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153B1 -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 Google Patents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153B1
KR900004153B1 KR1019870001443A KR870001443A KR900004153B1 KR 900004153 B1 KR900004153 B1 KR 900004153B1 KR 1019870001443 A KR1019870001443 A KR 1019870001443A KR 870001443 A KR870001443 A KR 870001443A KR 900004153 B1 KR900004153 B1 KR 90000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ixed
core
pneumatic cylinde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446A (ko
Inventor
김덕제
Original Assignee
한국강업 주식회사
김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강업 주식회사, 김덕재 filed Critical 한국강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153B1/ko
Publication of KR880010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자동용접기 사시도.
제 2 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코어편부재 적층장치의 사시도.
제 3 도는 동 종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A-A선 단면도.
제 5 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코어적층부재 이송장치의 사시도.
제 6 도는 동 작용상태 정면도.
제 7 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코어적층부재 공급 및 반송장치의 사시도.
제 8 도는 동 작용상태 일측면도.
제 9 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코어적층부재 고정장치의 사시도.
제 10 도는 동 작용상태도.
제 11 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누름편을 도시한 사시도.
제 12 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코어적층부재 용접장치의 사시도.
제 13 도는 동 작용상태도.
제 14 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코어적층부재 탈취장치의 사시도.
제 15 도는 동 작용상태 정면도.
제 16 도는 (a)-(f)는 본발명의 연속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 17 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코어편부재 대기장치의 사시도.
제 18 도는 동 작용상태도.
제 19 도의 (a)는 공지된 블랙코어 사시도이며, (b)는 블랙코어를 구성하는 I형 코어편부재이고,(c)는 E형 코어편부재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적층함체 6,6' : 충격방지봉
8, 8a-8c : 베드 9, 9a-9c : 새들
10 : 밀음편 11, 11a : 힌지쌍편
12, 12a : 힌지단편 13 : 이송편
14 : 진행정지판 15, 19 : 고정판
l7,18 : 링크 20 : 지지대
21 : 지지판 24 : 용접지지구
25 : 상하유동봉 26 : 설치편
28 : 탈취구 29 : 걸림대
30,30' : 대기쌍편 31, 31' : 밀음쌍편,
32, 32' : 경사쌍편 34 : 축
S, S1-S6 : 공압실린더 Wb : 용접봉
Cp : 코어편부재 Cs : 코어적층부재
Ws : 유, 공압실린더 m : 모터
본발명은 예컨대 진자레인지등에 사용되는 트랜스(Trans)의 구성부품인 블랙코어(Block Core)만을 전용(專用)으로 용접하도록된 자동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이 추구하려는 바를 명확히 하기위하며 공지된 트랜스용 블랙코어 및 종래기술에 대해 먼저 기술하면 이미 주지된 바와같이, 트랜스용 블랙코어는 제 19 도의 (a)에 도시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서, 이는 I형 및 E형 코어적용부재가 용접결합된 구조이다. I형 및 E형 코어적층부재(이하 편리상 코어적층부재라함)는 낱개의 I형 및 E형 코어편부재(편리상 코어편부재라함)가 설정된 높이로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낱개의 코어편부재를 정열고정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코어적층부재 일측면 또는 양측면 중간부위(도면에서 W부위)가 용접된다. 그 이유는 각각의 코어적층부재를 상호용접 결합하는 작업 과정에서 낱개의 코어편부재가 흐트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저 함이다. 만약, 적층된 상태의 코어편부재를 정열고정시키고 용접을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의 코어적층부재를 용접결합 한다면, 그 작업과정중에 낱개의 코어편부재가 흐트러지거나 이탈될 우려가 있으므로서 작업성이좋지 않을뿐 아니라, 코어편부재가 정열되지 않은 상태로 용접되는 경우가 발생되므로서 최소한 트랜스용 클랙코어의 기능면에 영향이 미치게 될것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코어적층부재를 상호결합 용접하기 전에 반드시 적층된 상태의 코어편부재를 정열고정시키기 위한 용접이 실시되는데, 종래에는 코어적층부재를 단순히 클램프로 고정시킨 다음, 수작업에 의한 용접을 실시해옴에 따라 균일하게 용접된 제품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았을뿐 아니라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종래의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재래식 