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492B1 -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방법과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방법과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492B1
KR890001492B1 KR1019870000312A KR870000312A KR890001492B1 KR 890001492 B1 KR890001492 B1 KR 890001492B1 KR 1019870000312 A KR1019870000312 A KR 1019870000312A KR 870000312 A KR870000312 A KR 870000312A KR 890001492 B1 KR890001492 B1 KR 890001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haft
dough
knitting machin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048A (ko
Inventor
도시히꼬 오까다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엔도오 겐따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엔도오 겐따로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4Devices for cutting knitt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방법과 권취장치
제 1 도는 권취장치를 가지는 메리야스 환편기의 정면도.
제 2 도는 권취장치의 측면도이고, 동조전달수단을 상세하게 표시하고 있고,
제 3 도는 제 2 도의 입면 단면도.
제 4 도는 축체 발출방지 수단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 5 도는 생지 권취중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 6 도는 축체 베어링부의 횡단면도.
제 7 도는 축체의 인발수단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 8 도는 같은 측면도.
제 9 도는 같은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10도는 생지 만권시의 개략 평면도.
제11도는 생지 절단중의 사시도.
제12도와 제13도는 생지 감시시초단의 클램프 전후를 표시하는 작동상태의 평면도.
제14도는 축체 인발수단의 도식적인 사시도.
제15도는 같은 평면도.
제16도는 같은 정면도.
제17도는 축체 발출방지 수단의 측면도로 작동 전후를 표시하고,
제18도는 축체 발출방지 수단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작동 상태도.
제20도는 같은 평면도.
제21도는 생지 권취중의 사시도.
제22도는 제21도의 주요부 단면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23도는 다른 예에 의한 생지 권취장치의 사시도.
제24도는 제23도의 주요부 단면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25도는 제23도에 있어서의 축체 인발수단을 표시하는 일부 단면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편기 6, 6A : 생지
7 : 권치장치 10 : 프레임
11 : 권취축 31 :축체
31A : 클램프면 39 : 반원형 홈
49 : 둘레홈 54 : 제 1 링크
56 : 제 2 링크 61 : 베어링
62 : 인발수단 66 : 선회대
76 : 훅부재 95 : 슬라이더
102 : 나사
본 발명은 메리야스 환편기에서 늘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생지를 로울 두루마리상으로 권취하는 방법과, 여기에 사용되는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리야스 환편기에 있어서는 이것에 의해 편성된 통상(筒狀)의 환편 생지를 하침상(下釜) 중심을 지나서 편기 아래 방향으로 송출하고, 편기아래 방향에 이것과 동조 회전하도록 장비된 권취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축상에 로울 두루마리상으로 권취하는 것으로, 예컨대 특개소 59-88955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권취방법과 권취장치는 가늘고 긴 권취측의 복수개를 스톡시켜 두고, 스톡된 권취축 중의 1개를 생지의 권취 위치에 송급하고 이 권치 축에 메리야스 환편기에서 늘어져서 송출된 생지의 감기 시초단을 권취축상에 형성한 침포에 돌자상으로서 걸치든가 또는 생지의 감기 시초단을 권취축하고는 별도로 설치된 클램프 부재로 끼워서 두고, 권취축을 권취방향으로 그의 축심 둘레에 회전시켜서 생지를 로울 권취하는 것이다.
생지가 권취축상에 만권상태로 되면 권취 위치의 아래방향에서 대기하고 있는 대차상에 권취축과 같이 떨어지게 해서 싣고, 작업원에 의해 다음의 공정으로 반출되고, 한편 권취장치의 권취위치에 스톡되고 있는 권취축 중의 1개의 권취축이 축 가이드에 의해 자동적으로 보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생지의 감기 시초단을 권취축에 형성된 침포에 걸치든가 또는 다른 클램프 부재로 협지하든지간에, 어느 쪽이든 생지의 감기 시초단이 권취축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축을 로울 권취된 생지에서 인발할 수가 없고, 따라서 생지와 같이 권취축을 반출하게 되어 반출에 많은 노력이 요할뿐만 아니라, 다음의 권취 개시에 이행하는 것은 생산성의 향상의 견지에서 재빨리 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권취축의 복수개를 수톡하여 두고, 이것을 권취위치에 보급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권취장치의 권취위치에 자동적으로 권취축을 보급하기 위해서는 환편기 1대에 대해 많은 권취축을 스톡하여 두지 않으면 안되고, 예비의 권취축이 여분으로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을뿐 아니라, 예비의 권취축의 보관이 필요하다.
또한 환편기에 나쁜 상태가 생기면, 환편기의 운전과 권취장치의 운전을 재빨리 중지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권취장치에 예비의 권취축이 스톡되어 있으면, 이 중량에 따르는 권취장치의 관성회전에 의해 즉석에서 중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중지시간이 필요이상으로 길게 걸리고, 권취장치에 축가이드를 장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점에서도 운전의 중지시간이 길어진다.
본 발명은 메리야스 환편기의 아래에 이것과 동조 회전하도록 장비되어 있는 권취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축을 동일축심상에 있어서 생지의 권취위치에 대해서 출입 자유로운 쌍의 축체로 하고, 권취위치에 있어서 생지를 축체의 축심에 대해서 크로스시켜, 이 축체를 권취위치로 돌출시켜서 이 축체에 크로스 되어 있는 생지의 감기 시초단을 양축에서 잡고, 이 상태로 축체를 그의 축심 둘레에 회전시켜 생지를 로울 권취상으로 권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제 1 의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쌍의 축체로 이루어지는 권취축에 생지를 로울 권취상으로 권취함에 따라서 쌍의 축체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의 추력 trust 이 작용하지만, 이 추력을 확실하게 받아내고 또한 쌍의 축체로 이루어지는 권취축의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을 보증한 생지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제 2 의 목적이다.
