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049B1 -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 Google Patents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049B1
KR890002049B1 KR1019850001891A KR850001891A KR890002049B1 KR 890002049 B1 KR890002049 B1 KR 890002049B1 KR 1019850001891 A KR1019850001891 A KR 1019850001891A KR 850001891 A KR850001891 A KR 850001891A KR 890002049 B1 KR890002049 B1 KR 89000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r
lock
state
baby carriage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351A (ko
Inventor
겐조우 갓사이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filed Critical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4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adaptable for different users, e.g. by means of pivo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008Plural distinct articulation axes
    • Y10T403/32081Parallel ro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262At selected angle
    • Y10T403/32319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 Y10T403/32327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including radially spaced detent or latch component
    • Y10T403/32336Engaging notch or recess in outer periphery of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262At selected angle
    • Y10T403/32319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 Y10T403/32393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including bridging kee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262At selected angle
    • Y10T403/32319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 Y10T403/32409Members locked in axial alig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9Manually releaseable latch type
    • Y10T403/599Spring biased manip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유모차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모차의 펼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유모차의 접은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유모차의 손잡이봉(2)의 중앙부부근을 도시한 종단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한 부분의 평면도로서 상부를 구성하는 몇개의 벽부를 제거한 도시도.
제6도는 제9도의 손잡이봉(2)의 우측부분(2a)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6도는 그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선 Ⅷ-Ⅷ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여러가지 해칭을 가함으로써 각부분의 높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도시한 도.
제10도 내지 제12도는 연결부재(3)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0도는 정면도.
제11도는 우측면도.
제12도는 저면도.
제13도는 로크판(4)의 평면도.
제14도 내지 제16도는 로크해제부재(5)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4도는 평면도.
제15도는 평면도.
제16도는 좌측면도.
제17도는 제3도에 도시한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로크해제부재(5)가 압입되어 로크해제된 상태의 도시도.
제18도는 제5도에 도시한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손잡이봉(2)의 절곡된 상태의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푸시토드 2 : 손잡이봉
2a : 우측부분 2b : 좌측부분
3 : 연결부재 4 : 로크판
5 : 로크해제부재 6 : 회전축(핀)
12 : 로크 오목부 29 : 스프링
본 발명의 유모차의 1쌍의 푸시로드 사이를 연결하고 또 중앙부가 절곡가능하게된 손잡이봉을, 상기 손잡이봉의 직선상태에 있어서 로크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즉, 절첩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의 개폐동작에 있어서의 1쌍의 푸시로드의 간격이 넓게 되거나 좁게 되거나 하는 경우에는, 이 넓게된 경우의 1쌍의 푸시로드의 간격은 푸시로드 사이를 연결하는 손잡이봉의 절곡을 금비함으로써 강고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손잡이봉을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 절곡되지 않도록 로크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절첩식 유모차의 하나의 전형예로서, 1쌍의 푸시로드를 구비하고, 이 푸시로드 서로의 간격이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에서는 비교적 넓게 유지되고, 유모차의 겹쳐진 상태에서는 서로 접근되는 형식의 것이다. 이와같은 1쌍의 푸시로드사이에는 손잡이봉이 연결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 손납이봉은 상술한 형식의 절첩식 유모차에서는 1쌍의 푸시로드의 동작을 허용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중앙부가 절곡 가능하게 되지 않으면 안된다. 