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305B1 -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305B1
KR100579305B1 KR1020040073045A KR20040073045A KR100579305B1 KR 100579305 B1 KR100579305 B1 KR 100579305B1 KR 1020040073045 A KR1020040073045 A KR 1020040073045A KR 20040073045 A KR20040073045 A KR 20040073045A KR 100579305 B1 KR100579305 B1 KR 100579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rail
storage
articulated
slider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161A (ko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305B1/ko
Priority to US11/028,278 priority patent/US7137342B2/en
Publication of KR2006002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30Variable-spe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8Tracks for mono-rails with centre of gravity of vehicle above the load-bearing rail
    • E01B25/12Switches;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대차저장소의 수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은, 차량이 탑재되어 이송되는 로딩구간(loading section)과, 차량이 탑재되지 않고 이송 또는 저장되는 언로딩구간(unloading section)을 갖는 것으로서, 구동부와 피동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다관절대차(multi-joint carrier); 상기 로딩구간과 상기 언로딩구간에 모두 걸쳐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대차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용 모노레일 (transferring mono rail); 상기 언로딩구간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에 대해 평행하게 구비되는 저장용 모노레일(storing mono rail); 및 상기 다관절대차의 피동부를 필요에 따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에 위치시키는 절환유닛(changing unit);을 포함한다.
대차, 이송, 레일, 적재, 절환

Description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SYSTEM MOVING CARRIER FOR PAINT-LINE}
도 1은 종래의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중 공대차저장소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다관절대차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절환스위치를 나타낸 도 3의 Ⅰ-Ⅰ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간격유지유닛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6의 Ⅱ-Ⅱ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저장용 모노레일로 다관절대차 인입시 절환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저장용 모노레일로부터 다관절대차 인출시 절환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본 발명은 대차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도장리인용 대차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이송시스템은, 공정라인에서 차량 등을 이송하는 시스템이다.
이 중, 종래의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은, 도장공정을 위해 차량 등을 이송하는 시스템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0; carrier)에 미도장 차량(20; BIW, body in white)이 탑재되어 이송되는 로딩구간(L; loading section)과, 상기 차량(20)이 언로딩되어 대차(10)만 이송 또는 적재되는 언로딩구간(U; unloading section)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딩구간(L)은, 미도장 차체(20)을 대차(10)에 투입하는 차체투입부(L1)와, 상기 투입된 차체(20)를 안내하거나 전(前)공정인 차체라인(차체를 만드는 공정라인)의 비가동을 대비하여 비축하는 비축부(L2)와, 상기 비축부(L2)를 거쳐 안내된 차체(20)를 도장부(미도시)로 투입하는 도장투입부(L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언로딩구간(U)은, 상기 도장투입부(L3)를 거치면서 공대차(10; CWB, carrier without BIW)만이 이송되는 구간으로, 차체투입부(L1)의 공대차호출에 대비하여 공대차(10)를 비축하는 공대차저장소(U1; CWB storage)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딩구간(L)과 상기 언로딩구간(U)은, 대차(10)를 안내하는 모노레일(30; mono rail)에 의해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로딩구간(L)의 모노레일(30)은, 대차(10)의 비축공간을 늘리기 위해 다수개의 만곡부(31; rounded portion)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대차(10)는, 상기 만곡부(31)에서도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다수개의 관절(11)을 갖는다.
