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765Y1 -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 Google Patents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765Y1
KR910004765Y1 KR2019880001386U KR880001386U KR910004765Y1 KR 910004765 Y1 KR910004765 Y1 KR 910004765Y1 KR 2019880001386 U KR2019880001386 U KR 2019880001386U KR 880001386 U KR880001386 U KR 880001386U KR 910004765 Y1 KR910004765 Y1 KR 910004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disc
folding
handl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755U (ko
Inventor
임종훈
Original Assignee
임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훈 filed Critical 임종훈
Priority to KR2019880001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4765Y1/ko
Publication of KR890017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7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제 1 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이 작동되는 상태를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첩원판 2 : 보조원판
2',2",2'" : 삽입공 5 : 핀
9 : 부시 10 : 코일스프링
11 : 작동편 11a : 손잡이부
11b : 걸림턱 11c,11d : 받침부
11e : 돌기 12,13,14 : 안내요홈
15,16,17 : 단속돌기
본 고안은 수개의 연결부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절첩하여 작업대나 사다리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된 연결부의 힌지를 간단한 조작으로 원하는 각도에서 신속히 고정설치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는 국내 실용 신안공보 제 686 호(공고번호 84-2402 호)에 개재된 것과 같이 사다리나 각종 작업대, 식탁, 운동구 등을 자유로운 형태로 절첩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그 연결부에 핀이 보조원판의 다수개 뚫어진 삽입공에 조립되는 위치에 따라 지지봉의 절첩각도를 임의의 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었는데, 이는 보관상태에서 두개의 지지봉이 이루는 각도가 평행으로 접혀 0°를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지지봉이 40°와 105° 그리고 일직선으로 180°를 이루도록 펼치기 위해서는 우선 손잡이(3)를 첨부도면 제 2 도에서 표현한 것과 같이 압압하여 상하에 핀(5)이 돌설된 조정간(4)이 후퇴케 하여 보조원판(2)에 뚫어진 삽입공(2')으로부터 힌지 핀(5)이 이탈되게 하면 보조원판(2)과 절첩원판(1)이 상호 축봉(3a)를 축으로 회동가능케 될때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지지봉(6) 사이를 벌리면 핀(5)은 보조원판(2)의 외측면에 접한상태로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항시 삽입공(2')으로 조립되려는 힘을 유지하며 회전되다가 다음의 삽입공(2')위치에서 핀(5)과 중심이 일치되는 순간 "탁칵"하는 쾌음과 함께 핀(5)이 삽입공(2")에 조립되고 절첩원판(1)의 핀공(1')에까지 핀(5)이 끼워짐에 따라 지지봉(6)에 결착고정된 절첩원판(1)과 보조원판(2)의 회동을 방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지지봉(6)의 벌림 각도가 105°나 180°와 같이 절첩상태에서 직접 큰 각도를 벌어트리고자 할 때 불필요히 항시 삽입공(2')(2")(2'")에 핀(5)이 일치되는 위치마다(5) 삽입됨과 동시에 이를 다시 손잡이(3)를 압압하여 핀(5)를 삽입공(2')(2")(2'")으로부터 분리시켜 회동케 하고, 또 다시 이러한 방법을 반복해야만 절첩상태에서 원하는 180°, 즉 일직선으로 지지봉(6)을 벌어지게 하는 과정에서 여러번에 걸친 핀(5)분리작업으로 불필요한 많은 노력과 작업을 해야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의 낭비가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필요로하는 각도로 즉시 전환시켜 사다리나 작업대로 이용할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3)에 일체로된 축봉(3a)을 보조원판(2)과 절첩원판(1)의 중심공(1a)(2a)으로 조립한후 조정간(4)에 로크핀(8)으로 체결하시켜 조정간(4)양측에 돌출된 핀(5)이 핀공(1')과 다수개의 삽입공(2')(2")(2"')에 조립토록 손잡이(3)와 절첩원판(1)사이로 스프링(7)을 탄설시켜서된 통상의 힌지(B)를 구성함에 있어서, 축봉(3a)의 외측에 축설된 부시(9)에 코일스프링(10)이 감싸지게 하여 