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975B1 - 가요성 평활재의 보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평활재의 보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975B1
KR870001975B1 KR1019830001673A KR830001673A KR870001975B1 KR 870001975 B1 KR870001975 B1 KR 870001975B1 KR 1019830001673 A KR1019830001673 A KR 1019830001673A KR 830001673 A KR830001673 A KR 830001673A KR 870001975 B1 KR870001975 B1 KR 870001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ion reaction
paste
smoothing
carried ou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559A (ko
Inventor
헤펠레 죠세프
Original Assignee
쿠프너 텍스틸베르케 게엠베하
게오르그 쿠프너, 죠세프 헤펠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프너 텍스틸베르케 게엠베하, 게오르그 쿠프너, 죠세프 헤펠레 filed Critical 쿠프너 텍스틸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5000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7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97Web coated with fibres, e.g. flock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43Flock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요성 평활재의 보강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스택축합반응을 위한 아치형의 종단면도이다.
제2도는 상기 아치형의 저면도이다.
제3도는 축합반응 장치의 태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가요성 평활부(flexible flat parts), 특히 클로딩재의 톱클로스(top cloths) 또는 이들재의 라이닝(linings)의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일 공개공보 제 3014656호에서는 클로닝재의 톱클로스컷의 배면보강방법, 그리고 첫조업단계에서 톱 클로스가 교차 결합성 분산 페이스트를 접착하는 플록(flock)으로 스크린형으로 프린트되는데, 이 때 상기 분산 페이스트는 우선 정전기적으로 플록으로 피복된후 열응고 및/또는 선건조에 의해 먼저 안정화되고, 마지막으로 또 다른 조업단계에서 90℃-140℃의, 바람직하게는 100-130℃의 가열된 챔버에서 축합반응되는 장치가 설명되어져있다. 축합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스태킹된 컷(cut stacked)으로 실시한다. 플록으로서는 1차적으로 섬유, 예를들면 분쇄면섬유, 분쇄 또는 컷레이온 스테이플 및 합성섬유, 특히 폴리아미드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실제 적용은 한 조업단계에서 선안정화를 열응고 및/또는 선건조에 의해 실시하고, 다른 조업단계에서 스택(stack)에 축합반응을 고습도에서 행하는 열처리의 분할이 한편으로는 황변 및 다른 한편으로는 더 이상의 가공을 복잡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컷부분의 크기에 변화를 주는 건조의 필요성을 피하기 위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플로킹된 층(flooked layer)을 가진 클로딩 전면부와 보통 처리되지 않은 슬리브 측면 및 후면부 사이에서 여하한 색조 변화의 제거는 알맞은 플로딩재를 위해서 플로킹 공정및 축합반응시 정확한 크기의 유지만큼 매우 중요하다.
젬버에서 스택 축합반응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 제 1제조법 단계에서 부터 나오는 톱클로스컷의 수동 포지셔닝(positioning)및 가열된 챔버에서 스태킹된 층(stacked layer)을 뒤집기 위한 수동 포지셔닝이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플로킹된 부분의 축합반응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와같은 수동 조작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르면, 플로딩재를 위한 톱클로스, 또는 이들재를 위한 라이닝 등의 유연성 평활부의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수성 교차결합성 분산 페이스트로 포토그라비아(photograwure)법에 의하여 평활부의 한편에 프린트하고 ; 상기 페이스트에 접착하는 플록, 바람직하게는 섬유상 플록으로 상기 평활부를 정전기적으로 플로킹하고 ; 열응고 및/또는 선건조에 의해 페이스트를 선 안정화시키고 ; 그 다음에 상기 페이스트내에 축합반응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으로되며, 이 반응을
a) 유입되는 공기를 실질적으로 배제하에,
b) 가압하(상기 평활부에 가해짐)에, 그리고
c) 온도법위 90-175℃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좀더 잘 이해하고, 이의 실시 태양을 보이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예를 들겠다.
제1도는 스택 축합반응을 위한 아치형의 종단면도이다.
제2도는 상기 아치형의 저면도 이다.
제3도는 축합반응 장치의 태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클로딩제를 위한 톱클로스컷의 배면 보강을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 온도범위 90-175℃가압하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실질적인 베제하에 축합반응을 실시할 때 다른 불리점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황변, 건조 및 수축현상이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 이제 놀랄만하게 알려졌다. 특히 바람직한 온도 범위는 100-165℃이며, 더 특이하게는 110-155℃이다.
