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426B1 - 편기의 편성침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편기의 편성침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426B1
KR890000426B1 KR1019860006022A KR860006022A KR890000426B1 KR 890000426 B1 KR890000426 B1 KR 890000426B1 KR 1019860006022 A KR1019860006022 A KR 1019860006022A KR 860006022 A KR860006022 A KR 860006022A KR 890000426 B1 KR890000426 B1 KR 890000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knitting
knitting needle
needle
bu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1350A (ko
Inventor
요시노리 와따나베
유우지 와따나베
후미오 와따나베
도시오 와따나베
찌하루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와따나베 구쯔시타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요시노리 와따나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따나베 구쯔시타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요시노리 와따나베 filed Critical 와따나베 구쯔시타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9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ally controll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8Electric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기의 편성침 구동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편성침 구동 장치(메카니즘)의 구체예의 부분적으로 구분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예시된 편성침 구동 장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예시된 편성침 구동 장치에서의 핑거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예시된 핑거의 정면도.
제5도는 핑거와 침상 맞대는 부재 사이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사시도.
제6도는 펄스가 피에조 전기소자 (piezo-electric element)로 입력되지 않을 때의 핑거 작동 상태의 정면도.
제7도는 펄스가 피에조 전기소자로 입력되고 핑거가 구부러질때의 핑거의 작동상태의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의 또다른 구체예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핑거의 정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의 또다른 구체예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핑거의 정면도.
제12도는 공지의 자카드 환편기의 실예의 사시도.
제13도는 공지의 편성침 구동 장치의 부분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개구 15, 16 : 피에조 전기소자
20 : 안내요소 30 : 하우징
51 : 잭 53 : 상승 캠버트
54 : 상승캠 56 : 핑거버트
본 발명은 편기의 편성침 구동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본 발명은 편기 주몸체부의 제어기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편성계획을 기초로하여 편기의 침상에 배열된 다수의 편성침으로 활주운동을 가하는 상승캠과 편성침의 상승 캠버트 또는 편성침의 하부 선단과 접촉하는 잭의 상승 캠버트 사이를 결합 또는 해제시키므로써 소정패턴을 편성할 수 있는 편기의 편성침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카드 환편기, 자카드 횡편기 등과 같은 자카드 편기에서는 편성침의 상부 또는 하부운동을 위해 핀드럼,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등과 같은 패턴 절차 메모리에 기억된 패턴닝 절차를 전송시키기 위한 편성침 구동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카드 환편기는 보통 다수의 편성침(3) 및 사공급장치(8)를 지니는 편성실린더(2)와 편성침의 수직운동을 위해 패턴닝 절차 메모리(4)에 기억된 패턴닝 절차를 전송하기 위한 편성침 구동 장치(1)로 구성된다. 편성실린더(2)는 모우터(6)에 의해 전송 메카니즘(7)을 통하여 회전된다. 편성실린더의 회전, 보다 정확하게는 편성실린더의 회전각은 부호해독기(decoder)(5)에 의해 검지되어 패턴닝 절차 메모리(4)로 전송된다. 편성실린더(2)의 회전각에 상응하는 편성절차는 패턴닝 절차 메모리(4)에서 편성침 구동 장치(1)로 전해진다. 다수의 사(9)는 사공급장치(8)를 거쳐 편성침(3)으로 공급된다.
현재 편성침 구동 장치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에는, 주부분이 각기 서로 병행하여 활주가능하게 배열된 다수의 플레이트(50)로 이루어지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편성침 구동 장치가 있다. 이 장치에서 플레이트(50)의 활주운동은 핀드럼상의 핀 또는 컴퓨터 메모리로부터 방출된 신호를 기준으로 한다. 플레이트(50)가 편성실린더(52)의 중심을 향하여 움직일 때 편성침의 하부 선단과 접촉하는 잭(51)이 편성실린더의 중심으로 움직여서 잭(51)의 하부 부분에 설치된 캠버트는 상승캠(54)으로부터 해제(계탈)된다. 따라서, 핀 또는 메모리로부터 방출된 신호에 의해 플레이트(50)의 활주운동을 제어하므로써 대응 편성침의 수직운동은 제어되며 소정패턴을 지니는 편성포가 편성될 수 있다.
