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303Y1 -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 Google Patents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03Y1
KR910000303Y1 KR2019870019274U KR870019274U KR910000303Y1 KR 910000303 Y1 KR910000303 Y1 KR 910000303Y1 KR 2019870019274 U KR2019870019274 U KR 2019870019274U KR 870019274 U KR870019274 U KR 870019274U KR 910000303 Y1 KR910000303 Y1 KR 910000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adder
hinge
rule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9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840U (ko
Inventor
유희관
Original Assignee
유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관 filed Critical 유희관
Priority to KR2019870019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303Y1/ko
Publication of KR890010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을 완전히 전개시킨 상태의 정면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 제5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부싱 6 : 압지축
7 : 괘지부 8, 8′ : 돌기
9, 9′ : 괘정공 11 : 회동판
11′ : 환턱 12 : 간극부
13 : 작동편 14 : 텐션스프링
15, 16 : 삽통공 17 : 스프링
18 : 압지부 (A)(B) : 걸림턱
본 고안은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개시는 압지부의 압지작용에 따라 사다리의 각도를 40도와 105도 및 180도로 벌려서 사용하고 절첩시는 괘지부를 압지부로 압지해정시킨 후 그대로 절첩작용을 실시할 수 있게 구성한 사다리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지주연결부를 갖는 한쌍의 원판과 그 사이에 역시 지주연결부와 일체로 주연에 환턱을 형성한 보조원판에 회동판을 접동시켜서 각기 그 중심부로 뚫린 중심공에 부싱을 끼워 이들을 체결하여 결합하고 한쪽 원판의 외부로는 스프링을 장착한 압지부의 압지축이 상기 부싱공을 통하여 그 단부가 다른 한쪽 원판의 외부에서 양쪽을 괘지돌기로 형성한 괘지부의 구멍에 의해 핀으로 고정한 것이다.
상기 괘지부의 양 괘지돌기는 한쌍의 원판에 뚫린 괘정공의 한쪽방향에 항시 위치하고 보조원판과 회동판 주연에 뚫린 6개의 삽통공은 사다리를 전개시킬 때는 서로 엇갈리고 일단 일정한 각도(40도, 105도, 180도)로 전개고정될 때는 상기 원판의 괘정공과 삽통공들은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괘지부의 양 괘지돌기는 압지축에 장착된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압지부가 후퇴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괘정공과 삽통공에 끼워져서 원판과 보조원판을 고정시켜 주는 것이며 다시 사다리의 각도, 예를들어 40도에서 105도로 더 벌려주고저 할때는 최초의 방법과같이 후퇴되어 있는 압지부를 재차 눌러서 전개작업을 실시하고 또 사다리를 직선상(180도)으로 완전히 벌려줄때도 역시 상기한 바와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이렇게 직선상으로 완전히 전개된 사다리를 절첩시킬때는 압지부가 후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압지부를 최초의 방법과 같이 다시 눌러주면 그대로 절첩작용이 이루워지게 한 구성의 사다리용 경첩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사다리용 경첩은 상술한 바와같이 사다리가 절첩된 상태에서 전개시킬 때는 필요한 전개 각도(40도, 105도, 108도)에 따라 그때마다 압지부를 눌러서 전개시키고 절첩시킬 때는 압지부를 한번만 눌러주는 것에 의해 그대로 절첩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또 완전히 절첩된 사다리를 안전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해서는 회동판을 보조원판주연에 형성한 환턱에 의한 보조원판의 일면으로 접동시키고 그 일측연부로 스프링(Tenson Spring)의 일단이 걸려지는 작동편을 손으로 작동하기에 편리하도록 ″ㄴ″자형으로 꾸부려서 외측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작동편을 환턱의 간극부와 사이로 위치시켜 전개시킬 때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원판의 괘정공과 보조원판 및 회동판의 삽통공으로 괘지돌기가 삽통괘지되는 작동을 행하고 또 전개각도를 더 벌려줄 때나 또는 반대로 절첩시킬 때는 상기 괘정공과 삽통공으로부터 해정되는 괘지돌기에 의해 회동판이 텐션스프링의 팽창력으로 원위치방향의 좌측으로 회동복귀하여 괘지돌기가 상기 괘정공과 삽통공으로 괘정되지 못하게 하는데 특징을 둔 것이다.
