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620B1 - 복동식 트롤리 · 컨베이어(trolley Conve Yer)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 이탈 장치 - Google Patents

복동식 트롤리 · 컨베이어(trolley Conve Yer)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 이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620B1
KR890001620B1 KR8200750A KR820000750A KR890001620B1 KR 890001620 B1 KR890001620 B1 KR 890001620B1 KR 8200750 A KR8200750 A KR 8200750A KR 820000750 A KR820000750 A KR 820000750A KR 890001620 B1 KR890001620 B1 KR 890001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carrier
free
rail
prop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918A (ko
Inventor
다까오 와까바야시
Original Assignee
나까니시 가즈오
나까니시 킨조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니시 가즈오, 나까니시 킨조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니시 가즈오
Priority to KR820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620B1/ko
Publication of KR83000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동식 트롤리·컨베이어(trolley Conve Yer)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 이탈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복동식 트롤리·컨베이어의 일부절결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대응하는 일부 절결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 4 도는 캐리어와 추진구의 계합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Ⅴ-Ⅴ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
제 6 도는 어큐뮬레이트용 캠을 구비한 뒤쪽 프리이·트롤리의 부분확대 측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에 대응하는 저면도.
제 8 도는 제 6 도 Ⅷ-Ⅷ선에 따르는 확대 단면도.
제 9 도는 추진구가 캐리어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하나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분기라인을 구비한 복동식 트롤리·컨베이어의 부분저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대응하는 측면도이고, 분기라인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제12도는 추진구의 요동·독의 계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측면도.
제13도는 추진구의 요동·독의 계합이 해제된 상태의 컨베이어 측면도.
제14도는 추진구로 캠의 뒤를 밀어 캐리어를 분기라인으로 자리를 바꾸는 상태의 컨베이어의 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캠의 계합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리어 2 : 차륜
3 : 레일 4 : 바닥면
5 : 구동부 6 : 파우더·라인
7 : 추진구 8 : 드리이브·체인
9 : 파우어·트롤리 10 : 프리이·라인
11 : 앞쪽프리이·트롤리 13,14 : 요동 독
15 : 어큐뮬레이트용 캠 12 : 뒤쪽 프리이 트롤리
17 : 뒤쪽 연결봉 18 : 파우어레일
21 : 프리이·레일 19 : 측판
20 : 로울러 22 : 축
23 : 갈고리형 계합부 25 : 추부
24 : 계합해제용 수평부 27 : 수직로울러
26 : 측판 29 : 축
31 : 추부 35 : 추부
32 : 스토퍼 36 : 스토퍼
38 : U형 절결부 39 : 후방돌출부
40 : 조인트
본 발명은 녹동식 트롤리·컨베이어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이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동식 트롤리·컨베이어로 하물을 운반할때, 적재 및 하역 및적재에서 하역까지의 운반행정중의 중간작업장에 있어서 가공작업, 검사, 시험등을 위하여 구동체인의 추진구에서 캐리어를 분리하여 이것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때가 있다. 종래 이것을 위해서 파우어 레일 또는 프리이레일의 어느 일부에 유압·공기압 기계등으로 상하로 요동이 가능한 레일·섹션을 설치하여, 그것에 의하여 각각 그것에 속하는 트롤리를 일시적으로 상하 움직여서 추진구의 작용을 중지하고 케리어를 정지하게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 의하면, 파우어·레일측에 레일·섹션을 설치하여 이것을 움직일때에는 체인의 장력의 분력에 의한 부하중이나 트롤리의 하중이 작용하고, 또 프리이·레일측에 레일·섹션을 설치해서 이것을 움직일때는 반송하물의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어떻게해도 그 작동에 강력한 동력이 필요했다. 이로 인해 유압기기등도 강력한것이 필요했고, 당연히 장치는 값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복동식 트롤리·켄베이어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이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복동식 트롤리·컨베이어에 있어서 캐리어를 견인하는 추진구는 선단에 갈고리모양의 계합부가 있고, 또 이 계합부에서 양측방으로 뻗어 계합해제용 수평부를 가지고, 캐리어에 취부된전후 한쌍의 프리이·트롤리중, 앞쪽 트리이·프롤리에는 갈고리형 계합부와 계합하는 한쌍의 요동·독(tilting dock)이 취부되고 후측 프리이·트롤리에은 경사캠을 가지는 어큐뮬레이트용 캠이 취부된다.
