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636B1 - 옥사디아졸로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옥사디아졸로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636B1
KR880001636B1 KR1019810004984A KR810004984A KR880001636B1 KR 880001636 B1 KR880001636 B1 KR 880001636B1 KR 1019810004984 A KR1019810004984 A KR 1019810004984A KR 810004984 A KR810004984 A KR 810004984A KR 880001636 B1 KR880001636 B1 KR 880001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adiazolo
dihydro
pyridyl
pyrimidine
ox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헹가르트너 우르스
뮐레흐 쟝-끌라우드
라무츠 헨리
Original Assignee
에프.호프만-라롯슈 앤드 캄파니아크티엔게젤샤프트
쿠르트 네젤 보쉬, 한스 스튀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호프만-라롯슈 앤드 캄파니아크티엔게젤샤프트, 쿠르트 네젤 보쉬, 한스 스튀클린 filed Critical 에프.호프만-라롯슈 앤드 캄파니아크티엔게젤샤프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06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옥사디아졸로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혈압 치료제 및 혈관 확장제로 유용한 신규의 일반식(I)의 옥사디아졸로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알콕시알킬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알킬"이란 용어는, 단독으로나 조합하여, 탄소수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내지 4의 직쇄 및 측쇄 포화 탄화수소로서,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3급-부틸 등이 있다. "알콕시"란 용어는 "알킬"이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알킬 에테르이다. "알케닐"이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결합이 불포화된 탄소수 2 내지 6,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의 직쇄 및 축쇄 탄화수소로서 알릴, 부테닐 등이 있다. "알키닐"이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3중 결합이 존재하는 탄소수 2 내지 6,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3의 직쇄 및 측쇄 탄화수소로서 프로파길 등이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중 R이 알킬 또는 알케닐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R이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또는 탄소수 2 내지 3의 알케닐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며, R이 부틸 또는 알릴인 일반식(I)의 화합물, 즉 부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및 알릴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가 더욱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은 a) 일반식(II)의 5-아미노-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2-온을 일반식(III)의 아졸 유도체와 반응시키고, b) 필요시, 수득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염으로 전환시키거나 염을 다른 염으로 전환시켜 제조한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은 상기한 바와 같고, A는 그룹 -CH=CH-,
Figure kpo00003
및 -N=CH- 중의 하나이고, 여기에서 -N=CH-의 질소원자는 2-위치에 존재한다.
일반식(II) 화합물과 일반식(III)의 아졸 유도체와의 반응은 자체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한다. 통상 일반식(II)의 화합물의 음이온을 일반식(III)의 아졸유도체와 반응시킨다. 일반식(II)화합물의 음이온은 염기와의 반응에 의해 동일반응계 내에서 유리하게 제조된다. 염기로는 알칼리금속 수소화물(예 : 수소화나트륨), 알칼리금속아미드(예 : 나트륨아미드 또는 칼륨아미드),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칼륨 3급-부틸레이트 등이 적합하다. 반응은 반응조건하에 불활성인 용매중에서 약 -25℃내지 실온, 바람직하게는 약 0o내지 15℃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용매로는 디메틸포름아미드, 포화탄화수소(예 : 헥산), 방향족 탄화수소(예 : 벤젠, 톨루엔 또는 크실렌), 에테르(예 : 디에틸 에테르, 디옥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II)의 출발물질은 신규의 화합물이며, 역시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다. 이 화합물은 일반식(IV)의 화합물을 폐환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일반식(IV) 화합물의 폐환반응은 자체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약 5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약 100내지 150℃의 온도로 가열시켜 수행한다. 반응은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폐환반응을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중에서 수행할 경우에, 용매로는 벤젠, 톨루엔 또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디부틸 에테르, 디옥산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테르,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폐환온도보다 높은 비점을 갖는 용매를 사용하거나 환류온도로서 상기 지적된 온도범위에서 비등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폐환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용매로서 톨루엔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폐환시간은 폐환이 수행되는 온도에 따르며, 약 1/4내지 18시간이다. 폐환반응을 약 100 내지 150℃의 바람직한 온도범위에서 수행할 경우에, 폐환시간은 약 1/4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시간이다.