손잡이봉은 유모차의 펼처진 상태에서 직선상태로 되고, 1쌍의 푸시로드 사이의 간격을 최대로 유지한다. 본 유도차의 펼쳐진 상태를 보아 강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손납이봉의 절곡을 상기 손잡이봉의 직선 상태에 있어서 로크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봉의 절곡에 대한 로크상태를 안정적으로 또 강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유모차의 손잡이봉의 로크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모차가 펼쳐진 때에는 자동적으로 로크가 걸리고, 이 로크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는, 유모차의 손잡이봉의 로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로크 기구이다. 즉, 손잡이봉을 2분할 한 각 부분의 단부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평행한 회전축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서로 연결된다. 이 손잡이봉의 상 각 부분의 단부로서 상기 회건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쪽 측면에는, 각각 로크오목부가 형성된다. 손잡이봉이 직선상태에서 있는 때에 상기 양 로크 오목부에 동시에 끼워 맞출수 있도록, 로크판이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로크핀은 로크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이 스프링의 탄성하 대항하여 로크판을 로크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조작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로크해제 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크판이 2개의 로크오목부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로크상태가 달성되므로 변동이 적고, 안정하고, 강관 로크 상태를 달성할 수가 있다. 또 로크판은 로크오목부에 끼워 맞추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힘이 가해지므로 유모차를 펼친 상태로 한 때에는 자동적으로 로크상태가 얻어짐은 물론, 이 로그상태에 있어서는 로크판의 위치가 스프링에 의해 확실히 유진된다. 더우기,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은, 로크해제부재를 조작만 하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로크해제를 행할 수 있다.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유모차의 접쳐진 상태를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는 본 발명의 대상으로 되는 유모차의 하나의 전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1쌍의 푸시로드(1)를 구비하고, 이들 푸시로드(1)사이에는 손잡이봉(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에서는 1쌍의 푸시로드(1)는 비교적 넓은 간격으로 유지되고,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유모차가 접쳐진 상태로 된 때에는 1쌍의 푸시로드(1)의 서로의 간격이 좁아져 있다. 이와같은 동작을 허용하기 위하여 손잡이봉(2)은 그 중앙부가 절곡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손잡이봉(2)의 양단부는 각 푸시로드(1)와 일축선상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가지고, 제1도와 제2도를 대비하면 명백한 바와같이, 각 푸시로드(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이하 이 손잡이봉(2)의 상세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손잡이봉(2)의 중앙부 부근을 나타내는 종단 정면도이고, 유모차의 펼쳐진 상태에서 대응하고 있다. 제4도는 제3도의 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3도에 도시하는 부분의 평면도이고, 이 부분에 있어서의 상측의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나타나 있다.
이들 도면에는 손잡이봉(2)을 2분할한 우측부분(2a) 및 좌측부분(2b)의 각 단부와, 연결부재(3)와, 로크판(4)과, 로크해제부재(5)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각 요소 내지는 부품의 구성은 이하 제6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그 경우에, 제3도 내지 제5도와 함께 참조하는 것이 이들 각 요소 또는 부품 서로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제6도 내지 제9도는 손잡이봉(2)의 우측부분(2a)의 단부를 도시하고 있다. 또, 좌측부분(2b)에 관해서는 특히 단독으로 도시하지 않지만, 우측부분(2a)가 완전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다.
제6도는 평면도이고, 제7도는 제6도의 선 Ⅶ-Ⅶ에 따른 단면도이고, 제8도는 제6도의 선 Ⅷ-Ⅷ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9도는 제6도의 평면도상에 해칭을 함으로서 각 부분의 높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우측부분(2a)의 단부에는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한 핀(6)을 수용하는 관통구멍(7)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7)의 주의에는 보스(8)가 형성된다. 보스(8)는 제9도에 있어서 해칭을 한 부분중에서 가장 높은 높이를 가지고, 이것과 똑같은 해칭이 된 주변부분(9)도 동일 높이로 되어 있다. 중간적인 높이를 나타내는 부분은 주변부분(9)의 내주축에 인접하는 C자형계단부(10)와, 주변부분(9)의 한쪽끝에 이어지는 중간계단부(11)이다. 로크오목부(12)는 중간계단부(11), C자형계단부(10) 및 주변부분(9)과 보스(8)에 끼워지고, 로크판(4)의 한쪽 단부와 동일의 평면형성을 제공하고 있다. 로크오목부(12)의 저부에는 C자형으로 연장하는 긴구멍(13)이 하단면에 까지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연결부재(3)를 나타내고 있다. 제10도는 정면도이고, 제11도는 우측면도이고, 제12도는 저면도이다.
