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383B1 -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및 쿠션방법 - Google Patents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및 쿠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383B1
KR880002383B1 KR1019840005663A KR840005663A KR880002383B1 KR 880002383 B1 KR880002383 B1 KR 880002383B1 KR 1019840005663 A KR1019840005663 A KR 1019840005663A KR 840005663 A KR840005663 A KR 840005663A KR 880002383 B1 KR880002383 B1 KR 88000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ushion
air
pressure
cush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880A (ko
Inventor
준야 가네꼬
Original Assignee
쇼오께쯔 긴조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무라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오께쯔 긴조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오오무라 스스무 filed Critical 쇼오께쯔 긴조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 F15B15/227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having an auxiliary cushioning piston within the main piston or the cylinder end 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tuator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및 쿠션방법
제 1 도는 공기압 실린더에서의 종래 쿠션기구의 일부 종단면도.
제 2 도는 미터-아웃 시스템(meter-out system)에서 쿠션기구에 의해 생긴 피스톤을 구동하려는 힘과 그 제동력과의 관계를 예증하는 개략도.
제 3(a)도 및 제 3(b)도는 쿠션작용이 생기게하기 위해 배출된 공기의 압력이 쿠션기구에 이용되는 시스템에서 피스톤 행정과 공기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제 3(a)도는 낮은 피스톤속도를 예시하며, 제 3(b)도는 높은 피스톤속도를 예시한다.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쿠션기구를 가지는 공기압 실린더의 종단면도.
제 5 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헤드커버에서의 쿠션기구와 피스톤의 동작거동을 나타내는 일부 횡단면도.
제 8 도는 쿠션부재가 피스톤 한쪽에 접해서 피스톤을 밀어내는 2중 피스톤 실린더를 예증하는 일부 횡단면도.
제 9 도는 실린더의 동작싯점에서 종래의 공기압 실린더와 본 발명에 따라 공기압 실린더의 피스톤속도 및 시간을 비교하는 그래프.
제10도는 종래 쿠션기구의 압력과 피스톤 행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11도는 공급된 공기압이 피스톤의 쿠션을 위해 이용되는 본 발명의 쿠션기구의 선택공급된 공기압과 이에 대응하는 쿠션 압력과의 관계를 타나내는 그래프.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실시예에 따른 쿠션기구를 가진 공기압 실린더의 일부 횡단면도.
본 발명은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및 쿠션방법에 관해, 특히 한쪽 방향으로 피스톤을 움직이게하기 위해 압력하에 공급된 공기가 분기, 도입되며 또 동시에 한 쿠션 체임버(chamber)속에 압력을 받는 상태로 저장되며, 또한 피스톤이 반대쪽방향으로 움직일때 압력을 받고 있는 저장된 공기가 피스톤의 운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이용되며 또한 공기압 실린더의 피스톤을 쿠션시키는 방법으로 이용되는 공기압 실린더의 양 맞은편 단들에 한정된 쿠션 체임버를 갖춘 쿠션기구를 가지고 있는 공기압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많은 공기압 실린더들은 피스톤이 행정말단에 도달할때 어떤 예기치 않은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 큰 관성 에너지를 가지는 부하에 대비하기위한 관성력을 감쇠시키는 쿠션기구를 가진다.
제 1 도는 공기압 실린더의 종래 쿠션기구를 예증한다.
2로 지적된 공기압 실린더는 그곳에 한정된 입구/출구부(6)를 갖는 헤드커버(4)를 가진다.
헤드커버(4)는 역시 한단에 끼워진 쿠션패킹(10)을 갖는 내부 공동부(cavity)(8)를 가진다.
조정가능한 니들밸브(12)는 헤드커버(4)안 입구/출구부(6)의 정맞은 편에 배치되고, 실린더(2)의 내경에서 공동부(8)를 뻗혀있는 곡로(bent passage)(14)내에 니들점이 놓여진다.
피스톤 롯드(16)는 실린더(2)속에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실린더(2)내에서 미끄럼운동을 할수 있게 설치된 피스톤(18)의 한 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피스톤(18)과 공동부(8)는 그들 사이에서 쿠션 체임버(24)를 공동으로 제한하고 있다.
시일링(20)은 피스톤(18)의 중심원주표면내에 한정된 환상의 홈을 따라 끼워져서 팽창된다.
쿠션 핑(22)은 피스톤 롯드(16)의 단부에 설치된다.
피스톤 롯드(16)가 화살표(12)방향으로 파단선 위치로 축방향으로 움직여질때, 쿠션 체임버(24)로 부터 유동하는 공기의 그 행정 말기에서 피스톤(18)의 이동속도를 줄이기위해 니들밸브(12)에 의해 제한 받게된다.
특히 쿠션링(22)의 말단은 쿠션패킹(10)에 접촉되며, 또한 쿠션 체임버(24)로 부터 압력을 받은 유체는 통로(14) 및 그 안에 위치한 니들점에 의해 제한 받는다.
그 결과, 쿠션 체임버(24)내의 압력은 피스톤(18)이 움직여지는 만큼 증가되고, 그것으로 쿠션작용은 마련되는 것이다.
이용하려는 쿠션력은 통로(14)의 횡단면적에 대한 니들밸브(12)를 다양하게 조정하므로써 그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형태의 쿠션기구는 다음 문제들을 수반하고 있다.
제 2 도에 예증되는바 공기압 실린더의 동작속도는 일반적으로 피스톤 자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력(F)과 피스톤의 운동을 제한하려는 제동력(S)과의 차이로 결정된다.
미터-아웃 시스템에서는 제동력(S)을 변화시키는 한편 구동력(F)을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써 감쇠력을 조정하는 것이 관례적이다.
그래서 피스톤이 고속도로 왕복하는 곳에서 공기는 저압하로 배출되어져야 한다.
특히, 종래의 쿠션기구는 제동력(S)을 발생시키는 배출된 공기 압력을 이용하므로써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약하게하기 때문에 , 피스톤(18)의 왕복운동에 의해 야기되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약하게 하는 능력이 감소되고, 또한 요망된 감쇠능력이 쓸모없이 된다는 쿠션 체임버(24)에 갖혀진 공기의 압력은 피스톤(18)의 왕복운동의 속도가 더욱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제 3(a)도 및 제 3(b)도는 피스톤이고, 저속도로 왕복운동할때 구성된 피스톤 행정 및 공기압간의 상호 관계를 예증하고 있다.
실린더에 공급된 공기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피스톤(18)은 축방향으로 자리를 옮기고 입구/출구부(6)에서 배출된 공기압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것이다/
쿠션링(22)이 쿠션패킹(10)과 접촉해서 움직일때, 쿠션 체임버(24)에서 압축된 공기는 공기가 입구/출구부(6)에서 배출되어지는 공동부(8)속으로 통로(14)를 통해 유동한다.
갇혀진 공기의 압력이 감소되는 비율은 쿠션링(22)이 쿠션패킹(10)에 접촉하는 시기에서는 그렇게 크게 감소되지 않는다.
제 3(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스톤(18)의 낮은 왕복운동 속도에서는 피스톤 행정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쿠션압력은 빗금친 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급히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압 실린더는 충분히 감쇠능력을 얻는다.
피스톤(18)의 왕복운동 속도가 제 3(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증가 되었을때 배출공기의 압력은 공급된 공기 압력과 비교하여 갑자기 감소된다.