본 발명의 자치에 의하면 캐리어를 추진구에 의하여 확실히 견인하여 이송할 수 있는 동시에 캐리어의 정지 또는 자리바꿈을 할때에 캐리어에서 추진구를 확실히 이탈시킬수가 있고, 또 정지하고 있는 선형 캐리어의 뒤쪽에 후행 캐리어가 접근했을때도 후행 캐리어의 추진구가 확실히 이탈해서 선행 캐리어의 뒤쪽에 후행 캐리어가 차례로 어큐뮬레이트할 수가 있고, 따라서 캐리어 상의 제품을 확실히 운반하고, 또 어큐뮬레이트할수가 있어 매우 편하다. 또 본 발명의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종래와 같이 자동력이 큰 유압기기등을 설치할 필요가없기 때문에 시설비가 싸고, 운반비도 저럼해서 대단히 경제적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호적한 구체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시의 실시예는 바닥면상에 장비된 복동시 트롤리·컨베이어에 의하여 바닥면상의 대차(캐리어)를 주행시키는 이른바 토우·컨베이어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것이다.
제 1 도-제 3 도에서 캐리어로 구성되는 대차(1)는 전체가 물체모양이고, 그 전후에 합계4개의 차륜(2)를 가진다. 이들 차륜(2)는 바닥면(4)에 설치된 한쌍의레일(3)에 설치되어 안내된다. 한쌍의 레일(3)사이에는 구동부(5)가 배치된다. 이 구동부(5)는 추진구(7)를 가지고, 또 드리이브·체인(8)에 의하여 견인되는 파우어·트롤리(9)를 구비한 파우어·라인(6)과 요동독(13)(14)을 가지는 뒤쪽 프리이·트롤리(12)를 구비한 프리이·라인(10)에 의하여 주로 구성된다. 캐리어(1)의 전단부와 앞쪽 프리이·트롤리(11)는 캐리어(1)에서 보아서 앞쪽 하향으로 경사한 뒤쪽 연결봉(17)에 의하여 연결된다. 구동부(5)의 파우어·레일(18)과 프리이·레인(21)는 좌우 한쌍의 연결부재(37)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제 4 도-제 9 도에서 파우어·트롤리(9)는 좌우 한쌍의 측판(19) (19)과 이들의 전후 양단부에 한쌍씩 취부된로울러(20)를 구비하고, 로울러(20)가 파우어·레일(18)을 따라 이동한다. 파우어·레일(18)의 하방에 배치된 드라이브체인(8)은 도시를 생략한 전동기 및 전동수단으로 화살표 A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상시 이동되고 있고, 이 드라이브·체인(8)에 파우어·트롤리(9)의 측판(19) (19)의 하단부가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측판(19) (19)의 상단부에는 추진구(7)가 축(22)으로 용동자재로 취부된다. 추진구(7)는 선단에 갈고리형 계합부(23)가 있는 동시에 이 갈고리형 계합부(23)의 양측방으로 뻗는 계합해제용 수평부(24)가 있고, 평면에서 보아서 U형으로 구성된다. 추진구(7)의 추부(25)는 축(22)으로 요동자재로 부착된 추진구(7)를 항상 기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즉, 추진구(7)의 일단부에 추부(25)가, 타단부에 갈고리형 계합부(23)과 수평부(24)갈 설치되어 있으며, 추부(25)의 무게는 갈고리형 계합부(23)와 수평부(24)를 합친 무게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상태에서는 제 4 도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무거운 쪽의 추부(25)가 아래쪽, 다른쪽의 계합부(23)와 수평부(24)가 윗쪽에 위치하며, 추진구(7)는 기립형상으로 유지된다.
