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0225B1 - 다초점 렌즈의 안경테 - Google Patents

다초점 렌즈의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0225B1
KR870000225B1 KR8201199A KR820001199A KR870000225B1 KR 870000225 B1 KR870000225 B1 KR 870000225B1 KR 8201199 A KR8201199 A KR 8201199A KR 820001199 A KR820001199 A KR 820001199A KR 870000225 B1 KR870000225 B1 KR 870000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ose
frame
piec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507A (ko
Inventor
도우루 네기시
Original Assignee
도우루 네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000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738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80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7122A/ja
Application filed by 도우루 네기시 filed Critical 도우루 네기시
Publication of KR83000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0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02C5/12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 G02C5/124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with adjustable means for verticall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초점 렌즈의 안경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제1실시예의 주요구성부분의 확대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부분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부분단면을 보여주는 정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다른 형태를 갖는 제1실시예의 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사시도.
제8도는 제2실시예의 주요부본에 대한 부분단면 확대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분의 사시도.
제10도는 코받침이 아래쪽으로 내려진 상태와 위로 올려진 상태 사이의 간격을 보여주는 정면도.
제11 및12도는 다른 형태로 된 제2실시예의 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확대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15도는 제13도의 주요부분의 작용을 설명하는 사시도.
제16도는 제3실시예의 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l7도는 제3실시예의 주요부분에 대한 각종 변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18도는 본 발명이 따른 제4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19도는 제18도의 XIX-XIX선의 단면도.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다초점렌즈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고 동시에 정상적인거리를 바라볼 때 수평시선에 대한) 안경테의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어서 다초점렌즈의 어느부분을 사용하더라도 항상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초점렌즈용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본특허출원소 53-142734(상하가동의 원근양용 안경)에서와 같이 코받침을 상경테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므로써 원시렌즈와 근시렌즈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이 제한되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안경들은 통상 원시렌즈 부분의 사용에 적합한 각도로 세팅되고 있고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기 되있다. 따라서 근시렌즈 부분을 사용할 때는 눈의 시선방향과 직각을 이루지 못하여 눈의 피로를 야기시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정상적인 시선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착용자의 얼굴에 대하여 렌즈의 경사각도를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는 다초점안경용 안경테를 제공하므로시 어느 렌즈 부분을 사용하드라도 광학적으로 이상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초점안경테는 좌우측의 다초점렌즈를 착설하기 위한 한쌍의 렌즈테와 그 렌즈테들을 서로 연결하는 중앙면겉면 각 렌즈테의 태측을 코등 위에 지지하여 주는 코받침, 그리고 각 렌즈테 양쪽의 외측에 부착된 안경테 다루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안경테의 특징은 테다리가 각각 힌지기구에 의하여 각 렌즈테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테다리가 안경테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고 아래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상하 움직이게 하는 코받침의 높이 조절장치에 의하여 각 렌즈테의 내측에 부착되여 테다리의 하양경사(下向傾斜)에 따라 정상적인 시선에 대하여 렌즈테의 상대적인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한쌍의 근시렌즈 부분이 사용될 때 렌즈면, 다시 말해서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테는 그 테자리를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하는 힌지장치에 의하여 기울어지므로써 근거리를 보기 위한 시선방향에 대하여 최적의 각도를 이룬다(정상적인 시선에 대하여 약간 앞쪽으로 기울어진다).