종래에도 사다리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다리용 경첩이 알려진바 있으나 이는 래치트기어(Ratchet Gear)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전개시의 괘정상태가 매우 약하고 양쪽원판에 천공된 구멍을 서로 맞추어 일치된 그 구멍으로 핀을 꽂아 절첩전개각도를 조절하여 왔던바 각도 조절시 구멍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번거러웠을 뿐만아니라 각도의 조절작업도 신속하지 못한 결함이 있었다.
또 다른예의 사다리용 경첩은 괘정간의 양단이 원판의 양측벽으로 뚫린 삽지공에 걸쳐진 상태에서 보조원판으로 뚫린 괘지홈에 횡으로 삽입되어 있는 작동판의 손잡이를 좌우로 작동시켜 절첩전개작업을 행하여 왔으나 이 또한 그 작업이 몹시 불편하고 괘정상태도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근간에 알려진 사다리용 경첩으로서는 단계적(40도, 105도, 180도)으로 벌려주기 위해 원판내에 스프링으로 탄지한 괘지판과 괘지돌기를 형성하여 보조원판과 또다른 원판 및 회동판에 구성된 괘정공으로 이들이 삽착괘지되도록 하는 복잡한 괘정작업과 회동판이 괘정공과 괘정공 사이만큼 이동복귀할 수 있는 돌편과 그리고 스프링에 의한 해정작업이 한쌍의 원판사이에 위치한 보조원판과 연관된 구성에 의해서 각각 이루워지기 때문에 사용중 고장이 빈번하고 또 수리에도 어려운 점이 많았을 뿐만아니라 다량 생산에 따른 원가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높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 목적하는 바는 한쌍의 원판과 보조원판, 그리고 회동판을 평판상으로 간단히 성형하고 상기 회동판이 보조원판의 일면으로 접동되도록 그 중심부에 뚫린 중심공으로 부싱을 끼워 이들을 체결하여 결합하고 이 부싱공으로 스프링을 압지축에 장착시킨 압지부를 관착하여 그 단부가 다른 한쪽에서 이에 핀으로 고정되는 괘지부의 괘지돌기에 의해서 상기 원판에 뚫린 괘정공의 외부에서 항시 일치하는 상태로 걸려지게하고 또 보조원판에 뚫린 삽통공과 이에 접동된 회동판의 삽통공(각각 6개입)은 서로 일치시키고 일측연부가 텐션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회동판이 보조원판주연에 형성한 환턱의 간극부 사이에서 전개시는 원판의 괘정공과 보조원판의 삽통공을 서로 엇갈려진 상태로 작동되다가 회동판이 정지되면 이들을 일치시켜주고 또 절첩시 다시 엇갈려지게하는 구성을 외부에서 압지부와 괘지부에 의해 알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용 경첩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목적은 압지부에 형성한 압지축단부에 바로 괘지부를 고정하여 상기 압지축에 장착된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괘지돌기가 보조원판에 형성한 회동판의 회동에 의해서 괘, 해정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공축 및 장공과 돌편, 그리고 돌기공과 괘착공들을 갖는 복잡한 구성의 경첩보다도 효과가 월등하고 고장이 없는 사다리용 경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쌍의 원판과 보조원판 및 텐션스프링으로 지지된 회동판에 의해서 상기 원판의 양쪽으로 구성한 압지부에 의한 압지부의 압지작업으로 괘지부의 괘지돌기가 괘정공으로 유연하고 정확하게 괘, 해정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1도는 사다리용 경첩(1)의 전체외관을 나타내보인 사시도로서 지주연결부(2)(2′)를 형성한 한쌍의 원판(3)(3′)과 그 사이에 역시 지주연결부(2″)를 갖는 보조원판(3″)이 다음에 설명되는 중심공(4)(4′)(4″)과 일치하는 중심공(4″′)에 부싱(5)으로 체결하여 결합하고 그 부싱공(5′)으로 관착된 압지축(6)의 단부(6′)를 괘지부(7)와 핀(7′)으로 고정시켜 괘지돌기(8)(8′)를 상기 원판(3)(3′)에 뚫린 괘정공(9)(9′)의 한쪽으로 위치시켜 구성하였다.