또한, 상기 공대차저장소(U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대차(10)들이 직선형상의 상기 모노레일(30)에 일렬로 적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종래의 도장라인용 대차 이송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문제 설명에 앞서, 차체라인 고장으로 인해 미도장 차체(20)가 상기 차체투입부(L1)에 투입되지 않을 경우, 이미 로딩구간(L)에 있는 실대차(40; carrier with BIW, 미도장 차체를 로딩한 대차)들은 도장투입부(L3)를 거치면서 공대차(10) 상태로 계속해서 공대차저장소(U1)에 모이게 된다. 즉, 차체라인 고장시, 공대차저장소(U1)는 차체투입부(L1)로부터 공대차 호출을 받지 못하므로 계속해서 밀려 오는 공대차(10)는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공대차저장소(U1)에 적재되게 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대차저장소(U1)는, 공대차(10)들이 직선형상의 모노레일(30)에 일렬로 적재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공대차(10)를 적재할 수 있는 수용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차체라인 고장시, 도장라인도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미 로딩구간(L)에 진입한 실대차(40)도 더 이상 앞 실대차에 밀려서 이동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도장라인도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대차저장소의 수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은, 차량이 탑재되어 이송되는 로딩구간(loading section)과, 차량이 탑재되지 않고 이송 또는 저장되는 언로딩구간(unloading section)을 갖는 것으로서, 구동부와 피동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다관절대차(multi-joint carrier); 상기 로딩구간과 상기 언로딩구간에 모두 걸쳐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대차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용 모노레일(transferring mono rail); 상기 언로딩구간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에 대해 평행하게 구비되는 저장용 모노레일(storing mono rail); 및 상기 다관절대차의 피동부를 필요에 따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에 위치시키는 절환유닛(changing unit);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환유닛은,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 중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입부와 대향되는 소정구간에 구비되는 제1 절개부(first removed portion); 상기 제1 절개부 및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입부에 모두 걸쳐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대차가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로 인입시 상기 피동부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로 절환시키는 제1 절환스위치(first changing switch);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 중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출부와 대향되는 소정구간에 구비되는 제2 절개부(second removed portion); 및 상기 제2 절개부 및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출부에 모두 걸쳐 구비도어 상기 다관절대차가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에서 인출시 상기 피동부를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로 절환시키는 제2 절환스위치(second changing switch);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제1 절환스위치는,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입부 및 이에 대향되는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의 제1 절개부에 모두 걸쳐 구비되는 제1 스위치몸체(first switch body); 상기 제1 스위치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슬라이더(first slider);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제1 절개부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과 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을 연결하는 제1 구동용 트랙(first track for a driving part);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을 연결하는 제1 피동용 트랙(frist track for a driven part); 및 상기 제1 스위치몸체와 제1 슬라이더 사이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제1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제1 동력부(frst power source);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절환스위치는,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출부 및 이에 대향되는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의 제2 절개부에 모두 걸쳐 구비되는 제2 스위치몸체; 상기 제2 스위치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제2 절개부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과 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을 연결하는 제2 구동용 트랙;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을 연결하는 제2 피동용 트랙; 및 상기 제2 스위치몸체와 상기 제2 슬라이더 사이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다관절대차는, 제1 다관절대차와 제2 다관절대차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은, 상기 제1, 2 다관절대차의 피동부가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에 인입후, 상기 제1, 2 다관절대차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다관절대차에 구비되는 간격유지유닛(unit for keeping distance)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간격유지유닛은, 상기 제1 다관절대차의 구동부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구비되는 도그(DOG); 상기 제2 다관절대차의 구동부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방향을 향해 구비되는 소정 길이의 프론트바(front bar); 및 상기 도그에 상응하도록 상기 프론트바에 구비되어 상기 도그에 접촉시 상기 구동부가 멈추도록 감지신호를 제어유닛에 보내는 감지부(senso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은, 차량이 탑재되어 이송되는 로딩구간(도 1의 "L"참조)과, 차량이 탑재되지 않고 이송 또는 적재되는 언로딩구간(도 1의 "U"참조)을 갖는 것으로서, 구동부(도 4의 "120"참조)와 피동부(도 4의 "130"참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다관절대차(100; multi-joint carrier)와, 상기 로딩구간(L)과 상기 언로딩구간(U)에 모두 걸쳐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대차(100)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용 모노레일(200; transferring mono rail)과, 상기 언로딩구간(U)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에 대해 평행하게 구비되는 저장용 모노레일(300; storing mono rail)과, 그리고 상기 다관절대차(100)의 피동부(130)를 필요에 따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에 위치시키는 절환유닛(400; changing unit);을 포함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다관절대차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다관절대차(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몸체(110; carrier body)와, 상기 대차몸체(1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상기 구동부(120; driving part)와, 상기 대차몸체(110)이 후방에 구비되는 상기 피동부(130; driven part)와, 이송방향을 향해 상기 구동부(120)에 구비되는 소정 길이의 프론트바(140; front bar)와, 상기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상기 피동부(130)에 구비되는 소정 길이의 리어바(150; rear ba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관절대차(100)는, 상기 로딩구간(L)에서 서로 일정간격이 유지되면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송방향을 향해 상기 프론트바(140)에 구비되는 감지부(160; sensor)와, 상기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상기 리어바(150)에 구비되는 주 도그(170; main DOG)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바(140)와 상기 감지부(160)는 후술하는 간격유지유닛(도 4 및 도 6의 "500"참조)의 일구성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다관절대차(100)는, 상기 감지부(160)와 상기 프론트바(140) 사 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의 