축합반응은 가압하게 놓인 가열된 평면 또는 아치형의 커버 사이에서 공기의 접촉을 실질적으로 내지 완전히 배제하에 평활부에 수행될 수 있다. 이 커버는 예를들면 금속, 실리콘 고무, 유리섬유를 보강한 실리콘 고무 유리섬유를 보강한 실리콘 고무, 테프론, 유리섬유를 보강한 테프론 또는 이와 비슷한 내열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비교적 높은 습도를 가진 제 1제조업단꼐에서 나오는 선안정확된 평활부는 가압하게 이들과 인접한커버 사이에 증기 쿠션을 형성하며 공기의 접근을 방지하거나 최소한 공기의 접근을 상당히 지연시키며, 신속한 열교환을 가능케 한다. 놀랄만하게 축합반응은 스팀분위기에 의해서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100℃이상의 온도에서 이 스팀은 과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축합 반응은 환원 분위기하에서 수행된다. 이는 포름산등의 환원 성분의 부가혼합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나, 특히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사용되는 분산 페이스트의 분해 또는 분리 생성물의 방출에 위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플록 결합재가 이들 조건하에서 흔적량의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하는 현탁 페이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를 약간 함유한 스팀 분위기는 분위기내의 산소의 산화효과를 억제한다. 그러므로 그것에 기초한 황변 현상을 분명히 억제할 뿐만아니라 부가적으로 커버 표면의 압력에 의해서 톱클로스컷이 크기에 있어서,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같은 방법으로 축합반응을 하는 평활부는 축합반응후에도 다소 높은 잔유 습도를 유지하고 있다. 후속하는 냉각이 커버 사이에서 일어날 때 이 습도는 특히 높으며, 이는 스택으로의 축합반응에 아무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으며 개별적인[즉 비-스태캉된(nonstacked)]것들의 축합반응도 가능하다.
축합반응전에 실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공정단계에 대하여 독일 공개공보 제 3014656호 및 제 3021039호에 잘 나타나 있으며, 그와 관련 원리는 여기에서 충분히 소개되어 있다고 간주된다.
예를들면 축합반응은 하기한 바대로 실시될 수 있다 : 축합반응은 우선 기본적으로 독일 공개공보 제 3014656호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그러나 예를들면 150℃와 같은 더 높은 온도에서 10-20분의 온도 작용 시간으로 실시할 수 있다. 서로 마주보다 플록층을 가진 왼쪽 및 오른쪽 전면부 각각의, 배면이 플록되고, 10-30개의 높이로 집적된 평활부 예를들면 컷 전면부는 스택의 상부 및 바닥에 약 1mm 두께의 지주로 고정된 평면 알루미늄판으로 각각 덮어져있다. 알루미늄판의 끝은 컥 부분의 끝보다 튀어나와 있다. 판사이의 공간은 압력을 사용하여 헐거운 톱클로스층의 약 1/2로 줄인다. 예를 들면 판의 끝면과 평행하게 설치된 포움(foam)등의 커버스트립(strip) 및 클랩핑죠(jaw)에 의해 상판의 바닥판에 연결되어 닫혀진 스택더미를 형성한다. 이들 얼마간의 스택더미는 그들 사이에 자유롭게 남겨진 공기 갭으로 겹쳐지게 되며, 150℃로 유지된 적절한 크기의 순환공기로(return air furnace)에서 약 15분간 가열된다.
그후 온도를 120℃로 감소하고, 이 온도에서 이 더미를 순환공기로에서 전부 60분정도 까지 유지한다. 이 가열 및 축합 반응후에, 스택더미를 제거하여 온도 80℃ 이하로 냉각하여, 클랩핑죠를 제거한다.
톱 클로스 부분은 이제 천연습도를 갖게되며 부드럽게 된다. 플록면은 실크처럼 부드러우며, 매혹적인 모양을 가지고 있다.
평면판 대신에 아취형 판은 또한 가슴 곡선을 모방하는 클로딩재의 전면부등의 아취형 평활부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스택축합반응을 사용하는 대신에 단일부(single part) 축합반응 또는 예를 들면 서로 마주보는 플록면이 설치된 클로딩재의 왼쪽 및 오른쪽 전면부를 위한 축합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단일 부분의 경우에는 유리섬유 보강된 테프론으로 만들어진 가열된 커버스트립 사이에서의 축합반응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방법의 틀 내에서, 압력을 5-500p/㎠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 하다. 이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압력 값은 10-150p/㎠의 범위에 있다.