장공(11')이 중앙으로 뚫어지고 손잡이부(11a)가 일체로 절곡되어진 작동편(11)을 보조원판(2)과 절첩원판(1)의 내측에 코일스프링(10)의 일단은 고정공(1b)에 타측단은 걸림턱(11b)에 각각 탄설시켜 손잡이(3)압압으로 핀(5)이 삽입공(2')(2")(2"')으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작동편(11)의 받침부(11c)(11d)가 핀(5)의 위치로 이송되며 복원되는 것을 방지케하고 절첩원판(1)일측으로 호형지게 요설된 안내요홈(12)(13)(14)의 위치에 고정편(11)의 돌기(11e)가 조립되는 위치에 따라 보조원판(2)에 중심으로부터 상호 다른 거리에 돌출된 단속돌기(15)(16)(17)로 받침부(11c)일측단이 걸려짐에 따라 핀(5)이 삽입공(2')(2")(2"')으로 삽입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은 지지봉(6)과 고정시키기 위해 뚫어진 조립공, 19는 절첩원판(1)일측에 안내요홈(15)(16)(17)위치로 작동편(11)이 노출케 뚫어힌 작동공을 각각 표시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비교적 길이가 긴 사다리나 작업대의 중간 수곳 연결부에 힌지(B)를 지지봉(6)과 고정설치시켜 평상시 보관하고자 할 때는 첨부 도면 제 3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두 개의 지지봉(6)이 나란히 위치되는 곳으로 삽입공(2')에 핀(5)이 조립되게 하는데, 필요에 따라 지지봉(6)을 펼치고자 할 때는 우선 손잡이(3)를 인위적으로 압축된 상태로 핀(5)과 조정간(4)이 뒤로 후퇴하여 핀(5)의 끝면을 보조원판(2)외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코일스프링(10)에 의해 항시 이동하려고 준비되었던 작동편(11)이 첨부 도면 제 3 도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삽입공(2')의 위치로 회전되어 핀(5)이 다시 삽입공(2')으로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손잡이(3)를 압압하고 있던 손을 분리시킨다 하더라도 받침부(11c)(11d)가 핀(5)가 다시 삽입공(2')으로 조립토록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보조원판(2)에 다수개 뚫어진 삽입공(2')(2")(2"')은 핀(5)이 조립될 때 지지봉(6)사이의 벌어진 각이 일반적으로 필요한 각도인 0°, 40°, 105°의 위치에서 핀(5)의 조립위치가 바뀜에 따라 180°의 각도로 벌어져 고정될수 있도록 보조원판(2)을 제작할때에 적정위치에 삽입공(2')(2")(2"')을 각도 뚫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보조원판(2)과 절첩원판(1)을 회전시켜 예로서 40°의 각도를 유지하고자 할 때는 작동공(19)으로 노출되어진 손잡이부(11a)를 파지하여 가장 내측에 파여진 안내요홈(12)으로 작동편(11)에 일체로 돌출되어진 돌기(11e)가 일치토록 하면 작동편(11)은 중심으로부터 손잡이부(11a)의 반대쪽으로 비교적 편심케 된다.
작동편(11)의 중심은 부시(9)에 끼워진채 장공(11')이 길게 뚫어져서 중심이동이 가능하므로 위에서와 같이 작동편(11)의 위치를 손잡이부(11a)의 반대방향으로 편심케 한상태로 절첩원판(1)과 보조원판(2)을 회동시키면 받침부(11c)의 끝단이 처음에 접하는 단속돌기(15)에 걸려져 핀(5)을 받치고 있던 받침부(11c)(11d)이 작동편(11)과 함께 일치 걸려있는 순간 계속회전시키려는 힘에 의해 핀(5)의 끝단이 받침부(11c)(11d)에서부터 분리되어 보조원판(2)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고 다시 계속회전시키려는 절첩원판(1)과 함께 핀(5)이 다음에 위치되는 삽입공(2')에 일치되면서 조립되는 결과로 돌기(11e)를 가장 내측에 위치된 안내요홈(12)에 위치시키려면 핀(5)은 벌어짐 각도가 40°에 해당하는 삽입공(2")으로 조립되어 지지봉(6)의 벌어진 각도를 유지고정시키게 되는 것이고 이때 작동편(11)은 철편으로 되어 약간의 탄력을 유지하므로 단속돌기(15)에서 걸려있던 상태에서 코일스프링(10)의 탄력이 매우 커질 경우형의 단속돌기(15)로부터 받침부(11c)가 약간 들어올려지며 핀(5)의 위치까지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180°의 각도로 벌어지게 하고자 할 때는 돌기(11e)를 가장외측으로 파여진 안내요홈(17)의 위치로 당기면 작동편(11)이 다시 손잡이부(11a)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됨에 따라 핀(5)를 삽입공(2')으로 분리시킨 다음 회동시킬 때 받침부(11c)가 처음의 단속돌기(15)와 두번째의 단속돌기(16)에는 걸리지 않고 세번째의 단속돌기(17)에 걸리는 순간 받침부(11c)에서 핀(5)이 받쳐있던 상태에서 핀(5)만이 절첩판체(1)와 함께 계속회전하여 삽입공(2"')으로 삽입되면 지지봉(6)의 절첩되어 있던 상태의 핀(5)위치와 반대로 조립함에 따라 180°의 일직선으로 이루며 펼쳐지게 되는 것이고 다시 원위치시킬 때는 전기한 방법으로 손잡이(3)를 압압시켜 핀(5)을 삽입공(2")에서 분리시킨후 처음의 위치로 복원토록 인위적으로 회전시키면 3개의 단속돌기(15)(16)(17)사이의 간격(d)(d')에 의해 아무런 걸림없이 처음의 절첩위치로 핀(5)이 원위치된 다음 손잡이부(11a)를 이용해 인위적으로 회동시켜 받침부(11c)(11d)를 핀(5)의 걸림위치에서 어긋나게 하면 핀(5)은 삽입공(2')으로 조립되어 복원되는 것이다.