쿠션 체임버(24)에 갇혀진 공기의 압력은 쿠션링(22)이 쿠션패킹에 접촉될때 아주 낮다.
그러므로 쿠션압력은 제 3(a)도에 나타난 쿠션압력과 비교하여 너무 작으며 요망된 감쇠 능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다.
충분한 감쇠력의 결핍은 피스톤을 헤드커버에 대해 큰 관성력으로 힘을 강요해서 결국 헤드커버 또는 기타 원치않는 사고로 해를 입을 그런결과를 초래한다.
제 3(a)도 및 제 3(b)도에서 △P로 지시된 것은 피스톤 행정의 말단에서 공급된 공기압과 배출된 공기압과의 차이다.
상술한 종래의 결점과 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도에서 왕복적으로 운동하는 피스톤을 확실하게 또한 재빨리 감쇠하기 위해 피스톤을 움직이는 공급된 유체가 쿠션 체임버 속으로 도입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를 작동시키는데 요하는 시간이 짧아지고 실린더 동작의 고속화를 성취하며, 또한 피스톤이 헤드커버 및 롯드커버에 원치않는 장해나 사고를 내지 않게 충격을 감소시키는 공기압 실린더의 맞은편 단들에 제한된 쿠션 체임버를 가지는 쿠션기구를 설비한 공기압 실린더를 제공하고 또한 공기압 실린더에서 피스톤을 쿠션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한 단부에 제 1 공기통로를 통해 서로 관통하는 제 1 쿠션 체임버와 그 반대쪽 단부에 제 2 공기통로를 통해 서로 관통하는 제 2 쿠션체임버를 가지며, 단부 각각에 제 1 공기통로를 통해 서로 관통하는 제 1 입구/출구부와 제 2 공기통로를 통해 서로 관통하는 제 2 입구/출구부를 가지는 실린더 몸체와 ; 실린더 몸체내에 미끄럼성 있게 움직이는 피스톤과 ; 제 1 쿠션체임버에 변위성있게 설치되고 그것에 의해 밀어 움지여지도록 피스톤 쪽으로 뻗혀있는 제 1 쿠션부재와 ; 제 2 쿠션체임버에 변위성 있게 설치되고 그것에 의해 밀어 움직여지도록 피스톤 쪽으로 뻗혀있는 제 2 쿠션부재와 ; 공통 방향제어 밸브를 통해 제 1 및 제 2 입구/출구부에 연결된 공기 공급원과 ; 공기 공급원에서 공기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제 1 공기통로에 배치되고 제 1 쿠션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해 제 1 쿠션챔버속에 조정된 공기 압력을 공급하는 제 1 밸브 몸체와 ; 피스톤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변위된 제 1 쿠션부재에 의해 제 1 쿠션 체임버속에 압축된 공기의 압력이 미리 결정된 수준을 초과할때 제 1 쿠션 체임버에서 제 1 입구/출구부까지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제 2 공기통로에 배치된 제 2 밸브 몸체와 ; 공기 공급원으로 부터 공기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제 2 공기 통로속에 배치되고 제 2 쿠션부재를 변위시키기위해 제 2 쿠션 체임버속으로 조정된 공기압력을 공급하는 제 3 밸브 몸체와 ; 피스톤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변위된 제 2 쿠션부재에 의해 제 2 쿠션 체임버내에 압축된 공기 압력이 미리 결정된 수준을 초과할 때 제 2 쿠션 체임버에서 제 2 입구/출구부까지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제 2 공기 통로에 배치된 제 4 밸브 몸체를 구성하고 있는 쿠션기구를 가진 공기압 실린더가 제공되어 진다.
공기압 실린더는 또한 일단을 피스톤에 부착한 피스톤 롯드와, 피스톤의 일단면에 맞닿는 한 샤후트와 제 1 쿠션 체임버내에서 그 샤후트와 동시에 움직이는 한 디스크로 구성되고, 제 1 쿠션 체임버내에 배치된 압축부재로써 피스톤을 향해 정상적으로 압축되는 제 1 쿠션부재와, 원통형 몸체를 통해 뻗혀있는 피스톤 롯드를 가진 피스톤의 반대편 단면에 맞닿은 한 원통형 몸체와 제 2 쿠션 체임버내에서 원통형 몸체와 동시에 움직이는 한 디스크로 구성되고 제 2 쿠션체임버에 배치된 압축부재로 피스톤을 향해 정상적으로 압축되는 제 2 쿠션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공기압 실린더를 또한 실린더 몸체의 한단에 설치된 헤드커버와, 실린더 몸체내에 배치되고 한단이 헤드커버를 향해 있는 제 1 벽과, 헤드커버와 제 1 벽 및 제 1 벽의 단에 의해 한정되는 제 1 쿠션체임버와, 실린더 몸체의 반대쪽에 설치된 롯드 커버와, 실린더 몸체내에 배치되고 한단이 롯드커버를 향해 있는 제 2 벽과, 롯드 커버와 제 2 벽 및 제 2 벽의 단에 의해 한정되는 제 2 쿠션체임버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쿠션부재들을 압축하기 위해서 압축부재는 각기 코일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및 제 3 밸브 몸체들은 각기 압력 조정용의 차압 밸브로 구성되고, 제 2 및 제 4 밸브 몸체들은 각기 압력 조정용의 릴리이프 밸브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3 밸브 몸체들은 각기 체크 밸브로 구성되며, 제 2 및 제 4 밸브 몸체들은 제한기 밸브(restrictevalve)로 각기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쿠션부재는 각기 제 1 및 제 2 쿠션체임버들을 대체로 두 체임버로 나누는 디스크들과, 두 체임버 사이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한통로를 가지는 각각의 디스크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체임버의 각각 나누어진 두 체임버중 하나는 대기로 구멍이난 통로를 갖고 있다.
공기압 실린더는 또한 각각의 디스크에 설치된, 두 체임버사이를 전달하는 통로와 제 1 및 제 2 쿠션부재가 피스톤쪽으로 변위되었을때 대기로 구멍이나 있는 통로 사이에 전달을 봉쇄하는 탄성링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몸체내에 미끄럼성 있게 배치된 피스톤과 피스톤에 부착된 피스톤 롯드와 더불어 그 몸체내에 변위성 있게 설치되고 피스톤과 맞닿는 쿠션부재가 있는 쿠션체임버를 가지는 실린더 몸체와 쿠션체임버와 통하고 있는 밸브몸체를 가지고 있는 공기압 실린더를 쿠션하는 방법으로써, 피스톤과 피스톤 롯드를 왕복운동할 수 있게 움직이게 하기 위해 공기 공급원에서 공기압 실린더속으로 공기를 압력하에 공급하는 절차와 ; 쿠션체임버 속으로 공급된 공기에서 분기된 공기 흐름을 도입하고 동시에 쿠션부재를 변위시키는 절차와 ; 쿠션 체임버내에 저장된 공기를 압축하기 위해 피스톤과 피스톤 롯드의 왕복운동에 응하여 쿠션부재와 밀어져거 맞닿는 쪽으로 피스톤을 가져오는 절차와 ; 피스톤을 쿠션하기 위해 밸브 몸체를 통해 실린더 몸체 밖으로 쿠션 체임버에서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절차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되어진다.
쿠션 체임버속으로 도입된 공급된 공기 유입량은 압력 조정용의 밸브 몸체에 의해 압력이 조정된다.
피스톤과 피스톤 롯드의 왕복운동에 응하여 변위된 쿠션부재는 쿠션체임버에서 대기로 구멍이나 있는 통로를 개폐시킨다.