연결부재(3)는, 손잡이봉(2)의 우반쪽(2a)과 좌반쪽(2b)을 연결하는 직접의 기능을 환수하는 것이다. 연결부재(3)는 윗벽(14)과 아랫벽(15)과 이들 윗벽(14) 및 아랫벽(15)을 서로 연결하는 수직벽(16)을 구비하고 있다. 윗벽(15) 및 아랫벽(15)에는 각각 상술한 핀(6)을 수용하는 관통구멍(17,1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아랫벽(15)에는 가로길이의 창(19)이 설치되어 있다. 이창(19)은 로크해제부재(5)를 수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로크해제부재(5)가 아랫벽(15)을 관통한 상태에서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3도는 로크판(4)의 평면도이다. 로그판(4)의 각 단부는 상술한 로크 오목부(12)의 평면형상과 일차하는 형상으로 된다. 로크판(4)의 각 단부에는 볼록부(20)가 형성된다. 또 로크판(4)의 각 단부에는 원형의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의 관통구멍(21)은 전술한 손잡이봉(2)에 설치된 보수(8)를 수용하는 것이다. 관통구멍(21)으로부터 연장하여 끼워 맞춤구멍(22)이 구비된다.
제14도 내지 제16도는 로크해제부재(5)를 나타내고 있다. 제14도는 평면도이고, 제15도는 정면도이다. 제16도는 좌측면도이다.
로크해제부재(5)는 길이방향의 형상을 가지고, 그 각단부에는 끼워맞춤축(2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끼워맞춤축(23)의 직경은 상술한 로크판(4)의 끼워 맞춤구멍(22)내에 수동되도록 선택된다. 끼워맞춤축(23)의 직경은 상술한 로크판(4)의 끼워 맞춤구멍(22)내에 수용되도록 선택된다. 끼워맞춤축(23)은 이것에 의해 직경이 큰 기둥(24)의 단부로 형성된다. 기둥(24)은 전술한 끼워 맞춤구멍(22)내에는 들어갈 수 없는 직경으로 된다. 이 로크 해제부재(5)의 하방은 조작자의 손에 의한 직립의 조작을 받는 조작부(25)를 구성하고, 이것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조작부(25)의 기부에는 외측으로나와 있는 플랜지(26)가 형성된다.
이상 기술한 각 부품외에,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윗덮개(27), 아래 덮개(28) 및 스프링(29)이 추가되고, 손잡이봉(2)의 중앙부가 조립된다. 이 조립상태에 관하여 제3도 내지 제5도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로크판(4)이 손잡이봉(2)의 우측부분(2a) 및 좌측부분(2b)의 각각의 보수(8)를 수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29)이 연결부재(3)의 윗벽(14)과 로크판(4)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스프링(29)에 의해 로크판(4)은 항상 하방으로 변위하도록 밀린다. 연결부재(3)의 하방으로 부터는 로크 해제부재(5)가 삽입된다. 로크해제부재(5)는, 연결부재(3)의 아랫벽(15)의 창(19)을 관통하여 뻗고, 끼워맞춤축(23)이 끼워맞춤구멍(22)에 끼워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부재(3)를 상하로부터 끼우도록, 위덮개(27) 및 아랫덮개(28)가 합쳐지고, 2개의 핀(6)에 의해 이 상태가 유지된다. 이들 핀(6)은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고, 손잡이봉(2)의 우측부분(2a) 및 좌측부분(2b)을 연결부재(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회전축을 부여한다. 아랫덮개(28)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 때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아랫덮개(26)의 창의 주위에 형성된 내측으로 나온 리브(30)가 로크해제부재(5)의 플랜지(26)가 맞춰지고, 로크해제부지(5)의 탈락을 방지한다.
이와같은 조립상태로부터 맹백한 바와같이, 상술한 각 부품은 모두 2개의 핀에 의해서만 소망의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이 의미로부터 이 실시예의 구조를 얻기 위한 조립공정은 간단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유모차의 펼친 상태에 대응하고 있고, 더우기 손잡이봉(2)의 직선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가 걸린 상태이다. 즉 로크판(4)은 로크 오목부(12)(제6도 내지 제9도)에 끼워맞쳐져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로크판(4)의 볼록부(20)는 로크오목부(12)보다도 높은 C자형계단부(10)와 주변부분(9)에 끼워진 위치에 있고, 우측부분(2a) 및 좌측부분(2b)은 함께 핀(6)을 중심으로 하여 로크판(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손납이봉(2)은 그 직선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또,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부분(2a) 및 좌측부분(2b)의 중간계단부(11)를 구성하는 부분은 연결부재(3)의 수직벽(16)에 맞닿고, 이것에 의해 우측부분(2a) 및 좌측부분(2b)의 핀(6)을 중심으로 하는 각각의 회전의 한쪽 종단이 규정되어 있게 된다.