캐리어(1)측에 부착된 앞쪽 프리어·트롤리(11)는 좌우 한쌍의 측판(26) (26)과 이들의 앞뒤 양단부에 한쌍씩 취부된 수직로울러(27)와 이들의 수직로울러(27)의 위쪽에 배치된 한싸의 수평로울러(28)와, 측판(26) (26)의 하단양부에 축(29) (29)에 의하여 서로 안쪽으로 저혀지도록 요동자재로 장착된 앞뒤 한쌍의 요동·독(13) (34)를 구비한다. 수직 및 수평로울러(27) (28)는 프리이·레일(21)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앞쪽 요동·독(13)은 그 하단부에 추진구(7)의 갈고리형 계합부(23)와 계합되는 새의 부리모양의 계합선단부(30)을 가지는 동시에 안쪽에 추부(31)가 설치되고, 또 외측상단부에 스토퍼(32)가 수직상태로 설치되고, 추부(31)의 중력작용에 의하여 스토퍼(32)의 내면이 상시 수직로울러(27)의 축(33)에 당접된다. 뒤쪽 요동·독(14)은 그 하단부에 추진구(7)의 갈고리형 계합부(23)의 후방으로의 탈출을 방지하는 수직상 선단부(36)를 기지는 동시에 내측에 추부(35)가 설치되고, 또 외측상단부에 스토퍼(36)가 수직 상태로 설치되고 있어 추부(35)의 중력작용에 의하여 스토퍼(36)의 내면이 상시 수직 로울러(27)의 축(33)에 당접된다.
뒤쪽 프리이·트롤리(12)는 수직로울러(27)와, 수평로울러(28)를 구비하고, 앞쪽 프리이·트롤리(11)와 동시한 구성을 이루는 동시에 그 하단에 어큐뮬레이트용 캠(15)이 취부된다. 이 캠(15)의 전반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또 그후반은 뒤쪽 프리이·트롤리(1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후부중앙에 U형절결부(38)가 형성되고 그 입구는 후방으로 향해서 약간 떨어져 있다. 이 절결부(38)를 형성하는 양측의 후방돌출부(39)의 말단에는 경사캠면(39a) 및 후압하는 계합용경사면(39b)이 형성되고 경사캠면(39a)은 돌출부(39)의 하면에서 후방을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되고 후압하는 계합용 경사면(39b)은 경사캠면(39a)의 종단에서 전방을 향해서 사방으로 경사된다. 앞뒤 프리이·트롤리(11) (12)의 각 상단부에는 조인트(40) 40)이 설치되고, 이들은 앞뒤의 연결봉(16) (17)에 연결된다.
다음에 상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 4 도와 제 5 도의 도시와같이 캐리어(1)는 그 앞쪽 프리이·트롤리(11)의 앞쪽 요동·독(13)에 추진구(7)가 계합됨으로써, 드라이브·체인(8)과 함께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일하게 다수의 캐리어(1)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것에 계속된다. 그 간극은 드리이브·체인(8)에 취부된 추진구(7)의 간극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 이동하고 있는 캐리어(1)의 앞쪽 요동·독(13)과 추진구(7)와의 계합을 해제할 경우에는 도시는 생략했으나, 정지예정장소에서 프리이·레일(21)의 적어도 한쪽에 추진구(7)의 계합해제용 수평부(24)를 압력을 아래로 가하기위한 가이드를 설치하면 된다. 이것은 측면에서 보아서 예를들면 역사다리꼴을 이루고 있고, 수평부(24)를 차례로 하방으로 입력을 가하기 위한 안내 경사면을 가지고있다. 이러한 가이드는 공정식, 가동식 어느쪽 이라도 무방하다.
그런데 도시를 생략한 가이드등의 작용으로 선행 캐리어(1)가 정지하면 후행의 캐리어(1)가 접근해서 이것의 앞쪽 프리이,트롤리(11)의 앞쪽 요동·독(13)이 선행 캐리어(1)의 뒤쪽 프리이·트롤리(14)의 어큐뮬레이트용 캠(15)의 절결부의 속으로 들어간다. 이때, 후방캐리어(1)의 추진구(7)의 수평부(24)가 어큐뮬레이트용 캠(15)의 경사캠면(39a)에 도달하고 그후 수평부(24)가 경사캠면(39a)에 따라서, 또한 강제적으로 아래쪽으로 내려 눌린다. 이것에 의해, 후방캐리어(1)의 추진구(7)는 축(22)을 중심으로 요동하여, 대략 수평상태로유지되며, 이 추진구(7)의 갈고리형 계합부(23)가 요동독(13)에서 벗어나 후형캐리어(1)는 선행캐리어(1)의 바로 뒤에서 정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후방캐리어(1)에 후속하는 캐리어(1)는 동일하게 어큐뮬레이트용 캠(15)의 작용에 의하여 계속 차례로 정지하여 어큐뮬레이트 된다.