상기 및 기타 목적들 즉, 본 발명의 특징 및 잇점은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증적인 본 보기의 방법으로 나타난 수반된 도면과 함께 관련시킬때 다음 설명은 더 명백해질 것이다.
제 4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 실린더(30)는 일반적으로 실린더 몸체(32), 실린더 몸체(32)에 미끄럼성 있게 배치된 피스톤(34), 피스톤(34)의 원주표면에 한정된 홈에 끼워진 시일링(37)을 가진 피스톤(34)에 한단이 부착되어 있는 피스톤 롯드링을 구성한다.
헤드커버(38)는 실린더 몸체(32)의 한단에 설치되고 롯드커버(40)는 다른 단에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몸체(32)는 그 일단내에 제 1 벽(wall)(42)을 구성하고 다른 한단내에 제 2 벽(44)을 구성한다.
제 1 벽(42)은 헤드커버(38)내에 축방향으로 뻗혀져있는 한단(46)을 가지며, 제 2 벽(44)은 롯드커버(40)내에 축방향으로 뻗혀져있는 한단(48)을 가진다.
헤드커버(38)는 제 1 벽(42)를 둘러싸고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또한 롯드커버(40)는 제 2 벽(44)를 둘러싸고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그곳에는 제 1 벽(42)와 헤드커버(38)의 한단벽(38a)사이에 한정된 제 1 체임버(50)가 있고, 또한 제 2 벽(44)과 롯드커버(40)의 한단벽(40)사이에 한정된 제 2 체임버(52)가 있다.
제 1 벽(42)은 축방향으로 그곳을 통해서 한정된 중심공(42a)를 가진다.
제 1 쿠션부재(54)는 구멍(42a)를 통해 축방향으로 미끄럼적으로 배치되어서 뻗혀져있다.
제 1 쿠션부재(54)는 샤후트(56)의 한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샤후트(56)와 디스크(58)로 이루어져 있다.
시일부재(60)는 샤후트(56)의 원주 표면과 미끄럼성있게 접촉된 제 1 벽(42)의 내부 원주벽에 끼워져 있다.
시일부재(62)는 일단(46)의 내부벽 및 헤드커버(38)의 내부원주벽과 미끄럼성 있게 접촉된 디스크(58)의 원주표면에 끼워져 있다.
디스크(58)는 단벽(38a)에 대하여 유지된 한단에 제 1 코일스프링(66)으로써 배치되어져 있는 중심원형 리세스(64)를 가진다.
그러므로 제 1 쿠션체임버(50)는 헤드커버(38) 및 디스크(58)사이에서 한정된 체임버(50a)와 디스크 및 제 1 벽(42)사이에서 한정된 체임버(50b)로 나누어졌다.
탄성링(65)은 체임버(50b)를 대면하는 디스크(58)의 측면벽에 배치되었다.
통로(68)는 체임버(50a) 및 (50b)사이에 유체전달을 제공하기 위해 샤후트(56)와 디스크(58)사이에 한정되어 있다.
통로(68)는 제 1 쿠션부재가 규정된 위치에 있을 때 실린더 몸체(32)의 한단 및 헤드커버(38)사이에 한정된 통로(70)을 통해 대기에 구멍이 나져있다.
곡로(72)는 제 1 벽(42)의 단(46)과 헤드커버(38)의 내부벽 사이에 한정되고 제 1 쿠션체임버(50)와 통해 있다.
헤드커버(38)는 압력제어수단(76a)를 가지고 있는 제 1 밸브 몸체(76)(차압밸브)를 장치하고 있는 리세스(74)를 가지고 있다.
헤드커버(38)는 또한 압력제어수단(80a)를 가진 제 2 밸브 몸체(80)(릴리이프 밸브)가 조정가능하게 설치된 리세스(78)을 가지고 있다.
제 1 밸브 몸체(76)와 제 2 밸브 몸체(80)는 헤드커버(38)내에 형성된 돌기부(82)를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고 돌기부(82)에 앉혀질 수 있다.
입구/출구부(84)는 헤드커버(38)및 실린더 몸체(32)사이에 제한된다.
롯드커버(40)는 헤드커버(38)과 같은 모양으로 제작되었다.
특히, 제 2 벽(44)은 제 2 쿠션부재(88)이 미끄럼성있게 뻗혀지는 중심구멍(44a)를 가지고 있다.
제 2 쿠션부재(88)는 원통형 몸체(90)와 제 2 쿠션체임버(52)내에 원통형 몸체의 한단에 장치된 디스크(92)를 포함하고 있다.
피스톤 롯드(36)는 원통형 몸체(90)내에 중심구멍(86)을 통해 뻗혀지고 또 롯드커버(40)의 단벽(40a)을 통해 뻗혀지는 한단을 가지며, 외부에 노출된다.
시일부재(94)는 원통형 몸체(90)의 원주벽과 미끄럼적으로 접촉하는 벽(44)의 내부 원주벽에 끼워져 있다.
시일부재(96)는 공기의 긴밀봉쇄를 위해 단(48)의 내부벽과 롯드커버(40)의 내부원주벽과 미끄럼성있게 접촉하는 디스크(92)의 외부원주벽에 한정된 환상홈내에 배치된다.
디스크(92)는 중앙원형 리세스(98)를 가지고 있다.
탄성링(100)을 벽(44)에 대면하고 있는 디스크(92)의 옆벽에 설치된다.
제 2 코일 스프링(102)은 피스톤 롯드(36)둘레에 배치되고 이때 스프링의 한쪽끝은 디스크(92)내 중심 원형 리세스(98)내에 위치하고 다른 한끝은 롯드커버(40)의 내부벽에 반하여 유지된다.
제 2 쿠션 체임버(52)는 제 2 쿠션부재(88)에 의해 나누어지며, 디스크(92)는 더 정확히 디스크(92)내에 한정된 통로(104)에 의해 상호 전달 유지되는 체임버(52a), (52b)로 나누어진다.
통로(104)는 실린더 몸체(32) 및 롯드커버(40)사이에 한정된 통로(106)와 통해 있고 또한 그런 까닭에 제 2 쿠션부재(88)과 규정된 위치에 있을 때는 대기로 구멍이 나 있게 된다.
곡로(108)는 단(48) 및 롯드커버(40)의 내부벽 사이에 한정되고 제 2 쿠션체임버(52)와 통하게 된다.
압력제어수단(112a)을 가진 제 3의 조정밸브 몸체(112)(차압밸브)는 롯드커버(40)에서 한정된 리세스(110)내에 설치되고, 압력제어수단(116a)를 가진 제 4 밸브 몸체(116)(릴리이프 밸브)는 롯드커버(40)내에서 한정된 리세스(114)내에 설치된다.
제 3 밸브 몸체(112) 및 제 4 밸브(114)는 통로 형성된 돌기부(118)에 의해 제공된 밸브 시트들상에 반대방향으로 앉혀질 수 있다.
실린더 몸체(32)와 롯드커버(40)사이에는 라인(122)과 유량조정제한기(124)를 통해 솔레노이드 방향 제어밸브(126)에 연결된 제 2 의 입구/출구부(120)가 한정되어 있다.
입구/출구부(84)는 역시 라인(128)과 유량 조정 제한기(180)를 통해 솔레노이드 방향 제어밸브(126)에 연결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방향 제어밸브(126)는 라인(134)을 거쳐 공기 공급원(132)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는 본질적으로 상기 설명한 대로 만들어지고 또한 쿠션 방법에 관한 조작은 아래에 설명할 것이다.