또, 본 발명은 권취를 종료한 로울 권취상의 생지에서 권취위치에 있어서 쌍의 축체로 이루어지는 권취축을 인발하고, 로울 권취상의 생지만을 환편기에서 반출시켜, 다음의 권취에 있어서는 인발된 권취축을 재차 권취위치에 돌출되도록 한 생지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제 3 의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쌍의 축체로 이루어지는 권취축을 권취위치와 인발위치에 출입 자유롭게 하는데 쌍의 축체의 각 외단에 계합부를 형성하고, 이 계합부에 대해서 결합 및 분리가 자유롭게 되는 피 계합부를 가지는 인발수단을 권취장치 하고는 별도로 분리시켜서 배치함으로써 생지권취 중의 관성력을 적게한 생지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제 4 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메리야스 환편기의 아래에 이것과 동조해서 회전함과 동시에 계지하는 권취장치를 구비하고 이 권취장치에 있어서의 권취축을 그의 축심 둘레에 회전시켜서 메리야스 환편기에서 송출된 생지를 권취축에 로울 권취상으로 권취함에 있어서, 권취축이 생지의 권취위치에 대해서 동일 축심상에서 출입 자유로운 쌍의 축체로 이루어지고, 이 각축체를 권취위치에 돌출시켜서 생지의 감기 시초단을 각 축체의 돌출 단면에서 잡고, 이 상태로 권취축을 그의 축심둘레에 회전시킴으로써, 생지를 로울 권취상으로 권취하는 것이다.
생지를 로울 권취상으로 권취한 후에는 로울 권취상의 생지에서 쌍의 축체가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되므로써 권취축이 인발되어 생지는 대차에 의해 환편기에서 반출되어서 다음 공정으로 반입된다.
한편 인발된 권취축은 그의 각 축체가 다시 권취위치로 향해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진출되고, 다음의 권취를 시작하기 위해 늘어져 있는 생지를 축체의 돌출 단면에서 잡게 된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메리야스 생지의 환편기(1)가 표시되어 있고, 사조(2)의 송출수단(3)과, 상침상(4) 및 하침상(5) 등으로 이루어지는 편성수단과, 틀 구비하고 있고, 통상의 메리야스 생지(6)를 편성해서 아래 방향으로 늘어진 상태로 순차적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환편기(1)의 아래 방향 즉 편성수단의 아래 방향에는 편성수단과 같이 동조해서 종축심 둘레에 회전함과 동시에 정지하는 권취장치(7)가 장비되어 있다.
권취장치(7)는 수평면상에서 회전 자유로운 링기어(8)를 내장한 권취 베이스(9)와 링기어(8)에 상단 축이 고착되어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좌우 한쌍의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가설되어서 축심 둘레에 회전하는 권취축(11)에 권취되도록 되어 있다.
즉, 권취장치(7)는 그의 링기어(8)가 환편기(1)의 편성수단과 동조해서 회전됨과 동시에 정지됨으로써 좌우 한쌍의 지지프레임이 회전, 정지되고, 그 위에 지지프레임(10)에 축지되어 있는 권취축(11)은 이 축심 둘레에 회전해서 순차적으로 통상으로 편성되어서 하방에 늘어진 생지(6)를 되돌리는 일 없이 로울 권취상으로 권취하도록 되어 있다.
또, 권취베이스(9)는 3개의 지각(1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3개의 지각(12) 사이에서 로울 권취상으로 권취된 생지를 권취위치에서부터 외방향으로 반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도와 같이 제 2 도, 제 3 도를 참조하면, 권취베이스(9)의 하면측에는 상하 한쌍의 캠링(13)이 고정되어 있고, 이 캠링(13)의 캠홈(14)에 캠로울러(15)가 끼워 맞춤되고, 여기에 캠홈(14), 캠로울러(15)는 권취축(11), 생지송출 로울(16)의 구동수단으로 된다.
생지송출 로울(16)은 3개로 이루어지고, 캠링(13)의 하방에 있어서, 제 3 도, 제 5 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으로서 좌우 한쌍의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가설되고, 이 생지송출 로울(16)에 늘어진 생지(6)가 제 5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삽통되어서 생지(6)를 순차적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생지송출 로울(16)의 각 로울 일단에는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기어(17)를 가지고, 중앙의 로울(16)의 축단에 래칫 휘일(18)이 고착되고, 또한 래칫 휘일(18)의 보스에 캠로울러 (15)를 가지는 요동부재(19)가 투감(套嵌)되고, 또한 요동부재(19)에 구비된 래칫클릭(20)이 래칫휘일(18)에 계합되어 있다(제 2 도 참조).
즉 링기어(8)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지지프레임(10)이 종축심 둘레에 회전되면, 캠로울러(15)가 캠홈(14)에 안내되어서 제 2 도의 화살표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요동부재(19)가 상하동 되어서 래칫클릭(20)에 의해 래칫휘일(18)에 회전력을 주고, 여기에 기어(17)의 맞물림에 의해 생지 송출 로울(16)은 제 5 도와 같이 회전된다.