이와 동시에 정상시선 방향에 대하여 렌즈테의 상대적 높이를 변화시켜주는 코받침의 높이 조절장치에의하여 근시렌즈들이 근거리시선의 높이와 일치하게 된다.따라서 원시 또는 근시렌즈부분이 사용되어 항상광학적으로 이상적인 렌즈 상태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눈을 피로하게 하지 않고 항상 쾌적하게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근양용 안경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부호 A는 안경테 본체를 가리카고 있다.상기 본체(A)는 한쌍의 좌우렌즈(1), 한쌍의 렌즈테(2) 및 그 렌즈테(2)들의 중앙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중앙연결편(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 렌즈(1)는 원근양을 렌즈로서 근시렌즈(5)가 원시렌즈의 아래쪽에 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안경렌즈는 종래의 원근양용렌즈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안경테다리(9)들이 각각 렌즈테(2)의 외측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안쪽으로 접을 수 있으며 상하로 기울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2 및 3도에 의하여 상기테다리(9)들이 부착되어 있는 모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제2도는 힌지기구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지지체(10)의 전단부는 각 렌즈테(2)의 외측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10)의 후단은 곡선을 이루게 절단되어 있고 그 만곡부 근방에 구멍(11)이 뚫려있다.대략 U자형 단면을 이루고 두개의 구멍(12)이 뚫린 받침편(13)을 구멍(12)과 상기 지지체(10)의 구멍(11)과 일치하게 상기 지지체(10) 내측면에 땜질하여 부착하였다. 테다리(9)와 지지체(10)를 연결하기 위하여 보도의 연결편(14)이 사용된다. 상기 연결편(14)의 전단부는 "
Figure kpo00001
"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접촉면(15)과 하부접촉면(16)을 이루고, 연결편(14)의 앞쪽에 구멍(17)이 뚫려 있다. 상기 연결편(14)외 후단에는 서로 아래위로 떨어져 있고 구멍을 가진 고리모양의 두 개의 환상체(18)가 달러 있다. 그중 아래극 환상체(18) 구멍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14)은 상기 받침편(13) 속에 결합하고, 상기 연결편(14)의 구멍(17)을 받침편(13)의 구멍(12)과 일치시킨 다음 내면에 암사사가 형성되어 있는 니트(19)를 상기 받침편(13)의 구멍(12)에 끼우고,지지체(10)의 구멍(11)을 통하여 숫나사(20)를 끼워서 상기 니트(19) 속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테다리(9) 끝에는 회동편(21)이 달려있다. 상기 회동편(21)의 앞쪽에는 환상체(22)가 달려 있으며, 상기 회동편(21)은 상기 테다리(9)에 용접시킬 수도 있다. 상기 회동편(21)의 환상체(22)는 상기 연결편(14)의 환상체(18)들 사이에 끼우고 나사(23)를 상부환상체(18)의 구멍과 회동편(21)의 환상체(22) 구멍을 통하여 하부환상체(l8)의 암나사 구멍이 끼워서 조인다. 이와 같이 하여 제3도와 같이 조립된다. 상기 테다리(9)의 전단부는 궁형요부(弓形凹部)를 형성하여 지지체(10) 후단부의 궁형철부(弓形凸部)와 일치하도록 돠어 있다.
제3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테다리(9)는 연결편(14)의 환상체(18)들과 회동편(21)의 환상체(22) 사이를 체결한 나사(23)를 지점(之點)으로 하여 안쪽으로 회전되어 접지되어 있다. 또한 테다리(9)가 아래쪽으로 구부러질 때 테다리(9)의 전단부는 지지체(10)의 후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즉, 테다리(9)는 받침편(13)과 연결편(14) 사아의 니트(19)와 숫나사(20)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될 수 있다. 제4도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테다리(9)가 위로 회전하면 상기 연결편(14)의 상부 접촉면(15)이 받침편(13)에 접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테다리(9)가 아래쪽으로 회전할 때 상기 연결편(14)의 하부접촉면(16)이 받침편(13)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테다리(9)가 상하로 회전하고 또는 내외측으로 접었다 폈다 할때 잠겨져서 고정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마찰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마찰력은 나사(20),(23)를 조여주므르서 얻어질 수 있다.나사(20),(23)를 조이면 조일수록 받침편(13)의 U자형부분이 더욱더 압축을 받게 되고, 또 연결편(14)와환상체(18)들 사이의 간격이 더욱 좁아져서 마찰력을 증가시긴다. 따라서 상기 마찰력은 나사들의 조임 정도를 조정하므로써 적절히 조절된다.
제1 내지 6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중앙 연결편(3)의 아래쪽에 각 렌즈테(2)의 내측에는 한쌍의 지지환(24)이 견고히 부착되어 있다. 한개의 금속봉을U자형으로 구부러서 만든 접동틀(27)은 양쪽에 직선부(25)와 상단에 상기 직선부(25)들을 연결하는 조작부(2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양쪽의 직선부(25)들은 렌즈네(2)에 각각 고정시킨 지지환(24) 속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26)를 잡고 접동틀(27)을 상하로 움직이면 상기 직선부(25)들이 지지환(25)의 구멍을 통하여 가이드된다. 상기 직선부(25)의 하단부는 각각 밝으로 구부려서 조정부(28)를 형성한다. 코받침(7)들은 상기 조정부(28)의 하단부 끝에 각각 부착하여 고정시켰다. 이들 조정부(28)들은 상기 코받침(7)들을 여러가지 크기와 형태의 코에 맞게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따라서 상기 조정부(28)들은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S형, V형 또는 U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지만 상기 직선부(25)들은 각각 약간 외측으로 구부려서 활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동틀(27)을 상하로 움직여서 상기 직선부(25)들을 지지환(24)을 통하여 움직일 때 일정한 마찰저항을 일으킨다. 따라서 접동틀(27)을 슬라이딩시키면 상하의 요망하는 위치에 멈추어 있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각 지지환(24)의 내측면에다가 상기 접동틀(27)의 직선부 (25)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는 합성수지라이닝을 부착하므로서 똑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요망되는 마찰력을 부여한다.