헤드커버(38)에서 쿠션기구의 조작은 제 5 도, 6 도, 7를 참조하므로써 설명될 수 있다. 공기 공급원(132)에서 공급된 압력을 가진 공기는 라인(134)를 통해 솔레노이드 방향 제어 밸브(126)으로 도입된다.
솔레노이드 방향 제어밸브(126)가 라인(128)속으로 압력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작용되어질때, 공기는 유동 종정 제한기(130)를 통해 입구/출구부(84)로 인도되고, 그것으로 부터 공기는 공기 압력하에 화살표(C)의 방향으로 피스톤(34)을 변위시키기 위해 화살표(B)로 지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몸체속으로 도입된다.
입구/출구부(84)에서 흘러들어오는 공기는 화살표(D)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제 1 쿠션 체임버로 오는 통로(72)를 통해 통과하는 공기 유동으로 분기된다.
이때, 제 2 밸브 몸체(80)는 돌기부(82)와 단(46)에 의해 마련된 밸브 시트상에 앉혀지고 한편 제 1 밸브 몸체(76)는 공급된 공기 압력으로 돌기부(82)에 떨어져 놓여진다.
제 1 밸브 몸체(76)는 그래서 압력 제어수단(76a)에 의한 고정으로 제 1 쿠션 체임버속으로 공기가 공급되기를 허용한다.
제 1 쿠션체임버(50)에 들어온 압력을 받고 있는 공기는 제 1 쿠션부재(54)가 화살표(E)의 방향으로 피스톤을 향해 전체가 변위되어지기 위해서 디스크(58)를 민다. 압력을 받고 있는 한 공기 부분은 이때 통로(68)을 통해 체임버(50b)속으로 유동한다.
체임버(50b)가 통로(70)를 통해 대기로 구멍이 뚫려 있기때문에, 체임버(50b)속에 들어온 압력을 받고 있는 공기는 부분적으로 통로(7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제 1 쿠션부재(54)가 변위되었을때 비로소 탄성링(65)은 제 1 벽(42)의 면에 대해 압축을 받고 또한 링(65)은 통로(68)과 통로(70)사이의 전달을 봉쇄하며 또한 라인(128)을 거쳐 도입된 압력을 받고 있는 공기는 체임버(50a)에 갇혀있다.
이러는 동안 피스톤 롯드(36)는 피스톤(34)과 동시에 화살표(C)방향으로 변위되고 비로소 피스톤(34)이 제 2 쿠션부재(88)에 반하여 인접하는 쪽으로 오게된다.
제 2 쿠션 체임버(52)에서의 공기 압력이 릴리이프 밸브(116)에 의해 고정된 압력보다 디스크(92)에 의해 더 높은 정도로 증가되었을때, 공기는 통로(108)및 입구/출구부(120)를 통해 쿠션 체임버(52)로부터 배출된다.
롯드커버(40)에서의 쿠션기구의 동작이 헤드커버(38)에서의 쿠션기구의 다음 동작과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지금부터는 다만 헤드커버(38)에서의 쿠션기구의 동작만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솔레노이드 방향 제어밸브(126)가 다음 단계로 피스톤을 운동시키기 위해 전위될때, 라인(134)를 통해 공기 공급원(132)에서 공급된 압력을 받고 있는 공기는 라인(122)과 유량 조정 제한기(124)를 통해 입구/출구부(120)으로 인도된다.
한편, 입구/출구부(120)에서 공기의 일부는 통로(108)로 들어가는 공기유동으로 분기되고 그외 대부분의 공기는 제 6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살표(F)의 방향으로 피스톤(34)속으로 도입된다.
그러므로 피스톤(34)로 압축된 압력을 가진 유체는 화살표(G)의 방향으로 입구/출구부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고, 그 동안 통로(72)에서 압력을 가진 유체는 열려져 있는 입구/출구부(84)밖으로 부분적으로 흘러나온다.
그러나 제 1 쿠션 체임버(50)에 갇혀진 압력을 가진 유체는 흘러나오는 것으로 부터 보호된다.
특히, 제 1 밸브 몸체(76)는 제 1 쿠션체임버(50)에서 충분하게 압축된 공기의 압력으로 헤드커버(38)의 내부벽과 돌리부(82)에 의해 마련된 밸브 시트상에 세차게 압착된다.
공급된 공기압보다 더 높은 압력으로 작동되기 위해 압력 제어 수단(80a)에 의해 미리 고정된 제 2의 밸브 몸체(80)는 압력 제어 수단(80a)에 의해 밸브 시트상에 앉혀진다.
제 1 쿠션부재(54)는 제 1 벽(42)에 대하여 압착된 탄성링(65)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통로(68)는 통로(70)과 통하는 것으로부터 탄성링(65)에 의해 막혀진다.
결과적으로 제 1 쿠션체임버(50)내에서 압력을 받고 있는 공기는 제 1 쿠션 체임버(50)에서 밖으로 나가는 길이 없다.
다음, 피스톤(34) 및 피스톤 롯드(36)가 제 7 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화살표(G) 방향으로 더욱 변위된 후에야 비로소 피스톤(34)은 화살표(I)방향으로 제 1 쿠션부재(54)에 맞닿고 변위된다. 결국, 탄성링(65)은 통로(68)와 통로(70)가 서로 통할수 있도록 제 1 벽(42)로부터 변위된다. 제 1 쿠션 체임버(50)내에 있는 압력을 받고 있는 공기는 통로(7)를 통해 부분적으로 밖으로 나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동시에, 체임버(50a)내의 공기압은 화살표(I)의 방향으로 제 1 쿠션부재(54)가 변위됨에 따라 크게 증가된다. 체임버(50a)내에 형성된 공기압이 제 2 밸브 몸체(80)의 설정 압력을 초과할때 압력을 받고 있는 공기는 제 2 밸브 몸체(80)가 밸브 시트에서 안착되지 않도록 하여 화살표(J)의 방향으로 압력을 가진 공기 유동을 빼어 나가게 한다. 통로(72)에서 압력을 받고 있는공기는 다음 입구/출구부(84)밖으로 배출된다. 제 1 쿠션 부재(54)는 코일 스프링(66)의 탄성력에 반하여 피스톤(34)에 의해 화살표(I)의 방향으로 계속 변위된다. 제 1 쿠션 부재(54)가 규정된 위치에 도달하때, 제 1 쿠션 체임버(50)는 체임버(50a), (50b)가 통로(68)를 통해 서로 관통되어 있는 이상 대기합하로 끝까지 유지되고 통로(70)는 대기로 구멍이 나있다.
다른 방법으로 설명하면, 제 1 쿠션 부재(54)는 피스톤(34)에 의해 밀려져서 제 1 쿠션 체임버(50)내에 갇혀진 공기압은 증가하고, 곧 피스톤(34)의 변위가 미리 결정된 영역에 도달하고, 압력을 가진 공기는 입구/출구부(84)밖으로 배출되어지는 한편 공기압은 제 2 밸브 몸체(80)의 압력 제어수단(80a)에 의해 조절되어 진다. 이런 과정 중, 피스톤의 운동 에너지는 미끄럽게 감소된다. 쿠션 부재(54)가 변위됨에 따라 공기는 통로(68), (70)를 통해 배출되고, 압축된 공기는 제 2 밸브 몸체(80)의 릴리이프(relidef)작용하에 재빨리 배출되며, 제 1 쿠션 부재(54)는 충격으로 피스톤(34)을 튀기고 때리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피스톤(34)의 행정단에서, 운동 에너지는 대체로 0으로 감소될수 있다. 쿠션 기구는 제 1 및 제 2 밸브 몸체(76), (80)의 압력제어수단(76a), (80a)를 조정하므로써 피스톤(34)의 동작속도들에 알맞는 피스톤(34)의 왕복 운동의 별개의 속도들에 어울리는 다양한 쿠션 능력을 제공할수 있다.
