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305B1 - 유모차의 손잡이막대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손잡이막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305B1
KR100193305B1 KR1019960703221A KR19960703221A KR100193305B1 KR 100193305 B1 KR100193305 B1 KR 100193305B1 KR 1019960703221 A KR1019960703221 A KR 1019960703221A KR 19960703221 A KR19960703221 A KR 19960703221A KR 100193305 B1 KR100193305 B1 KR 100193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baby carriage
state
handle bar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오니시
Original Assignee
갓사이 겐조
아프리카 갓사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갓사이 겐조, 아프리카 갓사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갓사이 겐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008Plural distinct articulation axes
    • Y10T403/32081Parallel ro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262At selected angle
    • Y10T403/32319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 Y10T403/32327At selected angle including pivot stud including radially spaced detent or latch component
    • Y10T403/32336Engaging notch or recess in outer periphery of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Prosthese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접는 방식 유모차의 손잡이 막대에 있어서, 직선 상태 및 접어 구부린 상태의 각각에 있어서 로크상태를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 막대(3)의 이음새(6)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부분(4,5)이 이음새(6)에 대하여 상호 대칭적으로 동작하도록 강성링크부재(28)에 의해서 제 1 및 제 2부분(4,5)을 연결한다. 이 것에 의해서, 이음새(6)에 대하여 제 1 및 제 2부분(4,5)의 각각이 이루는 각도를 상호 같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로크부재(23,24)를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19,20) 또는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21,22)에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유모차의 손잡이 막대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접는 방식 유모차의 1쌍의 압봉(押棒)간의 연결하고 또한 중앙부가 접어 구부리기 가능하게 되고, 유모차의 열린 상태에서는 직선 상태가 되고, 유모차의 닫힌 상태에서 접어 구부린 상태가 되는 유모차의 손잡이 막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선상태 및 접어 구부린 상태를 로크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의 손잡이 막대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접는 방식 유모차의 한 전형예로서, 1쌍의 압봉을 구비하고, 유모차의 열린상태에서는 이 들 압봉상호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유지되고, 한편 유모차의 닫힌 상태에서는 이들 압봉이 상호 가까이 되는 형식의 것이 있다. 이러한 1쌍의 압봉간에는, 손잡이 막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많다. 이 손잡이 막대는, 상술한 형식의 접는 방식 유모차에서는 1쌍의 압봉의 동작을 허용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중앙무가 접어 구부리기 가능하게 되지 않으면 안된다. 손잡이 막대는, 유모차의 열린상태에서는 직선상태가 되고, 한편 유모차의 닫힌 상태에서는 접어 구부린 상태가 된다.
상술한 형식의 접는 방식 유모차에 있어서 그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를 보다 강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손잡이 막대의 직선 상태 및 접어 구부린 상태의 쌍방을 로크하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로크기구는 예를들면, 일본 실용공개평 1-17177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손잡이 막대는 한쪽의 단부를 구성하는 제 1부분과 다른쪽의 단부를 구성하는 제 2부분과 제 1 및 제 2 부분을 상호 평행한 제 1 및 제 2 회전축의 주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제 1 및 제 2부분을 각각 연결하는 이음새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손잡이 막대에 로크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제 1 및, 제 2부분의 제 1 및 제 2회전축의 축선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한쪽 측면에는, 각각 열린 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 상태 로크 오목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회전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가 설치된다. 이 로크부재는 손잡이 막대가 직선 상태에 있는 때에 그 이동에 의해 열린 상태 로크 오목부에 각각 결합하여, 손잡이 막대가 접어 구부린 상태에 있는 때에 그 이동에 의해 닫힌 상태로크 오목부에 각각 맞물리는 것이다. 로크부재는 용수철에 의해서,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이 용수철의 탄성에 저항하여 로크부재를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 상태 로크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조작력을 주기 위해서, 로크해제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로크 부재를 열린상태에서는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에 또한 닫힌상태에서는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손잡이 막대의 직선 상태 및 접어 구부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고, 따라서 유모차의 열린상태 및 닫힌 상태의 각각을 보다 강고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크를 헤재하고자 하는 때에는 로크해제부재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로크상태로 할 때에는 용수철의 작용에 의해, 로크 부재를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의 어느것인가에 자동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손잡이 막대에서는 로크부재는 용수철에 의해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 것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의 예를 들면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에 맞물리고자 할 때 제 1부분에 있는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에 우선 맞물리고, 제 2부분에 있는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에는 결합하지 않는때가 있다. 