상술한 원근모양용안경은 제5 및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된다. 각용자의 시선이 안경의 원시렌즈(4)를 통과하는 정상적인 시선방향으로 향할 때는 각 테다리(9)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체(10)와 일직선이 되고 경사를 이루지 않는다. 상기 접동틀(27)을 위로 올리면 코받침(7)들은 안경테를 위쪽으로 받쳐주게 된다. 이 동작은 조작부(26)와 중앙연결편(3)을 함께 집어 누르면 된다. 이때 코의 양쪽에 접촉한코받침(7)들은 렌즈테(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므로, 안경테 본체(A)는 낮아지만 따라서 원시렌즈 부분(4)의 광학축선은 정상적인 시선과 일치한다.
근시렌즈부분(5)들이 사용될 때는 통상물체가 손 가까이에 있으며 따라서 이때의 시선은 정상적인 시선보다 아래로 경사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접동틀(27)을 아래로 눌러 밀어서 코받침(7)들을 낮은 위치로 움직여준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접동틀(27)의 조작부(26)와 중앙연결편(3)을 서로 되어서 간격을 넓혀주면 된다. 이렇게 하므로써 안경본체(A)를 앞으로 기울게하여 사용하게 된다. 코의 양쪽면에 접촉하고 있는 코받침(7)들이 지지체(10)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기 되므로 안경 본체(A)는 코의 윗부분에 지지되고 약간 앞으로 경사를 이루게 된다. 또한 근시렌즈 부분(5)들이 약간 눈이 가깝기 접근하게 된다. 안경본체(A)의 테다리(9)에 대한 경사는 본체(A) 자체의 경사외에도 착용자의 귀와 코받침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안경테본체(A) 자체의 상향운동을 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테다리(9)의 안경테본체(A)에 대한 각도변화와 코받침(7)의 위치가 낮아지는 복합적인 효과는 본체(A)를 상향위치로 지지할 수 있게 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본체(A)가 높아지는 량은 테다리(9)의 사각도가 작아도 증가한다.
제5도에서 "a"로 표시되고, 제6도에서 "b"로 표시한 작은 사선 부분은 착용자의 코위에 높이는 코받침부분을 나타낸다. 안경테본체(A)가 상향위치 "a"와 하향위치 "b"에 지지될 때 코받침(7)들 사이의 간격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코받침(7)들은 코위의 거의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지 된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코받침(7)들은 슬라이딩하는 동안 상하로 움직인다. 그 다음 제7도 내지 12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 코받침(7)은 상하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특히 제2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체(6)들은 전단부가 둥글게 된 두쪽의 판으로 이루어져 었다. 코받침(7)들은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체(6)에 부착되어 있마. 코받침(7)이 부착된 모양을 제8및 제9도에 도시하고 있다. 제8도는 코받침(7)과 지지체(6)의 결합을 보여주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지지체(6)는 전단부이 원형의 얇은 스롯트(shot)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스롯트 공간 안쪽에는 다시 상기 스롯트공간의 원 호면보다 작은 원호면을 갖는 또 하나의 스롯트공간을 형성하므로써 상기 두개의 스롯트공간 사이에는 각각 단부(29 및 3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6)의 측면에 구멍(31)이 뚫려져 핀이 끼워질 수 있게 되어있다. 상기 코받침(7)의 뒷쪽에는 대락 L자형을 이루는 지지봉(32)이 달려있다. 그 지지봉(32)은 다른쪽 끝에 회동편(33)이 달려있다. 상기 회동편(33)은 원형체에다가 부채끝 부분을 원주상에 일체로 형성시킨 모양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체(6)의 스롯트공간 속이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기 크기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편(33)은 부채꼴 부분의 전후면에 각각 단부 (34 및 35)를 형성하고 측면의 중앙에 구멍(36)이 뚫려 있어서 핀을 끼워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편(33)을 지지체(6)의 스롯트공간 속에 끼우고 지지체(6)의 구멍(31)을 회동전(33)의 구멍(36)과 일치시킨 후 에핀(37)을 끼우고 나사로 조여주므로서 코받침(7)이 상기 지지봉(32)에 의하여 지지체(6)에 부착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9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받침(7)을 이대로 회전시키면, 제8도에서의 회동편(33)의 단부(35)가 지지체(6)의 단부(30)이 접촉하여 걸리게 된다. 코받침(7)을 위로 회전시키면 회동편(33)의 단부가 지지체(34)의 단부(6)에 닿아서 걸리게 되어 있다. 제10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코받침(7)들을 상향위치로 회전할 때 양쪽 코받침(7) 사이의 간격(l)은 하향위치로 회전시겼을 때의 간격(l')과 거의 동일하도록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1 및 12도에서와 같은 방법이로 사용된다. 먼저 한쌍의 원시렌즈부분(4)들이 사용될 때는 메다리(9)들은 제11도에 도시한 대로 각각 지지체(10)들과 일직선을 이루고 코받침(7)들은 상향위치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양회동편(33)들의 각 단부(34)는 지지체(6)들의 각 단부(29)에 접촉하여 걸리게 되어 있다.상기 위치에서 안경테본체(A)는 착용자의 코위치에 가장 낮은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 다음 한쌍의 근시렌즈부분(5)을 사용할 때는 코받침(7)을 아래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때 손으로 코받침(7)의 상단부를 코등 양쪽의 눈썹에 인접된 얼굴 경사부분에 대고 가볍고 눌러주므로써 아래로 회전시키면, 본체(A)는 얼굴로 부터 살짝 들어올려진다. 이렇게 하므로서 코받침(7)이 렌즈테(2)로부터 회전하여 떨어지게 한다(본체 A를 들어올리는 간단한 조작은 코받침 7이 각각 얼굴의 역경사부분 B에 접촉하고 있을 때 그 코받침 7을 회전시키게 되며, 따라서 상기 조작은 자동적으로 행하여 질 수 있다).