제 7 도에 나타난 작동의 완료 후에, 솔레노이드 방향 제어밸브(126)는 공기 공급원(132)에서 라인(128)과 유량 조정 제한기(130)을 통해 입구/출구부(84)속으로 압력을 받으며 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다시 활발하게 작용한다.
압력을 받고 있는 공기는 그때 제 5 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화살표(C)의 방향으로 다시 피스톤(34)을 변위시킨다.
이때, 압력을 받고 있는 분기된 공기 유량은 통로(72) 및 제 1 밸브 몸체(76)를 통해 제 1 쿠션 체임버(50)속으로 인도된다. 결론적으로 제 1 쿠션 부재(54)는 공기압과 코일스프링(66)의 탄성력으로 인해 화살표(E)의 방향으로 제 5 도의 위치까지 변위된다.
이런 귀환 행정에서는 제 1 쿠션 부재(54)는 피스톤(34)에 맞닿고 이들 부재와 피스톤은 화살표(K)(제 8 도)방향으로 같이 변위되어 마침내 탄성링(66)은 제 1 벽(42)에 도달하거나 쿠션 행정이 진행된다.
그래서, 제 1 쿠션 부재(54)는 피스톤(34)은 공동으로 이중-피스톤 실린더를 마련한다.
제 8 도에서 실린더 몸체(32)는 내측 횡단면적
Figure kpo00001
D1을 가지며, 제 1 쿠션 체임버(50)도 역시 내측 횡단면적
Figure kpo00002
D1을 가지며, 제 1 쿠션 부재(54)는 횡단면적
Figure kpo00003
D2를 가지며, 피스톤(34)은 그곳에 적용된 유체압 P1에 지배받고, 또한 제 1 쿠션 부재(54)의 디스크(58)는 그곳에 적용된 유체압 P2에 지배를 받는다. 피스톤(34)과 쿠션 부재(54)가 일치하여 변위될때, 유체압 P1을 받는 피스톤의 횡단면적은 횡단면적
Figure kpo00004
D1-횡단면적
Figure kpo00005
D2이다.
그러나, 횡단면적
Figure kpo00006
D1인 디스크(58)가 제 1 밸브 몸체(76)의 압력제어수단(76a)에 의해 조정된 바와같이 압력 P2로 균일하게 지배받는 이상, 피스톤(34)은 압력 P1이 횡단면적
Figure kpo00007
D1의 피스톤(34)에 적용될때 보다 더 큰 출력이 생기게 되며 이때 제공된 압력 P2는 P1(D2/D1)2보다 더 큰 값이다.
본 발명의 쿠션 기구는 그래서 제 1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단일-피스톤 실린더와 비교하여 시동시 더 큰 출력을 조성하는 승압 효과를 가져올수 있다. 본 발명의 배치로 피스톤의 지연적인 시동은 방지될수 있다. 제 9 도에 예증된바, 파단선으로 지시된 바와같이 피스톤 속도 V1에 도달되는 시간은 종래의 실린더에서는 T1+T2의 시간이 걸린다.그러나, 본 발명의 쿠션기구를 갖춘 실린더는 피스톤이 속도 V1에 도달되는데 다만 T2가 소요될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린더는 실린더를 동작시킬때 종래의 실린더와 비교하여 피스톤 속도 V1에 도달하는 데 요하는 시간은 적어도 T1은 감소될수 있다.
본 발명의 배치와 더불어, 상기 규정한 바와같이, 쿠션기구는 일반적으로 배출된 공기 압력보다 더 높은 압력수준을 가지는, 배출된 공기 압력보다 더 높은 압력수준을 가지는, 배출된 공기 압력을 기초로 하기보다는 오히려 공급된 공기에 기초를 둔 요망된 감쇠 능력을 얻는 쿠션 압력을 발생시킨다. 공급된 공기에 대한 차압 밸브(76)의 압력제어수단(76a)의 조정을 통해 요망된 쿠션 압력이 선택될수 있기 때문에 감쇠 능력은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의 쿠션 기구는 감쇠 능력이 왕복적으로 움직이는 피스톤의 운동 에너지에 잘 대처할수 있도록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 것이다.
제10도에서 예증한 바와같이 종래의 쿠션 기구에 의하면, 쿠션 압력은 배출된 공기 압력으로부터 구동되고 또한 최대 배출 공기압 PS가 아주 높을 지라도 P0에서 상승하기 시작하는 쿠션 압력이 발생되는 시간은 피스톤 행정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과 함께 제1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배출 공기압이 일정한 비율로 변할지라도, 쿠션 압력 P11은 공급된 공기압 P1을 정선함으로써 야기되고, 쿠션압력 P21은 공급된 공기압 P2를 정선함으로써 야기되고, 쿠션 압력 PSMax은 최고압으로 공급된 공기압 PS를 정선함으로써 야기될수 있다. 그래서, 쿠션 압력이 이용되는 범위는 넓다. 쿠션력의 근원이 배출 공기압이 아닌 공급된 공기압이기 때문에, 피스톤의 매우 넓은 영역의 동작속도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상응한 고 쿠션 압력 수준으로 어울리는 한편 쿠션 기구의 기계요소들은 주어진 크기로 유지된다. 서로 상이한 피스톤 구동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서로 상이한 쿠션 기구를 만드는 것이 관례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쿠션 기구는 적용상 융통성 있고 또한 치밀한 크기로 설계되었고 대량 생산할수 있게 설계되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쿠션 기구를 예증하고 있다. 제12도에서 서로 같거나 상응하는 부분을 전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기호로 표기된다.
