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583B1 - 혼합 및 투약장치 - Google Patents

혼합 및 투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583B1
KR890001583B1 KR1019870001566A KR870001566A KR890001583B1 KR 890001583 B1 KR890001583 B1 KR 890001583B1 KR 1019870001566 A KR1019870001566 A KR 1019870001566A KR 870001566 A KR870001566 A KR 870001566A KR 890001583 B1 KR890001583 B1 KR 89000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hambers
container
seal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691A (ko
Inventor
맥네어니 존
엠 헉 찰즈
Original Assignee
비이오우시이 인코포레이팃드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이오우시이 인코포레이팃드,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비이오우시이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87000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41Separating means having removable plu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5/00Bottles and jars
    • Y10S215/08Mi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혼합 및 투약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몇개의 부품들이 제거되고 부품들 중 몇개의 위치가 변형되어 있는 제1도 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 실시예 일부의 부분 단면도.
제4도,제5도,제6도 및 7도는 제1도,제2도 및 제3도의 실시예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혼합 및 투약장치 12 : 용기
14 : 액체 스톱퍼 16 : 바스켓
18 : 투약 플런저(plunger) 20 : 필터 조립체
22 : 잠금머리 24 : 격막캡
26 : 밀봉 디스크 28 : 잠금캡
30 : 주름 포장부 12d : 상부 채임버
12h : 하부 체임버 12g : 목 채임버
이 발명은 2가지 성분을 따로 담은 다음 혼합하는것, 특히 분말과 액체를 따로 담은 다음 혼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혼합물이 불안정하기 쉬우므로 많은 의약품은 환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희석제와 함께 혼합된다. 예를 들어 희석제는 포도당 용액, 식염 용액 또는 물이다. 주사용 티오펜탈소듐 수용액은 사용전에 즉시 무균방식으로 혼합될 필요가 있고 미사용 부분은 24시간 내에 폐기 처분된다.
제1용기의 액체는 제1용기에 결합된 바늘모양 중공도관을 제2용기의 밀봉 격막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제2용기의 분말 화합물과 혼합될 수 있다. 이런 형식의 장치의 예들이 미합중국특허 제4,392,850과 4,392,851, 3,882,909 및 4,336,802호에 예시되고 개시되어 있다. 이런 장치의 한가지 문제점은 실수가 저질러질 수 있고 액체와 분말이 잘못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문제점은 사고가 일어날 수 있고 무균처리가 안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방법이 다소 복잡하다는 것이다. 더구나, 액체 및/또는 분말의 조합 비율이 잘못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 4,331,233호는, 하부 채임버에 저장된 분말을 상부 채임버에 저장된 액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시켜 격리하는 제한부분에 밀봉적으로 얹힌 플러그가 있는 2격실 물약병을 예시하고 설명한다. 가요성 스톱퍼가 물약병 상부의 구멍에 끼워져서 물약병 안으로 뻗어있다. 스톱퍼를 밀어 누르면 액체위에 힘이 가해지고, 따라서 플러그를 제거하는 힘이 플러그에 가해져 플러그가 하부 채임버 안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상부 채임버의 액체가 하부 채임버 안으로 흘러들어가 분말과 혼합된다. 이런 물약병의 한가지 문제점은 처음에 분말을 물약병에 담을 적에 상부 채임버의 벽에 약간의 분말을 묻히지 않고서 분말을 하부 채임버에 담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액체가 상부 채임버에 주입될 때 액체는 상부 채임버 측벽에 묻은 분말을 활용화한다. 이와같이 부적절한 비율의 조숙한 혼합물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분해되어, 차후에 형성된 혼합물의 순도를 해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식은, 하부 채임버가 충진되고 플러그가 삽입된 다음에 상부 채임버를 세척하는 것이다. 그러면 제조 코스트가 부가되고 제조가 복잡해진다. 제조상의 다른 문제점은 플러그에 아무것도 연결되지 않으므로 플러그를 밀봉위치에 삽입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다른 문제점은, 상부 스톱퍼에 가해진 힘이 액체를 통해 플러그에 전달되기 전에 압축되어야 할 공기 포켓이 있다는 것이다. 분말과 액체의 위치가 변하게 되면 어떤 분말이 가장 압축되므로 작업이 더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플러그를 제거하는데 더 많은 힘이 가해져야 한다.
토피사이클린(국소 용액용의 염산 테트라사이클린)으로 알려진 약품이 Proctor & Gamble에서 제조되어 혼합 및 투약장치에 시판된다. 윗부분에 나사홈이 있고 그 안에 구멍을 형성하며 액체를 담는 유리병, 스톱퍼, 나사 결합캡 및 분말 약품을 담은 도포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액체와 분말이 병안에서 혼합될 수 있다.