상기 코받침(7)이 회전하여 본체(A)가 동시에 앞으로 기울어지면 테다리(9)를 렌즈테(2)에 부착한 지지체(10)와의 연결부분이 구부러지기 한다. 이때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33)의 단부(35)가 지지체(6)의 단부(30)에 접촉하여 걸리는 지점에 의하여 코받침(7)이 아래쪽으로 계속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이와같이 안경을 착용할 때 코받침(7)이 착용자의 코에 접촉하는 접촉부 ''b",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 "a",의 약간 위쪽에 위치한다.
특히 제12도에서 귀와 코받침(7) 사이의 거리는 테다리(9)가 구부러지므로서 짧아진다. 하향된 코받침(7)들의 낮은 위치와 앞에서 설명한 거리단축의 복합효과는 본체(A)를 상향위치로 유지하여 준다. 또한 본체(A)는 경사를 이루는 동안 근시렌즈(5)들이 살짝 들어올려서 약간 경사지도록 유지된다. 이렇게 하므로서 근시 렌즈(5)들을 시선방향에 가까이 그리고 눈에 가깝게 접근시켜 준다.
본체(A)를 상기 상향위치로 부터 하향위치로 변경시키면 테다리(9)들이 각각 지지체(10)와 일직선을 이루고 코받침(7)들은 위쪽으로 회전하여 렌즈테에 접근한다. 이 조작은 코받침(7)을 코에 대고 눌러주면서 아래로 회전하도록 테다리(9)를 곧게 펴준 다음 본체(A)를 눌러주므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안경을 일일이 벗을 필요가 없다.
제10도에 의하여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코받침(7)들이 위쪽으로 회전될 때 이들 코받침(7) 사이의 간격은 이들이 아래쪽으로 회전될 때와 거의 동일하다.
상기 간격은 안경기술자에 의하여 착용자의 코의 크기와 모양이 맞게 미리 조정시킬 수·있다. 이 작업은,코받침(7)의 지지봉(32)의 구부러진 각도를 변화시켜므로씨 이루어지며, 이때 본체의 상하 이동거리를 조절하여 준다. 또한 상기 지지봉(32)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조정부(28)와 마찬가지로 회동편(33)과 코받침(7)사아에 조절부를 만들 수도 있다.
제13 내지 16도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3도에 있어서 렌즈테(2)에 지지봉(32)을 부착하여 고정시켰다. 상기 지지봉(32)의 모양은 제1실시예의 조정부(28)와 비슷하다.
