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578B1 - 트랜스퍼 머시인(Transfer machine) - Google Patents

트랜스퍼 머시인(Transfer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578B1
KR870000578B1 KR1019840006449A KR840006449A KR870000578B1 KR 870000578 B1 KR870000578 B1 KR 870000578B1 KR 1019840006449 A KR1019840006449 A KR 1019840006449A KR 840006449 A KR840006449 A KR 840006449A KR 870000578 B1 KR870000578 B1 KR 870000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or
station
processing
p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360A (ko
Inventor
히로시 미야사끼
시게유끼 에사끼
도미이찌 하세가와
요시오 모리다
도시노리 나가이
Original Assignee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기 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5000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7/00Metal-working machines, or constructional combinations thereof, built-up from units designed so that at least some of the units can form parts of different machines or combinations; Units therefor in so far as the feature of interchangeability is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9/00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 B23Q39/04Metal-working machines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each capable of performing a metal-working operation the sub-assemblies being arranged to operate simultaneously at different stations, e.g. with an annular work-table moved in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랜스퍼 머시인(Transfer machine)
제1도는 본 발명 트랜스퍼머시인의 일예의 평면도.
제2도는 이에 사용되는 유니트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그 정면도.
제4도는 그 가공 스테이션 부분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시퀀스 제어의 프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작물 반송로 2 : 가공 스테이션
3 : 세트 스테이션 4 : 꺼내는 스테이션
5 : 치구 팰리트 6 : 가공 스테이션
7 : 팰리트 순환로 8 : 유니트 베이스
9 : 위치결정장치 10 : 콘베이어
11 : 유니트장치 12 : 콘트롤 유니트
13 : 콘베이어 유니트 W : 제작물
본 발명은 제작물 반송로상의 복수의 가공 스테이션의 옆쪽에 각 가공 유니트를 배치하여서 되는 트랜스퍼머시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트랜스퍼머시인에 있어서는 라인길이에 맞추어서 설치한 전용의 기대에 각 가공 스테이션상에 위치하는 제작물의 위치 결정장치와 각 가공 스테이션 사이를 연결하는 콘베이어를 조립하여 제작물 반송로를 구성하고 기대의 옆쪽에 각 가공 스테이션에 대응시켜서 따로 놓게 되는 가공 유니트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라인이 전용화되어 제작물의 변경에 있어서 라인의 바꿈이나 증설등이 곤란하게 되는 결함이 따른다.
본원의 제1발명은 이러한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공 유니트를 위치 결정장치와 콘베이어를 조립한 유니트 장치를 구성하고 이들 유니트장치의 변경이나 증설로 라인구성을 제작물에 따라서 자재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트랜스퍼 머시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제작물 반송로상에 복수의 가공 스테이션 옆쪽으로 각 가공 유니트를 배치하여서 되는 트랜스퍼 머시인에 있어서, 각 가공유니트를 탑재하는 각 유니트 베이스를 각 가공 스테이션측에 연출(延出)하고 그 연출부에 각 가공 스테이션상에 위치하는 제작물의 위치 결정장치로 이것을 연설시켜서 제작물의 반송방향을 