포장된 상태에서 병은 40% 에탄올, 구연산 및 n-데실 메틸 설폭사이드의 액체로 부분 충진된다. 스톱퍼가 병의 상부에서 구멍에 끼워지고, 캡이 병상부위로 나사고정된다. 우선 캡이 제거되고, 다음에 스톱퍼가 제거되어 폐기된다. 밀봉된 무균 포장물로 보이는 듯이 포장된 도포기가 포장물로 부터 제거된 뒤 병의 상부안에 끼워진다. 도포기의 채임버내에는 염산 테트라사이클린, 4-에피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중아황산나트륨의 분말이 담겨있다. 원통형의 도포기는 반구형 가요성 윗부재, 피스톤 부재, 및 방출가능한 원통형 아래 밀봉부재를 가진다. 피스톤 부재는 도포기의 위, 아래 부재들과 결합하고, 위부재가 눌릴때 이동되어, 아래 밀봉부재가 도포기로 부터 배출되어 병의 액체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 다음에 채임버안의 분말이 액체안으로 낙하하여 액체와 혼합한다. 위부재에는 일련의 구멍들이 뚫려있어, 캡이 제거된 후에 혼합물이 피부에 도포될 수 있게 한다. 이런 장치의 한가지 문제점은, 병이 공기에 개방되어 있고 손으로 취급되어 공중오염물 또는 혼합물 취급자의 손에 묻은 오염물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므로 혼합작업이 무균처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도포기와 병이 함께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도포기와 병의 조합이 잘못 이루어질 수 있다.
무균상태가 유지되고, 혼합되는 2성분들의 비율이 늘 정확하고, 아무것도 누출되지 않으며 공정이 간단하고 실시가 간편하며 본질적으로 절대 안전한 방식으로 분말과 액체가 혼합될 수 있는 장치가 바람직하다.
요컨대, 이 발명은 간단하고, 효율적이고, 비교적 빠르며 절대적으로 안전한 무균작업으로 액체와 고체를 따로 담아 섞는데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형태에서, 이 장치는 제1 및 제2성분들을 각각 내장하는데 적합한 제1 및 제2 채임버로 구성된 용기, 상기 채임버들 사이에 장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채임버와 제2 채임버 중간에서 용기의 내부 표면과 밀봉결합을 형성하는 밀봉수단, 그리고 상기 두 채임버들이 서로 연통할 수 있게 하고 제1채임버에 담긴 제1성분을 제2채임버에 담긴 제2성분과 혼합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상기 밀봉수단을 제1채임버 안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성분이 분말이고, 제2성분이 액체이며, 이동수단은 통기구멍들이 있는 투약 플런저와 바스켓으로 구성된다. 이 장치는 또한 제1채임버와 제2채임버 중간에 있는 목 채임버, 통기구멍들이 뚫려 있는 잠금머리, 통기구멍들이 뚫려 있는 격막캡, 잠금캡 및 수축 포장부로 구성된다. 액체가 우선 용기의 제2채임버안에 주입된다. 바스켓이 스톱퍼에 고정된다. 그 다음에 바스켓-스톱퍼 조합체가 용기에 배치될 때 스톱퍼가 목 채임버의 측벽들과 밀봉결합을 형성하고 바스켓이 반드시 제1채임버에 설치된다. 그 다음에 분말이 제 1 채임버안에 주입되고 나서, 투약 플런저, 필터 및 잠금머리로 구성된 조립체가 제1채임버에 배치된다. 잠금머리가 투약 플런저 위로 배치된다. 격막 커버가 잠금머리 위로 배치되고 밀봉 디스크가 격막캡 위에 놓인다. 그 다음에 잠금캡이 밀봉 디스크, 격막캡, 및 잠금머리 위로 놓인다. 수축 포장부가 잠금캡 위로 그리고 용기의 일부에 걸쳐 놓인 다음, 잠금캡과 용기에 찰싹 들러붙도록 가열된다.
혼합 및 투약 작업에서 우선 수축 포장부와 잠금캡이 제거되고 격막캡에 힘이 가해져서 밀봉수단이 제2채임버내에 완전히 들어올 때까지 격막캡, 잠금캡, 투약 플런저, 바스켓 및 밀봉수단이 제2채임버쪽으로 눌린다. 그러면 분말이 액체안에 떨어져 섞이기 시작한다. 용기를 흔들어 분말과 액체가 완전히 섞이게 한다. 주사기의 바늘끝이 격막캡을 관통해 제1채임버안으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용기를 뒤집어 제1채임버가 제2채임버 아래로 오고 혼합물이 용기 아래로 떨어지게 한다.
이 발명의 용기 구조물은 혼합 및 투약 작업이 무균방식으로 효율적이고, 비교적 신속하게 반드시 절대안전하게 하는 것을 조장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3도에 단면으로 도시된 혼합 및 투약장치(10)는 용기(12), 액체 스톱퍼(14), 바스켓(16), 투약 플런저(18), 필터 조립체(20), 잠금머리(22), 격막캡(24), 밀봉 디스크(26), 잠금캡(28), 및 수축 포장부(30)로 구성된다. 용기는 전형적으로 측벽들(12a), (12b), (12c)을 가진 유리병이다. 측벽(12a)은 상부부분(12e)에서 끝나는 상부 채임버(12d)를 형성하고, 부분(12e)은 상부 채임버(12d)와 직접 연통하는 구멍(12f)을 형성한다. 측벽(12b)은 목 채임버(12g)를 형성하고 측벽(12c)은 하부 채임버(12h)를 형성한다. 측벽(12b)외부의 윗부분은 홈(12i)를 형성한다. 액체(32)가 하부 채임버(12h)를 부분적으로 충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바스켓(16)이 분말 화합물(26)을 담고 반드시 상부 채임버(12d)에 위치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밀봉수단 또는 격리수단이라 부를 수 있는 액체 스톱퍼(14)는 그 주변에 다수의 환형 융기부들이 이격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장치(10)에 저장된 분말 또는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탄성 가요성 물질로 제작된다. 액체 스톱퍼(14)가 도시된 위치에 있을때는 측벽(12d)에 대해 밀봉적으로 설치된다. 이 스톱퍼(14)는 상부 채임버(12d)를 하부 채임버(12h)로 부터 격리시키고 그래서 분말(26)을 액체(32)로 부터 격리시킨다.
