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961B1 - 트롤리 콘베이어 - Google Patents

트롤리 콘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961B1
KR880001961B1 KR1019830001881A KR830001881A KR880001961B1 KR 880001961 B1 KR880001961 B1 KR 880001961B1 KR 1019830001881 A KR1019830001881 A KR 1019830001881A KR 830001881 A KR830001881 A KR 830001881A KR 880001961 B1 KR880001961 B1 KR 880001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ite
dog
free
do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704A (ko
Inventor
타까오 와까바야시
Original Assignee
나까니시 킨조꾸 코오교오 가부시기사이샤
나까니시 카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니시 킨조꾸 코오교오 가부시기사이샤, 나까니시 카즈오 filed Critical 나까니시 킨조꾸 코오교오 가부시기사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0Power and fre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0Power and free systems
    • B61B10/04Power and free systems with vehicles rolling trackless o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롤리 콘베이어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닥형 복식 트롤리 콘베이어의 부분절결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부분확대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5도는 물림도그의 사시도.
제6도는 물림해제용 캠의 작용을 도시하는 콘베이어의 확대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8도는 합류 및 분기장치를 도시하는 개략평면도.
제9도는 합류장치의 부분확대 개략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Ⅹ-Ⅹ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11도는 합류장치의 부분확대 개략평면도로서 캐리어의 합류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제11도의 ⅩⅡ-ⅩⅡ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
제13도는 분기장치의 부분확대 개략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ⅩⅣ-ⅩⅣ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15도는 분기장치의 부분확대 개략평면도로서 캐리어의 분기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제15도의 ⅩⅥ-ⅩⅥ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17도는 전철기의 상세를 설명하는 부분확대평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ⅩⅨ-ⅩⅨ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19도는 제9도의 ⅩⅨ-ⅩⅨ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20도는 제15도의 ⅩⅩ-ⅩⅩ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21도는 제8도의 ⅩⅩⅠ-ⅩⅩⅠ 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로서 스토퍼에 의한 물림도그의 물림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2도는 동확대단면도로서 스토퍼에 의한 물림도그의 물림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3도는 제21도에 대응하는 부분확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 2 : 트롤리콘베이어
3 : 캐리어 4,5,6,7 : 프리이트롤리
F : 프리이라인 P : 파우어라인
8 : 수직연결봉 9 : 물품안치대
10 : 물품 11 : 수평연결봉
12 : 트롤리본체 13 : 수직로울로
14 : 스평로울러 15 : 연결쇠
16 : 프리이레일 16A : 하부수평벽
16B : 상부수평벽 17 : 브래킷
18,19 : 물림도그 20 : 축
21 : 물림돌출부 22,23 : 물림해제용날개부
24 : 타주방지돌출부 24a : 경사벽
25 : 받침 26 : 접치용캠
27 : 파우어레일 28 : 파우어트롤리
29 : 트롤리본체 30 : 수직로울러
31 : 프려셔도그 32 : 구동체인
33 : 연결부재 34 : 핀
35 : 접속부 36 : 접속부
37 : 합류용전철기 38 : 분기용 전철기
40 : 선택레일 41 : 물림해제판
42 : 수평로울러안내판 43 : 연결핀
44 : 결합판 45 : 축
46 : 조작간 47 : 유압실린더
48 : 피스톤로드 49 : V형단부
51 : 보조레일 52 : 보조레일
54 : 스토퍼장치 55 : 스토퍼
본 발명은 바닥형 복식 트롤리 콘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트롤리 콘베이어에 있어서, 콘베이어의 캐리어의 합류 또는 분기를 위해서 파우어라인이 단속(斷續)하는 부분에서는 파우어 트롤리의 구동체인과는 별도의 구동력에 의해서 작동하는 캐리어 추진장치를 설치해서 캐리어를 이송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캐리어 추진장치를 설치하면 대단히 설비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캐리어의 합류 및 분기를 대단히 능률적으로 또한 확실히 수가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설비비용이 작게들고, 또 캐리어를 정지시킬때도 스토퍼장치를 콘베이어라인의 한쪽에만 배치해도 되고, 따라서 대단히 간편하고, 설비 비용이 싼 바닥형 복식 트롤리 콘베이어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을 이하 도면에 도시라는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앞" 이란 캐리어의 진행방향을 말하고, 또 "좌우" 는 이 진행방향에 대한 좌우를 말한다.
제1도 내지 제7도에서 바닥(1)에 설치된 복실 트롤리 콘베이어(2)는 캐리어(3)를 안내하는 프리이라인(F)과 이것의 아래쪽에 배치된 파우어라인(P)을 구비하고 있다. 캐리어(3)는 4개의 프리이트롤리(4),(5),(6),(7)를 구비하고 있고, 중간의 2개의 프리이트롤리(5),(6)에 수직연결봉(8),(8)에 의해 물품 안치대(9)가 장착되고, 이것에 자동차 조립중간품 등의 물품(10)이 놓여지게 된다. 전방프리이트롤리(4)와 후방프리이트롤리(7)는 수평연결봉(11),(11)에 의해 중간 프리이트롤리(5),(6)에 연결된다.
