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722Y1 - 원형직기 - Google Patents

원형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722Y1
KR880001722Y1 KR2019840008925U KR840008925U KR880001722Y1 KR 880001722 Y1 KR880001722 Y1 KR 880001722Y1 KR 2019840008925 U KR2019840008925 U KR 2019840008925U KR 840008925 U KR840008925 U KR 840008925U KR 880001722 Y1 KR880001722 Y1 KR 880001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arm
lever
circular loom
par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8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휘머 프란츠
Original Assignee
휘머 프란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673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88000172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휘머 프란츠 filed Critical 휘머 프란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6Travelling-wave-shed looms
    • D03D47/262Shedding, weft insertion or beat-up mechanisms
    • D03D47/267Shedding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7/00Circular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형직기
제 1 도는 원형직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따른 직기의 부분 잉아기 조절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제 3 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제 2 도에 따른 부분 잉아기 조절 장치의 여러 특정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부 2 : 프레임 반송기
3 : 원형 바디 4 : 스위치
5 : 프레임 6 : 잉아기
7 : 경사 8 : 주축
9 : 지지부 10 : 인발 로울러
14 : 천 확장기 16 : 인입 로울러
22, 23 : 안내 풀리 24, 25 : 벨트 가닥
26 : 급사공 29 : 북 활주부
20 : 북 32, 33 : 캠
40 : 조절레버 41 : 받침점
42, 43 : 아암 44 : 로울러
45 : 연결부 46 : 횡간 바아
47 : 접촉레버
본 고안은 개선된 원형직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직기의 주축 주위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기 원주상으로 배분되는 양 시스템의 경사의 일부를 안내하는 다수의 내부 및 외부 급사공으로 구성되고, 연속장치에 의해 대향 상하 운동이 인가되어 제직 개구 및 이동 개구를 형성하고, 판상 캠에 연결되어 직기의 상기 주축 주위로 회전되고, 상기 내부 및 외부 급사공은 상부 및 하부 안내 로울러 위에서 안내되는 밴드(band)장치로 상호 연결되는 다수의 부분 잉아기로 구성되는 원형직기에 관한 것이다.
내부 및 외부 부분 잉아기가 직기의 주축 주위에 2열로 원형으로 위치하고, 이 부분 잉아기들을 직기의 주축과 함께 회전하는 판상 캠의 작동에 의해 2열의 조절레버로 상하운동을 시키는 공지된 원형직기와 비교하여 보면, 이제는 개구장치의 변화를 위한 가동 요소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지 1열의 정지된 부분 잉아기 만이 마련되며, 각각은 경사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내부 및 외부 급사공을 갖고 있고, 이들은 조를 이루어 연속순환 가닥 또는 밴드 장치에 의해 스트랜드(strand)위에 고정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각 부분 잉아기 위의 각각의 그룹의 연속 순환 가닥은 양 로울러 주위에서 같이 또는 단독으로 안내되며, 이들은 상호간에 격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트랜드의 모든 내부 가닥은 그 하부단에서 수직 활주면 위에 고정되며, 이는 스캐너 로울러(scanner roller) 및 판상캠 위의 캠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여, 대향 상하 반복운동을 연속 순환 가닥에 전달하고 따라서 급사공에 전달하여, 이동 개구를 형성한다.
이제 부분 잉아 장치를 “일열”개념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이동 조절 부품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가 있으나, 새로운 문제점이 대두된다. 즉, 수직 활주면이 기울게 되어, 캠으로부터 스캐너 로울러에 전달되어 그에 가해지는 높은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의 힘에 의해, 해결하기가 곤란한 잼(jam)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선행기술의 결함을 극복하면서, 현재 필요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개선된 원형 직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순하고 고장이 없는 방법으로, 상하 이동되는 밴드 장치에 인가되는 캠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는 전기한 형태의 장치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전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연속 장치를 상기 각 부분 잉아기의 급사공에 대향 상호 이동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2-아암으로 된 조절 레버로 구성하고, 상기 조절레버를 고정된 받침점 위에서 지지 및 회전 시키고, 그 아암의 한쪽단부를 판상 캠위에 캠과 가동 연결시키고, 그 다른 아암의 단부를 각각의 부분 잉아기의 밴드 장치의 내부 가닥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써, 극도로 정밀하나 매우 고가인 수직 활주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러한 장치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으며, 부분 잉아기의 밴드 장치는 정확한 수직안내는 필요없이 단지 조절레버를 이용하여 횡방향 이동만 조절하면 된다.