상술한 로크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단지 로크해제부재(5)를 상방으로 눌러기우는 것만으로도 좋다. 이와같이 로크해제부재(5)를 상방으로 눌러끼운 상태는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7도는 제3도에 상당하는 단면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로크해제부재(5)를 눌러끼우는 힘은 손잡이봉(2)의 중앙부, 즉 덮개(27,28)의 부분을 쥐는 손에 의해서 그대로 부여될 수 있다. 이 손은 로크부재해제(5)의 조작부(25)를 용이하게 눌러끼울 수 있다. 로크해제부재(5)는 스프링(29)의 탄성에 대항하여 눌려끼워질 때 로크판(4)은 상방으로 변위하여 로크오목부(12)로부터 이탈한다. 로크판(4)의 이때의 위치는 중간의 높이를 나타내는 C자형 계단부(10) 및 중간계단부(11)(제6도)보다 위이다. 따라서, 손잡이봉(2)의우측부분(2a) 및 좌측부분(2b)이 각 핀(6)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부재(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은 로크판(4)에 의해 지지되는 일은 없다.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상태가 유지되면서 유모차의 절첩조작이 행해진다. 즉, 이 철접조작은 손잡이봉(2)의 중앙부, 즉 윗덮개(27) 및 아랫덮개(28)가 설치된 부분을 손으로 잡은 채로 행해지므로 이 절첩조작중 로크해제부재(5)를 상방으로 누르는 힘을 부여하는 것은 용이하다. 이와같은 절찹조작의 결과로서, 유모차는 제1도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2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이행한다.
또, 이 절첩조작의 과정에 있어서 생기는 동작은 본건 특허출원에 의한 특허출원 소54-132136호(특허 공개소 56-57574호)「유모차」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제18도에는 손잡이봉(2)이 절곡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8도는 제5도에 도시하는 부분에 상당히 부문을 나타내고 있다.
제8도에 상태는 제2도에 도시하는 유모차의 겹쳐진 상태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여기서 로크해제부재(5)를 누르는 힘이 해제된 결과, 스프링(29)이 작용하여 로크판(4)을 하방으로 변위시키도록 해도 로크판(4)은 중간적인 높이를 나타내는 C자형 계단부(10() 및 중간계단부(11)상에 얹힌 상태로 되어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봉(2)의 우측부분(2a) 및 좌측부분(2b)은 각각의 일부(중간계단부(11)을 형성하는 부분)이 덮개(27,28)의 측변에 맞닿음으로써 각각의 회전범위의 한쪽 종단이 규정되어 있다. 또 제18도에는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지만, 로크해제부재(5)의 기둥(24)과 긴구멍(13)과의 위치관계에 주목해면 기둥(24)은 손잡이봉(2)의 절곡동작의 양쪽의 종단(제5도와 제18도)에 있어서, 긴구멍(13)의 길이방향의 어느쪽 종단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기둥(24)과 긴구멍(13)과의 조합에 의해서도 손잡이봉(2)의 우측부분(2a) 및 좌측부분(2b)이 연결부재(3)에 대하여 회전하는 범위가 규정되게 된다.
다시, 이 유모차를 제2도 및 제18도에 도시하는 접쳐진 상태로부터 제1도 및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하는 펼쳐진 상태로 하면, 손잡이봉(2)은 직선상태로 된다. 이 직선상태가 얻어지면 로크판(4)에 의한 로크동작은 자동적으로 달성된다. 즉, 로크판(4)은 스프링(29)에 의해 로크오목부(12)에 끼워맞추는 방향으로 밀리므로 로크판(4)과 로크오목부(12)가 일치한 때 로크판(4)의 각 단부는 우측부분(2a) 및 좌측부분(2b)의각각의 로크오목부(12)에 동시에 끼워진다.
