 받았을때, 차높이 조정신호보다도 우선해서 차높이조정금지신호를 출력하고, 차높이조정을 강제적으로 금지해서 중단시키는 것이다.
또, (24)는 엔진의 시동을 제어하는 점화키이스위치가 온이 되면 원쇼트펄스(one shot pulse)를 출력하는 점화키이 온 신호발생회로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 점화키이 온 신호발생회로(24)의 출력신호는 시동검출부 및 연산시간 단축제어부를 구성하는 논리회로(25)에 입력된다.
이 논리회로(25)의 출력신호(a)는 차높이 변화체크부(121)에 입력되고, 출력신호(b)는 차높이 변화체크부(122)에 입력된다. (26)은 자동차의 차속도를 검출하는 차속도센서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 차속도센서(26)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차속도 검출부(27)에 보내져서, 차가 주행중인지 정지중인지를 판정하게 된다. 이 차속도 검출부(27)는 차가 정지중에 로우레벨이 되는 정지신호(C)를 논리회로(25)에 차가중행중에는 하이레벨이 되는 주행신호(d)를 차높이변화체크부(123)에 각각 출력하고 있다.
다음에, 제2도를 사용해서, 제1도에 도시한 논리회로(2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화키이 온 신호발생회로(24)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1.5초의 타이머회로(31)에 입력된다. 이 타이머회로(31)는 점화키이 온 신호발생회로(24)로부터의 원쇼트펄스가 입력되면, 그 출력신호(시동검출신호) (e)는 1.5초 동안만 하이레벨상태가 된다. 이 신호(e)는 AND회로 (32)의 한쪽 입력단에 입력됨과 동시에, 인버어터(33)를 개재해서 AND회로(34)의 한쪽입력단에 입력된다. 여기서 AND회로 (32)(34)의 다른 쪽 입력단에 정지신호(C)가 각각 입력된다. 따라서, 차가 정지중에 있어서 점화키이가 온된후 1.5초 동안은 신호 a가 하이레벨이 되며, 그 이후의 정지중에 있어서는 신호 b가 하이레벨이 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발진시에 점화키이를 온으로 하면, 점화키이 온 신호발생회로(24)로부터 원쇼트펄스가 논리회로(25)에 출력된다. 이 결과, 제2도의 구성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점화키이를 온으로 한 후 1.5초동안 신호 a가 하이레벨이 된다. 이 신호 a는 차높이변화체크부(121)에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점화키이를 온으로 한후 1.5초간은 차높이변화 체크부(121)에 의해서 차높이변화의 체크가 행해진다.
따라서, 차높이센서(11)로부터의 36비트신호는 차높이판정부(121)에 입력되어서, 차높이가 보통 높이인지, 낮은높이인지, 혹은 높이인지가 판정된다.
그리고, 이 차높이판정부(12)로부터 출력되는 3비트의 신호는 차높이 변화체크부(121)에 입력되어서, 점화키이를 온으로 한후 1.5초동안의 평균차높이가 산출된다. 그리고, 차높이변화체크부(121)로부터 출력되는 3비트의 출력신호는 데이터비교부(13)에 입력된다. 이 데이터 비교부(13)에서 입력된 데이터와 기준치와의 비교가 행해져서, 그 편차에 따라서 밸브구동회로(14)가 작동하고, 각 전자밸브(16~19) 및 콤프레셔(15)가 적절히 온 오프작동되어서 차높이조정이 행해진다. 즉, 점화키이를 온으로 한후는, 차높이평균치의 연산시간(판정시간)이 1.5초로 단축된다.