용접방식을 더한층 발전시킨 것으로, 이는 코어편부재가 대기상태에서 부터 용접된 코어적층부재로서 회수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인급한 바와같이 설정된 높이의 코어적층부재에 있어서 코어편부재를 설정의 높이로 정열고정시키기 위한 용접을 실시하는 모든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균일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자동용접기를 제공하므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생산성을 증대시키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발명의 자동용접기에는 코어편부재 적층장치와 코어적층부재 이송장치, 그리고 코어적층부재 공급 및 반송장치와 고정장치 및 코어적층부재 용접장치와 탈취장치등이 마련되며, 이와같은 장치들은 공압실린더 및 유,공압겸용실린더에 의해 작동되어지고 그 실린더들은 제어회로에 의해 조종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장치들이 마련된 본발명의 자동용접기는 코어편부재 적층장치에서 낱개의 코어편부재가 적층되어지며, 그 적층된 코어편부재는 이송장치에 의해 공급장치로 이송된 직후 곧바로 고정장치가 위치한 장소로 공급됨과 아울러 고정되어진후 용접을 실시하게되며, 이어서 용접이 완료된 코어적층부재는 고정장치가 해제되어 그 외부로 이송됨과 아울러 탈취장치로 하여금 탈취토록하는 방식에 의해 진행작동된다. 본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의 설명이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제 1 도는 본발명의 자동용접기 몸체(1)로서 상부에는 알곤용접기(Wm)을 설치하고, 중앙부의 장치설치판(1a)에는 중앙부 상측으로, 종으로 설치된 공압실린더(S4)와 연결된 +케이블(Kl)과 알곤가스가 공급되는-케이블(K2)이 연결하였다. 이때-케이블(K2)은 용접장치의 용접봉(Wb)에 접선 연결하여 장치설치판(la)에서 코어편부재(Cp)가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용접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여러가지 장치가 구성된다.
제 2 도와 제 3 도 및 제 4 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코어편부재 적층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낱개로 프레스 가공된 코어편부재(Cp)가 장치설치판(1a)에 입설되어 있는 적층함체(2) 유입구(3)로 유입되어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고정편(4)(4')에 긴밀히 안착된다. 상기 고정편(4)(4')에 안착된 다수의 코어편부재(Cp)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적층함체(2)의 내부공간과 정합되는 상태로서 유입적층되므로, 정열되는 상태로 적층되어 있을수가 있다. 적층함체(2)의 내부공간은 코어편부재(Cp)가 원활히 하강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상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적층함체(2)에 있어서, 일측막이편(2a)에는 코어적층부재 이송장치에서 공압실린더(S1)와 연결된 밀음편(10)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과공(5)을 형성하는 한편, 장치설치판(la) 하방의 프레임(f)에 고정되어 있는 공압실린더(S)에 의해 코어편부재(Cp)를 균일하게 승하강 작동되는 충격방지봉(6)(6')은 장치설치판(la)을 통과하여 고정편(4)(4')의 통공(7)(7')에 충격방지봉(6)(6')의 선단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 5 도는 코어적층부재 이송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밀음편(10)에 의해, 적층함체(2)내의 코어편부재(Cp)가 제 7 도에 도시된 L형의 이송편(13)에 이송안착되었을때, 상기 적층함체(2) 상부에 머물러 있던 나머지 코어편부재(Cp)는 그 자체하중에 의해 자연낙하되어 고정편(4)(4')에 충격을 주게될 것이다.
상술된 충격방지봉(6)(6')은 이와같은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인데, 이는 밀음편(10)에 의해 코어편부재(Cp)가 적층함체(2)에서 밀려나감과 아울러 공압실린더(S)가 작동되도록하여, 충격방지봉(6)(6') 선단이 상기 적층함체 상부에 머물러 있는 코어편부재(Cp) 하부에 까지 상승토록 작동시킨후에 서서히 하강되도록 하면은, 상기 코어편부재(Cp)가 충격방지봉(6)(6') 선단에 얹혀진 상태로서 서서히 낙하되기 때문에 고정편(4)(4')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제 5 도 및 제 6 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코어적층부재 이송장치를 나타낸 실시예로서, 적층함체(2)의 일측장치 설치판(la)에 고정된 베드(bed)(8) 상에 새들(saddle)(9)이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새들(9) 상면전방에는 밀음편(10)이 고정되는 한편 후방에는 장치설치판(la)에 고정설치된 공압실린더(S1)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쌍편(11)과 핀결합되는 힌지단편(12)이 고정된다. 이러한 코어적층부재이송장치는 제 6 도 및 제 16 도의 (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동되는데, 이 작동은 본발명에 있어서 최초작동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공압실린더(S1)에 의해 베드(8) 상에서 새들(9)이 전진이동될때 적층함체(2)내의 코어편부재(Cp)가 밀음편(10)에 밀려서 이동되어 L형의 이송편(13)에 안착되게 하는 역활을 담당한다.