현재 고속구동 자카드 편기가 요구되며 이러한 고속구동 편기를 달성시키기 위해서는 편성침 구동 장치의 반응을 가속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공지의 편성침 구동 장치와 같이 플레이트가 활주되는 구성을 지니는 편성침 구동 장치에서 반응속도 또는 플레이트의 활주 속도로 일어날 수 있는 증가에는 한계가 있다.
이것은 보통 활주속도에서 활주된 플레이트의 수를 증가하므로써 고속편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나, 편성침 구동 장치는 증가된 플레이트수로 인해 너무 크게 되어 편기 외측의 좁은 공간에서 편성침 구동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일본 공개특허공보(KoKai) No.60-224845호에 회전될 수 있는 한 선단을 지니는 다수의 핑거를 갖춘 편성침 구동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 편성침 구동 장치는 현재 많이 사용되는 공지의 편성침 구동 장치에 비하여 빠른 반응속도를 지니며, 또 소형이며 동력소모율이 감소될 수 있어 유용하다. 그러나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활주타입 핑거 및 요동(swing)타입 핑거를 지니는 편성침 구동 장치에서 핑거의 운동은 전자석으로부터의 견인력을 가하거나 반발하므로써 일어난다. 즉, 핑거의 활주운동 또는 요동운동은 전자석의 극이 플러스(+)에서 마이너스(-) 또는 역으로 변하는 식으로 전자석의 극으로 전류를 가하므로써 수행된다. 그러므로 전자석에 의해 작동된 편성침 구동 장치의 반응속도는 전자석 그 자체의 작용으로 초래된 한계를 지니며 전자석의 최적 고속도는 약 초당 80사이클이다. 또 전자석의 동력소모효율이 약 1%이고 남은 전류는 열 등으로 소비되기 때문에 전자석을 지니는 편성침 구동 장치가 사용될 때 전력의 총소모율이 매우 높은데 문제가 있다.
그 결과, 전자석을 지니는 편성침 구동 장치가 240개 편성침과 220rpm 회전속도를 지니는 양말 편성용 환편기에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400개의 편성침 및 400 내지 1000rpm의 회전속도를 지니는 팬티-호스를 편성하기 위한 환편기에 이 편성침 구동 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런 상황에서는 통상 편성침 구동 장치는 이 통상의 편성침 구동 장치의 보통 반응속도에 상응하는 속도로 환편기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므로써 팬티-호스 편성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고속 반응속도, 소규모 및 낮은 전력소모율을 지니는 편성침 구동 장치가 고속 자카드 편기의 창작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강력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공지의 편성침 구동 장치의 상술된 단점을 제거한 편기를 위해 고속 반응속도, 소형 및 낮은 전력소모율을 지니는 편성침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편성침 구동 장치는 하우징과 그 뒤선단이 하우징에 지지되며 편성침의 활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대략 겹쳐 배열된 다수의 핑거와로 이루어진다. 핑거는 하우징에 부착되도록 부착부분으로 갖춰진 한 선단과 편성침의 핑거버트 또는 잭의 핑거버트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분으로 갖춰진 또 다른 선단을 지니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한 표면 또는 양 표면에 부착되며 도선(lead wire)에 의해 제어기에 연결된 피에조 전기소자와로 이루어진다.
핑거가 이 핑거의 부착부분인 받침점에 대하여 상부 방향이나 하부방향중 어느 하나로 또는 양방향으로 휘어져서 펄스가 소정패턴에 상응하는 절차에 따라 제어기로부터 피에조 전기소자로 입력될 때 핑거의 앞선단의 안내부분과 편성침의 핑거버트 또는 잭의 핑거버트 사이를 결합 또는 해제시켜 상승캠과 편성침의 상승캠버트 또는 잭의 상승캠버트 사이의 결합의 형성 또는 해제가 핑거의 안내부분과 편성침의 핑거버트 또는 잭의 핑거버트 사이의 결합의 형성 또는 해제에 의해 초래되어 편성침의 활주운동은 한정된다.