일반식(III) 및 (IV)의 화합물은 공지된 화합물이고, 이들은 이미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거나, 선행공지된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예 :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예 : 수산화칼슘)과 같은 무기염기로 처리하여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식(I)화합물의 염은 적합한 염을 이중분해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일반식(I) 화합물의 염중에서,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이 바람직하다.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염은 지속적 혈관 확장 특성 및/또는 혈압강하 특성을 가지므로, 고혈압 치료제 또는 말초혈액 공급장애가 있는 경우에 혈관 확장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혈압강하 활성은 하기 방법에 따라 자각적, 특발성 고협압 쥐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수축성 혈압 및 심박도수를 시험물질 투여 전 2회 측정한다. 시험물질을 일일 2회 아침과 점심에 식도관을 통해 투여한다. 두가지 피라미터를 투여 후 1, 3, 6 및 24시간에 측정하고 대조값에 대한 변화율을 계산한다. 수축성 혈압은 하기 문헌의 방법에 따라 쥐의 꼬리 동맥에서 간접적으로 측정한다[참조 : Gerold et al., Helv. Physiol, Acta 24 : 58-69, 1966 : Arzneimittelforschung 18 : 1285-1287, 1968].
결과는 다음 표와 같고, 각 경우에 대조값에 대한 최대 편차율을 나타냈다. 또한 독성도 다음 표에 기술되어 있다.
[표]
Figure kpo00005
A=메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 피리미딘-5-카바메이트.
B=이소부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 피리미딘-5-카바메이트.
C=(2-메톡시에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 피리미딘-5-카바메이트.
D=부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 피리미딘-5-카바메이트.
E=프로필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 피리미딘-5-카바메이트.
F=이소프로필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 피리미딘-5-카바메이트.
G=프로파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 피리미딘-5-카바메이트.
H=알릴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 피리미딘-5-카바메이트.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은 예를 들면 장내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약제학적 유기 또는 무기 불활성 담체물질(예 : 물, 젤라틴, 아라비아검, 락토즈,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식물유, 폴리알킬렌글리콜, 바셀린 등)와 함께 약제학적 제제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제제는 고체 형태(예 : 정제, 당의정, 좌제 또는 캅셀제) 또는 액체 형태(예 : 액제, 현탁액제 또는 유제)로 제조될 수 있다. 필요시, 약제학적 제제를 멸균시키고/시키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삼투압 변화용의 염 또는 완충제와 같은 보조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이들은 또한 기타 치료학적으로 유용한 물질도 함유할 수 있다.
경구투여시의 일일 용량은 약 10 내지 500mg이고 정맥내 투여시에는 약 1내지 50mg이다. 그러나 상기 용량은 예로서 제공된 것에 불과하고, 치료할 상태의 중증도 및 의사의 판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며, 온도는 섭씨이고 용점은 보정하기 않았다.
[실시예 1]
4.30%(98 내지 108밀리몰)의 수소화나트륨(오일중 55 내지 60% 분산액)을 헥산으로 세척하고 아르곤 대기하에서 1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현탁시킨다.
20.54g(88밀리몰)의 5-아미노-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2-온을 14o로 유지시킨 빙냉 현탁액에 10분내에 적가한다. 빙욕을 제거하고 혼합물을 30분간 교반시킨 후, 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중 15.8g(125밀리몰)의 1-메톡시카보닐-이미다졸 용액을 급속히 가하고 용액을 20 내지 25o에서 1시간 교반시킨다. 생성된 적갈색의 맑은 용액을 1.2l의 물에 붓고 약간 혼탁한 용액을 스피덱스(Speedex)필터베드로 여과시킨 후 교반시키면서 40ml의 빙초산으로 처리한다.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600ml의 물로 충분히 세척한다. 여과 케익을 흡인 필터에서 400ml의 메탄올로 연마시키고 급속히 흡인 여과시킨다. 건조시켜(40o, 20mmHg), 융점이 213o(분해)인 백색 분말로서 23.37g(91%)의 메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2,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를 수득한다.
10.00g의 조생성물을 500ml의 메탄올 및 25ml의 트리에틸아민에 환류하에 용해시키고 여과시킨다. 따뜻한 용액을 50ml의 메탄올중 20ml 빙초산으로 30분내에 처리하고 현탁액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다. 결정화물을 여과시키고 매회 200ml의 메탄올로 3회 충분히 세척한다. 건조시켜(40o, 20mmHg), 융점이 215o(분해)인 백색 결정 8.99g을 수득한다.
출발물질로 사용된 5-아미노-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2-온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28.8g(0.109몰)의 메틸 2-아미노-6-[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4-피리미딘-카바메이트-3-옥사이드를 3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135o의 오일 욕에서 30분간 교반시킨다. 갈색용액을 감압하에 증발시킨다. 여전히 습윤상태의 잔사를 350ml의 에테르에 1시간 현탁시키고 결정화물을 여과시킨 후 에테르로 세척한다. 건조시켜(40o, 20mmHg), 융점이 228o(분해)인 연베이지색의 결정성 분말 23.4g(92.5%)을 수득한다.