상부, 하부 및 목 채임버들과 상부 구멍이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정렬되는 용기의 구성은 통상적인 것이며, 이 분야의 기술에 공지된 표준 유리 세공방법을 사용하여 용기(12)가 제작될 수 있게 한다.
바스켓(16)은 숫고정부분(16a), 리브부분(16b) 및 칼라부분(16c)으로 구성된다. 숫고정부분(16a)은 스톱퍼(14)의 공동안에 삽입되어 스톱퍼(14)부분들에 의해 정위치에 보유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바스켓(16)을 스톱퍼(14)에 고정하면, 바스켓(16)이 핸들로 작용하므로 스톱퍼(14)를 채임버(12g)에 삽입하기가 용이해진다.
바스켓(16)의 다른 기능은 투약 플런저(18)에 가해진 힘을 액체 스톱퍼(14)에 전달하는 것이다. 칼라부분(16c)은 측벽(12a)의 아래부분에 쏙끼어 걸리도록 테이퍼져 있어 바스켓(16)이 하부 채임버(12h)안으로 완전히 떨어지지 못하게 한다.
투약 플런저(18)는 원통형 밀봉부분(18a), 원통형 몸체부분(18b), 원통형 상부부분(18c), 및 구멍(18e)이 천공되어 있는 상부의 원형 요홈부분(18d)으로 구성된다. 투약 플런저(18)는 장치(10)에 저장된 액체 또는 분말에 대해 불투과성인 탄성 가요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약 플런저(18)와 바스켓(16)은 이동수단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원형부분(18c)은 원형부분(18d)을 둘러싼다. 주위에 다수의 환형 융기부들이 이격되어 있는 부분(18a)은 측벽(12d)에 밀봉 설치되어 있다. 부분(18d)은 상대적으로 수직한 측벽들과 평탄한 상부부분을 가진 도드라진 제1원통부분(18f)을 둘러싼다.부분(18f)은 제1닙플(nipple)(18h)을 둘러싸는 제2원통부분(18g)을 둘러싼다. 닙플(18h)은 상대적으로 수직한 측벽들과 평편한 상부부분을 가지며, 중심구멍(18i)을 형성한다. 상부 안쪽의 비교적 평편한 부분(18j)은 반드시 수직인 측벽들과 평편한 상부부분을 가진 도드라진 부분(18k)을 둘러싼다. 부분(18k)의 상부 평편부분은 닙플(18h)의 반대쪽에 있는 제2닙플(18l)를 둘러싸고, 제2닙플(18l)는 경사져 있으나 비교적 수직인 측벽들을 가진다. 구멍(18i)과 동축을 이루는 구멍(18m)은 닙플(18l)를 통해 뻗어 구멍(18i)과 만난다. 닙플(18h)와 닙플(18l)은 공통의 중심축을 가진다.
필터 조립체(20)는 외경이 투약 플런저(18)의 원통형 몸체부분(18b) 내경보다 약간 더 작은 원통형 부분(20a)과 비교적 평편하고 중심구멍(20c)과 다수의 다른 구멍들(20d)이 뚫린 상부부분(20b)을 가지며 필터물질(20e)이 구멍들(20d)을 덮는다. 필터물질(20e)은 절대소수성이므로 이 필터물질을 통과하는 공기는 무균상태로 된다. 구멍(20c)은 닙플(18l)보다 직경이 약간 더 크다. 필터 조립체(20)는 투약 플런저(18) 내측에 끼워지고 닙플(18l)이 중심구멍(20b)을 통과하기 적합하게 되어있고, 필터 조립체(20)의 상부부분(20a)일부가 부분(18k)의 내부 평편부분과 접촉한다. 격막캡(24), 측벽들(24a)이 반드시 수직이고 상부부분(24b)이 비교적 평탄하고 통기구멍들(24c)이 상부부분(24b)를 통해 뻗어있는 원통형 부재이다. 캡(24)의 아래부분에는 움푹패인 3개의 동심 원통부분들(24d),(24e), (24f)이 동심으로 뻗어있다. 통기구멍들(24c)이 캡(24)의 부분들을 통과하고 투약 플런저(18)의 구멍들(18e)과 접속한다. 닙플(24g)은 부분(24f)의 중앙에 위치하고, 그 직경은 투약 플런저(18)의 닙플(18h) 내경보다 더 작다. 닙플(24g)은 닙플(18h)의 구멍(18i)안에 끼워지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잠금머리(22)는 제1 및 제2돌출부(22b), (22c)를 가지며 이격되어 있는 유연한 탄성 핑거부분들(22a), 상부 채임버(12d)의 내경보다 다소 작은 외경을 가진 내측 원통벽 부분(22d), 구멍들(22f)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천공된 원형의 평편한 상부부분(22e) 그리고 중심구멍(22i)과 다른 이격된 구멍들(22j)이 있는 평편한 부분(22h)을 가진 원통형 상부부분(22g)으로 구성된다. 핑거부분(22a)의 돌출부(22b)는 잠금머리(22)가 상부위치에 있을때 잠금머리(22)와 용기(12)를 기계적으로 서로 잠그도록 용기의 홈(12i)에 선택적으로 걸리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핑거부분(22a)의 돌출부(22c)는 잠금머리(22)가 하부 위치에 있을때 잠금머리(22)와 용기(12)를 기계적으로 서로 잠그도록 용기의 홈(12i)에 선택적으로 걸리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원통형 벽부분(22b)은 상부 채임버(12d)에 삽입되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돌출부(22b)의 제작이 용이해지도록 구멍들(22f)이 사용된다.