환편기에서, 침상 즉 편성실린더는 편기의 프레임상에서 회전되며 편성침 구동 장치는 편기의 프레임에 고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편성침 구동 장치가 환편기에 사용될 때 대응 편성침이 편성침 구동 장치의 정면에서 움직이기 전에 핑거의 안내부분이 핑거의 요동운동에 의해 편성침의 하부 선단과 접촉하는 잭의 핑거버트 또는 편성침의 핑거버트의 이동장소로 진전 또는 퇴각하는 식으로 편성침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성침 구동 장치가 횡편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횡편기에는 니들벨트는 편기의 프레임에 고착되며 편성침 구동 장치와 사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더(slider)는 침상을 따라 활주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편성침 구동 장치가 횡편기에 사용될 때 편성침 구동 장치가 대응 편성침의 정면에서 활주하기 전에 핑거의 안내부분이 핑거의 요동운동으로 미리 편성침의 핑거버트 또는 편성침의 종동자(follower)선단과 접촉하는 잭의 핑거버트와 결합하는 위치로 전진하거나 퇴각하는 식으로 편성침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어도 한 개구가 피에조 전기소자를 갖추는 핑거의 플레이트의 일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를 지니는 플레이트의 중량이 매우 가볍게 되기 때문에 플레이트가 보다 유연해져서 플레이트는 저전압으로 휘어질수 있다. 또 피에조 전기소자가 에폭시계의 접착제로 플레이트에 고착되기 때문에 개구가 플레이트상에 갖춰질 때 견고한 부착을 얻을 수 있다. 피에조 전기소자가 플레이트의 양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피에조 전기소자가 반대 피에조 전기적 작용을 지니는 소자인한 모든 종류의 피에조 전기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티탄산 바륨 등으로부터 구성된 세라믹의 피에조 전기소자가 안정한 품질을 지니는 대량의 피에조 전기소자가 산업적 규모로 얻어질수 있도록 확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얇은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높은 전기적 일그러짐 변형(electrostrictive strain)을 지니는 피에조 전기소자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100μm 내지 200μm정도의 두께를 지니는 피에조 전기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피에조 전기소자는 긴모양을 지닐 수 있다. 은페이스트 동은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피에조 전기소자의 양면에 구워 굳혀지며, 이들 전극은 각기 도선을 통하여 제어기로 연결된다.
상술된바와 같이 피에조 전기소자는 접착제에 의해 핑거의 플레이트의 양면에 보통 부착된다. 물론, 그 한 표면상에 한 피에조 전기소자를 가진 핑거를 사용하므로써 하우징의 받침점에 대하여 핑거를 휘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에조 전기소자가 핑거의 한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피에조 전기소자가 핑거의 양 표면에 사용될 때 피에조 전기소자의 입력에 대한 전압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두 피에조 전기소자가 한 핑거를 위해 사용될 때 각 피에조 전기소자의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 사이의 배열이 동일 방향인 식으로 핑거의 플레이트 상에 두 피에조 전기소자를 배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성침 구동 장치에서 핑거수는 요구된 편성패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피에조 전기소자가 빠른 반응속도를 가지고 소자로 고주파의 펄스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240사이클에 펄스가 소자로 입력될 때 편성침 구동소자는 전자석에 의해 작동된 공지 종래의 편성침 구동 장치의 속도(보통 80사이클)를 3배의 높은 속도로 편성침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것은 핑거의 수가 종래 편성침 구도 장치에 사용된 핑거수의
Figure kpo00001
로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종래 편성침 구동 장치의 핑거수와 동일한 핑거수를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르는 편성침 구동 장치가 사용된다면 종래 편성침 구도 장치를 사용하므로써 편성된 패턴과 비교하여 3배 패턴과 같은 복잡한 패턴을 지니는 자카드(무늬)천을 편성할 수 있으며 편성침의 수와 편성실린더의 회전속도의 결과가 종래 편기의 3배인 편기와 더불어 본 편성침 구동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성침 구동 장치의 핑거가 얇은 플레이트와 피에조 전기소자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동장치에서 한 핑거를 배열하는데 필요한 높이는 매우 작으며 또 구동 장치의 폭도 매우 작게 된다. 그러므로 동일수의 핑거가 구동 장치에 사용될 때 구동 장치의 총부피는 매우 소형으로 된다. 상술된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편성침 구동 장치가 소형부피와 높은 반응속도를 지니기 때문에 본 구동 장치는 후자 구동 장치로 배열된 공간에 대하여 전자석을 사용한 종전 편성침 구동 메카니즘을 부착할 수 없는 공간에서 팬티-호스를 편성하는 환편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핑거의 플레이트가 스테인레스 스틸이고 핑거의 안내부분이 플레이트보다 두꺼운 두께를 지니는 경화스틸로 제조된 다른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 스틸의 핑거의 뒷선단은 하우징에 지지되며 경화스틸로 제조된 안내부재는 플레이트의 앞선단에 연결된다.