출발물질로 사용된 1-메톡시카보닐-이마다졸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60ml의 에테르중 47. 2g(0.50몰)의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를 500ml의 아세토니트릴중 34.05g(0.50몰)의 이미다졸 및 52.5g(0.52몰)의 트리에틸아민의 교반용액에 10o에서 40분내에 적가한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키고, 침전물을 여과시킨 후 에테르로 세척한다.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500ml의 벤젠에 용해시켜 10분간 교반시킨다. 불용성 물질을 다시 여과시키고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잔류오일을 서서히 고체화시킨다. 이로부터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융점이 35내지 40o인 연황색 고체 61.7g(98%)을 수득한다.
[실시예 2]
실시예1과 유사한 방법으로, 5-아미노-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2-온을 1-이소부틸옥시카보닐-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융점이 197 내지 198o(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인 이소부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를 수득하고 :
1-(2-메톡시에틸)옥시카보닐-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융점이 203 내지 204o(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인 부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를 수득하고 ;
1-부틸옥시카보닐-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융점이 197 내지 198o(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디에틸에테를로부터)인 부틸 7-[3,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를 수득하고 ;
1-에톡시카보닐-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융점이 202 내지 204o(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인 에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를 수득하고 ;
1-프로필옥시카보닐-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융점이 201 내지 202o(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디메틸에테를로부터)인 프로필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를 수득하고 ;
1-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융점이 186 내지 187o(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인 이소프로필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를 수득하고 ;
1-프로파길옥시카보닐-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융점이 211 내지 213o(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인 프로파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를 수득하고 ;
1-알릴옥시카보닐-이미다졸과 반응시켜, 융점이 207 내지 209o(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인 알릴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를 수득한다.
출발물질로서 사용된 상기 이미다졸 유도체는, 실시예1의 마지막 단락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미다졸을 상응하는 클로로프름산 에스테르의 반응시켜 제조한다. 이 유도체는 실온에는 결정이 아니므로 분광법으로 특징지운다.
[실시예 3]
1.2g의 수소화나트륨을 20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중 4.66g(20밀리몰)의 5-아미노-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H[1, 2, 4]옥사디아졸로 [2, 3-C]-피리미딘-2-온의 15o로 냉각시킨 용액에 적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진탕시킨후, 5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중 5.28g의 1-메톡시카보닐-벤즈이미다졸을 가한다. 2시간 후에 혼합물을 빙수로 처리하고 빙초산을 사용하여 pH 5로 조정한다. 수득된 침전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로 재결정시켜, 융점이 212 내지 214o인 메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딜-5-카바메이트를 수득한다.
출발물질로 사용된 1-메톡시카보닐-벤즈이미다졸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16.72ml의 트리에틸아민을 아세토니트릴중 11.8g(100밀리몰)의 벤즈이미다졸 용액에 적가한다. 여기서 10o에서 30ml의 에테르중 7.68ml의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용액을 가한다.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용액을 감압하에 증발시킨다. 수득된 1-메톡시카보닐-벤즈이미다졸은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한다.
[실시예 4]
13g의 메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를 100ml의 물에서 교반시키고, 44.7ml의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1.001몰당량)으로 서서히 처리하여 pH가 안정화될 때까지 변화시킨다. pH가 안정화되면, 수득된 용액을 여과시키고 냉동건조 및 동결건조시킨다. 50o에서 고진공하에 반복 건조시켜, 융점이 192 내지 198o인 미세 백색 분말로서 메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의 나트륨염 13. 5g을 수득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33g의 부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및 1.001몰당량의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부터, 융점이 158 내지 169o인 상응하는 나트륨염을 수득한다.
[실시예 A]
하기 성분들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한다. :
Figure kpo00006
I의 성분들을 체질하고 혼합시킨 후, 혼합물을 전분 페이스트 II로 습윤화시키고 반죽한다. 습윤상태의 덩어리를 과립화시키고 건조시킨 후 적합한 과립 크기로 만들고, III과 혼합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을 단시간내에 IV와 혼합시킨 후, 혼합물을 직경이 7mm이고 절단선을 갖는 중량 100mg의 정제로 압착시킨다.
[실시예 B]
하기 성분들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한다 :
Figure kpo00007
I의 성분들을 체질하고 혼합시킨 후, 혼합물을 옥수수 전분 페이스트 II로 습윤화시키고 반죽한다. 습윤 상태의 덩어리를 과립화시키고 건조시킨 후 과립크기로 만들고, III과 혼합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을 단시간내에 IV와 혼합시킨 후, 혼합물을 직경 11mm이고 절단선을 갖는 중량 350mg의 정제로 압착시킨다.
