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682Y1 - 바인더 철구 - Google Patents

바인더 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682Y1
KR890000682Y1 KR2019860014344U KR860014344U KR890000682Y1 KR 890000682 Y1 KR890000682 Y1 KR 890000682Y1 KR 2019860014344 U KR2019860014344 U KR 2019860014344U KR 860014344 U KR860014344 U KR 860014344U KR 890000682 Y1 KR890000682 Y1 KR 890000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roove
pin
substrate
bind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4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181U (ko
Inventor
고즈끼 가네다
Original Assignee
고즈끼 가네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즈끼 가네다 filed Critical 고즈끼 가네다
Publication of KR8800061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1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6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42F13/18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on two bars relatively movable longitudinally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바인더 철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바인더 철구의 각도 α만큼 개방된 상단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종래의 바인더 철구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개방상태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철구의 상단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종래예의 상단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바인더철구의 고정기판의 상단부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A단면도.
제8도는 동 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바인더 철구의 가동기판의 상단부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B-B 단면도.
제11도는 동 저면 사시도.
제12도는 본 고안의 바인더철구의 폐쇄상태(록상태)의 정면도.
제13도는 완전 개방상태의 동 정면도.
제14도는 록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제15도는 록기구의 조작을 도시한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기판 (2) : 가동기판
(3) : 고정록 (4) : 가동록
(5)(6) : 철환 (14) : 저판
(15) : 상판 (16) : 측부(側部)
(17) : 경사표면(지지면) (18) : 용기부
(19) : 제1캡홈 (20) : 제1부분
(22) : 제2캠홈 (21) : 제2부분(원호형상면)
(24) : 지지표면 (30) : 돌기
(31) : 핀 (32) : 경사저면
(33) : 릴리이프부 (34) : 노치부
(40) : 축 (44) : 판스프링
(45) : 직선부
본 고안은 루우스리이프 바인더 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기판과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하여 부채꼴로 개폐하는 형식의 바인더 철구에 관한 것이다.
부채꼴로 개폐하는 형식의 바인더 철구는 일반적으로 제2,3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의 표지에 고정되는 고정기판(1), 그 상단부에 형성된 축부 (7)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동기판(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들에게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철환(綴環)(5)(6)에 의하여 루우스리이프를 철입한다. 또한 (4)는 록부재로서 A의 방향으로 록을 풀수 있다.
이런 형식의 철구에서는, 최상단부에 위치한 철환의 개방이 작고, 너무 작은 개방각도로는 루우스리이프의 삽탈이 곤란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철구(2)를 폐쇄위치로부터 각도α만큼 개방했을때, 최상단부의 철환(5)(6)의 열림d는 매우 작다. 이것은 축부(7)로부터 철환(5)(6)까지의 거리 R가 너무 작기 때문이다. 최상단의 철환은 될수 있는데로 기판(1), (2)의 상단에 가까운쪽이 루우스리이프의 철입모양이 뛰어나므로, 개방(d)을 크게하는 것과 서로 맞지 않는다.
그리하여, 종래의 시도로는 가동기판의 회동축(7)을 고정기판에 대하여 가동으로 하고, 폐쇄시에는 좌로, 개방시에는 우로 이동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져 있다.