상기 지지봉(32)의 전단부에는 환상지지체(38)가 부착되어 있고 그 환상지지체(38)의 전면부에는 원형스롯트 공간이 만들어져 있다. 상기 환상지지체(38)의 측면에는 구멍(31)이 뚫려 있고, 이 구멍(31)을 통하여 핀(37)이 끼워지게 되어 있으며, 상기 환상지지체(38)의 외주상에는 돌출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받침(7)은 그의 뒤면에 회동편(3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동편(33)에는 구멍(36)이 뚫려있다. 상기 코받침(7)의 회동편(33) 바로 위에는 돌기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제3실시에에서 사용된 코받침(7)은 제1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V자형으로 이루어졌으며, 위쪽에 상부 접촉면(11)을 가지고 있고, 아래쪽에 하부 접촉면(42)을 형성하고 있다. 제13도에서 도시한 구성부분들은 제15도와 같은 모양으로 조립된다. 코받침(7)을 위로 회전되면 상기 코받침(7)은 돌기부(40)가 돌출부(39)에 가볍게 접촉되는 지점에서 정지하여 제자리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3실시예의 장치기능 및 작용을 제16도에 의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받침(7)들을 위로 회전시켜 본체(A)를 앞으로 경사지게 하여 안경을 착용하면 상기 코받침(7)들의 하부접촉면(42)이 코의접촉부분(b)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코받침(7)을 아래로 회전시키고 테다리(9)를 각각 지지체(10)와 일직선으로 일치시켜 안경을 착용하면 상기 코받침(7)의 상부접촉면(41)들이 코의 접촉면(a)과 접촉하게 된다. 코받침(7)들이 위로 회전되면 돌기부(40)가 돌출부(39)와 접촉하여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한다. 코받침(7)들이 아래로 회전하는 경우의 멈춤장치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받침(7)의 회동편(33)은 약간 위쪽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접촉면(41)이 사용될 때 코받침(7)은 고정될 수 있다.그러나 하부접촉면(42)이 사용될 때는 하향회전력이 코받침(7)에 작용한다. 환상지지체(38)의 만곡요부(彎曲凹部)와 코받침(7)의 회동편(33) 사이에 있는 핀(37)에 의하여 발생되는 적절한 마찰력에 의하여 걸림턱이 없이도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명백하여진 바와 같이 코받침(7)은 L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접촉면(41)과 하부접촉면(4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구부려서 만든 접촉면의 목적은 본체(A)의 상향위치 또는 하향위치에 있을때 그 본체(A)가 코의 양쪽면의 제자리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본체(A)를 상하로 움직일 때(변위=變位시킬 때) 코받침 전면이 착용자의 코에 닿는 면과 이루는 각도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4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코받침(7)에 있어서 상부접촉면(41)은 하부접촉면(42)보다 표면이 더 크다. 그러나 반대로 제17(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접촉 (42)을 상부 접촉면(41)보다 면적을 크게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두 접촉면(41),(42)을 제17도(b)에서와 같이 면적을 똑같이 만들 수도 있다.3초점안경은 제17(c)도와 같이 3개의 접촉면을 갖는 코받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7(d)도는 3개 이상의 상이한 초점을 갖는 렌즈로 이루어지는 안경에 사용하기 위한 반구형의 코받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4 내지 17도의 도면에서는 도면을 간명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착용자의 왼쪽 코받침만을 도시하있다. 오른쪽 코받침은 모양이 왼쪽 코받침과 대칭형을 이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제18 및 19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힌지기구는 테다리(9)를 안쪽으로 접을 수 있고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구조에서는 옆 옆에서볼때 단 하나의 이음새만이 보이므로 외관이 말쑥한 감각을 준다. 그러나 제18 및 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힌지기구로 만들 수도 있다. 이 기구에서는 렌즈테(2)에 부착된 지지체(10)의 후단부에는 테다리(9)의 측면에 평행하제 절단한 종요부(縱凹部)를 형성하고 단턱부(43)를 가지고 있다. 연결편(44)도 전단부에 단부(45)를 가지고 있어서, 연결편(44)을 결합할 때 단턱부(43)에 끼위지도록 되어 있다. 연결편(44)은 나사(46)에 의하여 지치체에 조여지며, 그 나사(46)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테다리(9)는 종래의 방법으로 연결편(44)에 결합시키므로써 테다리(9)가 내측으로 또는 밖으로 자유로이 회전하고 제자리에 멈추어지게 되어 있다. 연결편(44)의 단부(45)가 지지체(10)의 스롯트 공간속에 있는 단턱부(43)에 걸려서 더이상 아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지지체(10)를 위로 회전시켜 테다리(9)와 일직선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테다리(9)는 지지체(10)의 상단과 접촉하는 전단상부에 의하여 더이상 위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지금까지 테다리(9)가 수평축을 증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도록 렌즈테(2)에 고정시킨 지지체(10)와 테다리(9) 사이이 장치한 힌지구조와 테다리(9)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되는 접철장치에 관한 두가지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힌지장치 및 접철장치는 각각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코침을 위한 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왕복하도록 되어 있는 접동식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한가지 실시예와 코받침(7)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식 조절장치의 두가지 예를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이들 높이조절장치도 여러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설명은 2초점 안경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또한 3개 또는 그 이상의 초점을 갖는 다른 형태의 안경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조작과 구조에 대하여 광범하게 기술하였으므로 다음에 그 장점에 대하여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다초점안경은 렌즈테(2)의 외측이 고정되어 힌지기구에 의하여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된 테다리(9)를 가지고 있다. 기울여서 또는 필요시에는 가동코받침을 적절히 위치시키므로써 안경테를 눈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되므로써 다초점 렌즈식 안경의 요망하는 렌즈부분을 임의대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의 정확한 초점을 맞추기 위한 렌즈면의 최적한 경사각을 얻기 위하여 테다리(9)가 지지체(10)와 이루는 각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렌즈가 시선방향과 직각으로 맞추어지기 때문에 영상의 변형 또는 눈을 피로하게 하는 원인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테다리(9)를 경사지게 하거나 곧바르게 하므로서 또는 필요시에는 코받침(7)의 위치를 조절하므로서 광학적으로 이상적인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정정)좌우측 다초점렌즈(1)를 착설하기 위한 한쌍의 렌즈테(2), 그렌즈테(2)들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중앙연결편(3), 상기 각 렌즈테(2)의 내측을 코양쪽이 지지하여 주기 위한 한쌍의 코받침(7), 상기 각렌즈테(2)의 외측에 부착된 테다리(9)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코받침(7)은 하나의 높이조절기구(24,27,25,26,29 내지 36)에 의하여 각 렌즈테(2)의 내측에 부착되어 상하로 수직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어 정상적인시선방향에 대하여 렌즈테(2)의 상대적인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게되어 있는 안경테에 있어서, 최소한 둘 또는 그 이상의 접촉면(15,16)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편(14)의 전단부는 지지체(10)에 부착된 받침편(13)이 연결되고 그 후단부에는 테다리(9)의 회동편(2l)을 연결한 힌지기구가 장치되어 있어 상기 테다리(9)를 렌즈테(2)에 대하여 일정한 임의의 각도로 상기 힌지기구에 의해 경사시켜 상기 렌즈테(2)를 상기 높이 조절기구에 의하여 정상적인 시선방향에 대하여 올리거나 내릴때 그 렌즈테(2)와 코받침(7)의 각도를 조정할 수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용 안경테.