한쪽으로 뻗는 콘베이어를 고정 설치하여서 되는 각 독립된 유니트장치를 구성하고 각 유니트 장치를 서로 인접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 콘베이어를 거쳐 각 가공 스테이션 사이를 묶어서 반송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각 유니트 장치마다 이것을 독립해서 제어가능한 콘트롤 유니트를 설치하여 각 콘트롤 유니트 사이에서 시퀀스 신호의 주고 받는 것에 의하여 각 유니트 장치 사이에서 시퀀스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작물 반송로의 일단의 제작물 세트 스테이션에서 타단의 제작물을 꺼내는 스테이션에 제작물을 치구 팰리트에 부착한 상태로 반송하고 꺼내는 스테이션에서 세트 스테이션에 빈 치구 팰리트를 팰리트 순환로를 거쳐서 되돌아가게 한 팰리트 반송식의 트랜스퍼 머시인에 있어서, 라인구성을 상기 제1발명의 유니트 장치를 사용하여 변경자재롭게 함과 동시에 이것에 대응하여 팰리트 순환로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트랜스퍼 머시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각 유니트 장치의 뒤쪽에 각 독립한 콘베이어 유니트를 설치하고 이들 콘베이어 유니트를 서로 인접시켜서 순환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1은 제작물 반송로, 2는 반송로(1)상의 각 가공스테이션을 표시한 것이고 반송로(1)의 일단 제작물 세트 스테이션(3)에서 타단의 제작물을 꺼내는 스테이션(4)에 제작물 W를 치구 팰리트(5)에 부착한 상태에서 반송하면서 각 가공 스테이션(2)에서 그 옆쪽에 배치한 각 가공 유니트(6)에 의하여 제작물 W에 소정의 가공을 시행하고 꺼내는 스테이션(4)에서 제작물 W를 치구 팰리트(5)에서 꺼내고, 빈 치구 팰리트(5)를 팰리트 순환로(7)를 거쳐서 세트 스테이션(3)에 되돌려서 세트 스테이션(3)에서의 제작물 W의 세트작업에 맞추어지도록 하고 전체로서 팰리트 반송식의 트랜스퍼머시인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가공 유니트(6)를 탑재하는 각 유니트 베이스(8)를 각 가공 스테이션(2)측으로 연출하고 그 연출부에 제2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가공 스테이션(2)상에 위치하는 제작물 위치결정장치(9)와 제작물 W의 반송방향을 예를 들어 한쪽으로 내보내도록 이송되는 콘베이어(10)를 고정설치하고 이리하여 공통의 유니트 베이스(8)상에 가공 유니트(6)와 위치결정장치(9)와 콘베이어(10)를 구비한 각 독립된 유니트장치(11)를 구성하고 이들 유니트장치(11)를 서로 인접배치하면 각 콘베이어(10)를 거쳐서 제작물 W의 반송방향 전후 각각의 가공 스테이션(2)(2)에 의해 가공되고 전체로서 일단의 세트 스테이션(3)에서 타단의 꺼내는 스테이션(4)에 이르는 연속된 제작물 반송로(1)가 구성되도록 하였다.
이리하여 이것에 의하면 유니트장치(11)를 다른것으로 교체하여 설치하거나 증설에 의하여 라인구성을 제작물 W에 따라서 자재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라인 구성하는 복수의 유니트장치(11)의 작동을 집중 제어하도록 하면 라인 구성의 변경에 의해 집중제어장치의 회로구성의 변경이 필요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유니트장치(11)마다에 이것을 독립하여 제어가능한 콘트롤유니트(12)를 설치하고 각 콘트롤유니트(12) 사이에서의 시퀀스신호의 주고 받는 것에 의하여 각 유니트장치(11) 사이에서의 시퀀스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라인구성의 변경에 있어 회로구성을 변경하는 일이 없이 각 유니트장치(11)에 부속하는 각 콘트롤유니트(12) 사이의 시퀀스신호 케이블의 착설이나 교환만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라인구성의 변경에 의하여 라인 길이가 변화된 경우 상기한 팰리트 순환로(7)의 길이도 이것에 맞추어서 변경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유니트장치(11)의 뒷쪽에 각 독립된 콘베이어 유니트(13)를 설치하고 이들 콘베이어 유니트(13)를 서로 인접시켜서 순환로(7)를 구성하여 유니트장치(11)의 배열대수의 증감에 있어 이것에 맞추어서 콘베이어 유니트(13)의 배열대수를 증감하는 방법에 의해 순환로(7)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콘베이어 유니트(13)는 각 콘베이어 유니트(13) 사이의 시퀀스신호의 주고 받는 것에 의하여 전단의 콘베이어 유니트(13)로 부터 인출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며 순차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트랜스퍼머시인의 전체구성은 이상과 같고 이하 