밀봉 디스크(26)는 원형부분(26a), 탭부분(26b), 및 닙플들(26c)을 포함하고, 닙플들(26c)은 격막캡(24)의 구멍들(24d)과 결합하여 캡(24)의 밀봉을 뚫어주기 적합하게 되어 있다.
잠금캡(28)은 수직 축벽들(28a)과 평편한 원형 상부부분(28b)을 가진 컵 모양의 원통형 부재이다. 캡(28)이 밀봉 디스크(26), 격막캡(24), 잠금머리(22)의 핑거부분(22a)위로 끼워지도록 캡(28)의 내경이 선택된다.
수축 포장부(30)가 용기(12) 측벽의 일부와 캡(28)을 뒤덮고 있다가 가열되면 서로 밀봉 접착한다.
제2도에 예시된 장치(10)의 단면도에서 수축 포장부(30)와 잠금캡(28)이 제거되고, 스톱펴(14), 바스켓(16), 투약 플런저(18), 필터 조립체(20), 잠금머리(22), 격막캡(24) 및 밀봉 디스크(26)가 수직 하방으로 이동되어 바스켓(16)의 일부가 하부 채임버(12h)의 일부에 들어온 상태에 있다. 분말(26)이 하부 채임부(12h)안에 들어와 액체(32)와 섞인다.
장치(10)의 작동이 제4도-제7도와 관련하여 예시된다. 제4도에서 수축 포장부(23)와 잠금캡(28)은 둘 다 제거되었다. 격막캡(24), 밀봉 디스크(26), 잠금머리(22), 투약 플런저(18), 필터 조립체(20), 바스켓(16), 액페 스톱퍼(14)들은 제5도에서 예시된 바와같이 배치되어서 바스켓(16)부분과 액체 스톱퍼(14)전체가 하부 채임버(12h)내에 있다. 분말(26)은 예시된 바와같이 하부 채임버(12h)로 떨어져 액체(32)와 혼합하기 시작한다.
이제 분말(26)이 액체(32)와 완전히 혼합되도록 용기(12)를 흔든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밀봉 디스크(26)는 격막캡(24)에서 제거된다. 제7도에서 주사기의 바늘끝이 격막캡(24)의 중앙부분을 통하여 상부 채임버(12d)로 삽입된다. 그후 용기(12)를 거꾸로 들면 혼합물이 용기(12)에서 주사기 채임버로 빨려 들어간다. 혼합물이 용기(12)에서 빨려들어감에 따라, 공기가 격막캡(24), 잠금머리(22), 투약플런저(18)의 구멍들과, 필터 조립체(20)의 여과물질을 통하여 상부 채임버(12d)로 들어가고 그 상부 채임버(12d)에서 발생한 진공은 공기로 인하여 경감된다.
용기(12)가 밀폐되어서 시술자는 제작자에 의해 장치(10)로 미리 넣어진 분말 또는 액체를 다루지 않기 때문에 혼합 과정은 무균적임을 유의해야 한다. 혼합과정은 무료적이고 아주 간단하며 비교적 빠르며 효과적이다. 공기가 필터 조립체(20)의 필터물질(20e)을 통과할때 효과적으로 살균되기 때문에 투약과정 역시 무균적이다. 액체와 분말이 서로 적정한 비율로 혼합되는 것에 대한 오차가 있을 수 없다.
완전히 작용하도록 착상되어 설계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12)는 유리로, 잠금캡(28), 밀봉디스크(26), 거르개 조립체(20), 및 바스켓(16)은 폴리에틸렌으로, 그리고 격막캡(24), 투약 플런저(18) 및 액체 스톱퍼(14)는 부틸고무로 만들어진다. 분말형태의 티오펜탈 나트륨은 분말로 사용되고 무균수는 액체로 사용된다. 티오펜탈 나트륨과 물의 혼합물은 불안정하며 신속히 사용되어야 하고 미사용부분은 24시간내에 폐기된다. 장치(10)는 티오펜탈 나트륨과 물이 정확히 올바른 비율로,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절대 안전한 무균과정으로 혼합되게 한다.