각 프리이트롤리(4),(5),(6),(7)는 트롤리본체(12)와 이것의 앞뒤 양단에 장착된 앞뒤 각 1쌍씩의 수직 로울러(13) 및 앞뒤 1쌍의 수평로울러(14)와 트롤리본체(12)의 중앙부 상단에 장착된 횡단면 U형의 연결쇠(15)를 구비하고 있다. 프리이라인(F)은 서로 대향상태로 배치된 1쌍의 횡단면
Figure kpo00001
자형의 프리형의 프리이레일(16)에 의하여 구성되고, 각 프리이트롤리(4),(5),(6),(7)의 수직로울러(13)가 프리이레일(16)의하부 수평벽(16a)에 놓여지고, 수평 로울러(14)가 상부 수평벽(16b)를 사이에 배치되어서 이들 상부 수평벽(16b)에 의해서 안내된다.
전방 프리이트롤리(4)에는 이것의 트롤리본체(12)앞쪽으로 돌출된 좌우 1쌍의 브래킷(17)이 설치되고, 브래킷(17)의 전단부에 자유로이 요동되는 좌우 1쌍의 물림도그(dog),(18),(19)가 장착된다. 물림도그(18),(19)의 전단부들은 축(20)으로 연결되고, 후단부에 근접해서는 아래로 돌출된 물림돌출부(21),(21)를 각각 가지는 동시에 좌측 및 우측으로 서로 밖으로 돌출된 물림해제용 날개부(22),(23)가 설치된다. 또 물림도그 (18),(19)의 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타주(惰走)방지돌출부(24),(24)가 설치된다. 타주방지돌출부(24),(24)는 물림돌출부(21),(21)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배치되고, 물림돌출부(21),(21)보다 작다. 또 이들의 타주방지돌출부(24),(24)의 후면에는 경사벽(24a),(24a)이 형성된다. 물림도그 (18),(19)의 축(20)을 넘은 전단에는 받침(25),(25)이 설치되고, 이것은 물림도그 (18),(19)의 자중에 의한 하향상태에 있어서 트롤리 본체(12)의 전단(12a)에 접촉한다.
후방 프리이트롤리(7)에는 이것의 트롤리본체(12)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적치용 캠(26)이 구비된다.
파우어라인(P)는 서로 대향상으로 배치된 1쌍의 횡단면
Figure kpo00002
자형의 파우어레일(27)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 파우어레일(27)을 주행하는 파우어트 롤리(28)는 트롤리본체(29)와, 이것의 전후양단에 장착된 앞뒤 1쌍씩의 수직 로울러(30)와, 트롤리본체(29)의 중앙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프셔도그(31)를 구비한다. 트롤리본체(29)는 구동체인(32)에 의하여 연결되고, 파우어 트롤리(28)의 프셔 도그(31)는 구동체인(32)과 함께 이동한다.
상기 복식 트롤리콘베이어(2)는 제1도 내지 제4도의 도시와 같이 프셔도그(31)가 캐리어(3)의 전방 프리이트롤리(4)에 대하여 후방으로 부터 접근하면 이것의 전면경사벽(31a)이 물림도그 (18),(19)의 타주방지돌출부(24),(24)후면의 경사벽(24a),(24a)에 접촉된다. 이것에 의하여 물림도그 (18),(18)는 위쪽으로 약간 요동하고, 프셔도그(31)는 타주방지철부(24),(24)의 아래쪽을 통과해서 물림돌출부(21),(21)에 맞물리게 되어 캐리어(3)가 프셔도그(31)에 의해서 견인이송된다. 여기에서 프셔도그(31)와 물림돌출부(21),(21)간의 맛물림시에는 물림도그(18),(19)가 요동하지 않도록 물림도그(18),(19)의 형상 및 축(20)의 위치 등이 정해져 있다.
또, 프셔도그(31)와 물림돌출부(21),(21) 간의 충돌접촉에 의하여 캐리어(3)의 속도가 급격히 증대되는 등의 경우에는, 프셔도그(31)와 이것의 뒷쪽의 타주방지돌출부(24),(24)가 맞물리고, 이것에 의하여 캐리어(3)의 타주가 방지된다. 프셔도그(31)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물림도그(18),(19)의 양쪽에 맞물리게 되는 경우와 후기와 같이 프리이라인(F)에 대하여 파우어라인(P)이 좌우 어느쪽에 쏠리므로써 좌우물림도그(18),(19)의 어느 한쪽에 물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 제6도와 제7도의 도시와 같이 선행 캐리어(3)에 대하여 후행캐리어(3)가 따라 붙었을때는 후행 캐리어(3)의 전방프리이 트롤리(4)의 물림도그(18),(19)가 선행캐리어(3)의 후방프리이트롤리(7)의 적치용캠(26)에 의하여 들어올려지고, 이로인해 물림 도그(18),(19)와 프셔도그(31)와의 물림이 해제되어 후행캐리어(3)의 뒷쪽에 적치된다.