상기의 경우 제 2부분이 이음새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바꾸면서, 제 2부분에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에 로크부재가 결합할 수 있는 각도를 찾지 않으면 안된다. 반대로, 로크부재가 제 2오목부에 있는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에만 우선 결합하는 것도 있다. 동일하게 또한 닫힌상태 로크오목부에 로크부재가 맞물리도록하는 경우에 대하여도 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부분의 어느쪽인가 한쪽에 있어서만, 로크부재가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에 결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양쪽의 부분에 있어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한 조작이 번거러움과 동시에 불완전한 로크상태로, 부주의하게 유모차를 사용하여 버리는 일이 있어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유모차의 파손을 가져오는 일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로크기구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손잡이 막대에 있어서, 불완전한 로크 상태가 생기게 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접는 방식 유모차의 1쌍의 입봉간을 연결하고 또한 중앙부가 접어 구부리기 가능하게 되고, 유모차의 열린상태에서는 직선상태가 되고 유모차의 닫힌 상태에서는 접어 구부린 상태가 되는 유모차의 손잡이 막대를 지향하는 것이다. 이 손잡이 막대는,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한쪽의 단부를 구성하는 제 1부분과 다른 쪽의 단부를 구성하는 제 2부분과, 제 1 및 제 2부분을 상호 평행한 제 1 및 제 2 회전축의 주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제 1 및 제 2부분을 각각 연결하는 이음새와 제 1 및 제 2부분의, 제 1 및 제 2회전축의 축선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한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 상태 로크 오목부와, 제 1 및 제 2회전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해당 손잡이 막대가 직선 상태에 있을때에 그 이동에 의해 열린 상태 로크 오목부에 각각 맞물리고 또한 이 해당 손잡이 막대가 접어 구부린 상태에 있는때에 그 이동에 의해 닫힌상태 로크오목부에 각각 맞물리는 로크부재와, 로크부재를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용수철과, 용수철의 탄성에 저항하여 로크부재를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상태로크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조작력을 주기 위한 로크 해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되는 손잡이 막대는 이음새에 대하여 제 1 및 제 2부분의 각각이 이루는 각도를 상호 같게 유지하기 위해서, 제 1부분의, 제 1회 전축 주위의 제 1위치에 한쪽끝이 회전 가능하게 장치되고, 또한, 제 1회전축에 대한 제 1위치의 위치관계와는 반대의 위치관계에 있는 제 2부분의 제 2회전축의 주위의 제 2위치에 다른 쪽 끝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강성링크부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강성링크부재가 제 1 및 제 2부분간으로 누르는 방향 및 빼는 방향의 쌍방의 동작을 전달함에 의해서, 이음새에 대하여 제 1 및 제 2부분의 각각이 이루는 각도를 상호 같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음새에 대하여 제 1 및 제 2부분의 각각이 상호 대칭적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로크부재가 제 1 및 제 2부분의 어느쪽인가 한쪽에 있어서만,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또는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에 결합하지 않는다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즉, 로크부재가 제 1 및 제 2부문의 어느쪽인가 한쪽의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또는 닫힌 상태 로크 오목부에 맞물릴때에는 반드시 어느쪽인가 다른쪽의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또는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에도 맞물린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번거로운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유모차의 열린상태에 있어서도, 닫힌상태에 있어서도, 완벽한 로크상태를 손잡이 막대에 있어서 신속이 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불완전한 로크상태로 유모차를 사용하기 때문에 야기되는 안정성의 문제라든지 손상의 문제에 직면하는 일은 없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a도는 제3도에 나타낸 유모차(1)의 열린상태에 있어서의 손잡이 막대(3)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
제1b도는, 제3도에 나타낸 유모차(1)의 열린상태에 있어서의 손잡이 막대(3)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것의 단면 정면도
제1c도는 제3도에 나타낸 유모차(1)의 열린상태에 있어서의 손잡이 막대(3)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부를 생략한 저면도
제2a도는 제4도에 나타낸 유모차(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손잡이 막대(3)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부를 생략한 평면도
제2b도는 제4도에 나타낸 유모차(1)의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손잡이 막대(3)의 중앙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부를 생략한 저면도
제3도는, 제1도내지 제2B도에 나타낸 손잡이 막대(3)을 구비하는 유모차(1)의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난 유모차(1)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접는 방식 유모차(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열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난 유모차(1)의 닫힌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제3도 및 제4도에는, 유모차(1)에 설치되는 좌석의 도시가 생략되어 잇다.