제10도-제15도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 도면에서는 캐리어로 구성되는 캐리어(1)와 이것의 4개의 차륜(2)을 안내하기위한 가이드·레일(3)의 도시는 생략된다.
이 구체예는 간선을 이루는 제 1 프리이·라인(41)에 대하여 분기한 제 2 프리이·라인(42)이 배치되고, 이들에게 파우러·라인(44) (45)이 상호 단속되는 경우에 캐리어로 구성되는 캐리어(1)를 추진구(7)의 뒤에서 압력을 가함에 의하여 제 1 프리이·라인(41)에서 제 2 프리이·라인(42)으로 자리바꿈을 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0도에서 간선을 이루는 제 1 프리이·레일(41)은 직선상으로 배치되고, 이것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2 프리이·레일(42)은 제 1 프리이·레일(41)에 대하여 직각에 가까운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고, 제 1 프리이·레일(41)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고, 또 수평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프리이·레일(41)의 분기점과 제 2 프리이·레일(42)의 일단과는 원호상의 분기 프리이·레일(43)에 의하여 접속된다. 제 1 프리이·레일(41)의 하방에는 소요간격을 두고 제 1 파우어·레일(44)이배치되고, 이것은 그 하방에 배치되는 엔드리스·드라이브·체인(8)과의 관계상 도시는 생략했으나, 앤드리스로구성된다. 제 2 프리이·레일(42)의 하방에도 상기와 동일한 소요간격을 두고 제 2 파우어·레일(45)이 배치되고, 이것도 또한 분기 프리이·레일(43)의 하방에서 라운딩되어서 앤드리스로 구성된다.
제 1 파우어·레일(44)에는 분기점보다 후방에 제 1 프리이·레일(41)과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는 구간(L)이 형성된다. 이 구간(L)은 캐리어(1)의 길이(l)보다 길어야 한다. 구간(L)의 전부에는 하향 경사변(46a)이 설치되고, 또 후부에는 (46b)가 설치된다. 제 1 프리이·레일(41)에서 분기 프리이·레일(43)이 두갈래로 분기되는 장소에는 캐리어(1)를 제 1 프리이·레일(41)위를 직선시키거나, 또는 제 2 프리이·레일(42)에 분기시키느냐를 결정하는 절환기(47)가 설치되고, 이것은 프리이·레일(41) (43)의 하측 수평 플랜지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끝이 가는 판체로 구성되고, 축(48)에 의하여수평방향으로 요동자재로 지지된다. 이 절환기(47)는 공지의 것으로 되고, 도시를 생략한 구동장치에 의하여, 제10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분기 위치와 쇄선으로 나타내는 직진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 제 1 프리이·레일(41)과 제 1 파우어·레일(44)과의 간격이 좁게 구성되는 구간(L)의 양단부에는 캐리어(1)의 길이(l)이사의 간격을 두고 제 1 프리이·레일(41)의 양측의 위치에 제 1 및 제 2 의 계합해제장치(54) (55)가 각각 배치된다. 이 계합해제장치(54) (55)는 추진구(7)의 수평부(24)의 이동선상에 출몰자재로 배치되고, 또 돌출시에 있어서 전후에 경사부가 나타나도록 구성한 각 한쌍의 제 1 및 제 2 의 압하판(56) (57)을 가지고 있다.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제12도에 확대도시하는 바와같이 압하판(56) (57)을 다각형상이고, 그 하변(56a) (57a)운 수펴이고 제 1 프리이·레일(41)의 상단부와 거의 동일 수평선상에 있고, 이들 하변(56a) (57a)에 계속하여 둔각을 이루고 제 1 경사변(56b) (57b) 및 제 2 경사변(56c) (57c)을 가지고 있고, 또 이들은 연결부(37)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후방돌출부(49)에 축(50)에 의하여 회동자재로 장착된다.