안내부재를 핑거의 선단에 연결하는 여러 방법들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들면 안내부재가 접착제, 리벳등으로 핑거의 선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 플레이트의 앞선단이 안내부재의 뒷선단에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갖추므로써 그들사이에 연결을 달성시킬 수 있다. 보통 안내부재가 편성침 또는 잭의 핑거버트에 대해 충돌하기 때문에 안내부재의 마모가 심하다. 또 안내부재와 핑거버트 사이의 결합을 확실하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는 반대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안내부재는 경화스틸로 제조되고 두꺼운 두께를 지녀야 한다. 안내부재가 약 1mm의 두께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성침에 가까운 핑거의 선단모양은 핑거의 플레이트에 병행하는 평면에 언덕모양 또는 반언덕모양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핑거버트와 핑거의 경사진 표면을 따르는 핑거의 안내부분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져서 핑거버트가 편기의 침상을 향하여 부드럽게 밀어질 수 있게 된다.
피에조 전기소자에 연결된 제어기는 패턴절차를 기억하고 기억된 패턴절차를 기초로 다수의 피에조 전기소자로 펄스를 입력시키는 장치이다. 이 장치가 본 기술분야에선 익숙한 장치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수 핑거의 각 안내부분이 제어기로부터 대응 핑거의 각 피에조 전기소자로 방출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부 또는 하부로 움직이게 된다. 핑거의 안내부분의 상부 및 하부운동의 폭길이는 편성침의 운동에 대해 병행하는 방향으로의 상승 캠버트의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1.5mm 내지 2.0mm의 길이가 핑거의 안내부분의 상부 및 하부운동의 폭길이로서 보통 채택된다. 편성침 또는 잭의 핑거버트는 옆방향, 즉 핑거의 길이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부터 그 뒷선단에 의해 지지된 핑거의 안내부분 및 핑거를 포함하는 평면에 충돌한다. 그러므로 핑거버트가 침상을 향하여 부드럽게 움직일 수 없다면 편성침 또는 잭의 문제점으로 인해 옆방향으로 핑거를 미는 강한 힘에 의해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우징이 다수 핑거의 안내부분에 인접한 장소에서 침상의 편성침 활주방향에 병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침상 맞대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상 맞대는 부재는 핑거의 플레이트를 내포하는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소정공간을 거쳐 핑거의 안내부분의 양측면을 활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핑거 안내하는 면과 핑거의 요동방향에 병행하는 방향 및 핑거의 안내부분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핑거 안내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버트 안내면으로 갖춰진다. 핑거버트 안내면은 상기 옆방향에 병행하는 면으로서, 침상을 향하는 평행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면으로서, 또는 침상으로부터 떨어지는 평행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편성침 또는 잭의 핑거버트가 편성작동 동안에 침상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뛰어 넘을 때 핑거안내면과 핑거버트 안내면을 지니는 침상 맞대는 부재에 의하여 적절한 위치로 핑거버트를 밀 수 있다. 또 핑거의 안내부분이 침상 맞대는 부재의 핑거안내면에 의하여 옆방향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침상을 향하여 핑거버트를 미는데 문제점이 있다손치더라도 핑거는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편성침 구동 장치의 동력소모효율은 높으며, 즉 약 70%에 달하고 이 값은 전자석을 사용하는 종래 편성침 구동 장치의 동력소모효율보다 높은 10내지 수십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수반도면과 연관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된다. 다음 설명에서 환편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체예의 편성침 구동 장치가 기술될지라도 상기 편성침 구동 장치는 횡편기에도 분명히 사용될 수 있다.
제1도에 예시된바와 같이 구체예의 편성침 구동 장치(1)는 다수의 핑거(10)와 핑거(10)를 수용하는 하우징(30)으로 이루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8개의 핑거는 편성실린더의 축에 병행하는 방향으로 및 각 핑거 사이의 공간을 지니는 상태로 편성침의 활주방향으로 겹쳐진다.