만곡상태에 따라 서로 회동시키는 제1 관절(181; first joint)과, 상기 프론트바(140)와 상기 구동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의 만곡상태에 따라 서로 회동시키는 제2 관절(182; second joint)과, 상기 피동부(130)와 상기 리어바(15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의 만곡상태에 따라 서로 회동시키는 제3 관절(183; third joint)과, 상기 리어바(150)와 상기 주 도그(17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의 만곡상태에 따라 서로 회동시키는 제4 관절(184; forth joint)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은, 상기 언로딩구간(U) 중 공대차저장소(도 1의 "U1"참조)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절환유닛(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 중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의 인입부와 대향되는 소정구간에 구비되는 제1 절개부(411; first removed portion)와,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 중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의 인출부와 대향되는 소정구간에 구비되는 제2 절개부(421; second removed portion)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절환유닛(400)은, 상기 제1 절개부(411) 및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의 인입부에 모두 걸쳐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대차(100)가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로 인입시 상기 피동부(130)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로 절환시키는 제1 절환스위치(410; first changing switch)와, 상기 제2 절개부(421) 및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의 인출부에 모두 걸쳐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대차(100)가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에서 인출시 상기 피동부(130)를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로 절환시키는 제2 절환스위치(420; second changing switch)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절환스위치를 나타낸 도 3의 Ⅰ-Ⅰ단면도이다
일예로, 상기 제1 절환스위치(410)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몸체(412; first switch body)와, 제1 슬라이더(413; first slider)와, 제1 구동용 트랙(414; first track for a driving part)과, 제1 피동용 트랙(415; first track for a driven part)과, 그리고 제1 동력부(416; first power sourc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몸체(412)는,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의 인입부 및 이에 대향되는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의 제1 절개부(411)에 모두 걸쳐 구비된다.
상기 제1 슬라이더(413)는, 상기 제1 스위치몸체(4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구동용 트랙(414)은, 상기 제1 슬라이더(413)에 고정되어 필요시 상기 제1 절개부(411)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과 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필요시는 상기 다관절대차(100)의 구동부(120)가 상기 제1 스위치몸체(412)에 진입시를 의미한다.
상기 제1 피동용 트랙(415)은, 상기 제1 슬라이더(413)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을 연결한다. 여기서, 필요시는 상기 다관절대차(100)의 피동부(130)가 상기 제1 스위치몸체(412)에 진입시를 의미한다.
상기 제1 동력부(416)는, 상기 제1 스위치몸체(412)와 제1 슬라이더(413) 사이에 고정되어 필요시 상기 제1 슬라이더(413)를 이동시킨다. 나아가, 상기 제1 동력부(416)로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절환스위치(4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위치몸체(422)와, 제2 슬라이더(423)와, 제2 구동용 트랙(424)과, 제2 피동용 트랙(425)과, 그리고 제2 동력부(42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스위치몸체(422)는,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의 인출부 및 이에 대향되는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의 제2 절개부(421)에 모두 걸쳐 구비된다.
상기 제2 슬라이더(423)는, 상기 제2 스위치몸체(4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 구동용 트랙(424)은, 상기 제2 슬라이더(423)에 고정되어 필요시 상기 제2 절개부(421)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과 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필요시는 상기 다관절대차(100)의 구동부(120)가 상기 제2 스위치몸체(422)에 진입시를 의미한다.
상기 제2 피동용 트랙(425)은, 상기 제2 슬라이더(423)에 고정되어 필요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을 연결한다. 여기서, 필 요시는 상기 다관절대차(100)의 피동부(130)가 상기 제2 스위치몸체(422)에 진입시를 의미한다.
상기 제2 동력부(426)는, 상기 제2 스위치몸체(422)와 상기 제2 슬라이더(423) 사이에 고정되어 필요시 상기 제2 슬라이더(423)를 이동시킨다. 나아가, 상기 제2 동력부(426)로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간격유지유닛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복수개의 다관절대차(100)는,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관절대차(A)와 제2 다관절대차(B)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은,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 다관절대차(A,B)의 피동부(130)가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에 인입후, 상기 제1, 2 다관절대차(A,B)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다관절대차(100)에 구비되는 간격유지유닛(500; unit for keeping distance)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간격유지유닛(500)은,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바(140)에 구비되는 상기 감지부(160)에 상응하도록 상기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제1 다관절대차(A)의 구동부(120)에 구비되는 보조 도그(510; sub DOG)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부(160)가 상기 보조 도그(510)에 접촉시 상기 감지부(160)는 상기 구동부(120)가 멈추도록 상기 감지신호를 제어유닛(미도시)에 보내게 된다. 일예로, 상기 감지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가 보조 도그에 접촉되면 뒤로 젖혀지면서 그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감지부(160)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2 다관절대차(B)의 구동부(120)에 정지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2 다관절대차(B)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한편,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저장용 모노레일로 다관절대차 인입시 절환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고,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저장용 모노레일로부터 다관절대차 인출시 절환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이하, 도 3과 도 8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첫째,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다관절대차가 공대차저장소로 인입시 시스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대차(100)의 감지부(160)가 이송용 모노레일(200)을 따라 제1 스위치몸체(412)로 인입시, 제1 슬라이더(413)는 제1 동력부(416)에 의해 도면상 하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후 제1 구동용 트랙(414)은 제1 절개부(411)를 기준으로 전방(도면상 좌측)에 있는 이송용 모노레일(200)과 후방(도면상 우측)에 있는 이송용 모노레일(200)을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60)와 구동부(120)는 상기 제1 구동용 트랙(414)을 따라 전방에 있는 이송용 모노레일(200)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대차(100)의 피동부(130)가 이송용 모노레일(200)을 따라 제1 스위치몸체(412)로 인입시, 다관절대차(100)의 구동부(120)는 정지되고, 제1 슬라이더(413)는 제1 동력부(416)에 의해 도면상 상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후 제1 피동용 트랙(415)은 저장용 모노레일(300)과 이송용 모노레일(200)을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20)의 재 동작에 의해 피동부(130)와 주 도그(170)는 상기 제1 피동용 트랙(415)을 따라 저장용 모노레일(300)로 이동하게 된다.