따라서 선행 장치에서 필요하던 정밀한 수직 안내 장치는 조절레버의 하나의 아암의 단부와 접철 상태로 압압되는 판상 캠의 캠사이의 가동 연결로 대체할 수가 있다.
조절시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조절레버를 하나 이상의 이탈식 연속 로울러로 구성하며, 이 로울러는 캠과 가동 연결된 그 아암의 단부에서 판상 캠 위에서 회전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조절레버를 선형 레버, 각을 이루거나 또는 토글(toggle)식으로 할 수도 있으며, 이는 판상 캠 위의 캠을 여러 형태, 예컨대 판상 캠내에 위치하는 원형 홈, 또는 측면이나 위 또는 아래로 돌출된 플랜지 형태로 할 수 있게 한다.
조절 레버가 각각의 부분 잉아기의 밴드 장치의 내측 가닥에 연결된 그 아암의 단부가 횡간 바아에 가요성 있게 연결되면 매우 강한 횡방향 안정성을 전체 장치에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횡간 바아는 연결부에 의해 밴드 장치에 접촉 및 고정된다.
조절 레버 및 내측 밴드 가닥을 매우 신속하게 연속 작동시키고, 따라서 다른 가닥에 대한 굴곡 정도를 일정하게 하게 되면, 측면 진동을 거의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측 가닥의 굴곡을 방지하고자 할 때는, 연결로드 또는 연결 레버를 횡간 바아와 각 조절레버 아암의 연결부 사이에 위치시키면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상술한다.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작된 제 1 도에 도시된 원형 직기는 직기 기부(1)위에 거치되며, 기부는 원형 프레임 반송기(2)를 지지하며, 프레임 반송기에는 원형 바디(reed)(3), 스위치(4) 및 잉아기(6)을 지지하는 또 다른 프레임(5)가 위치한다. 잉아기(6)은 공지된 방법으로 직기의 주축(8) 주위에 원형으로 배치되며, 이에 관한 사항은 이후에 상술하겠다.
천 인발 장치용 지지부(9)도 또한 직기 기부(1)위에 지지되는데, 여기에서는 이 장치를 단지 천 인발 로울러(10)으로만 도시하였다. 천 확장기(14)도 또한 인발 장소에 위치한다. 도시된 원형 직기에 있어서, 좌측에는 경사용 인입로울러(15)가 있으며, 우측에는 경사용 인입 로울러(16)이 위치된다. 경사(7)은 두개의 경사 다발로 나뉘어져 공지된 방법으로 경사 스풀(spool)그룹으로 뽑아지며, 여기에서는 이를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다. 경사(7)도 역시 그 이동 통로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직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경사 다발 중의 하나는 들어 올려지고 다른 하나는 소위 개구 이동 변화에 의해 제직 평면 수준 이하로 하강되어, 경사 상부 개구(7') 및 하부 개구(7")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소위 제직 또는 다상 개구에 있어서, 위사 보빈(도시안됨)이 있는 하나 이상의 북(30)은 수평 원형 통로를 통과한다. 북의 원형 운동에 의해, 위사 보빈으로부터 풀려진 위사는 원형천의 연부(13)을 통과하게 되어, 이 위사가 천으로 직조되게 된다. 관형으로 직조된 천은 다음에 인발되어 평면으로 쌓여지게된다.
전기한 개구 형성 과정을 인가하기 위해, 다수의 잉아기(6)을 주축(8)의 주위에서 원형 바디(3)의 외부 맨들(mantle)표면 근처에 배치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아기(6)은 예컨대 벨트 가닥으로 구성된 부분 잉아기(24) 및 (25)로 구성된다. 예컨대, 연속 순환 벨트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프레임(5)의 상부 및 하부의 회전 자재하게 지지된 안내 풀리(22) 및 (23)위로 안내된다.
벨트의 내부 가닥(24) 및 외부 가닥(25)는 각 경우에 급사공(26)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경사 다발(7') 또는 (7")의 경사가 뽑아진다. 가닥(24) 및 (25)의 대향 상하 이동은 양 경사 다발에 전기한 개구 이동 변화를 야기시킨다.