하우징(30)은 뒷벽(31), 앞벽(32), 상부벽(33) 및 하부벽(34)으로 구성된 직사각형 모양을 지닌다. 각 핑거(10)의 뒷선단(12)(제3도를 보라)은 뒷벽(31)에 지지되며 뒷선단(12) 즉 부착부분은 핑거(10)의 휨운동의 받침적으로서 작용한다.
제2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앞벽(32)은 각 핑거(10)의 각 선단에 배열된 안내요소(20)가 돌출될 수 있는 개구(30) 및 각기 핑거의 휨운동으로 초래되며 개구(30)의 수직벽상에 배열된 안내요소의 상승 및 하강 거리에 해당하는 폭을 지니는 홈(36)으로 갖춰진다.
제3도 및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이, 핑거(10)는 스테인레스 스틸 SOS 301 및 200μ의 두께의 플레이트, 핑거(10)의 핑거 부착부분(12)의 맞은편 선단(13)에 부착된 안내요소(20) 및 플래이트(11)의 상부 및 하부표면에 부착된 피에조 전기소자(15,16)와로 이루어진다.
예를들면 플레이트(11)의 길이는 40mm이고 피에조 전기소자가 부착되는 부분의 폭은 15mm이다.
안내요소(20)는 1mm 두께의 경화스틸로 만들어지며 접착제에 의해 플레이트(11)의 선단(13)에 부착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요소(20)는 편성침의 핑거버트 또는 편성침의 하부선단과 접촉하는 잭의 핑거버트와 결합하며 언덕모양을 이루는 경사면(21a),(21b)와로 갖취지며 하우징(30)의 앞벽(32)에 맞대는 측면(22a),(22b)을 포함한다.
피에조 전기소자(15),(16)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에폭시계 접착제에 상, 하부 표면에 부착된다. 피에조 전기소자는 티탄산 바륨을 소결하여 제조되며 역피에조 전기작용 및 100μm두께를 지니는 세라믹 플레이트이다. 피에조 전기소자는 직사각 형태이며 도선(17),(18)의 한 선단과 전기적 연결부로서 작용하는 은도금층은 그 양 표면에 배열된다. 도선(17),(18)의 다른 선단은 제어기(4)에 연결된다. 피에조 전기소자(15)의 상부표면(15a)과 피에조 전기소자(16)의 하부표면(16a)에 각기 연결된 도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핑거(11)는 접지로서 작용될 수 있다.
양 표면상의 두 피에조 전기소자(15),(16)를 지니는 플레이트가 제4도에 도시되었을지라도 그 한 표면에 한 피에조 전기소자를 지니는 플레이트도 제10도 및 제11도에 예시된 것처럼 사용될 수 있다.
개구(14)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10)의 플레이트(11)의 피에조 전기소자(15),(16)가 부착되는 지역에 배열될 수 있다.
개구(14)의 모양, 크기 및 수는 임의로 선택되며 접착제에 의해 수행된 피에조 전기소자(15),(16)와 플레이트(11)사이의 부착은 개구(14)에 의해 확고하게 얻어진다. 개구(14)는 플레이트의 중량을 보다 가볍게 하여 플레이트(11)는 보다 유연하게 된다.
두 피에조 전기소자의 각 플러스전극 및 각 마이너스 전극은 피에조 전기소자가 플레이트의 상, 하부 표면에 각기 배열될 때 동일방향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예를들면, 제4도에서 피에조 전기소자(15)가 그 상부표면(15a)이 플러스전극이고 그 하부표면(15b)이 마이너스 전극이도록 플레이트(11)상에 배열될 때 피에조 전기소자(15)는 상부표면(16b)이 마이너스 전극이도록 플레이트(11)상에 배열되어야 한다.
제어기(4)는 소정의 패턴 편성계획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기억된 패턴 편성계획을 기초로 하여 다수의 피에조 전기소자로 펄스를 방출하는 장치와로 이루어진다. 편성침의 활주방향에서 핑거(11)의 안내요소(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연장하는 침상 맞대는 부재(37)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를 보호하고 핑거(11)의 안내요소(20) 및 편성침 또는 잭 평지의 핑거버트 사이의 순조로운 결합을 이루도록 바람직하게 갖춰진다.