본발명에 있어서 코어적층부재 공급 및 반송장치는 제 7 도 및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전술된코어적층부재 이송장치의 밀음편(10)에 외해 이송되어, L형의 이송편(13)에 안착된 코어적층부재(Cp)를 이하에서 기술될 용접장치까지 이송 또는 반송시키는 장치로써 이는 베드(8a) 상에서 전후이동되는 새들(9a)상면에 L형의 이송편(13)이 고정설치되며, 그 새들(9a) 후면에는 공압실린더(S2)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쌍편(11a)과 핀결합되는 힌지단편(12a)이 고정되어 있다. L형의 이송편(13) 높이와 폭은 설정된 코어적층부재(Cs)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에서 언급된 장치에 의해서 용접장치까지 이송되는 코어적층부재는 고정장치에 의해서 고정되는데 이는 제 9 도에서 제 11 도에 이르기까지의 도면에 나타나 있으며, 그 작동은 제 16 도의 (c)(d)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설명하면, 이송편(13)에 안착되어 이송되어져온 코어적층부재(Cs)는 이송방향측에 고정되어 있는 진행정지판(14) 중앙에 고착된 정지편(14')에 의해 정지되어 그 외면과 면접되는 한편, 그 일측에 고정된 일측 고정판(15)의 면접편(15')과도 면접하게 된다. 이런상태는 진행정지판(14)의 정지편(14')과 일측고정판(15)의 면접편(15') 및 이송편(13)의 입설부(13a)에 의해 코어적층부재(Cs)의 전후방 및 일측방이 막히도록 지지되는 상태로써, 이상태에서 다음 고정수단이 동작실시된다.
이는 먼저 장치설치판(la) 하방의 프레임(f')에 힌지식으로 설치된 공압실린더(S3)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가 승승됨에 따라,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힌지쌍편(16)을 중심으로 L형링크(17)가 회전운동하게 되고, 따라서 베드(8b) 상의 새들(9b) 후부에 고정된 힌지단편(12b)과 상기 L형링크(17)와 상호 연결 핀결합된 연결링크(18)가 전진이동되므로서 새들(9b)과 그 상부에 고정된 타측고정판(19)이 전진이동됨에 따라 그 양단에 위치한 면접편(19')이 코일적층부재(Cs)를 밀어 가압하게 되는 한편, 곧이어 수개의 지지대(20)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판(21)에 고정된 공압실린더(S4)가 작동됨에 따라 피스톤로드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누름편(22)이 하강하여 코일적층부재(Cs)를 누르게 된다.
제 11 도 및 제 16 도 (d)에서 (23)은 회전방지편으로서, 이는 피스톤로드 승하강시 지지판(21) 밀면에 고착된 회전방지봉(24)을 따라 승하강되므로서 누름편(22)이 회전될 우려성을 배제토록 한다. 이어서, 본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에 의하여 육면이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의 코어적층부재(Cs)는 그 일측면 또는 양측면 중간부분에 알곤용접이 실시되는데 그 구조 및 실시 상태는 도면 제 12 도 및 제 13 도 내지는 제 16 도의 (d)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용접봉(Wb)를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알곤가스가 유입될 수있는 한편, 마이너스극이 연결된 용접지지구(24)는 타측고정판(19)의 면접편(19') 사이에 상하유동봉(25)의 상방에, 고정되는 설치편(26)에 의해 지지고정되어 있으며 상하유동봉(25)은 장치설치판(la)를 관통하는 상태로 상하유동가능하게 할 수 있는 유공압겸용실린더(Ws)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된 연결판(26)과 고정되어 있다. 유,공압겸용실린더(Ws)는 하부측포트(P)로 오일이 출립되는 한편 상부측포트(P')로는 공압이 출입되는 실린더를 말하며, 이러한 실린더는 본발명의 용접장치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그 이유는 코어적층부재(Cs)의 상방에서부터 하방으로 용접봉(Wb)이 하강하면서 용접을 실시할때, 균일한 용접상태를 얻고자 함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유,공압실린더(Ws)의 상부측포트(P')로 공압이 공급되게하고, 하부측포트(P)로 유압이 배출되게 하므로서 하강동작이 이루어지는바, 이는 공압의 크기에 관계없이 유압의 배출속도를 항시 일정하게 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 특성은 피스톤로드와 연결된 상하유동봉(25)과 그리고 이와 연결된 용접봉(Wb)의 하강속도를 항시 일정속도로 유지하게 하므로서 코어적층부재(Cs)에 있어서 용접된 상태를 균일하게 한다.