장치(10)는 바늘이 없는 주사기내로 또는 I. V. 기구내로 액체와 분말의 혼합물을 투입하는데 쉽게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분말과 액체가 혼합된 후, 격막캡이 제거되고 유리제 주사기 바늘끝 또는 I. V. 기구의 끝이 투약 플런저의 중앙구멍으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용기 및 주사기 또는 용기 및 I. V. 기구를 거꾸로 들면 혼합물이 주사기 약실 또는 I. V. 기구의 병안으로 빨려들어간다. 1개 또는 2개의 구경(口俓)끝이 있는  I. V.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다양한 수정예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가능하다. 예를들면 바스켓(16)은 여러가지의다른 견고한 또는 어느정도 유연성있는 구조물로 대치가능하다.또한 스톱퍼(14)는,이완된 상태에서의 스톱퍼의 직경이 목 채임버(12g)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는 한 간격진 환형 융기들을 가질 필요가 없다. 더우기 투약 플런저(18)는, 이완된 상태에서의 플런저의 직경이 상부 채임버(12d)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되어 있는 한 간격진 환형 융기들을 가질 필요가 없다. 더우기 용기(12)는 목 채임버가 없는 상부 채임버 및 하부 채임버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채임버는 하부 채임버보다 단면적이 더 작으며 스톱퍼(14)는 상부 채임버의 밑부분의 측벽과 밀봉 물림을 형성하고, 혼합 과정중 그 스톱퍼는 하부 채임버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바스켓(12)은 숫짝부재를 가질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하여 스톱퍼는 혼합 과정중 하부 채임버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필터 조립체의 구조와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분말은 고체로 대치될 수 있으며, 바스켓의 구조물은 스톱퍼가 하부 채임버로 억지로 끼워질때 고체가 액체로 떨어지도록 변경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고체는 분말이 용해되는 것보다 더 느리게 액체에 용해되며 그 결과 고체가 액체에 용해되는 것이 오래 걸릴 수 있다. 고체는 바스켓 구조물의 변화없이도 분말로 대치될 수 있다. 그러한 상태하에서 병은, 스톱퍼가 하부 채임버에 있게 되고 고체가 액체에 용해된 후 거꾸로 돌려질 수 있다. 또한 액체, 고체 또는 분말 군(群)의 제1성분은 상부 채임버에 놓일 수 있으며 동일군의 제2성분은 2 또는 3성분의 어떠한 조합도 병에 저장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연속적으로 혼합될 수 있도록 제2채임버에 놓일 수 있다.

Claims (22)

  1. 제1 및 제2성분들을 각각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된 제1 및 제2채임버들을 구비한 용기와, 제1 및 제2채임버들 사이에 방벽을 형성하도록 그 채임버들 사이에서 용기의 내부표면과 밀봉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밀봉수단과, 상기 2개의 채임버들이 서로 통하게 하여, 제1채임버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제1성분과 제2채임버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제2성분이 혼합되게 하도록, 밀봉수단이 제1채임버내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게 하기 위해 그 밀봉수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이동 수단으로 이루어진 혼합 및 투약장치.
  2. 액체와 고체를 별도로 수용하고 그들을 혼합하는데 적합한 장치로서, 액체와 고체를 각각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된 제1 및 제2채임버들을 구비한 용기와, 제1 및 제2채임버들 사이에 방벽을 형성하도록 그 채임버들 사이에서 용기의 내부표면과 밀봉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밀봉수단과, 상기 2개의 채임버들이 서로 통하게 하여, 제1채임버내에 수용될 수 있는 고체와 제2채임버내에 수용될 수 있는 액체가 혼합되게 하도록, 밀봉수단이 제1채임버내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게 하기 위해 그 밀봉수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혼합 및 투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고체가 분말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2채임버가 제1채임버의 단면적보다 큰 미리 선택된 단면적을 가지는 장치.
  5. 제1및 제2채임버들을 형성하는 측벽들을 가진 용기와, 제1채임버의 일부분을 제2채임버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한 제1격리수단과 : 제1채임버의 일부분을 용기 외측의 요소들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한 제2격리수단과 : 제1 및 제2 채임버들이 서로 연통하도록 제1격리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1격리수단에 접촉하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격리수단들과 그들 사이의 제1채임버의 일부분이 고체를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된 제1채임버의 일부분의 경계를 이루고, 제2채임버는 그안에 액체를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고체가 분말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2채임버가 제1채임버의 단면적보다 큰 미리 선택된 단면적을 가지는 장치.
  8. 측벽들을 각각 가지는 제1, 제2 및 제3채임버들을 구비하고, 제2채임버가 제3채임버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며, 제1채임버는 제1 및 제2도 입구/배출구들을 가지고 있고, 그 제1도입구/배출구가 용기의 상부 부분에 위치되며, 제2채임버는 제1 및 제2도입구/배출구들을 가지고 있고, 그 제1도입구/배출구가 제1채임버의 제2도입구/배출구와 선택적으로 개방 연통하며, 제3채임버는 제2채임버의 제2도입구/배출구와 선택적으로 개방 연통하는 제1도입구/ 배출구를 가지도록 된 용기와 : 제2채임버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3채임버들이 서로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제2채임버의 부분들을 밀봉하는데 적합하게 된 밀봉수단과 : 제2채임버를 도관으로 사용하여 제1채임버와 제3채임버가 서로 통하도록 상기 밀봉수단이 제3채임버내로 선택적으로 이동되게 하기 위해 그 밀봉수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혼합 및 투약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채임버들이 각각 고체와 액체를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1채임버가 분말을 수용하는데 적합하게 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채임버가 제3채임버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이 투약 플런저와 바스켓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바스켓이 상부부분과 저부부분을 가지고 있고, 제1채임버내에 설치되고 부분적으로는 제2 및 제3채임버들내에 설치되는데 적합하게 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원통형 부재인 투약 플런저가 상부부분의 