둘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정을 계속하면서 상기 다관절대차(100)는 상기 공대차저장소(U1)로 계속해서 인입되게 된다.
셋째,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다관절대차가 공대차저장소에서 인출시(차체투입부로부터 공대차 호출시) 시스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대차(100)의 감지부(160)가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200)을 따라 제2 스위치몸체(422)로 인입시, 제2 슬라이더(423)는 제2 동력부(426)에 의해 도면상 하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후 제2 구동용 트랙(424)은 제2 절개부(421)를 기준으로 전방(도면상 좌측)에 있는 이송용 모노레일(200)과 후방(도면상 우측)에 있는 이송용 모노레일(200)을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60)와 구동부(120)는 상기 제2 구동용 트랙(424)을 따라 전방에 있는 이송용 모노레일(200)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절대차(100)의 피동부(130)가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300)을 따라 제2 스위치몸체(422)로 인입시, 다관절대차(100)의 구동부(120)는 정지되고, 제2 슬라이더(423)는 제2 동력부(426)에 의해 도면상 상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이후 제2 피동용 트랙(425)은 이송용 모노레일(200)과 저장용 모노레일(300)을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20)의 재 동작에 의해 피동부(130)와 주 도그(170)는 상기 제2 피동용 트랙(425)을 따라 이송용 모노레일(200)로 이동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공대차저장소의 적재효율이 종래기술에 비해 3 배 이상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차체라인 고장시에도 종래에 비해 도장라인의 정지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모든 효과를 포함한다.

Claims (6)

  1. 차량이 탑재되어 이송되는 로딩구간(loading section)과, 차량이 탑재되지 않고 이송 또는 저장되는 언로딩구간(unloading section)을 갖는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에 있어서,
    구동부와 피동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다관절대차(multi-joint carrier);
    상기 로딩구간과 상기 언로딩구간에 모두 걸쳐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대차의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용 모노레일(transferring mono rail);
    상기 언로딩구간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에 대해 평행하게 구비되는 저장용 모노레일(storing mono rail); 및
    상기 다관절대차의 피동부를 필요에 따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에 위치시키는 절환유닛(changing unit);
    을 포함하는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유닛은,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 중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입부와 대향되는 소정구간에 구비되는 제1 절개부(first removed portion);
    상기 제1 절개부 및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입부에 모두 걸쳐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대차가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로 인입시 상기 피동부를 상기 저장용 모 노레일로 절환시키는 제1 절환스위치(first changing switch);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 중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출부와 대향되는 소정구간에 구비되는 제2 절개부(second removed portion); 및
    상기 제2 절개부 및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출부에 모두 걸쳐 구비되어 상기 다관절대차가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에서 인출시 상기 피동부를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로 절환시키는 제2 절환스위치(second changing switch);
    를 포함하는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환스위치는,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입부 및 이에 대향되는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의 제1 절개부에 모두 걸쳐 구비되는 제1 스위치몸체(first switch body);
    상기 제1 스위치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슬라이더(first slider);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제1 절개부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과 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을 연결하는 제1 구동용 트랙(first track for a driving part);
    상기 제1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을 연결하는 제1 피동용 트랙(first track for a driven part); 및
    상기 제1 스위치몸체와 제1 슬라이더 사이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제1 슬라 이더를 이동시키는 제1 동력부(first power source);
    를 포함하는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스위치는,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의 인출부 및 이에 대향되는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의 제2 절개부에 모두 걸쳐 구비되는 제2 스위치몸체;
    상기 제2 스위치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제2 절개부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과 전방에 위치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을 연결하는 제2 구동용 트랙;