제8도 내지 제20도는 복식 트롤리콘베이어(2)에 있어서의 캐리어(3)의 합류 및 분기 장치를 도시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캐리어(3)의 합류장치에 있어서는, 완만한 곡선상의 주(主)프리이라인(F1)에 대하여 이것의 좌측에 직선상의 합류프리이라인(F2)이 접속된다. 양라인(F1),(F2)의 접속부(35)에 있어서 주파우어라인(P1)은 주프리이라인(F1)의 중심선(I1)에서 우측으로 시프트되어(즉, 치우쳐)배치되는 동시에 합류프리이라인(F2)아래쪽의 합류파우어라인(P2)은 합류프리이라인(F2)의 중심선(I2)에서 좌측으로 샤프트해서 배치되고, 합류파우어라인(P2)은 접속부(35)를 지난후, 뒤로 크게 좌측으로 굴곡해서 프리이라인(F2)의 각각 우측과 좌측에 스토포장치(54),(54)가 배치된다.
다음에 캐리어(3)의 분기장치에 있어서는 완만한 곡성상의 주프리이라인(F1)에 대하여 이것의 우측에 직선상의 분기라인(F3)이 접속되고, 양라인(F1),(F3)의 접속부(36)에 있어서 주 프리이라인(F1)아래쪽의 주파우어라인(F1)아래쪽의 주파우어라인(P1)은 주프리라인(F1) 중심선(I1)에서 좌측으로 시프트하여 배치된다.
분기 파우어라인(P3)은 접속부(36)의 우측으로 부터 분기 프리이라인(F3)의 아래쪽으로 떨어지고, 접속부(36)에 있어서는 분기파우어라인(P3)은 분기 프리이라인(F3)의 중심선(I3)에서 우측으로 시프트해서 배치된다. 또, 양 프리이라인(F1),(F3)의접속부(36)에는 분기용 전철기(戰撤機)(38)가 배치된다. 그리고 접속부(36)의 뒷쪽에 치우친 부분에 있어서 주프리이라인(F1)의 좌측에 스토퍼장치(54)가 배치된다. 제17도와 제18도는 전철기(37),(38)의 상세를 도시한다. 또 합류용 전철기(37)와 분기용 전철기(38)는 서로 방향이 다를뿐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다.
즉 전철기(37),(38)는 주프리이라인(F1) 및 합류 또는 분기 프리이라인(F2) 또는 (F3)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선택 레일(40)과, 선택리일(40)의 아래쪽에 연결핀(43)에 의해 평행상으로 장착되고, 또 선택레일(40)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물림해제판(41)과 선택레일(40)의 위쪽에 결합판(44)을 개재하여 평행상으로 장착되고, 또 선택레일(4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수평로울러 안내판(42)을 구비한다. 전철기(37),(38)는 프리이라인(F1)과 (F3),(F2)의 접속부(35),(36)에 각각 축(45)에 의하여 수평으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다. 결합판(44)의 한쪽에는 조작간(46)이 설치되고, 이 조작간(46)의 선단부에 유압실린더(47)의 피스톤로드(48)가 접속되고, 이 피스톤로드(48)의 출입으로 전철기(37),(38)가 자동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선택레일(40)은 그 길이의 중간에 평면으로 보아서 V형의 단부(49)가 형성되고, 이 단부(49)에서 축(45)까지의 선택레일(40)의 기부(40a)는 두께가 두껍고, 그 상면에 프리이 레일(16)의 하부수평벽(16a)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레벨로 유지되고 나머지의 선택레일(40)의 선단부(40b)는 두께가 얇고 이것의 상면은 프리이레일(16)의 하부수평벽(16a)의 하면과 거의 동일레벨로 유지된다. 또 수평로울러 안내판(42)의 하면은 프리일레일(16)의 상부수평벽(16b)의 상면과 거의 동일레벨로 유지된다.
프리이라인(F1)과 (F2),(F3)에 공통되는 프리이레일(16)의 단속부는 전철기(37),(38)의 선택레일(40)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17의 도시와 같이 각 프리이트롤리의 수직로울러(13)는 단속부의 거의 전장에 걸쳐서 프리이레일 하부수평벽(16a)과 동일레벨의 선택레일(40)의 기부(40a)위를 통과하나, 나머지 약간의 길이는 이보다 약간 낮은 레벨의 선택레일(40)의 선단부(40b)위를 통과하는 것이다.
다음에 합류장치에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제9도와 제10도의 도시와 같이 캐리어(3)가 주 프리이라인(F1)을 그대로 통과할때는 합류용 전철기(37)는 좌측에 배치된다. 주파우어라인(P1)은 주프리이라인(F1)의 중심선(I1)보다 우측에 시프트되고 있고, 따라서 주파우어라인(P1)의 프셔도그(31)는 캐리어(3)의 전방프리이트롤러(4)의 우측 물림도그(19)의 날개부(23)와 맞물려서 이 캐리어(3)를 이송한다.