각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첨부도면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상기 위치결정장치(9)는 가공 스테이션(2)상의 팰리트 반입공간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시켜서 전단의 유니트장치(11)에 구비하는 콘베이어(10)에서 반입되는 치구 팰리트(5)를 받는 안내로울러(14)가 붙어 있는 한쌍의 안내레일(15)(15)과 반입공간의 아래쪽에 위치시켜서 유니트 베이스(8)상의 기틀(16)에 고정한 베이스 반(盤)(17)을 구비한 것으로 하고 이 베이스반(17)의 네모서리에 상하 위치결정용 기준면(18)을 각각 돌설함과 동시에 대각선상의 한쌍의 기준면(18)에 팰리트(5)의 저판에 형성한 각 위치결정구멍(5a)에 끼워져 상하 습등이 자유로운 각 위치결정핀(19)을 삽설하고 각 안내레일(15)을 베이스반(17)의 아래쪽으로 승강틀(20)에 끼워지게 형성된 각 롯드(21)에 지지시킴과 동시에 각 롯드(21)의 상부에 각 크램프아암(22)을 끼워 각 안내레일(15)과 크램프아암(22)이 승강틀(20)에 연동되어 승강되도록 하고 또한 반입공간의 전단에 치구 팰리트(5)의 전단에 당접하여 출돌이 자유로운 스톱퍼(23)와 반입공간의 일측에 공간내에 출몰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반송아암(24)을 설치하고 콘베이어(10)에서 양쪽의 안내레일(15)(15) 사이에의 치구 팰리트(5)에 반입을 제1근접스위치(S1)로 확인한후 반송아암(24)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제4도에 A로 표시한 후방의 대기위치에서 B로 표시한 전방의 데려다주는 위치로 이동시켜 치구 팰리트(5)를 반송아암(24)에서 후방에 눌러서 전단이 스톱퍼(23)에 당접하는 소정의 반입위치까지 데려다 주고 이것을 제2근접스위치(S2)로 확인한 후 각 위치결정핀(19)의 상승으로 치구 팰리트(5)의 각 위치결정구멍(5a)에 감압시켜서 위치결정을 행한후 이어서 승강틀(20)의 하강에 의하여 양 안내레일(15)(15)과 크램프아암(22)(22)을 하강시켜 그 하강 도중에서 치구 팰리트(5)를 기준면(18)에 지지시키고, 팰리트(5)의 저판을 잇따라 하강하는 크램프아암(22)(22)에서 위쪽으로 눌러 치구 팰리트(5)를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정확히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크램프하여 가공유니트(6)에 의한 제작물 W의 가공을 행하도록 하였다.
도면에서 (19a)(20a)는 위치결정핀(19)과 승강틀(20)을 승강시키는 실린더, (23a)는 스톱퍼(23)의 출몰용실린더, (24a)(24b)는 각각 반송아암(24)의 이동용 실린더와 출몰용 실린더, (25)는 승강틀(20)의 상승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 보울트, (26)은 크램프아암(22)의 지지핀, (S3)은 콘베이어(10)상의 치구 팰리트(5)의 존부를 검지하는 제3근접스위치이다.
또한 반송아암(24)은 치구 팰리트(5)를 고정시키지 않는 시기, 즉 언크램프(unclamp)시 상기한 이송위치 B에서 다시 전방의 보내는 위치C로 이동되어서 치구 팰리트(5)를 반송방향 전방으로 뻗는 콘베이어(10)에 내보내도록 작동된다.
상기의 작동 다음에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프로우 챠트순서에 따라 유니트장치(11)의 전체적인 시퀀스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유니트장치(11)의 콘트롤 유니트(12)에서는 시퀀스 신호로서 후기하는 바와 같이 자기의 가공 스테이션(2)상에 치구 팰리트(5)가 없는 경우와 가공 스테이션(2)상에 치구 팰리트(5)가 있어도 반송아암(24)이 돌출상태에서 대기위치 A로 이동된 경우에 전단의 유니트장치(11)측으로 나오는 R1신호와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측으로 부터의 R1신호를 받아서 후기하는 바와같이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측으로 나오는 R2신호가 발생되는 것으로 먼저 제작물 W가 가공 완료시에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에 R1신호가 입력되어 또한 자기의 콘베이어(10)상에 치구 팰리트(5)가 없으면(도면중 이 상태를 ID없음으로 기재하였다) 치구 팰리트(5)의 언크램프가 행하여짐과 동시에 다음 단의 유니트장치(11)에 R2신호가 출력되어 언크램프후 스톱퍼(23)의 투입과 반송아암(24)의 나오는 위치 C에의 이동과 콘베이어(10)의 작동에 의한 치구 팰리트(5)의 가공 스테이션(2)으로 부터 나오는 것이 행하여져 이러한 나오는 것에 의하여 콘베이어(10)상에 치구 팰리트(5)가 있는 것이 확인되면(도면중 이 상태를 ID있음으로 기재하였다) 스톱퍼(23)가 돌출되고 그 돌출 확인으로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에의 R2신호의 출력이 정지된다.