이상, 도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같은 실시예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로크판이나 로크오목부의 형상을 여러가지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절첩식 유모차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것에 한하지 않고 요는 1쌍의 푸시로드 사이를 연결하고 또한 중앙부가 절곡 가능하게된 손잡이봉을 가지는 유모차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Claims (6)

  1. 유모차의 1쌍의 푸시로드(1)사이를 연결하며 중앙부가 절곡 가능하게된 손잡이봉(2)의 절곡 해당 손잡이봉(2)의 직선 상태에서 로클하기 위한 기구에 있어서, 연결부재(3)로 손잡이봉(2)을 2분할한 각 우측 및 좌측부분(2a,2b)의 단부가 서로 평행인 회전축(6)의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부분(2a,2b)단부의 한쪽 측면에는 각각 로크오목부(12)가 형성되고, 손잡이봉(2)의 직선 상태에 있을때 스프링(29)으로 부세되면서 이동함으로서 양 로크오목부(12)에 동시에 감합할 수 있는 로크판(4)이 설치되며, 또한 로크판(4)을 로크오목부(12)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로크 해제부재(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로크해제부재(5)는 연결부재(3)가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일부가 돌출설치된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손잡이봉(2)에 대해서 회전하는 범위를 규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회전범위 규정 수단은 연결부재(3)의 수직벽(16)과 손잡이봉(2)의 각 우측 및 좌측부분(2a,2b)의 단부(11)가 서로 맞닿는 구성으로 된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회전범위 규정 수단은 로크해제부재(5)와 손잡이봉(2)의 각 우측 및 좌측부분(2a,2b)의 단부가 서로 기둥(24)과 긴구멍(13)에서 맞닿는 구성으로 된 유모차 손잡이봉이 로크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크 해제부재(5)는 길이 방향의 형상을 가지며 그 각 단부에는 끼워맞춤축(23)이 각각 설치되며, 로크판(4)에는 각 끼웜자춤축(23)을 각각 수용하는 구멍(22)이 설치된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KR1019850001891A 1984-03-23 1985-03-22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KR890002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718 1984-03-23
JP59056718A JPS60199763A (ja) 1984-03-23 1984-03-23 乳母車の握り棒のロツク機構
JP56718 1984-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351A KR850006351A (ko) 1985-10-05
KR890002049B1 true KR890002049B1 (ko) 1989-06-15

Family

ID=1303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891A KR890002049B1 (ko) 1984-03-23 1985-03-22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19542A (ko)
JP (1) JPS60199763A (ko)
KR (1) KR890002049B1 (ko)
AU (1) AU569451B2 (ko)
DE (1) DE3510284A1 (ko)
FR (1) FR2561603A1 (ko)
GB (1) GB2156747B (ko)
IT (1) IT12152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5113B2 (ja) * 1994-10-20 2003-03-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握り棒
US5617592A (en) * 1996-03-15 1997-04-08 Top Fortune Ltd. Bending joint of a collapsible baby playing bed
US5699997A (en) * 1996-04-22 1997-12-23 Huang; Li-Chu Chen Foldable playyard connection device
US5979928A (en) * 1997-04-02 1999-11-09 Taiwan Kidly Children Appliance Ltd. Collapsing device for a stroller
US6375213B1 (en) * 1999-09-27 2002-04-23 Combi Corporation Stroller
JP4416881B2 (ja) * 1999-10-12 2010-02-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JP4937473B2 (ja) * 2001-08-09 2012-05-2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JP3967271B2 (ja) * 2003-02-04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畳式乳母車
DE102004003982A1 (de) * 2004-01-27 2005-08-11 Maxisch, Peter, Ing.(grad.) Extrem faltbarer Kindersportwagen
US20090102149A1 (en) * 2007-10-22 2009-04-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US20110217111A1 (en) * 2010-03-03 2011-09-08 Sung-Tsun Wu Clamp-proof joint
CN103707914B (zh) * 2012-09-28 2015-09-23 昆山市贝尔儿童用品有限公司 手把锁定结构
CN105584514B (zh) * 2016-02-04 2018-11-13 宁波为了爱母婴用品科技有限公司 折叠婴儿车
CN105644605B (zh) * 2016-03-24 2018-11-09 宁波爱贝丽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联动解锁装置
CN112971452B (zh) * 2021-04-07 2023-04-28 欧的珠 摇摆机构及具有摇摆机构的婴儿床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266A (en) * 1897-01-12 Handle-bar for bicycles
US477109A (en) * 1892-06-14 Robert flocke
US635744A (en) * 1899-06-07 1899-10-31 Arthur Catudal Bicycle.