유모차(1)는, 1쌍의 압봉(2)을 구비하고, 이들 압봉(2) 사이에는, 손잡이 막대(3)가 연결되어 있다. 유모차(1)의 열린상태에서는 제3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1쌍의 압봉(2)은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유지되며, 반면, 유모차의 닫힌상태에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압봉(2)의 서로의 간격이 좁혀지고 있다. 이러한 동작을 허용하기 때문에 손잡이 막대(3)는, 그 중앙부가 접어 구부리기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 막대(3)는, 그 양단부에서 각 압봉(2)과 동일축 선상에 연장되는 부분을 가지고 이들의 부분은 제 3도와 제4도를 대비하면 알수 있는 것 같이, 각 압봉(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손잡이 막대(3)는, 한쪽의 단부를 구성하는 제 1부분(4)과, 다른쪽의 단부를 구성한든 제 2부분(5)과, 제 1 및 제 2부분 (4 및 5)을 각각 연결하는 이음새를 구비한다.
제1a도는 내지 제2b도에는 손잡이 막대(3)의 중앙부가 나타나고 있다. 제1a도 내지 제1c도에 나타낸 상태는, 제3도에 나타낸 유모차(1)의 열린상태에 대응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는, 손잡이 막대(3)는 직선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낸 상태는 제4도에 나타낸 유모차(1)의 닫힌 상태에 대응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는 손잡이 막대(3)는 접어 구부린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a도 내지 제1c도에 있어서, 제1a도는 평면도이고, 제1b도는 단면정면도이고, 제1c도는 저면도이다. 제2a도 및 제2b도에 있어서, 제2a도는 평면도이고, 제2b도는 저면도이다. 제1a도 및 제1c도 및 제2a도 및 제2b도에서는 손잡이 막대(3)에 포함되는 몇 개인가의 요소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제1a도 내지 제2b도에서는 제 1 및, 제 2부분(4,5)에서는 각각, 이음새(6)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앤드 피스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1b도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음새(6)는 2개의 하우징반부(7,8)를 구비하고, 이들 하우징반부(7,8)가 합쳐질 수 있는 것에 의해, 그 내부에 여러 가지 요소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반주(7)에는 제 1 및, 제 2 보스(9,10)가 형성되고, 다른쪽, 하우징반부(8)에는, 제 1 및 제 2 보스(11,12)가 형성된다. 제 1보스(9,11) 및 제 2 보스(10,12)는 각각, 상호 맞게 위치맞춤되어 제 1보스(9,11)을 관통하도록, 제 1 리벳(13)이 배치되고, 제 2보스(10,12)를 관통하도록, 제 2리벳(4)이 배치된다. 이 들리벳(13,14)은 2개의 하우징반부(7,8)를 서로 고정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이와같이, 제 1 보스(9,11) 및 제 1 리벳(13)에 의해서, 제 1회전축(15)이 주어지고, 제 2보스(10.12) 및 제 2 리벳(14)에 의해서, 제 2회전축(16)이 주어진다. 제 1 및 제 2회전축(15,16)은 상호 평행하고, 이것에 의해서, 제 1 및 제 2부분(4,5)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및 제 2부분(4,5)의 제 1 및 제 2회전축(15,16)의 축선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한쪽 측면(17,18)에는 각각,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19,20) 및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21,22)(제1a도 및 제2a도 참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19)와 닫힌상태 로크오목부(21)와는 서로의 일부분을 공통으로 하면서, 전체로 하여 다각형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20)와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22)도 서로의 일부분을 공통으로 하면서, 전체로서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회전축(15,16)의 각각의 주위에는, 로크부재(23,24)가 배치된다. 이들 로크부재(23,24)는 제 1 및 제 2회전축(15,16)의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손잡이 막내(3)가 제1A도 내지 제 1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 상태에 있는 때에는 그 이동에 의해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19,20)에 각각 맞물리고, 한편, 손잡이 막재(3)가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접어 구부린 상태에 있는 때에는 그 이동에 의해 닫힌 상태 로크 오목부(21,22)에 각각 맞물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크부재(23,24)를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19,20) 및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21,22)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이 결합의 방향으로 로크부재(23,24)에 힘을 가하는 용수철(25,26)이, 로크부재(23,24)의 각각과 하우징반부(7)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수철(25,26)은 압축용수철에 의해서 주어졌지만, 용수철의 배치상태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잡아당기는 용수철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용수철(25,26)의 탄성에 저항하여 로크부재(23,24)을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19,20) 및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21,22)로부터 이탈시키는 조작력을 주기 위해서, 로크해제부재(27)가 하우징반부(8)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로크부재(23,24)와 로크해제부재(27)가 일체적인 부품으로서 구성되었지만 이들은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고, 조립상태에 있어서 일체적으로 동작하도록 되어도 좋다.