다른쪽의 좌측 물림도그(18)는 이것의 날개부(33)가 전철기(37)의 물림해제판(41)에 얹혀진 상태로 이동한다. 합류파우어 라인(P2)는 합류프리이라인(F2)의 중심선(I2)보다 우측을 시프트된다. 좌측물림도그(18)는 물림해제판(41)위에 앉혀있기 때문에 합류파우어라인(P2)의 프셔도그(31)와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된다. 제19도의 도시와 같이 전철기(39)의 선단을 넘은 곳에서 함류파우어라인(P2)의 파우어레일(27)의 우측벽에 물림해제판(41)과 동일한 높이의 높은 보조레일(51)이 설치되고, 좌측물림도그(18)는 물림해제판(41)을 통과한 후 다시 이 높은 보조레일(51)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 이때 함류프리이라인(F2)의 캐리어(3)의 전방프리이트롤리(4)는 프리이라인 접속부(36)의 후방 좌측에 배치된 스토퍼장치(54)의 작용으로 프셔도그(31)와의 물림이 해제되고, 접속부(35)에 들어 가는 일없이 정지된다. 스토퍼장치(54)의 작용은 후기한다.
다음에 제11도와 제12도의 도시와 같이 캐리어(3)가 합류프리이라인(F2)에서 주프리이라인(F1)에 도입되는 경우에는 전철기(37)는 우측에 배치된다. 이때 주프리이라인(F1)의 캐리어(3)는 스토퍼장치(54)의 작용으로 프리이라인 접속부(35)의 후방근처에서 정지되고 있다. 좌측으로 시프트하는 합류 파우어라인(P2)의 프셔도그(31)는 합류프리이라인(F2)의 캐리어(3)의 전방프리이트롤리4)의 좌측물림도그(18)의 날개부(22)와 맞물려서 캐리어(3)를 이송한다. 다른쪽의 우측물림도그(19)는 이것의 날개부(23)가 전철기(37)의 물림 해제판(41)에 얹힌 상태로 이동하고, 주파우어라인(P1)의 프셔도그(31)와 맞물리게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전철기(37)의 선단을 넘은 곳에서 좌측물림도그(18)는 높은 보조레일(51)에 얹혀서 이로 인해 좌측물림도그(18)와 합류파우어라인(P2)의 프셔도그(31)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어서 제19도의 도시와 같이 우측 물림도그(19)가 전철기(37)의 물림해제판(41)의 선단에서 주파우어라인(P1)의 파우어레인(27)의 좌측벽에 설치된 비교적 낮은 보조레일(52)위에 놓여져, 이에 따라 우측 물림도그(19)의 날개부(23)가 주파우어라인(P1)의 프셔도그(31)와 맞물려서, 이 프셔도그(31)에 의하여 합류후의 캐리어(3)가 이송된다.
또 낮은 보조레일(52)은 우측 물림도그(19)를 약간 들어올린 상태로 유지하면서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이 상태로는 우측물림도그(19)의 타주방지돌출부(24)의 하단은 프셔도그(31)의 상단과 거의 같은 레벨로 들어올려진다. 여기에서 합류캐리어(3)와 주파우어라인(P1)의 프셔도그(31)에 속도차가 있는 경우, 특히 합류 캐리어(3)의 쪽이 빠른 경우에는 이 캐리어(3)의 전방프리이트롤리(4)의 우측물림도그(19)가 파우어라인(P1)의 프셔도그(31)를 추월할 경우도 있고, 이 경우 우측물림도그(19)가 낮은 보조레일(52)에 얹혀 있으므로 이것의 타주방지돌출부(24)는 프셔도그(31)와 맞물리게 되는 일없고, 따라서 결함의 발생이 없다. 그리고 우측 물림도그(19)는 프셔도그(31)를 일단추월한 후, 캐리어(3)와 같이 마찰력에 의하여 자연히 정지하고, 그후 프셔도그(31)가 재차 따라붙어서 이 우측물림도그(19)와 맞물리게 되고, 캐리어(3)를 이송하게된다.
다음에 분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제13도와 제14도의 도시와 같이 캐리어(3)가 주 프리이라인(F1)을 그대로 통과할때는 분기용 전철기(38)는 우측에 배치된다. 주파우어라인(P1)은 주프리이라인(F1)의 중심선(I1)에 대하여 좌측으로 시프트하고 있고, 또 분기 파우어라인(P3)은 분기프리이라인(F3)의 중심선(I3)에 대하여 우측으로 시프트 하고 있다. 주프리라인(F1)의 캐리어(3)는 이것의 좌측물림도그(18)와 프셔도그(31)가 맞물리게 되므로써 이송된다. 제20도의 도시와 같이 전철기(38)의 후방근처에서 분기파우어라인(P3)의 파우어라인(27)에 높은 보조레일(51)이 설치된다. 우측물림도그(19)는 이 높은 보조레일(51)에 의하여 들어올려지고 계속해서 전철기(38)의 물림해제판(41)에 의해서 들어올려지고, 이로 인해 우측물림도그(19)가 합류파우어라인 (P2)의 프셔도그(31)와 맞물리게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제15도와 제16도의 도시와 같이 캐리어(3)가 주프리이라인(F1)에서 분기프리이라인(F3)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분기용 전철기(38)는 좌측에 배치된다. 주프리이라인(F1)을 이행해온 캐리어(3)의 좌측물림도그(18)는 이것의 날개부(22)가 전철기(38)의 물림해제판(41)에 얹힘으로써 주파우어라인(P1)의 프셔도그(31)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한편 우측물림도그(19)는 전철기(38)의 후방근처에서 높은 보조레일(51)에 의해 들려져, 우측 물림도그(19)와 분기파우어라인(P3)의 프셔도그(31)와의 측면 충돌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우측 물림도그(19)는 높은 보조레일(51)에 이어서 파우어레일(27)의 좌측벽에 설치된 낮은 보조레일(52)에 들려 얹혀서 분기 파우어라인(P3)의 프셔도그(31)에 맞물리게 되므러써 캐리어(3)가 분기프리이라인(F3)에 배출되는 것이다.
