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904Y1 -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904Y1
KR910007904Y1 KR2019880011471U KR880011471U KR910007904Y1 KR 910007904 Y1 KR910007904 Y1 KR 910007904Y1 KR 2019880011471 U KR2019880011471 U KR 2019880011471U KR 880011471 U KR880011471 U KR 880011471U KR 910007904 Y1 KR910007904 Y1 KR 910007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ylinder
elevating
dimension
rectangular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1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935U (ko
Inventor
윤경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1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904Y1/ko
Publication of KR900002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9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9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electrostatic or magnetic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수단 2 : 이송수단
10 : 데크 11 : 주실린더
13 : 승강데크 15 : 부실린더
20 : 전자척 22 : 레일
23 : 로드리스 실린더
본 고안은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산공정의 자동화에 있어서, 조립하고자 하는 부품을 다음 고정으로 이송하는 경우에 때로는 물체상승-수평이동-하강의 3차원적 반송이 필요할 때가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전자렌지의 조립공정에서 캐비넷은 자동용접에 의해 제조되고 있으며, 종래에는 이렇게 만들어진 캐비넷을 작업자가 캐스터등에 싣고 다음 공정으로 운반하는 예가 있는데, 공정의 자동화는 이러한 캐비넷의 반송까지 시도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 캐비넷의 반송은 그 경로가 직선적이면 벨트컨베이어 시스팀을 적용할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같이 반송경로가 3차원적일 경우에는 통상적인 반송수단에 의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방형물체의 3차원적 반송을 가능케 하여 공정의 자동화를 진일보시키는 반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승강데크를 승강시키는 주실린더가 장착된 데크와 이 데크에 고정부착된 부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전자척으로 이루어진 승강수단고, 상면에 레일이 부설되고, 그 사이로 전기한 데크를 지지이동시키는 로드리스실린더가 배치된 이송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제2도는 그 측단면도로서, 도면 중 부호(1)는 승강수단, 부호(2)는 이송수단을 지칭한다.
승강수단(1)은 이송수단(2)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승강수단(1)은 이송수단(2)상에 지지되는 데크(10)와 이데크(10)의 종단부에 수직 배치되는 주실린더(11)로 이루어져서 상기 주실린더(11)의 로드(12)가 상기데크(10)의 하측방으로 간통 연장됨과 아울러 그 로드(12)의 종단에 승강데크(13)가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승강데크(13)는 주실린더(11)의 양측방에서 데크(10)를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는 1쌍의 가이드로드(14)에 의해 흔들림이 없이 승강할 수 있게되어 있다.
또 승강데크(13)의 종단부에도 마찬가지로 부실린더(15)가 수직으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이 부실린더(15)도 역시 로드(16)을 승강데크(13)의 하측방으로 관통 연장시키고 있음과 동시에 그 종단이 현수판(17)과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 현수판(17)도 승강데크(13)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1쌍의 가이드봉(17')을 보유한다.
현수판(17')의 하부에는 다수의 현수로드(18)가 연장되어 있고, 이들 각각의 현수로드(18)의 외주에 삽입설치된 스프링(19)을 개재하여 전자척(20)이 현수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이송수단(2)은 I형 비임 또는 앵글에 의해 조립 형성되는 프레임(21)의 상면으로 레일(22)이 부설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들 레일(22)사이로 로드리스실린더(23; 실린더 내부에 피스톤만이 설치되어서 유체압의 주입방향에 따라 활주하는 유체압의 장치의 일종)가 배치된 구조로서, 상기 데크(10)는 로드리스실린더(23)의 피스톤과 연결되어 레일(22)을 타고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한 방형불체의 3차원 반송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1점쇄선을 도시한 방형물체(M)는 용접 혹은 기타의 이전공정이 행해진 위치에서 세팅핀(P)등에 의해 위치 보전되고 있다.
지금 부실리(15)가 상기 방형물체(M)의 상방에 놓여져 있다 가정하고, 이 경우에 주실린더(11)를 하강작동시켜서 승강데크(13)이 하사점까지 내러가게한 다음, 다시 부실린더(15)를 하강작동시켜 전자척(20)이 방형물체(M)의 상면과 접촉되게 한다.