또, 제 2 도에 있어서 래칫휘일(18)에는 역전 방지용의 클릭(21)이 계합되어 있고, 요동부재(19)와 지지프레임(10)과의 사이에는 스프링(22)이 팽팽하게 걸려져 있다.
좌우 한쌍의 지지프레임(10)에 있어서의 높이방향 중간 부분에는 각각 중계전 동축(23)이 회전 자유롭게 축받이 되어 있고, 이 전동축(2) 중 한편의 전동축(23)에는 축 일단측에 래칫휘일(24)이 투감 고착되고, 축타단측에는 대소 2개의 스프로킷(sprocket) 휘일(25A, 25B)로 이루어지는 중계 전동체(25)가 고착되어 있다. 또 다른 편의 전동축(23)에는 중계 전동체(25)가 고착되고 휘일은 갖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래칫휘일(24)을 가지는 중계 전동축(23)에는 제 2 의 요동부재(26)가 회전 자유롭게 투감 되어있고, 이 제 2 요동부재(26)와 제 1 요동부재(19)가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터언 버클구조의 연동체(27)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제 2 요동부재(26)는 송출용의 래칫클릭(28)을 가지고, 이 클릭이 래칫휘일 (24)에 계합되어 있고, 여기에 재 1 요동부재(19)의 요동으로 연동체(27)를 통해서 제 2 요동부재(26)의 요동운동으로서 전달되고, 래칫클릭(28)에 의해 휘일(24)이 회전됨으로써 중계 전동축(23)이 회전된다.
또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래칫휘일(24)에는 역전 방지용의 클릭(29)을 가지고, 제 2 요동부재(26)와 지지프레임(10)과의 사이에는 스프링(30)이 팽팽하게 걸려져 있다.
제 1 도, 제 3 도, 제 7 도 및 제11도 등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권취축(11)은 좌우 한쌍의 축체(31)로 이루어지고, 각 축체(31)는 동일축심상에 있어서 권취위치(E)와 인발위치(F)와의 상호간에서 축방향으로 출입 자유롭고 또한 축심 둘레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프레임(10)의 하부측에 가설되어 있다.
제 3 도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0)의 외측면에 베어링 상자(32)가 볼트(33)에 의해 고정되고, 이 베어링 상자(32)에 니이들형 베어링(34)이 축방향으로 간격을 가지고 내삽되고, 또한 베어링(34)의 내주측에 보올형의 슬라이드 베어링(35)의 호울더(36)가 내삽되고, 축체(31)는 슬라이드 베어링(35) 및 니이들형 베어링(34)에 의한 내외 2중의 베어링 수단에 의해 축심 둘레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프레임(10)에 축받이 되어 있다.
또한, 호울더(36)의 내단측에는 스프로킷 휘일로 표시되는 회전 전동체(37)가 고착되고, 이 회전 전동체(37)와 중계 전동축(23)상의 중계 전동체(25)에 있어서의 스프로킷 휘일 (25A)에 걸쳐서 엔들리스체인(38)을 걸어감음으로써, 중계 전동축(23)을 통해서 호울더(36)가 니이들 베어링(34)내에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호울더(36)내의 슬라이드 베어링(35)은 제 3 도, 제 6 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축체(31)의 외주면상에 방사상 배치로 또한 축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 홈(39)에 전동 자유롭게 끼워 맞춤으로 있고, 여기에 슬라이드 베어링(35) 및 반원형 홈(39)을 통해서 호울더(36)와 축체(31)는 회동방향에 관해서 토오크를 전달하게끔 계합되고, 축방향에 관해서는 축체(31)을 인발 자유롭도록 계합되어 있다.
따라서 축체(31)는 생지 권취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자유롭게 되어 슬라이드 베어링(35)과 반원형 홈(39)에 대해서만 표시하고 있으나, 이 한쪽의 축체(31)의 축심상에 있어서 다른쪽의 축체(31)가 니이들형 베어링(34), 슬라이드 베어링(35)등을 통해서 지지프레임(10)에 회전 자유롭고 또한 인발 자유롭게 축받이 되어 있으며, 쌍의 축체(31)는 다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도, 제 3 도에서도 표시한 바와 같이 생지송출 로울러(16)의 하방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0) 사이에는 전동축(10)이 베어링(4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 전동축(40)의 축양단측에는 각각 스프포킷 휘일(42)이 부착되고, 이 스프포킷 휘일(42)과 중계 전동체(25)의 스프로킷 휘일(25B)과 엔들리스체인(43)을 걸어감게 함으로써 좌우 한쌍의 축체(31)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권취방향으로 회전된다.
또 제 1 도, 제 3 도에 있어서 중계 전동체(25), 회전 전동체(37) 및 스프로킷 휘일(42) 및 체인(43) 등으로 이루어지는 권취축(11)의 회전전달 수단은 전동 케이스 커버(45)로 덮어져 있고, 이 전동 케이스 커버(45)에는 나사(46)에 의해 체결 및 이완 자유롭게된 단면이 컵형상인 캡(47)이 부착되고, 이 캡(47)의 중심에 뚫은 구멍(47A)에 축체(31)가 관삽되고, 동구멍(47A)에서 축체(31)를 인발할 때, 캡(47)이 권취생지(6A)의 스토퍼 역활을 다한다.