설명되지 않은 부호 10, 10′은 패킹이고, 10″는 핀 구멍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중심공(4″′)이 뚫린 회동판(11)을 보조원판(3″)의 일면으로 접동되도록 그 주연에 환턱(11′)을 형성하고 이 환턱(11′)에 지주연결부(2″) 방향으로 걸림턱(A)(B)을 갖는 간극부(12)를 형성한다.
상기 간극부(12)에 회동판(11)의 주연바깥쪽으로 꾸부러진 ″ㄴ″자형의 작동편(13)을 설치하고 이 작동편(13)에는 지주연결부(2″)에는 패킹(10′)속에 파뭍혀서 핀(14′)에 지지된 텐션스프링(14)의 일단이 그 구멍(13′)에 걸려진 상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보조원판(3″)과 회동판(11) 주연에는 서로 일치하는 6개의 삽통공(15)(16)이 뚫려 있고 상기 삽통공(16)은 그 일면의 반경이 경사부(16′)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괘지부(7)는 단부(6′)가 핀(7′)으로 고정된 압지축(6)이 부싱공(5′)으로 관착된 상태에서 원판(3)과 사이에 스프링(17)으로 장착되며 이에 압지부(18)를 고정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을 제3도에 의해 그 작용을 설명하면, 경첩(1)이 완전히 절첩된 상태에서는 텐션스프링(14)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편(13)이 간극부(12)의 한쪽방향에 형성한 걸림턱(A)에 위치해 있는 상태이므로 회동판(11)에 뚫린 삽통공(16)이 원판(3)(3′)의 괘정공(9)(9′)의 삽통공(15)과 서로 엇갈려 괘지부(7)의 괘지돌기(8)(8′)가 괘정공(9)(9′)과 삽통공(15)에 괘정되지 못한다.
따라서 사다리의 절첩상태를 고정시켜 주려면 환턱(11′)에 형성한 간극부(12)의 한쪽걸림턱(A)방향으로 위치해 있는 작동편(13)을 손으로 밀어서 걸림턱(B)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어야만 비로서 괘지부(7)의 괘지돌기(8)(8′)가 원판(3)의 괘정공(9)(9′)를 통해 회동판(11)의 삽통공(16)과 보조원판(3″)의 삽통공(15)을 지나 원판(3′)의 괘정공(9)(9′)에 정확히 괘정되는 것이다.
이때는 압지부(18)가 스프링(17)의 탄발력에 의해 후퇴되므로 다시 사다리를 전개시키고저 할 때는 압지부(18)를 재차 가압하여 작동편(13)이 텐션스프링(14)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작동복귀되도록 해야 한다.
