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105Y1 -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핸들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핸들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105Y1
KR910007105Y1 KR2019890018867U KR890018867U KR910007105Y1 KR 910007105 Y1 KR910007105 Y1 KR 910007105Y1 KR 2019890018867 U KR2019890018867 U KR 2019890018867U KR 890018867 U KR890018867 U KR 890018867U KR 910007105 Y1 KR910007105 Y1 KR 910007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shing
folding
arm
handl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8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520U (ko
Inventor
이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조구
이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조구, 이기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조구
Priority to KR2019890018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105Y1/ko
Publication of KR9100105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5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01K89/009Collapsible or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핸들 절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된 핸들의 분리사시도이다.
제2도는 (a), (b)도는 본고안의 핸들이 펴진상태도로서, (a)도는 종단 입면도이고, (b)도는 평단면도이다.
제3도의 (a), (b)도는 동 핸들이 절첩 상태도로서, (a)도는 종단 입면도이고, (b)도는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암 1a : 삽지홈
2 : 핸들스텐드 2a : 삽지돌편
3 : 연결축핀 4 : 조작구
4a : 걸림부 4b : 밀부
4c : 당김부 5 : 지축핀
6 : 탄발스프링
본 고안은 수조작으로 절첩되는 낚시용 스피닝리일의 핸들 절첩장치로서 특히, 선택적으로 자작구를 당기거나 눌러서 핸들을 절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습관에 따라 가일층 편리하게 절첩할 수 있게 한 낚시용 스피닝이일의 핸들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스피닝리일은 그 구조상 핸들의 차지하는 공간이 매우 크기 때문에 낚시중일때를 제외한 보관 및 운반시에는 핸들을 절첩하여 축소된 상태로 보관, 운반토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핸들의 절첩은 누름버튼을 손가락으로 당겨서 절첩하거나 또는 제낌레버를 눌러 절첩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전의 당김 버튼식 또는 누름레버식의 핸들절첩구조는 그들이 리일에 각각 단독적으로 채용되므로서 인체공학적인 습관상 주로 당기는 습관과 미는 습관을 각각 가지는 모든 사용자를 하나의 리일이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리일선택에 제한이 따랐을뿐만 아니라 리일을 당김버튼식 핸들 절첩구조를 가진 리일에서 누름레버식 핸들 절첩구조를 가진 리일로 교체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된 리일로 교체하여 취급, 사용할 경우에 지금까지 습관화된 핸들 절첩 조작방식과 상반되는 조작방식으로 핸들을 절첩해야 하기 때문에 핸들 절첩에 있어 매우 어색하고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등을 수반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리일의 핸들을 절첩함에 있어 사용자의 조작 습관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작구를 당기거나 눌러서 핸들을 절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일글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암(1)의 선측 삽지홈(1a)에 걸림턱(2a')을 가진 핸들스텐드(2)의 삽지돌편(2a)을 삽입하고 이들의 편심축선상에 연결축핀(3)을 축착하여 일측방으로 핸들암(1)을 회동케 함과 동시에 핸들암(1)의 선측 내부공(1b)에 전기한 걸림턱(2a')에 괘탈되는 걸림부(4a)를 가진 조작구(4)를 지축핀(5)과 탄발스프링(6)으로 유착하여 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의 내부공(1b)에 외부로 노출되는 밀부(4b)와 당김부(4c)를 상, 하일체로 형설한 조작구(4)를 탄장하여 전기한 밀부(4b)와 당김부(4c)를 선택적으로 사용토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a'는 요입면이고, 2a"는 접면이며, 1'는 손잡이, 2'는 스텐드축, L은 리일몸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와 같이 핸들암(1)과 핸들스텐드(2)가 일직선상으로 된 상태에서 핸들을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같은 상태에서의 핸들암(1)은 그의 요입면(1a')이 핸들스텐드(2)의 접면(2a")에 면접되기 때문에 핸들암(1)이 제2도에서 "A"측 방향으로 회동, 절첩되지 않게 되는 것일뿐만 아니라 탄발스프링(6)에 의해 조작구(4)의 당김부(4c)가 항시 외측탄력을 받게 되어 