양측부들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중앙에 위치된 닙플을 가지고 있고, 그 닙플이 그를 관통하는 중앙구멍를 형성하는 측벽들을 가지고 있으며 : 투약 플런저의 상부부분이 닙플을 관통하는 구멍외에 그를 관통하는 다수의 제1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바스켓이 밀봉수단에 연결되는데 적합하게 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바스켓이 칼라부분을 가지고 있고, 투약 플런저는, 제1채임버의 측벽들에 밀봉 결합하고 상기 바스켓의 칼라부분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데 적합하게 된 밀봉부분을 가지고 있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중앙의 관통구멍과 필터물질로 덮인 다수의 다른 관통구멍들이 형성된 상부부분을 가지고 있는 필터 조립체를 더 구비하고 있고 : 그 필터 조립체는, 투약 플런저 닙플의 일부분이 필터 조립체의 중앙구멍을 통하여 연장하고 필터 조립체의 다른 구멍들이 필터 물질을 통하여 투약 수단의 구멍들과 연통하도록 투약 플런저와 접촉하여 있는데 적합하게 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투약 플런저 위에 꼭 맞게 설치되는데 적합하게 된 원통형의 내측 구조물을 가지고 있고, 잠금머리가 투약 플런저에 꼭 맞게 설치된 때 그 투약 플런저의 구멍들과 연통하는 관통구멍들이 형성된 상부 구조물을 가지고 있는 잠금머리를 더 구비하고 : 그 잠금머리는 용기의 외측표면의 일부분인 홈에 결합하는데 적합하게 된 핑거형 부재들을 구비한 외측부분을 가지고 있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관통구멍들이 형성된 격막캡을 더 구비하고 : 그 격막캡의 상기 구멍들은 그 격막캡이 잠금머리의 상부에 배치된 때 잠금머리의 구멍들과 연통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격막캡의 구멍들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이고, 밀봉캡이 격막캡 상에 설치된 때 그 격막캡의 구멍들내에 삽입되어 그 구멍들을 밀봉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닙플들을 가지고 있는 밀봉 디스크를 더 구비하고 : 상기 밀봉캡이 격막캡으로부터 밀봉 디스크의 제거를 용이하게하는 탭 부분을 가지고 있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컵 형태이고, 격막캡, 밀봉 디스크 및 잠금머리를 덮는 잠금캡을 더 구비하고 있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캡과 용기의 외측표면의 일부분을 덮는 수축 포장부을 더 구비하고 있는 장치.
KR1019870001566A 1986-02-24 1987-02-24 혼합 및 투약장치 KR890001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832204 1986-02-24
US06/832,204 US4727985A (en) 1986-02-24 1986-02-24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691A KR870007691A (ko) 1987-09-21
KR890001583B1 true KR890001583B1 (ko) 1989-05-09

Family

ID=2526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566A KR890001583B1 (ko) 1986-02-24 1987-02-24 혼합 및 투약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27985A (ko)
EP (1) EP0236033A3 (ko)
JP (1) JPS62281947A (ko)
KR (1) KR890001583B1 (ko)
AU (1) AU585431B2 (ko)
DK (1) DK91387A (ko)
NZ (1) NZ2193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59B1 (ko) * 2008-04-07 2008-07-09 주식회사 경원메디칼 골 충진제의 혼합 트레이 겸용 포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0888B (en) * 1987-02-12 1991-05-29 Ici Plc A closed container into which additive can be introduced
US4865189A (en) * 1988-08-24 1989-09-12 Alcon Laboratories, Inc. Device for storage, mixing, and dispensing of two different fluids
DE3834566A1 (de) * 1988-10-11 1990-04-12 Fresenius Ag Behaelter zur sterilen, getrennten aufbewahrung mindestens zweier substanzen und zur vermischung derselben
FR2638428B1 (fr) * 1988-10-28 1990-12-28 Transphyto Sa Conditionnement pour liquides a epurer
US4927013A (en) * 1989-04-12 1990-05-22 Eastman Kodak Company Package for storing and remixing two materials
US5217433A (en) * 1991-05-24 1993-06-08 Merck & Co., Inc. Medication container for mixing two components
JPH0675587B2 (ja) * 1991-12-12 1994-09-28 明治製菓株式会社 輸液容器
ES2098176B1 (es) * 1993-06-29 1998-01-16 Cusi Lab Frasco para almacenar dos productos en doble compartimento dotado de dispositivo mezclador y dispensacion dosificada.
US5593028A (en) * 1993-07-02 1997-01-14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Multi-pharmaceutical storage, mixing and dispensing vial
DE4323841C1 (de) * 1993-07-16 1994-08-25 Goldwell Ag Zweikammer-Behältnis
DE4326152A1 (de) * 1993-08-04 1995-02-09 Goldwell Ag Zweikammer-Verpackung
US5405001A (en) * 1994-04-29 1995-04-11 Clinetics Corporation Removable and pierceable activation closure for two-compartment vial
JP2941204B2 (ja) * 1995-07-03 1999-08-25 アルシン・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医療装置のキャップ
DE19615422A1 (de) * 1996-04-19 1997-11-20 Boehringer Ingelheim Kg Zweikammer-Kartusche für treibgasfreie Dosieraerosole
US6045254A (en) * 1996-12-26 2000-04-04 M.L.I.S. Projects Ltd. Container having two or more compartments
US6113257A (en) * 1996-12-26 2000-09-05 M.L.I.S. Projects Ltd. Two-compartment container
US5989237A (en) 1997-12-04 1999-11-23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with seal
US6022339A (en) 1998-09-15 2000-02-08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for a diluent container
AR021220A1 (es) 1998-09-15 2002-07-03 Baxter Int DISPOSITIVO DE CONEXIoN PARA ESTABLECER UNA COMUNICACIoN FLUíDA ENTRE UN PRIMER RECIPIENTE Y UN SEGUNDO RECIPIENTE.