한편,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봉(Wb)과 상하유동봉(25)은 유,공압실린더(Ws)는 하강동작의 역동작에 따라 초기의 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고정장치에 있어서 공압실린더(S3)에 연결 고정된 타측고정판(19)과 공압실린더(S4)에 연결 고정된 누름편(22)도 초기의 위치로 복귀되어, 이송편(l3)에 안착된 코어적층부재(Cs)는 고정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이송편(13)은 공압실린더(S2)의 작동에 따라 그 초기의위치로 복귀되므로서 용접이 완료된 코어적층부재(Cs)는 반송되는데, 이 코어적층부재(Cs)는 반송동작이 완료되는 즉시, 탈취장치에 의하여 L형의 이송편(13)에 안착되어 있던 코어적층부재(Cs)가 이동판(27)으로 탈취이동된다.
이미 언급된바 있는 코어적층부재 탈취장치는 이동판(27) 상부 외방에 힌지설치된 공압실린더(S5)에 의해 "n"형의 탈취구(28)가 전후 이동하도록 된것으로, 이 또한 타장치에서와 같이 베드(8c)와 새들(9c)에 의해 안내 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n"형의 탈취구(28)의 전방하부측 내부에는 코어적층부재(Cs) 걸림대(29)가 고착되어 있음을 도시된 제 14 도와 제 15 도 및 제 16 도의 (바)에서 알수 있다.
이의 작동은 공압실린더(S1)의 작동에 의하여 밀음편(10)이 부착된 새들(9)이 후진이동할때, 탈취구(28)를 전진이동 되게하여 적층함체(2)의 수평면(2b)에 머물러 있도록한 다음 코어적층부재(Cs)가 용접되어 반송 완료되는 순간 공압실린더(S5)를 작동시켜 탈취구(28)가 후진이동토록 하면, 이송편(13)에 안착되어 있는 코어적층부재(Cs)는 탈취구(28) 내부로 삽입됨과 아울러 걸림대(29)에 걸리게 되는 상태로서 상기 탈취구(28)와 함께 이동되어 이동판(27) 상으로 옮겨오게 작동되는 것이다.
이제까지 기술된 모든 장치에 있어서, 상호관련된 작동을 제 16 도의 (a)-(f)을 위시하여 이하에 기술한다. 제 16 도의 (a)는 적층함체(2)내의 코어편부재(Cs)가 밀음편(10)에 밀려서 이송편(13)에 안착되는 상태의 작동순서에 있어 제 1 동작이라 할 수 있으며 다음 제 2 동작은 제 16 도의 (b)로서, 이는 밀음편(10)이 후진이동되는 시점과 같이하여 이송편(13)이 후진이동됨과 아울러 탈취구(28)가 공압실린더(S5)의 작동에 의하여 전진이동되어 적층함체(2)의 수평면(2b)에 위치정지되는 상태이고, 제 3 동작은 진행정지판(14)의 정지편(14')에 공압실린더(S2)의 작동에 따라 후진이동되는 이송편(13)의 코어적층부재(Cs)가 면접되고 일측에 고정된 일측고정판(15)에 면접되어 그 이송편(13)의 이동이 정지된후에 타측고정판(19)이 공압실린더(S3)의 작동에 의하여 전진이동하고 누름편(22)이 공압실린더(S4)에 의하여 하강하여 코어적층부재(Cs)를 정열시키면서 고정시키는 동작을 말하는 것으로 제 16 도의 (c) 및 (d)에 도시되어 있다.
제 4 동작은 제 16 도의 (d)에서와 같이 유, 공압실린더(Ws)가 작동되어 용접봉(Wb)이 서서히 하강함에 따라 정열되어 고정된 상태의 코어적층부재(Cs)의 측면중간이 용접되는 상태로서, 용접이 완료되어 상하유동봉(25)과 연결된 용접봉(Wb)은 유압실린더(Ws) 하강동작의 역동작에 따라 초기 위치로 복귀 상승되는 동작도 포함된다.