또 낮은 보조레일(52)은 상기의 경우와 같이 주 프리이라인(F1)에서 배출된 캐리어(3)와 분기 파우어라인(P3)의 프셔도그(31)에 속도차가 있을 경우에 발생하는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또 전철기(38)의 뒤쪽 근처에서 주프리이라인(F)의 좌측에 스토퍼장치(54)가 배치되고 있으나 이것은 전철기(38)를 전환하는 동안에 주프리이라인(F1)의 캐리어(3)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 합류장치와 분기장치의 중간에서는 주파우어라인(P1)이 주프리이라인(F1)의 중심선(I1)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시프트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프셔도그(31)가 캐리어(3)의 우측물림도그(19)의 물림돌출부(21)로 부터 좌측물림도그(18)의 물림돌출부(21)로 옆으로 미끄러지듯이 이행하면서 맞물리게될 뿐이고 캐리어(3)의 주행에는 전혀지장은 없다.
제21도 내지 제23도는 스토퍼장치(54)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스토퍼장치(54)에는 물림도그(18),(19)의 날개부(22),(23)의 이동선상에 출몰자재로 구성되고, 또 프셔도그(31)보다 상방위치에 유지된 스토퍼(55)가 구비된다. 스토퍼(55)는 판상으로서 이것에는 날개부(22),(23)를 들어올린상태로 유지하는 물림해제부(56)와, 이것의전방연부에서 날개부(22),(23)를 지지하는 높은 날개부 물림돌출부(57)와 동일한 후방연부에서 날개부(22),(23)의 역행을 방지하는 낮은 지지돌출부(58)가 설치된다. 이 저지돌출부(58)에는 뒤쪽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하는 안내용 경사벽(58a)이 설치된다. 스토퍼(55)는 횡단면이
Figure kpo00003
자형인 전방가이드(59)와 횡단면이 L자형의 후방가이드(6)에 미끄럼가능하게 안내되고, 스토퍼(55)는 유압실린더(61)의 피스턴로드(62)의 출입으로 프리이라인(F)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진퇴되도록 구성된다.
제21도와 제23도의 도시와 같이 스토퍼(55)가 돌출해서 그 선단부가 전방 프리이트롤리(4)의 물림도그(18),(19)의 날개부(22),(23)의 이동선상에 있으면 제22도의 도시와 같이 프리이트롤리(4)와 같이 이동하는 물림도그(18),(19)의날개부(22),(23)는 스토퍼(55)의 안내경사벽(58a)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해서 스토퍼(55)의 물림해제부(56)의 상면에 들어얹혀진다. 이것으로 인해서 물림도그(18),(19)의 물림돌출부(21),(21)와 프셔도그(31)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동시에 그후 즉시 날개부(22),(23)의 전방 연부가 스토퍼(55)의 높은 물림돌출부(57)에 접촉되고 물림도그(18),(19) 및 이것과 일체의 전방 프리이트롤리(4), 나아가서는 캐리어(3)가 그 자리에서 정지한다. 또 물림도그(18),(19)가 스토퍼(55)와의 충돌 접촉할때의 충격으로 캐리어(3)가 후퇴하려고 해도 스토퍼(55)의 후방연부의 저지돌출부(58)에 물림도그(18),(19)의 날개부(22),(23)의 후방연부가 맞물리기 때문에 캐리어(3)다 휘퇴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바닥형 복식트롤리 콘베이어는 상기와 같이 프리이라인(F)을 주행하는 캐리어(3)의 프리이트롤리(4)에 요동가능한 좌우1쌍의 물림도그(18),(19)가 구비되고, 각 물림도그(18),(19)는 하방으로 돌출한 물림돌출부(21),(21)와 물림해제용 날개부(22),(23)를 가지고 있고, 프리이라인(F)에 대해 파우어라인(P)을 바로 아래에 또는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함으로써, 파우어트롤리(38)의 프셔도그(31)가 좌우 양물림도그(18),(19)중의 적어도 한쪽의 물림도그(18),(19)의 물림돌출부(21),(21)에 맞물리도록구성되는 것으로, 캐리어(3)의 합류 및 분기를 대단히 능률적으로 또 확실히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설비비가 싸고, 도 캐리어(3)를 정지시킬 경우에도 스토퍼장치(54)를 콘베이어라인의 한쪽에만 배치하면 되고, 따라서 대단히 콤팩트하고 설비비용 적게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프리이라인(F)을 주행하는 캐리어(3)의 프리이트롤리(4)에 요동가능한 좌우1쌍의 물림도그(18),(19)가 구비되고, 각 물림도그(18),(19)는 하방으로 돌출된 무림돌출부(21)를 가지는 동시에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되는 물림해제용 날개부(22),(23)를 가지고 있고, 프리이라인(F)의 아래쪽에 배치된 파우어라인(P)을 주행하는 파우어트롤리(28)에 표셔도그(31)가 설치되고, 프셔도그(31)가 좌우 양물림도그(18),(19)중의 적어도 한쪽의 물림도그(18),(19)의 물림돌출부(21)에 맞물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콘베이어.