가운데 끼워진 평활재에 원하는 접촉압력을 얻기 위해서 원하는 온도 예를들면 150-160℃에서 약간 아치형의 가열판 위의 축합반응 영역내에 테프론 벨트를 미끄러져 들여가게 할 수 있다. 미끄러져 들어가는 테프론 벨트와 접촉하는 2번째 테프론 벨트의 반대편에 적외선 가열을 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벨트설치는 섬유 접착재로 스크린형으로 코팅된 라이닝재를 첨부하기 위한 상용의 연속 고정 프레스에 상응한다.
첫째조업 단계에서 부터 선건조 및 선안정화로(furnace) 바로 다음에 이송벨트와 함께 축합반응 장치를 배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선안정화된 평활재상의 과량의 플록섬유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공정을 끼위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축합반응 장치에 선안정화된, 플록된 톱클로스컷이 도달하기 전에 예를들면, 자켓전면의 가슴 및 어깨 보강을 위한 라인닝컷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용의 연속 고정 프레스에서 통상 그러하듯이 두개의 프레스 롤러를 장치의 출구에 설치하여 라이닝을 톱클로스컷에 압착할 때, 섬유 착제코팅은 축합반응 장치에서 용융되어, 플록층과 연결된다. 2개의 프레스롤로 뒤에서 2개의 덮개 무한이송 벨트는 분리되어, 축합반응된 평활제를 방출하며, 이 평활제 위에는 임의로 라이닌이 접착되게 된다. 무한이송 벨트는 축합반응 영역을 통해 전향 롤러를 경유하여 그들의 접합 가이드 위 또는 아래로 전환되어 평활제의 입구 부분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그들은 다시 전향롤러에 의해 함께 모아지고 가열판 위에서 접촉 장력으로 인해 미끄러져 들어가게 되어, 그들 사이에 운반된 평활제에 원하는 압력을 공급하게 된다.
축합반응 영역의 필요한 길이는 선택된 온도의 수준, 플록 바인더로서 분산 페이스트의 반응성 및 선강화된 평활제가 플록킹 및 선안정화 영역에서 부터 도달하는 속도에 의존한다. 축합반응 영역내에 155℃에서 체류 시간이 보통 약 1분이면 충분하고, 이는 선안정화 영역에서부터의 공급속도 4m/분에서 축합 반응 영역의 길이 약 4m에 상응하는 것이다.
2개 이송벨트 대신에 2개의 이송벨트 중 하나와 동시성을 가지며, 그것에 의해 포함되는 큰 회전 가열드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때에는 평활부분은 가열드럼의 벽과 이송벨트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축합반응은 가열드럼의 회전시 수행된다. 가열드럼 주위의 이송벨트의 장력에 의하여, 필요한 압력 및 대기중 산소로부터의 보호가 제공된다.
더 자세히 도면에 대해 설명하면, 제 1도 및 제 2도는 아치형(3)을 위한 리세스(recess)를 갖는 평면 바닥판을 가진 장치를 나타내며, 이는 클로스컷의 경우에 남성용 자켓을 위한 가슴 곡선형 비슷한 것을 가질 수 있다. 리세스에 임의로 평평한 보조판을 삽입하여 평면판 위에 예를들면, 겹쳐진 컷이 서로 마주보는 플록면과 함께, 놓여지게 된다. 그리고 20개의 겹처진 컷의 스택은 상기한 가슴 곡선형인 바닥판의 리세스 상에서 아치형(2')를 가진 2번째 판인, 상판(2)에 의해 덮여진다. 높은 압력을 사용하여 상 및 바닥판은 스택더미를 형성하도록 클램핑 나사 (4) 또는 다른 클램핑 요소로 함께 조여진다. 이제 상기한 아치형(3)은 리세스내로 압착되어 하판과 연결된다. 상판과 바닥판 사이에서 조여진 평활제는 삽입된 아치형(3)에 의해 휘어진다. 아치환된 것은 후속하는 축합반응 공정에서 고정되어, 후에 화학적 세척단계에서 곡류의 상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축합반응은 평평한 판들 사이에서도 완성될 수 있다. 평면형 및 아치형 사이에서의 축합반응에서는 모두, 판의 끝에 예를들면 실리콘 포움 고무의 스트립과 같은 포움 고무스트립을 놓아 추가적인 공기 제거를 달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형판 사이에 갇힌 수많은 스택더미는 그들 사이에 공기갭을 없이하여 각자의 위에 놓여지게 되며, 축합반응을 위해 순환공기로에 삽입되는데 이는 우선 160℃ 로 급속가열된다. 재순환된 공기중에 이 온도에 도달한 직후에, 순환공기 온도는 온화한 통풍으로 약 15-30분 내에 120℃ 로 감소된다. 이 온도는 축합반응의 종료시까지 유지된다. 전체 70분 간의 가열 및 축합시간의 종료후에 스택더미는 끄집어내어 80℃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클램핑 요소를 제거한다. 로(furnace) 처리시 스택 중심부내에서 톱클로스 부분은 120℃ 이고 판벽에서 130℃ 의 온도를 갖는다. 그들은 이제 천연습도를 가지게되며, 부드럽게 된다. 플록면은 실크처럼 부드럽게 느껴지며, 매력적인 모양을 갖는다. 비싼 순환공기 가열 대신에, 고주파 가열도 선택될 수 있으며, 이의 잇점은 가열단계가 단축된다는 것이다.