  2. (정정)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렌즈테(2)의 외측에 부착되어 뒤쪽으로 뻗은 지지체(10)와 하나의 수평축인 나사(20)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체(10)에 대하여 상하로, 선회하도록 되어 있는 전단부 및 하나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상기 테다리(9)에 대하여 수평으로 선회하게 되어 있는 후단부를 갖고 있어 상기 테다리(9)가 내측으로 접어질수 있지 하는 연결편(14,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용안경테.
  3. (정정)청구범위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상기 지지체(10)의 후단부에 부착 고정된 받침편(13)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결편(14,44)의 전단부는 받침편(13)속이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받침편(13)과 연결편(14,44)을 관통하는 수평축인 나사(19,20,46)를 중심으로 받침편(13)속에서 상하로 선회하게 되어있고,상기 연결편(14,44)의 후단부에는 아래위로 떨어져 있는 한쌍의 환상체(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테다리(9)의 전단 회동편(21)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중간환상체(22)가 상기 두 환상체(18) 사이에 끼워지며, 하나의 수직축인 나사(23)가 상기 연결편(14,44) 및 테다리(9)의 환상체(18,22,18)의 구멍을 통하여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용 안경테.
  4. (정정)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7)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높이 조절기구는 상기 렌즈테(2)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종방향으로 중심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환(24)과, 한쌍의 직선부(25)와그 직선부(25)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조작부(26)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접동틀(27)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직선부(25)들은 상기 지지환(24)의 중앙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있고, 상기 코받침(7)은 각각 상기 접동틀(27)의 직선부(25)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용 안경테·
  5. (정정)청구범위 4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틀(27)에는 직선부(25)의 아래쪽에 상기 코받침(7) 각각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한개씩의 조정부(2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받침(7)은 조정부(28)의 하단부에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용 안경테.
  6. (정정)청구범위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틀(27)이 지지환(24)을 통하여 상하로 움직일때 상기 직선부(25)는 가벼운 마찰저항을 받아서 상기 접동틀(27)을 상기 지지환(24)에 대하여 높고 낮은 임의위치에 정지시킬 수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용 안경테.
  7. (정정)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코받침(7)을 상하로 움직이게하기 위한 높이 조절기구가 상기 각 렌즈테(2)의 내측에 직접 고정된 지지체(6), 상기 코받침(7)을 착설한 회동편(33), 그 회동편(33)과 지지체(6)'를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여 주는 핀(37) 및 상기 코받침(7)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편(33)과 코받침(7)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봉(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용 안경테.
  8. (정정)청구범위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는 상기 회동편(33)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단부(29,30)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회동편(33)은 상기 지지체(6)의 단부(29,30)와 접촉하는 단부(24,25)를 가지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용안경테·
  9. (정정)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7)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높이 조절기구가 상기각 렌즈테(2)의 내측에 고정되는 지지체(6), 상기 코받침(7)이 착설되는 회동편(33), 그 회동편(33)과 지지체(6)를 그 선회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핀(3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받침(7)은 예정된 각도로 교차하면서 상기 선회축으로 부터 상이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최소한 둘이상의접촉면(41,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용 안경테.
  10. (정정)청구범위 7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7)은 반구형으로 형성된 접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용 안경테.
  11. (정정)청구범위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테(2)와 지지체(6) 사이에 지지봉(32)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용 안경테.