이어서 전단의 유니트장치(11)에 R1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반송아암(24)이 대기위치 A로 이동되어 이 경우 전단의 유니트장치(11)에서 R2신호가 입력되면 반송아암(24)이 몰입되고 전단의 유니트장치(11)의 콘베이어(10)에서 치구 팰리트(5)가 반입되어 이것이 제1근접스위치(S1)로 확인되어 반송아암(24)이 돌출되고, 전단의 유니트장치(11)에의 R1신호의 출력이 정지됨과 동시에 반송아암(24)이 보내지는 위치 B로 이동되어 이것에 의한 치구 팰리트(5)의 소정의 반입위치에 보내는 것이 제2근접스위치(S2)로 확인되면 상기와 같이 치구 팰리트(5)의 크램프와 제작물 W의 가공이 행하여져 이때 반송아암(24)은 돌출상태인 채 대기 위치 A로 이동된 후 그 이동 확인으로 전단의 유니트장치(11)에 재차 R1신호가 출력되고 이리하여 전단의 유니트장치(11)에서의 가공완료에 의하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동으로 그 가공 스테이션(2)에서의 치구 팰리트(5)가 나오는 것이 행하여지지만, 이때 반송아암(24)은 전단의 유니트장치(11)로 부터의 R2신호의 입력에 의해도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로 부터의 R1신호의 입력으로 상기와 같이 내보내는 위치 C로 이동될때까지의 사이에 이런 상태로 유지되어 자기의 유니트장치(11)의 가공 스테이션(2)에의 치구 팰리트(5)의 침입을 방지하는 스톱퍼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자기의 유니트장치(11)의 콘베이어(10)상에 치구 팰리트(5)가 존재하는 상태 즉 ID가 있는 것의 작동을 생각하면 이 경우에는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의 가공 스테이션(2)으로 부터의 치구 팰리트(5)가 나온후에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에서 발생되는 R1신호의 입력으로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에 R2신호가 출력되어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의 반송아암(24)이 내보내는 위치 C에서 대기위치 A도 이동되면서 몰입되고 동시에 자기의 유니트장치(11)의 콘베이어(10)가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로 부터의 R1신호의 입력이 정지될 때까지 작동되어 콘베이어(10)상의 치구 팰리트(5)가 다음단의 유니트장치(11)의 가공 스테이션(2)에 반입된다.