제 3도에는 예를들면 통상의 연속 고정프레스에 상응하는 축합반응 장치를 보이고 있다. 세척영역에서 나오는 생성물(A)는 카운터-벨트(5)를 갖는 테프론 벨트(4)를 경유하여 가열판(6)에서 적외선 방출기(7)이 각각 장치되어 있는 대역에 이송된다. 이 장치를 통과한 후에, 생성물은 완전히 축합반응되고, 순환벨트(4)로부터 분리된다.

Claims (13)

  1. 의류 물품의 톱클로스 또는 그 물품의 라이닝과 같은 유연성 평활부의 보강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포토 그라비야법에 의하여 교차 결합성 수성분산 페이스트로 평활부의 1면에 인쇄하고 ; 풀록을 상기 페이스트에 접착한 상태로 평활부를 섬유상 플록으로 정전기적으로 플로킹하고 ; 열응고 및/또는 예비건조에 의하여 페이스트를 예비안정화하고 ; 그다음 상기 페이스트내에 축합반응이 발생하도록하되, 이 반응은 커버들 사이에서 유입공기의 완전 배제하에 5-500p/㎠의 압력(상기 평활부에 가함)하에 실시하는 것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의 보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축합반응은 10-150p/㎠의 압력하에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의 보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커버들은 그 에지(edge)가 봉인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의 보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축합반응은 90-175℃의 온도 범위내에서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의 보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축합반응은 110-155℃의 온도범위내에서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의 보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압력은, 평활부가 봉해지는 평면형 또는 아치형 커버들 사이에 가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화부의 보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축합반응은 환원분위기하에서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의 보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환원분위기는 사용된 분산페이스트의 분해 또는 분리 생성물의 방출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의 보강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축합반응은 1-60분간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 보강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축합반응은 가열된 챔버, 이를테면 연속고정 프레스내에서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 보강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축합반응을 위해 평활부는 공기 및 습기 불투과성 벨트들 사이에 안내되어 그 사이에 접촉 압력으로 봉해지며, 상기 벨트들을 장력하에 가열기 수단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 보강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평활부는 , 회전 드럼주위를 팽팽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벨트에 의하여 회전드럼 주위에 인도되어 드럼표면에 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 보강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예비 안정화된 톱클로스 컷상에 라이닝 컷를 고정시킨 상태로 실시된 후에, 압착이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평활부 보강방법.