제1c도 및 제2b도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부분(4)과 제2부분(5)과는, 강성링크부재(2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강성링크부재(28)의 한쪽끝은 제 1부분(4)의 제 1회전축(15)의 주위의 제 1위치에서 핀(29)을 통해 제1 부분(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강성링크부재(28)의 다른쪽끝은 제 2부분(5)의 제 2회전축(16)의 주위의 제 2위치에서 핀(30)을 통해 제 2부분(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회전축(15)에 대한 핀(29)의 위치와 제 2회전축(16)에 대한 핀(30)의 위치와는 서로 반대의 관계가 되도록 선택되고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되도록 서로의 위치관계가 선택된다. 핀(29)의 중시과 제 1회전축(15)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제 1회전축(15)의 축심과 제 2회전축(16)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한 각도를 정의θ로 하면, 핀(30)의 중심과 제 2회전축(16)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제 1회전축(15)의 축심과 제 2회전축(16)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한 각도는 부의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강성링크부재(28)에 의해 제 1 및 제 2부분(4,5)을 상호 연결함에 의해, 강성링크부재(28)가 누르는 방향 및 빼는 방향의 쌍방향의 동작을 제 1 및 제 2부분(4,5)의 사이에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음새(6)에 대하여 제 1 및 제 2부분(4,5)의 각각이 이루는 각도를 상호 같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부분(4,5)을 상호 연결함에 의해 강성링크부재(28)에 의해서 강제된다.
다음에 도시한 유모차(1)에 있어서의 손잡이 막대(3)에 관련하는 조작방법 및 그것에 따르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도에 나타낸 유모차(1)의 열린상태에 있어서는, 손잡이막대(3)는 제 1도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로크부재(23,24)는,열린상태 로크 오목부(19,20)에 각각 맞물리고 있고, 그 때문에, 제 1 및 제 2부분(4,5)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회전축(15,16)을 중심으로하여 로크부재(23,24)나아가서는 이음새(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 막대(3)는 그 직선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술한 유모차(1)의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로크해제부재(27)가 윗쪽으로 가압된다. 이 상태가, 제1ㅠ도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가압에 의해, 로크부재(23,24)는, 용수철(25,26)의 탄성에 저항하여 윗쪽으로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서, 로크부재(23,24)는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19,20)로부터 이탈한 상태가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부분(4,5)은, 동시에 제 1 및 제 2회전축(15,16)의 주위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 유지하면서, 유모차(1)가 제3도에 나타내는 열린상태로부터 제4도에 나타내는 닫힌 상태로 이행된다.
상술한 로크해제부재(27)로의 가압조작은, 유모차(1)를 열린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하는 사이중에, 유지해둘 필요는 없다. 유모차(1)가 열린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일단 이행하기 시작하면, 로크해제부재(27)에 대한 가압조작을 풀었다고 해도, 로크부재(23,24)는, 제 1 및 제 2부분(4,5)의 측면(17,18)상에 실린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닫힌 상태에의 이행이 종단에 있어서, 로크부재(23,24)는, 용수철(25,26)의 작용에 의해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19,20)에 자동적으로 맞물린다. 이것에 의하여 제 1 및 제 2부분(4,5)이 로크부재(23,24)나아가서는 이음새(6)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손잡이 막대(3)의 접어 구부린 상태가 로크된다.