또, 권취생지(6A)의 생지폭 변경에 대해서는 캡의 나사(46)로 조정한다.
또한 좌우 한쌍의 축체(31)의 각 돌출단은 제 7 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 선단을 향해서 가늘게 형성되고, 또한 축방향 경사의 테이퍼 형상으로 된 생기 클램프면(31A)으로 되어 있고, 이 생지 클램프면(31A)은 좌우 한쌍의 축체(31)가 권취위치로 진출되었을 때 서로 겹쳐 맞춤되어서 좌우 한쌍의 축체(31)로 이루어지는 1개의 권취축(11)을 구성하게 된다.
권취장치(7)는 생지 권취 중에 있어서는 편기와 같이 종축 둘레에 동조 회전하고 있다는 것에서 좌우 한쌍의 축체(31)로 이루어지는 권취축(11)은 서로 축방향 외방향으로 발출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고, 이것을 저지하기 위해 각 축체(31)의 외단축에는 발출방지 수단(48)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제 3 도, 제 4 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축체(31)의 외단에 둘레홈(49)을 가지는 플랜지 부재(50)를 볼트(51)에 의해 축체(31)에 고정하고, 베어링 상자(32)의 누름 커버(44)에 세로 방향의 안내홈(52A)을 가지는 기판(52)이 고정되어 있다.
기판(52)에는 핀(53)을 지점으로 요동하는 쌍의 제 1 링크(54)가 추지되어서 하방으로 뻗어 있고, 쌍의 제 1 링크(54)의 하단에 핀(55)으로 일단이 서로 추지된 제 2 링크(56)가 서로 스프링(57A)으로 탄인된 핀(57)에 의해 추지되고 여기에 핀(55)에 의해 원추형 접합된 받침금구(58)의 로울러(59)를 안내홈(52A)에 끼워 맞추어 승강시킴으로써 상의 제 1 링크(54)와 쌍의 제 2 링크(56)로 이루는 링크 부재가 제1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확대 및 축소가 자유롭게 되어 쌍의 제 1 링크(54)에 각각 축(60) 둘레에 회전 자유롭게 구비된 로울러 베이링(61)을 둘레 홈(49)에 끼워 맞추어 플랜지 부재(50)에 밀어대어서 여기에 로울러 베어링(61)에 의해 축체(31)의 발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 발출 방지수단(48)은 실질적으로 로울러 베어링(61)에 의해 구성되고, 생지 권취중에 있어서 축체(31), 즉 권취축(11)이 권취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저항이 로울러 베어링(61)에 가해지므로써 작아지고, 권취축(11)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도록 배려되어 있다.
한편, 권취축(11)에 있어서의 축체(31)의 축방향 외방향으로서의 발출은 로울러 베어링(61)이 플랜지 부재(50)에 계합됨으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축체(31)에 작용하는 축방향 회방향으로의 추력은 권취장치(7)의 종축심 둘레의 회전에 따르는 원심력 뿐만 아니라, 생지의 권취가 진행됨에 따라서 로울상으로 권취되는 생지(6A)가 제 1 도와 같이 원추형상(6B)으로 되는 것에 의거한 추력의 총화(總和)이고, 이 추력이 권취 진행에 따라서 서서히 커지게 되기에 로울러 베어링(61)에 의해 저항을 작게해서 축체(31)의 발출을 확실하게 저지하고, 또 축체(31)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권취축(11)에 생지가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만권상태로 되면, 편기는 정지되고, 여기에 따라서 권취장치(7)도 정지되어, 로울 권취된 생지(6A)에서 권취축(11)을 축방향으로 인출한다.
이 때문에 좌우 한쌍의 축체(31)에 대응해서 인발수단(62)이 편기 외부에 있어서 상대해서 배치되어 있다(제10도 참조).
제 7 도, 제 8 도 및 제 9 도를 참조하면, 인발수단(62)이 예시되어 있다.
제 7 도, 제 8 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설치 베이스(63)에 링기어(64)와 여기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65)로 이루어지는 선회수단을 가지는 선회대(66)를 선회축(67)을 중심으로 해서 설치하고 있고, 이 선회대(66)상에는 발출 방지수단(48)의 해방수단(68)과 축체 인발수단(62)이 구비되어 있다.
또 피니언기어(65)는 선회 모우터(69)에 의해 정역전 자유로이 되어 있다.
선회대(66)상에는 쌍의 프레임(70)이 입설 고정되고, 이 프레임(70)은 상하의 타이로드(71)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하의 타이로드(71)에는 각각 슬라이더(72)가 타이로드(71)상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게 투감되어 있다.
슬라이더(72)에는 타이로드(71) 사이에 있어서 서로 평행으로 뻗은 나사축(73)이 연결되고, 이 나사축(73)에 암나사부를 가지는 전동체(74)가 투감되고, 감속기는 모우터(75)로 전동체(74)를 구동함으로써 슬라이더(72)가 타이로드(71)상에서 직선적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게 되고, 여기에 슬라이더(72)에 훅 부재(76)를 장착시켜, 이 훅 부재(76)를 축체(31)의 플랜지 부재(50)에 제 7 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계합시킨 상태로 모우터(75)를 기동시킴으로써 축체(31)는 제 7 도에 표시하는 권취위치(E)와, 인발위치(F)와의 상호간에 있어서 나사송출 전도체에 의해 진퇴 자유로 되고, 각 진퇴위치는 슬라이더(62)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77, 78)를 작동시킴으로써, 검출하여 모우터(75)를 정역 절환 자유로 하고 있다.