KR1019830001673A 1982-05-13 1983-04-20 가요성 평활재의 보강방법 및 장치 KR870001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218050 1982-05-13
DEP3218050.0 1982-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559A KR850000559A (ko) 1985-02-28
KR870001975B1 true KR870001975B1 (ko) 1987-10-23

Family

ID=616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673A KR870001975B1 (ko) 1982-05-13 1983-04-20 가요성 평활재의 보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504517A (ko)
JP (1) JPS58199073A (ko)
KR (1) KR870001975B1 (ko)
AU (1) AU560282B2 (ko)
CA (1) CA1192093A (ko)
CH (1) CH647136A5 (ko)
CS (1) CS246061B2 (ko)
FR (1) FR2526821B1 (ko)
GB (1) GB2120129B (ko)
HU (1) HU191829B (ko)
MX (1) MX159157A (ko)
PL (1) PL136464B1 (ko)
SU (1) SU1630600A3 (ko)
ZA (1) ZA8320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505A (ja) * 1986-07-24 1988-02-09 Mitsubishi Petrochem Co Ltd 吸水性複合材料の製造法
CA2002016A1 (en) * 1988-11-21 1990-05-21 Koji Miyake Manufacturing method, continuous manufacturing method, produc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absorbent composite
US5806135A (en) * 1996-09-12 1998-09-15 Earle; John R.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an object
US20040224584A1 (en) * 2003-05-08 2004-11-11 Techfab, Llc - Anderson, Sc Facing sheet of open mesh scrim and polymer film for cement boards
US7531219B2 (en) * 2005-07-21 2009-05-12 Hi-Tex, Inc. Treated textile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5244A (en) * 1950-12-15 1954-11-23 United Merchants & Mf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inting and flocking
BE550356A (ko) * 1955-08-17
US3357848A (en) * 1962-11-05 1967-12-12 D & S Proc Company Flocking method and machine
DE1635404A1 (de) * 1967-01-02 1971-04-01 Ver Volkseigener Betr E Konfek Vorrichtung zum plastischen Formen von Bekleidungsteilen
US3542616A (en) * 1967-03-20 1970-11-24 Deering Milliken Res Corp Molded articles of wearing apparel
US3533872A (en) * 1967-05-01 1970-10-13 Nat Floor Products Co Inc Method of making a cove molding in a continuous laminated process
GB1355189A (en) * 1970-09-14 1974-06-05 Reliant Tooling Co Ltd Apparatus for attaching fusible backing pieces to textile pieces
DE2856237C2 (de) * 1978-12-27 1982-06-16 Herbert Kannegiesser Gmbh + Co, 4973 Vlotho Vorrichtung zum Verkleben textiler Flächengebilde
DE3014656C2 (de) * 1980-04-16 1985-08-01 Kufner Textilwerke GmbH, 8000 München Verfahren zur Verstärkung von Oberstoffen für Kleidungsstücke und Vorrichtung hierfür
DE3021039A1 (de) * 1980-06-03 1981-12-10 Kufner Textilwerke KG, 8000 München Einlagen fuer kleidungsstueck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308239D0 (en) 1983-05-05
AU560282B2 (en) 1987-04-02
AU1240783A (en) 1983-11-17
CA1192093A (en) 1985-08-20
KR850000559A (ko) 1985-02-28
JPS58199073A (ja) 1983-11-19
US4504517A (en) 1985-03-12
JPS6222663B2 (ko) 1987-05-19
ZA832049B (en) 1983-12-28
HU191829B (en) 1987-04-28
GB2120129B (en) 1985-09-18
PL136464B1 (en) 1986-02-28
MX159157A (es) 1989-04-26
SU1630600A3 (ru) 1991-02-23
CH647136A5 (de) 1985-01-15
FR2526821B1 (fr) 1986-09-26
PL241574A1 (en) 1983-12-05
FR2526821A1 (fr) 1983-11-18
GB2120129A (en) 1983-11-30
CS246061B2 (en) 198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975B1 (ko) 가요성 평활재의 보강방법 및 장치
JPS5577525A (en) Method of laminating glass fiber reinforcing thermal plastic resin
CN106498782A (zh) 一种石墨烯发热面料及其制备方法
US3639207A (en) Method for drying nonwoven fabric
GB791553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treatment of fabrics and other sheet materials
IT8323154A1 (it) Procedimento per l'applicazione su supporti tessili di materia plastica in polvere
US1327091A (en) Shank-stiffener
JPH05209381A (ja) セルロース系織物材料に反応性染料を固着する方法
US2559098A (en) Frost shield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51815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abric-film laminates
JPH04506324A (ja) デザインをベース部材へ転写するための方法
SU771220A1 (ru) Способ заключительной отделки текстильного полотна
US1591897A (en) Corkwood facing for mangle rolls and the like
KR101795314B1 (ko) 친환경 신축성 무봉재 원단의 제조방법
KR20160114418A (ko) 필름을 이용한 원단에 패턴을 형성하는 주름형성장치 및 주름형성방법
SU520927A3 (ru) Способ прессовой усадки ткани
SE414200B (sv) Sett att overforingstrycka tyg i samband med bindning av tyget genom uppvermning
JPS58104259A (ja) 種々の裁断形状の衣服製造用平面状繊維製品を補硬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FR2388921A1 (fr) Secheuse-repasseuse a cylindre, sans cuvette
KR200302469Y1 (ko) 포장용지의 주름 성형장치
JPS6214157Y2 (ko)
GB2034781A (en) Continuous compressive shrinking resin curing or heat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KR19980074787A (ko)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 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
JPS6483202A (en) Protection cover for nail tip in baseball shoes
DE3316965A1 (de) Verfahren zur verstaerkung von flexiblen flaechigen teilen, insbesondere oberstoffe oder einlagen fuer kleidungsstuec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