제 5 동작은 전술된 제 3 동작으로 인하여 코어적층부재(Cs)를 고정시킨 모든 고정장치가 해제됨과 동시에 제 16 도의 (e)에서와 같이, 용접완료된 코어적층부재(Cs)가 안착되어 있는 이송편(13)이 초기 위치로 복귀이동되는 상태를 말하며, 제 6 동작은 제 16 도의 (f)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귀이동 완료된 이송편(13)에 안착되어 있는 코어적층부재(Cs)를 적층함체(2)의 수평면(2b)에서 대기하고 있던 탈취구(28)가 공압실린더(S5)의 작동으로 후진이동하면서 탈취 이송시키는 상태를 말한다.
상술한 제 1-6까지의 동작을 본발명에 있어서 1싸이클 동작이라 하며, 아울러 이와같은 싸이클 동작을 제어회로의 지령에 의해 반복수행되도록 하므로서 균일용접된 상태의 코어적층부재(Cs)를 연속으로 생산가능함에 따라 작업성이 양호하게 됨을 물른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한편, 제 17 도 및 제 18 도에 도시된 실시예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적층함체(2)의 상측에 부착 사용할 수 있는 E형의 코어편부재 대기 장치로서, (30)(30')는 E형의 코어편부재(Cp')의 홈(h)(h')이 끼워지는 대기쌍편이 경사진 상태로 고정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인바, 그 하부경사 단부와 밀접설치된 밀음쌍편(31)(31')은 공압실린더(S6)에 의해 승하강 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 방으로는 경사쌍편(32)(32')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쌍편(32)(32') 하방으로 모터(m)로 회전되는 회동쌍편(33)(33')이 축(34)에 고착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대기장치는 대기쌍편(30)(30')에 안착되어 있는 E형 코어편부재(Cp')가 공압실린더(S6)의 작동에 따라 밀음쌍편(31)(31')의 상승작동에 의해 들려져서 경사쌍편(32)(32')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된 E형 코어편부재(Cp')가 미끄러져 회동쌍편(33)(33')에 걸쳐진 상태로 머물러 있다가 밀음편(10)에 의해 적층함체(2) 내의 코어편부재가 이송편(13)으로 이송안착됨과 동시에 모타(m)과 작동되도록 하므로서 축(34)에 고착된 회동쌍편(33)(33')이 회전작동되어 이에 걸쳐져 있던 E형 코어편부재(Cp')가 적층함체(2)의 유입구(3)로 유입되도록 작동되는 것으로 이 대기장치는 E형 코어편부재(Cp')의 용접작업시 좀더 작업편리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은 본발명에 있어서 용접장치는 하나의 유,공압실린더에 의해 두개의 상하유동봉이 승하강 작동되도록 설치하므로서 코어적층부재의 양측면 중간부분을 동시에 용접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9)

  1. 적층함체(2)내의 코어편부재(Cp)가 밀음편(10)에 밀려서 이송편(13)에 안착된 다음 이송되어 일측 및 타측고정판(15)(19)과 진행정지판(14) 및 누름편(22)에 정열고정된후에 용접봉(Wb)으로 용접되고, 이어서 코어적층부재(Cs)의 용접이 완료된후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이송편(13)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n"형 탈취구(28)로 하여금 탈취되는 싸이클 동작을 반복수행하므로서 정열고정용접된 코어적층부재(Cs)를 연속 생산할 수 있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의 블랙코어 전용 자동용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함체(2) 상부에 코어편부재(Cp) 유입구(3)가 형성되고 일측막이편(2a)에는 밀음편(10) 통과공(5)이 통공되어 있는 한편, 내부에 고정된 고정편(4)(4')과 일치되는 수평편(2b)이 외부에 고정되고 장치설치판(la) 하부에 고정된 공압실린더(S)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충격방지봉(6)(6')의 선단이 상기 고정편(4)(4')의 통공(7)(7') 내에 위치되도록 된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밀음편(10)이 고정된 새들(9)이 베드(8) 상에서 전후진 이동되도록 상기 새들(9) 상면 후방에 고정된 힌지단편(12)과 장치설치판(la)에 고정된 상태의 공압실린더(S1)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고정된 힌지쌍편(11)이 상호핀 결합된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L형의 이송편(13)이 고정된 새들(9a)이 베드(8a) 상에서 전후진 이동되도록 공압실린더(S2)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고정된 힌지쌍편(1la)과 핀결합되는 힌지단편(1la)이 상기 새들(9a) 후면에 고정된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누름편(22)을 작동시키는 공압실린더(S4)가 수개의 지지대(20)에 지지되는 지지판(21)에 