    상기 제2 슬라이더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이송용 모노레일과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을 연결하는 제2 피동용 트랙; 및
    상기 제2 스위치몸체와 상기 제2 슬라이더 사이에 구비되어 필요시 상기 제2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부;
    를 포함하는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관절대차는, 제1 다관절대차와 제2 다관절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다관절대차의 피동부가 상기 저장용 모노레일에 인입후, 상기 제1, 2 다관절대차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다관절대차에 구비되는 간격유지유닛(unit for keeping distance)을 더 포함하는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유닛은,
    상기 제1 다관절대차의 구동부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구비되는 도그(DOG);
    상기 제2 다관절대차의 구동부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방향을 향해 구비되는 소정 길이의 프론트바(front bar); 및
    상기 도그에 상응하도록 상기 프론트바에 구비되어 상기 도그에 접촉시 상기 구동부가 멈추도록 감지신호를 제어유닛에 보내는 감지부(sensor);
    를 포함하는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KR1020040073045A 2004-09-13 2004-09-13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KR100579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045A KR100579305B1 (ko) 2004-09-13 2004-09-13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US11/028,278 US7137342B2 (en) 2004-09-13 2004-12-30 Carrier moving system for a painting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045A KR100579305B1 (ko) 2004-09-13 2004-09-13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161A KR20060024161A (ko) 2006-03-16
KR100579305B1 true KR100579305B1 (ko) 2006-05-11

Family

ID=3603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045A KR100579305B1 (ko) 2004-09-13 2004-09-13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37342B2 (ko)
KR (1) KR100579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6321A1 (de) * 2008-07-29 2010-02-04 Dürr Systems GmbH Lackieranlage zum Lackieren von zu lackierenden Gegenständen
US8887642B2 (en) * 2012-08-02 2014-11-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art movement track
DE102015006098A1 (de) 2015-05-09 2016-11-10 Eisenmann Se Temperiervorrichtung zum Temperieren von Werkstücken
CN108326824B (zh) * 2017-12-27 2024-01-02 北京动仿航泰科技有限公司 矩阵式轨道系统、关联回路式生产线及其生产方法
DE102018111202A1 (de) * 2018-05-09 2019-11-14 Eisenmann Se Tauchbehandlungsanlage und Verfahren zum Tauchbehandel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von Fahrzeugkarosseri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67338A (en) * 1974-06-12 1977-03-16 Davy Loewy Ltd Conveying systems for rod in coil form
US4074632A (en) * 1974-12-13 1978-02-21 Si Handling Systems, Inc. Switch for monorail track with rotary drive shaft
JPS5929557A (ja) * 1982-08-10 1984-02-16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床形複式トロリ・コンベヤにおける合流装置
JPS61111863A (ja) * 1984-11-05 1986-05-29 Nissan Motor Co Ltd ロボットによる組立装置
US5272924A (en) * 1991-11-05 1993-12-28 William P. Tassi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ension loading of a conveyor 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161A (ko) 2006-03-16
US7137342B2 (en) 2006-11-21
US20060054049A1 (en)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2464A (en) Railroad car for loading and unloading rails
US6626282B1 (en) Transfer system
WO2009142293A1 (ja) 車体に対する足回り部品の同期搬送システム及び同期搬送方法
KR100637650B1 (ko) 물품 전달 장치
CN109573429B (zh) 一种双层组合式双工位rgv小车和自动化立体仓储系统
JP2007001363A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CN211140612U (zh) 一种rgv小车
JP4301214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GB2405627A (en) Friction-drive carriage type conveyor
KR100579305B1 (ko) 도장라인용 대차이송시스템
WO2023213062A1 (zh) 积放链输送系统
JP6628847B1 (ja) 台車搬送装置
US6986417B2 (en) Transfer system
US5054986A (en) Storage and conveyance of heavy articles
WO2021082165A1 (zh) 基于提升效率的多品种工件自动识别转挂系统
JPH0474241B2 (ko)
JP2817539B2 (ja) 移動体使用の荷取り扱い設備
AU756326B2 (en) Inverted power and free storage system
RU2489299C2 (ru)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автомобилей
CN216234486U (zh) 穿梭车
JP4400437B2 (ja) 物品搬送システム
CN215100136U (zh) 轨道及输送系统
JP2560301B2 (ja) 多重搬送装置
CN114590543B (zh) 一种货运整合系统及其控制方法
JPH0275475A (ja) 車体溶接ラインにおける車体の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