침상 맞대는 부재(37)는 하우징(30)의 앞벽(32)의 수직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핑거 안내표면(36) 및 핑거버트 안내표면(37)을 포함한다. 핑거 안내표면(36)은, 안내요소(20)가 핑거 안내표면(36)에 대하여 활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작은 갭을 통하여 안내요소(20)의 측면과 표면(36)이 맞대도록 배열된다. 핑거버트 안내표면(37)은 편성실린더에서 떨어진 방향에서 수직위치로 돌출하는 핑거버트를 사전에 밀도록 작용한다. 상기 침상 맞대는 부재가 본 발명에 따른 편성침 구동 장치에서 반드시 필요한 부재가 아니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성침 구동 장치는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구체예의 편성침 구동 장치는 55mm의 높이, 30mm의 폭, 50mm의 길이, 즉 핑거의 길이방향 거리를 지닌다. 그러나 본 발명의 편성침 구동 장치에서와 동일수의 핑거 즉 8개 핑거를 지니며 전자석에 의해 작동되는 종래 공지의 편성침 구동 장치는 80mm의 높이, 45mm의 폭 및 100mm의 길이를 지닌다. 즉 본 발명의 편성침 구동 장치는 종래 공지의 편성침 구동 장치의 부피와 비교하여 약 25%의 부피를 지니도록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의 편성침 구동 장치의 작동은 지금부터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기술된다.
제6도는 펄스가 핑거(11)의 피에조 전기소자에 입력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제7도는 펄스가 피에조 전기소자로 입력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6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잭(51)의 핑거버트(56)는 잭(51)을 오른쪽으로 밀도록 안내요소(20)와 결합하여 잭(51)의 하부 선단에 배역된 상승 캠버트(53)는 상승캠(54)과 결합될 수 없게 되어 잭(51)과 잭(51)의 상부선단과 결합하는 편성침은 상승운동을 받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편성루우프는 이 편성침에선 형성되지 않는다.
제7도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핑거(10)의 안내요소(20)는 핑거버트(56)의 이동로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잭(51)은 수직위치를 유지하여 상승 캠버트(53)는 잭(51)을 위로 밀도록 상승캠(54)과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편성작동은 잭(51)의 상부 선단과 접촉하는 편성침에 적용된다.

Claims (6)

  1. 편기 주몸체부의 제어기로부터 방출된 소정의 편성계획에 대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편기의 침상에 배열된 다수의 편성침에 활주운동을 가하는 상승캠과 편성침의 상승 캠버트 또는 편성침의 하부 선단과 접촉하는 잭의 상승 캠버트와의 사이를 결합 또는 해제 시키므로써 소정패턴을 편성할 수 있는 편기의 편성침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성침 구동 장치가 하우징과 그 뒷선단에 의해 하우징에 지지되고 편성침의 활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대략 겹쳐 배열된 다수의 핑거와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다수의 핑거는 하우징에 부착되도록 부착부분을 갖춘 한 선단과 편성침의 핑거버트 또는 잭의 핑거버트를 안내하기 위해 안내부분을 갖춘 또 다른 선단을 지니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한 표면 또는 양 표면에 부착되며 도선에 의해 제어기로 연결된 피에조 전기소자(들)와로 이루어지고, 펄스가 소정의 패턴에 해당하는 절차에 따라 제어기로부터 피에조 전기소자로 입력될 때 상기 핑거가 핑거의 앞선단의 안내부분과 편성침의 핑거버트 또는 잭의 핑거버트 사이를 결합 또는 해제 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핑거의 부착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받침점에 대하여 상부방향 및 하부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돌려 휘어져서, 상승캠과 편성침의 상승 캠버트 또는 잭의 상승 캠버트 사이의 결합형성 또는 해제가 핑거의 안내부분과 편성침의 핑거버트 또는 잭의 핑거버트 사이의 결합형성 또는 해제에 의해 초래되어 편성침의 활주운동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침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기가 편기의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하는 니들 실린더와 프레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편성침 구동 장치를 지니는 환편기이고, 상기 편성침 구동 장치는 대응 편성침이 구동 장치의 정면에서 움직이기 전에 핑거의 요동운동에 의해 편성침의 핑거버트 또는 편성침의 하부 선단과 접촉하는 잭의 핑거버트의 이동장소로 핑거 안내부분이 전진하거나 떨어져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침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기가 편기의 프레임에 고착된 침상 및 침상을 따라 활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편성침 구동 장치를 지니는 횡편기이며, 상기 편성침 구동 