  2. 주프리이라인(F1)과 이것에 접속된 합류프리이라인(F2)을 각각 주행하는 캐리어(3)의 프리이트롤리(4)에 요동가능한 좌우 1쌍의 물림도그(18),(19)가 설치되고, 각 물림도그(18),(19)는 하방으로 돌출한 물림돌출부(21),(21)를 가지는 동시에 좌측 및 우측으로돌출한 물림해제용 날개부(22),(23)를 가지고 주프리이라인(F1)과 합류프리이라인(F2)의 하측에 배치된 주파우어라인(P1)과 합류파우어라인(P2)을 따라 각각 주행하는 파우어트롤리(28)에 프셔도그(31) 설치되고 각 프셔도그(31)가 프리이트롤리(4)의 좌우 양물림도그(18),(19)중의 적어도 한쪽의 물림도그(18),(19)의 물림돌출부(21),(21)에 맞물리게 되도록 구성되고, 주프리이라인(F1)과 합류프리이라인(F2)과의 접속부(35)에 전철기 (37)가 배치되고, 이 전철기(37)는 주프리이라인(F1)과 합류프리이라인(F2)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수평으로 요동가능한 선택레일(40)과, 그 선택레일(40)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 좌우 물림도그(18),(19)중의 한쪽의 물림도그(18),(19)의 날개부(22),(23)를 들어올려 그 계합도그(18),(19)를 들어올린 상태로 유지하는 물림해제판(41)을 구히하고 있고, 상기 프리이라인 접속부(35)에 있어서. 주파우어라인(P1)이 주프리이라인(F1)의 중심선(I1)으로 부터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는 동시에 합류파우어라인(P2)이 합류프리이라인(F2)의 중심선(I2)으로 부터 다른 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고, 상기 전철기(37)의 선택레일(40)이 주프리이라인(F1) 또는 합류프리이라인(F2)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주프리이라인(F1) 또는 합류프리이라인(F2)을 주행하는 프리이트롤리(4)의 좌우물림도그(18),(19)의 한쪽이 전철기(37)의 물림해제판(41)에의해 들어올려져서, 그의 다른쪽이 주파우어라인(P1) 또는 합류파우어라인(P2)의 프셔도그(31)에 맞물리게 되는 것에 의해 프리이트롤리(4)를 프리이라인 접속부(25)를 통과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콘베이어.
  3. 주 프리이라인(F1)이것에 접속된 분기 프리이라인(F3)을 각각 주행하는 캐리어(3)의 프리이트롤리(4)에 요동가능한 1쌍의 물림도그(18),(19)가 설치되고, 각 물림도그(18),(19)는 하방으로 돌출한 물림돌출부(21),(21)을 가지는 동시에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한 물림해제용 날개부(22),(23)를 가지고 있고, 주프리이라인(F1)과 분기프리이라인(F3)의 아래쪽에 배치된 주파우어라인(P1)과 분기파우어라인(P3)을 따라 각각 주행하는 파우어트롤리(28)에 프셔도그(31)가 설치되고, 각 프셔도그(31)가 프리이트롤리(4)의 좌우 양 물림도그(18),(19)중의 적어도 한쪽의 물림도그(18),(19)의 물림돌출부(21),(21)에 맞물리게 되도록 구성되고, 주프리이라인(F1)과 분기프리이라인(F3)의 접속부(36)가 배치되고, 그 전철기(38)는 주프리이라인(F1)과 분기프리이라인(F3)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수평으로 요동가능한 선택레일(40)과, 그 선택레일(40)의 아랫쪽에 배치되고, 또 좌우 물림도그(18),(19)중의 한쪽의 물림도그(18),(19) 의 날개부(22),(23)를 들어올려 그 물림도그(18),(19)를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하는 물림해제판(41)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리이라인 접속부(36)에 있어서, 주파우라인(P1)이 주프리라인 접속부(36)에 있어서, 주파우어라인(P1)이 주프리이라인(F1)의 중심선(I1)으로 부터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는 동시에 분기파우어라인(P3)이 분기프리이라인(F3)의 중심선(I3)으로 부터 다른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고, 상기 전철기(38)선택레일(40)이 주프리이라인(F1) 또는 프리이라인(F3)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주프리이라인(F1) 또는 분기프리이라인(F3)을 주행하는 프리이트롤리(4)의 좌우 물림도그(18),(19)의 한쪽이 전철기(38)의 물림해제판(41)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그의 다른 쪽이 주파우어라인(P1) 또는 분기파우어라인(P3)의 프셔도그(31)에 맞물리게 되는 것에 의해 프리이트롤리(4)를 프리이라인 접속부(36)를 통과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콘베이어.