훅 부재(76)는 제 8 도 및 제 9 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72)의 장출부(79)에 핀(801)에 의해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훅 부재(76)와 플랜지 부재(50)와의 계합 및 분리가 원활하게 되도록 배려되어 있다.
또 나사축(73)은 신축 커버(81)에 의해 덮어져 있다. 또한 선회대(66)에는 해제수단(68)이 설치되고, 이 해제수단(68)은 모우터(82)의 정역전으로 승강되는 푸시(push) 체(83)를 구비하고, 이 푸시체(83)가 발출방지 수단의 받침금구를 되돌려 스프링(57A)에 저항해서 밀어올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편성부에서 늘어진 생지(6)를 권취축(11)에 권취하고, 그의 권취가 만권으로 되기 조금 전에 제 9 도에 있어서 화살표시 B 방향으로 구동되어 있던 편기와 권취장취(7)의 회전을 서서히 지속(遲速)시켜서 정위치에 정지시켜, 제 9 도의 쇄선위치(C)에 대기하고 있든 선회대(66)를 제 9 도의 위치(D)로 선회시켜서, 훅 부재(76)를 플랜지 부재(50)에 계합시킴과 동시에 푸시체(83)를 받침금구(58)의 하방으로 상대시킨다.
이 상태로 푸시체(83)를 상승시킴으로써, 스프링(57A)에 저항해서 링크수단이 제17도와 같이 확개(擴開)되고, 로울러 베어링(61)이 플랜지 부재(50)에서 이탈되고, 이와 같이 축체(31)의 축방향 외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한 상태로 슬라이더(72)를 제 7 의 화살표시(G)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미끄러져 움직이게 함으로써 축제(31)가 권취위치(E)에서 인발위치(F)로 이동하고, 여기에 권취축(11)에 로울상으로 권취된 생지(6A)에서 권취축(11)이 인발되게 된다(제11도 참조).
여기서 생지(6A)에서 권취축(11)을 인발하기 전에 제11도에서 표시하는 차륜(85)을 가지는 대차(86)를 권취위치의 바로 아래에 대기시켜 두고, 로울 생지(6A)를 이 대차(86) 위에 제11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낙하시켜서 싣는 것은 종전과 같으며, 로울 생지(6A)를 만권하면, 제11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쌍의 커터(cutter)부재(87)에 의해 생지를 절단하는 것도 종전대로이고, 로울생지(6A)는 대차(86)에 의해 편기외의 다음 공정으로 반입되게 된다. 또, 제 7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88), (98)는 해제수단의 스위치 부재를 표시하고 있다.
생지가 절단되면, 다음의 생지 감기 시초단을 한쌍의 축체(31)의 돌출단에 있어서의 클램프부(31A)에 의해 끼워 버리지만, 이 때문에 제 3 도에 표시하는 축(40)에 생지 불출부재(90)가 회전 자유롭게 투감되고, 이 부재(90)는 스프링(91)에 의해 권취중의 생지(6)에 밀어대어져 있다. 따라서 생지의 절단에 의해 스프링(91)에 의해 제12도의 위치로 이행되고, 늘어진 상태의 생지(6)를 축체(31)의 축방향에 대해서 크로스시켜, 이 크로스 상태로 축체(1)가 서로 권취위치(E)에 진출되고, 여기에 제13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축체(31)의 크램프부(31A)에 의해 생지 감기 시초단을 양측에서 끼우게 된다.
이 끼운 상태로 다시 편기(1)와 같이 권취장치(7)를 회전시켜 그 위에 권취측(11)을 회전함으로써 생지가 순차적으로 권취되어 가게 된다.
이 권취중에 있어서, 선회대(66)가 제 9 도에서 표시하는 위치(D)에서 위치(C)로 복귀해서 여기에 인발수단(62)이 편기 (1) 외방향으로 크게 돌출하는 것이 없도록 되어 있다.
제14도에서 제16도는 축체 인발 수단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상술한 설명과 공통되는 부재는 공통부호로 표시되어 있는 것이 명백하다.
즉, 선회 모우터(69)의 축(67)에 선회대(66)가 선회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선회대(66)에 프레임(70)이 입설되고, 이 프레임에 파일럿(71), 나사축(73)이 서로 평행으로 가설되고, 나사축(73)은 서로 평행으로 가설되고, 나사축(73)은 모우터(75)로 구동된다.
파일럿(71), 나사축(73)에 훅 부재(76)를 가지는 슬라이더(72)가 구비되고, 이 슬라이더가 모우터(75)로 왕복 미끄러져 움직이게 된다.