장치는 편성침 구동 장치가 대응 편성침의 정면에서 활주하기 전에 핑거의 요동운동으로 인해 편성침의 핑거버트 또는 편성침의 하부 선단과 접촉하는 잭의 핑거버트와 핑거의 안내부분이 결합하는 위치로 미리 핑거의 안내부분이 전진 또는 퇴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침 구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편성침의 활주방향에 병행하는 방향에서 핑거의 안내부분에 인접한 장소에서 연장하는 침상 맞대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침상 맞대는 부재가 핑거의 요동방향에서 핑거의 안내부분의 양측표면을 활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핑거 안내표면과 핑거의 요동방향에 병행하는 방향 및 핑거의 안내부분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핑거 안내표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버트 안내표면으로 갖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침 구도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피에조 전기소자가 갖춰지는 핑거의 플레이트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침 구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5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핑거의 플레이트가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지며 안내부분이 플레이트보다 두꺼운 두께를 지니며 플레이트의 앞선단에 부착된 경화스틸로 제조된 다른 부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침 구동 장치.
KR1019860006022A 1985-07-24 1986-07-24 편기의 편성침 구동 장치 KR890000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1965 1985-07-24
JP60-161965 1985-07-24
JP60161965A JPS6228451A (ja) 1985-07-24 1985-07-24 編機用選針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1350A KR870001350A (ko) 1987-03-13
KR890000426B1 true KR890000426B1 (ko) 1989-03-17

Family

ID=1574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6022A KR890000426B1 (ko) 1985-07-24 1986-07-24 편기의 편성침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210790A3 (ko)
JP (1) JPS6228451A (ko)
KR (1) KR890000426B1 (ko)
CN (1) CN86105745A (ko)
ES (1) ES2000550A6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7187U (ko) * 1987-04-21 1988-10-31
IT1215967B (it) * 1988-03-02 1990-02-22 Mario Scavino Selettore a cella piezoelettrico bimorfa di aghi per macchine tessili.
JP2860333B2 (ja) * 1988-12-29 1999-02-24 ワックデータサービス株式会社 丸編機用圧電式選針装置
IT1239757B (it) * 1989-03-15 1993-11-15 Nagata Seiki Kk Selettore piezoelettrico di aghi in una macchina per maglieria circolare
JP2552029Y2 (ja) * 1990-03-08 1997-10-27 ワックデータサービス株式会社 リード線固定編機用選針装置
EP0617744B1 (de) * 1992-07-03 1999-01-27 Textilma AG Steuervorrichtung für einen faden einer textilmaschine
DE4226899C1 (de) * 1992-08-14 1994-01-13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Jacquard-Steuerung
DE9306377U1 (ko) * 1993-04-28 1993-06-17 Schleicher, Oskar, 4050 Moenchengladbach, De
DE4418714C1 (de) * 1994-05-28 1995-06-22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wenigstens einer Legebarre und Austauschelement für eine solche Kettenwirkmaschine
DE19514995C2 (de) * 1995-04-24 1997-06-19 Mayer Textilmaschf Kettenwirkmaschine
JPH09256252A (ja) * 1996-03-19 1997-09-30 Fukuhara Seiki Seisakusho:Kk 圧電体の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編みツール制御装置
DE19654327C1 (de) * 1996-12-24 1998-04-16 Mayer Textilmaschf Hubsteuervorrichtung für Kettenwirkmaschinen
DE19706755A1 (de) * 1997-02-20 1998-08-27 Siemens Ag Steuermodul zur Steuerung der Nadeln einer Textilmaschine
AU5409598A (en) * 1997-12-24 1999-07-19 Nanomotion Ltd. Selector for knitting machine