따라서, 사람이 승차해서 차높이가 내려가도, 차를 발진시키기 위하여 점화키이를 온으로 하면, 즉시(1.5초후)에 차높이조정이 개시되므로, 목표차높이로 신속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점화키이를 온으로 한후 1.5초 경과후는, 신호(b)가 히이레벨이 되기 때문에, 차높이변화의 체크는 차높이변화체크부(122)(차높이판정시간 : 6초)에서 행해진다. 이에 의해서, 이미 점화키이가 온인 정차중의 자동차에 복수의 탑승객이 승차하는 경우등은, 탑승객 전원이 승차하는데 일반적으로 소요되는 정도의 시간(6초)에 차높이 판정시간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정차중에 복수의 탑승객이 승차하고 있는 동안에 차높이조정이 개시되어 버린다는 불편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 자동차가 주행중에 신호(d)가 하이레벨이 되기 때문에, 차높이변화의 체크는 차높이변화체크부(123)(차높이판정시간 : 30초)에서 행해진다. 이것으로 주행중에 노면의 요철을 통과할때, 또는 주행중의 가감속에 따라서 차체자세가 일시적으로 변화할때에, 그때마다 차높이조정이 행해져버린다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차량의 차륜측부재와 차체측부재와의 시이세 착설되며, 또한 차높이 조정용 유체실을 가진 유체압식 서스펜션 유닛과, 차높이를 검출하는 차높이센서(11)와, 이 차높이센서(11)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서스펜션 유닛의 유체실의 유체를 급기·배기제어하는 차높이제어부가 설치된 전자제어 서스펜션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높이센서(11)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받아서 미리 설정된 연산시간내에 차높이의 평균치를 연산하는 차높이 평균치연산부(121)(122)(123)와, 점화키이스위치가 온이 된 때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동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시동검출부 및 상기 시동검출부로부터의 시동검출신호를 받아서 상기 차높이평균치연산부(121)(122)(123)의 연산시간을 단축 제어하는 연산시간단축제어부로 이루어진 논리회로(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제어서스펜션장치.
KR1019840004397A 1983-08-19 1984-07-24 전자제어 서스펜션장치 KR890004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127284U JPS6034910U (ja) 1983-08-19 1983-08-19 電子制御サスペンシヨン
JP58-127284 1983-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3261A KR850003261A (ko) 1985-06-13
KR890004611B1 true KR890004611B1 (ko) 1989-11-20

Family

ID=1495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397A KR890004611B1 (ko) 1983-08-19 1984-07-24 전자제어 서스펜션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10462A (ko)
JP (1) JPS6034910U (ko)
KR (1) KR890004611B1 (ko)
AU (1) AU546543B2 (ko)
DE (1) DE3428397A1 (ko)
FR (1) FR2550737B1 (ko)
GB (1) GB21459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188A (en) * 1984-04-19 1985-09-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atic vehicle level control
JPH0613244B2 (ja) * 1984-08-28 1994-02-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
JPS61287808A (ja) * 1985-06-14 1986-12-18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DE3676420D1 (de) * 1985-10-22 1991-02-07 Toyota Motor Co Ltd System zur begrenzung der rollbewegung eines fahrzeugaufbaus bei vermeidung von ueberkompressierungen.
JPH07448B2 (ja) * 1985-11-25 1995-0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
DE3541696A1 (de) * 1985-11-26 1986-04-17 Hans-Jürgen 3000 Hannover Diekmann Elektrische steuereinrichtung zur niveauregulierung von kraftfahrzeugen
DE3645148A1 (en) * 1986-06-12 1989-11-30 Level control for vehicle hydropneumatic suspension
DE3619777A1 (de) * 1986-06-12 1987-12-17 Hydraulik Zubehoer Ges Fuer Niveauregeleinrichtung fuer kraftfahrzeuge
JPS63179212U (ko) * 1987-05-13 1988-11-21
US5083275A (en) * 1988-04-08 1992-01-21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Height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with vehicle driving condition dependent variable target height
US5184841A (en) * 1988-04-14 1993-02-09 Robert Bosch Cmbh Height regulating system for a vehicle with air suspension
JPH0659771B2 (ja) * 1988-09-30 1994-08-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
JPH02106419A (ja) * 1988-10-14 1990-04-18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JP2502367B2 (ja) * 1989-04-20 1996-05-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高制御装置
US4981309A (en) * 1989-08-31 1991-01-01 Bose Corporation Electromechanical transducing along a path