또한 선회대(66)의 단부에 리프트 모우터(82)가 부착되고, 이 리프트 모우터를 통해서 푸시체(83)가 승강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제18도에서 제20도는 축체(31)의 발출방지 수단의 다른 예를 표시하고 있고, 기판(92)에는 쌍의 종장의 가이드(93)를 형성하고 있고, 이 가이드(93)에 각각 끼워 맞춤되는 가이드 로울러 (94)를 가지는 슬라이더(95)에 로울러 베어링(96)을 부착하고 있고, 로울러 베어링(96)은 슬라이더(95)를 스프링(97)으로 탄인해서 스토퍼(98)에 밀어대어둠으로써 둘레홈(49)에 끼워 넣어져서 플랜지 부재(50)에 당접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추력으로 축체(31)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U형의 금구(99)에 푸시체(83)가 밀어 올리는 힘을 부여함으로써 스프링(97)에 저항해서 제19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 베어링(96)이 플랜지 부재(50)에서 이탈되어 훅 부재(76)에 의해 축체(31)가 인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18도 내지 제20도의 예에서는 먼저 설명한 링크수단의 의한 발출방지 수단 보다 구조가 한층 간소화 되고, 게다가 중량도 가벼워져 여기에 편기와 같이 동조 회전해서 정지하는 권취장치의 관성력이 작아지고, 권취장치 정규의 위치에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가 있다.
제21도와 제22도는 권취축(11), 즉 좌우 한쌍의 축체(31)에 대한 토오크 전달수단이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는 걸어감는 전동에 의한 것이었는데 반해 제21도와 제22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슈우퍼 기어 100, 101의 맞물림에 의한 것으로된 점이 상위하고, 그의 나머지는 같은 구성이고, 공통하는 부재는 공통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또 걸어감기 전동과 기어전동에서는 회전방향이 역으로 되기 때문에 중계전동축(23)에 대한 래칫클릭(28)에 의한 전동방향과 먼저의 설명과는 역으로 된다.
제23도에서 제25도의 장치는 권취축(11)으로의 전달부가 슈우퍼기어(100, 101)이라는 것과 더불어 축체(31)의 축방향 진퇴수단이 나사 송출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좌우 한싸의 축체(31)와 같이 축방향 이동거리의 길이를 가지고 기단측에서 돌출단측으로 향하여 나사(102)가 형성되어 있고, 베어링(32)에 의해 지지프레임(10)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단부기어(103)의 보스부(104)에 축체(31)의 나사(102)가 나사 맞춤되어서 관삽되어 있다.
또한 기어(101)와 축체(31)와는 축체(31)에 형성된 키이홈(105)에 키이(106)를 계합시킴으로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체(31)의 축방향 이동의 안내작용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단부기어(103)에는 제25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모우터 등의 승강구동체(107)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대(108) 위에 구동기어 (109)를 모우터(110)로 정역전 절환 자유롭게 구비시켜 권취축(11)으로의 만권 상태에 있어서 승강대(108)를 상승시켜서 구동기어(109)를 단부 기어(103)에 제25도와 같이 맞물리게 해서 모우터(110)를 기동시켜서 기어(103)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송출에 의해 축체(31)를 화살표시(G) 방향으로 인발하고, 또 모우터(110)의 역전으로 축체(31)를 권취위치(E)에 진출되도록 하고, 모우터(110)의 회전은 스위치(111)의 카운트수에 의해 행하여 진다.
이 제25도에 표시한 인발 수단은 선회기능을 갖게 하지 않고서도 편기의 소정 위치에 콤팩트 하게 장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단, 축체(31)에 작용하는 추력이 나사부(102)를 통해서 단부기어(103)에 작용하기 때문에 단부기어(103)의 추력 멈춤을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있어서, 이미 명백히 도시되었지만, 편기에 의해 편성되고, 하방으로 늘어져 있는 생지(6)의 권취초기에서 만권 후의 탈출까지의 방법을 제 1 도에서 제22도에 표시된 장치로 재차 설명한다.
생지(6)의 감기 시초단을 제12도로 표시한 바와 같이 쌍의 축체(31)의 축심상에 대해서 크로스시킨 상태로 쌍의 축체(31)를 권취위치에 진출시킴으로써 생지(6)를 제13도로 표시한 바와 같이 축체(31)의 단부로 양측에서 끼운다.
이 상태로 쌍의 축체(31)를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축체(31) 위에는 생지(6)가 순차적으로 로울 권취된다.
이 권취에 있어서, 권취장치(7)는 편기(1)의 편성수단과 같이 동조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되돌아가는 일 없이 축체(31) 위, 즉 권취축(11)에 로울 권취하게 된다.
생지(6)가 만권 가깝게 되면, 대차(86)를 권취위치(E)의 하방에 대기시킴과 동시에, 좌우 한쌍의 인발수단(62)의 훅 부제(75)를 소정위치에 대기시켜 두고, 이 훅 부재(76)에 축체(31)의 플랜지 부재(50)에 있어서의 둘레 홈(49)을 끼어 놓고, 이것에 의해 인발 준비 태세로 된다.
다음에 발출 방지수단을 해방시켜 훅 부재(76)를 제 7 도의 화살표시(G)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쌍의 축체(31)는 권취위치(E)에서 인발위치(F)로 축이동하고, 여기에 로울 권취생지(6A)에서 권취축(11)이 인발된다.
로울 권취 생지(6A)는 제11도로 표시한 바와 같이 커터(87)로 절단되어서 대차(86)에 실려 편기외로 반출된다.
한편, 인발된 축체(31)는 화살표시(G)와 반대방향으로 진출되고, 인발위치(F)에서 권취위치(E)로 이행하며, 다시 생지 감기 시초단을 쌍의 축체(31)로 클램프 하게 되고, 다음의 권취를 이행한다.
이상 상술한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의 이점이 있다.