EP1018571B1 (en) 1998-06-25 2004-11-03 Wac Data Service Kabushiki Kaisha Needle selector for knitting machine
JP2003082565A (ja) * 2001-09-11 2003-03-19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丸編機における自走組織設定装置
BRPI0418191A (pt) 2004-04-28 2007-06-19 Wac Data Service Kabushiki Kai seletor de agulha para máquina de malharia
KR20060112405A (ko) * 2005-04-27 2006-11-01 주식회사 한국로보트 전자 환편기
KR100775565B1 (ko) * 2006-03-02 2007-11-09 왁 데이타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편기용 선침장치
WO2007148399A1 (ja) * 2006-06-22 2007-12-27 Wac Data Service Kabushiki Kaisha 編機用選針装置
DE102007041636A1 (de) 2007-09-03 2009-03-05 Argillon Gmbh Biegewandlerelement sowie Biegewandlermodul
IT1393024B1 (it) * 2008-07-09 2012-04-11 Sys Tec S R L Levetta di selezione di sottoaghi di una macchina tessile per maglieria
CN102154777A (zh) * 2011-05-16 2011-08-17 江苏亿隆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压电陶瓷选针器驱动片
CN102664234B (zh) * 2012-05-21 2014-06-18 花毅 一种压电陶瓷致动元件及其制作方法
IT201700044770A1 (it) * 2017-04-24 2018-10-24 Santoni & C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e metodo di movimentazione di aghi di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N110029440A (zh) * 2019-04-16 2019-07-19 江苏明朗星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能实现单独控制的舌针控制组件
CN112853596A (zh) * 2020-12-30 2021-05-28 福建海睿达科技有限公司 纺织设备及其控制方法、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04350A1 (de) * 1967-10-24 1970-05-14 Lebocey & Cie Georg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waehlen der Stricknadeln oder der Strickhilfsmittel auf Strickmaschinen und mit dieser Vorrichtung versehene Strickmaschine
US3995451A (en) * 1971-03-30 1976-12-07 Firma Franz Morat Gmbh Patterning mechanism
DE2159984A1 (de) * 1971-12-03 1973-06-14 Terrot Soehne & Co C mustervorrichtung fuer rundstrickmaschinen
DE2316794A1 (de) * 1973-04-04 1974-10-17 Mayer & Cie Maschinenfabrik Strickmaschine mit muster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8451A (ja) 1987-02-06
EP0210790A3 (en) 1987-11-19
ES2000550A6 (es) 1988-03-01
EP0210790A2 (en) 1987-02-04
CN86105745A (zh) 1987-02-11
KR870001350A (ko) 198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426B1 (ko) 편기의 편성침 구동 장치
KR910007622B1 (ko) 편직기용 선침장치
KR960000085B1 (ko) 압전적으로 제어되는 자카드 옷본을 지니는 경편기
KR100355596B1 (ko) 편물기용 선침장치
US6526784B2 (en) Actuator in a needle-selecting apparatus for a knitting machine
US3995451A (en) Patterning mechanism
EP0185766B1 (en) Needle select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JP2020133010A (ja) 給糸位置が変更可能な横編機用給糸器
KR960014599B1 (ko) 편기의 편성침 선침장치
JP2597189Y2 (ja) 編機用選針装置
JP2000017550A (ja) 編機用圧電選針装置
JPH10204761A (ja) 特に経編機に適したストローク制御装置
JP2860333B2 (ja) 丸編機用圧電式選針装置
CN220952361U (zh) 一种三工位的贾卡提花装置及纺织机械
CN220364688U (zh) 一种具有四工位切换的贾卡针装置及纺织机械
KR102179409B1 (ko) 다양한 얀 공급 위치를 갖는 횡편기 얀 공급기
KR20010050653A (ko) 패턴수단을 갖는 경편기
JP2762311B2 (ja) アジャスト機能付編機用選針装置およびその位置調節方法
CN220364682U (zh) 一种多功能的贾卡提花装置
JP2683982B2 (ja) 圧電体の三点支持方法
CN220364685U (zh) 一种压电陶瓷贾卡提花装置及纺织机械
CN220952357U (zh) 一种经编机以及用于该经编机的三工位贾卡梳
CN117188032A (zh) 多工位的新型压电贾卡梳、针位控制方法及提花单元
CN220364687U (zh) 一种压电贾卡及用于该压电贾卡的压电贾卡驱动器
JPH0233361A (ja) 編機用選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