JP2509358B2 (ja) * 1990-02-23 1996-06-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JPH11123919A (ja) * 1997-10-22 1999-05-11 Hino Motors Ltd 独立懸架式エアサスペンション車の車高調整装置
DE19748224B4 (de) * 1997-10-31 2005-07-14 Deere & Company, Moline Hydropneumatische Achsfederung für angetriebene Fahrzeugachsen
US7378945B2 (en) * 2004-05-27 2008-05-27 Omega Patents, L.L.C. Vehicle security system controlling vehicle body position and related methods
DE102004044726A1 (de) * 2004-09-15 2006-03-1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egelbare Radaufhängung und Verfahren zum Regeln des Ausfahrzustands einer Radaufhängung
DE102007042480A1 (de) 2007-09-06 2009-03-12 Wabco Gmbh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Chassisniveaus eines Kraftwagens
SE533580C2 (sv) * 2009-03-12 2010-10-26 Scania Cv Ab Luftfjädringssystem och förfarande för reglering av lufttrycket i luftbälgarna hos ett luftfjädrin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5442A (en) * 1969-07-14 1971-04-20 Gen Motors Corp Semiautomatic door actuated vehicle leveling system
JPS5116522B2 (ko) * 1972-04-19 1976-05-25
JPS5760813B2 (ko) * 1974-02-28 1982-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DE2646547A1 (de) * 1976-10-15 1978-04-20 Bosch Gmbh Robert Niveauregeleinrichtung fuer kraftfahrzeuge
DE2716476C2 (de) * 1977-04-14 1985-07-1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Niveauregel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JPS5858243B2 (ja) * 1980-01-17 1983-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高調整装置の制御回路
JPS6031934Y2 (ja) * 1980-09-27 1985-09-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高調整装置
JPS57144113A (en) * 1981-03-03 1982-09-06 Aisin Seiki Co Ltd Vehicle height adjuster
GB2097344B (en) * 1981-04-08 1984-05-16 Lucas Ind Plc Self-leveling suspension system
GB2106053A (en) * 1981-09-19 1983-04-07 Lucas Industries Ltd Vehicle suspension system
GB2106054A (en) * 1981-09-19 1983-04-07 Lucas Industries Ltd Vehicle suspension system
JPH11520A (ja) * 1997-06-11 1999-01-06 Dkk Corp 水分排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34910U (ja) 1985-03-09
US4610462A (en) 1986-09-09
GB2145984A (en) 1985-04-11
AU546543B2 (en) 1985-09-05
FR2550737A1 (fr) 1985-02-22
KR850003261A (ko) 1985-06-13
DE3428397C2 (ko) 1987-09-10
GB2145984B (en) 1986-08-28
GB8420630D0 (en) 1984-09-19
FR2550737B1 (fr) 1988-11-18
JPH0338005Y2 (ko) 1991-08-12
DE3428397A1 (de) 1985-03-07
AU3083484A (en) 198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611B1 (ko) 전자제어 서스펜션장치
JP2618382B2 (ja) カーブ走行時の車両のブレーキ圧制御方法
US4880282A (en) Braking system with 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sure to be accumulated in accumulator for braking motor vehicle
US4789938A (en) Anti-skid control with fail-safe function
US5544949A (en) Traction control system
JPS6035648A (ja)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JP2614268B2 (ja) 車両用スキッド防止制御装置
JP3773531B2 (ja) 自動車用ブレーキ装置
JPH06237508A (ja) 鉄道車両用荷重設定器
JPS6240206B2 (ko)
JPH0370656B2 (ko)
GB2381873A (en) Device and method for fault testing transverse acceleration sensors
JPH1024826A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H054574A (ja) アンチスキツド制御装置
JPH05213176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KR0118872B1 (ko) 자동차의 자동 속도 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JP2000213404A (ja)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JPH08490B2 (ja) 車高制御装置
KR100196351B1 (ko) 코너링시 차량 속도 감속방법
KR100259246B1 (ko) 오토 크루즈 해제 장치
KR100260641B1 (ko) 펑크 시의 차량 균형 유지 시스템
JP2000211486A (ja) 車両用ブレ―キ制御装置
JPH0569005B2 (ko)
JPH02306814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S63315356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