[실시예 C]
하기 성분들을 함유하는 캅셀제를 제조한다 :
Figure kpo00008
I의 성분들을 체질하고 혼합시킨 후, 혼합물을 옥수수 전분 페이스트 II로 습윤화시키고 반죽한다. 습윤 상태의 덩어리를 과립화시키고 건조시킨 후 적합한 과립크기로 만들고, III과 혼합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을 단시간 내에 IV와 혼합시킨 후, 혼합물을 각기 150mg을 함유하는 캅셀(크기 2)에 충진시킨다.
[실시예 D]
하기 성분들을 함유하는 수성 드롭 현탁액을 제조한다.
1ml당 10mg
부틸 7-[3, 6-디하이드로-1(2H)-
피리딜]-2-옥소-2H-[1, 2, 4]-
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
5-카바메이트(미세화) 0.1g
나트륨 벤조에이트 0.035g
사카리 나트륨 0.015g
아크릴산 중합체 0.1-1.0g
사카로즈 3.5g
시트르산 0.025g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0.02-0.1g
수산화나트륨 적당량
향미제 적당량
식품 착색제 적당량
탈이온수 전체 용적이 10.0ml가 되도록 가함.
[실시예 E]
정제, 캅셀제 및 주사용 제제를 실시예 A 내지 D의 방법에 따라 하기한 바람직한 화합물 및 이외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메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에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프로필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이소프로필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이소부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및 알릴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Claims (11)

  1. 일반식(II)의 5-아미노-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2온을 일반식(III)의 아졸 유도체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I)의 옥사디아졸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상기식에서,
    R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또는 알콕시알킬이고 ;
    A는 그룹 -CH=CH-,
    Figure kpo00011
    및 -N=CH- 중의 하나이고, 여기에서 -N=CH-의 질소원자는 2-위치에 존재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R이 알킬 또는 알콕시알킬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R이 알킬 또는 알케닐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R이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또는 타소수 2 내지 3의 알케닐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메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및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에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및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이소부틸 7-[3, 6-디하이드로-(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및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부틸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및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프로필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및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이소프로필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및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알릴 7-[3, 6-디하이드로-1(2H)-피리딜]-2-옥소-2H-[1, 2, 4]-옥사디아졸로[2, 3-C]피리미딘-5-카바메이트 및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810004984A 1980-12-19 1981-12-18 옥사디아졸로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80001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941080 1980-12-19
CH9410/80 1980-12-19
CH635081 1981-10-02
CH6350/81 1981-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636B1 true KR880001636B1 (ko) 1988-09-03

Family

ID=2569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984A KR880001636B1 (ko) 1980-12-19 1981-12-18 옥사디아졸로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2) US4410698A (ko)
EP (1) EP0054866B1 (ko)
KR (1) KR880001636B1 (ko)
AR (1) AR229169A1 (ko)
AT (1) ATE14734T1 (ko)
AU (1) AU545324B2 (ko)
BR (1) BR8108269A (ko)
CA (1) CA1162538A (ko)
CS (1) CS226738B2 (ko)
DE (1) DE3171744D1 (ko)
DK (1) DK148826C (ko)
ES (1) ES508152A0 (ko)
FI (1) FI71153C (ko)
GR (1) GR76969B (ko)
HU (1) HU183744B (ko)
IE (1) IE51800B1 (ko)
IL (1) IL64524A (ko)
MC (1) MC1438A1 (ko)
NO (1) NO158422C (ko)
NZ (1) NZ199250A (ko)
PH (1) PH17300A (ko)
PT (1) PT74153B (ko)
ZW (1) ZW28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48826C (da) * 1980-12-19 1986-03-24 Hoffmann La Roche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oxadiazolopyrimidinderivater eller salte deraf med baser og pyrimidinderivat til anvendelse som mellemprodukt ved denne fremgangsmaade
CH649291A5 (de) * 1982-03-16 1985-05-15 Hoffmann La Roche Dicarbamate.
EP0187854A4 (en) * 1984-07-13 1987-01-22 Gail S Bazzano SUBSTITUTED PYRIMIDINE OXIDES USEFUL FOR PROMOTING HAIR GROWTH.