  12. (삭제)
KR8201199A 1981-04-17 1982-03-20 다초점 렌즈의 안경테 KR870000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0081A JPS57173813A (en) 1981-04-17 1981-04-17 Spectacle frame for multifocus
JP56-59000 1981-04-17
JP???56-59000 1981-04-17
JP???56-124803 1981-08-11
JP12480381A JPS5827122A (ja) 1981-08-11 1981-08-11 多焦点用眼鏡枠
JP56-124803 1981-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507A KR830009507A (ko) 1983-12-21
KR870000225B1 true KR870000225B1 (ko) 1987-02-17

Family

ID=2640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199A KR870000225B1 (ko) 1981-04-17 1982-03-20 다초점 렌즈의 안경테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547048A (ko)
EP (1) EP0076857B1 (ko)
KR (1) KR870000225B1 (ko)
AU (1) AU551217B2 (ko)
BR (1) BR8207659A (ko)
CA (1) CA1179876A (ko)
DE (1) DE3267207D1 (ko)
DK (1) DK156335C (ko)
ES (2) ES272565Y (ko)
GB (1) GB2110417B (ko)
HK (1) HK8486A (ko)
IT (1) IT1155648B (ko)
MY (1) MY8600458A (ko)
PH (1) PH20026A (ko)
SG (1) SG13685G (ko)
WO (1) WO19820036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1591A3 (en) * 2011-05-05 2013-01-03 Aria Enterprises, Inc. Adjustable eyewe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824A (ja) * 1982-07-31 1984-02-08 Toru Negishi 多焦点用眼鏡枠
US4861151A (en) * 1986-12-26 1989-08-29 Tohru Negishi Frame for multifocal spectacles
GB2239958B (en) * 1990-08-31 1992-03-04 Sam Joel Mendel Height adjustable spectacles
US5187504A (en) * 1991-05-10 1993-02-16 David Huang Eyeglass frame having hollow adjustable connector
US5229795A (en) * 1991-11-20 1993-07-20 Heintzelman E Earl Eyeglass frames adapted to hang flat against a wearer's chest
DE4206018A1 (de) * 1992-02-27 1993-09-02 Frey & Winkler Stegarm
WO1994014152A1 (en) * 1992-12-04 1994-06-23 Virtual Vision, Inc. A head mounted display system
JP4097824B2 (ja) * 1998-07-06 2008-06-11 株式会社和真 多焦点用眼鏡枠
US6183080B1 (en) 1998-07-06 2001-02-06 Elu Patent Optical Co., Ltd. Integral vertical plane adjusting mechanism for an eyeglass frame with multifocal lenses
DE19907777A1 (de) * 1999-02-24 2000-08-31 Thomas Otto Brille mit verstellbarer optischer Wirkung
WO2005081046A1 (es) * 2004-02-23 2005-09-01 De Regil Camet Javier Guillerm Mejoras en gafas para vision de cerca
JP2006317817A (ja) * 2005-05-16 2006-11-24 Nakanishi Opt:Kk 多焦点用眼鏡フレーム
TWM281188U (en) * 2005-08-04 2005-11-21 Doris Ind Co Ltd Improved structure for arm of optical glasses
US7222957B1 (en) 2006-01-12 2007-05-29 Allred Robert W Eyeglasses assembly
US7726810B2 (en) 2007-08-17 2010-06-01 Politzer Thomas A Tilted prism for the treatment of cyclo deviation
US20100212065A1 (en) * 2009-02-23 2010-08-26 Chia-Ching Yeh Foldable mask with temples
DE202010018145U1 (de) * 2010-09-22 2014-05-02 Ic! Berlin Brillenproduktions Gmbh Brillengestell, Brillenrahmen und Brillenbügel
US8632176B2 (en) * 2011-08-16 2014-01-21 Janet Leduc Reading glasses with a book compatible temple and hinge combination
DE102012000321B4 (de) 2012-01-11 2015-02-05 Ic! Berlin Brillenproduktions Gmbh Brillengestelle
US10473950B2 (en) * 2016-09-20 2019-11-12 Gerald Stulberger Apparatus that improves vision
CN106980185B (zh) * 2017-05-22 2019-08-23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智能型辅助视力眼镜
US20190072781A1 (en) * 2017-09-07 2019-03-07 Chaehyun LIM Lens angle-adjustable glasses
US10663758B2 (en) 2018-02-09 2020-05-26 Bunny Eyez, LLC Spectacles with dual salon and traditional configurations
US10996489B2 (en) * 2018-02-09 2021-05-04 Bunny Eyez, LLC Spectacles with dual salon and traditional configurations
USD863416S1 (en) 2018-02-09 2019-10-15 Bunny Eyez, LLC Convertible glasses
CN113917702B (zh) * 2021-10-12 2023-04-14 河北超视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渐进多焦点眼镜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4013A (en) * 1929-08-14 1930-12-09 John B Kern Guard for spectacles and eyeglasses