앞서의 실시예에서 제 1 밸브 몸체(76)는 압력 조정수단 및 차압 밸브능력을 가지지 않는 체크 밸브(200)로 대치되었으며 또한 앞서 실시예에서의 제 3 밸브 몸체(112)도 압력 조정 수단 및 차압밸브 능력을 가지지 않는 체크 밸브로 대치되었다. 이런 구조와 더불어 압력을 받는 공기가 체크 밸브를 통해 쿠션 체임버들(50a), (50a)(제 4 도)속으로 도입되기 때문에 체크 밸브를 거치는 압력 낙차는 고정적으로 작다. 그러므로, 쿠션 부재(54), (88)는 코일 스프링(66), (102)(제 4 도)이 요구되지 않는 결과로 단지 공급된 공기의 압력으로 제 5 도의 위치로 되돌아올수 있다. 압력 조정이 릴리이프 밸브(80), (116)의 압력제어수단(80a), (116a)에 의해 영향 받는 즉, 제12도의 공기압 실린더는 실린더가 확실한 영역의 고속도로 동작되는 한계적인 적용에서 사용될수 있다. 부가적으로, 쿠션 기구는 더욱 단순해지고 비용이 감소되며 압력 조정이 간단해진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쿠션 기구를 나타낸다. 제13도에서 같거나 상응하는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기호로 표기된다. 앞서의 구현 실시예의 돌기부(82)는 통로(72)와 체임버(50)의 사이에 마련된 구부러진 돌기부(300)으로 대치되고 또한 제 2 밸브 몸체(80)는 구부러진 돌기부(300)의 곡부와 단(46)사이에 배치된다. 유량 조정 제한기 밸브(304)는 또한 돌기부(300)와 단(46)사이에 배치된다. 롯드커버(40)는 동일 구조로 되었다. 제13도의 배치는 피스톤이 저속도로 왕복운동하는 곳에서 쿠션력을 발휘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쿠션 기구는 종래의 쿠션 기구의 감쇠 능력을 능가하는 조건하에 사용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설계된 한편, 본 발명의 쿠션 기구는 종래 쿠션 기구로 커버될수 있는 동작 속도 범위내에서 사용될수 있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릴리이프 밸브(80)는 체임버(50)에서 방출된 압력을 가진 공기를 통과시키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단일 유량 조정 제한기 밸브(304)의 릴리이프 능력은 피스톤의 저운동 에너지를 만족시킬 것이다. 유량 조정 제한기 밸브(304)는 피스톤의 저운동 에너지에 대해 압력 릴리이프 작용을 제공할수 있으며 한편, 릴리이프 밸브(80)는 저압 고정으로 조정되며 또한 저운동 에너지를 위한 릴리이프 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제13도에 나타난 릴리이프 밸브(80)와 유량 조정 제한기 밸브(304)의 2중 구조는 종래 쿠션 기구에 의해 커버된 영역과 종래의 쿠션 기구의 능력을 초월하는 영역 모두를 해결할수 있으며 본 발명의 쿠션 기구로 잘 해결될수 있다. 그러므로, 제13도의 쿠션 기구를 보다 넓은 영역의 구동 조건에도 잘 응용될수 있다. 확실한 바람직한 구현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많은 변화와 수정들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벗어남 없이 그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쿠션 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가 (a)그의 한 단부에 제 1 쿠션 체임버를 갖고 그의 대향단부에 제 2 쿠션 체임버를 가지며, 그의 단부들에 제 1 및 제 2 입구/출구부를 각각 지니고, 상기 제 1 입구/출구부와 상기 제 1 쿠션 체임버는 제 1 공기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하며, 상기 제 2 입구/출구부와 상기 제 2 쿠션 체임버는 제 2 공기 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하도록 된 실린더 몸체 : (b) 상기 실린더 몸체에서 미끄럼식으로 구동하는 피스톤 : (c) 상기 제 1 쿠션 체임버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에 의해 밀어 움직여지도록 상기 피스톤을 향하여 뻗어 있는 제 1 쿠션 부재와 : (d) 상기 제 2 쿠션 체임버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에 의해 밀어 움직여지도록 상기 피스톤 쪽으로 뻗어 있는 제 2 쿠션 부재와 : (e) 공통 방향 제어밸브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입구/출구부에 연결된 공기 공급원과 : (f) 상기 공기 공급원에서 공기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공기 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쿠션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쿠션 체임버내로 조정된 공기 압력을 공급하는 제 1 밸브 몸체와 : (g) 상기 피스톤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변위된 상기 제 1 쿠션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쿠션 체임버에 압축된 공기의 압력이 미리 결정된 레벨을 초과할때 상기 제 1 쿠션 체임버에서 상기 제 1 입구/출구부까지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 1 공기 통로에 배치된 제 2 밸브 몸체와 : (h) 상기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기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제 2 공기 통로속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쿠션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쿠션 체임버내로 조정된 공기 압력을 공급하는 제 3 밸브 몸체와 : (i) 상기 피스톤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변위된 상기 제 2 쿠션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쿠션 체임버 내에 압축된 공기 압력이 미리 결정된 레벨을 초과할때 상기 제 2 쿠션 체임버에서 상기 제 2 입구/출구부까지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 2 공기 통로에 배치된 제 4 밸브 몸체 ;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부착된 일단을 가지는 피스톤 롯드와, 상기 피스톤의 일단면에 맞물리는 샤후트와 상기 제 1 쿠션 체임버내에서 상기 샤후트와 동시에 가동하는 디스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쿠션 체임버에 배치된 압축 부재로써 상기 피스톤을 향해 정상적으로 압축되는 상기 제 1 쿠션 부재와, 원통형 몸체를 통해 뻗어 있는 상기 피스톤 롯드를 가진 상기 피스톤의 반대편 단면에 맞물리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제 2 쿠션 체임버 내에서 상기 원통형 몸체와 동시에 가동하는 디스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쿠션 체임버에 배치된 압축 부재로 상기 피스톤을 향해 정상적으로 압축되는 상기 제 2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몸체의 일단에 장착된 헤드 커버와, 상기 실린더 몸체내에 배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헤드 커버를 향해 있는 제 1 벽과, 상기 헤드 커버와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1 벽의 단부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제 1 쿠션 체임버와, 상기 실린더 몸체의 반대쪽 단에 설치된 롯드 커버와, 상기 실린더 몸체내에 배치되고 한단이 상기 롯드 커버를 향해 있는 제 2 벽과, 상기 롯드 커버와 상기 제 2 벽 및 상기 제 2 벽의 단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제 2 쿠션 체임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쿠션 부재들을 압축하기 위한 상기 압축 부재가 각기 코일 스프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 몸체들은 각기 압력 조정용의 차압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 몸체들은 각기 압력 조정용 릴리이프 밸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밸브 몸체들은 각각 체크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4 밸브 몸체들이 각기 제한기 밸브(restrictor valve)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쿠션부재는 각기 상기 제 1 및 제 2 쿠션 체임버들을 대체적으로 두 체임버로 나누는 디스크들은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디스크는 두 체임버 사이를 연통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체임버의 각기 나누어진 두 체임버중 하나가 대기로 구멍이 나있는 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디스크에 설치된 탄성링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링은 두 체임버 사이가 통하는 상기 통로사이의 연통을 봉쇄하며 상기 통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쿠션부재가 상기 피스톤을 향해 변위되었을때 대기로 구멍이 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11. 실린더 몸체내에 미끄럼식으로 배치된 피스톤과 피스톤에 부착된 피스톤 롯드를 지지는 동시에 그 몸체내에 변위성있게 설치되고 피스톤에 맞물리는 쿠션부재를 갖는 쿠션 체임버를 가지는 실린더 몸체와, 상기 쿠션 체임버와 연통하는 밸브 몸체를 가지고 있는 공기압 실린더를 쿠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상기 피스톤과 피스톤 롯드를 왕복 운동할 수 있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공기 공급원에서 상기 공기압 실린더 속으로 공기를 압력하에 공급하는 단계와, (b)공급된 공기로 부터 분기된 공기류를 상기 쿠션 체임버 속으로 도입하고 동시에 상기 쿠션 체임버를 변위시키는 단계와 : (c)상기 쿠션 체임버내에 저장된 공기를 압축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롯드의 왕복 운동에 응하여 상기 쿠션 부재와 함께 밀려져서 맞닿는 쪽으로 상기 피스톤을 가져가는 단계와 : (d)상기 피스톤을 쿠션시키기 위해 상기 밸브 몸체를 통해 상기 실린더 몸체밖으로 상기 쿠션 체임버에서 압축된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 :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실린더의 쿠션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체임버 속으로 도입된 공급된 공기 유입량이 압력 조정용의 밸브 몸체에 의해 압력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실린더의 쿠션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 피스톤 롯드의 왕복 운동에 응하여 변위된 상기 쿠션부재가 상기 쿠션 체임버에서 대기로 구멍이 나있는 통로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실린더 쿠션방법.