이제까지 설명한 내용은 선행 기술과 일치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기한 바와 같이 상기 원형직기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양 경사 다발에 개구 이동변화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위 개구 이동 변화를 형성하기 위해, 공지된 기술에서는 내측 가닥(24)를 급사공(26)하부에서 이동 조절 장치 위에서 상하로 활주 이동되는 소위 북 활주부(29) (여기에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음)에 단단히 연결시킨다. 이 수직 활주부로 부터는 안내 로울러가 돌출되며, 이 로울러는 원형직기의 주축과 동심으로 되어 있는 대응된 판상 캠 위를 회전하는 각각의 아암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예컨대 축 활주 프레임에 고정된 활주로드편과 같은 형태로 된 축 활주 프레임을 상하로 수직 활주시키는 공지된 마모가 심하고, 윤활유를 다량으로 사용하여도 그 마모 정도를 감소시키기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공지된 장치는 부품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만 된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고도의 조립성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각 부분 잉아기(6)의 급사공(26)의 대향 상향 운동을 하나 이상의 2-아암 조절 레버(40)으로 인가하며, 이 레버는 고정된 받침점(41)위에 지지되어 회전하며, 그 아암(42)의 단부는 판상캠(33)위의 캠(32)와 가동 연결되며, 그 다른쪽 아암(43)의 단부는 각 부분 잉아기(6)의 밴드장치(23), (25)의 내측 가닥(24)에 고정된다. 이는 제 1 도에 상세히 도시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법은 조절 레버(40)으로 가동되는 부분 잉아기 또는 급사공 장치의 형상과는 무관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예컨대, 제 2 도에 도시한 금사공(26)은 단일 잉아기이고, 이들이 모여서 부분 잉아기 (상세히 도시 안됨)을 구성하고, 그 위에 안내 로울러(22), (23) 주위에서 안내되는 밴드(24), (25)가 연결되고, 하부 밴드의 내측 가닥이 단일 부분 잉아기 조절 레버(40)의 아암(43)단부에 연결되는 형태로도 할 수 있다. 각 부분 잉아기의 내측 또는 외부 급사공은 연속 순환안내 밴드의 각각의 가닥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연속 순환 안내 밴드는 부분 잉아기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며 각 안내 로울러 위로 연장되고, 안내 로울러는 부분 잉아기의 상부 또는 하부 프레임 위에서 지지 및 회전되고, 한쪽 가닥에 있는 각각의 급사공은 다른쪽 가닥내의 수직 슬리트(slit)에 대향 위치하고, 조절 레버는 급사공 및 수직 슬리트 하부에서 내측 밴드 가닥에 연결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부분 잉아기의 구조는 본 출원인에 의한 다른 특허의 대상이나, 여기에서는 이를 대상으로 삼지는 않는다.
제 2 도에서는 판상 캠(33)의 한쪽 아암(32)단부 사이의 가동 연결이 형태 폐쇄 조절력에 의해 야기되는 것을 상세히 도시하였다. 제 2 도에 따르면, 여기에 도시된 조절 레버(40)은 캠(32)에 가동 연결된 그 아암(42)의 단부에서 판상 캠(33)의 캠(32)위에서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연속 회전 로울러(44)로 구성된 선형 레버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연속 로울러는 판상 캠(33)내에 형성된 홈(32)내에 위치한다.
조절 레버(40)에 토글레버의 각을 적용시키면, 조절 레버 아암은 측면으로 향한 홈에 계합되거나 또는 아래로, 또는 위로 돌출된 조절 플랜지 위에 있는 이중 로울러와 연결될 수도 있다. 조절 플랜지는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제 3 도, 제 4도 및 제5도는 조절 레버(40)을 그 다른쪽 아암(43)의 단부에서 각각의 부분 잉아기(6)의 밴드 장치(24), (25)의 내측 가닥에 고정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3 도에 따르면, 이러한 가요성 고정 점은 횡간 바아(46)위의 연결부(45) 위에서 행해지며, 이는 밴드 장치(24), (25)와의 접촉을 야기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내측 가닥(24)의 상하 운동에 의해 도면에 점선(24')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닥이 일정하게 굴곡되게 된다.
제 4 도에 따른 다른 방법에서는, 조절 레버(40)을 각각의 부분 잉아기(6)의 밴드(24), (25)의 내측 가닥(24)에 고정된 한쪽 아암(43)의 단부를 횡간 바아(46')에 가요성 있게 연결시키며, 횡간 바아는 넓은 밴드(24'), (25')에 고정시키며, 다음에 연결부(45)를 적절한 간극(24")를 통한 대략 중심에서 가닥(24')를 관통시킨다.