다시, 이 유모차(1)를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상태로 하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같은 조작이 실시되어, 최종적으로 로크부재(23,24)가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19,20)에 맞물리고, 손잡이 막대(3)의 직선상태가 로크된다.
상술한 열린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의 이행 및 닫힌상태로부터 열린상태로의 이행중 어느쪽에 있더라도 제 1 및, 제 2부분(4,5)의 동작이 강성링크부재(28)에 의해서 연동되고, 이음새(6)에 대하여 제 1 및 제 2부분(4,5)의 각각이 이루는 각도가 상호같게 유지된다. 따라서 한쪽의 로크부재(23가 한쪽의 열린상태로크 오목부(19)또는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21)에 맞물리는 때에는, 반드시, 다른쪽의 로크부재(24)가 다른쪽의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20)또는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22)에 맞물리고, 그 때문에 번거로운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완벽한 로크상태를 확실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기타 또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로크부재 및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의 각각의 형상은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모차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1쌍의 압봉간을 연결하고 또한 중앙부가 접어 구부리기 가능하게 된 손잠이 막대를 가지고 유모차이면 어떠한 것이더라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막대의 구조는, 접기 가능한 유모차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접는 방식 유모차의 1쌍의 압봉간을 연결하고 또한 중앙부가 접어 구부리기 가능하게 되고, 유모차의 열린상태에서는 직선 상태로 되고, 유모차의 닫힌상태에서는 접어 구부린 상태가 되는 유모차의 손잡이 막대에 있어서, 한쪽의 끝단부를 구성하는 제 1부분(4)과, 다른쪽의 끝단부를 구성하는 제 2부분(5)과, 상기 제 1 및 제 2부분을 상호 평행한 제 1 및 제 2회전축(15,16)의 주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부분을 각각 연결하는 이음새(16)와, 상기 제 1 및 제 2부분의 상기 제 1 및 제 2회전축의 축선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한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19,20) 및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21,22)와,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해당 손잡이 막대가 상기 직선상태에 있는 때에 그 이동에 의해 상기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에 각각 맞물리고, 또한 당해 손잡이 막대가 상기 접어 구부린 상태에 있는때에 그 이동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 로크 오목부에 각각 맞물리는 로크부재(23,24)와, 상기 로크부재를 상기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성가 닫힌 상태 로크 오목부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용수철(25,26)과, 상기 용수철의 탄성에 저항하여 상기 로크부재를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 및 닫힌 상태 로크 오목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조작력을 주기 위한 로크해제 부재(27)와, 상기 이음새에 대하여 상기 제 1 및 제 2부분의 각각 이루는 각도를 상호 같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1부분의 제 1회전축의 주위의 제 1위치에 한쪽끝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 1회전축에 대한 상기 제 1위치의 위치관계와는 반대의 위치관계에 있는 상기 제 2부분의 상기 제 2회전축의 주위의 제 2위치에 다른쪽끝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강성링크부재(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손잡이 막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1회전축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제 1회전축의 축심과 상기 제 2회전축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한 각도를 정의 θ로하면, 상기 제 2위치와 상기 제 2회전축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상기 제 1회전축의 축심과 상기제 2회전축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한 각도는 부의 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손잡이 막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린상태 로크 오목부가 상기 닫힌상태 로크 오목부와는 서로의 일부분을 공통으로 하면서, 전체로서 다각형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손잡이 막대.