제 2 압하판(57)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정지용 돌출편(57d)이 설치되고, 이것은 후기하는 계합해제 작동시 앞쪽 프리이·트롤리(11)에 외방을 향해서 설치된스톰·핀(51)의 이동선상에 돌출한다. 제 1 압하판(56)에는 정지용 돌출핀(57d)에 상당되는 것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양 압하판(56) (57)은 도시를 생략한 적절한구동장치, 예를들면 에어·실리더에 의하여 그 모드에 연결된 링크를 개재하여 소요 각도 회전된다.압하판(56) (57)은 반드시 제 1 프리이·레일(41)의 양측에 각 한쌍을 설치할 필요는 없고, 이 레일(41)의 한쪽에만 설치해도 된다. 추진구(7)의 취부 간격은 구간(L)보다 큰것이 좋다.
상기에 있어서 캐리어(1)는 다음과 같이 제 1 프리이·레일(41)에서 제 2 프리이·레일(42)으로 자리바꿈을 한다.
제10도와 제11도의 도시와 같이 캐리어(1)는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한다. 동일하게 하여 다수의 캐리어(1)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것에 연속된다. 그 간격은 드라이브·체인(8)에 취부된 추진구(7)의 간격에 의해서 결정된다.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있는 캐리어(1)중 첫째의 캐리어(1)가 제 2 압하판(57)의 앞위치(제10도에(Cl)으로 표시)까지 왔을때, 제 2 압하판(57)는 비동작위치, 즉 수평을 이루는 하변(57a)이 제 1 프리이·레일(41)의 상연과 거의동일선상에 있고, 첫번째의 캐리어(1)는 제 2 압하판(57)의 지점물 통과하고, 다시(C2)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제 1 프리이·레일(41)과 제 1 파우어·레일(44)의 간격이 좁게 구성된 구간(L)내에 진입한다. 여기에서 첫번째의 캐리어(1)라고 하는 것은 이동중의 다수의 캐리어(1)중 제 2 프리이·레일(42)에 자리바꿈될 첫번째의 것을 지칭한다. 첫번재의 캐리어(1)의 앞쪽 프리이·트롤리(11)가 제 2 압하판(57)을 통과하여 제12도의 도시와 같이 제 1 도 및 제 2 압하판(56) (57)은 다같이 반시 계방향으로 각도(θ)만 회전하한다. 이 결과로, 제 1 압하판(56)에 대하여 말하면, 제 1 경사변(56b)이 수평으로 기립하고, 제 1 프리이·레일(41)에서 밑으로 돌출하고, 적어도 요동·독(13) (14)보다 하방의 레벨에 위치하고 수평이된 제 1 경사변(56b)의 전후에 하변(56a)과 제 2 경사변(56c)이 경사상으로 연결되어 제 1 프리이·레일(41)의 하방에 나타난다. 그 결과 전진해온 첫번째의 캐리어(1)의 앞쪽 프리이·트롤리(11)가 압하판(56) (57)간을 이동할때, 그 전부 용동·독(13)에 계합되는 추진구(7)의 수평부(24)가 압하판(56)의 제 2 경사변(56c)를 따라 하방으로 접동이동하여 전부 요동·독(13)에서 이탈된다(제12도 참조). 추진력이 중단된 첫번째의 캐리어(1)는 관성에 의하여 약간 전진하지만 이것은 캐리어(1)의 자리바꿈 작용에 아무런 악영향을 주는일이 없이, 감속되면서 이동하는 동안에 후기하는 뒤밀이가 실행되어서 이 캐리어(1)는 연속적으로 전진하게 되기 때문에 오히려 잘된일이다.