제 4 도에 따른 장치를 사용할 시에 내측 가닥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때는, 연결 로드 또는 연결 레버(47)을 제 5 도에서와 같이 횡간 바아(46)의 연결부와 각 조절 레버 아암(43)사이에 위치 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전기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매우 정숙하고, 견고하며, 단순하고 정밀한 구동을 수행할 수 있는 원형 직기의 축 구동 장치를 마련하게 된다.

Claims (6)

  1. 원형직기에 있어서, 직기의 주축 주위에 원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부분 잉아기로 구성되고, 각 부분 잉아기는 원주상으로 배분되는 양 경사의 일부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내부 및 외부 급사공으로 구성되고, 부분 잉아기는 연속장치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여 제직 개구 및 이동 개구를 형성하고, 연속 장치는 직기의 주축 주위를 회전하는 주축 위의 판상 캠과 연결되고, 상기 내부 및 외부 급사공은 각각 상부 또는 하부 안내 로울러 위에서 안내되는 밴드 장치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연속 장치는 상기 각 부분 잉아기의 급사공에 대향 상하 반복 운동을 야기시키는 하나 이상의 2-아암 조절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 레버는 고정된 받침점 위에서 지지 및 회전되고, 그 한쪽 아암의 단부는 판상 캠 위의 캠과 가동 연결되고, 그 다른쪽 아암의 단부는 각 부분 잉아기의 밴드 장치의 내측 가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 레버의 한쪽 아암의 단부와 판상 캠 위의 캠 사이의 가동 연결이 형태 폐쇄 조절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 레버가 하나 이상의 연속 회전 로울러로 구성되고, 이는 캠과 가동 연결된 그 아암의 단부에서 판상 캠 위의 캠 위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 레버가 선형레버, 각을 이룬 레버, 또는 토글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조절 레버가 각 부분 잉아기의 밴드 장치의 내측 가닥에 고정된 그 아암 단부에서 횡간 바아에 가요성 있게 연결되고, 이는 연결부에 의한 밴드 장치의 고정 또는 접촉을 야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연결 로드 또는 연결 레버를 횡간 바아 연결부와 각 조절 레버 아암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직기.
KR2019840008925U 1983-07-20 1984-09-11 원형직기 KR8800017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967/83-0 1983-07-20
CH3967/83A CH660042A5 (de) 1983-07-20 1983-07-20 Rundwebmaschi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249 Division 1984-07-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722Y1 true KR880001722Y1 (ko) 1988-05-06

Family

ID=426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8925U KR880001722Y1 (ko) 1983-07-20 1984-09-11 원형직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579149A (ko)
JP (1) JPH07853B2 (ko)
KR (1) KR880001722Y1 (ko)
AT (1) AT388400B (ko)
BG (1) BG42839A3 (ko)
BR (1) BR8403600A (ko)
CH (1) CH660042A5 (ko)
CS (1) CS254976B2 (ko)
DE (1) DE8420951U1 (ko)
FR (1) FR2549502B3 (ko)
GB (1) GB2143859B (ko)
IN (1) IN163095B (ko)
IT (1) IT1175852B (ko)
PH (1) PH23986A (ko)
PT (1) PT78954B (ko)
TR (1) TR249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2505A (zh) * 2016-05-04 2018-12-21 因诺泰克轻量化工程与聚合物技术有限公司 用于制造空心型材式织物的圆织机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7836B1 (fr) * 1986-12-08 1989-03-17 Aerospatiale Procede de fabrication de renforts polaires a l'aide de fils radiaux et de fils circonferentiels continus et machine a tisser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DE19815821C1 (de) * 1998-04-08 1999-12-02 Mayer Malimo Textilmaschf Antriebsvorrichtung für die Teilschäfte von Rundwebmaschinen
CN101570912B (zh) * 2009-06-02 2013-07-10 黄美昌 一种平面凸轮塑料圆织机
CN201678803U (zh) * 2010-05-11 2010-12-22 陈上利 一种节能小凹轮塑料圆织机
CN102108583B (zh) * 2011-03-31 2012-07-04 东华大学 一种可编程的圆织机端面凸轮开口机构
CN102154756B (zh) * 2011-03-31 2012-06-13 东华大学 一种可程序控制的圆织机凸轮开口机构
AT15480U1 (de) * 2016-04-29 2017-10-15 Starlinger & Co Gmbh Rundwebmaschine
CN106498594A (zh) * 2016-12-21 2017-03-15 江苏友诚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织机开口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449A (en) * 1906-04-16 1910-03-08 Petersen Circular Loom Company Circular loom.