KR1019840005663A 1983-09-17 1984-09-17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및 쿠션방법 KR880002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U144133 1983-09-17
JP1983144133U JPS6051305U (ja) 1983-09-17 1983-09-17 クツシヨン機構を有する空気圧シリンダ
JP??58-144133 1983-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880A KR850002880A (ko) 1985-05-20
KR880002383B1 true KR880002383B1 (ko) 1988-11-03

Family

ID=15354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663A KR880002383B1 (ko) 1983-09-17 1984-09-17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및 쿠션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700611A (ko)
JP (1) JPS6051305U (ko)
KR (1) KR880002383B1 (ko)
AU (1) AU571578B2 (ko)
DE (1) DE3434033A1 (ko)
FR (1) FR2552172B1 (ko)
GB (1) GB21490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3369A1 (de) * 1985-04-15 1986-10-16 Alten, Kurt, 3015 Wennigsen Hydraulischer arbeitszylinder
DE3639121A1 (de) * 1986-11-15 1988-05-19 Hausherr & Soehne Rudolf Vorrichtung zur umwandlung einer hubbewegung in eine drehbewegung
JPS63303204A (ja) * 1987-05-30 1988-12-09 Smc Corp エアシリンダの減速装置
DE3740669A1 (de) * 1987-12-01 1989-06-15 Festo Kg Pneumatischer stossdaempfer
DE3825453A1 (de) * 1988-07-27 1990-02-01 Wilfried Sundermeyer Hydraulikzylinder
GB8818518D0 (en) * 1988-08-04 1988-09-07 Robinson L K Improvements in/relating to ram units in transmission of toroidal race rolling traction type
DE3929246A1 (de) * 1989-09-02 1991-03-21 Dornier Luftfahrt Hydraulischer linearmotor
DE9010446U1 (ko) * 1990-07-11 1990-10-25 Vbs Vertriebsgesellschaft Fuer Schweisstechnik Mbh, 3560 Biedenkopf, De
JPH04331832A (ja) * 1991-05-02 1992-11-19 Canon Inc 衝撃吸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旋回駆動装置
US5252042A (en) * 1991-08-09 1993-10-12 Kabushiki Kaisha Kosmek Gas booster assembly for fluid pressure piston driving apparatus
ES2097395T3 (es) 1992-06-22 1997-04-01 Bayne Machine Works Inc Elevador de cubos para elevar e inclinar un cubo.
US5308211A (en) * 1992-06-22 1994-05-03 Bayne Machine Works, Inc. Residential refuse collection cart lifter with universal features
US5373777A (en) * 1993-12-03 1994-12-20 Foster; Raymond K. Linear hydraulic motor with snubber
FI100909B (fi) * 1995-05-31 1998-03-13 Lauri Jauhola Menetelmä pneumaattisessa oskillointilaitteessa esteen havaitsemiseksi ja liikkeen jatkamiseksi sekä vastaava oskillointilaite
US5558190A (en) * 1995-10-06 1996-09-24 Chang; John Damping device adapted for use in exercise apparatus
DE29519232U1 (de) * 1995-12-05 1996-04-04 Tuenkers Maschinenbau Gmbh Kniehebelspannvorrichtung
US5694827A (en) * 1996-01-02 1997-12-09 Euclid-Hitachi Heavy Equipment, Inc. Dump body cushion
DE19604516B4 (de) * 1996-02-08 2007-03-01 Zf Friedrichshafen Ag Pneumatische Schalteinrichtung
US5737998A (en) * 1996-11-25 1998-04-14 Wang; Chiu Nan Heavy-load hydraulic or air cylinder
US5984609A (en) * 1998-02-23 1999-11-16 Mcneilus Truck And Manufacturing, Inc. Lifting and tipping mechanism for front loading refuse truck
US6038956A (en) * 1998-04-02 2000-03-21 Lane; Norman Dynamic pressure regulator cushion
DE19824579C1 (de) 1998-06-02 1999-06-17 Tuenkers Maschinenbau Gmbh Kniehebelspannvorrichtung,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m Karosseriebau der Kfz-Industrie
AT407661B (de) * 1998-08-04 2001-05-25 Hygrama Ag Druckmittelzylinder, weichenventil und druckmittelbetätigte arbeitseinheit
US6296092B1 (en) * 1998-10-28 2001-10-02 Fox Factory, Inc. Position-sensitive shock absorber
US6138773A (en) * 1999-05-11 2000-10-31 Action Machinery Of Alabama, Inc. Foundry deceleration apparatus
US6619182B2 (en) 2001-04-25 2003-09-16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Flow control device
SE517269C2 (sv) * 2001-05-31 2002-05-21 Stroemsholmen Ab Arrangemang vid pressverktyg för att bromsa en gasfjäders kolv/kolvstång
US6584885B2 (en) * 2001-06-12 2003-07-0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riable lift actuator
JP2003065379A (ja) * 2001-08-27 2003-03-05 Smc Corp 緩衝機構
CA2401201C (en) * 2001-09-12 2007-07-03 Spray Air Technologies Ltd. Hydraulic actuator for supporting a boom
US6612410B1 (en) 2001-10-17 2003-09-02 Yevgeny Antonovsky High frequency shock absorber and accelerator
US6454061B1 (en) * 2001-10-17 2002-09-24 Yevgeny Antonovsky High frequency shock absorber and accelerator
DE10236137B4 (de) * 2002-08-07 2010-05-06 Suspa Holding Gmbh Federstrebe
DE10249509A1 (de) * 2002-10-23 2004-05-13 Bar Pneumatische Steuerungssysteme Gmbh Pneumatischer Stellantrieb
SE525944C2 (sv) * 2002-11-21 2005-05-31 Oehlins Racing Ab Gasfjäder för fordon, t ex motorcykel, och ventil för sådan gasfjäder
JP2004293628A (ja) * 2003-03-26 2004-10-21 Kayaba Ind Co Ltd 液圧シリンダの制御装置
NL1024852C2 (nl) * 2003-11-24 2005-05-26 Actuant Corp Afsluitsamenstel.
US7223933B2 (en) * 2004-01-21 2007-05-29 Doben Limited Low impact spot welding cylinder with single piston
CA2587596C (en) * 2004-12-10 2015-12-29 Doben Limited Low impact spot welding cylinder using single or double piston
US7214902B2 (en) * 2004-12-13 2007-05-08 Doben Limited Low impact spot welding cylinder with dual pistons
DE102005015216B4 (de) * 2005-04-02 2007-02-01 Bosch Rexroth Ag Dämpfungseinrichtung für Linearantriebe
EP1729015A1 (de) * 2005-06-03 2006-12-06 FESTO AG & Co Fluidgerät, insbesondere fluidbetätigter Antrieb
DE102007002892A1 (de) 2007-01-15 2008-07-17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sorgen von Kassenstationen mit Münzen
US7753230B2 (en) * 2007-12-20 2010-07-13 Mikio Kusano Nut feeder
US8578837B1 (en) 2010-05-12 2013-11-12 John C. A. Burhoe Pressure unloading valve to cushion a pneumatic cylinder
DE102014208064B4 (de) * 2014-04-29 2015-12-03 Heraeus Medical Gmbh Lavage-System mit einem Druckgasmotor sowie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Sprühstoßes
CN104265732A (zh) * 2014-10-17 2015-01-07 无锡英普林纳米科技有限公司 气室缓冲式液压缸
CN105020203B (zh) * 2015-06-30 2017-04-05 华南理工大学 一种内置气动缓冲装置的高速气缸
DE102016002705A1 (de) 2016-03-05 2017-09-07 Wabco Gmbh Pneumatische Schaltvorrichtung eines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s
DE102017003017A1 (de) * 2017-03-29 2018-10-04 Wabco Gmbh Aktuator für ein automatisiertes oder automatisches Schaltgetrieb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ieses Aktuators
CH714963A1 (de) * 2018-05-02 2019-11-15 Explotechnik AG Druckwellengenerato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ruckwellengenerators, sowie pneumatischer Aktuator.