KR1019960703221A 1994-10-20 1995-10-19 유모차의 손잡이막대 KR100193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526094A JP3385113B2 (ja) 1994-10-20 1994-10-20 乳母車の握り棒
JP94-255260 1994-10-20
PCT/JP1995/002147 WO1996012637A1 (fr) 1994-10-20 1995-10-19 Guidon de pousset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3305B1 true KR100193305B1 (ko) 1999-06-15

Family

ID=1727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221A KR100193305B1 (ko) 1994-10-20 1995-10-19 유모차의 손잡이막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10382A (ko)
EP (1) EP0732251B1 (ko)
JP (1) JP3385113B2 (ko)
KR (1) KR100193305B1 (ko)
CN (1) CN1050099C (ko)
DE (1) DE69524859T2 (ko)
ES (1) ES2170164T3 (ko)
TW (1) TW346082U (ko)
WO (1) WO1996012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6881B2 (ja) * 1999-10-12 2010-02-17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畳み操作装置
IT250451Y1 (it) * 2000-09-22 2003-09-10 Peg Perego Spa Passeggino con telaio ripiegabile e manubrio retrattile
JP4937473B2 (ja) * 2001-08-09 2012-05-2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JP4184761B2 (ja) * 2002-11-11 2008-11-19 グラコ・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畳式乳母車
JP3967271B2 (ja) * 2003-02-04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畳式乳母車
CA2790806C (en) * 2003-12-23 2013-04-02 Universite De Montreal Process for preparing electroactive insertion compounds and electrode materials obtained therefrom
CA2489068C (en) * 2004-12-03 2009-02-10 Kenneth L. Macdougall Hitch pin
ITVR20050107A1 (it) * 2005-09-14 2007-03-15 L Inglesina Baby Spa Dispositivo di impugnatura, particolarmente per passeggini, carrozzine e simili
ITVR20050131A1 (it) * 2005-10-18 2007-04-19 L Inglesina Baby Spa Dispositivo di impugnatura, particolarmente per passeggini, carrozzine e simili
US20090102149A1 (en) * 2007-10-22 2009-04-2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pushcart and foldable baby carriage
CN103507846B (zh) * 2013-09-05 2016-04-1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6974A (en) * 1977-06-15 1980-08-12 Kassai Kabushikikaisha Collapsible baby carriage
JPS59106366A (ja) * 1982-12-11 1984-06-20 象印ベビ−株式会社 ベビ−カ
JPS60146753A (ja) * 1984-01-11 1985-08-02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握り棒のロツク機構
JPS60199763A (ja) * 1984-03-23 1985-10-09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握り棒のロツク機構
EP0301828B1 (en) * 1987-07-28 1993-09-15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H0638777Y2 (ja) * 1988-05-17 1994-10-12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握り棒のロック機構
JP2580001B2 (ja) * 1988-05-24 1997-02-12 象印ベビー株式会社 乳母車のロック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10382A (en) 1998-09-22
WO1996012637A1 (fr) 1996-05-02
JPH08119114A (ja) 1996-05-14
TW346082U (en) 1998-11-21
EP0732251A1 (en) 1996-09-18
ES2170164T3 (es) 2002-08-01
JP3385113B2 (ja) 2003-03-10
EP0732251B1 (en) 2002-01-02
CN1137253A (zh) 1996-12-04
CN1050099C (zh) 2000-03-08
EP0732251A4 (en) 1997-04-09
DE69524859D1 (de) 2002-02-07
DE69524859T2 (de) 200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305B1 (ko) 유모차의 손잡이막대
AU734243B3 (en) Hinge on a ladder
JP2609072B2 (ja) 軸用および孔用止め輪の脱着具
EP0507012B1 (en) Lower joint folding preventing device for one touch type dome shaped tent
US7731220B2 (en) Frame assembly for double-seat baby stroller
EP2990298B1 (en) Zero play hinge for a stroller
JPS6216558U (ko)
EP2585362B1 (en) Joint locking assembly and method
US6997634B2 (en) Folding joint arrangement for foldable furniture
US4645370A (en) Joint structure for use in foldable baby carriages
KR890002049B1 (ko) 유모차 손잡이봉의 로크기구
CN1494637A (zh) 角度可调的连接器
US20230346136A1 (en) Foldable playard
JPH0638777Y2 (ja) 乳母車の握り棒のロック機構
CN2222260Y (zh) 折合式关节结构
CN217013367U (zh) 折叠式游戏床
KR910004765Y1 (ko)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JPH08105433A (ja) 枢着構造
JP2524370Y2 (ja) 乳母車に於ける手摺りの取付け装置
JPH0780126B2 (ja) 手工具
JP3004078B2 (ja) 宇宙用構造体の着脱装置
US7134358B2 (en) Tilt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0161826B1 (ko) 냉장고 문 지지장치
JP3020645U (ja) 折畳みペダル
CN116491787A (zh) 一种折叠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