US7425209B2 (en) * 1998-09-15 2008-09-16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for a diluent container
US7358505B2 (en) * 1998-09-15 2008-04-15 Baxter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fabricating a reconstitution assembly
US7074216B2 (en) * 1998-09-15 2006-07-11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for a diluent container
DE19847968A1 (de) * 1998-10-17 2000-04-20 Boehringer Ingelheim Pharma Verschlußkappe und Behälter als Zweikammer-Kartusche für Vernebler zur Erzeugung von Aerosolen
US6224922B1 (en) * 1999-12-16 2001-05-01 Mark J. Fonte Drink colorizer
KR200256383Y1 (ko) 2001-09-19 2001-12-14 송감섭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JP2003164508A (ja) * 2001-12-03 2003-06-10 Taisei Kako Co Ltd 輸液容器
JP2003235938A (ja) * 2002-02-21 2003-08-26 Taisei Kako Co Ltd 輸液容器
BR8200811U (pt) * 2002-04-19 2002-09-24 Genor Filho Peraza Proteção asséptica para embalagens alimentìcias, de bebidas e congêneres
US7482116B2 (en) 2002-06-07 2009-01-27 Dna Genotek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obtaining nucleic acids from sputum
US6709100B2 (en) * 2002-06-27 2004-03-23 Ek Ekcessories, Inc. Three-way eyeglasses retainer
US6705490B1 (en) 2002-09-12 2004-03-16 Eric K. Lizerbram Self contained additive reservoirs for use with beverage containers
US7641851B2 (en) * 2003-12-23 2010-01-05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ation of sterilization process
US20050133729A1 (en) * 2003-12-23 2005-06-23 Archie Woodworth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reconstitution assembly
KR100622282B1 (ko) * 2004-08-19 2006-09-19 오종석 주사용 약품병
KR200362397Y1 (ko) * 2004-06-30 2004-09-18 (주)연우 스포이트 타입 화장품 용기
WO2006019211A1 (en) * 2004-08-19 2006-02-23 Jong Suk Oh Medecine bottle for injection
US7775393B1 (en) 2007-05-09 2010-08-17 Vladimir Feldman Combination closure-cup assembly
US20090139882A1 (en) * 2007-12-04 2009-06-04 Dejonge Associates, Inc. Metered trap dispenser cap with twist release valve
EP2077132A1 (en) 2008-01-02 2009-07-0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Dispensing devic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 formulation
JP5248614B2 (ja) * 2008-09-01 2013-07-31 株式会社フレッシュ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き容器
US20100186848A1 (en) * 2008-12-04 2010-07-29 Moorad Thomas S Dispenser and method
US7874420B2 (en) 2009-02-09 2011-01-25 Darren Coon Affixable dispensing capsule
US10011906B2 (en) 2009-03-31 2018-07-03 Beo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coating a surface of a component
EP3508239B1 (de) 2009-05-18 2020-12-2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Adapter, inhalationseinrichtung und zerstäuber
TW201110959A (en) * 2009-09-29 2011-04-01 Wu Chen Wen Container capable of accommodating different injection medicinen
US10016568B2 (en) 2009-11-25 2018-07-10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UA107097C2 (en) 2009-11-25 2014-11-25 Бьорінгер Інгельхайм Інтернаціональ Гмбх Dispenser
WO2011064163A1 (en) 2009-11-25 2011-06-03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WO2011128912A2 (en) * 2010-04-12 2011-10-20 Abbott Healthcare Private Limited A container for oral reconstitution products
US8083055B2 (en) 2010-05-28 2011-12-27 Tap the Cap, Inc. Dispensing cap system for beverage bottles
US8141700B2 (en) 2010-05-28 2012-03-27 Tap the Cap, Inc. Bottle cap for dispersing powdered supplement in situ
US20120223100A1 (en) * 2010-05-28 2012-09-06 Simonian Christopher H Y Bottle cap for dispersing powdered supplement in situ
JP5874724B2 (ja) 2010-06-24 2016-03-02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ネブライザ
JP4638553B1 (ja) * 2010-08-09 2011-02-23 株式会社アルテ 二室式容器兼用注射器の製造方法及びフロントストッパー
WO2012031120A1 (en) 2010-09-02 2012-03-08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Containers and methods for mixing and dispensing beverage concentrates
KR101192603B1 (ko) * 2010-11-22 2012-10-26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DE202010015932U1 (de) 2010-11-26 2011-02-03 Azani, Adam Vorrichtung zum Aufbewahren und Mischen von Stoffen
EP2694220B1 (de) 2011-04-01 2020-05-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dizinisches gerät mit behälter
WO2012147351A1 (ja) * 2011-04-28 2012-11-01 株式会社フレッシュ 粉末原料、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このボトル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US9827384B2 (en) 2011-05-23 2017-11-2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RU2014101490A (ru) 2011-06-19 2015-07-27 Эйбоджен, Инк. Устройства, растворы и способы для сбора образцов
GB2485254C (en) * 2011-08-22 2013-12-25 Eulysis Uk Ltd A container having a recessed closure for drying and storing one or more active agents
WO2013152894A1 (de) 2012-04-13 2013-10-17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mit kodiermitteln