LU86959A1 (fr) * 1987-07-31 1989-03-08 Oreal Nouveaux derives d'ureylene triamino-2,4,6 pyrimidine oxyde-3,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cosmetique et dermopharmacie
DE69715869T2 (de) * 1996-07-26 2003-05-28 Vantico Ag Auf epoxyharzen basierende imidazole enthaltende härtbare mischung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38215A5 (de) * 1977-02-04 1983-09-15 Hoffmann La Roche Oxadiazolopyrimidin-derivate.
CH638216A5 (de) * 1977-02-04 1983-09-15 Hoffmann La Roche Oxadiazolopyrimidin-deriate.
CA1103245A (en) * 1978-07-21 1981-06-16 Jean-Claude Muller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novel oxadiazolopyrimidine derivatives
NZ190915A (en) * 1978-07-31 1984-07-31 Hoffmann La Roche Oxadiazolotriaz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DK148826C (da) * 1980-12-19 1986-03-24 Hoffmann La Roche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oxadiazolopyrimidinderivater eller salte deraf med baser og pyrimidinderivat til anvendelse som mellemprodukt ved denne fremgangsma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14359L (no) 1982-06-21
DK148826B (da) 1985-10-14
EP0054866A2 (de) 1982-06-30
US4360521A (en) 1982-11-23
BR8108269A (pt) 1982-10-05
ZW28581A1 (en) 1982-08-11
ES8304125A1 (es) 1983-02-16
PT74153A (en) 1982-01-01
AR229169A1 (es) 1983-06-30
DK504881A (da) 1982-06-20
GR76969B (ko) 1984-09-04
FI71153B (fi) 1986-08-14
AU7846481A (en) 1982-06-24
CS226738B2 (en) 1984-04-16
FI814048L (fi) 1982-06-20
NO158422C (no) 1988-09-07
NO158422B (no) 1988-05-30
FI71153C (fi) 1986-11-24
MC1438A1 (fr) 1982-12-06
PH17300A (en) 1984-07-18
IL64524A (en) 1985-05-31
EP0054866A3 (en) 1982-09-01
HU183744B (en) 1984-05-28
IE812990L (en) 1982-06-19
DK148826C (da) 1986-03-24
DE3171744D1 (en) 1985-09-12
NZ199250A (en) 1984-04-27
CA1162538A (en) 1984-02-21
ATE14734T1 (de) 1985-08-15
ES508152A0 (es) 1983-02-16
IL64524A0 (en) 1982-03-31
IE51800B1 (en) 1987-04-01
AU545324B2 (en) 1985-07-11
EP0054866B1 (de) 1985-08-07
PT74153B (en) 1984-01-05
US4410698A (en) 198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201955B (en) Process for producing new ribofuranuronic aci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compounds
KR880001636B1 (ko) 옥사디아졸로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AU596869B2 (en) 2-(thio-linked)-pyridine-5-(4,5-dihydro-2-oxazolyl)-(thieno( 2,3-d)-imidazoles and -benzimidazol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CA1096862A (en) Oxadiazolopyrimidine derivatives
KR900001186B1 (ko) 5-치환된-6-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150132A (en) Oxadiazolopyrimidine derivatives
EP0008652A1 (de) Neue Zwischenprodukte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neuen Oxadiazolopyrimidinderivaten
HU191928B (en) Process for preparing 5-acyl-2-/1h/-pyridino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reof as active substances
SU1362402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имидазола или их солей с кислотами
EP0177016B1 (en) Pyridyloxy derivatives
KR880001716B1 (ko) 무기산의 치환된 티아졸리디닐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EP0718290A1 (en) Carboxyalkyl heterocyclic derivatives
US4957913A (en) Antihypertensive polycyclic imides
US4175189A (en) 6-Chloro-2,4-pyrimidine-dicarbamate-3-oxides
JPH0234356B2 (ko)
US4058611A (en) 1,2-Dithiole derivatives
US4175190A (en) 6-Chloro-2,4-pyrimidine-dicarbamate-3-oxides
US4182867A (en) 6-[3,6-Dihydro-1(2H)-pyridyl]-pyrimidine-3-oxides
US4176119A (en) 2,4-Pyrimidine-dicarbamate-3-oxides
KR840001284B1 (ko) 2-이미다졸린 유도체류의 제조방법
CA1046060A (en) Substituted n-acyl-n"-(3-amino-2-cyano-acryloyl)-formamidrazones
KR810000755B1 (ko) 4-하이드록시티아졸리딘-2-티온 유도체의 제조방법
KR820001387B1 (ko) 옥사디아졸로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HU190930B (en) Process for preparing triazolo/2,3-c//1,3/-benzodiaz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reof
WO1997000875A1 (en) Benzimidazole derivatives containing fused pyrid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