여기서 설명은 주실린더(11)의 부실린더(15)를 시차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나, 이들을 동시에 작동시켜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전자척(20)이 방형물체(M)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은 로드(19)의 외주에 설치된 스프링(18)이 흡수 완충시켜 손상이 생기지 않게 해 준다.
전차척(20)이 방경물체(M)와 접촉된 상태에서 통전되면 이를 흡착 파지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주실린더(11)와 부실린더(15)의 상승작동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개시된다.
그 결과로 방형물체(M)는 전자척(20)에 척킹되어 끌어 올려지게 되며, 다음에는 로드리스실린더(23)이 구동되어 데크(10)를 수평이동시켜 주게된다. 데크(10)의 수평이동은 방형물체(M)가 예컨대 제1도의 한쪽위치(A)에서 다른쪽위치(B)로 이송되어짐을 의미한다.
위치(B)로 데크(10)가 수평이동되었을 때, 상기 승강수단(1)의 주실린더(11)와 부실린더(15)는 다시 하강작동되어 방형물체(M)를 위치(B)상에 내려놓게 되고, 다음에는 전자적(20)이 방형물체(M)를 해방함으로써 3차원적 반송이 종료된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방형물체(M)의 3차원적 반송이 연속 실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유체압실린더를 간단한 구조로 교묘히 조합하여 방형물체의 3차원반송을 가능케 한것이므로 대량생산에 필요한 부품의 공급을 원활히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서 생산성의 증대 및 인력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수평이동 가능한 데크(10)상에 승강데크(13)를 상하 연동시키기 위한 주시린더(11)가 수직배치되고, 상기 승강데크(13)에는 전자척(20)을 상하 연동시키는 부실린더(15)가 수직 배치되어 이루어진 승강수단(1)과, 상기데크(10)를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1쌍의 레일(22)이 프레임(21)의 상면에 평행하게 부설되고, 이들 양레일(22)사이에 상기 데크(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드리스실린더(23)가 배치되어 있는 이송수단(2)으로 구성된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
KR2019880011471U 1988-07-13 1988-07-13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 KR910007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471U KR910007904Y1 (ko) 1988-07-13 1988-07-13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1471U KR910007904Y1 (ko) 1988-07-13 1988-07-13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935U KR900002935U (ko) 1990-02-07
KR910007904Y1 true KR910007904Y1 (ko) 1991-10-07

Family

ID=1927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1471U KR910007904Y1 (ko) 1988-07-13 1988-07-13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9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935U (ko) 199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94668B (zh) 玻璃管码垛机
GB14576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lletizing articles
US5487808A (en) Apparatus for laminating plates
CN210619559U (zh) 一种实木板材加工用输送装置
CN109650025A (zh) 用于全自动激光刻印装置的下料机构
KR910007904Y1 (ko) 방형물체의 3차원 반송장치
US2196131A (en) Electroprocessing machine
KR100818022B1 (ko) 크랭크 샤프트 소재 이송장치
CN105855979A (zh) 智能工件加工设备
JPH05155428A (ja) ダイスで切断された部材の積層体を密集させると共にそれらの位置を補正するための装置
CN110759078B (zh) 一种机械手码垛输送线中的快速定位装置
US6024160A (en) Pattern plate drawing apparatus
CN209601553U (zh) 一种载具输送机构
US40941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of rows of blocks
CN105293016A (zh) 一种型焦坯体整理排列装置
JPS5840810A (ja) 誘導電器鉄心の自動積層装置
CN215159126U (zh) 一种耐磨不透水陶瓷砖生产装置
JPH0133256B2 (ko)
KR850001515Y1 (ko) 블록 성형기의 자동 적하장치
CN220975776U (zh) 一种线路板自动送板系统
JP4496567B2 (ja) 自動倉庫用搬送装置および自動倉庫
CN220448999U (zh) 复合测试机台
CN216917662U (zh) 一种托盘供栈机
CN213499934U (zh) 一种陶瓷生坯产品摆放装置
US3338430A (en) Pallet transfer mech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