GB480479A (en) * 1936-01-30 1938-02-23 Marius Modern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ectacle frames
US2321083A (en) * 1940-11-22 1943-06-08 American Optical Corp Ophthalmic mounting
US2322993A (en) * 1941-02-10 1943-06-29 Julius S Zell Vertically adjustable bifocal spectacles
US2326846A (en) * 1941-03-12 1943-08-17 Bausch & Lomb Ophthalmic mounting
DE1132355B (de) * 1959-04-11 1962-06-28 Winter Ges Fuer Optik Brille, insbesondere Sportbrille, mit verstellbarer Inklination
US3476466A (en) * 1966-07-29 1969-11-04 Roger B Hopkins Forwardly folding eyeglass temples having ball and socket hinges
FR1540371A (fr) * 1967-04-18 1968-09-27 Plaquettes nasales réglables pour lunettes
JPS53986Y2 (ko) * 1973-03-26 1978-01-12
US3907410A (en) * 1973-11-27 1975-09-23 Rex Richmond Integral vertical plan adjusting mechanism for eye glasses
JPS50138947A (ko) * 1974-04-25 1975-11-06
JPS50138947U (ko) * 1974-04-30 1975-11-15
US4113365A (en) * 1976-05-20 1978-09-12 Sotoichi Koketsu Spectacles' frame with vertically adjustable nose pads
JPS5910588B2 (ja) * 1976-06-25 1984-03-09 工業技術院長 集積回路素子
JPS552404Y2 (ko) * 1977-05-19 1980-01-22
DE2906516C1 (de) * 1979-02-20 1982-12-09 Gerlach, Joachim, 7541 Straubenhardt Brillenscharnier
IT7911669V0 (it) * 1979-05-25 1979-05-25 Fortini Umberto Frizionatura per l'articolazione di aste per occhiali
JPS565116U (ko) * 1979-06-23 1981-01-17
JPS565116A (en) * 1979-06-26 1981-01-20 Baitaru Giken Kk Throw in type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bath water
JPS5921003B2 (ja) * 1980-09-18 1984-05-17 亨 根岸 多焦点用眼鏡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1591A3 (en) * 2011-05-05 2013-01-03 Aria Enterprises, Inc. Adjustable eyewear
US9239470B2 (en) 2011-05-05 2016-01-19 Ziba Labs Llc Adjustable eye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267207D1 (en) 1985-12-12
DK556982A (da) 1982-12-15
ES272565Y (es) 1984-10-01
EP0076857B1 (en) 1985-11-06
EP0076857A1 (en) 1983-04-20
ES272565U (es) 1984-03-01
GB2110417A (en) 1983-06-15
DK156335C (da) 1989-12-27
DK156335B (da) 1989-08-07
AU551217B2 (en) 1986-04-17
KR830009507A (ko) 1983-12-21
MY8600458A (en) 1986-12-31
PH20026A (en) 1986-09-04
EP0076857A4 (en) 1983-08-25
WO1982003696A1 (fr) 1982-10-28
IT8267347A0 (it) 1982-03-18
AU8004082A (en) 1982-11-04
IT1155648B (it) 1987-01-28
CA1179876A (en) 1984-12-27
GB2110417B (en) 1984-08-30
ES275757U (es) 1984-08-16
SG13685G (en) 1985-12-13
US4547048A (en) 1985-10-15
BR8207659A (pt) 1983-03-29
HK8486A (en) 1986-02-14
ES275757Y (es) 198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225B1 (ko) 다초점 렌즈의 안경테
CA2057037C (en) Prism section lens spectacles
WO2016162901A1 (ja) 眼鏡型表示装置
JPH0259444B2 (ko)
KR20000011478A (ko) 다중촛점렌즈를갖춘안경테용일체형수직평면조절기구
US4178080A (en) Adjustable nose piece assembly for eyeglasses
KR20180091081A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US5323190A (en) Ophthalmic prismatic image relocating eye glasses for persons having retinitis pigmentosa and hemianopia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4362661B2 (ja) 検眼メガネ
CN109690390B (zh) 远近两用眼镜状的框架
JP2018040922A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829515B2 (ja) 眼鏡フレーム
JP4626072B2 (ja) 映像観察装置
JPS5893029A (ja) 多焦点用眼鏡枠
JP2019012242A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3081807B2 (ja) 遠近両用眼鏡枠
KR20150039315A (ko) 고글형 의료용 루페
KR101648408B1 (ko) 측부고정구가 구비된 안경
JP2017129713A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3232313U (ja) メガネ
JP6276748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S5827122A (ja) 多焦点用眼鏡枠
JPS6215787Y2 (ko)
EP0357848B1 (en) Low vision eye glasses
CA2023875C (en) Ophthalmic prismatic image relocating eye glasses for persons having retinitis pigmentosa and hemianopia and method for making same