  4. 프리이라인(F)을 주행하는 캐리어(3)의 프리이코롤리(3)에 요동가능한 좌우 1쌍의 물림도그(18),(19)가 설치되고 각 물림도그(18),(19)는 하방으로 돌출된 물림돌출부(21),(21)를가지는 동시에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한 물림해제용 날개부(22),(23)를 가지는 동시에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한 물림해제용 날개부(22),(23)를 가지는 동시에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한 물림해제용 날개부(22),(23)를 가지고 있고, 프리이라인(F)의 아래쪽에 배치된 파우어라인(P)을 주행하는 파우어트롤리(28)에 프셔도그(31)에 설치되고, 그 프셔도그(31)가 좌우 양 물림도그(18),(19)중의 적어도 한쪽의 물림도그(18),(19)의 물림도그(18),(19)의 물림돌출부(21),(21)에 맞물리게 되고, 프리이라인(F)의 좌우 양측중의 적어도 한쪽에 물림도그(18),(19)의 날개부(22),(23)의 이동선상에 출몰가능하게 구성되고 또 프셔도그(31)보다 상방위치에 유지되는 스토퍼(55)가 배치되고, 그 스토퍼(55)로 부터 물림도그(18),(19)의 날개부(22),(23)를 들어올리는 상태로 유지하는 물림해제부(56)와, 이것의 전단에 설치된 날개부 물림돌출부(5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콘베이어.
KR1019830001881A 1982-08-10 1983-05-03 트롤리 콘베이어 KR880001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39563A JPS5929557A (ja) 1982-08-10 1982-08-10 床形複式トロリ・コンベヤにおける合流装置
JP139563 1982-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704A KR840005704A (ko) 1984-11-15
KR880001961B1 true KR880001961B1 (ko) 1988-10-08

Family

ID=1524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881A KR880001961B1 (ko) 1982-08-10 1983-05-03 트롤리 콘베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42698A (ko)
JP (1) JPS5929557A (ko)
KR (1) KR880001961B1 (ko)
DE (1) DE3328690C2 (ko)
GB (1) GB21289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478A (ko) * 2014-11-21 2016-06-01 세웅기계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캠 캐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08076A1 (de) * 1984-03-05 1985-09-12 Büttner Stahl- und Maschinenbau GmbH, 8000 München Tragplattenfoerderer
US4633784A (en) * 1984-09-19 1987-01-06 Lico, Inc. Clamping device for high speed indexing
US4615273A (en) * 1984-12-19 1986-10-07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Conveyorized transport system
WO1986004029A1 (en) * 1984-12-27 1986-07-17 Tsubakimoto Chain Co. Floor conveyor for conveying automotive body
US4771700A (en) * 1985-07-23 1988-09-20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Power-and-free conveyor
US4811685A (en) * 1986-10-07 1989-03-14 Tsubakimoto Chain Co. Carriage-type conveyor
JPH0449599Y2 (ko) * 1986-10-16 1992-11-20
JPS63240463A (ja) * 1987-03-25 1988-10-06 株式会社ダイフク キヤリヤ使用の搬送装置
JPS63275472A (ja) * 1987-05-07 1988-11-14 Daifuku Co Ltd 可動体の走行駆動装置
JPS63291762A (ja) * 1987-05-25 1988-11-29 Daifuku Co Ltd 可動体の走行方法
JPH01164800A (ja) * 1987-12-18 1989-06-28 Hitachi Cable Ltd 半絶縁性砒化ガリウム単結晶
US4944229A (en) * 1988-04-27 1990-07-3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utomotive carrier type conveying apparatus
DE3819008C1 (ko) * 1988-06-03 1989-12-21 Veit Transpo Gmbh, 8910 Landsberg, De
JP2649260B2 (ja) * 1988-07-26 1997-09-03 株式会社エッチケイケイ 台車の駆動機構
JP2640834B2 (ja) * 1988-07-29 1997-08-13 三田工業株式会社 台車搬送制御システム
US4964344A (en) * 1989-04-28 1990-10-23 Mid-West Conveyor Company, Inc. Side link pusher dog with lubrication passage
KR960013621B1 (ko) * 1993-09-01 1996-10-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한쌍의 요동훅을 이용한 파우어 앤드 프리 컨베이어
US5562041A (en) * 1994-12-02 1996-10-08 Jervis B. Webb Company Linear induction motor actuated stop
US5606915A (en) * 1995-04-06 1997-03-04 Ford Motor Company Power and free conveying system
CA2156581C (en) * 1995-04-20 2000-11-07 Hisashi Kyotani Conveying system
US5544590A (en) * 1995-09-14 1996-08-13 Mid-West Conveyor Company Automatic seal crossover system for power and free conveyor on-floor carriages
JP3453076B2 (ja) * 1998-07-02 2003-10-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キャリア式搬送装置