첫번째 캐리어(1)에 계속되는 두번째 이하의 캐리어(1)는 드라이브·체인(8)과함께 아직 전진하고 있으나, 두번째의 캐리어(1)가 (Cl)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제 2 압하판(57)사이를 통과하려할때에 그 제 2 압하판(57)은 제 1 압하판(56)과 같이 작동위치에 회동되고 있으므로, 두번째의 캐리어(1)와 계합하는 추진구(7)의 수평부(24)는 상기 요령으로 제 2 경사변(57c)에 의해서 압하되어 전부 요동·독(13)과의 계합이 해제된다(제13도참조). 이때 두번째의 캐리어(1)의 앞쪽 프리어·트롤리(11)에 설치된 스톱·핀(51)이 제 2 압하판(57)의 돌출펜(57d)에 당접되어 두번째의 캐리어(1)는 정지한다. 이 계합이 벗어난 추진구(7)는 드라이브·체인(8)과 같이 제 1 트리이·레일(41)의 하면을 따라 접동이동한다. 세번째 이하의 캐리어(1)는 정지하고 있는 두번재의 캐리어(1)의 뒤를 따라 차례로 어큐뮬레이트된다.
그런데, 제 1 압하판(56)에 의하여 추진구(7)와의 계합이 벗어진 첫번째의 캐리어(1)의 뒤로부터는 제 2 압하판(57)에 의하여 두번째의 캐리어(1)의 요동·독(13) (14)과의 계합이 벗어진 추진구(7)가 이동해와서 첫번째의 캐리어(1)의 뒤쪽 프리이·트롤리(12)에 따라 붙는다. 구간(L)에 있어서는 이 추진구(7)의 수평부(24)는 제 1 프리이·레일(41)의 하면을 따라 접동하고 있으므로, 이 수평부(24)는 후부 프라이·드롤리(12)에 구비된 캠(15)양측의 후방돌출부(39)에 형성된 계합용 경사면(39b)과 계합하고, 드리이브·체인(8)의 이동에 따라 첫번째의 캐리어(1)를 뒤에서밀고간다(제14도, 제15도 참조). 절환기(47)는 미리 제10도에서 실선으로나타내는 분기위치에 이동되고 있으므로, 이 추진구(7)의 후압에 의하여 추진력이 부여된 첫번때의 캐리어(1)의 앞쪽 트롤리(11)는 분기레일(43)을 따라 전진한다. 그리고 뒤쪽 트롤리(12)가 구간(L)의 전단부에 도달하면 추진구(7)의 수평부(24)가 제 1 압하판(56)의 제 2 경사면(56c)을 따라서 하방으로 접동되어 이 추진구(7)의 캠(15)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때 첫번재의 캐리어(1)의 앞쪽 트롤리(11)은 제10도에(C3)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이며 제 2 프리이·레일(42)에 달하고 있고, 따라서 캐리어(1)는 그후 제 2 파우어·레일(45)을 따라 이동을 하고 있는 드라이브·체인(8)의 추진구(7)에 의하여 주행된다.
이하, 동이하게 하여첫번째의 캐리어(1)에 이어 두번째의 캐리어(1)가 구간(L)에서 추진구(7)에 의하여 후압을 받아 분기레일(43)을 지나서 제 2 프리이·레일(42)에 자리바꿈된다.
또, 첫번째의 캐리어(1)만을 제 2 프리어·레일(42)에 자리바꿈하고, 두번재의 캐리어(1)는 제 1 프리이·레일(41)을 따라서 직진시키기 위해서는 첫번재의 캐리어(1)의 제 2 프리이·레일(42)에의 자리바꿈 종료후, 절환기(47)를 제10도에서 쇄선으로 표시하는 직선 위치에 이동시키면 된다.
상기 구체예의 압하판(56) (57)은 회동하여 추진구(7)의 수평부(24)를 압하할 수 있는 형태로 되나, 수평부와 그 전후에 경사부를 가지는 압하판을 단순히 승강시키는 기구로 할수도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가 될것이다. 또, 컨베이어가 지속된경우는 추진구(7)를 요동·독(13) (14)에서 벗기기만 하면 캐리어(1)은 정지되기 때문에 스톱·핀(51) 및 돌출편(57d)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또, 상기 구체예에서는 가간(L)에서 제 1 파우어·레일(44)쪽을 굽힘으로써 제 1 프리이·레일(41)과 제 1 파우어·레일(44)끼리의 간격을 좁히고 있으나, 이것은 상대적인 것이므로, 반대로 제 1 파우어·레일(44)을 직선상으로 하고, 또 제 1 프리이·레일(41)쪽을 굽힘으로써 양 레일(41) (44)의 간격을 좁히도록 해도 상관 없다.