또한, 105°의 각도를 벌어지게 할 때도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절첩원판(1)의 일측으로 노출된 손잡이부(11a)를 이용해 돌기(11e)가 안내요홈(12)(13)(14)에 위치되는 것을 조절시킴에 따라 가장내측에 안내요홈(12)으로 위치시키면 40°의 각도로 벌어지게 하고 중간의 안내요홈(13)에 돌기(11e)를 위치시키면 105°의 각도로, 그리고 가장외측에 위치케 하면 작동편(11)이 이동되며 걸림위치를 다르게 하여 180°의 위치로 벌어지게 되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지지봉(6)의 벌림각도를 1회에 정확히 필요한 각도로 고정유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손잡이(3)에 일체로된 축봉(3a)을 보조원판(2)과 절첩원판(1)의 중심공(1a)(2a)으로 조립한후 조정간(4)에 로크핀(8)으로 체결하시켜 조정간(4)양측에 돌출된 핀(5)이 핀공(1')과 다수개의 삽입공(2')(2")(2"')에 조립토록 손잡이(3)와 절첩원판(1)사이로 스프링(7)을 탄설시켜서된 통상의 힌지(B)를 구성함에 있어서,축봉(3a)의 외측에 축설된 부시(9)에 코일스프링(10)이 감싸지게 하여 장공(11')이 중앙으로 뚫어지고 손잡이부(11a)가 일체로 절곡되어진 작동편(11)을 보조원판(2)과 절첩원판(1)의 내측에 코일스프링(10)의 일단은 고정공(1b)에 타측단은 걸림턱(11b)에 각각 탄설시켜 손잡이(3)압압으로 핀(5)이 삽입공(2')(2")(2"')으로부터 이탈되는 순간 작동편(11)의 받침부(11c)(11d)가 핀(5)의 위치로 이송되어 복원되는 것을 방지케하고 절첩원판(1)일측으로 호형지게 요설된 안내요홈(12)(13)(14)의 위치에 고정편(11)의 돌기(11e)가 조립되는 위치에 따라 보조원판(2)에 중심으로부터 상호 다른 거리에 돌출된 단속돌기(15)(16)(17)로 받침부(11c)일측단에 걸려짐에 따라 핀(5)이 삽입공(2')(2")(2"')으로 삽입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KR2019880001386U 1988-02-06 1988-02-06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KR910004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386U KR910004765Y1 (ko) 1988-02-06 1988-02-06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386U KR910004765Y1 (ko) 1988-02-06 1988-02-06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755U KR890017755U (ko) 1989-09-08
KR910004765Y1 true KR910004765Y1 (ko) 1991-07-04

Family

ID=1927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386U KR910004765Y1 (ko) 1988-02-06 1988-02-06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476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26B1 (ko) * 2002-01-26 2004-12-03 주식회사 매직캔 절첩사다리용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755U (ko) 198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0950A (en) Positioning joint for a folding ladder
AU734243B3 (en) Hinge on a ladder
KR101527427B1 (ko) 삼중 절첩식 유모차
US4986195A (en) Tilting table top mechanism
JPH0948194A (ja) リングとじ具
US4184503A (en) Crutch
KR910004765Y1 (ko)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KR960007983A (ko) 관형의 잠금 조립체
EP0817703B1 (en) Folding tool
KR200197298Y1 (ko) 접이식 교자상
KR950002726Y1 (ko) 상다리
US2765666A (en) Knee joint for portable tools
KR930004845Y1 (ko) 절첩식 사다리의 절첩각도 조절장치
JP7231454B2 (ja) テーブル用折り畳み脚の構造及びテーブル
KR910009124Y1 (ko)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JPH0532439Y2 (ko)
JPH0431964Y2 (ko)
KR910000303Y1 (ko)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KR900009122Y1 (ko) 절첩식 사다리용 힌지
KR100224503B1 (ko)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KR19980060609U (ko)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JPS645538Y2 (ko)
KR910007105Y1 (ko)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핸들 절첩장치
KR920002551Y1 (ko) 휴대용 절첩테이블의 의자지지대연결구조
JP3191204B2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