제5도에 도시한 철구는 그 일례로서, 고정기판(1)의 상단부에 비스듬한 캠홈(8)을 형성하고, 그것에 감합접동하는 핀(9)을 가동기판(2)에 형성한 것이다.(일본국 실개소52-91215호), 그러나, 이런 형식의 철구에서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할때에 핀(9)을 자연적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지 않아 원활한 조작을 할 수 없다. 또 하나의 결점은 폐쇄의 철구 상단부에 가해지는 힘이 핀(9)과 홈(8)의 우측벽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일이다. 일반적으로 폐쇄시의 힘(아래쪽의 록을 하므로서 발생한다)은, 루우스리이프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매우크며, 또한 핀도홈도 플라스틱재이므로 반복 개폐하면 마모에 의해 폐쇄력이 헐거워져, 리이프가 철환의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고안은, 작은 개방각도로 큰 철환개방거리를 가진 바인더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무리한 응력이 걸리지 않는 이런 형식의 바인더철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의 바인더 철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철구는, 지지표면을 가진 고정기판과, 상기 지지표면에 의해 접동안내되는 저면을 가진 가동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기판을 고정기판의 상단부의 둘레에 부채꼴로 개폐시키도록 한 바인더 철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판의 상단부의 상기 지지표면 좌측에 형성한 융기부에 중앙에서 부터 좌우로 깊이 잘라들어간 제1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표면 우측에는 상기 제1캠홈의 개방단부 가까이에서부터 우측상부로 뻗은 제2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기판의 상단부 저면에는 상기 제1캠홈에 안내되는 돌기와 상기 제2캠홈에 감합하는 핀을, 이것들이 가동기판의 개폐시에 상기 양캠홈을 원활하게 안내되는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캠홈은 좌측 상부에서부터 시작되는 경사가 작은 제1부분과, 핀이 제2캠홈 상단부에 위치하였을때에 이핀을 중심으로 하는 돌기의 회동을 안내하는 원호형상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철구는 가동기판의 비교적 작은 개방각도에 있어서 충분히 큰 철환개방거리를 주게된다. 또한 이와 같은 조작은 제1및 제2캠홈에 각각 감합하는 돌기 및 핀에 힘이 분산된 상태에서 행해지며, 특히 철환의 완전폐쇄시에 캠홈벽에 가해지는 힘을 완화해서 핀을 보호하여, 폐쇄력의 저하에 의한 루우스리이프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제10도 및 제13도를 참조하건데, 본 고안의 바인더 철구는 고정기판 (1) 및 가동기판(2)을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부채꼴로 조합시킨 것으로부터 이루어진다. 다른 구성은 제2~3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마찬가지이며, 가동기판(2)의 회동으로 철환(5)(6)이 개폐한다.
본 고안은 이 철구의 상단부의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고정기판(1)의 상단부의 구조는 제6도, 제7도 및 제8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고정기판은 저판(14), 가동기판(2)을 탄성적으로 억압하기 위하여 상단부에 형성된 상판( 15) 및 이것들을 결합하는 축부(16)를 가진다. 저판(14)의 경사표면(17)은 가동기판(2)의 경사저면에 대한 접동안내 되는 동시에 지지면으로도 된다. 고정기판의 상단부에 있어서 수평인 지지표면(24)에는 융기부(18)가 형성되고, 거기에 지지표면(24)의 중앙부에서 부터 깊이 잘라들어간 모양으로 좌측 상부를 향해서 제1캠홈(19)의 제1부분(2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캠홈(19)은 연잔한 원호형상의 제2 부분(21)을 가진다. 제2 부분(21)은 제1 캠홈(19)의 우상단의 추축점(P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r1)에 따르고 있다. 이 제1 캠홈( 19)은 가동기판(2)의 돌기 (30)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작용은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캠홈(22)은 지지표면 (24)의 속에 형성되는 것으로서,제1 캠홈(19)의 아래쪽 부분에서부터 우측상부로 동일한 폭으로 뻗어있다. 제2 캠홈 (22)은 가동기판(2)의 저면의 핀(31)이 감합하여 안내된다. 제1, 제2캠홈(19)(22)은 정면에서 봐서 대략V자형을 이루는 일이 소정의 철환 열림작용과 완전폐쇄시의 폐쇄력 및 그 힘의 분산의 면에서 중요하다.
이점에 관해서도 뒤에 상세히 언급한다. 또한 제2캠홈 (22)의 하단(23)은 약간만 아래쪽으로 쳐져있어도 좋으며, 또한 그렇게 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캠홈 (19)의 상단의 추축점(P2)을 중심으로 한 원호상에 중심을 가진 반경의 원호로서 규정할수 있다. 이 작용은 양호한 폐쇄력과 관련되나, 이것도 뒤에 설명한다.
다음에, 가동기판(2)의 상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한다.가동기판(2)의 경사 저면(32)은 고정기판(1)의 지지편(17)에 당접하여 접동안내 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기판(1) 융기부(18)에 대해서 저면 (32)는 릴리이프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가 저해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가동기판(2)의 상단부 저면(29)은 수평한면으로서,고정기판(1)의 면(24)과 당접한다.