US6161483A (en) * 1998-07-17 2000-12-19 Conveyor Technology Group Accumulator mechanism for detaching trolleys from drive chains in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US6253684B1 (en) 1998-08-18 2001-07-03 Conveyor Technology Group, Inc. Stop mechanism for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JP2002544086A (ja) 1999-05-06 2002-12-24 ジャービス ビー. ウェブ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カンパニー 円筒状リニア誘導モータを用いたコンベヤシステムスイッチ
US6487976B1 (en) 2000-10-13 2002-12-03 Jervis B. Webb Company Split cam bar for chain-to-chain transfer
KR100936582B1 (ko) * 2001-03-01 2010-01-13 케스케이드 엔지니어링 인코퍼레이티드 개별 운송 시스템
DE10153991A1 (de) * 2001-11-02 2003-05-15 Duerr System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Werkstücken
DE10153993A1 (de) * 2001-11-02 2003-05-15 Duerr Systems Gmbh Förderkette, Fördervorrichtung und Vorrichtung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Werkstücken
DE10153992A1 (de) * 2001-11-02 2003-05-15 Duerr System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Werkstücken
JP2005343238A (ja) * 2004-06-01 2005-12-15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分岐装置を有するパワーアンドフリー式コンベヤ
KR100579305B1 (ko) * 2004-09-13 200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US12012315B2 (en) * 2021-02-25 2024-06-18 Honda Motor Co., Ltd. Winged stopper for overhead rai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33951A (en) * 1965-04-27 1968-11-20 Fisholow Pro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oor conveyors
GB1120001A (en) * 1966-01-21 1968-07-17 King Ltd Geo W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veyors
US3518946A (en) * 1968-01-24 1970-07-07 Webb Co Jervis B Pusher conveyor for wheeled carriers
DE2132502C3 (de) * 1971-06-30 1974-10-10 Wsesojusnij Nautschno-Issledowatelskij I Projektno-Konstruktorskij Institut Pod Emnotransportnowo Maschinostrojenija Pogrusotschno-Rasgrusotschnowo I Skladskowo Oborudowanija I Kontejnerow, Moskau Gehängeförderer
JPS5315267B2 (ko) * 1972-05-22 1978-05-23
JPS5146755A (en) * 1974-10-19 1976-04-21 Ebara Infilco Suichuno akuriruamidomonomaao jokyosuru hoho
JPS5540145A (en) * 1978-09-11 1980-03-21 Daifuku Co Ltd Floor conveyor
JPS6023242Y2 (ja) * 1979-06-18 1985-07-10 株式会社ダイフク 前後進駆動可能な搬送用移動装置
ZA823308B (en) * 1981-06-10 1983-03-30 Webb Int Co Jervis B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s
US4461216A (en) * 1982-09-28 1984-07-24 Acco Babcock Inc. Over and under accumulating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478A (ko) * 2014-11-21 2016-06-01 세웅기계 주식회사 컨베이어용 캠 캐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929557A (ja) 1984-02-16
DE3328690A1 (de) 1984-02-16
GB2128951B (en) 1986-05-14
GB8317692D0 (en) 1983-08-03
JPH0112711B2 (ko) 1989-03-01
DE3328690C2 (de) 1985-08-29
GB2128951A (en) 1984-05-10
KR840005704A (ko) 1984-11-15
US4542698A (en) 1985-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961B1 (ko) 트롤리 콘베이어
DE2263355C2 (de) Dreidimensional arbeitende Förderanlage
US4646650A (en) Trolley device in a duplex chain conveyor
JPH05222880A (ja) 移動可能な壁要素からなる空間分離壁
KR0149176B1 (ko)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US4438701A (en) Truck conveyor
US3777872A (en) Device for the transportation of loads between operations
US4433628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runaway of carriers in power and free conveyor
US3800709A (en) Trolley drive for over and under conveyor
US3894629A (en) Conveyor
US3602148A (en) Conveying apparatus
EP0582348B1 (en) Suspended rail conveyance system
US3242874A (en) Conveyors for conveying goods
JPH0579542B2 (ko)
CN112830373B (zh) 手推车推入装置和应用其的电梯
US2943580A (en) Conveyor systems
US3263798A (en) Article transfer device
JPS5826212Y2 (ja) トロリ−コンベヤ
JPS6211866Y2 (ko)
KR890001620B1 (ko) 복동식 트롤리 · 컨베이어(trolley Conve Yer)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 이탈 장치
CN116587415A (zh) 混凝土输送系统及混凝土预制构件生产线
JPH0355484Y2 (ko)
JPS6024677Y2 (ja) 搬送用係脱装置
JPH0249093Y2 (ko)
JPH0741652Y2 (ja) 搬送用移動体の後押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