CN109340215B (zh) * 2018-12-04 2023-09-26 四川凌峰航空液压机械有限公司 内置阻尼气动作动器
CN112555228B (zh) * 2020-12-09 2021-11-05 山东科技大学 一种具有卸压及缓冲保护的抗冲击平衡油缸
CN113048120A (zh) * 2021-04-15 2021-06-29 南京工业职业技术大学 一种工业用双作用气缸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19398U (de) * 1973-11-08 Dango & Dienenthal Kg Pneumatischer Kraftkolben
DE655606C (de) * 1931-09-16 1938-01-19 Guenther Friedrich Klerner Gegenmotor fuer Schuettelrutschen mit staendig von einem Druckmittel beaufschlagtem Arbeitskolben
US2430597A (en) * 1944-04-13 1947-11-11 Int Harvester Co Implement adjusting mechanism
US2783743A (en) * 1953-10-28 1957-03-05 Nat Pneumatic Co Inc Hydraulic piston check for use with a pneumatically operated piston motor
DE1036801B (de) * 1957-03-09 1958-08-21 Kleinewefers Soehne J Ausgleichseinrichtung fuer die Druckhydraulik an Kalandern
DE1239948B (de) * 1959-06-30 1967-05-03 Stothert & Pitt Ltd Durch Druckmedium betaetigter, doppeltwirkender Druckzylinder
US3054383A (en) * 1960-11-04 1962-09-18 Hanna Engineering Works Fluid motor
US3162092A (en) * 1962-07-09 1964-12-22 Tomkins Johnson Company Cylinder cushion structure
FR1361239A (fr) * 1963-06-29 1964-05-15 Tomkins Johnson Co Moteur à expansion avec amortisseur de fin de course de son piston
DE1918550U (de) * 1965-04-17 1965-06-24 Fischer Brodbeck G M B H Praez Daempfungsvorrichtung fuer hin- und hergehende kolben- oder schaltglieder an rundschalttischen oder aehnlichen einrichtungen.
US3476014A (en) * 1967-03-31 1969-11-04 Parker Hannifin Corp Speed variable piston and cylinder arrangements
GB1313438A (en) * 1971-09-06 1973-04-11 Miles D Convector space heating or cooling apparatus
US4043254A (en) * 1974-12-03 1977-08-23 Emhart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cushioning the motion of a reciprocating member
JPS5232476A (en) * 1975-09-08 1977-03-11 Asahi Chem Ind Co Ltd Air cylinder with damper
JPS52124394U (ko) * 1976-03-19 1977-09-21
AU496219B2 (en) * 1976-06-22 1978-01-05 Parker-Hannifin Corporation Cushioning means fob hydraulic cylinder
US4065112A (en) * 1976-08-23 1977-12-27 Towmotor Corporation Hydraulic jack cushioning apparatus
DE2738476C2 (de) * 1976-09-02 1985-08-01 Shoketsu Kinzoku Kogyo K.K., Tokio/Tokyo Steuerventil
US4195552A (en) * 1976-12-03 1980-04-01 Mac Valves, Inc. Pressure reducer and flow control valve
NL182162C (nl) * 1977-01-10 1988-01-18 Hydraudyne Bv Inrichting voor het hydraulisch of pneumatisch aandrijven en afremmen van een werktuig.
JPS5819383B2 (ja) * 1977-02-15 1983-04-18 東芝機械株式会社 射出成形装置
JPS544989U (ko) * 1977-06-14 1979-01-13
DE2813694C2 (de) * 1978-03-30 1981-09-17 Tünkers Maschinenbau GmbH, 4030 Ratingen Druckmittelbetätigbare Kniehebelspannvorrichtung mit einem dopptelt wirkenden Spannzylinder, in dem ein Differentialkolben längsverschiebbar geführt ist
JPS5825527B2 (ja) * 1978-07-10 1983-05-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多段打抜き装置
JPS57103947A (en) * 1980-12-18 1982-06-28 Kuroda Precision Ind Ltd Pneumatic shock absorber
SU973960A1 (ru) * 1981-03-04 1982-11-15 Харьковский Филиал Всесоюз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Литей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Литейной Технологии И Автоматизации Литейно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Гидроцилиндр
DE3137345C2 (de) * 1981-09-19 1985-08-14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Druckluftzylinder mit Endlagendämpf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51305U (ja) 1985-04-11
FR2552172A1 (fr) 1985-03-22
GB2149014B (en) 1987-08-19
US4700611A (en) 1987-10-20
GB2149014A (en) 1985-06-05
AU571578B2 (en) 1988-04-21
DE3434033C2 (ko) 1988-10-20
FR2552172B1 (fr) 1989-12-29
JPH0124412Y2 (ko) 1989-07-25
AU3304684A (en) 1985-04-18
DE3434033A1 (de) 1985-04-11
KR850002880A (ko) 1985-05-20
GB8423316D0 (en) 198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383B1 (ko) 쿠션기구를 갖는 공기압 실린더 및 쿠션방법
JP2905430B2 (ja) 流体圧シリンダ
JP4698114B2 (ja) 受動バルブアセンブリ
US5275136A (en) Variable engine valve control system with hydraulic damper
US5558506A (en) Pneumatically shifted reciprocating pump
US6152705A (en) Air drive pumps and components therefor
US5085299A (en) Shock absorber with two seat valve
US5386977A (en) Hydraulically damping engine mounting
JP2001518587A (ja) 油圧弁アクチュエータ
US7090474B2 (en) Diaphragm pump with overfill limiter
JPH0868471A (ja) 弁の閉鎖部材の周期的なストローク運動に影響を及ぼす装置と方法
JPH0674751B2 (ja) 液体または気体エネルギ−の伝送を行うフリ−ピストン・モ−タ
JPH04303182A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を有する自動車ブレーキ装置用の油圧式往復動ピストンポンプ
CN88100522A (zh) 用于内燃机的燃油喷射泵
KR920701616A (ko) 내연기관용 유압 밸브 제어장치
US3908373A (en) High energy rate actuator
JP2009052703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6202536B1 (en) Pneumatic reciprocatory actuator and method of operating it
KR100215154B1 (ko) 피스톤식 압축기의 기동쇼크 완화장치
US3361158A (en) High pressure one-way fluid valve mechanism for high speed hydraulic piston pump
WO1992007173A1 (en) An actuator
US4870890A (en) Automatic reversing valve
US5676109A (en) Hydraulic system, in particular an engine brak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1200062A1 (ru) Дроссе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U1587250A1 (ru) Гидроцилинд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