WO2014117124A2 (en) 2013-01-28 2014-07-31 Mass Probiotics, Inc. Cap and ingredient for multi-compartment container
EP3030298B1 (en) 2013-08-09 2017-10-11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ES2836977T3 (es) 2013-08-09 2021-06-28 Boehringer Ingelheim Int Nebulizador
ES2954961T3 (es) 2014-05-07 2023-11-27 Boehringer Ingelheim Int Unidad, nebulizador y método
ES2874029T3 (es) 2014-05-07 2021-11-04 Boehringer Ingelheim Int Nebulizador
UA121114C2 (uk) 2014-05-07 2020-04-10 Бьорінгер Інгельхайм Інтернаціональ Гмбх Небулайзер, індикаторний пристрій і контейнер
US11242236B2 (en) 2015-03-19 2022-02-08 Phillip LaBarbera Perfect pour drink mixer
WO2017013550A1 (en) 2015-07-20 2017-01-26 Abbott Healthcare Pvt. Ltd. Mixing container
KR20210016457A (ko) 2018-06-01 2021-02-15 인 스피릿 그룹, 인크. 다중-구획 음료 용기 시스템 및 방법
EP3884070A4 (en) 2018-11-20 2022-09-07 Spectrum Solutions, LLC SAMPLE COLLECTION SYSTEM INCLUDING SEALING CAP AND VALVE
US11701094B2 (en) 2019-06-20 2023-07-18 Spectrum Solutions L.L.C. Sample collection system including valve and plug assemblies
US20230109263A1 (en) * 2021-10-04 2023-04-06 Kugil Co.,LTD. Cosmetic container cap with duo-mix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5567A (en) * 1933-11-03 1942-03-10 Arthur E Smith Container closure
US2689566A (en) * 1951-09-28 1954-09-21 Compule Corp Plural-compartment admixing vial for segregated storage of ingredients of solutions and liquid mixtures
US3070094A (en) * 1959-02-25 1962-12-25 Stanley J Sarnoff Medicament and diluent storing,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US3464414A (en) * 1963-07-31 1969-09-02 Upjohn Co Mixing vial construction
US3467097A (en) * 1965-07-06 1969-09-16 V O M Corp Dual medicinal vial
US3441179A (en) * 1967-05-29 1969-04-29 Ways & Means Inc Mixing container
LU53824A1 (ko) * 1967-06-06 1969-03-24
US3651990A (en) * 1969-10-23 1972-03-28 Edward J Cernei Container for keeping liquids in separate condition and commingling and dispensing the same
US3882909A (en) * 1973-07-05 1975-05-13 Ims Ltd Trans-a-jet 1
AR207511A1 (es) * 1975-07-30 1976-10-08 Lilly Co Eli Una ampolla mezcladora
US4122943A (en) * 1976-10-21 1978-10-31 Jules Silver Valved two 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US4102451A (en) * 1977-05-25 1978-07-25 Eli Lilly And Company Mixing vial
US4221291A (en) * 1978-06-20 1980-09-09 General Foods Corporation Container having separate storage facilities for two materials
US4315570A (en) * 1979-01-04 1982-02-16 Jules Silver Two-compartment container with means for dispersing contents of one compartment into the other compartment
JPS5640436U (ko) * 1979-09-06 1981-04-15
US4234083A (en) * 1979-11-13 1980-11-18 Cohen Milton J Mixing and filtering vial
US4331233A (en) * 1980-05-30 1982-05-25 The Upjohn Company Activation closure for vial
US4336802A (en) * 1980-07-28 1982-06-29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Parenteral solution container for aseptic mixing
US4392851A (en) * 1981-11-23 1983-07-12 Abbott Laboratories In-line transfer unit
US4392850A (en) * 1981-11-23 1983-07-12 Abbott Laboratories In-line transfer unit
US4550825A (en) * 1983-07-27 1985-11-05 The West Company Multicompartment medicament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959B1 (ko) * 2008-04-07 2008-07-09 주식회사 경원메디칼 골 충진제의 혼합 트레이 겸용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91387D0 (da) 1987-02-23
AU585431B2 (en) 1989-06-15
JPS62281947A (ja) 1987-12-07
EP0236033A2 (en) 1987-09-09
EP0236033A3 (en) 1988-07-27
NZ219395A (en) 1989-10-27
DK91387A (da) 1988-08-24
KR870007691A (ko) 1987-09-21
US4727985A (en) 1988-03-01
AU6919787A (en) 1987-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583B1 (ko) 혼합 및 투약장치
US5358501A (en) Storage bottle containing a constituent of a medicinal solution
US5766149A (en) Mixing and delivery system
RU2137509C1 (ru) Шприц для смешивания и введения
JP4284441B2 (ja) 凹所を設けた一体的なスパイク挿入手段を有する医薬品容器の蓋
USRE29062E (en) Intravenous container mixing assembly
US5533994A (en) Storage and transfer bottle designed for storing two components of a medicamental substance
JP2955544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5484410A (en) Mixing and delivery system
RU24859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едения медикамента в инфузионный сосуд
RU2223902C2 (ru) Сосуд с двумя или более отделениями
US6113257A (en) Two-compartment container
EP0207544B1 (en) Multi-compartment syringe
JP3340749B2 (ja) 特に貫孔可能なストッパー部材を備えた容器とシリンジとの接続機器
JPH0638835B2 (ja) 危険物質薬瓶装置および方法
JPH05253274A (ja) 薬液注入装置
JPH03186271A (ja) 医薬移送/分配装置
EP0542295B1 (en) Drug vessel
US4234083A (en) Mixing and filtering vial
JP2015524317A (ja) 再構成装置
JP3238170B2 (ja) 輸液容器
WO1999026581A1 (en) Fluid transfer device connecting two medicinal vessels in closed system
EP1084692B1 (en) Liquid container
JPH10192364A (ja) 連通手段を備えた薬剤容器
JP2002052067A (ja) 用時薬剤溶解器具、用時溶解型キット製剤用容器及び用時溶解型キット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