편기의 편성부에서 늘어져 있는 통상 생지를 감기 시작하는데 있어, 권취축에 이 생지단을 권취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나, 여기에 있어서, 권취축을 쌍의 축체로 구성해서 생지단을 축체에 대해서 크로스 시킨 상태로 해서 축체의 돌출단으로 끼워서 감기 시작하게 되어 생지를 손상시키는 일도 적고 확실하게 감기시작을 할 수 있다.
또, 쌍의 축체로 이루어지는 권취축은 축체를 권취위치에서 인발위치로 축이동시켜 로울 권취 생지에서 인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로울 권취 생지에는 권취축은 없고, 따라서 권취축의 복수개를 스톡하여 둘 필요도 없다.
권취축을 스톡하여 둘 필요가 없기 때문에 권취장치를 경량화 시키고, 편기정지에 있어서 관성력도 작아지게 하며, 권취작업의 생산성도 대폭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7)

  1. 메리야스 환편기의 편성수단의 하방에 편성수단과 함께 동조해서 회전하고 또한 정지하는 권취장치가 구비되고, 이 권취장치는 좌우 한쌍의 지지프레임을 가지고 이 지지프레임에 수평축심 둘레의 권취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정지하는 권취축이 베어링 수단을 통해서 지지되고, 편성수단에서 늘어져서 송출되는 메리야스 생지를 권취축에 로울상으로 권취하는 것에 있어서, 권취축은 쌍의 축제로 이루어지고, 이 각 축제를 공통 축심상에 있어서 권취방향과 같이 회전하는 전동수단이 설치되고, 각 축체의 돌출단은 생지 클램프면으로 되어서 권취위치와 이것에서 외방향으로 퇴출할 인발 위치와의 상호간에 있어서 축방향 이동 자유롭게 해서 각 축제가 지지프레임의 베어링 수단에 지지되어 있고, 각 축체의 외방향 단측에 대해서 계합 및 분리가 자유롭게 되어서 각 축체의 외방향 이동을 저지하는 발출방지 수단이 각 지지프레임측에 비치되고, 또한 발출 방지수단을 각각 해방한 상태로 쌍의 축체를 권취위치와 인발위치와의 상호간에 있어서 축방향 이동하는 인발수단이 편기외의 고정측에 생대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장치.
  2. 메리야스 환편기의 편성수단의 하방에 편성수단과 함께 동조해서 회전하고 또한 정지하는 권취장치가 구비되고, 이 권취장치에 있어서의 좌우 한쌍의 지지프레임에 수평축심 둘레의 권취방향에 회전하고 또한 정지하는 권취축이 구비되고, 편성수단에서 늘어져서 송출되는 메리야스 생지를 권취축에 로울 권취하는 방법에 있어서, 권취축은 공통 축심상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쌍의 축체로 이루어지며, 이 각 축체를 권취 위치에 대해서 진출시킴으로써 생지 감기 시초단을 축체에 의해 양측에서 잡고, 이 축체로 생지를 잡은 상태대로 각 축체를 기초로 권취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권취하고, 만권 후에는 로울 권취생지에서 각 축체를 인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축체에는 방사상 배치의 반원 홈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반원 홈에 보올이 전동 자유럽게 끼워 맞추어져서 이 보올과 반원 홈이 각 축체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전달과 축방향 이동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축체의 축방향 외단에는 둘레 홈을 가지는 플랜지부가 설치되고, 이 플랜지부에 쌍의 로울러 베어링이 전동 자유롭게 맞닿아서 각 축체의 축방향 발출을 방지 하고 있고, 로울러 베어링을 플랜지부에 대해서 접촉 이탈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확대 및 축소가 자유로운 링크수단을 구비하고, 이 링크 수단을 확대 및 축소 자유로 하는 승강수단이 인발수단의 각각에 구비되고, 인발수단의 각각에는 플랜지부의 둘레 홈에 계합되어서 축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훅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축방향 외단에는 둘레 홈을 가지는 플랜지부가 설치되고 이 플랜지부의 둘레 홈에 끼워 넣어져서 전동 자재롭게 쌍의 로울러 베어링이 승강자유인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이 슬라이더의 승강에 의해 쌍의 로울러 베어링이 플랜지부에 대해서 계합 및 분리가 자유롭게 되어서 축체의 발출방지 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축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가 나사식 끼우기로 된 암나사를 가지는 기어가 각 축제의 외방단측에서 지지프레임에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상기 기어에 대해서 정역전방향의 회전력을 절환 전달하는 기어를 편기외의 고정측에 대향 배치해서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나사 송출로 각 축체를 권취 위치와의 상호간에 축방향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플랜지부의 둘레 홈에 대해서 계합 및 분리가 자유로운 훅 부재가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자유로운 슬라이더에 구비되고, 이 슬라이더는 편기와의 고정측으로 종축심 둘레에 선회하는 선회대 위에 구비되고, 이 선회대의 선회동을 통해서 훅 부재가 플랜지부의 둘레 홈에 대해서 계합 및 분리가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장치.