US663195A (en) * 1900-01-19 1900-12-04 James T Mcguire Handle-bar.
US698137A (en) * 1901-03-16 1902-04-22 Joseph Y Porter Bicycle handle-bar.
GB190204013A (en) * 1902-02-17 1902-07-31 Air And Safety Sah Fastener Company Ltd Fresh Improvements in Sash Fasteners
US2632440A (en) * 1947-12-17 1953-03-24 John M Hauser Leg brace joint and lock
US2554292A (en) * 1949-01-28 1951-05-22 Bowecrofts Developments Ltd Handle bar for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US2683321A (en) * 1950-04-06 1954-07-13 Chesal Ind Fish-landing net
US4191397A (en) * 1977-06-15 1980-03-04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S5620217A (en) * 1979-07-26 1981-02-25 Marusei Jukogyo Kk Rope type trash remover
US4407045A (en) * 1981-12-21 1983-10-04 Boothe Leland H Ladder hinge and multi-position locking mechanism therefor
JPS58202157A (ja) * 1982-05-19 1983-11-2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押棒と押棒連結棒との連結部構造
JPS59106366A (ja) * 1982-12-11 1984-06-20 象印ベビ−株式会社 ベビ−カ
JPS6099765A (ja) * 1983-11-04 1985-06-03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開閉状態ロツク機構
AU564962B2 (en) * 1983-09-15 1987-09-03 Britax Child-Care Products Pty Ltd Collapsible stroller loc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61603A1 (fr) 1985-09-27
IT1215255B (it) 1990-01-31
DE3510284A1 (de) 1985-09-26
AU4015885A (en) 1985-09-26
JPH0367906B2 (ko) 1991-10-24
GB2156747B (en) 1987-12-16
AU569451B2 (en) 1988-01-28
JPS60199763A (ja) 1985-10-09
KR850006351A (ko) 1985-10-05
GB2156747A (en) 1985-10-16
IT8520018A0 (it) 1985-03-22
US4619542A (en) 1986-10-28
GB8507463D0 (en) 1985-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049B1 (ko)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US4614454A (en) Baby carriage grip rod locking mechanism
US4545599A (en)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push rods and push rod-connecting rod in baby carriage
US5579556A (en) Handle of a stroller
US4928792A (en) Joint for ladders
KR100193305B1 (ko) 유모차의 손잡이막대
JPS6341255Y2 (ko)
JPH0732977Y2 (ja) 関節部のロック装置
JP4381320B2 (ja) 折り畳み可能な荷運搬台車
JPH0638777Y2 (ja) 乳母車の握り棒のロック機構
JPS6228189Y2 (ko)
JPH0726153Y2 (ja) 回転黒板装置
JP4407821B2 (ja) 折り畳み可能な荷運搬台車
JPH0357201U (ko)
JPH0432487Y2 (ko)
JP4156751B2 (ja) パネルの連結部におけるキャップ取付構造
JPS6419572U (ko)
KR900004833Y1 (ko) 보행기용 지지각
JP2006213116A (ja) 折り畳み可能な荷運搬台車
JPH07309340A (ja) 掛止構造を備えた組立式輸送容器
JP3486646B2 (ja) 走行作業台
JPH0885544A (ja) 鋼板製輸送容器
JPH04157794A (ja) 電子通信機器のキャビネット構造
JP4127899B2 (ja) 物品輸送台
JPH044199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