즉, 상기 작동편(13)이 걸림턱(A) 방향으로 이동복귀하면 원판(3)(3′)의 괘정공(9)(9′)과 보조원판(3″)의 삽통공(15)으로 또 엇갈려진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 양지주 연결부(2)(2′)(2″)를 점차 벌려주면(쇄선표시) 괘지돌기(8)(8′)의 단부가 회동판(11)에서 그대로 미끄러지다가 그 삽통공(16)에 위치하면 회동판(11)과 같이 회동하여 40도 각에서 일치하는 삽통공(15)(16)에 의해 괘지부(7)의 괘지돌기(8)(8′)는 또 괘정공(9)(9′)으로 괘정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해 점차 사다리의 각도를 105도와 180도로 전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5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지주연결부(2)(2′)와 지주연결부(2″)가 서로 직선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다시 절첩시킬 때는 최초의 방법과 같이 후퇴되어 있는 압지부(18)를 압지하여 주면 회동판(11)은 텐션스프링(14)의 탄발력으로 간극부(12)의 걸림턱(B)에서 걸림턱(A)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보조원판(3″)의 삽통공(15)과 회동판(11)의 삽통공(16)은 또 엇갈려진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절첩작업을 계속하여 행하더라도 괘지돌기(8)(8′)는 어느 위치에서든지 괘정작동을 하지않고 회동판(11)에 뚫린 삽통공(16)에서는 그 일측의 경사부(16′)를 따라 그대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절첩작용을 유연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다음은 최초와 마찬가지로 작동편(13)을 걸림턱(B) 방향을 향해 손으로 밀어서 괘지돌기(8)(8′)를 괘정공(9)(9′)으로 완전히 괘정되게 하는 것으로서 절첩 전개작동이 편리하고 구조 또한 간단하여 제작이 매우 수월한 효과를 제공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한쌍의 원판(3)(3′)과 그 사이에 보조원판(3″)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사다리용 경첩(1)에 있어서 보조원판(3″)을 주연으로 형성한 환턱(11′)에 의해 회동판(11)을 보조원판(3″)의 일면으로 접동시키고 이의 중심공(4″′)과 일치하는 중심공(4)(4′)(4″)을 부싱(5)으로 체결하여 결합하되 상기 환턱(11′)의 일방향으로 걸림턱(A)(B)에 의해 형성된 간극부(12)로 회동판(11)의 작동편(13)을 구성하며 이 작동편(13)에는 텐션스프링(14)의 일단이 그 구멍(13′)으로 걸려지게하여 각각의 삽통공(15)(16)과 괘정공(9)(9′)으로 괘지부(7)의 괘지돌기(8)(8′)가 스프링(17)으로 장착된 압지축(6)의 압지부(18)에 의해 가압시는 해정하고 탄발시는 괘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A) 방향으로 회동복귀하는 작동편(13)에 의해 괘지돌기(8)(8′)가 삽통공(16)의 경사부(16′′을 따라 유연하게 절첩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KR2019870019274U 1987-11-07 1987-11-07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KR910000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274U KR910000303Y1 (ko) 1987-11-07 1987-11-07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9274U KR910000303Y1 (ko) 1987-11-07 1987-11-07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40U KR890010840U (ko) 1989-07-11
KR910000303Y1 true KR910000303Y1 (ko) 1991-01-18

Family

ID=1926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274U KR910000303Y1 (ko) 1987-11-07 1987-11-07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3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66260U (zh) 2018-06-14 2018-09-01 葉剛碩 具雙鎖銷的梯具關節改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40U (ko) 198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500A (en) Clamp for connecting form panels with clamping jaws urging sections of panels together at their edges
US20070101579A1 (en) Folding knife
KR910000303Y1 (ko)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CA1328990C (en) Wedge lock for pocket knife blade
JPH0475812A (ja) コアドリル
KR970003948Y1 (ko)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US2819637A (en) Basin wrench
FR2429885A1 (fr) Dispositif d'assemblage, notamment pour elements de coffrage
JPH0757482B2 (ja) だぼにより組立てられるパネルの孔開け案内装置
JPH04360702A (ja) 中ぐり工具
KR910004765Y1 (ko) 절첩식 사다리겸 작업대의 힌지
KR200256871Y1 (ko) 접철식 사다리용 힌지
CN115657405B (zh) 柔光箱的卡盘组件及柔光箱
JPH0142082Y2 (ko)
CN220840276U (zh) 一种带锁的折叠刀具
JPH0133358Y2 (ko)
US2612897A (en) Device for straightening and curling hair
KR200256869Y1 (ko) 접철식 사다리용 힌지
US2194641A (en) Sash lock
US2664320A (en) Join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H0120142Y2 (ko)
DE50013351D1 (de) Scharnier mit zwei relativ zueinander um eine gemeinsame Drehachse verdrehbaren Scharnierteilen
KR200364609Y1 (ko) 파워아울렛
US2518157A (en) Rotary music holder
CN208215263U (zh) 一种具有可伸缩的工具件的手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