걸림부(4a)가 상향회동된 상태로 머물게 되므로서 걸림부(4a)에 걸림턱(4a')이 걸림되기 때문에 핸들암(1)의 "A"측방향과 반대방향인 "B"측 방향으로도 회동, 절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핸들암(1)을 절첩 코져 할시에는 제3도의 (a)도에 예시된바와 같이 조작구(4)의 밀부(4b)를 밀거나 또는 당김부(4c)를 당겨서 지축핀(5)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면 걸림부(4a)가 하향 이동하여 걸림턱(2a')의 걸림을 해지하기 때문에 제3도의 (b)도와 같이 핸들암(1)을 일측방향("B"측방향)으로 절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같이 절첩된 상태에서 본래펴진 상태로 복귀코져 할시에는 핸들암(1)을 핸들스텐드(2)와 일직선상태가 되게 회동시키면 당기부(4c)에 항시 탄발력을 받게 되는 조작구(4)의 걸림부(4a)가 걸림턱(2a')을 가로막는 상태로 걸림되게 되므로서 제2도 예시와 같이 다시 절첩되지 않는 펴진 상태로 복귀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낚시중일때를 제외한 보관 및 운반시에는 핸들암(1)을 절첩하는 것인바, 본 고안은 절첩작동을 유발하는 조작구(4)가 밀부(4b)와 당김부(4c)를 갖추고 있기때문에 사용자는 자기의 조작습관에 따라 밀부(4b)를 밀어 절첩하거나 또는 당김부(4c)를 당겨서 핸들암(1)을 절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핸들암(1) 절첩시 조작구(4)를 선택적으로 밀거나 당겨서 절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일층 편익성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핸들의 절첩조작방식에 관계없이 폭넓은 리일 선택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신뢰성을 더한층 높일수 있는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핸들암(1)의 선측 삽지홈(1a)에 핸들스텐드(2)의 삽지돌편(2a)을 직립, 절곡케 유착하고 핸들암(1)의 선측 내부공(1b)에 걸림부(4a)를 가진 조작구(4)를 탄장하여 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내부공(1a)에 외부로 노출되는 밀부(4b)와 당김부(4c)를 상, 하일체로 형설한 조작구(4)를 탄장하여 전기한 밀부(4b)와 당김부(4c)를 선택적으로 사용케 한것을 특징으로 한 낚시용 스피닝리일의 핸들 절첩장치
KR2019890018867U 1989-12-13 1989-12-13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핸들 절첩장치 KR910007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867U KR910007105Y1 (ko) 1989-12-13 1989-12-13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핸들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8867U KR910007105Y1 (ko) 1989-12-13 1989-12-13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핸들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520U KR910010520U (ko) 1991-07-29
KR910007105Y1 true KR910007105Y1 (ko) 1991-09-24

Family

ID=1929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8867U KR910007105Y1 (ko) 1989-12-13 1989-12-13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핸들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1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520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9519A (en) Garbage collection auxiliary apparatus
US5488756A (en) Handle device
US4585134A (en) Portable container
US4298016A (en) Locking mechanism for foldable walker
US20020145264A1 (en) Folding structure of a scooter
JPH04985Y2 (ko)
US5133103A (en) Hairbrush
US20060142679A1 (en) Backscratcher for relieving itches
JP3851278B2 (ja) 引き手付きバッグおよびストッパ兼用引き手装置
KR910007105Y1 (ko) 낚시용 스피닝 리일의 핸들 절첩장치
US7549520B1 (en) Spring structure of a multi-joint luggage pull-rod
US20060097488A1 (en) Detachable device for auxiliary wheel of golf cart
US6295698B1 (en) Retractable handle
US5590473A (en) Bow saw
US5247955A (en) Ergonomical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JPS608691Y2 (ja) 釣用リ−ルのハンドル
KR200143787Y1 (ko) 낚시용 릴의 원터치 핸들장치
US5588454A (en) Dual locking mechanism for use in umbrella handles
JPS6132507Y2 (ko)
JP3513230B2 (ja) 携帯用容器の折り畳み式把手
JPS6326122Y2 (ko)
US6131590A (en) Collapsible umbrella structure with hand protection
JPH046583Y2 (ko)
JPH0222395Y2 (ko)
KR0107406Y1 (ko) 휴대용 지시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