또 그 좌상단에는 고정기판(1)의 제1캠홈(19)의 제1부분(20)에 감합접동하는 돌기 (3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 (30)의 상단부에는 노치부(34)가 형성되어서 융기부의 상단부에의 릴리이프로되어있다.
또 저면(32)에는 고정기판(1)의 제2캠홈(22)에 빈틈없이 꼭맞게 감안하는 핀( 31)이 돌설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선단부를 테이퍼지지게 하므로서 가동기판(2)을 조립할때에 상단부가 고정기판(1)의 상판과 저판과의 사이에 들어가기 쉽게 된다. 돌기 (30)의 주면은 원호를 이루고 있으며, 그 곡률중심과 핀(31)의 중심과의 거리는 상술한 r2(제6도)에 동등하다. 한편, 핀(31)의 중심에서부터 돌기(30) 선단부까지의 거리를 상술한r1(제6도)에 동등하고 또한 점(P1)에 핀이있을때의 돌기선단부의 궤적이 제2캠홈 (22)으로부터 비어저나오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돌기(30)와 제2캠홈(22)이 간섭하지 않도록하여 큰 개방각을 얻기위해서이다
또한 철구하단부에는 예을 들면 제14도~제15도와 같은 록기구를 형성한다. 고정기판(1)쪽에는 직선부(45)가 있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것에 가동록(4)의 판스프링(44 )이 있는 축(40)을 감안시켜서 상시 제14도 방향으로의 편위력( 偏位力)을 부여해놓고, 고정록(3)에 가동록(4)를 걸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가동기판 (2)의 상단부를 고정기판 (1)의 상판(15)및 저편(14)의 사이에 오른쪽 상부에서 압입한다. 상판(15)은 탄성적으로 밀려올라와서 압입을 가능하게하고, 핀(31)의 테이퍼는 이것을 돕는다. 핀(31)이 제2캠홈(22)에 감합되면조립은 종료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철구의 조립은 간단하다.
철구의 완전폐쇄상태는 제12도에 도시되어있다. 돌기 (30)는 제1캠홈(19)의제1부분(20)의 거의 좌단부에 있으며, 핀(31)은 제2캠홈(22)의 좌단부에 있다. 이상태에서 돌기(30)는 제1부분(20)의 상벽에 계합하고 한편 핀(31)은 제2캠홈(22)의 우벽에 계합하고 있다. 이때문에, 폐쇄력(록 기구에 의하여 발생한다.)에 대한 반작용(철환끼리의 계합에 의해서 발생한다.)은 2개소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돌기(30), 핀(31),제1, 제2캠홈 (19)(22)에는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고, 장기적으로 소정의 폐쇄력을 유지할수 있다. 또 보다 바람직하게 제2캠홈(22)에 아래쪽으로 처진부분을 가진다면 제2캠홈(22)의 벽을 수직에 더욱 가까운 경사가 되기때문에 보다 유지작용이 향상된다.
다음에, 개폐작용은 제12도, 제1도 및 제13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록 기구를 풀고 가동기판(2)을 우로 개방한다. 먼저 돌기(30)를 중심으로 하여 핀(31)이 반경(r1)의 궤적을 그린다(제13도P1″→P1').더욱 가동기판을 개방하면 핀(31)은 캠홈(22)에 의해 끌려가게 되며, 돌기 (30)은 제1캠홈(19)의 제1부분(20) 을 이동한다
(제1도),핀(31)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있기때문에 제4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동일한 열림각도 α에 있어서, 최상부의 철환의 개방거리(d')는 종래의(d )보다 훨씬 크게된다. 이 때문에 루우스리이프의 철입, 빼냄은 종래보다도 작은 개방각도에서 가능하게 된다. 더욱 가동기판(2)을 우로 구동시키면, 핀(31)은 제2캠홈의 상단부에 온다(제13도, P1'→P1,P2→P2″). 더욱 구동을 계속하면 돌기(30)는 제1캠홈 (19)의 연장부분인제2부분 (21)에 따라서 원호를 그린다(제13도, P2→P2 ). 이때에 돌기(30)는 제2캠홈 (22)에는 아무런 간섭을 하지 않기때문에 가동기판(2)에 개방각도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가동기판(2)의 상단면이 고정기판용 기부(18)의 스토퍼면에 계합하면 개방이 종료된다(제13도).