KR1019870000312A 1986-08-23 1987-01-16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방법과 권취장치 KR890001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97843 1986-08-23
JP197843 1986-08-23
JP61197843A JPS6359459A (ja) 1986-08-23 1986-08-23 メリヤス丸編機の生地捲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048A KR880003048A (ko) 1988-05-13
KR890001492B1 true KR890001492B1 (ko) 1989-05-04

Family

ID=1638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312A KR890001492B1 (ko) 1986-08-23 1987-01-16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방법과 권취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65157A (ko)
JP (1) JPS6359459A (ko)
KR (1) KR890001492B1 (ko)
DE (1) DE3704048A1 (ko)
IT (1) IT12059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9886A (en) * 1987-05-01 1989-11-14 Gunze Limited Circular knitting machine
US5042272A (en) * 1990-07-12 1991-08-27 Union Underwear Company Inc. Knitting machine fabric roll doffing apparatus
JP3095171B2 (ja) * 1990-09-19 2000-10-03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の編地自動巻取・排出装置および方法
US5157948A (en) * 1990-12-27 1992-10-27 Nagata Sei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winding and conveying knitted fabric for knitting machine
JP3059800B2 (ja) * 1991-09-20 2000-07-04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編地巻取・排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577985A (ja) * 1991-09-20 1993-03-30 Fukuhara Seiki Seisakusho:Kk 丸編機の巻取部における切断編地端部の処理装置
KR100326463B1 (ko) * 1999-08-18 2002-03-02 신익환 환편기용 직조원단권취장치
US6557381B1 (en) * 2002-03-12 2003-05-06 Tompkins Brothers Company, Inc. High capacity web winding apparatus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rotating circular knitting machine
JP2004052167A (ja) 2002-07-22 2004-02-19 Teijin Fibers Ltd 吸汗性とドレープ性を有する嵩高編物
ITBS20130077A1 (it) * 2013-05-28 2014-11-29 Santoni & C Spa Macchina tessile circolare per maglieria di tipo ¿open¿ con gruppo di tiraggio e/o raccolta del tessuto
ITBS20130078A1 (it) * 2013-05-28 2014-11-29 Santoni & C Spa Gruppo di tiraggio e/o raccolta del tessuto per macchine tessili circolari per maglieria di tipo ¿open¿
JP3239963U (ja) 2022-09-12 2022-11-28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用巻取装置の分割型巻取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7806A (en) * 1961-02-21 1963-07-16 Darman Mfg Co Inc Towel roll winding machine
US3201056A (en) * 1964-02-26 1965-08-17 Western Electric Co Winding apparatus
JPS4533645Y1 (ko) * 1967-11-14 1970-12-22
JPS4735813Y1 (ko) * 1968-09-30 1972-10-30
DE6928108U (de) * 1969-07-16 1970-06-04 Krenzler Fa Emil Strickmaschine, insbesondere rundstrickmaschine
CH541646A (fr) * 1971-11-30 1973-09-15 Bonneterie S A Et Mécanisme pour l'enroulement et l'extraction du tricot enroulé pour métier à tricoter circulaire
DE2327531A1 (de) * 1973-05-30 1974-12-12 Terrot Soehne & Co C Aufwickler fuer rundstrickmaschinen
US4079600A (en) * 1975-05-24 1978-03-21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Method and apparatus for doffing fabric rolls from a circular knitting machine
US4105172A (en) * 1977-03-11 1978-08-08 Mesta Machine Company Tension reel for strip coiling
JPS5988955A (ja) * 1982-11-04 1984-05-23 グンゼ株式会社 丸編機における生地の取外し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747611A0 (it) 1987-02-05
US4765157A (en) 1988-08-23
JPH026862B2 (ko) 1990-02-14
DE3704048A1 (de) 1988-03-03
IT1205968B (it) 1989-04-05
JPS6359459A (ja) 1988-03-15
KR880003048A (ko) 1988-05-13
DE3704048C2 (ko) 198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492B1 (ko) 메리야스 환편기의 생지 권취방법과 권취장치
DE2744287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ulenwechseln
US543135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winding up a continuously fed web of material onto a number of winding cores
EP0534917A2 (en) Cloth winde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183633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ickeln eines aus einer mehrzahl von fäden bestehenden bandes auf einen um eine drehachse rotierenden wickelkörper
US5042272A (en) Knitting machine fabric roll doffing apparatus
DE2262291A1 (de) Vorrichtung zum aufwickeln und verpacken eines schlauchartigen gebildes
DE2365663A1 (de) Spindelwechselvorrichtung an der aufwickeleinrichtung einer rundstrickmaschine
EP024390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tragbaren, rohrförmigen Paketen aus Druckprodukten, wie Zeitungen, Zeitschriften und dergleichen
DE1710576C3 (de) Wickelmaschine mit stillstandslosem Wickelwechsel
DE2132416A1 (de)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Bewehrungen
US5157948A (en) Apparatus for winding and conveying knitted fabric for knitting machine
CH476620A (de) Wickelmaschine zum Aufwickeln von kontinuierlich produzierten Warenbahnen
DE3635197C1 (en) Winding machine
US5211036A (en) Device for removal of a roll of tubular fabric
EP0100462B1 (de) Wickelvorrichtung für Warenbahnen
DE4293577C2 (de) Rollenaufwickelvorrichtung
DE2364284C2 (de) Spulmaschine
DE403543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nlegen eines faserbandes an einer textilmaschine
JPS6023052B2 (ja) 紙の巻取装置
US4003524A (en) Cross-winding machine
DE2302204A1 (de) Maschine zum automatischen aufwickeln von textilfaeden mit grosser geschwindigkeit
DE1449665C (de)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Wickeln einer Bahn von einer Vorratsrolle auf Ker ne
DE1291967B (de)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fortlaufend austretenden Metallbandes
DE1510750C (de) Spinn und Zwirn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