US1357967A (en) * 1916-01-14 1920-11-09 Pray Maglois P Du Process of weaving multiply tubular fabric and apparatus therefor
FR615015A (fr) * 1926-04-24 1926-12-28 Perfectionnements aux métiers à tisser circulaires
US1889076A (en) * 1929-05-02 1932-11-29 Mutter Karl Loom
GB387812A (en) * 1931-03-28 1933-02-16 Cornelis Johannes Slot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weaving of tubular fabrics and the like
FR997194A (fr) * 1945-06-13 1952-01-02 Comptoir Linier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métiers à tisser circulaires et électriques
GB618504A (en) * 1945-06-13 1949-02-23 Comptoir Lini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ircular looms
US2487148A (en) * 1945-06-13 1949-11-08 Comptoir Linier Electric circular loom
CH601530A5 (ko) * 1975-09-04 1978-07-14 Indupack Ag
JPS5369579U (ko) * 1976-11-08 1978-06-10
CS193289B1 (en) * 1977-09-12 1979-10-31 Milos Jansa Shedding apparatus,especially for travelling wave shedding looms
PH16162A (en) * 1978-08-25 1983-07-18 Torii Winding Machine Co A mechanism for stopping a circular loom during weaving operation
DE2921988C2 (de) * 1979-05-30 1981-09-24 Windmöller & Hölscher, 4540 Lengerich Vorrichtung zur Fachbildung in Rundwebmaschinen
JPS567776U (ko) * 1980-06-19 1981-01-23
AT371846B (de) * 1981-11-25 1983-08-10 Chemiefaser Lenzing Ag Rundweb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2505A (zh) * 2016-05-04 2018-12-21 因诺泰克轻量化工程与聚合物技术有限公司 用于制造空心型材式织物的圆织机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388400B (de) 1989-06-12
CH660042A5 (de) 1987-03-13
PT78954A (de) 1984-08-01
BR8403600A (pt) 1985-06-25
DE8420951U1 (de) 1984-10-04
FR2549502A3 (fr) 1985-01-25
BG42839A3 (en) 1988-02-15
JPH07853B2 (ja) 1995-01-11
GB2143859A (en) 1985-02-20
PT78954B (de) 1986-06-03
US4579149A (en) 1986-04-01
IT1175852B (it) 1987-07-15
ATA343083A (de) 1988-11-15
JPS6039442A (ja) 1985-03-01
CS254976B2 (en) 1988-02-15
GB8417779D0 (en) 1984-08-15
GB2143859B (en) 1987-01-21
TR24947A (tr) 1992-07-27
CS557284A2 (en) 1987-07-16
IN163095B (ko) 1988-08-06
PH23986A (en) 1990-02-09
FR2549502B3 (fr) 1985-08-09
IT8421962A0 (it) 198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722Y1 (ko) 원형직기
KR890701821A (ko) 개선된 제직방법
US4015637A (en) Triaxial fabric forming machine and components thereof
GB2155964A (en) Positive type yarn feeding device for knitting machine
KR910006408B1 (ko) 직기, 특히 원형직기의 경사장력조절 및 관리장치
US4890464A (en) Positive feed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2378836A (zh) 圆型针织机的喂纱装置
US3961648A (en) Positive shedding motion device for a circular loom
US4512373A (en) Feeding and guiding means for triaxial fabric forming machine
KR910004210B1 (ko) 원형 직기
US4348876A (en) Weft thread laying apparatus
KR101421214B1 (ko) 원형직기의 셔틀장치
US4776371A (en) Circular loom
US45652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fting main nozzles on a fluid-jet type loom
JPS63135541A (ja) 環状織機
KR910002113B1 (ko) 원형 직기
GB2026046A (en) Improved rotary braiding machine
US3750714A (en) Weaving machine and method
US4380913A (en) Weft thread laying apparatus with combing element
KR830001946B1 (ko) 위사 장력장치
KR930700711A (ko) 원형 직조기
US3514978A (en) Magazine bar for transferring knitted fabric
KR20010037753A (ko) 원형직기
US2696836A (en) Circular loom
KR910006407B1 (ko) 원형 직기의 축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