고정되고, 그 하부후방에는 정지편(14')이 부착된 진행정치판(14)이 배치고정되며, 전면에 면접편(15)(19')이 고착된 일측 및 타측고정판(15)(19)을 상기 진행정지판(14) 양측에 배치하되, 타측고정판(19)은 베드(8) 상의 새들(9b)에 고정되어 공압실린더(S3)의 작동에 따라 링크(17)(18)가 연동되어 전후 이동토록된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용접봉(Wb)이 끼워지는 용접지지구(24)가 상하유동봉(25)에 고정되는 설치편(26)에 지지고정되고, 상하유동봉(25)은 타측고정판(19) 전방증앙의 장치설치판(la) 하부에 고정된 유,공압실린더(Ws)의 피스톤로드와 연결되어 승하강 작동되도록 된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용접지지구(24)가 설치된 설치편(26)이 각각 고정되는 2개의 상하유동봉(25)이 하나의 유,공압실린더(Ws)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고정되어 승하강 작동되도록 된 트랜스용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함체(2) 일측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걸림대(29)가 고착된 "n"형의 탈취구(28)가 베드(8c) 상의 새들(9c)에 하향고정 설치되어 공압실린더(S5)에 의해 전후진 작동되도록 된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E"형의 코어편부재가 끼워져 대기상태로 머물수 있는 경사형 대기쌍편(30)(30') 하단부에 공압실린더(S6)로 승하강 작동되는 밀음쌍편(31)(31')이 설치되고 그 밀음쌍편(31)(31,)하방으로 경사쌍편(32)(32')이 고정설치되며 그 아래로 모터(m)로 회전되는 축(34)에 회동쌍편(33)(33')이 고착된 대기장치를 적층함체(2) 상부에 부착사용할 수 있도록 된 트랜스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KR1019870001443A 1987-02-20 1987-02-20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KR90000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443A KR900004153B1 (ko) 1987-02-20 1987-02-20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443A KR900004153B1 (ko) 1987-02-20 1987-02-20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46A KR880010446A (ko) 1988-10-08
KR900004153B1 true KR900004153B1 (ko) 1990-06-18

Family

ID=1925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443A KR900004153B1 (ko) 1987-02-20 1987-02-20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1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46A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153B1 (ko) 트랜스의 블랙코어전용 자동용접기
CN108298296A (zh) 一种用于油套管接箍数控生产线的自动打标印装置
JP2002036071A (ja) 積層型ロボットライン
US3154191A (en) Reciprocating type conveyor
US5000022A (en) Presswork machinery
JPH0890101A (ja)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金型交換方法及び金型交換装置
US3013506A (en) Skip transfer mechanism for conveying apparatus
EP1056591A1 (en) Bridge frame for a transfer press
KR870000578B1 (ko) 트랜스퍼 머시인(Transfer machine)
JPH0313115B2 (ko)
JPH05116753A (ja) プリント基板のワーク搭載装置
JPH0366531A (ja) ワーク搬送装置
KR100435667B1 (ko) 차량용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 시스템
KR0131672Y1 (ko) 프레스의 금형 적재장치
JPS6023047Y2 (ja) Uo鋼管用uプレスパンチ型替装置
KR100203818B1 (ko) 슬라이드 캐리 타입 팰릿의 트랜스퍼 장치
JP4110835B2 (ja) 車両組立工程における車体移載装置
KR950011756B1 (ko) 중형 굴삭기 상부센터 프레임 가접트랜스퍼 시스템
JPH06297266A (ja) 自動かしめ機
KR100191619B1 (ko) 자동차의 바디 조립체 운반장치
KR0123726Y1 (ko) 건전지의 파레트 셀 장착용 슬라이딩 지그의 결합구조
JPH0248096Y2 (ko)
KR910007904Y1 (ko)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
KR200147277Y1 (ko) 음극선관의 방폭밴드 자동 공급장치
CN108436462A (zh) 一种总成架装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