본발명의 정신 내지는 기본적 특징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을 변형해서 실시해도 좋다. 그러므로 이곳에 제시되는 구체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적인 것이고, 안정적인 것은 아니다. 이 발명의 범위는 상기 명세서보다도 부기된 클레임에 있어서 표시한 것이고 그리고 그때문에 그 클레임의 의의 및 클레임과 같은 범위내의 모든 변형은 클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Claims (1)

  1. 드라이브·체인(8)에 견인되어서 파우어·레일(18)을 주행하는 파우어·트롤리(9)와, 이 파우어·트롤리에 요동자재로 취부된 추진구(7)와, 파우어·레일(18)과 평행을 이루는 프리이·라인(10)을 주행하는 앞뒤 한쌍의 프리이·트롤리(11) (12)를 가지는 캐리어(1)를 구비한 복동식 트롤리·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추진구(7)는 선단에 갈고리형 계합부(23)를 가지는 동시에 이 계합부의 양측방으로 뻗는 계합해제용 수평부(24)를 가지고 있고, 평면에서 보아서 T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캐리어(1)의 앞쪽 프리이·트롤리(11)에는 갈고리형 계합부(23)와 계합되고, 또 상호 내측으로 젖혀지도록 요동자재로 구성되는 한쌍의 요동·독(13) (14)이 취부되고 뒤쪽 프리이·트롤리(12)에는 경사캠면(39a)을 가지는 어큐뮬레이트용캠(15)이 취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식 트롤리·컨베이어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이탈장치.
KR8200750A 1982-02-20 1982-02-20 복동식 트롤리 · 컨베이어(trolley Conve Yer)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 이탈 장치 KR890001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0750A KR890001620B1 (ko) 1982-02-20 1982-02-20 복동식 트롤리 · 컨베이어(trolley Conve Yer)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 이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0750A KR890001620B1 (ko) 1982-02-20 1982-02-20 복동식 트롤리 · 컨베이어(trolley Conve Yer)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 이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918A KR830008918A (ko) 1983-12-16
KR890001620B1 true KR890001620B1 (ko) 1989-05-11

Family

ID=19224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750A KR890001620B1 (ko) 1982-02-20 1982-02-20 복동식 트롤리 · 컨베이어(trolley Conve Yer)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 이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6325B (zh) * 2017-06-16 2023-01-10 河北省荣丰消毒设备有限公司 轨道传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918A (ko) 198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0279A (en) Overhead conveyor system
US4646650A (en) Trolley device in a duplex chain conveyor
US4690611A (en)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for elevators
US3314378A (en) Drive disengaging trolley system
US4232779A (en) Infeed assembly and a discharge assembly for a conveyor system
DD143752A5 (de) Foerdereinrichtung fuer mit einem aufhaengeglied versehene foerderguttraeger
US4070972A (en) Carrier propelling mechanism for power and free conveyors
US387738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veyance of articles
US3667399A (en)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KR890001620B1 (ko) 복동식 트롤리 · 컨베이어(trolley Conve Yer)에 있어서의 추진구와 캐리어의 계합 이탈 장치
US3894629A (en) Conveyor
CN209382371U (zh) 上箱机构
US4850476A (en) Suspended cylindrical belt conveyor system
US4428299A (en)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carriers at power line discontinuous portion of power-and-free trolley conveyor
US4148261A (en) Transfer system for power-and-free conveyor
US2747726A (en) Endless-belt conveyors
JP2000510802A (ja) 棚状貯蔵システムの棚状チャンネル用搬送装置
US4424749A (en) Power-and-free conveyor
US3986601A (en) Aerial transport system
US4488493A (en) Power-and-free conveyor
US4614158A (en) Conveyor system
US3208401A (en) Conveyor system
US3800709A (en) Trolley drive for over and under conveyor
US5387073A (en) Shuttlecar unloading device
US3568818A (en) Conveyor for accumulating, spacing and stor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