종합을하면, 핀(31)의 중심은 처음에 P1 (또는P1')에서부터 P1으로 이동하므로 초기에 철환은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크게 개방되는 이점을 얻게된다. 더욱 크게 개방하였을때에는 돌기(30)가 제2캠홈(22)을 넘어서 원활하게 이동한다. 완전폐쇄시는 2점에서 힘을 지지하기 때문에 폐쇄력을 크게해도 좋고 혹은 기계적무리가 발생하지않는다.

Claims (2)

  1. 지지표면(24)을 가진 고정기판 (1)과, 상기 지지표면(24)에 의해 접동안내되는 저면(14)을 가진 가동기판(2)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기판(2)을 고정기판(1)의 상단부의 둘레에 부채꼴로 개폐시키도록한 바인더철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의 상단부의 상기 지지표면 (24)좌측에 형성한 융기부(18)에 중앙에서부터 좌측상부로 깊숙히 잘라들어간 제1캠홈(19)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표면 우측에는 상기 제1캠홈 (19)의 개방단부 가까이에서부터 우측상부로 뻗은 제2캠홈(22)을 형성하고, 상기 가동판(2)의 상단부저면(29)에는 상기 제1캠홈(19)에 안내되는 돌기(30)와 상기 제2캠홈(22)에 감합하는 핀(31)을 ,이것들이 가동기판(2)의 개폐시에 상기 양캠홈에 원활하게 안내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홈(19)은 좌측상부에서부터 시작되는 경사가 작은 제1부분(20)과,핀(31)이 제2캠홈(22)상단부에 위치하였을때에 이 핀(31)을 중심으로하는 돌기(30)의 회동을 안내하는 원호형상면(제2부분)(21)으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철구.
KR2019860014344U 1986-03-28 1986-09-16 바인더 철구 KR89000068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44800 1986-03-28
JP1986044800U JPH045346Y2 (ko) 1986-03-28 198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181U KR880006181U (ko) 1988-05-30
KR890000682Y1 true KR890000682Y1 (ko) 1989-03-13

Family

ID=3086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4344U KR890000682Y1 (ko) 1986-03-28 1986-09-16 바인더 철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5346Y2 (ko)
KR (1) KR8900006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7320B2 (ja) * 1995-01-23 1999-06-21 克己 金田 バインダー綴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70282U (ko) 1987-10-28
JPH045346Y2 (ko) 1992-02-14
KR880006181U (ko) 198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2848A (en) Retention mechanism for self-securement of ZIF PGA socket
US3839777A (en) Wire guide assembly
KR890000682Y1 (ko) 바인더 철구
US20040132326A1 (en) Card connector
KR920001600B1 (ko) 카세트식 스테이플러
JPS6294279A (ja) カセツト式ステ−プラ
US4896925A (en) Storage container for information carrier
JPH068078B2 (ja) バインダー綴具
JP3788544B2 (ja) 光ファイバホルダ
JP2505625Y2 (ja) ドア用蝶番
JP2907320B2 (ja) バインダー綴具
JPS60229287A (ja) テープカートリツジ
US4479580A (en) Casing for receiving cassette
JPH0519897Y2 (ko)
JPH0636540Y2 (ja) 磁気ディスク用ジャケット
KR930006216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 록킹장치
KR100386072B1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WO2020026334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スライダー
KR850000699Y1 (ko) 자물쇠
JP3227873B2 (ja) 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ーのカセット蓋構造
KR20021891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카세트 가이드 구조체
JPS5813947B2 (ja) 穿孔装置の紙テ−プ案内機構
KR200209226Y1 (ko) 자동우산용 승강슬라이더 로킹구조
KR900001122Y1 (ko) Vtr용 하우징에 있어서 테이프 카트리지 캡의 오픈장치
JP2002206356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