이상과 같이 각 유니트장치(11) 사이에서 팰리트를 주고 받는 것에 필요한 시퀀스 제어는 R1신호와 R2신호의 각 콘트롤 유니트(12) 사이에서의 주고 받는 것으로 행하여진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통의 유니트 베이스상에 가공 유니트와 위치결정장치와 콘베이어를 조립하여서 되는 각 독립된 유니트장치를 사용하고 이들 유니트장치를 서로 인접 배치하는 것뿐으로 제작물 반송로를 포함한 트랜스퍼 머시인 전체가 구성되도록 한 것으로 유니트장치를 넣고 빼는 것이나 증설 등에 의하여 제작물에 따라서 라인구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고 또한 각 유니트장치마다에 이를 독립하여 제어가능한 콘트롤 유니트를 설치하고 각 콘트롤 유니트 사이에서의 시퀀스 신호의 주고 받는 것에 의해 각 유니트장치 사이에서의 시퀀스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라인구성의 변경에 있어서의 제어계의 변경은 각 콘트롤 유니트의 시퀀스 신호 케이블의 설치 교환만으로 대처할 수 있고 신속 또한 용이하게 라인의 변경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또한 제2발명에 의하면 각 유니트 장치의 뒷쪽에 팰리트 순환로의 구성단위가 되는 각 독립된 콘베이어 유니트를 설치하고 이들 콘베이어 유니트를 서로 인접시켜서 팰리트 순환로를 구성하는 것이므로 유니트장치의 배열 대수의 증감에 맞추어서 콘베이어 유니트의 배열 대수를 증감하는 것에 의해 순환로의 길이를 라인길이에 맞추어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제작물 반송로(1) 위에 복수의 가공 스테이션(2) 옆쪽으로 각 가공 유니트를 배치하여서 되는 트랜스퍼 머시인에 있어서, 각 가공 유니트를 탑재하는 각 유니트 베이스(8)를 각 가공 스테이션(2)측으로 연출하고 그 연출부에 각 가공 스테이션(2)상에 위치하는 제작물의 위치결정장치(9)와 이에 연설시켜서 제작물의 반송방향 한쪽에 뻗는 콘베이어(10)를 고정 설치하여서 되는 각 독립된 유니트장치(11)를 구성하고 각 유니트장치(11)를 서로 인접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 콘베이어(10)를 거쳐서 각 가공 스테이션(2) 사이를 묶어서 반송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각 유니트장치(11)마다에 이것을 독립하여 제어가능한 콘트롤유니트(12)를 설치하여 각 콘트롤 유니트(12) 사이에서의 시퀀스 신호를 주고 받는 것에 의하여 각 유니트장치(11) 사이에서의 시퀀스 제어를 행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 머시인.
KR1019840006449A 1984-01-30 1984-10-17 트랜스퍼 머시인(Transfer machine) KR870000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375 1984-01-30
JP59013375A JPS60161059A (ja) 1984-01-30 1984-01-30 トランスフアマシン
JP59-13375 1984-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360A KR850005360A (ko) 1985-08-24
KR870000578B1 true KR870000578B1 (ko) 1987-03-23

Family

ID=1183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6449A KR870000578B1 (ko) 1984-01-30 1984-10-17 트랜스퍼 머시인(Transfer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61059A (ko)
KR (1) KR870000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265A (ja) * 1992-05-15 1993-12-03 Kaijo Corp 加工装置
US5848458A (en) * 1997-05-15 1998-12-15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Reconfigurable gantry too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9756A (ja) * 1981-10-07 1983-04-08 Tsugami Corp 複合加工ラ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0737B2 (ko) 1992-04-06
KR850005360A (ko) 1985-08-24
JPS60161059A (ja) 1985-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0722B2 (ja) 基板搬送方法及び装置
KR100363658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 실장방법
JP2866778B2 (ja) レーザ加工装置
KR870000578B1 (ko) 트랜스퍼 머시인(Transfer machine)
KR100259148B1 (ko) 순환식 부품 공급 장치
JP5450338B2 (ja) 電子部品実装機
JPH07315550A (ja) パレット搬送装置
KR100691321B1 (ko) 제품검사시스템
CN112264640A (zh) 一种用于板材钻孔的加工系统
JP2020100147A (ja) 対基板作業装置
JP7353436B2 (ja) 印刷装置
CN210260043U (zh) Pcb板输送系统
JPH0318118Y2 (ko)
KR100203818B1 (ko) 슬라이드 캐리 타입 팰릿의 트랜스퍼 장치
JPH04106149U (ja) Fmsのパレツトおよびワークの搬送装置
JPH05162042A (ja) ワークパレットの移送方法と装置
JPH10323725A (ja) パンチングプレスにおける金型交換装置
JPH02307636A (ja) トランスファプレス機におけるワーク搬送方法
JP2898069B2 (ja) 自動供給・排出を伴うプリント基板の自動加工方法と装置
JPS6246529Y2 (ko)
KR19990048748A (ko) 팔레트 교체장치
KR900004153B1 (ko)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KR100766008B1 (ko) 백라이트 유닛 부품조립장치
KR200206028Y1 (ko) 차체조립라인에서 리어액슬로더의 동기화장치
JPH015664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